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후조리원에서의 산후조리 민속의 지속과 변용

        노무라 미찌요(Nomura Michiyo) 한국민속학회 2016 韓國民俗學 Vol.63 No.-

        본 연구는 전통적 산후조리가 상업시설인 산후조리원과 결합된 결과 어떻게 지속 또는 변화되었는지 밝히기 위해 산후조리원에서의 현지조사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민속지적 기록으로 남김과 함께 산후조리원에서 실천되는 산후조리 민속의 지속과 변용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M산후조리원의 사례로 볼 때, 현대 산후조리원에서 이루어지는 산후조리는 서양의학에 근거하여 신생아와 모유수유의 관리를 받지만, 산후조리 자체에 대한 전문적 서비스를 받을 수 없었다. 또한 산모들은 몸 보온에 대한 금기를 잘 실천하지만 그 외 사항들은 산후조리원의 상업적 사정과 바쁜 모유수유로 인해 잘 실천되지 않았으며, 전통적 산후조리 요소들 중 속신적 요소들 또한 잘 실천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산후조리가 과학적으로 해명되지 않은 상태이고 산후조리원의 전문성이 부족한 실정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는 것은 산후풍에 대한 두려움이 뿌리깊이 남아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그중에서도 본문에서는 산후조리의 잘하고 못함을 좌우하는 요소가 보온 즉, 찬 기운 피하기에 있다는 점을 살폈다. 산후조리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상관없이 산모들이 보온을 자발적으로 실천하기 때문에, 산후조리가 잘되고 있다고 생각하게 되어 산후조리원의 운영방식과 존재가치에 대해 의문을 가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산후조리를 잘 못하면 산후풍에 걸린다는 믿음이 있는 한 산후조리 민속과 산후조리원이라는 상업시설은 지속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continuance and variation of Korean traditional postnatal care combined with modern postpartum care centers that are commercial facilities. Particularly, by carrying out a field survey on postpartum care cente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tinuance and variation of Korean traditional postnatal care conducted in current postpartum care centers, while leaving the results as an ethnographic record. Considering the case of M Postpartum Care Center, this study found that in modern postpartum care centers, mothers are provided with western medical science-based newborn infant and breastfeeding care, but they are not given professional services about postnatal care itself. Besides, it was found that mothers mostly complied well with the contraindications regarding body temperature, but they were hardly able to keep the rest of them because of the commercial circumstances of the postpartum care center and their busy breastfeeding activities. Out of all of the Korean traditional postnatal care elements, they do not really practice folk-belief elements, either. In consideration of such a circumstance, it was found that since mothers mostly believed that inadequate postnatal care will lead to postpartum syndrome, the folk-belief elements depended on keeping the mothers’ body temperature warm and avoiding a cold atmosphere. However, most mothers voluntarily practiced keeping their body temperature warm, regardless of all the services they were given by the postpartum care center, further making them believe that they were provided with good postnatal care and they had no doubt about the management methods and necessity of postpartum care centers. When postnatal care was not scientifically explained, commercial facilities called “postpartum care centers” appeared and they still operate at present. It is because mothers have a deep fear of suffering from postpartum syndrome. As long as they believe that inadequate postnatal care will lead to postpartum syndrome, it seems that Korean childbirth customs and modern facilities referring to themselves as “postpartum care centers” will continue to exist.

      • KCI등재후보

        한국과 몽골의 산속 비교 연구

        떠르지 재벤(Dorj, tse-veen),구사회(Koo, sa-whae)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6

        이 논문은 한국과 몽골의 산속을 ‘기자속’, ‘산전속’, ‘산후속’으로 구분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본 것이다. 출산의례라고도 하는 산속은 오래 전부터 민족마다 자신들의 선조로부터 전해 내려온 출산과 관련된 의례를 담고 있는 습속이다. 각 나라 전통 사회는 그 사회의 민족적 특질, 민족성, 사회 구조, 사상 등을 반영하게 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국과 몽골의 산속에 나타나는 특징은 차이를 통해 찾아 볼 수 있다. 한국의 출생의례는 절 ,지성과 같은 기자속은 물론이고, 산전속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태몽에 대한 내용이 많다. 반면에 몽골의 출생의례는 산전속에서는 임산부들이 가지는 음식과 행위와 관련된 금기어가 많으며 태어난 아이에게 이름을 지어주는 내용이 많은 편이다. 한국과 몽골은 아들을 얻으려고 하는 순수한 마음은 비슷하다. 산후속은 한국에서 아들과 딸의 상징을 구별하여 표시했는데 몽골에서 아들과 딸을 구별하지 않고 표시했다는 점이다. 육아속은 양국에서 아이를 위해 여러 행사를 중심으로 하는데 행사를 치를 때 가국의 특별한 예물이 다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한국의 경우 육아속은 백일날 배냇머리를 자르는 의식과 출생 후 일주년을 기념하는 돌날 까지를 말한다. 이에 비해 몽골의 육아속은 출생 후 3년 후에 비로소 배냇머리를 자르는 의례를 행하기 때문에 한국에 비해 길다. 한국의 출생의례를 보면 역신을 속이기 위하여 천한 이름으로 아명을 지어주는데, 몽골의 경우도 이와 유사하게 역신을 기만하고 속여서 역신으로부터 어린 아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동식물의 이름이나 혐오스럽고 이상한 이름을 지어주기도 한다. 이러한 행위는 어린 아이가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통합하기 위하여 거쳐야만 하는 통과의례의 전이 단계인데 한국과 몽골의 출생의례에서 공통적인 민속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을 통해 한국과 몽골의 산속을 비교하면서 양국의 전통문화를 점검하고 한국과 몽골의 민속 문화만이 지닐 수 있는 상호간의 문화적 친영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study analyzes common and different points of Sansok in Korea and Mongolia by classifying it into Gijasok, Sanjeonsok and Sanhusok. From the past, Sansok is a tradition that contains ancestral ritual on the lifestyle and belief of each nation. It is confirmed that Sansok in Korea and Mongolia reflected national characteristics, national identity, social structure and idea. The birth ritual in Korea has many contents on dream of the forthcoming conception of a baby as a key of Sanjeonsok as well as Gijasok like Chiseong. To the contrary, it was Sanjeonsok in Mongolia that has many taboos related to foods and behaviors of pregnant women. Both Korea and Mongolia are Gijasok having a notion of preferring a son to a daughter. As Sanhusok, in Korea the symbols of boy and girl were separated, but in Mongolia, it was not identified. Yukasok focuses on various events for children in both countries and the presents for event were different. In the birth ritual in Korea, child name was used to be devised in a humble name to protect child from Yeoksin. It was similar at Mongolia and they used to name the child in the name of animal or plant in a bizarre or horrible term. This study could find the affinity of both cultures by comparing culture of Sansok in Korea and Mongolia.

      • KCI등재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산속(産俗) 문화 비교 연구

        투라예바 딜푸자(Turaeva Dilfuza),이수진(Lee Suj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3

        이 논문은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산속 문화에 대한 비교 연구이다.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은 지리상으로 멀리 떨어져 있지만, 같은 아시아 문화권에 속해 있으면서 중국 문화권의 영향을 받아 문화적으로 유사한 점이 많다. 산속은 오래전부터 각 민족의 삶의 방식과 믿음을 통해서 조상들로부터 전해 내려온 습속이다.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산속은 사회적으로 남아를 선호하는 가부장제 가족 제도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산속 연구를 통해서 양국의 민족성이나 사회성을 고찰해 볼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먼저 한국과 우즈베키스탄 산속이 전해져 내려오는 문화적 배경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국은 유교주의 영향을 받아 특히 16세기 남아를 선호하는 사상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우즈베키스탄의 경우 실크로드 교차지점에 위치하여 오랜 시간 다양한 문화와 교류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침략으로 고난과 역경의 시간을 보내며 남아 선호 사상이 강해졌다. 양국 모두 전통적으로 가부장제 가족제도를 형성해 왔으며 남아선호사상을 중시하였고, 이러한 사회적 구조 안에서 남아의 잉태를 기원하는 산속이 형성된 것을 보인다. 양국의 산속을 ‘기자속’, ‘산전속’, ‘산후속’으로 나누어 비교 고찰해 보았다. 양국 모두 아이를 갖고자 희망하는 여인들은 일정한 대상물을 향해 기도 기자속이 있는데, 그 방식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국에서는 잉태를 위하여 수목, 산신, 부처, 암석 등에 기도를 하며, 아들을 이미 출산한 집안의 삼신상이나 속옷, 금줄에 끼인 고추 등을 훔쳐 잉태를 기원하는 습속이 있는데, 우즈베키스탄에서는 다산한 임산부의 다리 밑을 지나가면 아이를 가질 수 있다고 믿었다. 방식에 차이는 있으나, 이미 출산한 부녀자에게 의지하여 아이 낳기를 기원하는 행위는 양국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기자속의 형태로 볼 수 있다. 산전속에서도 한국은 오리고기ㆍ닭고기ㆍ자라고기ㆍ토끼고기ㆍ생강ㆍ마늘ㆍ문어 등의 섭취를 금지하고, 우즈베키스탄에서는 낙타고기ㆍ토끼고기 등을 금기시 하여 금기 음식의 종류에는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산모가 보고 듣고 먹고 느끼는 것이 태아에게 그대로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여 그에 따른 음식이나 행위에 금기를 가했다는 점은 동일하다. 산후속도 한국이나 우즈베키스탄 모두 출산 직후 산모를 외부의 침입이나 악의 기운으로부터 차단하고 보호해야 한다는 인식이 강하게 드러난다. 한국에서는 고추나 청솔가지, 숯 등을 달아 외부와 차단하는 금줄을 달았고, 우즈베키스탄에서는 대문 앞에 칼을 매단 금줄을 달아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산속 문화를 비교하여 양국의 산속에 내포되어 있는 전통문화를 점검해 보았다. 향후 양국의 문화이해 및 교류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childbirth customs in traditional Korean and Uzbekistan culture. Even though Korea and Uzbekistan are geographically far apart, they remain a part of Asian civilization. Having been influenced by Chinese culture, these two distinct cultures retain some cultural similarities, such as in childbirth. Childbirth customs are inherited from our ancestors via learned lifestyles and beliefs. Childbirth customs in Korea and Uzbekistan favor patriarchal family systems, displaying a typical preference for sons over daughters. By comparing the childbirth customs between Korea and Uzbekistan, we can appreciate the nation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countries. 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s from which the childbirth customs of these two countries have emerged. In Korean culture, where Confucianism was highly influential, a preference for boys emerged conspicuously in the 16th century. Uzbekistan as well, because of its unique location at the crossroads of an ancient trade route, the Silk Road, coupled with an extensive history of invasion from foreign forces, developed a cultural preference for boys. Thus, both countries have formed patriarchal family structures with boy preference customs. Given this social structure, both societies have formed various traditions that emphasize a desire to bear sons.

      • KCI등재

        한국 산속(産俗)의 변화 과정 탐색을 통한 유아교육적 의미 고찰

        김은주(金銀柱),전정미(全貞美)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아시아교육연구 Vol.13 No.3

        산속은 잉태하기를 비는 것에서부터 아기가 태어나 만 일년이 되는 돌까지의 과정에 있는 기원, 금기행사, 의례, 주술 등을 포괄하는 민속을 말한다. 본 연구는 한국 전통사회의 산속이 과도기와 현대를 거치며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살펴봄으로써 산속의 의미를 유아교육적 관점에서 재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통사회, 과도기사회, 현대사회의 산속의 변화 과정을 기자속, 산전속, 산후속, 육아속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우리나라 전통사회 산속은 자연의 순리에 순응하면서 매 순간순간 마음을 다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왔다. 과도기사회에서는 혼란스러웠던 시대 상황을 반영하여 가정 형편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산속이 행해져왔으나, 전통사회의 산속 문화를 크게 거스르지 않고 있었다. 이에 비해 현대사회의 산속은 과학과 의학기술의 발달로 인한 합리성과 논리성에 대한 강조로 인해 전통사회의 산속은 미신으로 치부되거나 필수가 아닌 선택 사항으로 전락하였다. 이로 인해 산속을 통해 계승되어온 전통사회의 생명존중이나 자녀양육에 대한 정신적 가치마저 단절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를 통해 서양식 교육방법에 치중하고 있는 한국 유아교육에 우리나라 전통 산속의 육아 지혜가 스며들 수 있는 초석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Custom of childbirth is Korean traditional custom of childbirth ranging from praying for pregnancy, wishing for the health of a baby till the first birthday party of the baby, taboos, ceremonies, and a charm. This study aimed at finding out the meaning of Korean traditional custom of childbirth by investigating how custom of childbirth has been changed during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the traditional society, and making preliminary data to secure the continuity of educating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and families.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this study took consideration of the changing process of custom of childbirth in the modern society by classifying it into custom of pregnant praying, custom of prenatal caring, custom of puerperium caring, and custom of childcare. Korean traditional custom of childbirth had been practiced appropriately in line with the order of life, following the laws of nature.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custom of childbirth had been practiced in various forms reflecting the situation of each family and the chaotic period. However, the practices were not totally different with traditional custom of childbirth. While, traditional custom of childbirth is being discounted as an old wives’ tale or considered as an option rather than a mandate as rationality and logicality become more important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medical technology. This made people cut traditional spiritual values like respect for life and child bearing which had been inherited in custom of childbirth. This study would be a corner stone to learn the wisdom of child bearing in Korean traditional custom of childbirth in a situation where too much child-bearing information makes families confused and only the western educational methods are considered as important.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왕실의 출산문화에 관한 몇 가지 실마리들 : 장서각 소장 출산관련 ‘궁중발기[宮中件記]’를 중심으로

        김지영(Kim Ji-young)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장서각 Vol.0 No.23

        이 논문은 장서각에 소장된 왕실 고문서인 ‘궁중발기’의 자료적 가치에 주목하고, 순종 출산관련 발기의 내용을 분석하여 조선시대 왕실의 출산문화에 관한 몇 가지 실마리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궁중발기를 이용한 기존 연구들의 성과와 경향을 살폈다. 그리고 장서각에 소장된 왕실 출산관련 궁중발기 자료를 정리하고, 자료적 특징과 의의를 밝혔다. 또한 순종 출산관련 발기를 하나의 분석사례로 삼아, 19세기 중반 왕실 출산문화의 일면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궁중발기는 왕실사람들의 일상생활을 실질적으로 도왔던 궁녀들이 직접 작성한 왕실의 생활문서이다. 지금까지 복식사, 음식사, 민속학 분야를 중심으로 왕실의 식생활, 의생활, 신앙생활의 일면을 밝혀주는 자료로 이용되었다. 궁중발기는 주로 19세기에 왕실의 여성이 한글로 작성한 왕실고문서라는 사료적 지위 때문에, 역사학자들이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었던 자료이기도 하다. 본 논문에서는 조선시대 왕실의 출산과 관련하여 새로이 주목해야 할 자료로 19건의 왕실 출산관련 궁중발기를 정리하였다. 이를 인물별로 살펴보면, 헌종 출산관련 발기가 1건, 순종 출산관련 발기가 15건, 영친왕 출산관련 발기가 3건이다. 내용별로 살펴보면, 헌종과 영친왕 출산관련 발기는 모두 신생아의 의복과 관련된 것이다. 순종 출산관련 발기 15건은 산실청관련 발기가 2건, 출산 후 삼일부터 돌까지 왕실의 産後俗에 관한 발기가 13건이다. 그리고 왕실의 출산과 양육을 직, 간접적으로 도왔던 사람들에게 하사한 음식과 물건, 돈에 관한 것들을 기록하고 있다. 순종 출산관련 발기는 왕실 출산에 직접적으로 수고하여, 음식, 물건, 돈을 하사받은 사람들과 순종의 탄생을 축하하며 축하금이나 물건을 준 왕실 가족과 친인척들, 그리고 왕실에서 만든 미역국이나 백일병을 나눠먹은 사람들을 기록하고 있다. 이를 통해 왕실 출산을 실질적으로 도왔던 사람들 사이의 역할과 위계관계를 밝히고, 19세기 왕실의 가족구성과 친족관계, 사회적 관계망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This study tries to provide some clues to the childbirth culture of the Joseon royal family. For this, it notices the historical value of the old documents ‘Gungjungbalgi’ and analyses the documents of them that are related with the birth of the king Sunjong(純宗). I expect it to help reconstruct the childbirth culture of Joseon royal family in the mid-19th century. The ‘Gungjungbalgi’ are the kind of lists written in Hangul(Korean alphabet) by court ladies who are the attendants to the royal family members. We can get a sense of everyday life of the royal family through them. Up to now, Gungjungbalgi have been used as historical materials that show the royal family’s daily life about foods (食), costumes(衣) and beliefs(信仰) etc. But as they are the old documents written in Hangul, most of Historian have somewhat neglected them. This study have sorted out nineteen documents of Gungjungbalgi from the Jangseo-gak library which are related with the births of the royal family. There is one of them that contains the birth of the king Heonjong(憲宗), fifteen the birth of the king Sunjong and three the birth of crown prince Yeong wang(英王). It is through the documents which deal with the birth of the king Sunjong that we can clearly see all the process from his pre-birth to his first birthday. The documents refer to the people who received foods, money and stuffs for the works that they had done to help the birth of the king Sunjong. And the foods, money and stuffs given to those people are from the royal family members and its relatives. The documents also get a list of the people who received seaweed soup and a cake given to the one hundredth day. We can concretely understand the roles of and the hierarchy system among the people who are related with the birth and child care in the royal family. We can also see the family structure, the kinship system and the social networks in the royal family in the mid-19th century. I want this study to help us understand the fact that the birth as human behavior is the cultural construction in specific community and so, in order to concretely interpret the behavior, we should be able to go beyond each separate knowledge and thin descriptions into the childbirth system that is whole and integr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