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사회화조건과 사회화동질집단: 사회구조적 관점의 사회화연구에 대한 새로운 고찰

        황석규 한국교육사회학회 2004 교육사회학연구 Vol.14 No.3

        My study on conditions of socialization and sociocultural group of socialization aims to indicate an new alternative try at the class specific form of socialization and the sociostructural form of socialization. Conditions of socialization as the cause of parental consciousness and activities contain objective vertical, horizontal, human and cultural resource of social inequaliti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ditions of socialization and sociocultural group of socialization is not direct homogeneity but indirect heterogeneity. Parental educational activities are not directly determined by conditions of socialization. Conditions of socialization are, however, the basis of the parental consciousness and their communication. Sociocultural group of socialization are defines by typical syndrome of educational values, of parental communication. According to sociocultural group of socialization educational activities are variously differentiated. 사회화조건과 사회화동질집단의 연구는 계층적 그리고 초기 사회구조적 관점의 사회화연구에 대한 발전을 모색하는 새로운 시도이다. 이 시도는 사회계층이 직접적으로 부모의 자녀양육행위를 결정한다는 계층적 관점의 사회화연구를 비판하면서 시작된다. 또한 초기 사회구조적 관점의 사회화연구는 직업경험과 인적자본에 입각하여 부모의 지각적 의식체계형성과 자녀양육행위의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이에 대해 새로운 시도는 부모의 다양한 사회화조건으로 경제, 사회, 문화자본을 고려함과 더불어 자녀양육행위를 매개하는 집단으로서 부모양육의식에 근거한 사회화동질집단을 제시하고, 각각의 상이한 자녀양육행위 형태를 보여줄 수 있음을 지적하고자 한다. 즉 전형적인 3가지 사회화동질집단(개인주의, 가족주의, 전통주의)의 부모들은 자녀양육을 위해 자신들이 지향하는 의식들과 자녀양육행위에 차이를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신입 구성원에 대한 리더의 인식 전환 : 사회화는 지식공유가 핵심

        김효섭(Kim, Hyo Sup),노명화(Roh, Myunghwa) 대한리더십학회 2015 리더십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사회화 과정에서 지식공유의 중요성을 확인하는 연구이다. 즉, 사회화 전략과 조직적응간의 관계를 지식공유가 매개역할 하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사회화 전략은 조직사회화 전략과 개인사회화 전략으로 구분되며, 이러한 조직사회화 전략과 개인사회화 전략은 사람들과의 관계적인 측면과 관련된 사회적 및 대인사회화 전략, 관계적인 측면보다는 조직의 매뉴얼과 같은 비대인 측면을 통한 내용 및 비대인 사회화 전략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람들과의 관계적인 측면과 관련된 사회적 및 대인 사회화 전략은 암묵지 공유를, 반면에 내용 및 비대인 사회화 전략은 형식지 공유를 통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을 통해 조직적응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목적 하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각 사회화 전략이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사회화 전략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각 사회화 전략에 따른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도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형식지와 암묵지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형식지는 비대인 사회화 전략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았으나 암묵지의 경우에는 사람들과의 관계적인 측면과 관련 있는 사회적 사회화 전략과 대인 사회화 전략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 수많은 조직에서 신입구성원들의 사회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그 성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던 이유가 바로 관계적 적응에만 관심을 두고 지식공유과정을 소홀히 여긴 것이라는 점을 확인한 연구이다. 따라서 조직의 리더들은 구성원들의 사회화에 지식공유가 핵심이라는 인식 전환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 sharing between socializa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bureaucratic organizations. Socialization is viewed from two sides; one is the side of people, the other is side of organization itself. This study is focused on strategy of newcomers’adaptation in organization. Also this study concerns about newcomers’ strategies they catch the organizational knowledge, even though many previous research papers have been interested on relational adaptation. After reviewing some literatures, we understand that the people interested in relation prefer tacit knowledge such like know-how, culture etc. And newcomer who does not concern on relations prefers explicit knowledge such as documents, manuals, and regulations of his/her organization. An empirical study has been conducted using data collected from 144 NCOs(Non-Commissioned Officers) in ROKA(Republic of Korea Army), which is typical bureaucratic organization. The Data is collected from the SCC(Special Combat Command) in ROKA. SCC is mainly consists of NCOs and Officers. They are very professionals in military, operating as a team. After joining ROKA, The members of SCC are thoroughly trained in military school and OJT in fields for a long time almost for 1~1.5 year, before conducting mission. That is the reason why 1~3 year members of SCC were selected.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re are mediating effects of knowledge sharing between socializa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Some important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First, knowledge sharing, which has not been used so far in previous studies, has proved to be an important mediation between socializa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Second, socialization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are complementary for knowledge sharing. Third is the importance of sharing tacit knowledge. The result of mediating effects of knowledge sharing means that we have to focus on knowledge sharing as core process of socialization. Fourth, newcomers are very eager to get tacit Knowledge; Understanding organizational culture, task know-how, relations between departments etc, therefore every leader and members support newcomers to get organizational knowledge which can be used in useful socialization tool. Because some organization focused on not knowledge sharing but relation itself as a socialization approach, a lot of socialization have been failed. they neglects the process of knowledge sharing and transfer. Successful adaptation of Newcomers result i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their involvement. Therefore every leader has to focus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at recommends newcomers’characteristic and needs in knowledge sharing, using socialization strategies. Although this study adopts new approach, we have som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and we do not consider several points. we recommend further researchers to handle another group and concern on personal differences.

      • KCI등재

        판례에 나타난 사회화와 교육의 관계 -미연방대법원의 Ambach 판결과 우리 헌법재판소의 검인정교과서 결정을 중심으로-

        김익갑 ( Ik Kap Kim ) 한국법교육학회 2007 법교육연구 Vol.2 No.2

        같은 용어를 다른 개념으로 사용할 때 진정한 의미의 합의나 의견 대립은 불가능하다. 겉으로 합의에 도달한다 하여도 서로 다른 대상에 대한 합의는 진정한 의미의 합의가 아니고, 겉으로 의견이 대립한다 하여도 만일 대상이 같아진다면 합의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사정은 교육 관련 판례에서 특히 그러하다. 왜냐하면 ``교육``의 의미는 자체 완결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화``를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비유하면 사회화는 거푸집이고 교육은 주물이다. 그 때문에 교육 관련 판례를 해석할 때에는 먼저 그 판례가 ``사회화``와 ``교육``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 명확히 이해하여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미연방대법원의 Ambach 판결을 이해하면, 다수의견과 소수의견은 교육의 목적이 정치적 사회화라는 데 합의했지만 다수의견이 말하는 ``정치적 사회화``와 소수의견이 말하는 ``정치적 사회화``는 같은 것이 아니므로 양측 간에 진정한 의미의 합의가 있었다고 말할 수 없다. 반면에 우리 헌법재판소의 검인정 교과서 결정에서 다수의견과 소수의견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정치적 사회화의 정당성에 대해 합의하지 못했지만, 다수의견이 말하는 ``사회화`` - 진행 중인 사회화, ``존재``로서의 사회화 - 와 소수의견이 말하는 ``사회화`` - 이루어져야 할 사회화, ``당위``로서의 사회화 - 는 같은 것이 아니기 때문에 양측 간에 진정한 의미의 불일치가 있었다고 말할 수 없다. Ambach 판결의 경우 다른 대상에 서로 다른 용어를 사용했다면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을 것이고, 검인정 교과서 결정의 경우 같은 대상에 같은 용어를 사용했다면 합의에 도달했을 수도 있다. 교육 관련 판례 속에 담긴 의견 대립을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 먼저 ``사회화``와 ``교육``, 그리고 이 둘 사이의 관계에 대해 개념 정의를 분명히 해야 한다. 그런 이후에야 비로소 다수의견과 소수의견 사이에 진정한 의미의 의견 다툼이 존재하는지 알 수 있고, 용어 사용의 혼란에서 기인한 사이비 다툼은 걸러지고 해소될 것이다. As long as the same word is not used the same way, agreement or dissent among men using the word, if not superficial, cannot be reached. No more an agreement about different things is the agreement in the real sense than a dissent about different things is the dissent. Such is the case typically in the decision on educational cases because the meaning of education is not self-containing, depending on the interpretation of socialization. By analogy socialization is a cast, education a product. Therefore to understand a decision on educational cases we must understand the perspective the decision has on socialization and education. Seen from this standpoint, in the case of Ambach v. Norwick all of the Justices agreed that the aim of education is the political socialization, but the agreement was superficial because the meaning of ``political socialization`` used by the majority was different from the one used by the minority.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89헌마88 Justices disagreed on the legitimacy of the ongoing socialization, but we cannot say that there was the real dissent because the ``socialization`` used by the majority is the one actually happening in the society while the one used by the minority being the one ought to happen. Had different words been used to different things in the case of Ambach v. Norwick, the agreement could not have been reached. Had the same words been used to the same things in the case of 89헌마88, the concurrence of members could have taken place. Not until having been clarified the concept of education, socializ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we could not decide if or not the real conflicts exist and dissolve the disguised problems resulted from the ambiguity of the use of words.

      • 사회초년생의 금융사회화과정에 관한 연구

        한지형(Jihyung Han),최현자(Hyuncha Choe) 한국FP학회 2013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6 No.3

        본 연구는 그동안 소비자학에서 간과되어 온 사회초년생을 연구대상으로 함으로써 생애주기에서 사회초년생 시기의 중요성을 알리고 그들의 행동이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영향요인으로서 금융사회화의 개념을 도입하여 금융사회화 대행변인에 의해 나타나는 사회초년생의 금융사회화과정 수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사회초년생의 금융 사회화과정에 대한 영향 요인을 밝히고 그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사회초년생의 금융사회화가 잘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교육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초년생의 전반적인 금융사회화과정 수준은 중간보다는 약간 낮은 정도였다. 구체적으로는 부모로부터의 금융사회화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뒤를 이어 주변인, 대중매체, 학교 순으로 금융사회화과정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부모와의 상호작용 중에서도 부모로부터의 직접적 학습을 통한 상호작용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초년생의 금융사회화과정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서도 대부분 부모와 관련된 변수들이 상당히 중요하게 나타났다. 즉, 부모의 특성에 해당되는 요인들이 사회초년생의 금융사회화과정에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본인의 특성 중에서는 부모에게 재무적 원조를 제공하거나 받는 행위, 그리고 부모와의 재무적 갈등 정도와 같이 부모와 재무적으로 얼마나 교류를 하는지가 중요한 영향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초년생의 금융사회화과정에 대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영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경우 연령이나 교육수준과 같이 표면적이고 경제적인 능력과 연관이 있는 요인들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어머니의 경우, 가정 내에서의 존재 자체와 자녀와 함께 보낼 수 있는 시간과 관련된 요인들이 금융사회화과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들은 현재 사회초년생의 금융사회화는 부모로부터 학습되는 것이 가장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해주며 부모-자녀사이의 관계가 상당히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보다 금융사회화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금융사회화 대행변인들과의 상호작용을 더욱 활발하게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research attentions for young adult as a significant life cycle stage group by focusing on their financial attitudes and behaviors. Also this study adopted the concept of “Financial Socialization” that have not studied before in Korea and examined the status of young adults’ financial socializing process which is the result of the interact between young adults and financial socialization agents. The othe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nfluencing factors of financial socialization process and examine their influences. The outcomes of this research can provide key information on developing political and educational ways to achieve healthy financial socialization for young adul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atus of overall financial socialization process of young adults was lower than the middle score. Specifically, the most significant financial socialization agent for young adults was their parents followed by peers, mass media and schools. In addition, direct education that was obtained from young adults and parents interaction had the strongest influences. Second, most influential factors of young adults’ financial socialization process were related to the parents" characteristics. It means that the factors from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s heavily influenced the young adults" financial socialization.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adults, the factors which are related to the interaction with parents such as financial aids and conflict with parents were significant. Third, the types of influences was different between mother and father. The influencing factors from father was related to objective and socio-economic status factors such as age and educational level. On the other hand, the influence factors from mother was related to subjective factors such as time spent with their children. These results show the importance of education from parents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It also implies that the interactions with financial socialization agents for young adults are necessary for healthy financial socialization.

      • KCI등재

        디지털 소비자사회화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세대 비교를 중심으로

        전상민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3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9 No.2

        This study establishes a digital consumer socialization model by identifying the major socialization agents and mechanism, and by exploring the main forms and process of digital consumer socialization. To compare generational differences, we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 once per each generation such as baby boomers, Generation X, Y, and Z. The respondents consist of 29 women aged 21 to 64 that have experienced digital consumption more than once a month. Their responses were summarized and interpreted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The digital consumer socialization agents include an online search platform, social media, and business homepage through which consumers socialize by themselves, and family, influencers, acquaintances, and employees of customer service center or offline stores that consumers with interact through observation and compliance. Otherwis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ass media, school, and government agencies was not active in all generations. The online search platform was the most active agent in all generations, while baby boomers were relatively more active in interacting with family(children), Generation X with acquaintances and businesses, and Generations Y and Z with influencers/social media. The distinctive forms of digital consumer socialization include bench-marking, self, reciprocal, and dependent socialization, among which self-socialization was the principal form in all generations. The schematized model of digital consumer socialization illustrates the process that starts from bench-marking to reciprocal or dependent socialization based on self-socialization. After that, if consumers were satisfied with the socialization, the corresponding form of socialization was fixed, and conversely, if they were dissatisfied or gave up further socialization, the socialization was stopp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d basic data to develop generation-specific policy and educational plans for effective digital consumer socializ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세대별 디지털 소비자사회화의 주 작용인과 작용방식을 파악하고, 디지털 소비자사회화의 주요 형태와 진행 단계를 탐색하여 디지털 소비자사회화 모델을 정립하는 것이다. 베이비붐세대와 X세대, Y세대, Z세대의 디지털 소비자사회화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표적집단면접을 세대별 1회씩, 총 4회 수행하여 월 1회 이상 디지털 소비 경험이 있는 수도권 거주 만 21세∼64세 여성 29명의 응답자료를 현상학적 분석법으로 정리․해석하였다. 디지털 소비자사회화의 작용인은 혼자 힘으로 사회화하는 온라인 검색 플랫폼과 SNS, 사업자 홈페이지가 있고, 관찰과 순응 등 상호작용하는 가족과 인플루언서, 주변 지인, 사업자 콜센터/매장직원 등으로 나타났다. 이외, 대중매체와 학교, 정부기관과의 상호작용은 전 세대에서 활발하지 않았다. 모든 세대에서 온라인 검색 플랫폼을 통한 사회화가 가장 활발하였고, 상대적으로 베이비붐세대는 가족(자녀), X세대는 주변 지인과 사업자, Y세대와 Z세대는 인플루언서/SNS와의 상호작용이 더 활발하였다. 디지털 소비자사회화의 특징적 형태는 벤치마킹 사회화와 자기 사회화, 호혜적 사회화, 의존적 사회화 등으로 나타났고, 이 중에서 자기 사회화가 모든 세대에서 가장 주된 사회화 형태였다. 이러한 사회화 형태의 진행 단계를 디지털 소비자사회화 모델로 도식화하면, 벤치마킹 사회화를 시작으로, 자기 사회화가 중심이 되어 호혜적 사회화와 의존 사회화로 이어졌고, 이후, 사회화에 만족하면, 해당 유형의 사회화가 고착되었고, 반대로 불만족하거나 추가적인 사회화를 포기하면, 사회화가 중단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효과적인 디지털 소비자사회화를 위한 세대별 맞춤형 정책․교육적 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무용참여 확대를 위한 무용 사회화 연구의 방법과 방향

        김영미(Young Mee Kim) 한국무용과학회 2010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1 No.-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무용인이 줄고 있는 현실에서 무용인구의 확대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현 무용 사회화 연구 경향을 파악하여 미래의 연구 방향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을 통해 무용사회화의 개념과 유형, 무용 사회화를 설명하기 위한 이론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 살펴보고, 현 무용 사회화의 연구 방법과 연구 경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무용 참여 확대 방안을 위한 무용 사회화 연구의 방향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우선 많은 사람들의 무용 참여가 일차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무용으로의 사회화는 무용에 대한 개입이 진전됨에 따라 일어나게 되므로 무용 개입으로의 확대를 위한 개입의 요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무용으로의 참여를 방해하고, 무용으로의 중도탈락을 이끄는 다양한 변인들을 탐색하는 연구들이 양적, 질적 접근 방법을 통해 연구되어야 한다. 셋째, 무용을 통해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인 교육의 목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생활예술무용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하다. 넷째, 무용으로부터 탈사회화와 재사회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현재 무용사회화 분야에서 사용하는 연구 방법과 이론은 인접학문인 스포츠 사회학 분야의 개념과 이론, 그리고 방법론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무용 사회화의 체계적인 지식체를 축적하고, 학문적 적합성을 제고하여 무용의 사회화 과정과 전반적인 무용 현상을 분석하기에 적합한 고유한 연구 방법과 이론을 확립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of researches related to dance socialization for the improvement of participation in dance. For the purpose, the concepts, types, and theories of dance socialization were fully reviewed, and then the actual conditions and trends of researches related to dance socialization were systematically analyzed. Proposals on the research direction of dance socialization for the improvement of participation in dance were suggested such as followings: first, researches which focus on intervention factors of dance are primarily necessary, because intervention of dance causes socialization into dance. second, researches on various variables of drop-out and prevention of dance activities should be carried out wi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third, efforts to develop various dance programs for maximizing the educational goals including physical, cognitive, and emotional effects are urgent. fourth, researches on drop-out and re-socialization of dance are necessary. fifth, unique research methods and theories which are appropriate to socialization and other phenomenon in dance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accumulating body of knowledge and enhancing academic valuation of dance.

      • KCI등재

        노인복지시설의 사회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병록(Byoung-Rock Lee) 한국노년학회 2004 한국노년학 Vol.24 No.3

        본 연구는 여러 가지 문제점 때문에 사회복지시설이 논의에서 제외되고 있으며, 지역사회복지의 자원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것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진행되었다. 이러한 경향에 대한 비판적 논거로서 1970년대 이후부터 최근까지 논의와 실천이 이루어져 온 일본의 시설사회화를 제시하였다. 시설사회화에 기초하여 현재 국내에서도 지역사회교류를 중심으로 하여 진행되고 있는 시설사회화의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노인복지시설 전체를 조사하였고, 조사방식은 우편 조사를 선택하였다. 수집된 조사표는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설운영자의 의식 변인은 운영의 사회화, 문제의 사회화, 공적 행정과의 연계, 전체 시설사회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력 변인 중 시설직원수는 운영의 사회화와 문제의 사회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사 비율은 문제의 사회화와 전체 시설사회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사회화 담당직원수는 처우의 사회화, 기능의 사회화, 문제의 사회화, 전체 시설사회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특성 변인 중 비용별 시설종류는 처우의 사회화, 운영의 사회화, 문제의 사회화, 공적 행정과의 연계, 전체 시설사회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별 시설종류는 처우의 사회화와 공적 행정과의 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생활자의 정신적 건강수준은 처우의 사회화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설비의 양은 모든 시설사회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참가의 수준 또한 시설사회화의 모든 범주에 대해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main purpose of study is to find factors affecting the socialization of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elderly. The research objects are all the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elderly. Research method is quantitative approach by question research. Question investigation was accomplished by mail research. Analysis approach is frequency, cronbach's alpha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 is as follows : 1) The socialization of treatment factor was affected in the order of the level of residents participation, the institution kind by charge, the institution kind by function, the psychiatric health level of the elderly in institution, the step number charging the socialization of institutions and the number of institution equipments. 2) The socialization of function factor was affected in the order of the number of institution equipments, the level of residents participation and the step number charging the socialization of institutions. 3) The socialization of operation factor was affected in the order of the level of residents participation, the institution kind by charge, the step number charging the socialization of institutions, the number of institution equipments and the consciousness of operaters. 4) The socialization of problem factor was affected in the order of the level of residents participation, the institution kind by charge, the ratio of social workers, the number of institution equipments, the number of step, the consciousness of operaters and the step number charging the socialization of institutions. 5) The connection with public administration factor was affected in the order of the level of residents participation, the institution kind by charge, the consciousness of operaters, the institution kind by function and the number of institution equipments. 6) The general socialization of welfare institutions was affected in the order of the level of residents participation, the institution kind by charge, the ratio of social worker, the step number charging the socialization of institutions and the consciousness of operaters. Consequently, this study shows that the level of residents participation, the number of institution equipments and the consciousness of operaters influence greatly the socialization of welfare institutions. Accordingly, we can indicate that welfare institutions must make efforts and the government must support taking precedence of these sides.

      • KCI등재

        목표지향성이 신입사원의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사회화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민수,전희선,이은혜,신유형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2 No.2

        최근 조직사회화 분야의 연구는 신입사원을 조직 적응 과정에서 사회화전략을 능동적으로 구사하는 주체로 인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사회화의 개념과 중요성을 고찰하였으며, 사회화 전략으로 능동적 행위와 인상관리의 중요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목표지향성, 사회화전략, 조직사회화간의 매개모형을 설정하였으며, 이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총 11개 조직의 신입사원 184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구조방정식모델링(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신입사원의 사회화 전략은 조직사회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입사원의 목표지향성은 사회화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표지향성과 조직사회화에 대한 사회화전략의 매개효과의 여부를 살펴보기 위해서 Sobel 검증을 실시한 결과, 능동적 행위는 학습목표지향성과 조직사회화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극적 인상관리 역시 성과접근목표지향성과 조직사회화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방어적 인상관리는 성과회피목표지향성과 조직사회화 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탈북 청소년의 사회화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사회과교육에의 함의

        이정우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6 사회과교육 Vol.45 No.1

        A Study on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socialization process: implication on social studies education Lee Jungwoo(Lecturer of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socialization process of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have undergone three-phases of socialization; "Double-Socialization'' in North Korea, "Pre-Socialization" in China and ``Resocialization" in Korea. The first Double-socialization indicates the North Koreas' possible dual socialization processes with one adaptable to the nation's authoritarian system and the capitalistic other to survive the crumbling economy. And the Pre-Socialization in China means that the North Korean adolescents, after crossing the border, could internalize new values in the more capitalistic society. Finally, the hypothesis on Resocialization in Korea suggests the Northerners could bear antipathy toward the North Korean society after coming over to South Korea, which in turn led to empathy and expectation to their new society. Whichever hypothesis you may take, it is certain that the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do not have as different social consciousness with their South Korean peers as is generally believed. The finding suggests that South Korean society refrain from exaggerating the presumed differences or overemphasizing the superiority of South Korean society to its Northern side. 이 연구는 탈북 청소년의 사회화 과정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탈북 청소년의 남한 사회 적응과 통일 이후 남북 청소년을 위한 사회과 교육의 과제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탈북 청소년은 남한 사회에 정착하기까지 세 단계의 사회화 과정을 거친다고 할 수 있다. 연구자는 이를 ‘북한에서의 이중적 사회화’, ‘중국에서의 예비사회화’, ‘남한에서의 재사회화’로 명명하였다. ‘이중적 사회화’는 탈북 청소년이 이미 북한에서부터 자본주의적 가치를 내면화했을 가능성을, ‘예비사회화’는 중국에서 자본주의 사회의 작동원리를 학습했을 가능성을, ‘재사회화’는 남한사회에서 북한에서와 다른 새로운 가치를 습득했을 가능성을 의미한다. 즉, 북한에서 이중적으로 사회화된 탈북 청소년들이 중국에서 자본주의적 충격을 완화하는 예비 사회화를 거쳐서 전혀 새로운 남한 사회에서 재사회화되었다고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탈북 청소년 및 통일을 대비한 사회과 교육이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첫째, 탈북 청소년은 남한 청소년과 완전히 다른 사고방식을 지닌 존재가 아니라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탈북 청소년이 남한 사회에 성공적으로 적응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남북 사회에 대한 객관적 시각을 획득하도록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통일을 대비한 사회과 교육은 통일 이후 남북 청소년이 급격한 가치의 단절을 경험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