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가치실현을 위한 입법적 과제

        최철호 한국비교공법학회 2019 공법학연구 Vol.20 No.1

        The general law based on social values has not yet been enacted in our country. To legislate to realize social values, it would be difficult to define them in a uniform way, since social values would differ between generations, social classes (capitalists and workers), regions and men and women. There are various discussions on how to define social values legally and realize them in what procedures or methods, and the universal definition of social values means values tha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ublic interests and communities in all areas, including society, economy, environment, and culture. The "Basic Bill on Realizing Social Value" pending in the National Assembly is in line with defining social values as 'value tha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public interest and community in all areas, including society, economy, environment and culture.' From a constitutional point of view, it is accessible from the aspects of human rights, security, labor rights, social integration, and decentralization, and in particular, social weak protection, social integration, co-prosperity and cooperation between large and small businesses, job creation (such as non-regularities and minimum wage), revitalization of localities and restoration of communities,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multiculturalism. In other words, it can also be defined that the social value that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the public interest and the community is to strengthen the public after all. In this paper, the legal basis for the enactment of the Basic Law or the General Law, which realizes social values such as the ideal. 우리나라에서는 사회적 가치를 법리적인 기반으로 하는 일반법은 아직 제정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입법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사회적 가치를 법적 개념으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한데 사회적 가치란 세대, 사회적 계급(자본가와 노동자), 지역, 남녀 사이에 인식하는 범위나 유형이 다를 것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정의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사회적 가치를 어떻게 법적으로 정의하고 이를 어떠한 절차나 방법으로 실현할 것인가 하는 것에 관해서는 논의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사회적 가치를 보편적으로 정의한다면 사회·경제·환경·문화 등 모든 영역에서 공공의 이익과 공동체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가치를 뜻한다고 할 수 있다. 현재 국회에 계류중인 “공공기관의 사회적 가치 실현에 관한 기본법안(일명 사회적가치실현법안)”은 사회적 가치를 ‘사회․경제․환경․문화 등 모든 영역에서 공공의 이익과 공동체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가치’로 정의하고 있는 것과 맥락을 같이 한다. 이를 헌법적 관점에서 본다면 인권보장, 안전보장, 노동권 보장, 사회통합, 지방분권 등의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사회적 약자 보호, 사회통합,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상생과 협력, 일자리 창출(비정규직 문제와 최저임금제 등), 지방의 활성화와 공동체 복원,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환경보호, 다문화 등이 ‘사회적 가치’의 법적 정의에 포섭된다고 하겠다. 즉 공공의 이익과 공동체의 발전에 기여하는 사회적 가치는 결국 공공성을 강화하는 것이라고도 정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외국의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법제를 고찰하였는데 영국의 사회적 가치법과 EU의 공공조달지침을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사회적 가치와 관련한 법제에 시사점을 얻을려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내용을 통해서 도출한 결론으로서 우리나라에서 사회적 가치들을 실현하는 기본법 내지 일반법의 제정을 위한 법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사회적기업 근로자의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에 대한 태도

        김은희(Eun-Hee Kim),이용재(Yong-Jae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5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이 추구하는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에 대한 근로자들의 인식을 확인하여 사회적기업 종사자 교육을 위한 함의를 제공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 근로자들의 절반 이상이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모두 동일하게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기업의 사회적 가치의 실현의 책임에 대해서는 종사자 보다는 경영자 책임을 다소 높게 보고 있었으며, 사회적기업 외부에 대한 사회적 가치를 기업 내부와 구성원을 위한 가치 보다 우선적으로 추구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목표설정 노력은 부족하였다. 둘째, 사회적기업 근로자들은 대체로 경제적 가치에 대하여 높은 인식을 가지고 있었고, 경제적 가치의 실현을 위해서는 종사자 보다 경영자의 책임과 노력이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근로자의 연령이 높을수록 경제적 가치 보다 사회적 가치의 중요성을 높게 평가하고 경영자 책임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근로자의 근무경력이 적을수록 사회적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고 경영자의 책임을 중요시하고 있었다. 영리기업 근로자들이 상대적으로 경제적 가치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는 반면에 비영리기업 근로자들은 사회적 가치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향후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근로자들이 균형있게 인식할 수 있는 교육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사회적기업의 가치측정을 위한 표준화된 척도를 개발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mployees perception of social and economic values that social enterprises pursue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training of social enterprise worker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re than half of the social enterprise workers recognized that economic value and social value were equally important. In addition, the responsibilities of realizing corporate social values were somewhat higher than those of employees. The social value of the social enterprise should be pursued in preference to the value for the company and its members. However, efforts to set goals for the social value of social enterprises were lacking. Second, social enterprise workers generally had a high perception of economic value and recognized that the responsibility and effort of management was more important than the employees in order to realize economic value. Third, the higher the age of workers, the higher the importance of social value than economic value, emphasized the responsibility of the manager, and the less the work experience, the more important is the social value and the managers responsibility. While commercial enterprise workers are high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economic value, non-profit enterprise workers are high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social value.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provide an educational support program that allows workers to recognize the social and economic value of social enterprises in a balanced manner. Efforts are needed to develop, monitor and monitor standardized measures for measuring the value of social enterprises.

      • KCI등재

        사회적가치 요소로서의 환경의 지속가능성

        최유경 한국환경법학회 2019 環境法 硏究 Vol.41 No.2

        This article focuses on how we deal with the ‘environment’ in perspective of ‘creating social value (CSV)’ and/or ‘social value’, despite it had been mainly discussed a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r ‘social enterprise’ so far. The concept of ‘social value’ is emerging as a new paradigm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r social enterprise for solving these social problems. This terminology has been recently highlighted as a measure to overcome limitations of Capitalism what even allows environmental pollution or environmental destruction only if it can be converted into money. This article analyzes ‘social value’ different from CSR or social enterprises based on the three respects. First, unlike the approach of CSR, which donates or returns part of the company’s surplus, social value leads to creating another value by more aggressively solving social, especially environmental, problems. Second, while we assume it impossible to expect automatic resolving of environmental problems by social enterprises, social value discourse can generate a new dimension of re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through pursuing it in the public sector by law. Third, we can expect stronger effects where diagnosis and solutions are required from the long-term and macroscopic point of view, such as establishment of environmental policy, bio-diversity of life, climate change, resource depletion, etc. The author, however, stresses the necessity to develop reasonable evaluation criteria and methodology to measure and quantify various social value elements. In particular,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t is prerequisite to demonstrate how the non-compliance of environmental regulation or sanctions will be incorporated in the current environmental law system. 이 글은 사회문제로서의 ‘환경’을 다루는데 있어서 전통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과 사회적 기업(social enterprise)을 통한 노력이 있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공유가치의 창출(CSV) 및 사회적가치(social value), 나아가 사회 혁신 등으로 분화되는 과정에 주목하고 있다. 사회적가치란,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나 사회적 기업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한 개념으로 자본주의가 ‘시장’에서 ‘화폐가치로 환산될 수만 있다면’ 도덕적 한계를 초월한 환경오염이나 환경 파괴마저 거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작동시키면서 사회 문제를 극복해 가도록 시장 생태계를 근본적으로 전환하고, 다양한 경제 주체들이 자연환경과 사회환경 속에서 조화로운 관계를 정립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개념이라 할 수 있다. 필자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나 사회적 기업과 사회적가치의 패러다임은 세 가지 측면에서 다르다고 설명한다. 첫째, 기업의 잉여 중 일부를 기부하거나 환원하는 사회적 책임(CSR)의 접근과 달리, 사회적가치는 환경 문제를 보다 적극적으로 해결함으로서 또 다른 가치를 창출하도록 유도한다. 둘째, 환경문제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적 기업의 자연적인 발생적인 문제 해결의 효과를 기대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반면, 공공기관을 시작으로 사회적가치 창출을 환경문제 해결의 새로운 장(場)으로 활용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셋째, 환경정책의 수립이나 생명의 종 다양성, 기후변화, 자원의 고갈 등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에서의 진단과 해결 방안이 요구되는 영역에서 보다 강력한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서로 다른 다양한 사회적가치 요소를 측정하고 계량화하는 합리적인 평가기준과 방법의 개발을 요구한다. 특히 환경의 지속가능성 보전과 관련하여서는 각종의 환경 규제 이행(또는 불이행), 위반(또는 제재)의 효과를 사회적가치 평가에 있어서 어떤 방식으로 산입할 것인지 여부도 실증적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사회적 가치지향성과 해석수준에 따른 기부가능성

        김선미,최민철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1 경영컨설팅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개인의 사회적 가치지향성에 따른 해석수준이 기부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해석수준은 메시지 해석수준, 시간적 거리감, 사회적 거리감을 적용하였다. 총 3개의 실험을 진행하였고 시나리오 기법을 이용하였으며 분석방법에는 t-test, ANOVA가 사용되었다. 실험 1은 사회적 가치지향성에 따른 메시지 해석수준과 기부가능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가치 중심성향의 사람들은 기부에 대한 메시지가 상위수준으로 제시되는 경우가 기부가능성이 더 높았으며, 개인적 가치 중심성향의 사람들은 하위수준으로 제시되는 경우가 기 부가능성이 더 높았다. 실험 2는 사회적 가치지향성에 따른 시간적 거리감과 기부가능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가치 중심성향의 사람들은 기부에 대 한 시간적 거리감이 먼 경우가 기부가능성이 더 높았으며, 개인적 가치 중심성향의 사람들은 시간적 거리감이 가까운 경우가 기부가능성이 더 높았다. 실험 3은 사회적 가치지향성에 따른 사회적 거리감과 기부가능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가치 중심성향의 사람들은 기부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먼 경우가 기부가능성이 높았으며, 개인적 가치 중심성향의 사람들은 사회적 거리감이 가까운 경우가 기부가능성이 더 높았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impact of construal level on the possibility of donation according to an individual's social value orientation. For construal level, criteria such as message construal level, temporal distances, and social distances were applied. A total of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scenario techniques were used; and t-test and ANOVAwere used as analysismethods. Experiment 1 analyzed the message construal level according to social value orientation and the possibility of donation. As a result, people with social value–centered orientation were more likely to donate when messages about donation were presented at a higher level, while peoplewith personal value–centered orientationweremore likely to donatewhenmessages were presented at a lower level. Experiment 2 examined temporal distances according to social value orientation and the possibility of donation. As a result, people with social value–centered orientation were more likely to donate when the temporal distances for donation were greater, while people with personal value–centered orientationweremore likely to donatewhen the temporal distances were closer. Experiment 3 looked at social distances according to social value orientation and the possibility of donation. As a result, people with social value–centered orientation weremore likely to donatewhen the social distances for donationwere greater, while thosewith personal value– centered orientationweremore likely to donatewhen the social distances were closer.

      • KCI등재

        무엇을 위한 사회적기업인가

        조용현(趙庸賢),장지호(張志豪) 한국국정관리학회 2013 현대사회와 행정 Vol.23 No.1

        사회적기업은 사회적 약자에게 고용기회를 확대하고, 사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역할로서 국내는 물론 세계 주요 국가들에서 그 영향력이 확대되어져 가고 있다. 하지만 사회적기업의 운영과 육성에 있어서 경제적가치와 사회적가치 중 어느 가치에 우선을 두느냐에 따라 운영에 있어서의 차이를 지닌다. 이에 본연구는 시민사회 및 공공정책의 맥락 속에서 국내의 사회적기업이 어떻게 형성되어 왔는지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사회적기업이 형성되어온 다양한 환경적 요소를 검토함으로서, 사회적기업이 가지고 있는 상이한 두 가치를 어떤 방식으로 수행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1990년대 이후부터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된 한국의 사회적기업은 정부주도에 의해 형성되어졌으며,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일자리창출로서의 방안으로 제시되어진다. 하지만 각 정부별로 정책환경과 방향에 따라 사회적가치인가, 경제적가치인가에 따라 서로 상이하게 접근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국가공기업과 지방공기업의 사회적 가치 제고 전략 및 동형성 연구: 경영평가지표를 중심으로

        임효창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0 경영컨설팅연구 Vol.20 No.4

        Companies today have more interest in social values. Companies have long been interested in ethical management and social responsibility. However, the challenging environment facing companies demands more active social contributions from them. Recently, companies have begun to realize that companies pursuing social values and social impact can achieve sustainable management. Public corporations should carry out more social values than private companies. In order to induce public corporations to implement their social values, the government is measuring social value indicators as indicators of management evaluation. This study seeks to compare the social value indicators of the national public enterprise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with the social indicators of the local public enterprise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Based on the theory of neo-institutionalism, this study analyzes the indicators that measure social value to identify the homomorphism and heterogeneity between the two management evaluation systems. In addition, since each public corporation have different conditions for pursuing social values, I would like to propose strategies for implementing social values based on strategic types (leading, corresponding, and following strategie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re is some degree of homogeneity between the social value index of the national public enterprise management evaluation and the social value index of the local public enterprise management evalu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a contextual social value implementation strategy is needed,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enterprises. 기업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기업들은 오래 전부터 윤리경영과 사회적 책임에 관심을 가져왔다. 최근 기업들은 사회적 가치와 소셜 임팩트를 추구하는 기업이 지속가능경영을 달성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기 시작했다. 하지만 기업이 직면하고 있는 도전적인 환경은 기업에게 보다 적극적인 사회적 기여와 사회적 가치 추구를 요구하고 있다. 공기업은 민간기업에 비해 사회적 가치와 공공성을 더욱 실행해야 한다. 공기업의 사회적 가치 실행을 유도하기 위하여 정부는 경영평가 체계에 사회적 가치 지표를 포함하여 측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가공기업 경영평가 체계의 사회적 가치 지표와 지방공기업 경영평가 체계의 사회적 가치 지표를 비교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신제도주의 이론을 토대로 두 개의 경영평가 체계간 동형성과 이형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는 지표들을 분석한다. 아울러 개별 공기업마다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위한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전략유형(선도전략, 동행전략, 후행전략)에 따른 사회적 가치 구현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국가공기업 경영평가의 사회적 가치 지표와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의 사회적 가치 지표간 동형성이 어느정도 존재하며, 공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황적합적인 사회적 가치 구현 전략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사회적기업의 가치에 대한 인식과 자기해석 성향이 제품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명애(Kang, Myong-Ae) 한국창업학회 2017 한국창업학회지 Vol.12 No.3

        선행연구에서는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관심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개인적 가치를 비롯한 다양한 가치에 대한 고려가 다소 부족하고, 사회적기업 제품의 구매행동을 설명하기 위한 사회적 가치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일부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기업에 대한 가치 인식 범위를 사회적 가치와 개인적 가치로 확대하고, 이들 가치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제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관계에서 소비자의 심리적 특성 변수인 자기해석(self-construals, 독립적 vs. 상호의존적) 변수의 차별적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설문지를 이용한 온라인 조사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258부의 표본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사회적기업 제품에 대한 가치 인식은 친환경 가치를 제외한 품질 기능적 가치, 가격 기능적 가치, 정서적 가치, 사회적 자아 가치, 친사회 가치의 5개 세부 가치에 있어서 소비자의 자기해석 유형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호의존적 자기해석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다음으로 자기해석 유형별로 구매의도에 대한 사회적기업의 세부 가치의 영향 력을 살펴보았는데, 독립적 자기해석 집단의 경우 개인적 가치인 품질 기능적 가치와 사회적 자아 가치, 가격 기능적 가치가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가운데 품질 기능적 가치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상호의존적 자기해석 집단에서는 사회적 가치인 친사회 가치와 친환경 가치가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개인적 가치 중에서는 품질 기능적 가치만이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이 가운데 친사회 가치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가치를 사회적 가치뿐만 아니라 개인적 가치까지 포괄하 고, 소비자의 심리적 특성 변수인 자기해석 변수를 모형에 포함시켜 해석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사회적기업 제품에 대한 긍정적 소비자 행동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품질 기능적 가치 제공이 중요하며, 그 토대위에 소비자의 심리적 특성을 고려한 차별적 마케팅 접근이 필요함을 제언하고 있다 Social enterprises have been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for resolving not only social but also economic problems in now days. There has been mainly focused on their social values in the studies for social enterprises. But, there have some mixed reports about the relationship of perception on social values and purchase in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fferent effects of value types and moderating effect of self-construals on purchase intention. With adopting an integrative approach to the effect of consumer s value perception on purchase intention and also including self-construals into research model, this paper extends research on marketing strategies of social enterprises. According to empirical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paper can give some practical implication for social entrepreneurs. The survey data were from 258 respondents, who belong to independent or interdependent self-construals group. The findings are following; Firs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s group were found in quality functional value, price functional value, psychological value, social-ego value, pro-social value of social enterprises. Second, quality and price functional value and social-ego value are detected as positive factors for purchase intention and quality functional value is the most effective in independent self-construals group. Third, in interdependent self-construals group, quality functional and social value(pro-environmental and pro-social) are detected as positive factors for purchase intention and pro-social value is the most effective also.

      • KCI등재

        사회적 가치 일치성이 사회적 기업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사회적 가치 일치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은정,김수현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4 No.1

        One of the common things found in recent studies about social enterprises is their focus on social value in social enterprises. However, in recent studies of social enterprises from a marketing perspective, there have been some mixed reports about the impact of social values on attitudes and behaviors related to purchases. This study holds the view that this difference is caused by the dependence of sub-social values on social enterprises, and their mediating effect on social value congruence.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firs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perceived social value perceptions about social enterprises and consumers’ obtained social values; second, is to understand whether this social value congruence affect positive attitudes toward social enterprises and purchase intentions; lastly to provide managerial implications to social enterprise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authors divided the social values of social enterprises into four types: (1) environment-friendly; (2) local community-oriented; (3) employees' welfare; and (4) social responsibility.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authors developed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which test a dynamic relationship showing each sub-value of the social enterprises’ values affect the positive attitudes toward social enterprises and the purchase intention mediating by the value congruenc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social perceptions for three of the sub-constructs- ‘environment-friendly’, ‘employees’ ‘welfare’, and ‘social responsibility’-positively affected the value congruence, whereas ‘local community oriented’ did not. The value congruence affected positive attitudes toward social enterprises, and, subsequently, purchase intentions. The value congruence also indirectly affected purchase intentions through its effect on positive attitudes. T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value congruence on purchase intention has been confirmed. Finally, the research results are discussed in comparison with previous studies. Based on these results, some managerial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are suggested in this study. 사회적 기업 관련 연구의 공통된 특징을 살펴보면 사회적 기업이 지닌 사회적 가치에 주목했다는 점이다. 그러나 최근 마케팅관점의 사회적 기업에 대한 연구들에서는, 사회적 가치가 구매 태도 및 행동 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일부 상반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기업의 차별적인 세부 사회적 가치에 따른 영향인 것으로 보이며, 개인의 사회적 가치 일치성의 매개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목적을 가지고 진행하였다. 첫째,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사회적 기업의 가치가 사회적 기업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궁극적으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했다. 둘째, 사회적 가치 일치성의 사회적 가치와 기업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간의 매개효과가 여부를 파악하고, 셋째, 사회적 기업의 활성화를 위한 소비자 관점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기 위함이었다.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의 가치를 환경 친화(environment-friendly), 지역사회 공생(local community-oriented), 종업원 복지(employees’ welfare), 사회 공헌(social responsibility), 4개의 사회적 기업의 세부가치가 사회적 가치 일치성을 매개로 하여 기업에 긍정적인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역학관계를 연구 모델로 수립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연구를 위해 사회적 기업에 대한 인지가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하였고, 수집한 총 481명의 샘플이 본 분석에 사용되었다. 가설 검증 결과, ‘지역사회 공생’의 사회적 기업의 가치를 제외한, ‘환경 친화,’ ‘종업원 복지,’ ‘사회 공헌’의 세 개의 가치들이 사회적 기업과 소비자간 가치 일치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가치 일치성은 사회적 기업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안모델들을 개발하여 본 연구모형과 비교한 결과, 사회적 가치 일치성이 매개변수로 사회적 기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에 영향을 미쳐서 간접적으로 구매의도에도 영향을 미침을 확증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함께 사회적 기업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 및 향후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건설산업에서 사회적 가치 실현의 구성요소 - 해외 선진사례를 중심으로 -

        윤인환 대한경영정보학회 2021 경영과 정보연구 Vol.40 No.3

        사회적 가치(Social Value)는 공공부문의 정책 수립과 사업 수행의 중요기준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기업 들 역시 전통적인 사회 공헌 활동과 함께 경제적 가치에 사회적 가치를 더한 사업영역으로 새로운 성장전 략을 모색하고 있다. 사회적 가치 실현주체들이 속한 산업들 중 건설산업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기간산업 중 하나로 근대화의 기반을 구축하였고, 일자리 창출, 공공투자, 지역균형발전, 삶의 질 개선 등의 다양한 사회적 가치 활동들이 수행되고 있다. 또한 공공발주기관, 건설사들은 자신의 사업영역에서 사회적 가치 활 동에 앞장서고 있음에도, 아직 학계에서는 건설산업 분야에서의 사회적 가치에 관한 사례연구나 이론적 체 계를 정립하는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사회적 가치 관련 연구 분야에서 연구자가 특정 이론에 의존하는 한계점을 극복하고, 향후 실 증연구 수행을 위한 이론적 체계를 통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개별 이론에서 제시하는 사회적 가 치 실현의 방향성과 사회적 가치 기본법(안)에서 제시하는 사회적 가치 실현의 구성요소들을 내용분석을 통하여 도출하였으며, 이를 글로벌 스탠더드와 상세 비교하였다. 내용분석의 결과들을 정제하기 위해 해외 건설산업의 선진사례를 대상으로 다중사례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패턴매칭 기법(Pattern-matching Logic)을 활용하여 이론적인 패턴과 사례연구를 통해 관찰된 패턴들을 매칭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 가치 기본법(안)에서 제시하는 인권보호를 비롯한 13개의 구성요소는 윤리적, 안전‧환 경적, 경제적, 사회적 측면으로 분류할 수 있고, 환경보전, 지역경제 공헌, 일자리 창출, 사회적 책임 등이 건설산업에서 대표적인 사회적 가치 실현의 구성요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해외 선진사례에서는 노동권 보 호, 공동체 복원 등과 같이 건설사업과 간접적인 영역에서 다양한 사회적 가치 실현 활동이 수행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건설산업에서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수행주체들에게 사회적 가치의 범주와 사회적 가치 실현의 필수요인들에 대한 이해를 확대시켜줄 뿐만 아니라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이론 적 접근과 연구 방법론은 비단 건설산업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산업에서 현실적이고 전략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Social value has adopted to a principal criterion for establishing governmental policy and conducting the business of public sector. Additionally, companies have found a growth strategy in the business area, which is added a social value, with traditional social contribution. As a key industry in Korea,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modernization, and various social value activities, which are job creation, public investment,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improvement the quality of life, and so on, are carried out in this industry. This research examines the advanced cases of foreign construction industry to propose the direction and components for realizing a social value, based on theories, laws, and institutions, and compares with global standards on social value. The results show that 13 components including protection of human right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ethical, safe-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categories,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contributions to local economy, job creation, and social responsibility are the representative components for realizing a social valu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results emphasize that various social value activities, such as protection the right to work and reconstruction community, are carried out in the indirect area with foreign construction business. Furthermore, this paper sugges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a strategic guidance for other industries as well as the construction industry.

      • KCI등재

        사회적 가치경영기업의 세무보고전략과 기업가치에 있어 최고경영자교체효과에 관한 연구

        윤민,최미화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9 경영컨설팅연구 Vol.19 No.4

        Considering the increasing interest in social value management of the firm to secure sustainable growth of national econom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benefit and cost of social value management by combining the agency theory using the firm level panel data. In the pursuit of this purpose, this paper provides the meditating effects of CEO turnover on relationship between tax aggressiveness and firm value of social value management performance. We perform our empirical static and panel data analyses using social value management performance scores form the Korea Economic Justice Institute(KEJI) and ESG grade. Based on tests utilizing the panel data accrued during the period of six years. The sample contains 498 firm-years listed in Korean stock market between 2011 and 2016. We find that socially responsible firms, which potentially have more non-tax cost, avoid less tax relative to socially irresponsible firms. Also when firms engage in tax aggressiveness activities, the stock market reacts unfavorably. However, social value management performance mitigates this negative effect of tax aggressiveness on firm value. Also, these findings while subject to the limitations inherent in the use of specific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measures, provide mixed support for the business case for social value management performance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s that social value management performance is the important non-tax cost firms consider to decide firm's optimal tax avoidance level. Second, this study shows that management's tax savings efforts can receive a favorable evaluation from the stock market if they are backed by social value management performance. 본 연구는 사회적 가치경영을 이행하는 기업의 세무보고공격성과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에 있어 최고경영자의 교체가 차별적인 영향력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각 주제들의 인과관계를 주로 다루는 기존의 연구방향과는 달리, 사회적 책임활동과 관련되는 것으로 보고되어온 공격적 세무보고성향, 기업가치 등의 주제와 최고경영자 교체라는 요인을 추가하는 메커니즘으로, 사회적 가치경영전략을 이행하는 기업의 가치평가에 있어 최고경영자교체를 통한 차이가 있는지를 다루어 보고자 한다.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들의 연구방향과는 다음과 같이 차별화 하였다. 사회적 가치경영과 최고경영자교체, 사회적 가치경영과 공격적 세무보고, 사회적 가치경영과 기업가치 간의 직접적 관련성을 다룰 뿐만 아니라, 기업의 주요 의사결정사항인 최고경영자교체에 따른 상호작용들의 결합효과를 다룬다. 또한 사회적 책임활동대용치를 공시되는 대부분의 성과지수를 다루어 사회적 가치개념으로 확장하여 기업가치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사회적 가치경영전략은 최고경영자교체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사회적 가치경영전략을 적극적으로 이행하는 기업은 공격적 세무보고전략을 구사하지 않았고, 또한 적극적인 사회적 가치경영전략을 이행하는 기업은 자본시장에서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적극적인 사회적 가치경영을 하는 기업은 최고경영자교체 후, 공격적세무보고성향이 감소하였으며, 또한 최고경영자의 교체 후 기업가치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최고경영자교체에 따라, 적극적인 사회적 가치경영전략을 펼치는 기업의 세무보고전략에 대한 자본시장반응은 대체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관련성은 최고경영자의 교체가 있는 기업에서 더 확연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업의 급속한 글로벌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사회적 책임이행이 지속경영발전에 있어 주요 전략인 상황에서, 이러한 사회적 가치경영전략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기업의 최고경영자 교체 및 세무보고전략을 고려하여 기업가치향상에 미치는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검증하였음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