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경제 조직의 성과 창출: 생애주기별 접근을 중심으로

        유두호 ( Yoo Doo Ho ),엄영호 ( Eom Young Ho ) 한국거버넌스학회 2021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8 No.2

        본 연구는 사회적 경제 조직의 성과 창출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사회적 경제 조직에 대한 외부지원과 지역 중심 제도적 환경의 영향요인을 살펴보며, 생애주기별 접근을 통해 기존 연구들과 차별화를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외부지원 활성화는 사회적 경제 조직의 경제적 성과를 낮춘다는 점에서 사회적 경제 조직 지원 제도의 질적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조직장이 활성화될수록 경제적 성과는 높아지므로 단단한 재정 기반을 위한 사회적 경제 생태계 구축과 조직 간 상호작용 및 네트워킹의 필요성이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애주기별 분석에서는 성장 및 성숙단계의 사회적 경제 조직에서 외부지원이 오히려 경제적 성과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정부 지원 위주의 사회적 경제 육성 정책이 조직의 자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조직장의 활성화는 성숙, 위기단계 사회적 경제 조직의 경제적 성과와 성장단계 사회적 경제 조직의 사회적 성과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적 경제 조직의 실질적인 자립과 성장을 위해 제도적 환경을 고려한 정책 설계와 생애주기별 정책의 차별화가 필요함을 제시한다. This study intends to empirically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creation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By examining the factors influencing external support for social and economic organizations and the regional-oriented institutional environment, we tried to differentiate it from existing studies through a life cycle approac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found that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 support system is necessary in that the activation of external support lowers the economic performance of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 On the other hand, the more active organization field, the higher the economic performance.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need for interaction and networking between organizations and the establishment of a social economy ecosystem for a solid financial foundation was confirmed. Analysis by life cycle showed that external support actually lowered economic performance in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in the growth and maturation stages, suggesting that government support oriented social economy fostering policies have a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self-reliance. The activation of the organization field enhance the economic performance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in the maturity and crisis stages and the social performance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in the growth stag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policy design considering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and differentiation of policies for each life cycle is necessary for the actual independence and growth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 KCI등재

        사회적경제의 개념과 발전, 제도화

        이은선(Lee, Eun Sun),이현지(Lee, Hyunjee) 서울행정학회 2017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사회적경제의 개념을 보다 명확히 규명하고 한국에의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사회적경제를 논의한 선행연구에서 간과하고 있는 세 가지 연결고리 -사회적경제가 발전하는 기본 원리가 시장경제의 부작용에 정부와 시민사회가 대응하는 과정이라는 것, 구사회적경제와 신사회적 경제가 단순한 시대구분이 아니라는 것, 제3부문의 개념정의가 사회적경제 조직을 지원하는 정책의 방향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를 포착했을 때 사회적경제에 대한 명료한 이해가 가능함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본 연구에서는 폴라니(Polanyi)의 이중적 운동을 수정하여 분석틀을 제시하고 이에 따라 구사회적경제(old social economy)의 개념과 전개, 제3부문의 제도화가 신사회적경제에 미친 영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후 구체적으로 영국, 프랑스, 미국을 사례로 신사회적경제(new social economy)의 구현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의 사회적경제 논의에서 오해가 무엇인지를 밝히고, 향후 국내 사회적경제의 발전을 위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The core of contentions in “Framework Act on Social Economy” initiatives in 2014 is related to the scope of the social economy, the system of policy-making, and jurisdictions. The reason why controversial debates have continued in the scope and definition of social economy in South Korea is that various type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has appeared before the concept of social economy has not fully discussed. This research is an attempt to clearly identify the concept of the social economy through the analysis of concepts, development, and indigenization of the social economy in France,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This research discusses the emergence and re-emergence of the social economy from the 19th century (old social economy) to the 21st century (new social economy) with an adaptation of ‘double movement’ by Karl Polanyi, the third sector debates which have influenced on the scope and concept of the social economy today.

      • KCI등재

        사회적 경제에 대한 인식과 사회적 경제 조직의 성과

        홍현우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22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awareness of social economy and the performance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The Local Resource Survey (2020) was used for this analysis. We classified regions as having high awareness of the social economy and low awareness of the social economy on the basis of the local residents' awareness of the social economy. We compared the performance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within two regions and found that the sales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in the region with high awareness of the social econom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region with low awareness of the social economy. This result shows the necessity and potential effectiveness of a policy to strengthen awareness of the social economy. On the other hand, we found that operating profits, the number of vulnerable people employed, and the employment ratio of vulnerable to non-vulnerable people did not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social economy. 본 연구는 사회적 경제에 대한 인식 수준과 사회적 경제 조직의 성과 간의 관계를 실증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2020년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의 지역자원조사를 이용하였다. 지역 주민의 사회적 경제에 대한 인지 여부를 바탕으로 사회적 경제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을 구분한 후, 두 지역 사회적 경제 조직의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 경제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지역에 속한 사회적 경제 조직의 매출액이 인식 수준이 낮은 지역에 속한 조직의 매출액 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 경제 조직에 대한 수요 강화 정책의 필요성과 효과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한편, 영업이익, 취약계층 고용규모, 취약계층 고용비율은 사회적 경제에 대한 인식 수준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성과 종류와 창출 방법을 고려하여 사회적 경제 조직의 성과를 분석해야 함을 의미한다.

      • KCI등재

        사회적경제 고찰 : 정의, 범주 그리고 몇 가지 쟁점들

        김신영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5

        이 연구는 최근 한국 사회과학계에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주제인 사회적경제를 개괄한 후 사회적경제를 둘러싼 주요 쟁점들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사회적경제의 개념정의가 이루어 질 것이다. 국제기관과 국내외 사회적경제 전문 연구자들의 개념정의들을 구체적으로 살펴 본 후, 사회적경제의 범주에 대한 논의까지 진행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사회적경제에 대한 논의들을 정리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국내 사회적경제의 역사적 발전경로와 범주 및 유형들이 다루어 질 것이다. 다음으로 이 연구의 핵심주제인 사회적경제 관련 쟁점들을 다룬다. 사회적경제 관련 쟁점은 크게 다섯 가지 정도 이며 사회적경제의 고용창출효과 존재 여부, 사회적경제와 복지국가와의 관계 설정, 사회적경제의 지속가능성, 사회적경제와 시민사회와의 관계 설정 문제, 그리고 마지막으로 사회적경제와 기본소득간의 관계가 다루어진다. 이 연구는 사회적경제에 관심을 가진 전문 연구자들에게 사회적경제란 무엇이며 사회적경제에 대한 연구가 실제 시장자본주의체제속에서 어떠한 거시사회학적 함의를 갖는지를 고민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사회적경제기업의 정책수요와 경제적 성과의 영향관계 분석

        전지훈(全志薰),홍은일(洪銀一) 한국지방자치학회 2018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30 No.4

        본 연구는 사회적경제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지원정책이 실제 사회적경제기업의 경제적 성과와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으며 이러한 관계에서 중간지원조직의 활동이 관계에 어떠한 조절의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사회적경제 지원정책을 재정지원, 교육 및 컨설팅 지원, 판로개척과 확보지원, 네트워크 및 연구조사 지원으로 구분하였고 종속변수로는 사회적경제 기업의 경제적 성과(당기 순이익)로 제시하며 조절변수로 중간지원조직과 관계인식으로 도출하였다. 분석은 실제 충남에서 활동하는 사회적경제기업(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통해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지원정책중 판로개척과 확보지원 수요가 경제적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에 따라 사회적경제기업의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해 공공과 민간영역에서 판로확대를 위한 정책적 방안들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판로지원 정책수요와 경제적 성과의 영향관계를 중간지원조직과 관계인식이 증가시킴에 따라 판로지원 분야에서 중간지원조직의 기능을 더욱 확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분석결과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재정지원사업이 실제 경제적 성과에는 부정적 영향으로 나타남에 따라 지원정책의 방향을 직접 재정지원에서 탈피해 다변화를 도모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보통 사회적경제영역에서 중간지원조직의 기능이 강조되지만, 실제 분석결과 경제적 성과와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실제 현장 기반의 중간지원조직 역할강화와 이들의 효과적 기능수행을 위해 정부의 책임성 및 자율성 확보가 절실하다. The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y demand and profits of social enterprise. For the purpose, this study divided support policies for social enterprise as follows: financial support, education and consulting support, pioneering the market, network and research support. And a dependent variable is presented as net profit(economical product). At the same time, a moderating variable is presented as relationship with interim support organization.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social enterprise, cooperatives and community business in Chungcheongnam-do. The main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olicy demand of pioneering the market has a positive effect on economic performance. Second, it is needed to be strengthened the function of the interim support organization as the result of moderate effect analysis. Third, financial support to social enterprise has a negative effect on economic performance. Therefore, the direction of support to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is needed to be changed. Finally, although the support role of the interim support organization has always been emphasized to social economy sector, the results of analysis examined no relationship with the economic performance.

      • KCI등재

        사회적경제 인식은 공동체의식과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가? : 서울시민의 인식을 중심으로

        조상미(Sangmi Cho),박윤세(Yoonsei Park),정지수(Jeesoo Jung),정선희(Sun Hee Chung),정승애(Seung Ae Jung)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21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11 No.2

        사회적경제는 시민이 주체가 되어 자발적으로 공동체 속에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오랜 역사 속에서 존재해온 가치이다. 국내 사회적경제는 2000년대 이후 법적·제도적 기반 마련을 토대로 급속한 양적 성장을 이루었으나, 대중의 인식은 여전히 낮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사회적경제 분야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시민의 인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내용은 첫째, 통합적으로 사회적경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문항을 개발하고, 둘째, 서울 시민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적경제 인식이 공동체의식과 임파워먼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사회적경제 인식을 ‘전반적 인지’, ‘조직 인지’, ‘현재 인식’, ‘미래 기대’ 네 가지 하위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또한, 사회적경제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공동체의식이 상승하고 임파워먼트가 확대되는 긍정적인 영향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경제 인식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최초의 연구이자, 대규모의 실증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회적경제 인식의 영향을 살펴본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추후 사회적경제 인식에 관한 기초 연구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an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perception of Social Economy and explore how it affects the sense of community and empowerment. The sample included 1,302 Seoul citizen through Proportionate Stratified Sampling. Factor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4 sub-factors (General Awareness, Organization Awareness, Current Perception, and Future Expectations) were extracted and Current Perception was the most critical factor. Both the sense of community and empowerment became stronger as the perception got higher. This study is the first research to develop the measurement of the perception of Social Economy and it is unique and meaningful as it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Social Economy perception on the sense of community and empowerment.

      • KCI등재

        사회적경제 조직의 지속가능성과 협력 네트워크 조직의 관계 - 중앙정부, 지자체, 시민사회단체를 중심으로 -

        이해진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19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9 No.1

        This study analyzed the conditions of sustainability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 focusing on cooperation network with the outside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 In particular, the paper explored which of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 and civic social organizatio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ustainability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has attempted to conceptualize and operationally define a new empowerment model sustainability centered on relationality by differentiating from the existing achievement-oriented performance model sustainability. Based on this, the article empirically analyzed the role of external cooperative organizations that affect the sustainability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 using interview survey data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confirmed that the experience of cooperation with civic social organizations increases the sustainability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 Second, the more effective the competence and support of the local government,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sustainability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 Third, the support of the central governmen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sustainability of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especially finds out that network cooperation with civic social organizations enhance the sustainability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cooperative network structure of Social Economic Ecosystem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ustainable empowerment building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 Therefore,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need to focus on practice strategies to strengthen solidarity and cooperation with local civic social organizations and local government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본 연구는 사회적경제 조직 외부와의 협력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어 사회적경제 조직의 지속가능성의 조건을 분석하였다. 특히, 중앙정부, 기초지자체, 시민사회단체 가운데 어떤 조직과의 협력 관계가 사회적경제 조직의 지속가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목표달성 중심의 성과모델 지속가능성 개념을 탈피하여, 관계성 중심의 역량강화모델 지속가능성 개념화와 조작적 정의를 시도했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경제 조직을 면접 조사한 자료를 활용하여 사회적경제 조직의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협력 조직의 역할을 경험적으로 분석했다. 분석결과, 첫째, 지역 시민사회단체와의 협력은 사회적경제 조직의 지속가능성을 더욱 강화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둘째, 지자체와 협력이 적극적일수록 사회적경제 조직이 지속할 가능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앙정부와의 협력은 사회적경제 조직의 지속가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비교해서, 특히 시민사회단체와의 네트워크 협력이 사회적경제 조직의 지속가능성을 강화시켜준다는 새로운 사실을 밝혀냈다는 의의가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사회적경제 생태계의 협력 네트워크 구조가 사회적경제 조직의 지속가능한 역량강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다. 사회적경제 조직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 지역 시민사회조직과 지자체와의 연대와 협력을 강화하는 실천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사회적경제기업의 마케팅역량이 시장지향성을 통해 사회적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은경,서영욱 산업진흥원 2024 산업진흥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사회적경제기업들을 대상으로 마케팅역량이 시장지향성을 통해 사회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사회적경제기업들의 마케팅역량을 가격경쟁력능력, 유통경쟁력능력으로 분류하고, 시장지향성을 고객지향성, 부서간협력, 경쟁자지향성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사회적경제기업들의 특성에 맞춰 성과검증은 사회적성과로 구성하였다. 총 216명의 사회적경제기업의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마케팅역량은 시장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시장지향성은 사회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장지향성은 마케팅역량에 있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경제기업의 마케팅역량 강화가 사회적성과 창출에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한다. 사회적경제기업은 마케팅역량 강화를 통해 시장지향성을 높이고, 이를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sought to verify the impact of marketing capabilities on social performance through market orientation targeting social economy enterprises. Accordingly, the marketing capabilities of social economy enterprises were classified into price competitiveness and distribution competitiveness, and market orientation was divided into customer orientation, competitor orientation, and interdepartmental cooperation. In addition, in lin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economy enterprises, performance verification consisted of social performanc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216 executives and employees of social economy enterprises to collect data and conduct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marketing capabiliti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market orientation, and that market orient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ocial performance. In addition, market orientation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on marketing cap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trengthening the marketing capabilities of social economy enterprises is an important factor in creating social performance. Social economy enterprises are expected to be able to increase their market orientation by strengthening their marketing capabilities and thereby create social value.

      • KCI등재

        사회적 시장경제: 사회정책으로서의 경제정책

        심지홍 ( Ji-hong Shim ) 한독경상학회 2016 經商論叢 Vol.34 No.4

        사회적 시장경제는 전후 독일 경제부흥의 기반을 제공하였으며, 50년대 말에는 라인강의 기적을 이룩하였고, 60년대 중반 이후 케인즈 학파에게, 그리고 80년대에는 신자유주의에게 자리를 내어주었다가 90년대 이후 다시 세력을 회복한다. 독일식 자유주의인 질서자유주의는 경제, 사회, 정치, 법 등 제반질서의 상호의존성에 기반을 두고 사회정책을 배려하는 경제정책의 실현을 위한 이론적 틀을 세웠으며, 이를 근거로 사회적 시장경제가 탄생하였고 지난 60여년에 걸쳐 시장 효율과 사회 형평 간의 조화를 실현하고자 노력한 결과 사회적 시장경제가 정착된 것이다. 독일통일과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같은 대형 충격에도 불구하고 독일식 시장경제체제인 사회적 시장경제가 사회정책으로서의 경제정책을 훌륭히 수행해 내고 있음이 증명된 것이다. 질서자유주의의 중심인물인 오이켄은 한편 효율성을 위한 경제질서를 지향하며 다른 한편 인간 존엄의 보장과 개인의 자유 하에 스스로 책임지는 삶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는 국가의 역할을 경제질서의 확립과 시장실패의 교정에 두었다. 여기서 경제질서는 사회질서 등 다른 모든 질서와 상호의존관계에 있으므로 사회적 가치와 목표에 순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뮐러-아르막은 사회정책과 경제정책을 분리하는 고전적 이원론 대신 시장에서의 자유와 사회적 형평의 결합이라는 사회적 시장경제를 구상하였다. 오이켄, 뢰프케, 뤼스토, 뮐러-아르막은 사회적 시장경제의 선각자로 불리는데, 이들은 개인의 자유와 인간존엄의 보존이라는 목표를 경제 및 사회질서의 구상으로 도달해야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폭넓은 합의가 되어 있다. 또한 개인원칙, 연대원칙, 보충원칙이라는 사회적 시장경제의 기본원칙에도 이들은 일치된 의견을 보인다. 하지만 이 기본원칙에는 사회정책의 실현을 위한 분명한 행동지침이 없다. 이러한 사회정책에 관련된 불명확성은 유연성, 변동성, 적응력 등으로 표현되고 있다. 지난 60년간 독일이 여러 차례 어려운 시대의 도전을 극복할 수 있었던 것은 사회적 시장경제가 유연하고 적응력이 있었기에 가능했으며, 무엇보다도 세계화 시대를 맞이하여 사회갈등 해소와 생태적 도전에 역동적으로 적응하였다. 그 결과 독일의 사회적 시장경제가 한편으로는 사회적 형평의 후퇴를 초래하였지만 다른 한편 국제경쟁력의 회복으로 새로운 도약과 성장을 이루어낼 수 있었다. The social market economy has provided the foundation for postwar economic revival in Germany, achieved the miracle of the Rhine at the end of the 1950s, gave its place to the Keynesian school in the mid-60s and neoliberalism in the 1980s, and regain power again after the 90s. As German liberalism ordo-liberalism based on the interdependence of economic, social, political, and legal systems, has established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realization of economic policy that considers social policy. On this basis, a social market economy has been born, and over the past 60 years efforts to realize harmony between market efficiency and social equity have resulted in the settlement of a social market economy. It is proved that the social market economy as a German market economy system is performing well as an economic policy as a social policy despite the great shocks such as German unification an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Eucken, the central figure of ordo-liberalism, aimed at an economic order for efficiency, and tried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life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mselves under the guarantees of human dignity and the individual freedom. He put the role of the state in the establishment of economic order and the correction of market failure. The economic order is interdependent with all other orders, including social order, so it must conform to social values and goals. Muller-Armack envisioned a social market economy as a combination of freedom in the market and social equity, instead of classical dualism that separates social and economic policies. Eucken, Ropke, Rustow, and Muller-Armack are called pioneers of the social market economy. They have a broad consensus that the conception of economic and social order must reach the goals of individual freedom and the preservation of human dignity. They also agree on the basic principles of social market economy, such as individual principle, solidarity principle, and supplementary principle. However, these basic principles do not have clear action guidelines for the realization of social policy. This ambiguity related to the social policy is represented by flexibility, volatility, adaptability, etc. Over the past six decades, Germany has been able to overcome the challenges of several hard times because the social market economy is flexible and adaptable. Above all, in the era of globalization, it dynamically adapts to social conflict resolution and ecological challenges. As a result, Germany`s social market economy led to a retreat of social equity on the one hand, but on the other hand a new leap and growth could be achieved with the recovery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 KCI등재

        한국 사회적경제 조직 지형도

        김의영(Eui young Kim),임기홍(Gi hong Im)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5 OUGHTOPIA Vol.30 No.1

        사회적경제(social economy)는 2000년대 들어 세계적인 붐을 일으키고 있으며 이론과 실천 차원에서 공히 그 중요성에 대한 폭넓은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사회적경제의 개념과 조직유형에 대한 구체적이고 충분한 합의가 있다고 말하기 어렵다.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사회적경제를 엄밀히 정의하기보다는 ‘사회성과 경제성의 동시 추구’라는 개략적 차원의 논의에 그치고 있으며, 추상성을 보완하기 위해 사회적 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등 대표적인 조직유형 혹은 범주를 제시하는 방식을 택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사회적경제의 개념과 조직범주를 명시하기 힘든 이유는 새로운 환경에 조응하여 기존 사회적경제 관련 조직들이 변화하거나 새로운 조직유형이 등장하면서 사회적경제의 생태계가 지속적으로 진화·확대해 나가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회적경제 조직이냐 아니냐’식의 획일적인 개념화와 정태적인 유형화 방식으로는 진화하는 사회적경제를 제대로 포착하기 어려우며, 본 논문에서는 변화하고 있는 한국 사회적경제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 조직 지형도(Map)를 그려보고자 한다. 이러한 방식은 한 사회의 조직들이 어느 정도 ‘사회적경제성’을 띠고 있는가를 분석하고자 하는 시도라 할 수 있다. There are growing interests in the social economy sector both in theory and practice, especially after the 2000s. However, there exits few consensus on the definition and organizational type of social economy. Most researchers regard social economy simply as the “simultaneous promotion of the social and economic aim” instead of applying a precise and well-developed definition. Further, they often propose representative organizational types and categories such as social enterprise, co-operative, or community business to make up for the highly abstract definition. The reason for the conceptual fuzziness is that the social economy ecosystem is in its continuous expansion and evolution since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change or adapt to a new environment and evolve into new organizational types. Thus, an “either or not” type of conceptualization and static typology can not capture the evolving nature of social economy. This paper suggests a ‘mapping’ method to grasp and illustrate the evolving nature of South Korean social economy sector. It is an attempt to analyze the “social-economy-ness” of each organiz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