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형 사회음악교육기관 교육모델 개발 연구: 부천 아트밸리와 독일 ‘음악학교(Musikschule)’ 탐색을 바탕으로

        최이레,이보림 한국예술교육학회 2022 예술교육연구 Vol.20 No.3

        In this study, Korean social music education institutions, which are operated in the form of short-term projects based on cultural arts education policies, can provide sustainable music educa- tion and diverse experiences to all citizens as an independent institution. So, I would like to propose an educational model for a Korean-style social music educational institution. For this purpose, the German Music School (Musikschule), which shows the form of an ideal social music education in- stitution, and the Bucheon Art Valley Project, which shows the form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at makes good use of regional characteristics, were selected and considered. Through the compar- ison of these two cases, we also propose the need for an independent form of social music education institution that can provide systematic and universalized social music education. The educational model for Korean-style social music educational institutions presented in this way is an educational model that takes into account the environment and structure of Korean social educational institutions. To experience music education and activities the first is the formation of cooperative re- lationships between schools and communities, the second is the establishment of a sustainable and stable social music education, the third is a management system for the qualitative realization of so- cial music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third is advanced technology. We will also propose pro- motional issues for eggplant, such as providing social music education that utilizes music.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기반으로 중·단기의 프로젝트 형태로 운영되는 우리나라 사회 음악교 육 기관이 독립된 하나의 기관으로서 모든 국민에게 지속적인 음악교육과 다양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국형 사회음악 교육기관의 교육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이상적인 사회음악 교육기관의 형태를 보이는 독일 음악학교(Musikschule)와 지역 특색을 잘 활용한 문화예술교육의 형태를 보여주는 부천 아트밸 리 사업을 채택하여 고찰하였다. 이러한 두 사례의 비교를 통하여 체계적이고 보편화된 사회음악 교육을 제공 할 수 있도록 하는 독립적인 형태의 사회음악 교육기관의 필요성도 함께 제안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시되 는 한국형 사회음악 교육기관을 위한 교육모델은 우리나라 사회 교육기관의 환경과 구조를 고려한 교육모델로 서 모든 국민이 삶 속에서 음악을 향유하고 평생에 걸친 음악 교육과 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먼저, 학교와 지역의 협력 관계 형성, 둘째,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사회음악 교육 확립, 셋째, 사회음악 교육기관의 질적 내실 화를 위한 관리체제, 마지막으로, 첨단 기술을 활용한 사회음악 교육의 제공과 같은 4가지의 추진과제도 함께 제안한다.

      • KCI등재

        사회서비스 제공에서 비영리 교육기관의 역할과 정책과제

        정은아(Jung Eun A),김은정(Kim Eun jeo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0 社會科學硏究 Vol.26 No.2

        본 연구는 최근 사회서비스 전달주체가 다원화되면서 사회서비스 제공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비영리 고등교육기관에 대한 정책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서비스 전달주체의 현황과 특성을 민간비영리기관과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대부분 비영리 고등교육기관으로 구성된 ‘지역사회서비스 청년사업단을 중심으로 이들이 제공하는 사회서비스의 급여대상, 전달주체, 급여의 형태, 재원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서비스 제공영역에서 비영리교육기관의 역할과 정책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급여대상자 확대를 통해 보편적 사회서비스 제공 기반을 확보함에 있어서 비영리교육기관이 역할을 담당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적 연대를 강화하고 공공성을 확대시킬 수 있는 바람직한 사회서비스를 발굴하고 이를 확대시키는데 있어서 비영리 고등교육기관이 역할을 담당해야만 한다. 또한 이러한 서비스가 이용자 선별이나 비용부담의 역진성 문제없이 제공될 수 있도록 전달방식을 개선함에 있어서도 비영리 고등교육기관의 역할이 기대된다. 셋째, 사회적 기업과 같은 바람직한 사회서비스 산업을 육성함에 있어서도 비영리 고등교육기관이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 본고에서의 분석이 사회서비스 영역에서 비영리 고등교육기관의 바람직한 역할정립을 위한 정책논의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roles and tasks of educational organizations in providing social services. Educational organizations are currently noted in terms of their roles in providing social services and training diverse professions in social service domains. First of all, this study reviews the notions and major characteristics of social services and the current features of non-profit organizations and educational organizations as their major roles in social service delivery. Then, this study introduces the "Youth-Groups for Social Services" which have started service delivery since 2009. Based on Gilbert & Terrell's policy analysis framework,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ntitlements, the ways of delivery, service contents, and finances of "Youth-Groups for Social Services." The proper roles of educational organizations which this study proposes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al organizations should contribute to widen the range of social service beneficiaries by establishing the policy framework of social service. With the aim of directing to universalism (not to selectionism) in terms of social service entitlement, educational organizations should actively find out the ways to increase the numbers of social service beneficiaries and enhance the quality of social services. Second, educational organizations also tries to discover the proper contents of social services increasing cohesions of social groups and social justice. In addition, educational organizations should endeavor to find out the ways to deliver social services effectively and efficiently. Third, educational organizations also can carry off bringing up social enterprises delivering social services.

      • KCI등재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교육정책과 일본어 교육의 실태 : 사회적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이상원(Lee Sangwo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3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교육정책은 식민지 조선의 제도권 교육기관과 사회적 교육기관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고 규제함으로써 식민지 지배를 위한 주요 정책으로 자리 잡았다. 민족주의계 사립학교와 종교계 사립학교를 규제하기 위해 1908년에 시행된 ‘사립학교령’과 한일합방 이후 1911년부터 해방까지 식민지 조선의 교육정책에 근간이 된 ‘조선교육령’은 38년간 조선의 학령기 아동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강제된 교육의 형태로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여러 번에 걸친 조선교육령 개정을 통해 식민지 조선은 점진적으로 동화정책의 늪에 빠져들기 시작한다. 한일합방 이전 을사늑약 체결단계에서부터 한국의 민족운동적 성격을 가진 사립학교 건립운동은 일제에게 큰 위협요소였다. 당시 1908년경 전국 각처에 사립학교는 4,000개~5,000개에 이르렀고, 일제의 통감부는 1908년 ‘사립학교령’을 공포하고 사립학교에 대한 탄압을 본격화 한다. 이후 조선에서의 전반적 교육정책의 근간이 되었던 ‘조선교육령’의 시행에 따라 당시 제도권 교육기관만이 아닌 사회적 교육기관도 큰 영향을 받게 된다. 1차 조선교육령기는 일제의 식민지 교육정책에 대응하는 정책으로 정규 교육기관 이외의 보조적 기능의 기관으로 ‘학술강습회’와 ‘야학’의 역할도 하면서, 일본어교육기관으로 변질되어 간다. 제2차 조선교육령기에는 전국적으로 ‘학술강습회’와 ‘야학’의 확산시기이기도 하지만 일제의 문화통치기에 접어들면서 일본어 외에 조선어, 산술, 한문 등의 수업이 늘어나며 일본어 교육의 침체기에 들어서는 시기이다. 제3차 조선교육령기는 일제의 황국신민화 정책을 통해 일본어 교육의 반감과 고조된 반일 감정과는 달리 달아오른 교육열과 함께 피교육자 상당수가 일본어교육에 매달린 시기이기도 하다. 식민지 조선인들에게 일본어는 입신양명을 위한 주요한 수단으로 인식되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이 되기도 하였다.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식민지 조선의 교육정책의 근간이 되었던 조선교육령 공포 시기를 기준으로 어떠한 방식으로 일본어 교육이 이루어 졌으며 지역 별 해득 수준과 규모는 어느 정도였는지에 대해 분석하고 일본어 교육의 보급시기, 정체시기, 확장시기로 나누어 통시적 관점에서 그 실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아울러 당시의 시대적 분위기를 고려하여 ‘조선총독부관보’와 ‘신문자료’등의 사료를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In this paper, based on the period of promulgation of the Chosun Education Ordinance, which was the basis of education policy in colonial Chosun, the actual situation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 social education institution is summarized as follows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Through the 1st Chosun Educational Ordinance, education ideology and though were also taught to nurture loyal and good citizens through obligation of dumbing down policy and reading of the imperial Rescript on Education, and the 2nd Chosun Educational Ordinance, which was implemented during the period of cultural rule in the 1920s, deceived Chosun in the name of Japan’s internal extensionism and temporary movement, destroyed Chosun language in the academic system, and strengthened spread of Japanese. The 3rd Chosun Education Ordinance, which was enforced after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was a precursor to the war supplies from colonial Chosun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scription system for the youth of Chosun, reflecting the wartime system to create the Imperial people’s Generation who could obey the emperor. Finally, the 4th Chosun Education Ordinance, as a ‘wartime education ordinance’ resulted in a means of the training warriors for mobilization of the wartime system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the educational system. This thesis analyzes how Japanese language education was conducted based of the time of the Korean Education Ordinance promulgation, which was the basis of the education policy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colonial Korea, and the level and scale of acquisitions by region, and divides it into the period of dissemination, stagnation, and expansion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to understand its situation from a collective perspective.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atmosphere of the times at the tim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feeds such as ‘Gazette of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un’ and ‘Newspaper Data.’

      • 다문화사회에서의 사회통합에 관한 사례연구: 독일 유아교육기관의 상호문화교육을 중심으로

        이현미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7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8 No.-

        본 연구에서는 우리보다 40년 앞서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독일에서의 사회통합 정책과 상호문화교육에 대해 살펴보았고 2000년 PISA 학업성취도 국제 비교연구 이후, 사회통합의 새로운 동력을 찾고 모든 아동들의 동등한 출발선을 보장하기 위해 이루어진 취학 전 교육기관의 개혁, 그리고 그 과정에서의 상호문화교육 강화 정책 및 독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상호문화교육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목적은 독일의 취학 전 아동들을 위한 상호문화교육 정책과 상호문화교육 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이제 막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되고 있는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시사점들을 도출하는 것이었다. 시사점들 중에서 중요한 것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문화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육기관은 일반 아동과 이주배경 아동을 위한 공동의 교육장소로서의 역할을 넘어서서 사회통합을 위한 장으로서의 역할을 확대하고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구심점이 되도록 한다. 둘째, 상호문화교육 교육과정이나 프로그램 개발 시 인위적으로 꾸며진 상황이 아니라 실제상황에서 삶에 필요한 내용을 배울 수 있도록 실제상황에서 핵심 주제를 찾고 실생활과의 연관성 하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편성한다. 셋째, 부모참여 활성화를 위하여 부모를 자원으로 인식하고 그들 자신의 상황과 자녀교육의 전문가로서 대우해 줌으로써 주체적으로 교육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든다. 또한 다문화 부모들이 우리나라에서 동등한 권리를 가지고 살아갈 수 있도록 이들을 지역사회에 통합시키고 사회적 네트워크를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부모들의 교육역량을 강화한다. 넷째, 유아기관 종사자들이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아동들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효과적인 상호문화교육을 실행할 수 있도록 단 기간의 연수가 아니라 지속적이고 내실있는 계속교육이 필요하다. 다섯째, 아동들이 불공정과 불평등 상황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 과정에서 편견에 대한 의식화와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반 편견교육을 실시한다. This study examined social integration policies and intercultural education in Germany, which entered multicultural society 40 years earlier than ours, and reviewed the 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in 2000. Then, it also reviewed the reform of preschool institutions, which was done to find a new driving force for social integration and to ensure an equal starting line for all children, the policy of strengthening mutual cultural education in the process, and the case of inter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German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practical implications when establishing multicultural policies for preschool children, developing curriculum, or operating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through examining Preschool Intercultural Education Policy and the cases of inter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Germany. The important results are as follows. 1.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at carry out intercultural education extend beyond their role as a common educational place for gener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migrant backgrounds, expanding their role as a forum for social integration and becoming the center of community networks. 2. When developing a curriculum or program for intercultural education, find key topics in real situations and organize them so that the meaning is found in relation to real life so that one can learn what they need in life, not in an artificially created situation. 3. Parents are recognized as resources for the activation of their parents' participation, and by treating them as the specialist of their own situation and their own children, the environment is created where they can participate in educational activities. And to help multicultural parents live with their equal rights in Korea, integrate them into local communities, expand social networks, and strengthen parents' educational capacity. 4. Continuous and sustained education is needed instead of short-term training so that early childhood educators can understand children with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and implement effective intercultural education. 5. Instruct children to talk freely about unfair and inequitable situations and actively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In this process, anti-prejudice education is needed to help them find out how to live while being conscious of prejudice.

      • KCI등재

        영유아교육기관의 사회자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이배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mediated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o present alternative measures to enhance job satisfac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in G metropolitan cities and J provinces from July 13, 2020 to July 24, 2020.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tudy shows that the social capit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which proves that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among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could be a determining factor in the efficienc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addi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was found to have a mediated effect between social capital and job satisfaction, which confirms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teachers, who are the core personnel of human servic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Based on these results, alternative measures to enhance job satisfaction were suggested by reinforcing the use of soci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본 연구는 영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사회자본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영유아교육기관의 직무만족 제고를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20년 7월 13일부터 24일까지 G광역시와 J도 지역 영유아교육기관에 재직하는 영유아교사를 총 2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영유아교사의 사회자본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영유아교사 간의 사회자본 형성 여부가 영유아교육기관의 효율성에 결정요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영유아교사의 조직몰입은 사회자본과 직무만족 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영유아교육기관에서 인적 서비스의 핵심 인력인 영유아교사의 조직몰입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영유아교육기관에서 사회자본의 활용과 조직몰입을 강화하여 직무만족 제고를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강원도 강릉지역 사회교육기관의 무용교육 프로그램 현황 및 전망

        장은실 ( Eun Sil Jang ) 한국무용기록학회 2008 무용역사기록학 Vol.15 No.-

        본 연구는 강원도 강릉지역의 사회교육기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무용교육 프로그램들에 대한 현장 실태를 파악하고, 이러한 무용교육 프로그램이 사회교육의 하나로서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에서 발전되어질 수 있는 기초자료와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강원도 강릉지역 사회교육기관에서 무용관련 프로그램을 담당하고 있는 강사와 프로그램을 수강한 수강생, 그리고 사회교육기관의 담당자를 비확률표집(Nonprobability Sampling)의 하나인 유목적표집법(Purposeful Sampling)으로 각각 3명씩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심층면담의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공식적인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공식적인 면담의 형식은 반구조화된 면담(semi- structured interview)과 비구조화된 면담(unstructured interview)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강원도 강릉지역 사회교육기관 무용교육 프로그램의 현황과 전망을 살펴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강릉지역에는 전통연희와 관련되어진 프로그램의 개설이 상당히 미흡한실정이며, 이러한 무용교육 프로그램이 어렵고 난해한 것이 아닌 누구나 배울 수 있는 것이라는 수강생들의 인식의 변화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강릉지역 사회교육기관에서는 지역사회 차원에서 무용교육 프로그램에 대한적극적인 홍보와 공간의 확장, 수강인원의 조정 등 시설의 보완 및 적극적인 재정적지원이 요구되어진다. 셋째, 무용교육 프로그램의 단계별 세분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뛰어난 실기능력과성실한 태도를 갖춘 무용교육 프로그램의 전문적인 지도자, 그리고 프로그램의 다양화가 요구되어진다. 넷째, 사회교육기관에서는 각종 대회 및 발표회 등을 통해 선보일 수 있는 기회를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특강제도 혹은 무료강좌나 세미나식의 강좌를 활용하여 가족과 함께 즐길 수 있는 무용교육 프로그램의 확대를 통해 일반인들로 하여금 직접보고, 참여할 수 있게 하는 무용문화의 생활화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dance education programs operated at social education institutions in Gangneung, Gangwon-do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and information for developing dance education programs as one of social educations in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For this study, we selected three lecturers of dance-related programs, three students of dance programs, and three staff members at social education institutions in Gangneung, Gangwon-do through purposeful sampling, which is one of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and performed formal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The formal interviews used both semi-structured interview and unstructured interview.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the current state and prospect of dance education at social education institutions in Gangneung, Gangwon-do were drawn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in the Gangneung area has few programs related to traditional theatrical arts. Thus, it is necessary first to change dance learners’ idea so that they think such dance education programs are not difficult or complicated but easy for anybody to learn. Second, social education institutions at the Gangneung area are in need of active promotion, expansion of space, adjustment of students, supplement of facilities, and active financial support. Third, dance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subdivided according to level, and it is required to raise instructors specialized in dance education programs equipped with outstanding skills and sincere attitude, and to diversify programs. Fourth, social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provide the learners with opportunities to display their skills at public performances, contests, etc. and expand programs enjoyable with family using special lectures, free lectures or seminar-type lectures so that ordinary people may see and participate in such programs and enjoy dance culture in their everyday life.

      • KCI등재

        국내 다문화교육지원기관의 제도화 및 재맥락화

        서승연 ( Seung Yeon Seo ),차윤경 ( Yun Kyung Cha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3 시민교육연구 Vol.45 No.2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다문화교육지원기관이 지난 20여 년간(1991∼2010년)에 걸쳐 변화된 과정을 주요 사례로 삼아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지원기관의 조직과 운영방식 및 내용이 어떻게 확산되고 동형화 또는 다양화되어 가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세계사회의 문화가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지원기관에 어떠한 방식과 내용으로 반영되고 재맥락화 되었는지를 탐색적으로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면, 다문화교육지원기관은 개별국가의 구체적인 사회·경제적 필요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키기 위한 기능적 도구라기보다는 세계의 문화적 가치와 규칙을 상당한 정도로 반영하는?제도적?구성물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세계통합에 따른 문화적 담론의 영향력이 국내 다문화 교육지원기관의 주요 변화요인으로 작용함과 동시에 그 본래의 의미가 재맥락화 되어 왔을 가능성을 경험적 자료에 근거하여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앞으로 다문화교육에 관한 논의에 보다 거시적인 세계사회적인 시각을 도입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As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this study attends to the institutionalization and (re)contextualiz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centers in Korea over the past two decades (1991-2010). A set of empirical data for this study was gathered from various official sources, primarily the websit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center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has been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multicultural centers in Korea? 2. How has the function of multicultural centers been contextualized in Korea? With regard to the research question 1, the data analyzed in this study shed light on the possibility tha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multicultural centers in Korea has been responsive to a collection of “universal discourses” on multiculturalism that have been elaborated and disseminated on a global scale. The data indicate that the official mission statements of those centers frequently emphasize notions such as global human rights, global community, and cultural diversity, all of which represent some of the central elements of global epistemic models of multiculturalism. One way to interpret this finding may be that the perceived need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centers in Korea have largely been socially constructed based on global discourses on multiculturalism, fairly independent of substantive societal needs for them. As for the research question 2, a series of analyses of the data points to the possibility that the content of the programs in multicultural education centers in Korea is “loosely coupled” with the official missions. An illustrative example of such a loose coupling is that many of those centers have been focusing their educational programs on Korean cultural elements, while their official mission statements ostensively emphasize universal cultural norms and values. In addition, the data show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multicultural education centers and the size of cultural minority groups (e.g., foreign workers, marriage immigrants, and North Korean defectors) across different parts of Korea. These findings may lead one to suspect that the function of those centers has been recontextualized in a way to assimilate cultural minority groups into the dominant Korean culture. Overall,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the rise and diffus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centers in Korea may not simply be a functional response to concrete societal needs within the country, but a reflection of global epistemic models that help us reinterpret and render new meaning to diversity in society. This study hopes to provoke further inquiry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global-local processes from a world-society perspective.

      • KCI등재

        社會 敎育 次元에서의 漢字·漢文 敎育의 實態와 課題

        洪性旭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4 漢字 漢文敎育 Vol.13 No.-

        ·사회교육이라 함은 다른 법률에 의한 학교교육을 제외하고 국민의 평생교육을 위한 모든 형태의 조직적인 교육활동으로 개인 또는 공동체 생활의 상황 흐름 속에서 즉각적으로 가치화되고 있는 학습을 생산하는 것이다. 이 범주에는 방송과 언론 매체를 활용한 것과 사회(평생) 교육원, 사설 학원 등의 교육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것, 학습지와 인터넷 컨텐츠를 이용한 것 등이 모두 포함되는데 다만 조직성·의도성·체계성이 미약한 우연적 교육과 무형식 교육은 제외된다. 시청각자료를 통한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를 환기시키고 그들의 주의를 집중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강한 학습 동기를 유발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학습에 임할 수 있도록 한다. 또 학습자의 질과 양의 폭을 넓혀서 학습의 효율화를 도모하고 학습 결과를 오래 기억할 수 있도록 하며 정확한 하고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도 한다. 이를 통해 볼 때 방송 매체를 활용한 한자·한문 교육은 사회 교육 차원의 한자·한문 목표를 성취하는 데 더없이 효과적이라 하겠다. 다만 교육 방송을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한자·한문 교육 관련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하여 보다 체계적으로 조직될 필요가 있으며, 정규 교육 과정기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의 경우 한문과 교육 내용 체계를 고려하여 이를 보완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짜여졌으면 한다. 평생(사회) 교육원은 많은 성인들에게 배움의 기회를 확대하여 그들의 지적·문화적 수준을 높이고, 직업적·사회적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평생(사회) 교육원을 통해 이루어지는 한자·한문 교육 프로그램은 자격증 취득 과정에 개설된 한자(한문)지도사과정과 四書나 『古文眞寶』 등의 동양 고전을 내용으로 한 교양 강좌가 있다. 그러나 교양 강좌는 학습자의 수준이 다르고 요구 사항이 달라 체계적이고 일관되게 강의를 진행하지 못하였으며, 자격증 취득 과정은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절대 時數 부족으로 효율성에 회의를 갖게 하였다. 까닭에 명확한 교육 목표를 설정과 교육 목표를 달성을 위한 보다 체계적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私設 機關의 한자·한문 교육 프로그램은 정규 교육과정과 연계된 것도 있고 각각의 독자적 프로그램도 있다. 체계화된 이들 프로그램은 사회 교육 차원에서의 한자·한문 교육의 역할을 비교적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몇몇 프로그램의 경우 수업 방식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는데 이를 잘 보완한다면 정규 교육의 보완 형태로 훌륭한 역할 수행이 될 것으로 보인다. 사회 교육이 시공간적 제약을 넘어 개인이나 공동체 생활 속에서 이를 필요로 하는 개인이나 집단에게 즉각적 가치로 제공되는 것이지만 정규 교과 과정의 보람이라는 현실적 상황도 도외시할 수는 없을 것이다. 까닭에 이를 교육하는 당사자나 학습하는 사람은 한문과 교과 내용체계에 대한 이해와 한자·한문 교육을 통해 이루게 될 실제적 가치를 아울러 구현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Social Education produces learning of immediate value as all kinds of organizational education activities for lifelong education under the circumstance of individual and community with the exception of school education by other laws. This category includes the use of broadcasting and mass media, lifelong education of a society, education of private institute, and the use of Learning material and contents. However, unexpected education and informal education, which are insufficient in the organization, intention, and systemization, are excluded. On the Account that learning through Audio and Video Education Aids evokes the interest of learners and attracts their attention, it encourages learning motive of leaners and leads them to the voluntary and active learning. In addition, it promotes efficiency of learning by enlarging the breadth of quality and quantity of learners, long distance memorization of learning result, and accurate thinking. In this regard,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and Writing can be said to be effective in accomplishing the goal of Chinese Character and Writing Learning in terms of Social Education. Various Chinese Character and Writing Education programs, offered by education broadcasting need to be systematically organized in consideration of leaners' level and interest. Especially, in case of program towards students of regular education courses, the programs, which can be complemented in the Chinese Character and Education Contents and Systems, should be established.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enlarges the opportunity of learning to many adults, enhances their intellectual and cultural level, and contributes to develop their ability in vocational and social ability. There are instructor cultivating Course of Chinese Character, opened in the License Acquirement, History Book, and Eastern Classics like 『Gu Wen Zhen Bao』 in Chinese Character and Writing programs through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ociety). However, on the grounds that the level of learners and their requirements are different in Educational programs, systematic and consistent lecture is not properly processed and the absolute lack of demand for accomplishing goal in the license acquirement course makes us feel suspicious of efficiency. As a result of it, more systematic programs in order to set up the clear education goal and attain the education goal needed to be provided. Some Chinese Character and Writing Education Programs are related to the regular education course, and the others are respectively independent programs. Systemized programs can be said to faithfully perform the role of Chinese Character and Writing in terms of Social Education. However, in case of some programs, the possibility of revision in the Instruction Application can be found. If we complete some deficiencies, it will play a remarkable role in the supplement of regular education. Even though social education is offered to individual and groups as an immediate value for the individual and community life, going beyond the restriction of time and space, the realistic circumstance to complement the regular curriculum course cannot be overlooked. Therefore, instructors and learners who are concerned in the education should seek for the direction which can establish practical value through understanding of Chinese Writing and the system of Curriculum Contents and Chinese character and Writing learning.

      • KCI등재

        유아의 사회정서능력과 교육기관적응 간의 관계에서 배려행동의 매개효과

        최윤지 ( Choi Yoon Ji ),박인전 ( Park In Je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4

        본 연구는 유아의 사회정서능력과 배려행동이 유아교육기관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 사회정서능력이 배려행동을 매개하여 교육기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사회정서능력과 교육기관적응의 관계에서 배려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P시에 위치한 5곳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만 4, 5세 유아 223명을 대상으로, 해당 학급의 교사를 통해 유아의 사회정서능력, 배려행동, 교육기관적응을 측정하였다. SPSS 23.0 프로그램과 SPSS PROCESS Macro 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유아의 사회정서능력과 배려행동, 유아교육기관적응의 모든 하위요인들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정서능력의 교사 상호작용 요인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과 배려행동의 다양성존중 요인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들은 유아교육기관적응을 유의하게 예측하고 있었다. 셋째, 유아 배려행동의 간접효과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사회정서능력과 교육기관적응의 관계에서 자기배려, 타인배려, 자연배려 요인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으며, 다양성존중 요인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social-emotional competence, caring behavior, and adjustment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in young childre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aring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emotional competence and adjustment. Subjects were 223 young children in early childhood institutes in P city,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For data analysis, SPSS 23.0 program and SPSS PROCESS Macro version 3.0 program were used to examine reliability of major study tool, normality of collected dat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indirect effect by bootstrapping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social-emotional competence, caring behavior, and adjustment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in young children. Second, social-emotional competence and caring behavior of young children were important factors for predicting adjustment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but the teacher-children interaction variable and the respect for differences variable did not predict the young children’s adjustment. Third, caring behavior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emotional competence and young children’s adjustment.

      • KCI등재

        사회효용적 측면에서의 노인교육 연구: 고등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이영선 한국성인교육학회 2011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4 No.3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problems and solutions of Elderly education (including vocational training) provided by the nation's higher-education institutions. It used social utility analyses from the perspectives of both lecturers and students. Qualitative analytic methods were applied to this research, deriving findings as follows: a) Elderly education at higher-education institutions does not hav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elderly employment. b) Advanced resources at higher-education institutions have improved the acknowledgement and systemization of Elderly education, thus raising social awareness of elderly labor availability and encouraging volunteering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c) Elderly education cannot sufficiently contribute to social utility because the higher-education institutions themselves do not have enough expertise in Elderly education. This research offers the following countermeasures as viable solutions to these problems: a) Higher-education institutions can enhance vocational training to improve elderly employment and provide more education to increase the elderly population’s social contribution. b) Government-funded subsidies can help higher-education institutions establish postgraduate programs on Elderly education as a part of lifelong education and to secure required expertise. c) Higher-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design Elderly education courses according to paradigm shifts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In addition to these solutions, this research proposes the need for further fundamental research on Elderly education in order to help the elderly population become self-sufficient and contribute socially. 본 연구는 고등교육기관에서의 노인교육과 노인들의 사회적 진출 및 역할을 교육당사자인 교․강사와 교육이수생의 시각에서 조망하여 사회효용적 측면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과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질적연구를 적용하였는바 그 분석결과는 첫째, 고등교육기관의 노인교육은 직업교육 및 재취업에 대한 기여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 되었다. 둘째, 노인교육이 인적․물적 자원이 풍부한 고등교육기관에서 실행됨으로 인하여 노인교육의 신뢰도와 체계성을 향상시켰으며, 유휴 노인인력을 활용한 자원봉사에 대한 의식을 고양하고, 사회전반의 노인인력 활용성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교육기관은 노인교육 교․강사의 전문성을 확보하지 못하여 사회효용적 측면에서 충분한 교육적 성과를 볼 수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고등교육기관에서는 노인교육에 직업능력 상승을 위한 교육을 보완하여 노인의 재취업 기회와 사회적 역할 확대에 연계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고등교육기관에 노인교육 재정지원을 확대하여 평생교육영역 노인교육학 석사 및 박사과정을 설치해 부족한 노인교육 전문 교․강사를 확충해야 한다. 셋째, 고등교육기관에서의 노인교육은 노인의 패러다임 변화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고등교육기관에서의 노인교육이 노인의 자립능력과 사회적 역할 상승에 기여하기 위해서 노인교육에 대한 기반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함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