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은아(Jung Eun A),김은정(Kim Eun jeo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0 社會科學硏究 Vol.26 No.2
본 연구는 최근 사회서비스 전달주체가 다원화되면서 사회서비스 제공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비영리 고등교육기관에 대한 정책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서비스 전달주체의 현황과 특성을 민간비영리기관과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대부분 비영리 고등교육기관으로 구성된 ‘지역사회서비스 청년사업단을 중심으로 이들이 제공하는 사회서비스의 급여대상, 전달주체, 급여의 형태, 재원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서비스 제공영역에서 비영리교육기관의 역할과 정책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급여대상자 확대를 통해 보편적 사회서비스 제공 기반을 확보함에 있어서 비영리교육기관이 역할을 담당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적 연대를 강화하고 공공성을 확대시킬 수 있는 바람직한 사회서비스를 발굴하고 이를 확대시키는데 있어서 비영리 고등교육기관이 역할을 담당해야만 한다. 또한 이러한 서비스가 이용자 선별이나 비용부담의 역진성 문제없이 제공될 수 있도록 전달방식을 개선함에 있어서도 비영리 고등교육기관의 역할이 기대된다. 셋째, 사회적 기업과 같은 바람직한 사회서비스 산업을 육성함에 있어서도 비영리 고등교육기관이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 본고에서의 분석이 사회서비스 영역에서 비영리 고등교육기관의 바람직한 역할정립을 위한 정책논의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roles and tasks of educational organizations in providing social services. Educational organizations are currently noted in terms of their roles in providing social services and training diverse professions in social service domains. First of all, this study reviews the notions and major characteristics of social services and the current features of non-profit organizations and educational organizations as their major roles in social service delivery. Then, this study introduces the "Youth-Groups for Social Services" which have started service delivery since 2009. Based on Gilbert & Terrell's policy analysis framework,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ntitlements, the ways of delivery, service contents, and finances of "Youth-Groups for Social Services." The proper roles of educational organizations which this study proposes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al organizations should contribute to widen the range of social service beneficiaries by establishing the policy framework of social service. With the aim of directing to universalism (not to selectionism) in terms of social service entitlement, educational organizations should actively find out the ways to increase the numbers of social service beneficiaries and enhance the quality of social services. Second, educational organizations also tries to discover the proper contents of social services increasing cohesions of social groups and social justice. In addition, educational organizations should endeavor to find out the ways to deliver social services effectively and efficiently. Third, educational organizations also can carry off bringing up social enterprises delivering social services.
한국형 사회음악교육기관 교육모델 개발 연구: 부천 아트밸리와 독일 ‘음악학교(Musikschule)’ 탐색을 바탕으로
최이레,이보림 한국예술교육학회 2022 예술교육연구 Vol.20 No.3
In this study, Korean social music education institutions, which are operated in the form of short-term projects based on cultural arts education policies, can provide sustainable music educa- tion and diverse experiences to all citizens as an independent institution. So, I would like to propose an educational model for a Korean-style social music educational institution. For this purpose, the German Music School (Musikschule), which shows the form of an ideal social music education in- stitution, and the Bucheon Art Valley Project, which shows the form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at makes good use of regional characteristics, were selected and considered. Through the compar- ison of these two cases, we also propose the need for an independent form of social music education institution that can provide systematic and universalized social music education. The educational model for Korean-style social music educational institutions presented in this way is an educational model that takes into account the environment and structure of Korean social educational institutions. To experience music education and activities the first is the formation of cooperative re- lationships between schools and communities, the second is the establishment of a sustainable and stable social music education, the third is a management system for the qualitative realization of so- cial music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third is advanced technology. We will also propose pro- motional issues for eggplant, such as providing social music education that utilizes music.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기반으로 중·단기의 프로젝트 형태로 운영되는 우리나라 사회 음악교 육 기관이 독립된 하나의 기관으로서 모든 국민에게 지속적인 음악교육과 다양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국형 사회음악 교육기관의 교육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이상적인 사회음악 교육기관의 형태를 보이는 독일 음악학교(Musikschule)와 지역 특색을 잘 활용한 문화예술교육의 형태를 보여주는 부천 아트밸 리 사업을 채택하여 고찰하였다. 이러한 두 사례의 비교를 통하여 체계적이고 보편화된 사회음악 교육을 제공 할 수 있도록 하는 독립적인 형태의 사회음악 교육기관의 필요성도 함께 제안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시되 는 한국형 사회음악 교육기관을 위한 교육모델은 우리나라 사회 교육기관의 환경과 구조를 고려한 교육모델로 서 모든 국민이 삶 속에서 음악을 향유하고 평생에 걸친 음악 교육과 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먼저, 학교와 지역의 협력 관계 형성, 둘째,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사회음악 교육 확립, 셋째, 사회음악 교육기관의 질적 내실 화를 위한 관리체제, 마지막으로, 첨단 기술을 활용한 사회음악 교육의 제공과 같은 4가지의 추진과제도 함께 제안한다.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교육정책과 일본어 교육의 실태 : 사회적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이상원(Lee Sangwo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3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교육정책은 식민지 조선의 제도권 교육기관과 사회적 교육기관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고 규제함으로써 식민지 지배를 위한 주요 정책으로 자리 잡았다. 민족주의계 사립학교와 종교계 사립학교를 규제하기 위해 1908년에 시행된 ‘사립학교령’과 한일합방 이후 1911년부터 해방까지 식민지 조선의 교육정책에 근간이 된 ‘조선교육령’은 38년간 조선의 학령기 아동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강제된 교육의 형태로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여러 번에 걸친 조선교육령 개정을 통해 식민지 조선은 점진적으로 동화정책의 늪에 빠져들기 시작한다. 한일합방 이전 을사늑약 체결단계에서부터 한국의 민족운동적 성격을 가진 사립학교 건립운동은 일제에게 큰 위협요소였다. 당시 1908년경 전국 각처에 사립학교는 4,000개~5,000개에 이르렀고, 일제의 통감부는 1908년 ‘사립학교령’을 공포하고 사립학교에 대한 탄압을 본격화 한다. 이후 조선에서의 전반적 교육정책의 근간이 되었던 ‘조선교육령’의 시행에 따라 당시 제도권 교육기관만이 아닌 사회적 교육기관도 큰 영향을 받게 된다. 1차 조선교육령기는 일제의 식민지 교육정책에 대응하는 정책으로 정규 교육기관 이외의 보조적 기능의 기관으로 ‘학술강습회’와 ‘야학’의 역할도 하면서, 일본어교육기관으로 변질되어 간다. 제2차 조선교육령기에는 전국적으로 ‘학술강습회’와 ‘야학’의 확산시기이기도 하지만 일제의 문화통치기에 접어들면서 일본어 외에 조선어, 산술, 한문 등의 수업이 늘어나며 일본어 교육의 침체기에 들어서는 시기이다. 제3차 조선교육령기는 일제의 황국신민화 정책을 통해 일본어 교육의 반감과 고조된 반일 감정과는 달리 달아오른 교육열과 함께 피교육자 상당수가 일본어교육에 매달린 시기이기도 하다. 식민지 조선인들에게 일본어는 입신양명을 위한 주요한 수단으로 인식되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이 되기도 하였다.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식민지 조선의 교육정책의 근간이 되었던 조선교육령 공포 시기를 기준으로 어떠한 방식으로 일본어 교육이 이루어 졌으며 지역 별 해득 수준과 규모는 어느 정도였는지에 대해 분석하고 일본어 교육의 보급시기, 정체시기, 확장시기로 나누어 통시적 관점에서 그 실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아울러 당시의 시대적 분위기를 고려하여 ‘조선총독부관보’와 ‘신문자료’등의 사료를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In this paper, based on the period of promulgation of the Chosun Education Ordinance, which was the basis of education policy in colonial Chosun, the actual situation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 social education institution is summarized as follows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Through the 1st Chosun Educational Ordinance, education ideology and though were also taught to nurture loyal and good citizens through obligation of dumbing down policy and reading of the imperial Rescript on Education, and the 2nd Chosun Educational Ordinance, which was implemented during the period of cultural rule in the 1920s, deceived Chosun in the name of Japan’s internal extensionism and temporary movement, destroyed Chosun language in the academic system, and strengthened spread of Japanese. The 3rd Chosun Education Ordinance, which was enforced after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was a precursor to the war supplies from colonial Chosun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scription system for the youth of Chosun, reflecting the wartime system to create the Imperial people’s Generation who could obey the emperor. Finally, the 4th Chosun Education Ordinance, as a ‘wartime education ordinance’ resulted in a means of the training warriors for mobilization of the wartime system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the educational system. This thesis analyzes how Japanese language education was conducted based of the time of the Korean Education Ordinance promulgation, which was the basis of the education policy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colonial Korea, and the level and scale of acquisitions by region, and divides it into the period of dissemination, stagnation, and expansion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to understand its situation from a collective perspective.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atmosphere of the times at the tim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feeds such as ‘Gazette of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un’ and ‘Newspaper Data.’
다문화사회에서의 사회통합에 관한 사례연구: 독일 유아교육기관의 상호문화교육을 중심으로
이현미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7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8 No.-
본 연구에서는 우리보다 40년 앞서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독일에서의 사회통합 정책과 상호문화교육에 대해 살펴보았고 2000년 PISA 학업성취도 국제 비교연구 이후, 사회통합의 새로운 동력을 찾고 모든 아동들의 동등한 출발선을 보장하기 위해 이루어진 취학 전 교육기관의 개혁, 그리고 그 과정에서의 상호문화교육 강화 정책 및 독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상호문화교육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목적은 독일의 취학 전 아동들을 위한 상호문화교육 정책과 상호문화교육 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이제 막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되고 있는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시사점들을 도출하는 것이었다. 시사점들 중에서 중요한 것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문화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육기관은 일반 아동과 이주배경 아동을 위한 공동의 교육장소로서의 역할을 넘어서서 사회통합을 위한 장으로서의 역할을 확대하고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구심점이 되도록 한다. 둘째, 상호문화교육 교육과정이나 프로그램 개발 시 인위적으로 꾸며진 상황이 아니라 실제상황에서 삶에 필요한 내용을 배울 수 있도록 실제상황에서 핵심 주제를 찾고 실생활과의 연관성 하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편성한다. 셋째, 부모참여 활성화를 위하여 부모를 자원으로 인식하고 그들 자신의 상황과 자녀교육의 전문가로서 대우해 줌으로써 주체적으로 교육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든다. 또한 다문화 부모들이 우리나라에서 동등한 권리를 가지고 살아갈 수 있도록 이들을 지역사회에 통합시키고 사회적 네트워크를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부모들의 교육역량을 강화한다. 넷째, 유아기관 종사자들이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아동들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효과적인 상호문화교육을 실행할 수 있도록 단 기간의 연수가 아니라 지속적이고 내실있는 계속교육이 필요하다. 다섯째, 아동들이 불공정과 불평등 상황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 과정에서 편견에 대한 의식화와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반 편견교육을 실시한다. This study examined social integration policies and intercultural education in Germany, which entered multicultural society 40 years earlier than ours, and reviewed the 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in 2000. Then, it also reviewed the reform of preschool institutions, which was done to find a new driving force for social integration and to ensure an equal starting line for all children, the policy of strengthening mutual cultural education in the process, and the case of inter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German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practical implications when establishing multicultural policies for preschool children, developing curriculum, or operating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through examining Preschool Intercultural Education Policy and the cases of inter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Germany. The important results are as follows. 1.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at carry out intercultural education extend beyond their role as a common educational place for gener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migrant backgrounds, expanding their role as a forum for social integration and becoming the center of community networks. 2. When developing a curriculum or program for intercultural education, find key topics in real situations and organize them so that the meaning is found in relation to real life so that one can learn what they need in life, not in an artificially created situation. 3. Parents are recognized as resources for the activation of their parents' participation, and by treating them as the specialist of their own situation and their own children, the environment is created where they can participate in educational activities. And to help multicultural parents live with their equal rights in Korea, integrate them into local communities, expand social networks, and strengthen parents' educational capacity. 4. Continuous and sustained education is needed instead of short-term training so that early childhood educators can understand children with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and implement effective intercultural education. 5. Instruct children to talk freely about unfair and inequitable situations and actively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In this process, anti-prejudice education is needed to help them find out how to live while being conscious of prejudice.
洪性旭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4 漢字 漢文敎育 Vol.13 No.-
·사회교육이라 함은 다른 법률에 의한 학교교육을 제외하고 국민의 평생교육을 위한 모든 형태의 조직적인 교육활동으로 개인 또는 공동체 생활의 상황 흐름 속에서 즉각적으로 가치화되고 있는 학습을 생산하는 것이다. 이 범주에는 방송과 언론 매체를 활용한 것과 사회(평생) 교육원, 사설 학원 등의 교육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것, 학습지와 인터넷 컨텐츠를 이용한 것 등이 모두 포함되는데 다만 조직성·의도성·체계성이 미약한 우연적 교육과 무형식 교육은 제외된다. 시청각자료를 통한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를 환기시키고 그들의 주의를 집중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강한 학습 동기를 유발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학습에 임할 수 있도록 한다. 또 학습자의 질과 양의 폭을 넓혀서 학습의 효율화를 도모하고 학습 결과를 오래 기억할 수 있도록 하며 정확한 하고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도 한다. 이를 통해 볼 때 방송 매체를 활용한 한자·한문 교육은 사회 교육 차원의 한자·한문 목표를 성취하는 데 더없이 효과적이라 하겠다. 다만 교육 방송을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한자·한문 교육 관련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하여 보다 체계적으로 조직될 필요가 있으며, 정규 교육 과정기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의 경우 한문과 교육 내용 체계를 고려하여 이를 보완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짜여졌으면 한다. 평생(사회) 교육원은 많은 성인들에게 배움의 기회를 확대하여 그들의 지적·문화적 수준을 높이고, 직업적·사회적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평생(사회) 교육원을 통해 이루어지는 한자·한문 교육 프로그램은 자격증 취득 과정에 개설된 한자(한문)지도사과정과 四書나 『古文眞寶』 등의 동양 고전을 내용으로 한 교양 강좌가 있다. 그러나 교양 강좌는 학습자의 수준이 다르고 요구 사항이 달라 체계적이고 일관되게 강의를 진행하지 못하였으며, 자격증 취득 과정은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절대 時數 부족으로 효율성에 회의를 갖게 하였다. 까닭에 명확한 교육 목표를 설정과 교육 목표를 달성을 위한 보다 체계적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私設 機關의 한자·한문 교육 프로그램은 정규 교육과정과 연계된 것도 있고 각각의 독자적 프로그램도 있다. 체계화된 이들 프로그램은 사회 교육 차원에서의 한자·한문 교육의 역할을 비교적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몇몇 프로그램의 경우 수업 방식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는데 이를 잘 보완한다면 정규 교육의 보완 형태로 훌륭한 역할 수행이 될 것으로 보인다. 사회 교육이 시공간적 제약을 넘어 개인이나 공동체 생활 속에서 이를 필요로 하는 개인이나 집단에게 즉각적 가치로 제공되는 것이지만 정규 교과 과정의 보람이라는 현실적 상황도 도외시할 수는 없을 것이다. 까닭에 이를 교육하는 당사자나 학습하는 사람은 한문과 교과 내용체계에 대한 이해와 한자·한문 교육을 통해 이루게 될 실제적 가치를 아울러 구현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Social Education produces learning of immediate value as all kinds of organizational education activities for lifelong education under the circumstance of individual and community with the exception of school education by other laws. This category includes the use of broadcasting and mass media, lifelong education of a society, education of private institute, and the use of Learning material and contents. However, unexpected education and informal education, which are insufficient in the organization, intention, and systemization, are excluded. On the Account that learning through Audio and Video Education Aids evokes the interest of learners and attracts their attention, it encourages learning motive of leaners and leads them to the voluntary and active learning. In addition, it promotes efficiency of learning by enlarging the breadth of quality and quantity of learners, long distance memorization of learning result, and accurate thinking. In this regard,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and Writing can be said to be effective in accomplishing the goal of Chinese Character and Writing Learning in terms of Social Education. Various Chinese Character and Writing Education programs, offered by education broadcasting need to be systematically organized in consideration of leaners' level and interest. Especially, in case of program towards students of regular education courses, the programs, which can be complemented in the Chinese Character and Education Contents and Systems, should be established.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enlarges the opportunity of learning to many adults, enhances their intellectual and cultural level, and contributes to develop their ability in vocational and social ability. There are instructor cultivating Course of Chinese Character, opened in the License Acquirement, History Book, and Eastern Classics like 『Gu Wen Zhen Bao』 in Chinese Character and Writing programs through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ociety). However, on the grounds that the level of learners and their requirements are different in Educational programs, systematic and consistent lecture is not properly processed and the absolute lack of demand for accomplishing goal in the license acquirement course makes us feel suspicious of efficiency. As a result of it, more systematic programs in order to set up the clear education goal and attain the education goal needed to be provided. Some Chinese Character and Writing Education Programs are related to the regular education course, and the others are respectively independent programs. Systemized programs can be said to faithfully perform the role of Chinese Character and Writing in terms of Social Education. However, in case of some programs, the possibility of revision in the Instruction Application can be found. If we complete some deficiencies, it will play a remarkable role in the supplement of regular education. Even though social education is offered to individual and groups as an immediate value for the individual and community life, going beyond the restriction of time and space, the realistic circumstance to complement the regular curriculum course cannot be overlooked. Therefore, instructors and learners who are concerned in the education should seek for the direction which can establish practical value through understanding of Chinese Writing and the system of Curriculum Contents and Chinese character and Writing learning.
평생교육전담기관의 역사적 전개 과정-법제화 과정에서의 기관 구상과 설치를 중심으로-
전광수 한국성인교육학회 2017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0 No.2
본 연구는 평생교육의 법제화 과정에서 기관의 구상과 설치를 중심으로 평생교육 전담 기관의 역사적 전개 과정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평생교육법은 국가의 평생교육 진흥을 명문화하고, 국민의 학습권을 제도적으로 보장하는 조건 정비의 법적 근거를 제공한다. 더불어 조건 정비는 시대 변화에 대응하여야 하며, 법이 지양하는 바를 실질적으로 구현하는 주체가 된다는 측면에서 평생교육기관이 어떻게 변화를 거듭해 왔는지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다. 하지만 선행연구들은 평생교육법의 위상과 체계, 효력에 대한 연구나 법 제․개정 시기에의 의의와 쟁점에 관한 연구 등이 대부분이다. 이외에는 평생교육 전담 기관의 기능, 평생교육기관의 사례와 운영 전략 등의 연구가 있다. 즉 본 연구가 주목하고 있는 법 제정을 통해 정비하려던 평생교육기관은 어떻게 역사적으로 구상되었고 설치되어 왔는지 살펴본 연구는 찾아보기 쉽지 않다. 자료는 수집한 법안 전문과 문헌, 신문 및 잡지, 국회 및 국무회의 회의록 등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선행연구에 인용된 이차적인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우선 법제화를 통해 정비하려던 평생교육기관의 구상과 설치는 시대적 요구와 현장의 변화, 정부와 학계의 입장 속에서 그 특성이 다양하게 변화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유형도 다양하게 구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시대 흐름 속에서 법안의 제정 목적에 따라 문맹퇴치를 위한 성인교육기관에서 문화 시설 확충을 위한 사회교육기관, 향토관, 청소년 시설, 사회교육관, 평생교육 전담 기관 등으로 진화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현재는 법의 테두리 내에서 중앙과 지역으로 이어지는 전담 기관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는 평생교육 개념과 함께 유입된 평생교육 체제의 구축과도 연결되고,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앞으로는 평생교육 전담 기관의 역할을 더욱 강조될 것이다. 이를 통해서 법의 위상과 실효성이 보장됨은 물론, 국민의 실질적인 학습권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process of developing institutions in charge of lifelong education in history focusing on how to devise and install the institutions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law of lifelong education. Most of the advanced research, however, has only dealt with the status, system, or effect of the Lifelong Education Act, significance of the time for institutionalizing or revising the law, or issues related to it. Aside from that, the research has been only focused on the functions of institutions in charge of lifelong education or the cases or operational strategies of them. In fact, it is hard to find research that deals with how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have been devised and installed in history through legislation on their maintenance which this author pays attention to. This study has mainly analyzed the full text of the bills collected, literatures, newspapers and magazines, and minutes gained from the With the process, this author has drawn following results: first of all, regarding how to devise and install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through maintenance grounded on the law, they have been changed in many ways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time, changes in the field, or the positions of the government or academic circles. Also, the types have been conceived diversely. They have evolved in the forms of adults’ education institutions to eliminate illiteracy, social education institutions to expand culture facilities, county centers, adolescents’ facilities, social education centers, and lifelong education centers, and so on. In the future, centers in charge of lifelong education will have even more stressed roles. Wit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secure the status of the act effectively and also obtain the right of learning practically for the people.
강경애 한국성인교육학회 2020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3 No.1
The expansion of the number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expansion of the size of the institutions have made it possible to meet the needs of various learners and to increase access to lifelong education. As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seeking specific values seek survival measures to gain a competitive advantage, there is an isomorphic phenomenon of introducing socially recognized organizational forms and successful programs without considering the individuality and specificity of each institution. This study clarifies the context and conditions under which social justification for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to conform or disapprove of isomorphic is activated, and investigates whether isomorphic and de-isomorphic are circulating organically rather than stuck. Twelve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were selected for multi-case study. The results reveal conditions that affect conformity and nonconformity. First, in the case of the non-profit organization whose social legitimacy is recognized, it complied with the isomorphic pressure when the pursuit value and the operation reality were internally matched. In the case of institutions with independent decision-making authority, the institutions with secondary education cores didn't respond to the isomorphic pressure, but the primary institutions responded to the isomorphic pressure. The isomorphic pressure worked when the establishment of a socially justified external condition and the proximity of institutions with similar educational core were met. Simple geographic proximity without similarities did not. When human and physical resource limitations arise, all institutions are found to be affected by isomorphic pressure. Third, the isomorphic and de-isomorphic phenomena were found to circulate organically. The transition from isomorphic to de-isomorphic was based on internal capacity improvement, such as accumulating experiences and know-how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The return from de-isomorphic to isomorphic was found to be a choice to adapt to institutional resource shortages and policy and institutional changes. The isomorphic that appears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contributes to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de-isomorphic contributes to the quality improvement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평생교육 기관 수의 확대와 기관의 규모 확장은 다양한 학습자의 요구충족과 평생교육에 대한 접근성 확대가 이루어졌다. 특정한 가치를 추구하면서 설립된 평생교육 기관들이 경쟁우위를 차지하는 생존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각 기관의 개별성과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고 사회적으로 인정받은 조직형태와 성공한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동형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 기관이 동형화에 순응 또는 불응하게 되는 사회적 정당성이 활성화되는 맥락과 조건을 밝히고, 동형화와 탈동형화 현상이 고착되지 않고 유기적으로 순환하고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평생교육 기관 12곳을 선정하여 다중사례연구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동형화에 순응과 불응에 영향을 주는 조건은 첫째, 기관의 내부조건으로 기관 추구가치와 일치는 설립 주체가 비영리형인 가관은 일치하면 동형화 압력에 순응하였으며, 일치하지 않으면 불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결정권의 독립은 교육 핵심성이 이차적 기관은 동형화 압력에 불응하였으며, 일차적 기관은 동형화 압력에 순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관의 외부조건으로 영향을 주는 기관의 근접은 설립 주체와 교육 핵심성이 유사한 기관 간에는 동형화 압력에 순응하나 단순히 지리적 근접만으로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적․물적 자원의 한계는 설립 주체와 교육 핵심성에 상관없이 동형화 압력에 순응과 불응을 선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형화와 탈동형화 현상은 유기적으로 순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형화에서 탈동형화로 전환은 평생교육 기관의 경험과 노하우 축적 등 내적 역량향상이 기반이 되었으며, 탈동형화에서 동형화로 회귀는 기관의 보유자원 부족, 정책과 제도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교육 기관에서 나타나고 있는 동형화는 평생교육 기관의 양적 확대에, 탈동형화는 평생교육 기관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영선 한국성인교육학회 2011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4 No.4
본 연구는 고등교육기관에서의 노인교육과 노인들의 사회적 진출 및 역할을 교육당사자인 교․강사와 교육이수생의 시각에서 조망하여 사회효용적 측면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과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질적연구를 적용하였는바 그 분석결과는 첫째, 고등교육기관의 노인교육은 직업교육 및 재취업에 대한 기여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 되었다. 둘째, 노인교육이 인적․물적 자원이 풍부한 고등교육기관에서 실행됨으로 인하여 노인교육의 신뢰도와 체계성을 향상시켰으며, 유휴 노인인력을 활용한 자원봉사에 대한 의식을 고양하고, 사회전반의 노인인력 활용성에 대한 인식에 긍 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교육기관은 노인교육 교․강사의 전문성을 확보하지 못하여 사회효용적 측면에서 충분한 교육적 성과를 볼 수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고등교육기관에서는 노인교육에 직업능력 상승을 위한 교육을 보완하여 노인의 재취업 기회와 사회적 역할 확대에 연계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고등교육기관에 노인교육재정지원을 확대하여 평생교육영역 노인교육학 석사 및 박사과정을 설치해 부족한 노인교육 전문 교․강사를 확충해야 한다. 셋째, 고등교육기관에서의 노인교육은 노인의 패러다임 변화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고등교육기관에서 의 노인교육이 노인의 자립능력과 사회적 역할 상승에 기여하기 위해서 노인교육에 대한 기반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함을 제안한다.
교육기관 직장인의 자아분화와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김성은(Kim Seong Eun),박은민(Park Eun Min)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8 복지상담교육연구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influence of education institution employees self-differentiation upon active stress coping strategy.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y are as follows. In consequence of analyz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education institution employees self-differentiation, active stress coping strategy and social support, a social suppor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institution employees self-differentiation and active stress coping strategy. This study confirmed correlation among education institution employees self-differentiation, active stress coping strategy and social support and clarified that a social support, which is an individual s environmental factor, has partial mediation. A social support can be known to be a psychologically․emotionally important factor in understanding education institution employees active stress coping strategy. These results can help relieve stress through an active response, which is an efficient way to cope with stress in the workplace. This could help develop the stress mediation program. 본 연구는 교육기관 직장인의 자아분화가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G지역에 근무하는 교육기관 직장인 3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교육기관 직장인의 자아분화와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를 중다회귀 분석한 결과, 사회적 지지는 교육기관 직장인의 자아분화와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기관 직장인의 자아분화,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에 대한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고, 개인의 환경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가 부분매개 한다는 것을 밝혔다. 즉, 사회적 지지가 개인이 속한 사회의 관계망 속에서 경험하는 긍정적 자원으로써 교육기관 직장인들에게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를 이해함에 있어 심리․정서적으로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직장인의 효율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인 적극적 대처방식을 통하여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으므로 이에 필요한 스트레스 중재프로그램 개발 및 상담 진행을 통해 스트레스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유아 인성함양을 위한 지역사회 교육 네트워크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서희전(Suh, Hee Jeon),김혜정(Kim, Hye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kindergarten and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for building and activating the community education network for character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4 kindergarten teachers and 250 child care teaches who work in 10 regions of the country and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41 i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purpose of young children’s character education through community education network, it appeared in order of social norms acquisition, attitude without prejudice, and morality. Moreover, both kindergarten and child care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the community education network for young children’s character education very high, but the execution of the network was relatively low. Second, as a result of present status of community linkag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s character education, both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s were actively engaged in the community service of young children and the educational activities using local resources and using local institutions and facilities. Third, as for the demand for the activating the community education network, at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aspect, teachers needed to provide relevant training and education for the teachers, supplement the teachers who work betwee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community, secure budget and establish a regional cooperative system. At the community aspect, they requested to provide the program information and to place a instructor of the regional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the activation of the community education network as an alternative system for the character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인성함양을 위한 지역사회 교육 네트워크 구축 및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유아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에 2017년 11월 10일 부터 2017년 11월 30일까지 총 41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전국 10개 시·도 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배포, 수합하였으며 이중 344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사회 교육 네트워크를 통한 인성교육의 목적은 사회규범, 편견 없는 태도, 도덕성 함양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유아 인성교육을 위한 지역사회 교육 네트워크가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시행수준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교육기관별 실행도 차이를 보면 학부모의 협조의지와 전문 기관 및 인력과의 협력은 유치원이 어린이집보다 높게 나타난 반면, 지역연계 교육을 위한 규정 및 법규 제정의 경우 어린이집이 유치원 보다 실행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인성교육을 위한 지역연계 활동 현황을 보면 유치원과 어린이집 모두 유아의 지역사회 참여 및 봉사, 지역자원을 이용한 교육활동, 지역기관 및 시설을 활용한 교육활동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지역 사회 교육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요구사항은 유아교육기관 차원에서는 교사를 위한 관련연수 및 교육, 전담교사 인력보충, 예산확보, 지역협력체제 마련이 요청되었고, 지역사회 차원에서는 지역사회 기관 및 단체의 프로그램 정보 제공과 지역사회 기관 및 시설의 전담 교육담당자 배치가 요청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 인성교육의 대안적 체제로서 교육 네트워크를 활성화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