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朝鮮時代 日記資料와 『秋淵先生日記』

        黃渭周 (Hwang, Wee-zoo) 대동한문학회 2009 大東漢文學 Vol.30 No.-

        본고는 조선시대 일기자료의 전체적 현황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현존하는 일기자료의 전체적 흐름 속에서 『추연선생일기』가 구체적으로 어떤 특징과 가치를 지닐 수 있는지 검토해 보았다. 조선시대 일기자료는 대략 1600여 종 정도 남아 있었다. 작성 주체는 대부분 개인이었지만, 중앙관청과 지방관청 및 공동체 일기도 일부 확인할 수 있었다. 작성 시기는 14세기부터였고, 16세기부터 중요한 일기가 본격적으로 등장하였기 시작하였으며, 19세기에 일기 작성이 가장 왕성하였다. 기록 내용은 관청의 운영 상황부터 개인의 체험 및 집안의 몇 대에 걸친 종합일기까지 참으로 다양하였다. 『추연선생일기』는 조선시대 일기자료 가운데 벼슬살이와 관련된 사환일기의 성격과 개인 생활일기의 특징을 함께 갖추고 있었다. 그리고 시기적으로 조선전기에 작성된 것일 뿐만 아니라 동서분당 초기의 미묘한 상황을 기록한 것이란 점에 일차적으로 중요한 가치가 있었다. 기록 내용에 있어서는 다른 곳에서 확인하기 어려운 다양한 개인정보와 중요문서 및 그 당시 정치상황에 직결된 처분 내용ㅇ르 다수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 특별히 주목되었으며, 이 때문에 개인의 사적 기록에 그치지 않고 광범위한 독자층을 확보하였다는 점도 보통 일기와 구별되는 특징으로 생각되었다. This paper introduced the overall status of diary material of Joseon period in brief and examined what kinds of values and characteristics does 「Chuㆍyeonㆍseonㆍsaengㆍilㆍgi」 have in the general current of exiting diary material. More than 1,600 Joseon period diaries are left now. Most of writers are individuals while some of diaries were written by central government offices, local government offices and communities. They were written from the 14th century. Diaries of importance had appeared from the 16th century and the 19th century saw the peak time of diary writing. The contents are very diverse including individual experiences, operation conditions of government office and family diary over several generations. 「Chuㆍyeonㆍseonㆍsaengㆍilㆍgi」 has the characteristics of private living diary as well as official life diary. As for the time, it has a significant value in that it was written in the early Joseon and recorded the subtle political situations in the early stage of Dong-Seo party split. As for the contents, it is worth noticing specially in that it includes various private information and important document and the proceedings directly linked to political situations of those days, which are rarely found in other diaries. Therefore, 「Chuㆍyeonㆍseonㆍsaengㆍilㆍgi」 won wide range of reader groups, not remaining as a mere individual recording. It could be another distinction from common diaries.

      • KCI등재

        사환일기와 관직생활

        황재문(Hwang, Jae-moon) 대동한문학회 2009 大東漢文學 Vol.30 No.-

        본고는 사환일기를 통해 관직생활의 실상과 일기자료의 특성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사환일기 전체를 다루는 것이 효율적이지 않다고 판단하여, 관직생활의 특수한 부분인 암행어사 활동을 다룬 일기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 가운데 암행어사의 활동이 상세하게 드러난 박만정의 『海西暗行日記』(1696)와 박내겸의 『西繡日記』(1822)를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일기의 분석을 통해 암행어사 활동의 구체적인 방식과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두 편의 일기에 기술된 활동 양상 및 과정에는 적지 않은 차이가 있음도 확인하였다. 특히 숙소를 구하는 등의 활동 자체의 어려움에 대한 기술이 『해서암행일기』에 많이 나타난다면, 『서수일기』에는 명승지와 자연 경관에 대한 묘사와 암행어사 자신의 감회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이밖에 인원, 기간, 준비 과정 등의 차이가 있으며, 상세한 장면 묘사가 이뤄지는 일화의 차이도 살필 수 있었다. 본고는 두 일기의 차이가 실제 활동의 양상을 반영하는 것이면서, 동시에 상당부분은 ‘일기’자체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서술의 초점 차이로 해석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즉 공식적인 암행어사 활동 보고서와 별도로 작성되는 까닭에, 저자의 특별한 목적과 의도가 일기의 성격을 규정하고 그것이 기술내용의 차이로 드러나는 것으로 파악한 것이다. 이에 따라 박만정의 일기에서 민간의 풍속을 포폄하는 의도가 강하다면, 박내겸의 일기에서는 자신의 활동과 감상을 그대로 기술하려는 의도가 강하다고 파악하였다. 이는 각각의 일기에서 실제 기술에서의 취사선택과 재구성의 근거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할 수 있다. In this paper, I tried to find out the real life of bureaucra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iary on bureaucrat in Choson period. And from this,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diary in the traditional meaning. But the traditional diary on bureaucrat have so many kinds, so I focused on the diary on ‘secret royal commissioner’, a subgenre of it. So diaries what I mainly analyzed in this paper is “Haesu-Amhaeng-ilgi”(海西暗行日記, written by Park Man-jung in 1696) and “Sedsu-ilgi”(西繡日記, written by Park Rae-gyoum in 1822). From the analysis of two diaries, I could check out various aspects of activity performed by secret royal commissioner. At the same time I found out some differences between two commissioners. I think these differences are occurred by multiple causes and origins. For example, the main difference of activity was decided by changes of political system. But it was not the only cause, and the different political position of two commissioners was the other cause. From the literary viewpoint, I concluded that som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diaries were occurred by the difference of descriptive focus of authors. Because ‘the traditional diary’ was not fixed genre at that times, authors could describe all subjects and anecdotes without limits. In the case of style, the situations were the same. So Park Man-jung focused on the descriptions of customs and morals, Park Rae-gyoum focused on his own experiences and impressions about sights and anecdotes.

      • KCI등재

        조선시대(朝鮮時代) 사환일기(仕宦日記) 연구(硏究) -박래겸(朴來謙)의 『서수일기(西繡日記)』를 중심(中心)으로-

        박영호 ( Young Ho Park ) 동방한문학회 2010 東方漢文學 Vol.0 No.45

        This paper consider carefully the diary of a career official in the Joseon dynasty around Park Naegyeom(朴來謙)`s 『Seo-su Diary(西繡日記)』. Through the deeds of his predecessors and writing, I examine his work, analyze 『Seo-su Diary(西繡日記)』 and study its character and its peculiarity. The diary is the only book which transcribed by hand, and it is written in the printed style. Park Naegyeom`s life is classified as the three season. From 30 to 58, it is called a career official time. Before that time, it is called the study season, and after that time, it is called the old age. 『Man-o You-go(晩悟遺稿)』 is his posthumous work, 『Seo-su Diary(西繡日記)』 is an undercover emissary of the king`s record, 『Buk-mak Diary(北幕日記)』 is a Buk-pyeong-sa(北評事)`s record, 『Sim-sa-rok(瀋차錄)』 is a Seo-jang-gwan(書狀官)`s record, etc. In the 『Seo-su Diary(西繡日記)』, it has been recorded a broad variety of experience as a career official. This diary surveys a career official`s reality awareness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his thought of literary, the phases of the times, and a cultural style in those days. 『Seo-su Diary(西繡日記)』 has diverse forms and an abundant content, and the importance of those days record. It is used as research material about social and culture in the former part of 19th century. Its depiction is detailed and honest. Getting out of a simple idea, It reflects his consciousness. In the conclusion, 『Seo-su Diary(西繡日記)』 has diverse characteristics. For example, a career official diary`s character, reality, veracity, and etc.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study on the writer and the time.

      • KCI등재

        조선 시대 일기 자료의 실상과 가치

        최은주 (Choi, Eun-ju ) 대동한문학회 2009 大東漢文學 Vol.30 No.-

        본 논문은 조선시대 일기 자료 가운데 개인 일기 중심으로 그 전반적 현황과 관련된 지식정보 구축 및 연구 성과를 조사 검토하여, 현재 남아있는 무수한 기록유산들 가운데 개인 일기 자료들이 어떤 형태와 모습으로 남아있으며 그 가치와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먼저, 일기 내용과 형식을 고려하여 유형별로 분류 개괄하였는데, ①종합생활 일기, ②사환일기, ③유배일기, ④기행일기, ⑤사행 일기, ⑥전쟁 일기, ⑦사건 견문일기, ⑧독서 강학일기, ⑨고종 상장례 일기 등 약 9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 각각의 일기들은 그 유형마다 기록목적과 주요 내용에 따라 그 나름의 특징적 면모와 다양한 기록형태를 형성하고 있었다. 조선시대 일기자료 현전과 관련하여 살펴 본 조선시대 일기 자료에 대한 지식정보 구축 상황은 대체로 일기자체에 집중된 것이 아니라 목적 지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지식정보 구축 속에서 일부분으로 이루어졌으므로, 하나로 연결되지 못하고 이리저리 흩어져 있어 현재로서는 일정한 한계가 있어 보였다. 그렇지만, 일기 자료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반영이라도 하듯 온라인의 기관 웹페이지나 오프라인의 기획 출판물 등 지식정보 구축이 지속적으로 확충되고 있는 것은 분명하였다. 일기 자료 연구는 자료발굴에 따른 가치 분석의 성과와 사료중심의 심화 연구로 대략 구분이 가능했다. 대개 자료 발굴과 관련해서는 시대적 흐름이 크게 중요하지 않았던 반면, 사료 중심의 심화 연구 측면에서는 특히 2000년대 들어서면서 더욱 활성화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미시적 일상 생활사 연구의 붐을 타고 연구 자료로서 적극 활용되었기 때문이었다. 조선시대 일기자료에 대한 지식정보 구축과 연구는 자료 경계 확장의 욕구를 토대로 상호간을 부추기며 지속적으로 그 저변을 확대해가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 조사 개괄한 약 950여권의 개인 일기는 전통시대 기록유산이란 점에서 일단 자료적 가치를 확보하였으며, 그 다음부터는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접근하느냐에 따라 가치와 의미가 유동적으로 달라지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저마다 다른 개인이 자신의 시각에서 기록한 것이기에, 무엇을 볼 것인가에 따라 일기 자료의 가치는 다각도에서 끌어낼 수 있으며 어느 일기에 어떻게 접근하느냐에 따라 연속적 재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보였기 때문이다. 일부 시각에서는 역사 사료로서의 객관성 여부를 문제 삼기도 하지만, 자료 활용과 연구는 연구자의 몫이라는 측면에서 그러한 한계 때문에 일기 자료 자체의 가치와 의미가 퇴색될 수는 없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d the overall state of diary material of Joseon period, centered on private diaries and reviewed the performance of researches and informatization efforts. This paper aimed to find the forms and aspects of those diary material and know their values and meanings. The diary material can be classified into nine types by the contents and forms: ① common living diary, ② official post diary, ③ exile diary, ➃ travel diary, ➄ envoy diary, ➅ war-time diary, ➆ experience diary, ➇ reading diary, ⑨ deathbed diary. Each type has its own characteristics and versatile recording methods according to its purposes and main contents. There is no informatization system set up only for Joseon's diary material. Diary material are just forming parts of many informatization efforts with various purposes, not being linked together. However, as if it reflects the hot interests on diary material, informatization systems including websites of institutes or offline publications have surely been expanded. Diary material researches are composed mainly of the value analysis of discovered material and the depth study centered on historical documents. While material finding has not been different over the time periods, historical documents-centered depth studies have been activated especially more from 2000. It is because diary material were used widely as research material along with microscopic life history research boom. The research on Joseon's diary material and informatization system building continue to expanding their bases, encouraging each other, based on the common needs to extend boundaries. This paper examined 950 and more private diaries. They have basic value as conventional documentary legacy and could have different values and meanings according to how and from where they were approached. As diaries were written by different peoples and from their own viewpoints, their values could change from readers' viewpoints and the consecutive reproductions would be possible by readers' approaches. Some people doubt the objectivity of diaries as historical documents. Nevertheless, diaries' values and meanings cannot be cut down because the use and research of material is the researcher's job.

      • KCI등재

        奎章閣 소장 『從宦日記』의 저자 고증 및 사료적 가치

        곽지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3 규장각 Vol.63 No.-

        본고에서는 道園 金弘集(1842-1896)의 저작으로 잘못 알려져 왔던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從宦日記』의 저자를 約山 金炳德(1825-1892)으로 올바르게 고증하고, 『종환일기』의 내용과 그 사료적 가치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종환일기』는 책의 말미에 적혀 있던 ‘金弘集從宦錄’이라는 문구로 인해 긴 시간 동안 김홍집의 저서로 잘못 알려져 왔다. 그러나 『종환일기』의 내용을 김홍집의 다른 일기인 『以政學齋日錄』, 『從政日記』와 함께 검토해 보았을 때, 이 일기들은 같은 저자의 것으로 볼 수 없다. 또한 『承政院日記』와 비교한 결과 『종환일기』의 내용은 그 전체가 김병덕과 관련된 것이었다. 따라서 『종환일기』의 저자는 김홍집이 아닌 김병덕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책에 붙어있는 첨지로 보아 『종환일기』는 김병덕의 문집 간행을 위한 초기 자료이며, 1883년-1884년의 기록 이외에도 유실된 『종환일기』가 더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 저자 김병덕은 親生子가 없었기에 사후에 문집 간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그 결과 저자와 관련된 자료가 다수 산일된 것으로 보인다. 『종환일기』의 저자가 잘못 알려진 원인은 분명하지 않으나 자료들 간 교차검증이 어려웠던 과거의 상황에서 이 책이 성씨의 한자가 동일하고 유사한 시기 고위 관직을 역임하였던 金弘集의 저술로 오인되기 시작하였고, 이후 작성된 여러 해제에서 잘못된 저자 정보를 답습하였을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다. 김병덕은 안동 김씨 출신으로 개항기 조선에서 고위 관직을 역임하였던 인물이었으나, 구체적인 행적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하였으며 문집 역시 남아있지 않다. 그러나 『종환일기』에는 1883년에서 1884년 사이 김병덕의 구체적인 행적 및 의론이 드러나 있으며, 당시의 시무에 대한 김병덕의 의견을 『승정원일기』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향후 김병덕의 행적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 기대된다. 『종환일기』는 敦諭, 袖箚, 箚子, 筵說 등을 담은 본문과 외국 사신과의 회담, 행사 참석자 목록 등을 담은 주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종 대 『승정원일기』의 결락 부분을 보강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며, 『승정원일기』와 동일한 주제를 다루면서도 해당 주제에 있어 김병덕의 시점에서 보충한 보다 미시적인 내용들이 등장하기도 하여 그 사료적 가치가 크다. 주석의 내용 중 외국 사신과 나눈 회담의 내용 역시 주목할 만하다. 그중 상당수는 의례적 수사에 그치나 일부 대목에서 조례의 개정에 대한 조일 간 의견차 등을 확인할 수 있기에 개항기 외교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생각된다. In this paper, the author of Jonghwan Diary(宦從記日), which has been mistakenly known as the work of Kim Hong-jip(金弘集), will be properly verified. Also, the contents of Jonghwan Diary and its historical value will be discussed. Jonghwan Diary has been mistakenly known as Kim Hong-jip's book for a long time due to the phrase that written at the end of the book. When comparing the contents of Jonghwan Diary with Kim Hong-jip’s other diaries, however, it cannot be seen as the diary of the same author.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ontents of the Jonghwan Diary with the contents of the Seungjeongwon Diary(承政院日記), the whole contents deal with the Kim Byeong- deok(金炳德).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regard the author of Jonghwan Diary as Kim Byung-deok. Considering the contents of the attachment to the book, Jonghwan Diary appears to be the initial publication material of Kim Byung-deok’s collection, and it is estimated that there will be more lost Jonghwan Diary in addition to the records from 1883 to 1884. Since the author Kim Byung-deok did not have any child, it is estimated that a large number of materials for the publication of the collection were scattered without the smooth publication of the collection after his death. It is not clear why the author of Jonghwan Diary is mistaken, but it can be assumed that the author’s collection began to be mistaken. Kim Byung-deok served as a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 in Joseon, but there are currently no collections of writings left, and his specific activities have not been relatively noted. It is expected that Jonghwan diary will be an important material for Kim Byung-deok’s personal research in the future, as it can confirm Kim Byung-deok’s specific activities and discussions between 1883 and 1884 and his opinion on pending issues not listed in the Jonghwan Diary. The Jonghwan Diary consists of a text containing many speeches, as well as notes containing meetings with foreign envoys and lists of participants in the event. In the case of the text, it is an important material to reinforce the missing part of Seungjeongwon Diary, and while dealing with topics such as Seungjeongwon Diary, more microscopic contents supplemented from Kim Byung-deok’s point of view appear, so it is of great historical value. Among the contents of the chairman, many of the talks with foreign envoys are also noteworthy, but some parts are important data for diplomatic research during the opening period as they can see differences in opinions between Japan and Joseon on the revision of the ordinance.

      • KCI등재

        조선후기 충청도 관찰사의 사환과 역할:심이지(沈頤之)의 『금영일기(錦營日記)』를 중심으로

        임혜련(Hye-Ryun Lim)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21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 No.60

        『금영일기』는 영조-정조년간 활동하였던 심이지(沈頤之)가 1780년(정조 4) 충청도 관찰사로 재임하였던 기간 동안의 업무를 기록한 사환일기이다. 『금영일기』는 심이지가 전직 경주 부윤으로 재직 중 충청감사로 임명되어 부임지인 공주감영에 도착하기까지의 여정, 이후 지역 외관들을 만나고, 형정과 포폄등 업무를 담당하였던 사항, 충청좌도와 우도로 순력을 다녀온 후 신임 관찰사와 교대한 후 한양까지 돌아가는 과정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과정들이 관련 의례를 통해 구현되어 관찰사가 왕권의 대행자로서 도를 통치하는 권한이 부여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해준다. 『금영일기』를 통해 관직제도로서 관찰사, 관직자로서 관찰사의 역할, 관찰사가 수행하였던 각종 의례, 순력한 지역의 위치와 충청도의 진관 구성 및 각 지역의 특수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조선시대 중앙의 통치력이 지방에 미치고, 국왕 중심의 관료체제를 의례를 통해 의식화된 양상과 관찰사의 일상생활을 알 수 있었던 계기가 되었다. 『Geumyeong Diary(錦營日記)』 is a work diary of a provincial governor. Sim Liji (沈頤之), who was active during the years of King Yeongjo and King Jeongjo, recorded it while working as a provincial governor in Chungcheong-do. As described above, through 『Geumyeong Diary』,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role of a provincial governor as a government official, the role of a provincial governor as a civil servant, various ceremonies performed by the inspector, the location of the region, the composition of the official office of Chungcheong-do, and the peculiarities of each region. Also, it was found that the central government of the Joseon Dynasty extended to the provinces, and the bureaucracy centered on the king was made conscious through rituals. This made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 local governance system and order of the Joseon Dynasty, as well as the daily life of the provincial governor.

      • KCI등재

        기획주제: 여행의 역사 -여행과 한문학1 : 조선시대 관료의 공적 여행과 그 기록 -만오(晩悟) 朴來謙의 경우-

        박영호 ( Young Ho Park ) 동방한문학회 2014 東方漢文學 Vol.0 No.59

        박래겸은 일찍이 과거에 급제하여 내외직에서 근무하던 중 평안도 암행어사, 함경도 북평사, 심양 문안사 서장관, 연경 동지사 부사 등으로 차출되어 특정한 임무를 수행하였는데 이 때 체험하고 견문한 내용을 일기와 한시로 기록하였다. 일기는 개인이 일상적 생활을 영위하는 가운데 겪은 내용을 날짜별로 기록한 자료이며 그 형식은 산문이고 수필문학의 범주에 해당된다. 박래겸의 『西繡日記』, 『北幕日記』, 『瀋차日記』는 관인으로서 특정한 공무를 수행하는 가운데 사적으로 기록을 남긴 경우에 해당하므로 仕宦日記로 규정할 수 있다. 朴來謙의 일기는 언어·신앙·풍속·사회 실상에 대한 官僚史, 生活史, 地方史, 地域史 등의 연구에 있어서 일반 문헌에서는 볼 수 없는 정보를 많이 제공해주고 있으므로 자료적 가치가 높다. 그리고 그의 문집과 일기는 아직 간행되지 않은 채 필사본 상태로 남아있기 때문에 원본으로서의 가치를 보존하고 있다. 朴來謙이 관료로서 공무를 수행하며 남긴 日記와 漢詩는 19세기 전반기의 정치, 사회, 외교, 역사, 문화, 문학 등 다방면의 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 의의를 지닌다. 내용이 다양하고 풍부할 뿐만 아니라 자신이 직접 견문하고 경험한 當時를 사실대로 기술한 것이므로 當代 자료로서의 가치를 높이 평가할 수 있다. 거기에는 체험의 구체성과 정서의 진솔한 표출, 문학·역사·외교·문화의 유기적 결합, 사실적 기록과 구체적 描寫의 혼합 등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단순한 사실의 기록을 넘어서서 작가의 의식을 진솔하게 기술함으로써 眞實性이 두드러진다. Park Raegyeom(朴來謙) had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early and he carried out particular assignment as Pyeongando secret royal inspector, Hamgyeongdo Bukpyeongsa, Simyang Munansa Seojanggwan and Yeongyeong Dongjisa Busa etc. At that time, he recorded diary and Chinese poetry that he had experienced and observed. Diary is an important document that person records an everyday life according to date. The form is prose and it falls into the essay literature category. He had left behind record personally in performing government affairs as a official, so Park Raegyeom(朴來謙)``s 『Seo-su Diary(西繡日記)』, 『Buk-mak Diary(北幕日記)』 and 『Simsa diary(瀋차日記)』 were defined as the diary of a career official. The diary and Chinese poetry which he left while he performed particular assignment as a career official were valuable materials in various fields - history, society, politics and literature. This recorded document is able to evaluate the material value highly of the day, because it is arranged and described by the author``s awareness and social change frankly in fact what he saw, heard, and felt himself. Park Raegyeom(朴來謙)``s diary and Chinese poetry included different fields such as politics, society, diplomacy, history and culture of the early of 19th century, so it is useful to study of career official history, life history, local history and regional history. It has worth as a diary with different and plentiful contents, also has the note of literary value through honest expression of experience and emotion, organic combination of literature, history, diplomacy and culture, realistic record and detailed description.

      • KCI등재

        갑오․을미년 한 지방관의 소신과 기록–수당 이남규의 영흥 부사 시절–

        서성준 근역한문학회 2020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56 No.-

        In order to take a lesson from the past, this paper examines the activities and beliefs of Su dang Lee Nam-gyu(1855-1907), who served as governor of Yeongheung in 1894 and 1895, when the Joseon Dynasty was coming to an end. Based on ‘Gabo Diary’ and ‘Eulmi Diary’, both of which are the records written by Su-dang as governor of Yeongheung, and 50 related poems, this paper considers, by looking into a period of 15 months, during which Su-dang governed Yeongheung, his activities and thoughts, orientation and conviction, resignation and retreat, and response to the reality as a Confucian intellectual. Su-dang’s achievements, based on his beliefs, in Yeongheung a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First, ‘the stabilization of people’s livelihood’ and ‘the prohibition of mining’. He tried to be a symbol of hope and a fortress for his people against difficulties through abolishing mines, even before he reached Yeongheung, as well as endeavoring to improve people’s lives under the threat of various disastrous accidents. Second, ‘the tightening of discipline among his people’ and ‘the reinforcement of national defense’. He tried to manage to maintain Yeongheung, birthplace of the dynasty and a key stronghold of the country, as a province which held prosperity and martial arts in high regard. Third, ‘the encouraging of Confucian spirits and cultural education’. Su-dang transformed negative perception of the Gwanbuk area, the northeastern part of Korea’ into new positive symbol of hope and expectation. He tried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those days by supporting the spirit of Confucian scholars and boosting education and culture. Fourth, ‘dissenting from ‘queen expulsion order’ and then voluntary resignation‘. After the ‘Eulmi Incident’, Su-dang urged the government to take their revenge on Japan. And he also dissented from ‘queen expulsion order’. But his opinion was not accepted. Then, he resigned from governor and went back to his hometown. In the face of many chaotic accidents in Gabo and Eulmi years, Su-dang clearly defined himself as a Confucianist and lived up to his faith derived from learning Confucianism. His firm faith and behavior in life—sense of honor, independent attitude, confrontation with his duty instead of avoiding it—really mean a lot to us today. 본고는 우리의 지난 역사를 거울로 삼고자, 구한말 국권 침탈기 갑오년(1894), 을미년(1895)에 영흥 부사를 지냈던 修堂 李南珪(1855~1907)의 행적과 소신에 초점을 맞추었다. 수당의 영흥 부사 시절의 기록인 <갑오일기>와 <을미일기>, 관련된 50여 편의 시문을 자료로 하여 영흥 부임 경위부터 사퇴까지의 15개월여를 살펴 시대상, 수당의 행적과 사상, 내면과 정서, 지향과 소신, 사퇴 경위, 유교 지식인으로서의 현실 대응을 고찰하였다. 수당의 영흥 부사로서의 행적과 소신을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대별할 수 있다. 첫째, ‘民生 수습과 광산 철폐령’. 수당은 각종 사건과 재난시 民生 구호 및 수습에 진력하였고 임소에 도착하기 전 광산 철폐령을 감행하는 등, 영흥 지역 백성들에게 福星이 되고 反風之政을 펼치고자 노력하였다. 둘째, ‘豐沛之鄕과 尙武之地의 전통’. 수당은 조선 왕조의 발상지이자 關防 요충지인 영흥에서 역사적 전통과 지역적 특성을 유지하고 계승하려 노력하였다. 셋째, ‘儒風 진작과 文敎 장려’. 수당은 關北에 대한 자신의 부정적인 시각과 인식을 교정하여 이곳에 기대를 걸었다, 곧 관북의 儒風을 진작하고 文敎를 장려하여 학문의 힘으로 당대 현실의 혼란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넷째, ‘廢后 勅命 반대와 自劾’. 수당은 乙未事變 때 복수설치를 주장했으며, 폐후 칙명을 반대하였다. 그러나 소신이 용납되지 않자 스스로를 탄핵하여 벼슬을 던지고 낙향하였다. 수당은 갑오년과 을미년의 혼란 속에서 유교 지식인으로서 자신의 직분을 명확히 인식하고 그 소임을 다했으며 그 배운 바를 소신껏 실천하였다. 그의 의리 정신, 자주적인 태도, 책임을 회피하지 않고 감당하고자 했던 삶의 자세는 오늘날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등재

        任弘望의 제주 목사 일기 고찰

        이주연 영주어문학회 2024 영주어문 Vol.56 No.-

        任弘望(1635 ~1715)은 조선 후기 아산 출신의 문인으로, 81세로 생을 마칠 때까지관직 생활을 했던 인물이다. 그는 자신의 관직 생활에 관한 이야기 전반을 기록해 官職日記 를 저술하였다. 이는 1674년부터 1689년까지 임홍망의 15년 관직 생활이 담긴기록물이다. 1680년 임홍망은 제주 목사로 부임하며 1년 반의 임기 동안 ‘제주 목사 일기’를 저술하였다. 그 내용은 제주와 육지의 왕복 여정, 巡歷을 통한 제주 風情 관찰, 한라산유람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먼저는 官人 임홍망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직접 도내를 순시하며 제주의 風土와 백성들의 형편을 살펴, 상정법을 제정해 도민들의 신역을 줄여주고자 하였다. 또 낯선 섬에 적응해가는 육지인 임홍망의 모습도찾아볼 수 있었다. 그는 제주를 오고 가는 항해 여정 중 표류했던 경험, 제주의 여러명소를 방문하고 느낀 소회를 육지인의 입장에서 여실히 기록하였다. 이는 17세기 제주의 일면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자료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제주 목사 임홍망과 그의 제주 목사 일기를 처음으로 학계에 소개하여 또하나의 새로운 제주 관련 자료를 검토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이는 임홍망 개인 행적은물론, 당시 제주의 풍토와 지역민들의 생활 제반에 대한 증언자료로서 유의미한 자료가 될 것이다. Yim Hongmang (任弘望, 1635~1715) is a literatus born in Asan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who served in the government until hisdeath at 81. He chronicled the entirety of his official career in a workentitled Gwan-jik-il-gi (官職日記). In particular, the work covers thefifteen years of Yim Hongmang’s official career from 1674 to 1689. In 1680, Yim Hongmang was appointed as the governor of Jeju wherehe authored the “Jeju governor diary” during his year-and-a-half term. The content of this diary can be summarized as the round-trip journeysbetween Jeju and the mainland, the observations of the Jeju customsthrough inspections, and the explorations of Halla-mountain. Throughthis, we can first observe the characteristics of Yim Hongmang as agovernment official. After personally inspecting the province andexamining the customs of Jeju and the circumstances of its people, heestablished regional regulations to reduce the burdens of the Jeju people. We can also witness the traces of Yim Hongmang, who is originally fromthe mainland, adapting to the unfamiliar island of Jeju. He vividlyrecorded the experience being adrift during the voyages to and fromJeju and the reflections of a mainlander visiting various attractions inJeju. This allows his diary to be considered a new source of informationthat provide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a facet of Jeju in the17th century. This paper contributes a new piece of Jeju-related material byintroducing Jeju Governor Yim Hongmang and his diary as the Jejugovernor to the academia for the first time. This serves as a meaningfulevidence regarding not only the personal traces of Yim Hongmang butalso the customs and general life of local residents of Jej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