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士人들의 지리산유람을 통해 본 士意識* -15∼16세기 지리산 유산기를 중심으로-

        최석기 우리한문학회 2009 漢文學報 Vol.20 No.-

        This article is an investigation of the seven person's Sa-awareness(士意識) through analyzing their Mt. Ji-ri Climbing Writings which was written in 15∼16th Century. The two men of Yi, Ryuk and Byun, Sa-jeong's Sa-awareness was not found in Mt. Ji-ri Climbing Writings, however, the rest five scholars' things could be summarized next five peculiar categories; ① A criticism for Buddhism & Shamanism, ② A real world awareness for administrating the state to relieve the people's suffering, ③ A recollections of the history, ④ A self-reflection and cultivating mind, ⑤ awareness upon territorial heritage. Among them, it could be found the Sa-awareness in the writings of Kim, Jong-jik, Nam, Hyo-on, and Kim, Il-son except the category of ④. Moreover, Jeong, Yeo-chang who traveled with his friend Kim, Il-son, he showed us the definite Sa-awareness so I could found easily his own man of virtue features. But in the case of Jo, Sik, it was obviously different from the new rising powers(新進士林) in the categories of ③ and ④. It was influenced from the learning method of moral culture which was the specialty of Taoism in 16th century. But It showed us only ① and ② in the case of Yang, Dae-bak's Sa-awareness, because he had a different character from Yeong-nam province scholars like Jeong, Yeo-chang or Jo, Sik. It is an evidence that there was a disagreement upon Sa-awareness in Yeong-nam and Ho-nam provinces. The category of ② was a peculiar Sa-awareness which showed their own inclination, the real world awareness for administrating the state to relieve the people's suffering could be found in their writings in 15∼16th Century, but it was uncommon in the bureaucrat's works after 17th century. 이 글은 15∼16세기에 생산된 지리산 유산기 9편을 분석하여 7인의 사의식을 살핀 것이다. 작자 7인 가운데 이륙․변사정의 유산기에서는 사의식을 살필 수 없고, 나머지 5인의 유산기를 분석한 결과, ①불교․무속에 대한 비판, ②경세제민의 현실인식, ③역사에 대한 회고, ④자아성찰과 심성수양, ⑤국토산하에 대한 인식이 그 특징으로 드러났다. 이 5인 가운데 김종직․남효온․김일손은 ④를 제외하고는 모두 나타난다. 그런데 김일손과 함께 유람한 정여창은 김종직․김일손보다 더 명확한 사의식을 보이고 있어 도학군자다운 면모를 드러내고 있다. 조식의 경우 다섯 가지가 모두 나타나는데, 특히 ③과 ④에 대한 의식이 앞 시대 신진사림과는 확연히 다르다. 이는 수양론에 치중한 도학자적 사의식을 반영한 것이라 하겠다. 양대박은 ①과 ②에 대한 사의식만 보일 뿐이므로 정여창․조식 등 영남의 도학자들과는 다른 성향을 보이는데, 이 시기 영호남 사인들의 사의식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②의 경세제민의 현실인식은 이 시기 사인들에게서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반면, 17세기 이후 조정에서 파견된 관료들에게서는 드물게 보인다. 따라서 이 점도 이 시기 사인들에게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사의식이라 할 수 있다. 이는 15∼16세기 사림파의 성향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 KCI등재

        燕巖 朴趾源의 士意識

        김용태(Kim Yong-tae)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2 동양한문학연구 Vol.34 No.-

        본고는 연암 박지원을 중심으로 17세기 유형원으로부터 19세기 박규수에 이르는 실학파들의 士意識과 士認識을 검토하였다. 이들 실학파는 당대 사계층의 타락상을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들의 문제제기에 따르면 당대의 사계층은 사로서 갖추어야 할 자질과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공부는 등한시하고, 윤리적으로도 타락하여 요행수로 출세하기만을 바라며, 허위의식에 빠져 노동을 천시하였다. 실학파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여러 가지 방안을 제기하였는데, 박지원을 기점으로 하여 17세기 실학파의 해결 방안과 18세기 이후의 해결 방안이 성격을 달리한다. 17세기 실학파들은 문제의 근본원인이 특권층의 관직 독점에 있다고 보고, 교육제도와 관리임용제도의 개혁을 통한 해결을 모색하였다. 즉 학생 선발 제도를 엄격히 운영하여 아무리 특권층의 자제라 하더라도 자질과 능력을 갖추지 못했으면 탈락시키고, 庶人의 자제라도 자질과 능력을 갖추었으면 선발하게 되면 사계층의 기풍이 달라질 것이라 기대하였다. 그리고 관리 임용에 있어서도 사대부가 맡는 직역과 서리층이 맡는 직역을 구분하지 말고, 아무리 지체 높은 사대부의 자제라 하더라도 말단의 실무직에서부터 충원하게 되면 실무 능력이 있는 사람들이 발탁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연암의 경우도 사의 타락에 대한 인식은 17세기 실학파와 같았다. 그러나 해결의 방향은 달랐다. 사를 ‘예비 관료’로 보았던 17세기 실학파와 달리 사의 범위를 더욱 확대하였다. 연암은 사계층이 더 이상 관료가 되는 길만을 바라지 말고, 사농공상의 어느 직역에 있든 자기가 종사하는 분야의 ‘실학’을 실천하는 주체가 되어 이용후생의 혜택을 천하에 끼치는 존재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또한 누구든 천하에 대한 책임감을 갖고, 효제충신의 道를 실천하며, 치열한 독서와 학문을 통해 세상에 혜택을 끼친다면 그 사람의 신분이 천자이든 서인이든 모두가 士라는 논리를 통해 사계층의 자부심도 고취하고자 했다. 이러한 연암의 새로운 士像은 19세기 실학파에 의해 계승되고 확산되었다. 정약용의 경우 사들이 자신들의 지식 능력을 활용하여 농공상의 업에 종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고, 박규수 또한 조부의 사의식을 계승하여 ‘그 몸은 사이지만 그 업은 농공상’이라는 명제로 새로운 士像을 명료하게 제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실학파의 사인식을 전반적으로 살펴보면 인간을 차별 없이 평등하게 바라보는 가치의 지향을 발견할 수 있고, 인간의 주체적 각성에 대한 자각과 요구도 담겨 있음을 볼 수 있다. 실학파의 사의식은 이러한 보편적 가치를 구체적 역사 현실에 적용하기 위한 고민의 산물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는 만큼, 이 부분에 대한 관심을 다시 한 번 환기하고 오늘날의 사상적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모색이 있어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examined the scholar consciousness and scholar perception of Silhak school with Yeon-am Park Ji-won as the central figure ranging from Yu Hyeong-won in the 17th century to Park Gyu-soo in the 19th century. These Silhak school scholars Yi Dynasty were well aware of the serious corruption of the classical scholar class in their time. According to the problems pointed out by these scholars, the classical scholar class in their time neglected their studies to cultivate qualification and abilities, with which classical scholars should be equipped, became corrupt ethically, wanted only to advance in life by a lucky chance, and despised labor in false consciousness. The Silhak school scholars presented various ways to solve these problems. The Silhak school scholars in the 17th century viewed that the fundamental causes of the problems consisted in the monopoly of public official posts by the privileged class and sought to solve the problems through the reform of the educational system and the public official selection system. Yeon-am’s perception of the corruption of the classical scholars was the same as that of the 17th century Silhak school scholars. But his solutions were different. Unlike the 17th century Silhak school scholars who viewed classical scholars as ‘reserved public officials,’ Yeonam expanded the scope of classical scholars further. Yeonam thought that the nobility class should not want only to become public officials, and in no matter which areas of scholars, farmers, artisans and tradesmen a person worked, he should become a person contributing to promoting public welfare. And through the logic that whoever has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 world, practices the enlightenment of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together with loyalty and sincerity and benefits the world through intense reading and studies, regardless of whether he is from royal family or from the humble family, is a classical scholar, he attempted to encourage the pride of the classical scholar class. Yeonam’s such a new concept of classical scholars passed down and was diffused by the 19th century Silhak school scholars. Jeong Yag-yong asserted that classical scholars should utilize their knowledge and abilities to work as farmers, artisans, and tradesmen, and Park Gyu-soo, the direct heir to Yeonam’s thoughts, also inherited his grandfather’s classical scholar consciousness and clearly presented a new classical scholar image with the statement that ‘Even though one’s status is classical scholar, his occupation is a farmer, an artisan and a tradesman.’ In the above-mentioned classical scholar perception of the Silhak school scholars, the direction of value of viewing humans equally without discrimination, and the self awareness and demand of the autonomous awakening of humans can be found. The classical scholar consciousness of the Silhak school scholars can be evaluated as the product of agony over applying such universal values to concrete historical realities, so the ways to encourage the interest in this aspect and to utilize it as today’s ideological resources should be explored.

      • KCI등재

        飛泉 田璣鎭의 생애와 詩世界

        문정우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2 남명학연구 Vol.33 No.-

        Beacheon Jeon-gijin who had lived in Uiryeong, Gang-woo area, was a disciple member belong to Ganjae school. He had been practised filial duty by his father, had studied under Ganjae Jeon-woo and Sim-seock Song byeong-soon. He had studied earnestly and practiced and well spoken through the devotion to his scholarly living. Beacheon had much vividly lived as a member of Ganjae school, he had earnestly prepared lecture opportunities and urged attendance and publication of anthologies. He had honestly followed and investigated Ganjae's theory-SEONGJONSIMBEA(性尊心卑) and MYEONGDEOCK(明德) focused on JONSEONG(尊性)Beacheon's poetry world is epitomized as follows;He had kept scholastic consciousness in his heart deeply, not infected with egoistic realism but doing his best learned scholarship. He had well expressed in his poetry as having a fixed purpose in life and bearing the fruits were the best things in his lifetime. He had asserted frequent academic meetings or symposia for innovating stagnant school mood refreshing, and had respected noble learning, humane and honorable writings of the scholars who had practiced academic theory into actual living. 飛泉 田璣鎭은 江右 地域 宜寧에 세거해 온 艮齋學派 문도이다. 부친에게서 行己와 孝를 몸소 익혔으며 부친의 명으로 艮齋 田愚에게 집지하였다. 간재가 학문의 바탕을 갖추라는 뜻을 함축하는 비천이라는 호를 지어주어 篤學에 대해 큰 가르침을 받았다. 배움 뒤의 行誼를 배우고자하는 마음에서 불의에 행동하였던 心石 宋秉珣에게도 가르침을 청하였다. 배움을 가벼이 취하지 않고 학문을 실제에 부응하고자 노력하였으므로 篤學懿行의 생애를 살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비천은 간재학파로서 여러 활동을 하였다. 간재에게 학문의 여러 난해한 문제를 질문하고 답변을 받았다. 학문적 연대를 확장하고 학문에 생기를 불어넣기 위해서는 강론으로 벗을 권면하는 일이 우선이라고 생각하여 간재 문인과 노론에게 시대적 책임을 갖고 소명을 함께 하자는 강론의 자리를 마련하여 참여를 촉구하였다. 간재 문집의 간행에 적극적으로 활동하였다. 간재의 ‘性尊心卑’의 학설을 따라 尊性의 요체를 窮究하였다. 학계의 관심사였던 明德에 관한 논의에서도 尊性에 힘을 기울였다. 비천은 명덕을 體와 用으로 나누어 명덕의 體는 性이며, 명덕의 用은 心이라고 하였다. 명덕에 대하여 한쪽으로 치우쳐 이름 붙이지 않고 性을 중심축으로 보아 원리로 여겨 心에게 방향성을 제공하는 해석을 하고 있다. 이것은 간재가 心性은 一物이며 心은 性의 선함을 본받아야한다고 주장한 것에 대하여 충실하게 계승한 것이다. 비천의 시세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시대적 혼란에 士意識을 堅持하여 현실과 타협하지 않고 선비의 책무를 다하고자 하였으며 尊周攘夷의 정신과 華夷의 분변에 주력하여 간재 학문의 수호 의지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학문에 임하는 자세로 立志를 우선으로 여기며 입지가 곧 결실로 이어질 수 있는 중요한 대목이라는 견해를 작품에 표현하였다. 강론을 중시하였음을 알 수 있는 시작품을 확인할 수 있다. 진실한 致知를 통해 참된 실천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학문에 대한 믿음과 함께 침체된 분위기를 쇄신하고 학문적 교류와 성장을 위해서 강론의 자리를 중시하는 학구적 열의를 보였다. 그것은 실천적 학행으로 귀의하고자 함이었다. 비천은 인품과 글을 동일시하며 높은 학문과 함께 義行을 겸비한 선비의 글을 훌륭하다고 여겼다. 따라서 비천 자신 또한 공부를 위한 공부가 아닌 실천하여 얻은 학문을 이루고자 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지리산유람록 연구의 현황과 과제

        강정화 ( Jeong Hwa Kang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5 남명학연구 Vol.46 No.-

        지리산유람록은 조선시대 지식인이 지리산을 유람하고 그 감회를 기록한 글로, 지리산에 대한 역사적·문화적·종교적 의미가 함축된 총체적 자료이다. 현재까지 모두 100여 편이 발굴되었고, 경남문화연구원에서는 이를 모두 완역하여『선인들의 지리산 유람록』시리즈(전6권)로 출간하였다. 이의 출간과 함께 지리산 또는 지리산 유람과 관련한 전문 연구가 폭증하였고, 나아가 우리나라 ‘산의 인문학’이 지닌 가치를 탐색하는 작업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본고는 1985년에 시작된 지리산유람록 연구의 30년사를 점검하는 첫 번째 자리이다. 관련 성과로는 2015년 4월까지 번역서 6권 외에도 학위논문 10권,연구논문 38편, 단행본 7권이 확인되었다. 초창기 연구는 주로 金宗直·南孝溫·金馹孫·曺植 등 조선전기의 몇몇 유명 작가의 작품에 치중하여 이루어졌고, 첫번역서가 나오는 2000년 이후에야 비로소 전문 연구가 성행하였다. 전반적인 연구 경향은 대략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조선조 지식인의 지리산에 대한 인식을 通時的 관점에서 살핀 통합 연구, 작품 및 작가에 대한 개별연구가 동시에 진행되었고, 번역서 출간 이후 자료의 접근이 용이해지면서 관광학·조경학·건축학 등 타 분과에서의 연구가 행해졌으며, 근년에 금강산·한라산 등 타 명산과의 비교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의 검토를 통해 다음 두 가지를 확인하였다. 현재까지 발굴된 지리산유람록은 모두 조선시대 士人의 기록이다. 이는 유람록에 나타난 지리산 인식이 조선조 士人 부류에 한정된 것임을 전제한다. 30년의 짧지 않은 연구기간과 60여편의 적지 않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그간의 연구가 유람자인 ‘조선 지식인의 士意識’을 해명하는 범주에서 일관되게 이루어져 왔던 것이다. 또한 연구의 범주가 18세기 이후로 넘어가지 못하고 조선 전반기에 치중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전체 유람록의 절반 이상이 19-20세기에 산출되었고,게다가 18세기 이후의 지리산 유람은 지리산권역의 지식인에 의해 이루어져 왔음을 감안한다면, 그간의 연구가 지나치게 전반기에 편중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의 극복을 위한 다양한 접근이 향후 지리산유람록 연구의 과제로 남아있다. The travel essays of Mt. Jiri are the records of intellectuals about their trips to the mountain and their emotions about them during Joseon, providing total materials with the historical, cultural, andreligious significance of the mountain implied in them. There are approximately 100 travel essays of Mt. Jiri discovered so far, and the Institute of Gyeongnam Culture completely translated them and published them in a series(six volumes) called Ancestors`` Travel Essays of Mt. Jiri. The publication led to the explosion of specialized researches on Mt. Jiri and travels to Mt. Jiri and has had many influences on the efforts to explore the values of "humanities of mountains" in the nation. This paper presents the first work to review the 30-year history of researches on the travel essays of Mt. Jiri that started in 1985. The achievements in the research area until April, 2015 include six translations, ten dissertations, 38 research papers, and seven books. The early researches mainly focused on some famous figures and their works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including Kim Jong-jik, Nam Hyo-on, Kim Il-son, and Jo Shik. It was after 2000 when the first translation was published that specialized researches became prevalent in the area. There are four overall research trends: there were integrated research that examined the perceptions of Mt. Jiri among the intellectuals of Joseon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individuals researches were conducted on works and writers at the same time; other disciplines including tourism, landscaping, and architecture started to do the research thanks to easier access to the materials after the publication of translations; and comparative researches began between Mt. Jiri and other famous mountains such as Mt. Geumgang and Mt. Halla began in recent years. Those review findings confirmed the two following aspects: all the travel essays of Mt. Jiri that have been discovered so far were written by Joseon scholars that did not hold a government post, which leads to a premise that the perceptions of Mt. Jiri found in those travel essays were restricted to scholars that did not hold a government post during Joseon. In spite of not so humble achievements in the research area including 60 works over a period of 30 years, the researches have been consistent within the category of "scholarly consciousness of Joseon intellectuals" that were the travelers to the mountain.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research scope concentrated on the former half of Joseon, not moving over to the years after the 18th century, which indicates that the researches so far have been heavily focused on the former half of Joseon, considering that more than half of those essays were written in the 19th and 20th century and that the intellectuals of the Mt. Jiri region made an excursion to the mountain after the 18th century. Those findings propose a task for future researches on the travel essays of Mt. Jiri to make various approaches to overcome it.

      • KCI등재

        기획논문-의령의 인물과 학문(1) : 飛泉(비천) 田璣鎭(전기진)의 생애와 詩世界(시세계)

        문정우 ( Jung Woo Moon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2 남명학연구 Vol.33 No.-

        飛泉 田璣鎭은 江右 地域 宜寧에 세거해 온 艮齋學派 문도이다. 부친에게서 行己와 孝를 몸소 익혔으며 부친의 명으로 艮齋 田愚에게 집지하였다. 간재가 학문의 바탕을 갖추라는 뜻을 함축하는 비천이라는 호를 지어주어 篤學에 대해 큰 가르침을 받았다. 배움 뒤의 行誼를 배우고자하는 마음에서 불의에 행동하였던 心石 宋秉珣에게도 가르침을 청하였다. 배움을 가벼이 취하지 않고 학문을 실제에 부응하고자 노력하였으므로 篤學懿行의 생애를 살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비천은 간재학파로서 여러 활동을 하였다. 간재에게 학문의 여러 난해한 문제를 질문하고 답변을 받았다. 학문적 연대를 확장하고 학문에 생기를 불어넣기 위해서는 강론으로 벗을 권면하는 일이 우선이라고 생각하여 간재 문인과 노론에게 시대적 책임을 갖고 소명을 함께 하자는 강론의 자리를 마련하여 참여를 촉구하였다. 간재 문집의 간행에 적극적으로 활동하였다. 간재의 ‘性尊心卑’의 학설을 따라 尊性의 요체를 窮究하였다. 학계의 관심사였던 明德에 관한 논의에서도 尊性에 힘을 기울였다. 비천은 명덕을 體와 用으로 나누어 명덕의 體는 性이며, 명덕의 用은 心이라고 하였다. 명덕에 대하여 한쪽으로 치우쳐 이름 붙이지 않고 性을 중심축으로 보아 원리로 여겨 心에게 방향성을 제공하는 해석을 하고 있다. 이것은 간재가 心性은 一物이며 心은 性의 선함을 본받아야한다고 주장한 것에 대하여 충실하게 계승한 것이다. 비천의 시세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시대적 혼란에 士意識을 堅持하여 현실과 타협하지 않고 선비의 책무를 다하고자 하였으며 尊周攘夷의 정신과 華夷의 분변에 주력하여 간재 학문의 수호 의지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학문에 임하는 자세로 立志를 우선으로 여기며 입지가 곧 결실로 이어질 수 있는 중요한 대목이라는 견해를 작품에 표현하였다. 강론을 중시하였음을 알 수 있는 시작품을 확인할 수 있다. 진실한 致知를 통해 참된 실천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학문에 대한 믿음과 함께 침체된 분위기를 쇄신하고 학문적 교류와 성장을 위해서 강론의 자리를 중시하는 학구적 열의를 보였다. 그것은 실천적 학행으로 귀의하고자 함이었다. 비천은 인품과 글을 동일시하며 높은 학문과 함께 義行을 겸비한 선비의 글을 훌륭하다고 여겼다. 따라서 비천 자신 또한 공부를 위한 공부가 아닌 실천하여 얻은 학문을 이루고자 하였다. Beacheon Jeon-gijin who had lived in Uiryeong, Gang-woo area, was a disciple member belong to Ganjae school. He had been practised filial duty by his father, had studied under Ganjae Jeon-woo and Sim-seock Song byeong-soon. He had studied earnestly and practiced and well spoken through the devotion to his scholarly living. Beacheon had much vividly lived as a member of Ganjae school, he had earnestly prepared lecture opportunities and urged attendance and publication of anthologies. He had honestly followed and investigated Ganjae`s theory-SEONGJONSIMBEA(性尊心卑) and MYEONGDEOCK(明德) focused on JONSEONG(尊性)Beacheon`s poetry world is epitomized as follows;He had kept scholastic consciousness in his heart deeply, not infected with egoistic realism but doing his best learned scholarship. He had well expressed in his poetry as having a fixed purpose in life and bearing the fruits were the best things in his lifetime. He had asserted frequent academic meetings or symposia for innovating stagnant school mood refreshing, and had respected noble learning, humane and honorable writings of the scholars who had practiced academic theory into actual living.

      • KCI등재
      • KCI등재

        벽초 홍명희의 한시(漢詩)비평 -「역일시화(亦一詩話)」를 중심으로

        한영규 ( Young Gyu Han ) 반교어문학회 2014 泮橋語文硏究 Vol.0 No.36

        이 논문은 홍명희가 1936년 10월 『朝光』지에 발표한 「亦一詩話」를 분석하여, 그가 고려·조선의 한시에 대하여 어떤 비평적 관점을 지녔는지 탐색한 글이다. 그동안 홍명희에 대한 연구는 주로 『임꺽정』을 지은 근대 소설가라는 점에 치중되었다. 그러나 홍명희는 한시와 한문 문장의 창작에 능숙한 한문 지식인으로서의 면모도 지녔다. 실제 그는 20여 편의 한시를 발표하였고 「역일시화」「허난설헌의 시인 가치」등과 같은 역대 한시 비평문을 남겼다. 즉 홍명희는 전통적 한문지식인이면서 근대 소설가라는 두 가지 측면을 지닌 작가라고 할 수 있다. 「역일시화」를 분석한 결과, 세 가지 특징을 규명하였다. 첫째, 홍명희는 대상한시가 언급된 역대 문헌을 최대한 활용하여, 엄밀하게 실증하는 문헌비평 방식을 견지하였다. 여기에서 그가 전통적 한시를 근대적 학문 방법으로 비평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홍명희가 주로 비평 대상으로 삼은 한시는 조광조·김인후 등 조선왕조에 절의를 지킨 인물들이었다. 즉 홍명희는 한시 창작자의 사의식(士意識)에 공감하고 이를 널리 알리려는 의도를 지녔다고 할 수 있다. 이 점은 「林巨正」의 반지성주의(反知性主義)와는 상반된 측면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역일시화」의 비평 관점과 소설 「林巨正」의 서술 내용이 매우 긴밀한 연관을 갖는다는 점이다. 특히 조광조·최수성 등 기묘사화(己卯士禍) 관련부분은 두 작품에서 동일한 사료와 시각으로 서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Yeokilsihwa(亦一詩話)」that was presented by Hong, Myung Hee in October 1936 on _Jogwang(朝光)_ magazine to investigate the kinds of critical viewpoint he had on Chinese Poetry. Until now, researches on Hong, Myung Hee have been focused on the fact that he is a novelist of modern times who wrote _Imkeokjeong_. However, Hong, Myung Hee is also known as an intellect in Chinese who is proficient at creating Chinese poems and Chinese sentences. In fact, he published around 20 Chinese poems and left writted critism on Chinese poem as 「Yeokilsihwa(亦一詩話)」and 「Value of a Poet of Huhnanseolheon」. In other words, Hong, Myung Hee is a writer with two aspects of being a traditional intellect in Chinese and a modern novelist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of analyzing 「Yeokilsihwa(亦一詩話)」, three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First, Hong, Myung Hee made the best use of literatures of all time to stick to the literature criticism method that makes strict verification. Secondly, the Chinese poem that Hong, Myung Hee used as the subject of criticism were the characters who were loyal to the Joseon Dynasty as Cho, Kwang Jo and Kim, In Hoo. Thirdly, it was identified that the critical viewpoint of 「Yeokilsihwa(亦一詩話)」and content description of _Imkeokjeong_ are very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 KCI등재
      • KCI등재

        근대 초기 문사의식과 예술가 형상의 상관성

        김주현(Kim, Ju-Hyun) 한국문학회 2010 韓國文學論叢 Vol.54 No.-

        이 논문은 ‘계몽의식’으로도 불리는 근대초기 남성주체들의 ‘문사의식’이 근대 초기 조선의 예술가 형상을 젠더화하는 무의식적 동력이었다는 가정 아래, 그것이 문학 이외의 예술을 특정하게 개념화하는 방식에 주목했다. 근대 초기 문학가들의 문학 행위는 제한된 범주의 작품 창작이 아니라 신문화 운동 전반에 걸쳐 이루어졌다. 먼저 이는 다른 예술 장르에 비해 문학가들의 이른 귀국 시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음악, 미술전공자들이 귀국하여 본격적으로 활동하는 시기가 1930년대였으므로 이들을 대신해 초창기에 근대 조선에서 새로운 예술 개념을 소개/형성했던 이들은 문학가들이었다. 근대 초기의 여러 매체들은 이러한 사정을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다. 또 이러한 문학 행위의 위력은 문학의 외연을 확장하며 근대 음악가와 미술가를 특정한 방향으로 젠더화한다. 이광수의 <개척자>에 등장하는 화가 민의 미술론은, 남성적으로 젠더화되어 있었던 과거 선비들의 서화(書畵) 취미를 반영하듯 공적이고 민족적인 미술 개념을 드러낸다. 반면 여성적으로 젠더화되어간 음악은 음악가=기생이라는 관념을 재생산한다. 염상섭의 <사랑과 죄>는 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이다. 장르 분화가 촉진되어 상대적으로 문학(가)의 역할이 축소되는 30년대에 이르면 이러한 예술가 표상도 변화하게 되지만, 아직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탓에 시각의 타당성을 검증해 보았다. This paper has focused on the method that the literary men’s consciousness of male subjectivity in the early modern times called ‘illunism (philosophy of enlightenment)’ had specially conceptualized arts except for literature on the assumption that the literary men’s consciousness was unconscious power to make art(ist)’s notion of Joseon dynasty in the same times be gendered. The literary activities of literary men in the early modern times had conducted not the creation of a work within a limited scope but the whole of New Culture Movement. Firstly, such activitie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early return period of writers compared with other art genres. The period that music or art majors had regularly acted after their return was 1930’s, so the people who had introduced/created a new art concept Joseon instead of the musicians and artists in the initial stage of Modern were literary men. Several media in the early modern times had clearly shown these situation and circumstances. And the power of such literary activities had made modern musician and artist be gendered by expanding the denotation of literature. The theory of art supported by artist Min who is a character of a work The Pioneers written 「」by Kwang-Soo Lee shows official and national art concept as reflecting the past scholars’ hobbies of paintings and writings which had been manly gendered. On the other hand, the music which had been womanly gendered reproduces the notion that a musician is same as a gisaeng(Korean geisha). 「Love & Guilt」written by Sang-Seob Yom is the representative work showing such the reproduction of a notion. Such symbol of artists had been changed in 1930’s when the role of literature (literary men) had been reduced due to promotion of genre’s differentiation. But it needs continuous study and research hereafter because there has not been studied such chan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