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디지털 피리 구현을 위한 개선된 스펙트럼 모델링 합성 알고리듬
강명수,홍연우,조상진,정의필 한국공학안전보건예술학회 2009 한국공학예술학회 논문지 Vol.1 No.-
본 논문은 디지털 피리 구현을 위한 효과적인 스펙트럼 모델링인 개선된 스펙트럼 모델링 합성 방법(modified spectral modeling method)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스펙트럼 모델링 합성은 사운드를 정현파 성분과 노이즈 성분의 합으로 표현하는데 사운드를 분석하고 합성하는데 있어 많은 시간과 합성 파라미터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스펙트럼 모델링 방법에 대한 수정이 요구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사운드의 분석(analysis)과 변형(transformation) 그리고 합성(synthesis)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안하고, 또한 합성 사운드의 길이를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한국의 전통 관악기인 피리를 대상으로 하여 변형된 스펙트럼 모델링 합성 방법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여 사운드를 합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피리의 원음으로부터 일부 사운드를 획득하고, 이 사운드를 분석하여 피리의 정현파 성분을 합성하기 위한 파라미터와 노이즈 성분을 합성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추출한다. 다음으로, 프레임 재배치와 보간법을 바탕으로 한 사운드 길이 조절 알고리듬을 적용하면 사운드의 길이가 실수 배 만큼 늘어난 피리 사운드를 합성할 수 있다.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한 사운드는 원음과 스펙트럼으로 비교해 보았을 때 원음과 매우 유사하였으며 또한,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 관악기인 태평소 사운드 합성에 제안한 알고리듬을 적용한 결과 태평소 사운드 역시 원음과 매우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This paper describes a modified spectral modeling synthesis algorithm for digital Piri, which is a Korean woodwind instrument. The standard spectral modeling synthesis (SMS) considers the sound as a combination of deterministic and stochastic components and it usually takes long time to synthesize sounds and needs numerous parameters. In order to improve this drawback, it is necessary to modify the SMS. Thus, a novel approach for analysis, transformation and synthesis of the sound has been proposed. Moreover, it is possible to generate various sound duration flexibly using this modified SMS. Piri was a target to simulate the modified SMS. To synthesize sounds with the proposed method, it is firstly necessary to obtain a trimmed sound in the sustain region from the original Piri sound. Then, two parameter sets are required: a parameter set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Piri, such as deterministic frequencies, magnitudes and stochastic, and a parameter set including the window size, hop size and number of peaks. Finally, a flexible time scaling algorithm based on frame reallocation and interpolation technique is applied. Namely, the extracted parameters in the sustain region can be reallocated and interpolated to change the length of the synthesized sound with a real stretching factor. When synthesized sounds are compared with original sounds through their waveforms and spectra, the proposed method well synthesizes sounds which are similar to originals. The method is also applied successfully for other Korean instruments, Taepyeongso.
유민준(Min-Joon Yoo),이인권(In-Kwon Lee)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2009 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Vol.15 No.1
사운드는 가상현실 및 컴퓨터 애니메이션에서 사용자의 현실감 및 집중도를 높이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최근에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에서도 연구자들이 사운드 관련 연구들에 관심을 가지고 여러 컴퓨터 그래픽스 학술지와 학회에 주목 할만한 연구결과들이 발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에서 소개된 논문들을 중심으로, 컴퓨터 그래픽스에서 관심을 가지는 사운드 연구의 주제에 대하여 알아보고 중요성을 가지는 논문들을 소개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다음 두 가지 분야의 논문들을 소개한다. 첫째, 사운드를 물리적으로 합성함으로써 그래픽스의 물리 법칙에 동기화되는 사운드를 생성하는 것이다. 둘째, 음원에서 나오는 사운드가 사람에게 들리는 음향적 환경을 모델링하는 것이다. 사운드에 대한 연구에서 주된 관심은 이러한 음향학적인 물리법칙을 더욱 효율적으로 모델링하여 적은 자원으로도 실제적인 사운드 효과를 발생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관점을 중점으로 다양한 사운드 관련 논문들을 살펴보고 컴퓨터 그래픽스와의 관계를 살펴보도록 한다. Sound is very important element to enhance and reinforce reality and immersion of users in virtual reality and computer animation. Recently, significant researches about sound modeling are presented in computer graphics cummunity. In this article, main subjects are explained and major researches are rewiewed based on the sound papers presented in computer graphics community. Specially, several papers about following two subjects are reviewed in this paper: 1) synthesing sound using physically-based laws and generating sound synchronized with graphics. 2) spatializing sound and modeling sonic environment. Many research about sound modeling have been focused on more efficient modeling of real physical law and generate realitic sound with limited resources. Based on this concept, various papers are introduc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es about sound and graphics is discussed.
김진호(Jinho Kim) 낭만음악사 2007 낭만음악 Vol.19 No.4
소리 합성의 연구 영역은 음악과 공학 및 과학이 서로 만나는 지점이기도 하지만 예술적인 서양 음악의 역사를 특별한 방식으로 재구성하는 것을 허락하는 한 관점을 제공해줄 수 있는 분야이기도 하다. 그러니까 소리 합성의 제 기법들 덕분에 지적이며 예술적인 음악의 재료의 영역은 서양 음악사의 과정을 통해 보다 넓어졌으며 그 재료들을 조직화하는 방법론으로서의 작곡 기법 역시 보다 풍요로워졌고 앞으로도 또 그러할 것이다. 이 논문은 음악 이론 및 정보적 음악학의 연구대상으로서의 소리 합성의 기본 개념과 그 역사, 쟁점, 제 기법들 및 소리 합성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음악적 작품들의 소개를 다루고 있다. The domain of sound synthesis constitutes not only a field where music and science converge but also a viewpoint by which we can reconstruct western artistic music history in a particular way. With the aid of the synthesis techniques the domain of intellectual and artistic music material was enlarged through the western music history, and the compositional techniques as the methodology to organize the musical materials were more enriched. This article surveys the concepts, constituent elements, the pre-history and the history, the points at issue, the models, the profits of the study on sound synthesis, the techniques of sound synthesis, and the digital synthesis-realized musical pieces. As the techniques, this article surveys synthesis by sample, the French Concrete Music and sound treatment, synthesis by wave table, synthesis by vector, granular synthesis and stochastic synthesis of Xenakis, additive synthesis, the spectrum models, subtractive synthesis, the model of sound source-filter, and physical model.
조원주 ( Won Ju Cho ),김준 ( Jun Kim ) 한국음악학회 2011 한국음악학회논문집 음악연구 Vol.47 No.-
이 논문은 한국의 전통 타악기인 징의 소리 합성에 대한 연구이며,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첫째는 음색 분석으로 징은 자연 배음으로 구성되며, 두 개의 배음렬을 갖는다. 두 배음렬은 기본 음고를 기음으로 하는 배음렬(배음렬i)과 기본 음고보다 낮은 음을 기음으로 하는 배음렬(배음렬ii)로 이루어진다. 징 고유의 특징인 맥놀이 현상은 각 배음들의 실시간 변화에 의해 만들어지며, 배음렬ii에서 발생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소리 합성으로 분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산 합성 방법에 의한 소리 합성을 시도하였다. 기본이 되는 두 개의 배음렬과 맥놀이 현상을 발생시키는 부분음을 합하여 징의 음색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The following study presents how additive synthesis can be used to simulate the sound of Jing, the traditional Korean Cymbal. The process is divided into mainly two steps. The First Step is sound analysis. The sound of Jing is composed of natural harmony and two harmonic series. One is harmonic series making basic pitch(heard pitch) and the other is harmonic series which is lower than basic pitch. Beating phenomenon,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Jing, is made by real time changing of each partial and especially happens in second harmonic series. Actual process of creating the sound is sound synthesis. This is based on analysing data of Jing. We have applied additive synthesis for simulating the sound of Jing. Additive synthesis is the original spectrum modelling technique. In order to create beating phenomenon, we add to similar partial into harmonics. As a consequence, we are able to synthesize the sound of Jing successfully.
합성수지 거푸집의 성능평가 및 현장 적용성에 관한 연구
김태희,안성진,이영도,남경용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8 No.6
본 논문은 합성수지 거푸집 성능평가를 위해 길이 변화율, 충격시험, 소음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또한 현장 적용을통해 합성수지 거푸집 시공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실험결과,가열 길이 변화 시험, 충격시험은 KS기준치를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음 테스트의 경우 유로폼이 평균106dB(A)을 나타냈으며, 합성수지 거푸집은 평균 100.4dB(A)을 나타났다. 음압레벨의 경우, 합성수지 거푸집이 유로폼보다 고주파영역에서 낮게 나타나 시공시 소음 피로도가 적고 주변민원은 감소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현장적용결과, 콘크리트 타설 중 거푸집 휨 현상이나 배부름현상은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콘크리트 표면 마감도가 합성수지 거푸집이 유로폼면 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length variation test, shock test, and noise test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synthetic resin form. In addition, the handling easiness of synthetic resin form was examined through field application. Results of both thermal length variation test and shock test satisfied the KS standards. for noise test, the result ofuro-form was 106.7dB(A) in average while that of synthetic resin form was 100.4dB(A) in average. It is consideredthat the high sound pressure level of euro-form with this noise characteristic may have negative physical andpsychological impact on people who are consistently exposed in the residential area. Finally, there was no warping orbulging of the mold during concrete placement in the field application. Also, the concrete surface finish of syntheticresin form was better than that of euro-form.
사운드와 활동 정보를 이용한 셀프 어텐션 잔차 시간적 합성곱 신경망 기반 실내 비상상황 인식
이주환,김형국 한국음향학회 2024 한국음향학회지 Vol.43 No.6
본 논문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수집된 소리와 활동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비상상황을 인식하여 알려주는 실내비상인식 알람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에서는 모바일 기기의 마이크로 입력되는 실내 공간 사운드, 그리고모바일 기기 내에 장착된 가속도계와 자이로스코프의 신호를 셀프 어텐션 잔차 시간적 합성곱 신경망(Self-Attentive Residual Temporal Convolutional Networks, SARTCN)에 적용함으로써 비상상황을 인식하고 모바일 전송 시스템을 사용하여 모니터링되는 사람의 상태를 보호자나 가족에게 신속하게 전달한다. 학습을 위해 실제 모바일 기기를 통해녹음된 사운드 데이터 및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의 신호를 활용하여 비상상황을 인식하는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SARTCN은 사운드 이벤트 인식과 활동인식의 통합한 실내 비상 상황 인식에서 93.7 %의 높은 정확도를 보여주었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노인과 어린아이와 같이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의 비상상황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대처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ndoor emergency awareness alert system that recognizes and delivers a user's emergency situation through sound and activity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a mobile device. In the proposed system, the indoor spatial sound inputted through the microphone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signals from the accelerometer and gyroscope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are applied to the Self-Attentive Residual Temporal Convolutional Networks (SARTCN) to recognize emergency situations and quickly transmit the status of the monitored person to the guardian or family using the mobile transmission system. For training, we conducted experiments to recognize emergency situations using sound data recorded through actual mobile devices, as well as accelerometer and gyroscope signals, and our proposed SARTCN model achieved a high accuracy of 93.7 % in recognizing indoor emergency events by integrating sound event detection and activity recogni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ystem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a real-time monitoring system that automatically detects and responds to emergency situations of people who need assistance, such as the elderly and children.
BSR 소음 재현을 위한 효과적인 음향합성법에 대한 연구
설윤수(Yoon Su Seol),전인기(In Ki Jun),최재민(Jae Min Choi),류수정(Su Jung Lyu) 대한기계학회 2012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2 No.11
The BSR noise is induced by impacting or rubbing on each part, sound quality of BSR noise which mean as sound tone, interval and intensity is determined by material characteristics, assembly pattern and impact characteristic of paired parts. In this paper, it is suggested to generate real BSR noise by sound synthesis method to mix the virtual sound generated from the result of the transient analysis and the sound characteristic extracted from the specimen test as effect of material properties and environment change. It is conducted comparative study with real BSR sound and generated sound to improve the appropriateness of the BSR noise auralization method.
한자 합성어의 재인에서 두음 표기의 처리: 표기법과 개인차의 영향
김철수,이동훈,배성봉 한국인지과학회 2024 인지과학 Vol.35 No.4
시각 단어 재인은 읽기의 핵심 과정으로, 단어의 표기, 음운, 의미 정보 등을 포함한 심성어휘집의 검색에 기반한다. 본 연구는 두음법칙에 의한 한글 글자-형태소 대응의 모호성이 단어 재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표기법과 개인차가 이러한 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두음법칙에 의한 이형태 간 형태소 처리를 비교하기 위해 차폐 점화 어휘 판단 관제를 사용하였으며 표기법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서로 다른 표기법을 사용하는 두 집단(변음집단: 대한민국 부산 거주 대학생, 본음집단: 중국 연변 조선족 대학생)을 실험 참가자로 사용하였다. 표적 단어는 본음으로 표기되는 음절을 가진 단어(예: 한랭)였으며, 이에 대한 점화 자극은 표적어와 동일 조건(예: 한랭), 변음 조건(예: 냉방), 본음 조건(예: 랭방), 무관련 통제 조건(예: 한계)의 네 가지로 조작하였다. 실험 결과, 변음 집단 중 읽기 속도가 빠른 참가자는 변음 조건과 본음 조건 모두에서 촉진적 점화 효과를 보인 반면, 읽기 속도가 느린 참가자는 점화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음 집단의 경우, 빠른 반응 참가자는 본음 조건에서만 촉진적 점화 효과를 보였으며, 변음 조건에서는 점화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표기법의 차이와 개인의 읽기 능력이 한자 합성어의 형태소 처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re are two orthographies for the Korean language: morphemic vs phonemic. Under the phoneme-based orthography, the application of the initial-sound rule—which alters the pronunciation of certain consonants (ㄹ, ㄴ) when they appear in word-initial positions—creates ambiguity between characters and morphemes, potentially affecting visual word recognition of Sino-Korean compounds. This study examined how this character-morpheme ambiguity is processed and how spelling rules and individual differences modulate this process. We used a masked priming lexical decision task with two groups of native Korean speakers using different orthographies: the initial-sound group (college students from Busan, South Korea) and the original-sound group (Korean-Chinese college students from Yanbian, China). Results showed that, in the initial-sound group, fast readers exhibited facilitative priming effects in both the initial-sound and original-sound conditions, while slow readers showed no priming effects. In the original-sound group, fast readers showed a priming effect only in the original-sound condition. These finding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representation and processing of Sino-Korean compound words.
조원주,김준 한국음악학회 2011 한국음악학회논문집 음악연구 Vol.47 No.-
이 논문은 한국의 전통 타악기인 징의 소리 합성에 대한 연구이며,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첫째는 음색 분석으로 징은 자연 배음으로 구성되며, 두 개의 배음렬을 갖는다. 두 배음렬은 기본 음고를 기음으로 하는 배음렬(배음렬i)과 기본 음고보다 낮은 음을 기음으로 하는 배음렬(배음렬ii)로 이루어진다. 징 고유의 특징인 맥놀이 현상은 각 배음들의 실시간 변화에 의해 만들어지며, 배음렬ii에서 발생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소리 합성으로 분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산 합성 방법에 의한 소리 합성을 시도하였다. 기본이 되는 두 개의 배음렬과 맥놀이 현상을 발생시키는 부분음을 합하여 징의 음색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시간영역 파형 합성 방법에 의한 친환경 자동차의 엔진소리 합성에 관한 연구
박형우(Hyung Woo Park)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9
과학기술과 기계공학의 발전으로, 차량을 움직이는 동력원이 내연 기관에서 전기 모터와 같은 다른 동력원으로 바뀌고 있다. 아직 100% 전기차량의 수가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차량보다 적지 만, 장래에 전기 자동차가 다양한 이유로 널리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환경 친화적인 자동차를 개발하고 사용하는 요구에 따라 다양한 저공해 자동차를 개발하고 사용하고 있다. 이 환경친화적 자동차는 다양한 장점이 있는데, 그중 엔진에서 발생하는 폭발에 의한 소음이 없는 것이 장점이다. 특히, 저속주행을 하면 약간의 조작 음이 발생하며, 차량이 이동하고 있음을 차량의 내외부에 알리기 어렵다. 내연 기관을 사용하는 차량은 저속이든 고속 운행을 하는 여부에 관계없이 엔진 내부의 4 ~ 2 행정에 따라 연료와 공기를 연소시고, 이때 연료를 소비하여 생성 된 에너지가 차량을 움직입니다. 그리고 엔진 연소는 원하지 않는 다양한 오염 물질도 함께 생성되는데, 배기가스, 소음, 진동 및 폐열 등이 그 예 이다. 그 중 소음은 너무 시끄럽지 말아야 한다는 규정에만 맞춘다면, 이동하는 차량의 경고 또는 위험을 차량 주위 사람들에게 알리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차량 운전 시 엔진 소리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엔진 소리를 재생산하기 위해 기존의 내연기관의 엔진 소리를 분석하고 음향생성 및 합성 원리를 사용하여 엔진소리를 만드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 VESS와 같은 장치는 단순히 차량의 엔진 사운드를 저장하고 상황에 따라 재생하는데, 이는 메모리를 많이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제안 된 시스템은 적은 메모리를 사용하지만, 내연기관의 엔진 소리와 매우 유사한 소리를 재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vehicle science and technology, motors that move using the forces generated by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e been moved by electric motors. Although the number of electric-only vehicles is still lower than that of oil-filled vehicles, electric vehicles are expected to be widely used for various reasons in the future. In particular, various low-pollution vehicles have been manufactured and operated according to the demand to develop environment-friendly vehicles worldwide. These eco-friendly cars have advantages in common and low noise in our shop. Particularly, when running at a low speed, a slight operation sound is generated, and it is difficult to notify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vehicle that the vehicle is moving to the people. Vehicles us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burn fuel and air according to four or two strokes inside the engine, whether low speed or high speed. At this time, the energy generated by consuming the fuel moves the vehicle. In addition, various pollutants that we do not want are generated. Examples are exhaust gas, noise, vibration and heat. Among them, noise can be used as a means of notifying the people around the vehicle of the warning or danger of a moving vehicle if the noise is as specified in the standard. In this study, we will discuss the method of releasing engine sound during the operation of environment friendly vehicles. In order to reproduce the engine sound, we analyze the existing engine sounds and propose a method of making the engine sound using the sound generation and synthesis principle. Devices such as the existing VESS simply record the engine sound of the vehicle and reproduce it according to the situation. However, the proposed system uses less memory but can reproduce coterminous engine sou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