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사적 사역 구문의 의미: [V-게 하다]와 [V-게 만들다]

        강범모 한국어학회 2020 한국어학 Vol.86 No.-

        This paper analyzes and compares the meanings of [V-ge hada] and [V-ge mandeulda] constructions. The method is collostructional analyses, which are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V in the two constructions. Collexeme analysis shows that the [V-ge hada] construction is characteristics of events and (positive) states (verbs and adjectives meaning “be surprised”, “feel”, “possible”, “pleased”, etc.), cognitive realization (“realize”, “recollect” etc.) and non-volitional events (“die”, “stand out”, etc.), while the [V-ge mandeulda] construction is characteristics of states (adjectives), particularly negative states (“difficult”, “miserable”, etc). Distinctive collexeme analysis shows that the [V-ge ha] construction is characteristics of events (“meet”, “write”, etc.), cognitive realization (“associate”, “realize”, etc.) and non-volitional events (“become”, “die”, etc), while the [V-ge mandeulda] construction is characteristics of negative states and feelings (“miserable”, “difficult”, “unhappy” etc.). In conclusion, the two causative constructions have rather different meanings, non-volitional events including cognitive realization (and positive states in part) vs. negative states (particularly, feelings). 이 논문은 한국어의 사역 구문 [V-게 하다]와 [V-게 만들다]의 의미를 분석하고 비교한다. 분석의 방법은 연구문 분석으로, 이 방법(들)은 두 사역 구문 속 V의 분포에 기초한다. 연어휘 분석은 [V-게 하다] 구문이 사건과 (긍정적) 상태(‘놀라다’, ‘느끼다’, ‘가능하다’, ‘즐겁다’), 인지적 깨달음(‘깨닫다’, ‘떠올리다’), 비의지적 사건(‘죽다’, ‘돋보이다’)의 특징을, [V-게 만들다] 구문이 상태, 특히 부정적 상태(‘어렵다’, ‘비참하다’)의 특징을 가짐을 보인다. 변별적 연어휘 분석은 [V-게 하다] 구문이 사건(‘만나다’, ‘쓰다’), 인지적 깨달음(‘연상하다’, ‘깨닫다’), 비의지적 사건(‘되다’, ‘숨지다’)의 특징을, [V-게 만들다] 구문이 부정적 상태와 태도(‘비참하다’, ‘어렵다’, ‘불행하다’)의 특징을 가짐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한국어의 두 통사적 사역 구문은, 하나가 인지적 깨달음 등 비의지적 사건(부수적으로 긍정적 상태)의 특징, 다른 구문이 부정적 상태(특히 감정)의 특징을 보이는, 상당한 의미 차이를 보인다.

      • 사역 동사의 구문연구

        채용덕 慶州專門大學 1997 慶州專門大學 論文集 Vol.12 No.-

        본 연구에서는 1960년대말 언어학의 큰 논쟁이었던 생성의미론과 해석의미론 사이의 주요 쟁점인 사역에 대해서 해석의미론적 입장에서 살펴보았다. 사역에는 한국어와 영어를 포함한 수많은 언어에서 어휘 사역과 절 사역, 두 형태가 존재한다. 어휘사역은 형태론적으로 불규칙적이며 비생산적인 형태이며 절사역은 형태론적으로 규칙적이며 생산적인 형태이다. 생성의미론자들은 두 사역 문장 형태에서 의미자질 공유와 문장 대명사 'it', 부사적 수식, 그리고 Flip 동사와 감정 사역(emotional causative) 사이에서의 의미 자질 공유를 통해 생성의미론적 분석을 옹호하였으나, 해석 의미론자들은 어휘 사역은 직접 사역을 나타내며, 절 사역은 간접 사역을 나타냄을 중시하여 두 사역 구조는 다른 기저 구조에서 시작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특히 Newmeyer는 생성의미론자들 주장의 밑바탕인 PR은 순환적이라는 주장을 반박함으로써 사역 구조를 통사적으로 분석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 KCI등재

        러시아어와 폴란드어의 수동구문 비교

        정정원 한국슬라브어학회 2010 슬라브어연구 Vol.15 No.2

        이와 같이 지리적, 언어학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폴란드어와 러시아어는 수동구문에서 여러 가지 차이를 드러낸다. 첫째, 러시아어의 수동태는 수동 형동사 구문과 재귀구문을 통해서 실현되지만, 폴란드어 수동태문은 수동 형동사 구문을 통해서만 실현된다. 이때 폴란드어 수동태문의 행위주는 전치사와 결합된 ‘przez + 대격’의 형태를 취하며, 러시아어 수동태문의 행위주는 조격 형태를 취하여 도구역과 형태적으로 일치된다. 한편 폴란드어 수동태문에서는 조동사와의 결합을 통해 반드시 인칭, 시제를 표시해야 한다. 둘째, 폴란드어에서는 자동사에서 파생된 수동태문이 자주 발견되는데 반해, 러시아어에서는 자동사에서 파생된 수동태문이 지극히 예외적인 경우로 간주된다. 자동사에서 파생된 수동태문이 다른 슬라브어에서도 자주 발견되는 현상임을 고려하면 이것은 슬라브어족 내에서 러시아어 수동태문이 갖는 독특한 특징이다. 셋째, 재귀동사 구문과 형동사 구문에서의 상적 분배가 비교적 뚜렷하게 드러나는 러시아어와 달리 폴란드어 수동구문은 동사의 상에 따라 분화되지 않는다. 폴란드어뿐 아니라 체코어, 세르보-크로아티아어를 비롯한 여러 슬라브어에서 불완료상 동사가 수동 형동 구문에서 사용되는 것을 보면 완료상 동사만 수동 형동 구문에 사용되는 것은 러시아어 수동구문의 변별적 특징으로 보아야 한다. 넷째, 러시아어에서는 수동태의 행위 의미와 상태 의미 구분이 주로 문맥을 통해서 가능한데 반해, 폴란드어 수동태문에서는 조동사를 통해 행위 의미 또는 상태 의미 발현 여부가 결정된다. 이 때 폴란드어 조동사 zostać는 완료상 파생 형동사와 결합하여 행위 의미만을 지시하고, 조동사 być 는 완료상 파생 형동사와 결합 시에는 상태 의미를, 불완료상 파생 형동사와 결합 시에는 행위 의미를 지시한다. 다섯째, 러시아어 재귀구문이 불완료상 동사의 수동태로 사용되는 데 반해, 폴란드어 재귀구문은 수동태로 사용되지 않으며, 대신 피의체역이 주어가 되는 반사역구문이 된다. 이에 폴란드어에서 재귀구문은 수동태의 하위 유형이 아니라 수동태와 동등한 지위를 지니는 재귀태로 불린다. 다른 슬라브어와 비교했을 때 재귀구문이 수동태로 사용되지 않은 것은 폴란드어에서 발견되는 특수한 현상이다. 여섯째, 피의자역이 항상 주격을 갖는 현대 표준 러시아어의 수동구문과 달리 폴란드어 수동 구문에서는 피의자역이 주격이 되지 않고, 능동구문에서처럼 사격의 형태를 띠는 경우가 발견된다. 이러한 폴란드어 무주어 재귀 구문과 –no/to 구문에서는 술어가 어떠한 논항과도 문법적으로 일치되지 않는 3인칭 혹은 무인칭 주어를 가지게 되며, 이것은 불특정 다수의 행위주의 존재를 암시하는데, 이는 동일한 의미를 지시하는 러시아어 부정인칭문의 술어가 3인칭 복수형으로 일치되는 것과 유사하다. 이와 같이 동일하게 슬라브어에 뿌리를 둔 폴란드어와 러시아어의 수동태형은 술어의 형태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때는 많은 유사점을 공유하지만, 논항과 조동사의 결합, 상의 분배, 술어의 타동성, 행위 및 상태 의미의 발현, 재귀구문 및 무인칭 구문과의 관계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상이점을 드러낸다. The Russian and Polish passive constructions have many different characteristics, although two languages are very close linguistically as well as geographically. First, Russian passive voice is based on both the passive past participle and the reflexive passive, whereas Polish passive voice is exclusively related to the past passive participle. The Polish passive construction has ‘przez + acc’ as an Agent marker and the Russian passive construction has an Agent marker of the instrumental case that also serves as a marker of a different semantic role as Instrument. In addition, the Polish passive sentence must have an auxiliary verb być or zostać indicating grammatical categories such as Person and Tense. Second, the passive constructions with the predicates derived from intransitive verbs are often found in Polish as well as in many other Slavic languages. Such constructions are exceptional in the Russian language. Third, the imperfective past passive participles are used in Polish, whereas they are not allowed in Russian, where the reflexive serves as an imperfective counterpart to the perfective passive of past participle. The imperfective verbs in the passive past participle are also found in the other Slavic languages, such as Serbo-Croatian and Czech. Fourth, the distinction between actional and state readings in the passive construction is made by means of the auxiliary verbs in Polish. Namely, the auxiliary verb zostać leads to an actional reading, while być can get either actional or state readings depending on the aspect of the main predicate. However, the actional or state reading of the Russian passive predicates can be done just by the contexts or the use of temporal or spatial adjuncts. Fifth, the reflexive can be used in the Russian passive sentences, but the Polish reflexive passive is not possible. Instead the Polish reflexive has an anticausative reading. The reflexive is a subcategory of passive voice in Russian, but it is considered as one of voices in Polish. Sixth, the Patient can have the accusative case in Polish impersonal reflexives and –no/to constructions. In the Russian language –no/to constructions are found just in the Northern dialects and the impersonal reflexives are not found.

      • KCI등재
      • KCI등재

        La classe du nom PEUR et ses équivalents en coréen

        임정혜 한국프랑스학회 2015 한국프랑스학논집 Vol.92 No.-

        본고에서는 서술명사 peur와 동의관계를 이루는 명사들 crainte, frayeur, épouvante, terreur 의 특성들을 밝힐 목적으로 두 가지 구문 즉, 기능동사 구문과 사역 구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기계는 물론 외국어 학습자가 직면하게 되는 가장 큰 어려움 가운데 하나는 동의어들 간에 통사적 특성들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본고에서는 특히 동의어들 간의 통사적 차이를 보여줄 수 있는 기능동사 (avoir, donner, prendre) 구문들과 사역 구문에서는 faire동사 구문을 다루었으며, 이에 대응되는 한국어 등가어들의 통사적 특성들도 함께 살펴보았다. 먼저 서술명사 peur가 기능동사 avoir와 함께 나타날 때의 구문 유형 두 가지 즉, 보어를 수반하지 않는 구문 (N0 avoir Nsent)과 보어를 수반하는 구문 (N0 avoir Nsent de N1, inf.; N0 avoir Nsent que)이 그 동의어들인 crainte, frayeur, épouvante, terreur의 경우에 어떤 통사적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기능동사 donner, prendre는 서술명사 peur와만 결합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 서술명사 peur가 나타나는 사역동사 faire 구문은 서술명사 crainte만이 통사적 특성을 공유하고, frayeur는 faire 동사와 함께 사용될 경우 한정사의 사용이 요구된다. 한국어의 등가어로는 프라임 불한사전에 제시되어 있는 서술명사 ‘겁, 두려움, 공포’ 그리고 ‘무서움’을 대상으로 그 통사적인 차이들을 살펴보았다. 특히 서술명사 ‘겁’은 다른 명사들에 비해 통사적으로 확연히 다른 특성을 지니는데, 외국인 학습자들을 위해서는 반드시 기술되어야 할 정보들이다. 의미적인 측면에서는, 두 감정명사 peur와 crainte간의 차이를 기술하였다. 전자의 감정이 인간이 위험에 직면했을 때 보이는 본능적이고 즉각적인 반응이라고 한다면, 후자는 전자보다는 더 숙고되고 지각된 감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성 때문에 crainte는 어떤 상황에 대해 즉각적인 반응으로 나타나는 행위들 즉, ‘hurler, crier, tressaillir’와 같은 동사들과는 양립이 어렵다. 감정명사 crainte의 또 다른 특성으로는 다른 동의어들에는 없는 ‘존경 respect’의 의미가 혼재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의미적 특성은 그 보어로 ‘신 Dieu’이나 권위를 갖는 인물, 기관을 나타내는 명사들과의 결합에서 잘 드러난다 (la crainte de Dieu, la crainte des autorités). 이는 한국어 ‘두려움’의 경우에도 같은 특성을 지니는 것으로 보인다 (신에 대한 두려움, 권력 기관에 대한 두려움). 프랑스어와 한국어에서 감정 표현은 신체상으로 드러나기도 하는데, 두 언어 간 차이점을 언급한다면, 그 부위 즉 ‘얼굴’의 사용이 한국어의 경우 수의적인데 반해, 프랑스어에서는 그 부위가 명시되지 않는 차이점을 보인다 (?? Son visage était blanc de peur vs 그는 겁에 질려 얼굴이 창백했다). 끝으로 동사구 avoir peur와 그 동의어들 craindre, appréhender, s’effrayer 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동사구 avoir peur와 동사 craindre는 명사 앞에 위치한 한정사의 가치에 따라 총칭적 가치 (les chiens) 혹은 비총칭적 가치 (les chiens de son voisin)를 지니지만, 나머지 두 동의어의 경우 총칭의 가치를 지니지 못한다. 동사 appréhender는 앞으로 일어날지 모르는 유감스러운 상황을 두려워하는 것이며, s’effrayer는 어떤 상황 앞에서 느끼는 감정이기 때문이다. 인간의 특성을 잘 드러내주는 요소 가운데 하나인 ‘감정’은 언어적인 측면에서 보면 아직도 상당 부분 분석, 기술되어야 할 분 ...

      • KCI등재

        非對格自動詞使役構文の日韓對照

        千昊載 한국일어일문학회 2003 日語日文學硏究 Vol.46 No.1

        本稿では次の3点を主張している. 第1点は, 千??載(1998b)で提案された「自發構文形成規則」は千??載(2002a, b)での硏究と同樣に妥當な規則であることを檢증したことであるる. 第2点は, 「自發構文形成規則」が組み??まれた非對格自動詞使役構文は間接使役の意味を記述することから, 「自發構文形成規則」が非對格自動詞使役構文の統語構造および意味構造を支配していることを檢증したこと, 第3点は, 日本語の非對格自動詞使役構文は隨意的に自發構文形成規則を適用されるが, 韓國語の非對格自動詞使役構文はその規則を義務的に適用されることから, 韓國語と日本語の使役構文の違いが生ずる理由を說明したことである.

      • KCI등재
      • KCI등재

        사역문에 있어서 한 · 일 대조를 통한 고찰

        공미희(Kong Mi Hee),손동주(Son Dong Ju) 일본어문학회 2016 일본어문학 Vol.72 No.-

        本稿は、韓 · 日使役文の特徴を、形態的、構文的、意味的に分類して考察し、これに基づいて韓国語の使役文「이形」が日本語の使役文と対応する場合と対応しない場合に分けて分析した。 形態的な面では、日本語の使役形は「動詞の語幹+(s)aseru」 であるのに比べて韓国語の使役形は「이形」「시키다形」「하다形」で多様で複雑な面がある。構文的な面でも韓 · 日使役文は、大きく自動詞使役文と他動詞使役文に分類され、両方とも自動詞使役文が他動詞使役文よりは多少複雑な様相を見せて、被使役者が有情物か無情物かによってその用法が異なる。意味的な面では、使役主体の意図と被使役主体の意志的な動作によって事態が実現される典型的な使役から、使役主体の意図と動作によって事態が実現される他動まで様々であるのと同様に、韓国語の使役形式「이形」も主語の意図と動作の有無によって、典型的な使役から他動まで様々な意味がある。このような面で両言語は類似点もあるが、「이形」は、すべての動詞から派生するものではなく語幹の形態と音韻的条件に応じて、その形態が異なるので、日本語の動詞の(s)aseru形に比べて、その分布が極めて限定的だと言える。 In this paper, the features of the Korea-Japanese causative statement is described morphological, syntactic, and with semantically classification. In morphological aspect, Japanese causative form is compared to the monotonous to put the “stem + (s) aseru of the verb”, Korean causative form “이형” “시키다형” “하다형” are diverse and complex as compared to the Japanese In syntactic aspect, intransitive causative statement is somewhat complicated than transitive causative statement. we see that cause is used differently its usage depending on the animateness and inanimateness, in these aspects, both of language are similar, too. In semantic aspect, Korean causative “이형” is many ways from the typical causative to transitivity. Such although both languages in terms there are similarities, “이형” it compared to (s) aseru form the verb of Japanese and its distribution was limited to the fact that is extremely limited.

      • KCI등재

        러시아어 사역구문 특성연구

        이은순(Lee Eun Soon) 한국노어노문학회 2002 노어노문학 Vol.14 No.1

        Russian causative constructions can be divided into seven subtypes according to their morpholexical,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There is one phenomenon that appears to be common to all causative constructions: The indirect agent is realized as the syntactic subject. However. the direct agent is realized as an object in most cases or cannot be realized in contextual causative constructions. The syntactic and lexical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which is based on works of Hale & Keyser. Hoffman. This includes a syntactic theory of argument structure in which the argument structure of a predicate takes the form of syntactic trees. and head-to-head movement may take place at a level of representation known as lexical syntax (1-syntax). The basic lexical syntactic structure is as follows: <이미지 참조> Here V¹ is the causative verb or affix(causative morpheme or causative prefix), while V² is the basic verb. XP being its complement (possibly null). When V¹ is a bound morpheme, V² raises to V¹ and the synthetic causatives(No. 4 & 5 types) result. When V¹ is 0-form causative verb. the synthetic causatives (No. 2 & 3 types) and the contextual causatives(No. 6 & 7) result. In contrast with this structure. the analytic causatives (No. 1 type) have a full causative verb which takes an IP complement in s-syntax,

      • KCI등재

        ‘V+完’과 ‘V+好’의 의미특징 및 인지과정 비교 연구

        정은 대한중국학회 2018 중국학 Vol.65 No.-

        본 논문에서는 ‘V+完’과 ‘V+好’ 구문의 의미특징을 간략히 살피되 궁극적으로 두 구문이 어떠한 인지과정을 거쳐 이해되는지 그 인지과정을 고찰하고 설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동작 의 완료라는 기본 의미의 전제하에 양의 소실과 출현을 근거로 의미특징을 비교하였는데, ‘V +完’은 양의 소실, ‘V+好’는 양의 획득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나아가 인지언어학의 개념적 혼성 이론을 해석의 근거로 삼아 유형별 인지과정을 분석하였는데 ‘결과보어 감지→인과관계를 매개로한 연상 작용→인과관계 추출→입력공간 구축→공간횡단 사상을 통한 입력공간 연결→투사를 통한 혼성공간 형성→인과관계의 개념적 혼성과정을 통한 발현구조 창조→‘V+完1 /完2/好1/好2’ 구문의 생성과 이해’의 인지과정을 거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혼성공간으로 투사되기 전 ‘完2’는 완성이라는 원형의미에서부터 주어진 양의 달성으로써 양의 소실의 의미가 부가되는 의미 획득의 원형확장이 진행되고, ‘好1’은 원형의미 로부터 추론기제가 작용하여 완성의 의미만을 나타내는 의미 소실의 원형확장이 이뤄지는 것으로 원형의미와의 인지적 변별이 가능함을 고찰하였다. In this study, we briefly looked at the meaning of 'V+wan' and 'V+hao' to exami ne and explain the cognitive process in which the two structures are ultimately un derstood. First, we compared semantic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disappearance o f quantity and appearance of quantity on the basis of the basic meaning of the e nd of certain action. Moreover, with a conceptual blending theory in cognitive linguistics as the groun d of interpret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cognitive process of the production and understanding of 'V+wan' and 'V+hao', centering around of the examples introduce d in the above classification of the types. In general, it was noted that the 'V+wan 1' and 'V+hao1·2' went through the cognitive process as follows: “Detection of Resul tative Verb Compound → Association mediated by the similarity of causal relations hip → Extraction of the causal relationship → Construction of conceptual influences → connection of the conceptual influences through cross-space mapping → Format ion of a blended space through projection → Emphasis of an emergent structure t hrough a conceptual blending process on the basis of causal relationship → Produ ction and understanding of 'V+wan1·2' and 'V+hao1·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