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금보유비율의 가치관련성-소유지배괴리도를 중심으로-

        김경태,노희천 한국세무학회 2012 세무와 회계저널 Vol.13 No.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corporate governance on the value relevance of cash holding ratio among Korean listed firms (KOSPI) belongs to Korean business group over the period 2001-2010. Especially this paper focuses on cash holdings because of high liquidity. This paper introduces cash holding ratio which is proxied by the sum of cash and short-term financial instruments divided by net assets. This paper uses market value as the proxy for market response, wedge as the proxy for corporate governance. Wedge means the difference between voting rights and cash flow rights of controlling shareholders. It could be possible that wedge gives controlling shareholders power to seek private benefits at the cost of outside shareholders. This paper tests whether high cash holding ratio is associated with low market value regarding low corporate governance. The regression result shows that corporate governance affects the association between cash holding ratio and market value. This result suggests that without properly controlling for corporate governance, estim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cash holding ratio and market value leads to an erroneous inference regarding the effect of cash holdings on market value. To check this result for robustness, the effect of corporate governance on the association between cash holding ratio and market value is examined after introducing cash holdings variable using cash divided by net assets. This paper also tests the effect of corporate governance on the association between cash holding ratio and market value after controlling for foreign investors. The results show that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is robust. 본 연구는 기업의 순자산 및 당기순이익에 추가하여 현금보유비율의 가치관련성이 존재하는지를살펴본다. 또한 현금보유비율의 가치관련성에 있어서 기업지배구조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검증함으로써 순자산 중에서 현금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지는 차별적 의미를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최근 기업 내부에 보유하는 현금수준이 증가하고 있고, 국내의 대기업을 중심으로 현금보유수준이크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현금의 적정 수준에 대한 논의가 제기되고 있는 시점에서 현금과 시장가치의 관계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연구는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현금보유비율과 시장가치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운데 특히 소유지배괴리도에 주목하고 있다. 그 이유는 현금의 유동성으로 인하여 재량적인 사용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기업지배구조에 의하여 현금보유비율과 시장가치 간의 관계가 크게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10년에 걸쳐 유가증권시장에서 대규모기업집단에 속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순자산, 당기순이익 및 현금보유비율과 시장가치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 소유지배괴리도가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기본적인 연구모형은 순자산, 당기순이익 및 현금보유비율이 시가총액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후, 각 변수에 대한 소유지배괴리도의 상호작용변수를 설정하여 소유지배괴리도로 인해 시가총액에 추가적으로 미치는 영향을살펴보고 있다. 현금보유비율은 현금및현금성자산에 단기금융자산을 가산한 후 기말순자산 금액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또한 현금및현금성자산만으로 현금보유수준을 측정하여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외국인지분율에 따른 민감도 분석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순자산 및 당기순이익에 더하여 추가적으로 현금보유비율의가치관련성이 존재한다. 또한 현금보유비율의 가치관련성은 소유지배괴리도가 높아질수록 반감되었다. 반면 순자산 및 당기순이익의 가치관련성은 소유지배괴리도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는 기업지배구조가 나쁜 기업의 소유경영자가 현금을 쉽게 재량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개연성을 자본시장에 참여하는 투자자들이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외국인지분율이 높은 경우에만 소유지배괴리도가 현금보유비율의 가치관련성에 영향을 미치는 실증결과로 볼 때, 기업지배구조의 문제를 인식할 수 있는 투자집단이 많은 경우에 시장에서 소유지배괴리도가 민감하게 평가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현금과 기업가치 간의 관계가 기업지배구조, 특히 소유지배괴리도에 의해 달라질 수있음을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공헌점이 있다. 기업의 생존환경이 매우 급박하게 변하는 현실에서현금보유비율을 높이려는 유인이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지만, 자본시장에서는 기업의 현금보유비율에 대해서 기업지배구조라는 요인에 의하여 상이하게 평가할 수 있는 측면을 확인한 것이다. 또한회계의 주요변수인 순자산 및 이익이 현금과 다르게 기업지배구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실증결과를 볼 때, 선행연구에서 다른 자산에 비해 현금사용이 재량적일 수 있다고 지적한 사항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는 측면에서 공헌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초과...

      • 이자보상비율과 재량발생

        이강일(LEE KANG IL),김혜경(KIM HEY KYEOUNG) 영남대학교 산경연구소 2005 영상저널 Vol.13 No.-

        본 연구는 이자보상비율이 이익조정의 대용치인 재량발생과 체계적인 관련성을 가지는지 실증분석하였다. 연구가설은 이자보상비율이 100% 이하인 기업의 재량발생이 이자보상비율이 100% 이상인 기업의 재량발생보다 크다고 예측하였다. 이자보상비율은 보고된 비율에서 재량발생을 차감하여 이익조정 반영 전의 비율을 사용하였다. 재량발생은 횡단면 수정 Jones 모형을 사용하여 연도별ㆍ산업별로 추정하였다. 표본은 1981-2000 기간 동안 12월 결산 상장법인으로 하였다. 가설검증모형은 재량발생을 종속변수로 하고 이자보상비율과 이자보상비율 100% 이상과 이하를 구분하는 가변수를 독립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 모형이다. 기업규모와 산업더미는 통제변수로 사용되었다. 실증분석의 결과 이자보상비율은 재량발생과 1% 유의수준에서 모든 표본기간에 음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자보상비율이 100% 이하인 기업의 재량발생이 이자보상비율이 100% 이상인 기업의 이자보상비율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분석의 결과는 가설의 예측과 일관된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규제당국에서 강한 이익 상향조정 유인을 가지는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을 구분할 때 이자보상비율이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interest coverage ratio and discretionary accruals. The research hypothesis predicts that discretionary accruals for firms with interest coverage ratio less than 100% are higher than discretionary accruals for firms with interest coverage ratio greater than 100%. Discretionary accruals are measured using cross-sectional modified Jones model for each sample year. The sample consists of December year-end firm/years during 1981-2000 period. Firms in the banking and securities industries were excluded from the sample. In the annual cross-sectional regression, discretionary accruals were regressed on interest coverage ratio. And firm size and industry classification were used as control variables in th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discretionary accruals are negatively related to interest coverage ratio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01 for each year during the entire sample period. In addition, the discretionary accruals for firms with interest coverage ratio less than 100%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at 0.01 level than discretionary accruals for firms with interest coverage ratio greater than 100%. Th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research hypothesis.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policy implications in that interest coverage ratio may be used by regulators in discriminating firms with strong incentives to increase reported income from firms with weak or no incentives to increase reported income.

      • KCI등재

        우리나라 초등 수학 교과서의 비율 설명 표현 분석

        임재훈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5 No.3

        이 논문에서는 초등 수학 교과서의 비율 설명 표현을, 비율 정의에 사용된 언어적 표현, 기준량을 1로 볼 때에 해당하는 표현, (기준량)/(비교하는 양) 이라는 분수 표현, (비교 하는 양)÷(기준량)이라는 나눗셈 표현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초등 교과서에 서 비율을 내포적으로 정의하는 데 사용된 언어적 표현에는 부적절한 면이 있지만, 비율 정의는 내적비율과 외적비율을 어떻게 취급할 것인가라는 문제 안에서 고려 될 이슈이다. 7차 교과서에서 사용방식이 바뀌고 07 개정 교과서 이후 삭제된 기준 량을 1로 볼 때라는 표현을 부활시켜 비율 설명에 사용할 필요가 있다. 3차 교과서 이후 사용되어 온 (기준량)/(비교하는 양) 이라는 비율의 분수 표현은 사용하지 않거나 제한적 으로 사용해야 한다. (비교하는 양)÷(기준량)이라는 비율의 나눗셈 표현은 비율의 분수 표현이 지닌 문제점을 지니고 있지 않다. 비율의 나눗셈 표현을 다시 사용한 09 개정 교과서와 15 개정 교과서는 나눗셈 비교를 부각하기 위해 비례적인 복수 상황을 사용하였는데 이와 관련하여 재고할 점이 있다. This study analyzed linguistic or mathematical expressions to explain the concept of rate (value of ratio) in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focusing on the way that a linguistic expression“when we see the base quantity as 1”is used, the use of fraction form of rate (base quantity)/(compared quantity) and division form of rate (compared quantity)÷(base quantity). Issues were brought out from the analysis and discussed. Linguistic expression“when we see the base quantity as 1”has disappeared since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is expression should be reused because it may help to understand what rate means. Fraction form of rate (base quantity)/(compared quantity) has been used ever since the 3rd national curriculum. However, (base quantity)/(compared quantity) is a problematic expression. It may mislead us into emphasizing fractions too much over decimals in teaching and learning rate. Division form of rate (compared quantity)÷(base quantity) was not used for a long time, from the 4th curriculum to 2007 revised curriculum. It is proper to use division form of rate because it fits well with the meaning of rate and is not problematic unlike fractional form of rate.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whether using proportional situations to highlight division comparison when introducing ratio and rate is appropriate.

      • KCI등재

        부채비율의 기계적 평균회귀에 대한 분석: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강용주 ( Yong Joo Kang ),장운욱 ( Woon Wook Jang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6 유라시아연구 Vol.13 No.3

        재무분야에서 기업의 자본구조를 설명하는 이론으로는 절충이론(trade-off theory)와 자본조달 순위이론(pecking order theory)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미국 기업을 대상으로 시행된 Chen and Zhao(2007) 및Chang and Dasgupta(2009)의 실증분석 연구에 따르면, 기업이 목표자본구조를 설정하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부채비율은 기계적으로 평균회귀하는 특징이 있다고 밝힘으로써 기존의 절충이론을 지지하던 실증연구들에 대해 근본적인 재검토가 필요함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부채비율의 기계적 평균회귀 특성이 한국에서도 나타나는지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미국 기업의 자료에서 처럼 한국 기업의 자료에서도 부채비율의 기계적 평균회귀 현상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목표자본구조를 설정하지 않은 기업을 상정하여 무작위 자본조달(random financing) 시뮬레이션 실험을 한 경우에도 부채비율이 평균으로 회귀하는 듯 보이는 현상(즉, 기계적 평균 회귀)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실증분석은 한국거래소 및 코스닥에 상장된 비금융기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주가 및 회계정보는 FnGuide의 Data Guide 데이터베이스에서 채집하였다. 자료 기간은 2000년부터 2015년까지 총16년이며, 물가상승률 및 산업군 효과가 나타나지 않도록 통제하고, 자본잠식 기업은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추가적으로, 최소 5년동안의 연속적인 주가 및 회계정보 자료가 확보되는 기업만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이는 무작위 추출 실험에서 부채비율의 충분한 시계열 값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자료 정제작업 후 본 연구에서는 총 1,689개 기업의 20,102개의 기업-연도 관찰치를 이용할 수 있었다. 실증분석에서는 전술한 한국기업들의 패널자료를 기반으로 각기 다른 자본조달 방식을 가정하여 세가지 다른 부채비율의 시뮬레이션을 시행하였다. 첫 번째 시뮬레이션에서는 각 기업에서 실제 자본부족 (또는 잉여)가 나타날 때 50%의 확률로 부채발행 또는 주식발행 (잉여가 나타날 때는 부채상환 또는 주식재매입)을 하도록 했다. 두 번째 시뮬레이션에서는 50%의 확률 대신에, 실제 각 기업들의 부채 및주식 발행의 비율을 이용하여 자본조달 시뮬레이션을 시행하였다. 세 번째 시뮬레이션에서는 발생 가능한 내생성(endogeneity) 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실제 자본부족(또는 잉여)가 발생하는 시점이 아닌 무작위로 추출된 임의의 시점에서 자본조달 결정이 이뤄지도록 하였으며, 이 때 자본조달은 첫 번 시뮬레이션 경우에서 처럼 50%의 확률로 부채발행 및 주식 발행(잉여의 경우에는, 50%의 확률로 부채상환 도는 주식재매입)이 이뤄지도록 했다. 우선, 실제 기업들의 부채비율을 과거 부채비율 및 기업 고유변수들에 회귀분석한 결과 회귀계수들의 부호는, 절충이론을 지지하는 기존 연구에서처럼, 과거 부채비율 및 기업규모는 양의 값을, 그리고 수익성 및 시장가 대 장부가 비율은 음의 값을 보였다. 또한 추정된 회귀계수들은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여 한국 기업들의 부채비율은 독립변수에 사용된 기업 고유변수들과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회귀분석의 결과는 목표 자본구조를 설정하지 않고 시행된 시뮬레이션에서도 질적으로 같은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 기업들의 부채비율에서도 기계적으로 평균회귀하는 특성이 나타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본 연구에서의 결과는 한국에서 절충이론이 성립하지 않음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기존의 절충이론을 지지하는 연구들에서 사용한 분석방법(즉, 과거 부채비율의 회귀계수 유의성여부로 절충이론 성립 여부를 판단하던 방법)은 기계적 평균회의의 특성으로 인해 적절하지 않을 수 있음을 밝힌 것에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traditional view that firms have target leverage ratios has been challenged given that a firm`s leverage ratio could mechanically mean revert whether or not a target leverage level actually exists. Evidence of leverage ratio mechanical mean reversion for U.S. firms has been well documented by Chang and Dasgupta (2009). A replication of the analysis using data on South Korean firms highlight the potential that the mechanical mean reversion of the leverage ratio also exists for South Korean firms, challenging the interpretation of prior research that infers target behavior of firms based on tests using target adjustment models. Although one might be tempted to deduce that South Korean firms follow target behavior based on the fact that the mean reversion parameter obtained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yields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ameter values, our analysis shows that similar statistically significant values for the mean reversion parameter can also be obtained when simulation samples with non-target random financing is used. The stock and financial accounting data for South Korean firms was obtained from FnGuide`s Data Guide database for all firms listed on the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KOSPI) and the Korean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s (KOSDAQ) over a period of 16 years starting from 2000 to 2015. All values were converted into 2010 constant values in order to eliminate the effects of inflation with industry effects being controlled for within th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KSIC (Korea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codes at the twenty-one single alphabet level. Following the exclusion of non-financial firms, as well as firms with missing book value of assets, an additional requirement that firms have at least five years of continuous and non-missing accounting and stock price information for inclusion was imposed. This particular requirement was imposed to ensure that the leverage ratios in the simulation samples are given an acceptable length of time to evolve differently from the actual leverage ratio when random financing is assumed. Finally, firm-year observations with negative or greater than one book leverage or that have incomplete data were dropped to produce a final unbalanced panel data set that has 20,102 firm-year observations for 1,689 firms. Using the obtained panel data, three different simulation samples were generated by assuming different financing behavior and using data from the actual sample. The first simulation sample, denoted by S(p = 0.5, actual deficit), assumes an equal probability of debt issuance and repurchase, that is p is assumed to be 0.50. The second simulation sample obtains p using the actual financing deficit and newly retained earnings in the actual data and is denoted by S(p=empirical frequency, actual deficit). The third simulation sample, denoted by S(p=0.5, random deficit), was generated to remove any potential effects of endogeneity in the actual financing deficit as endogeneity could cause the simulated sample to produce results that are consistent with target behavior. Panel regression of these simulation samples, along with the actual sample, was conducted using a modified version of the leverage model that has leverage ratio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lagged leverage ratio as well as various firm-specific variables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parameter coefficient estimates for the simulation samples were obtained by taking the average of 500 replications of the particular simulation. The signs for the coefficients on the lagged leverage ratio and firm-specific variables obtained from the leverage regressions were in the expected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leverage ratio. The significance of the coefficients can be viewed as verification that the leverage ratio for South Korean firms is related to the firm-specific variables selected for the leverage regression analysis. Similarly, the regressions of the simulation samples, also produc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efficients for the firm-specific variables that have similar signs as those obtained for the actual sample. The significance of the firm-specific variable coefficients for the simulation samples highlights the fact that the chosen firm characteristics can impact the leverage ratio even when no target behavior is assumed and provides evidence that mechanical mean reversion of leverage ratios is also exhibited by South Korean firms.

      • KCI등재후보

        은행의 자기자본비율과 유동성과의 관계

        박주철 ( Ju Cheul Park ),임채문 ( Chae Moon Lim ) 한국세무회계학회 2013 세무회계연구 Vol.0 No.37

        본 연구에서는 은행의 자기자본비율은 유동성과 유의한 (+)의 관계를 가지므로 경기침체 등으로 은행이 경영위기에 처했을 때 은행 안전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라는데 착안하였다. 만약 자기자본비율이 높다는 것이 은행의 유동성이 높다는 것과 유의한 관계가 성립한다면 바젤협약 등에서 최저 규제 자기자본비율을 정해놓고 그 이상의 자기자본 비율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는 은행 규제 정책은 그 당위성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11년 말 현재 시중은행 7개, 지방은행 6개 등 일반은행 13개의 2007년부터 2011년까지 5개년의 결산자료를 이용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가설은 은행의 위험가중 자기자본비율은 유동성비율과 유의한 (+)의 관계가 있다라는 것이며 가설검정방법은 회귀분석(OLS regression)이다. 회귀분석에서는 BIS기준 자기자본비율을 종속변수로 하고, 설명변수인 유동성비율과 통제변수인 무수익여신비율, GDP성장률, ROA(ROE), 비이자수익비율, 대손충당금비율, 총자산자연로그값, 시중은행여부 더미변수를 독립변수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주요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귀분석결과 유동성비율(CUR)의 회귀계수가 유의적인 (+)으로 나타나 자기자본비율은 유동성비율과 유의한 (+)의 관계가 있다는 연구가설은 채택되었다. 이는 자기자본비율이 높을 경우 유동성도 높아 은행의 지불능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여 은행건전성을 높일 목적으로 최저 규제 이상의 자기자본비율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는 감독당국의 지침은 논리적 근거를 얻게 된다. 둘째, 수익성지수인 ROE(자기자본순이익률)의 회귀계수는 약한 수준의 유의적인 (-)였다. 이는 일반은행의 경우 손익계산서상 총이익의 대부분을 대출에 의한 이자수익으로 얻고 있으나 이는 동시에 위험가중자산이 늘어날 수 밖에 없는 은행 영업의 현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셋째, GDP의 회귀계수는 (-)의 방향이었지만 유의적이지는 않았다. 이는 호경기(GDP성장율 상승) 때는 대출을 공격적으로 늘려 위험가중자산이 늘어나므로 자기자본비율이 감소하고 경기침체시에는 대출억제 등 위험자산을 줄여 자기자본비율이 증가하는 경기 대응 위험관리 현황을 보여주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회귀계수가 유의적이 아니므로 설명력은 제한적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자기자본비율과 유동성은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자기자본비율이 안정성 지표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밝혀낸 것이다.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capital ratio and liquidity of general banks in Korea. We assume that there is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between capital ratio based on BIS and liquidity of general banks to ensure capital buffers in economic downturns. If it is proved that capital ratio is positively related with liquidity in banks, Basel Ⅲ agreements that banks should maintain capital buffers above the regulatory minimum requirement of capital ratio to be used in economic downturns is properly validated. We analyse financial statements of general banks that consist of 7 commercial banks and 6 local banks covering the period of 2007-2011 to verify empirical hypothesis. Empirical hypothesis of this paper is that capital ratio based on BIS is positively related with liquidity ratio in general banks. To verify empirical hypothesis we employ least squares regression method in which dependent variable is capital ratio and independent variables are non performing loan ratio, GDP growth ratio, non interest revenue ratio, loan loss reserve ratio, liquidity ratio, profitability, the natural log of total assets, dummy variable representing commercial banks and local banks. Our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efficient of liquidity ratio is significantly positive. This shows that liquid asset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apital ratio. Higher level of capital ratio means higher degree of liquid asset reinforcing the financial stability of banks. Thus our empirical hypothesis is accepted. Second, the coefficent of GDP growth ratio is insignificantly negative. This means that although explanatory power is weak, capital ratio fall in economic upturns and rise in economic downturns.

      • 재무적자비율 및 재무흑자비율과 잉여현금흐름의 상호작용효과가 조세회피에 미치는 영향

        최학삼,권순창 한국산업경영학회 2016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6 No.-

        본 연구에서는 2005년부터 2014년까지 코스닥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재무적자(흑자)비율이 조세회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과정에서 기업의 내부현금보유와 관련된 재무적 상황변수인 잉여현금흐름이 조절변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분석결과를 얻은 후 재무적자(흑자)비율과 잉여현금흐름의 상호작용효과가 조세회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았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실증분석결과, 재무적자비율과 잉여현금흐름의 상호작용효과는 조세회피 측정치 TDA2와의 관계에서 유의한 음(-)의 관계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재무적자비율과 잉여현금흐름의 상호작용효과가 조세회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라는 연구가설 1을 지지하는 결과로 재무적자비율과 잉여현금흐름의 상호작용효과가 조세회피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재무적자비율과 조세회피의 관계에 잉여현금흐름이 조세회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음(-)의 조절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전년도에 재무적자가 발생하여 잉여현금흐름이 작아지면 내부유보자금 유출 최소화 목적에서의 조세회피를 증가시킬 유인이 줄어들어 조세회피가 감소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되어진 결과로 보여진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코스닥 상장기업에서 재무적자비율과 잉여현금흐름의 상호작용효과가 조세회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를 제시한 것에 공헌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재무비율과 회계이익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송동섭(Song, Dong-Seob) 한국국제회계학회 2011 국제회계연구 Vol.0 No.40

        본 연구의 목적은 회계정보 이용자들에게 중요한 의미를 갖는 재무비율과 회계정보의 유용성의 관계를 시장을 좀 더 세분화 하여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을 구분하여 분석하는데 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익의 질을 재량적 발생액(DA)으로 측정 시 이익의 질은 재무비율 중 수익성비율, 안전성비율, 성장성비율과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을 비교분석한 결과, 코스닥 시장에서 이익의 질인 재량적 발생액과 재무비율의 관련성에 대한 설명력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이익의 질을 이익지속성계수로 측정시 이익의 질은 재무비율 중 성장성비율과만 관련성이 있으며, 설명력 또한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대표 재무비율이 아닌 각 재무비율에서의 기타 재무비율과 이익의 질에 대한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거의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나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유동성 비율에서 대표비율인 유동비율이 이익의 질과 가장 높은 관련성을 보이고 있으나 유의하지 않게 나타난 반면, 코스닥시장에서는 현금비율이 다른 비율보다 설명력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유동비율이 유의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안정성비율에서도 보면 대표비율인 부채비율이 이익의 질과 관련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은 같으나 유동비율이 코스닥시장에서는 이익의 질과 유의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financial ratio and the effective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in the KOSPI and the KOSDAK stock marke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the quality of profit is measured by Discretionary Accruals, the quality of profit is associated with the profitability ratio, the safety ratio, and the growth ratio in the financial ratio. And there is a meaningful relation between Discretionary Accruals and the financial ratio in the KOSDAK stock market. Second, as the quality of profit is measured by Earnings Persistence Factors, only the quality of profit has something to do with growth ratio, but there is a little relation between the quality of profit and growth ratio. Third, the liquidity ratio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quality of profit in KOSPI stock market, but not meaningful. The stability ratio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quality of profit in the KOSDAK stock market and there is a close relation between the current ratio and the quality of profit in the KOSDAK stock market.

      • KCI등재

        부채비율과 채권등급의 관계에 관한 연구

        김병기 한국기업경영학회 2012 기업경영연구 Vol.19 No.6

        This study sheds some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rage and bond ratings using the sample of 1,711 firm-year observations in the period of 2000~2011. Other things being constant, the effect of leverage on bond ratings is expected to be negative. However, if both leverage and bond ratings are endogenously determined by a firm’s unobserved fundamental risk, it is possible that there may be a spurious correlation between leverage and bond ratings caused by the unobserved heterogeneity. In such case, the negative relation between the two may be substantially weaker than expected. In addition to the endogeneity, there are other things to be taken into account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leverage and bond ratings in Korea. First, Korean listed firms have constantly kept their leverage ratio as low as is since they lowered it significantly to overcome the financial crisis in 1997~1998 period. Second, Korean firms need to be more cautious on risk and financial constraints. The high degree of external dependence of the Korean economy makes Korean firms invest more on risk management to effectively control for interest and exchange rate volatility. Even though most bond issued in Korea these days are debentures and non-guaranteed bonds, it is difficult for small and medium-sized firms to issue public debt in order to lower the cost of capital. Furthermore, the long-term bond market is not yet fully developed. Third, many Korean firms are allegedly involved in accumulating cash more than necessary for the sake of risk management after the financial crisis. Thus, it may be necessary to consider cash as negative debt to measure leverage more accurately. Since bond ratings are ordinal, I employ the ordered logit model to examine the effect of leverage on bond ratings. Furthermore, in order to effectively control for the endogeneity in the leverage-bond ratings relation, I also employ both the two-stage instrumental variable logit model and the fixed effects logit model. Then I compare the coefficients of leverage in the logit model with those in the two models to find out the seriousness of the endogeneity. This study finds evidence that the problem of endogeneity is not serious for Korean listed firms during the sample period. I think that after financial crisis in 1997, the managers of Korean firms have become more conservative and put more emphasis on risk management. This conservative management makes a firm not raise its leverage when the fundamental risk of the firms reduces significantly. The fixed effects logit model provides evidence that bond ratings a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both book and market) leverage and volatility while they are positively related with firm size and advertising expense ratios. When book leverage is included in the two-stage instrumental variable logit model, firm size and growth affect bond ratings positively whereas profitability affects negatively. In contrast, when market leverage is employed in the model, bond ratings are negatively influenced by both growth and volati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book leverage from market leverage in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leverage and bond rating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f leverage on bond ratings is quite robust when I use various proxy variables for leverage and other determinants of bond ratings. Even when I measure leverage by considering cash as negative debt,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do not change.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the causal relation goes from leverage to bond ratings but not the other way around. The causality implies that firms do not adjust their leverage due to bond ratings changes. Especially, it is suspected that conservative managers do not lower their leverage when bond ratings go up. Finally, I suggest the usefulness of differentiating firms with bond ratings from those without ratings in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leverage and/or ... 모든 조건이 동일할 때 부채비율이 높아지면 기업의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채권등급이 하락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시각이다. 그런데 부채비율과 채권등급의 관계를 분석할 때는 특별히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있다. 첫 번째 고려사항은 내생성 문제이다. 기업 위험의 증대는 전문평가기관의 채권등급 하락을 가져오는 한편 경영자는 위험을 줄이기 위해 부채비율을 축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의 가성관계(spurious relation) 때문에 부채비율과 채권등급의 부(-)의 관계는 내생성이 제대로 고려되지 않으면 실제보다 약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둘째, 국내 상장기업은 외환위기 이후 위험관리 차원에서 부채비율을 급격히 감소시킨 후 지속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국내 장기채 시장이 존재하지 않고 있으며, 부채비율의 결정요인에 있어 채권등급이 있는 회사와 없는 회사간에 큰 차이가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넷째, 표본기간 동안 일부 기업의 현금축적이 심화된 점을 반영하여 부(-)의 부채(negative debt) 개념도 실증분석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도부터 2011년까지 12개년의 자료를 사용하여 1,711개의 기업-연도 관측치를 대상으로 부채 비율과 채권등급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채권등급이 서수임을 고려하여 기본적으로 로짓모형을 적용하였으며, 내생성을 반영하기 위해 도구변수모형과 고정효과 로짓모형을 사용하였다. 어떤 모형을 사용하던지 부채비율과 채권 등급간의 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몹시 유의하였다. 그렇지만 내생성을 통제한 2단계 도구변수모형 및 고정 효과로짓모형을 적용하면 부채비율-채권등급 관계에 있어 내생성 문제는 심각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 기업은 부채비율의 감소, 위험관리의 강화 등의 보수적 경영으로 위험이 낮아져도 부채비율을 높이는 행동은 취하지 않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결과의 강건성 검증을 위해 시차변수를 비롯해 다양한 대리변수를 사용했을 경우에나 현금성 자산을 부채에서 감한 경우에도 부채비율과 채권등급간에는 여전히 강한 부(-)의 관계가 존재하였다. 한편 부채비율-채권등급 관계에 있어 부채비율이 채권등급에 영향을 미치지만 그 반대는 성립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채권등급 유무에 따른 부채비율 및 기업특성에 있어 유의한 큰 차이가 존재해 부채비율 결정요인 및 부채비율-채권등급 관계 분석 시 채권등급이 있는 회사와 없는 회사를 구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증거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 유아들의 분수개념에 대한 이해의 발달 1: 비율추리를 중심으로

        박영신 한국유아교육학회 2004 유아교육연구 Vol.24 No.3

        만 4세와 5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비율추리의 발달을 두 개의 연구에서 검토하였다. 연구 1에서는 모양이 다른 세 개의 도형에 비율 1/4, 2/4, 3/4과 자연수 4/4 가운데 하나를 제시한 다음, 모양이 같은 네 개의 도형에 각각 다른 네 개의 비율을 제시하고 앞의 제시된 것과 동일한 비율을 나타내는 자극을 찾게 하였다. 일부 문제에서는 도형들의 크기가 비슷하였고 일부 문제에서는 도형들의 크기가 서로 달랐다. 만 5세 유아들은 비율에 관계없이 비율추리를 잘 하였으나 만 4세 유아들은 비율추리를 잘 하지 못했고 특히 a/4에서 비율추리가 떨어졌다. 흰색과 노란색의 대비로 비율을 제시하여 유아들이 각 도형에서 비율을 스스로 추정해야 했던 연구 1과 달리 연구 2에서는 선을 사용하여 모든 도형을 사등분하여 비율을 제시하였다. 연구 1처럼 만 5세 유아들이 만 4세 유아들보다 비율추리를 더 잘 하였다. 그러나 연구 1에서보다 만 4세 유아들의 비율추리가 특히 a/4에서 많이 향상되었다. 이 결과들은 학령 전기 유아들도 분수의 기초라고 할 수 있는 비율추리를 할 수 있으며 특히 만 4세 유아들의 비율추리는 비율의 추정에 도움이 되는 자극의 지각적 특성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Using two experiments,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of Korean preschoolers' understanding of proportional reasoning. In Experiment 1, 4-and 5-year olds were presented with figurative stimuli (e.g, circles, diamonds, square and rectangles) presenting one of the following proportions: 1/4, 2/4, 3/4 or 4/4. They then were asked to choose the stimulus presenting the same proportion from among four different stimuli. The proportions were presented by yellow shading in one-quarter, a half, three-quarters or the whole shape. In experiment I, the size of the stimuli was about the same on the half of the problems but was different on the other problems. The results of experiment I reveal that 5-year-old children performed better than 4-year-old children, regardless of the proportions. The 4-year-old children had their lowest performance rate on the proportion 2/4. In Experiment 2, all proportions were presented in shapes, but, in an effort to decrease the difficulty the children had experienced in estimating the proportions in Experiment I, lines were used to divide each shape into four equal parts. As was found in Experiment 1, the 5-year-old children performed better than the 4-year-old children. However, the 4-year-old children's performance improved, especially on problems featuring the 2/4 proportion. These results show that preschool children can perform proportional reasoning and that their proportional reasoning is influenced by the perceptual characteristics of the stimuli, such as size or shape.

      • KCI등재

        스테파노 바네오의 레카네뚬 데 뮤지카 아우레아 제 2권에 의한 비율 연구

        박혜자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08 이화음악논집 Vol.12 No.1

        서양음악에서 중세와 르네상스의 중요한 특징을 이루는 비율(proportion)이론은 두 음 사이의 음정의 의미와 서로 다른 두 박자 간의 길이를 측정하는,즉 음가를 수학적 비율(ratio)로 축소(diminution) 또는 확대(augmentation)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비율은 수학에 의한 비율을 실제음악에 적용함으로써 템포(tempo)의 변화와 함께 리듬(rhythm)의 다양성과 복합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16세기에 비율의 종류는 일반적인 추측과는 달리 15세기에서 사용된 비율의 종류보다 오히려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다. 즉, 15세기 비율 이론을 가장 체계적으로 정립해 놓은 논서 인 요하네스 팅토리스의 음악의 비율(Proportionale Musices)에서는 5유형에 속하는 25종류의 비율을 언급하고 있다. 이에 반해 이 논서보다 60년 후에 출판된 16세기 중반의 논서 인 스테파노 바네오 레카네뚬 데 뮤지카 아우레아(Recanetum de Musica Aurea)에서는 이 시대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비율이라는 설명과 함께 비율을 2유형의 5종류로 제한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중세와 르네상스의 중요한 특징을 이루는 비율 이론에 대해 그 새로운 가능성을 스테파노 바네오의 레카네뚬 데 뮤지카 아우레아에서 언급된 비율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즉, 16세기의 비율 이론의 역사적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그 새로운 가능성을 연구하기 위해 스테파노 바네오가 그의 논서 에서 제시한 비율이론을 살펴보았다. 또한 15, 16세기에는 언급되지 않았으나, 그러나 성립이 가능한 비율을 제시하기 위하여 요하네스 팅토리스의 음악의 비율에서 언급한 15세기 비율 이론을 제시하고 이 두 논서에서 언급된 비율의 범위를 초과하여 성립이 가능한 비율을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성립이 가능한 비율(현대 보에서 사용하는 박자 표기로 전환이 가능한 것들과 더 이상 전환 시킬 수 없는 것들이 있다)의 제시는 16세기에 15세기 보다 비율이 제한되었으나, 15, 16세기 비율의 개념은 16세기의 리듬과 대위의 개념을 넘어 새로운 리듬과 대위적 개념, 즉 새로운 이론 하에서 새로운 비율이 창출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 것임을 확신하는 바이다. Proportion which is a significant feature in Western music of the Medieval age and Renaissance is diminution or augmentation of note values which measures intervals between two notes and the length of two different tempos by mathematical ratio. That is, proportion demonstrates variety and complexity of rhythms by applying mathematical ratio to notation. However, the range of proportion was more restricted in the 16^(th) century than in the 15^(th) century. That is, Johannes Tinctoris's Proportionale Musices, which is a writing that most systematically explained the theory of proportion in the 15^(th) century mentions 25 species of proportions which belong to 5 types. In contrast, Stephano Vanneo's Recanetum de Musica Aurea, which was published in the mid 16^(th) century in 60 years after Proportionale Musices, limited proportions to five species. This paper aims to present potential proportions that can be established beyond the scope of proportion proposed by Stephano Vanneo and Johannes Tinctoris. This paper introduces Stephano Vanneo's proportion explained in Recanetum de Musica Aurea and Johannes Tinctoris's proportion discussed in Proportionate Musices. Then, proportions that can be established beyond the scope of proportions presented in these two writings are proposed. This study presented proportions that are possible beyond the proportions presented by Stephano Vanneo and Johannes Tinctoris. These possible proportions suggest that: while the 16^(th) century proportions were more limited than the 15^(th) century proportions, the concept of proportions in the 15^(th) and 16^(th)c enturies presented new rhythm and contrapuntal concepts beyond the 16^(th) century rhythm and contrapuntal concept. That is, it proposes a theoretical basis to create new proportions under a new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