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모수추정법에 의한 부산시 가정용수 수질개선에 대한 지불의사액 추정

        표희동,박철형,추재욱 한국수자원학회 2011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4 No.2

        이 논문은 비모수추정법에 의한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하여 부산시 가정용수 수질개선에 대한 지불의사액을 추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는 생활용수를 관리하는 정책입안자들에게 수질개선에 따른 경제적 편익의 정보를 제공하고, 부산시의 생활용수 개선사업을 수행여부나 수행규모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정보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비모수추정법은 모수추정법에서 가정되는 모형분포의 적합도, 모형설정, 이분산 등의 가정과 검정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The paper is to estimate willingness-to-pay (WTP) for residential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Busan, using non-parametric approach. There are several significant advantages of non-parametric approach, compared to parametric methods. That is, no probabili

      • KCI등재

        인구구조 변화와 주택가격 움직임: 전국 및 광역시 비교 분석 및 예측

        安智熙 ( Jihee Ann ),朴哲範 ( Cheolbeom Park ) 한국국제경제학회 2020 국제경제연구 Vol.26 No.1

        본 논문은 비모수 추정법(nonparametric estimation)을 응용하여 인구분포와 표준화된 주택가격(주택가격-임대소득 비율)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비모수추정법에 의하여 추정된 연령 반응함수는 생애주기가설의 설명과 대체적으로 일치하고, 추정된 주택가격지수는 실제 주택 가격지수의 움직임을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및 6대 광역시별로 추정된 연령반응 함수는 지역의 인구분포에 따라 상이한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추정되었는데 고령화가 진행 될수록 고령세대가 주택가격에 음(-)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추정된 연령반응함수와 시나리오별 미래 인구추계를 사용하여 전국, 서울 및 6대 광역시의 미래 표준화된 주택가격을 예측하였는데 울산과 인천을 제외한 지역에서 표준화된 주택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Employing the nonparametric estimation approach, we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demographic structure and normalized house price (the price-rent ratio) in Korea. We find that the estimated age response function is generally consistent with the implication of the life-cycle hypothesis, and that the estimated price-rent ratio tracks the actual price-rent ratio closely. Estimated age response functions for Seoul and 6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show heterogeneous shapes, but the elderly population is more likely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price-rent ratio as the area becomes more aged. Using the estimated age response functions and population projections, we also make forecasts for the price-rent ratios and show that the price-rent ratio will decline in Korea except Ulsan and Incheon areas.

      • KCI등재

        조건부 가치측정법에서 영(0)의 응답처리를 위한 모수적 추정법과 비모수적 추정법의 비교연구

        이주석 ( Joo Suk Lee ),최은철 ( Eun Chul Choi )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구 한국환경경제학회) 2013 자원·환경경제연구 Vol.22 No.2

        조건부 가치측정법 연구에서 제시금액에 대한 지불의사가 없다는 영(0)의 지불의사 비중이 높을 경우 영의 지불의사를 밝히는 응답 자료들을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가를 두고 논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탄소 저감정책에 대한 설문조사결과를 활용하여 보다 합리적으로 영의 지불의사를 밝히는 응답 자료들을 처리할 수 있는 모형들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학술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스파이크모형을 포함한 혼합모형 등 모수적 추정법 뿐만 아니라 다양한 비모수적 추정법의 추정결과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모형에 따라서 다른 값들이 도출되었으며, 각각의 모형들의 한계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을 볼 때, 향후 CVM 연구에서는 특정 방법론을 이용하는 것 보다는 보다 보수적인 추정치를 제공하는 방법론을 이용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re has been some debates about zero willingness to pay in contingent valuation method research. Therefore, this paper tries to estimate and compare the results of various models to handle zero willingness to pay responses. For this purpose, we have employed parametric estimation such as the mixed model and the spike model, as well as non-parametric estimations. As a result, these models derived WTP estimate different from conventional model, but they also show some weakness. Therefore, in future research, more conservative estimate of the model should be to use rather than specific model.

      • KCI등재

        연령반응함수를 이용한 한국과 일본의 인구구조 변화와 저축률의 관계 분석

        안지희,송철종 한국경제통상학회 2022 경제연구 Vol.40 No.4

        이 연구는 1980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의 5세 단위 인구구조의 변화가 가계저축률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비모수 및 준모수 추정법을 사용하여 가계저축률의 연령반응 함수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의 경우 가계저축률의 연령반응함수는 3차 함수 형태로 추정되었다. 또한 인구분포 자체를 분석에 사용함으로써 인구구조의 변화와 저축률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첫째, 지속적인 저출산은 가계저축률을 높이는 영향을 준다. 둘째, 10대에서 30대의 인구 비중 감소와 40대부터 60대의 인구비중 증가는 가계저축률을 하락시키는 요인이다. 셋째, 70대 이상 인구 증가는 가계저축률을 상승시킨다. 일본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인구구조의 변화가 가계저축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장기 침체와 같은 거시경제 상황을 통제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