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브랜드 경험 증진을 위한 서비스스케이프 요소에 관한 연구 - 커피전문브랜드 매장 중심으로 -

        김윤희 ( Kim Yunhee ),이재규 ( Lee Jeaky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경험은 소비자에게 자사의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축척시킴으로써 브랜드 충성도를 확보하기 위한 브랜드 전략으로 대두되고 있다. 디지털 시대로의 변화는 그러한 경험의 가치를 더 확장시키고 있으며, 경험이 제공되어지는 공간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과거 공간은 제품을 팔기 위한 배경으로 존재 했다면 디지털 시대의 공간은 특별한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고객과 소통하고 브랜드의 가치를 높여 주기 위한 창구로 그 개념과 범주가 달라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경험의 개념 및 구성요소를 분석하고, 브랜드 경험이 일어나는 공간의 종합 환경인 서비스스케이프의 개념을 정의하여 브랜드 경험 증진을 위한 서비스스케이프 요소를 도출하고, 정립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브랜드 경험과 서비스스케이프의 선행연구를 통해 브랜드 경험의 유형 및 구성요소와 서비스스케이프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브랜드 경험 증진에 기반을 둔 브랜드 경험 구성요소에 따라 서비스스케이프 요소 및 분석모형을 구축하였다. 마케팅의 관점으로 브랜드 경험을 통한 브랜드 기획 및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한 커피전문 브랜드 4곳의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종합하여 브랜드 경험을 일으키는 서비스스케이프 요소를 정의하고, 서비스스케프 요소를 통한 공간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결과) 서비스스케이프 요소 심미성, 안락성, 쾌적성, 편리성, 상징성, 전문성의 6가지 분석기준을 가지고 국내ᆞ외 커피전문브랜드 각각 2개를 분석하여 본 결과 각 브랜드는 고객을 브랜드 경험에 노출시키기 위한 다양한 전략들을 공간에 적용하고 있었다. 스타벅스 리저브 매장은 상징성을 포함한 전반적인 영역에서 우월한 수치로 서비스스케이프 요소를 고루 만족시키고 있었다. 이어 맥심플랜트>블루보틀>테라로사 순으로 분석되었지만 3개의 브랜드는 모두 근사치 범위 안에 속했다. 서비스스케이프 요소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전문적 행위와 서비스 태도를 포함하는 전문성이 가장 두드러졌다. 이어 편리성>상징성>심미성>안락성>쾌적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브랜드 경험을 선사하기 위한 공간의 디자인 전략은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분석된 서비스스케이프 요소를 브랜드의 정체성이 부여된 전문성과 사용자 중심의 편리성, 브랜드 철학과 통합적 이미지의 상징성, 사용자의 감각과 감성을 자극하는 심미성, 보편적이지만 상호 연관성을 가지고 공동의 가치를 창출하는 안락성, 쾌적성으로 정의하며, 이를 중심으로 한 공간 디자인은 브랜드와 고객의 관계성을 형성하고 브랜드의 인상을 심어 고객과 브랜드의 지속 가능한 소통의 창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서비스스케이프 요소가 브랜드 경험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키고, 브랜드의 차별화 전략의 중요 요인으로 활용되어 브랜드의 가치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활용되길 기대하는 바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oday’s experience is on the rise as a brand strategy to retain loyalty by accumulating positive responses to its brand to consumers. The transition to the digital era is expanding such a value of the experience and place where the experience is provided is working as an important factor. If the place existed as a background to sell products in the past, in the digital era, it is changing concept and category as a solution to communicate with customers and is increasing brand value by providing a special experienc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 of the brand experience and several brand experience constituents. It also defines the concept of servicescape which is a comprehensive environment of the space making brand experiences so as to draw and found the servicescape elements. (Method) This study draws brand experience type and constituents, and the constituent of servicescape through advanced research of the brand experience and servicescape. The servicescape elements and analytic model were built according to the brand experience constituents based on the brand experience enhancement. Moreover, it analyzes four examples of coffee brands that constructed their own brand projects and images using their experiences in aspects of marketing. Then, it defines design elements that generate brand experiences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the spatial design through the servicescape elements. (Results) After analyzing two domestic and two external coffee brands using the servicescape elements for six analysis criteria, namely, aesthetic impression, pleasure, comfort, convenience, symbolism, and professionalism, it is identified that each brand is applying various strategies to expose its customers to brand experiences. The Starbucks Reserve store has satisfied the servicescape elements in overall scope including symbolism. It was then analyzed in the order of Maxim Plant>Blue Bottle>Terrarosa, all three brands were within the approximate range. As a result of analysis based on the servicescape elements, the most prominent was professionalism including professional behavior and service attitude, and it was followed by convenience>symbolism>aesthetic impression>comfort>pleasure. (Conclusions) The design strategy of the space to present the brand experience is of crucial importance. Analyzed servicescape elements are defined in professionalism with brand identity and user-centered convenience, symbolism of integrated image and brand philosophy, aestheticism that stimulates user sense and sensibility, and comfort and pleasure that creates common value with universal but interrelatedness. This spatial design centered on the servicescape elements creates relationships between brands and customers, and also provides a window of sustainable communication between brands and customers with brand impression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servicescape elements effectively increase the brand experience and are used as a vital element for a brand’s differentiation strategy so that it ends up employed as a standard to evaluate the brand value.

      • KCI등재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숍의 브랜드스케이프에 관한 연구

        오현주 ( Hyunju Oh ),이재규 ( Jaekyu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1

        (연구배경 및 목적)디지털 시대의 쇼핑 트렌드가 옴니 채널의 영향으로 기존의 오프라인 공간은 다양한 모습으로 공간의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아웃도어 매장 공간은 브랜드를 직접적으로 경험 할 수 있는 환경을 제안하고 소비자에게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는 경향으로 발전되고 있고 일관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고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해 브랜드스케이프 공간 구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숍에서 공간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를 높일 수 있는 브랜드스케이프 구축을 위한 표현 특성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본 연구에서는 브랜드스케이프와 라이프스타일 숍에 대해 이론적으로 개념을 정립하고,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브랜드스케이프의 구성 요소와 라이프스타일 숍의 특성을 8가지 키워드로 추출하여 이를 토대로 사례 분석을 위한 매트릭스의 틀로 사용했다. 사례 분석 대상으로는 차별화 된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는 국내외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숍을 대상으로 사례연구에 적용하여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숍에서의 공간 특성과 표현요소에 대해 연구했다. (결과)위 요소들로 사례를 분석한 결과 각 브랜드마다 추구하는 가치와 공간적 환경, 제품은 다르지만 공간을 통해 라이프스타일 제안을 전제로 하며 다양한 제품과 프로그램, 전문적인 서비스를 통해 경쟁 브랜드와의 차별화를 추구한다.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숍에서의 브랜드스케이프 구축을 위한 특성을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매장의 공간적 환경은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숍의 전체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기 때문에 명확한 콘셉트를 세우고 그에 맞는 공간 디자인 구성이 요구 된다. 둘째, 다양하고 전문적인 제품 구성으로 아웃도어에 특화된 매장과 체험형 공간, 카페와 편의시설 등 다양한 복합 문화 공간 형태로 구성 되어야 한다. 셋째,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숍을 방문하는 소비자들에게 공간에서의 색다른 체험과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넷째, 자연 친화적인 이미지로 편안한 휴식을 제공하고 가치 공간으로 고객 공감을 얻는 장소가 되어야 한다. (결론)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숍은 디자인만으로 차별화 된 공간이 아닌, 소비자가 즐길 수 있는 문화 공간으로 긍정적 반응을 이끌어 내고 소비자에게 감성과 경험을 확장 시켜주는 공간 구성과 프로그램으로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해아 한다. 본 연구는 브랜드만의 명확한 콘셉트와 아이덴티티를 확립하기 위한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숍의 공간 환경에서 브랜드스케이프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브랜드스케이프를 적용한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숍의 공간 환경 특성을 활용함으로써 향후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숍 디자인에 있어 새로운 접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Background & Objective)The shopping trend in digital era is the expansion of traditional off-line spaces into a variety of aspects owing to omni-channel shopping. Toward this trend, outdoor clothing stores have been developing by allowing their customers to experience the brand directly while proposing a lifestyle, thereby demanding for brandscapes to establish a coherent brand identity and enhance its valu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features of building brandscapes that enhance a brand image through an outdoor lifestyle shop. (Methods)This study establishes a theoretical concept of brandscapes and lifestyle shops, by using eight extracted characteristic keywords from preceding studies of brandscapes components and aspects of lifestyle shop, as a matrix frame for case analysis. Outdoor lifestyle shops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that propose a differentiated lifestyle are selected as the focus of this research; in particular, this study looks into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materials of an outdoor lifestyle shop. (Results)This study found that each brand seeks differentiation against its rival brands through various products and programs or professional service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it suggests a lifestyle in a space in which different products and spatial circumstances exist. Four features were found to establish brandscapes of an outdoor lifestyle shop. First, a clear and a definite concept as well as an appropriate and a suiting spatial design are required, as the spatial atmosphere of a shop creates a general image of an outdoor lifestyle shop. Second, the shop should form a complex cultural space composed of various and professional outdoor products, in which customers can experience the products personally while relaxing with coffee and using the store`s other amenities. Third, the shop should be able to offer unconventional experiences to customers. Lastly, the place must gain the sympathy of customers as a space for value, by providing a comforting, relaxing, and eco-friendly image. (Conclusions)Outdoor lifestyle shops should be able to propose a lifestyle to customers through the construction of space and programs, espousing customers` sensitivity and inducing their positive reaction toward the place as a cultural place in which they can enjoy. This study determined the characteristics of brandscapes of outdoor lifestyle shop`s spatial atmosphere in an attempt to constitute clear and distinctive brand concept and identity. By utilizing the unique spatial aspects of outdoor lifestyle shops, and then applied to brandscape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new direction to future approach on prospective design for outdoor lifestyle shops.

      • KCI등재

        화장품 브랜드 매장의 사회적 서비스스케이프가 관계지속성에 미치는 영향과 브랜드 이미지의 매개효과

        박경옥(Park, Kyung Ok),권오혁(Kwon, Oh Hyeo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화장품 브랜드 매장의 사회적 서비스 스케이프와 관계 지속성과의 관계에서 브랜드 이미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대상은 화장품 브랜드 매장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250명을 대상으로 2021년 6월 1일부터 7월 10일까지 설문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IBM, USA)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기법으로는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의 구성적 타당도 확인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을 분석, 변수들의 내적인 일관성 확인위해 Cronbach’s α를 통한 신뢰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설의 검증을 위해 회귀분석(R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장품 브랜드 매장의 사회적 서비스 스케이프는 브랜드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화장품 브랜드 매장의 사회적 서비스 스케이프는 관계 지속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화장품 브랜드 매장의 브랜드 이미지는 관계 지속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화장품브랜드 매장의 사회적 서비스 스케이프와 관계 지속성 간에 브랜드 이미지는 매개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화장품 브랜드 매장의 사회적 서비스 스케이프와 브랜드 이미지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여 화장품 브랜드 매장을 이용하는 고객과의 관계지속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사료 된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사회적 서비스 스케이프와 브랜드 이미지는 관계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화장품 브랜드 매장의 사회적 서비스 스케이프가 관계 지속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브랜드 이미지의 매개효과를 연구함으로써 화장품 브랜드 매장의 서비스 전략 수립에 학문적인 자료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brand ima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ervicescape and relationship continuity of cosmetics brand stores in Korea.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 survey conducted from June 1 to July 10, 2021 among 250 people who had experience using cosmetics brand stor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 23.0 (IBM, USA). As an analysis technique,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exploratory factors were analyzed to confirm the constructive validity of the easurements, and reli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with Cronbach’s α to confirm the internal consistency of ariables. In additi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dependent variable,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service landscape of cosmetics brand stor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brand imag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service landscape of cosmetics brand stores had a positive effect on relationship continuity. Third, the brand image of cosmetics brand store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relationship continuity.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brand image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social service landscape of the cosmetics brand store and the relationship continuity.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it will be possible to increase the continuity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customers who use the cosmetics brand store by efficiently managing the social service landscape and brand image of the cosmetics brand store.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the social service landscape and brand image are important variables that affect relationship continu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cademic data on the establishment of service strategies for cosmetics brand stores by studying how the social service landscape of Korean cosmetics brand stores affects relationship continuit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brand image.

      • KCI등재

        주얼리브랜드 매장의 서비스스케이프가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

        위경효,강종환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3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1 No.3

        Kotler(1973)는 서비스스케이프가 서비스 상품의 중요한 유형의 구성요소의 하나로서 고객들에게 단서를 제공해 주고 소비자들의 마음속에 즉각적인 지각적 이미지를 창출한다고 주장 하였다(Kotler, 1973). 이후 많은 연구들이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들의 인상형성에 있어 긍정적 부정적 영향 미친다는 것을 규명해왔다. 하지만 대다수의 연구들은 전형적으로 매출 및 수익 그리고 고객만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전통적으로 서비스대면에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있다. 하지만 극 소수의 연구들만이 이러한 환경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과 평가에 미치는 서비스스케이프의 파급효과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Lin(2004)에 의하면 서비스스케이프는 고객들의 인상형성에 있어 중요한 요소일 뿐만 아니라 서비스스케이프 그 자체와 서비스 조직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에 있어 중요한 증거의 원천이라고 한다. 형태심리학의 개념에 입각해서 Lin(2004)은 고객들이 서비스스케이프를 평가할 때(예를 들면 만족 혹은 평가 측정) 개인의 지각이 기억 속에 쌓인 하나의 인지적 지식구조로 작용하게 된다고 주장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형태심리학을 기반으로 주얼리브랜드 고객들이 어떻게 서비스스케이프에 대한 감흥 혹은 지각적 이미지를 형성하며 그러한 이미지 형성이 감성적 반응과 행위의도를 이끌어 내는지를 이해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선행연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 구성 개념들 간의 인과관계를 설정한 연구모형을 도출하였으며 서울ㆍ경기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주얼리브랜드 6개 업체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주얼리브랜드 매장의 서비스스케이프는 소비자들의 인지적 반응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감성적 반응과 행위의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지적 반응은 감성적 반응과 행위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간접효과는 서비스스케이프가 인지적 반응을 매개로 감성적 반응에 미치는 효과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Kotler(1973) suggested that servicescapes are an important tangible component of the service product that provide cues to customers and create an immediate perceptual image in customers’ minds (Kotler, 1973). Ever since, numerous studies have shown that servicescapes play an important role, both positive and negative, in customers’ impression formation. However, research typically accords priority to the service encounter to increase sales and profits and customer satisfaction and yet, little research focus has been placed on the impact of servicescapes on customers’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these settings. According to Lin(2004), servicescapes are not only an important component of a customer’s impression formation, but also an important source of evidence in the overall evaluation of the servicescape itself and the service organization in general. Based on the concept of Gestalt psychology Lin(2004) argue that when customer evaluate a servicescape, individual individual perception serves as a cognitive schema.

      • KCI등재

        패션 멀티브랜드 스토어의 서비스스케이프와 브랜드이미지가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성분란,임채관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rvice scape and brand imag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in fashion multi-brand store, which is developing as a fashion distribution channels. Through this study, we will contribute to establishing branding strategy in fashion marketing field by forecasting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in fashion multi-brand store.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study of the research hypotheses based on the theoretical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fashion multi-brand store service scape have been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brand image. Second, service scape and brand image of fashion multi-brand store have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Third, customer satisfaction of fashion multi-brand store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visit intention. However, it is analyzed that service scape and brand image directly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evisit intention.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retail marketing ability which strengthened service scape and brand image of fashion multi-brand stor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It is meaningful that the fashion multi-brand store has confirmed practicality and strategic utilization in improving service scape and enhancing brand image by proving the influence relation and relative importance of constituent factors. 본 연구는 최근 패션 유통채널의 하나로 부각되고 있는 패션 멀티브랜드 스토어 방문고객이 제품구매 및 서비스를 받는 과정에서 지각하게 되는 서비스스케이프와 브랜드이미지가 고객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패션 멀티브랜드 스토어의 발전 가능성을 전망하고 패션마케팅 분야에서 브랜드화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설정한 연구가설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패션 멀티브랜드 스토어 방문고객이 느끼는 서비스스케이프 특성이 브랜드이미지에 긍정적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패션 멀티브랜드 스토어의 서비스스케이프와 브랜드이미지가 고객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패션 멀티브랜드 스토어의 방문고객 만족도가 재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서비스스케이프프와 브랜드이미지가 직접적으로 재방문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패션 멀티브랜드 스토어의 서비스스케이프와 브랜드이미지를 강화한 소매마케팅 역량이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그 영향 관계와 구성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성을 확인하고 패션 멀티브랜드 스토어가 서비스스케이프를 개선하고 브랜드이미지를 제고하는데 있어 실무적, 전략적 활용가능성을 확인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김포 한강신도시 브랜드 아파트 외장색채에 관한 연구 - 김포시 경관 색채 가이드라인 비교를 중심으로 -

        김상희 ( Kim Sanghee ),장영호 ( Jang Youngho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7

        (연구배경 및 목적) 현재 신도시들은 거주 인구의 양적확대에 집중되어 있고 주거 형태의 대부분을 아파트에 의존시키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현대적 의미의 신도시가 본격화된 것은 60년대 이후이다. 신도시에 세워지는 여러 종류의 신축 주택과 아파트들 중에서도 특히 브랜드 아파트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다양해지다보니 아파트 브랜드별로 추구하고자 하는 이미지와 정체성을 직접적으로 외관에 표현하기 시작하였고, 전체적인 도시 경관이 조화롭지 않은 이미지를 띄게 되었다. 한 도시를 형성함으로서 아파트의 외관, 색채의 구성원리에 대한 연구와 도시 경관디자인에서 필수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하는 지역의 색채 가이드라인을 통해 브랜드 아파트의 외장색채에 대한 비교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현재 신도시 브랜드 아파트의 외장 색채의 현황과 도시가 추구하고자 하는 이미지에 대한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해 지역 색채가이드라인과의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김포 한강신도시 구래동 브랜드 아파트 8곳을 대상으로 김포시 경관계획 가이드라인 내 공동주택 색채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비교분석하여 적용 여부를 판단하였고, 추출된 색상을 이미지 맵핑 기법을 이용하여 전체적인 색상의 분포현황을 파악하였다. 분석한 것을 토대로그에 따른 최종적인 문제점을 도출한다. (결과) 김포 한강신도시 구래동 내 브랜드별 아파트 외장색채의 주조색으로는 대부분 무채색 계열이 사용되었으나, 분석한 곳의 50% 이상이 김포시 공동주택 색채가이드라인의 오차범위를 벗어나 있었고, 현재 기업의 상징색 및 차별화된 색채 계획이 경쟁력에 영향을 주는 만큼 주변 경관에 대한 고려가 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현재 신도시 브랜드 아파트의 외장 색채의 현황과 도시가 추구하고자 하는 이미지에 대한 적합성을 지역 경관 색채 가이드라인과 비교 분석하여 차이점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였고, 도시경관에서 아파트 외장색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부족과 색채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지만 신도시 개발에 있어 브랜드 아파트들을 분석했을 때 반영되어 있는 것이 미흡하다 볼 수 있었다. 아파트는 수적 분포와 면적을 감안하였을 때 도시 내 경관에 미치는 영향이 비교적 큰 비율을 차지하기 때문에 신중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단기적이 아닌 장기적인 계획이 수립되어야 함으로 신도시 개발 시 필수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사항 중 하나라고 판단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Currently, new cities are experiencing an exponential growth in their population and depend on apartments to meet the housing needs of their residents. The concept of a new and modern city was only developed in Korea after the 1960s. Among the many types of new houses and apartments that were built in new cities, a preference for branded apartments has grown and it has become more diverse. Consequently, the image and identity that are pursued by each apartment brand are expressed on the exteriors of buildings, leading to an unevenness in the overall urban landscape that lacks harmony. became apparent By forming a city, the study on the compositional principle of the exterior and color of an apartment building, and the regional color guidelines that must be supported in urban landscape design, comparatively analyze the exterior color of the brand apartment, and derive problems. (Method)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colors that were used on the exteriors of new city brand apartments against regional color guidelines to determine the suitability of the image that the city seeks to portray for itself. For this study, the comparative analysis was based on the color guidelines by the Gimpo City Landscape Planning Guideline for eight brand apartments in Gurae-dong, Hangang New Town, Gimpo, and the overall color distribution status was identified. Based on the analysis, the problem was derived. (Results) Most of the achromatic colors were used as the main colors on the exteriors of apartments according to brand in Gurae-dong, Hangang New Town, Gimpo. However, more than 50% of the areas that were analyzed were beyond the error range of the color guidelines for apartments in Gimpo, as well as the company's symbolic color to differentiate it from its competitors. Hence, the surrounding landscape had not been taken into consideration as the color scheme that was developed affected competitiveness. (Conclusions) The problems were identified after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mpleted on the current colors that were used on the exteriors of new city brand apartments against the image that the city is trying to convey based on the color guidelines for the local landscape. Although a dividing line was presented, it was not sufficiently reflected by brand apartments that were developed in new cities. Given their huge numbers and distribution, as well as the areas covered by them, the use of colors on the exteriors of apartments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because they can exert a relatively huge impact on the urban landscape. Hence, it should be an essential consideration in the long-term development of a new city.

      • KCI등재후보

        SPA매장의 서비스 스케이프 현황 분석 연구 -국내의 UNIQLO, ZARA, MIXXO 매장을 중심으로-

        장하얀 ( Ha Yan Jang ),이정교 ( Jung Kyo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9 No.4

        (연구배경 및 목적)다양한 소비문화를 충족시키기 위해 패션 산업계에서 SPA라는 개념을 고안했고, 이렇게 등장한 SPA브랜드는 급속도로 눈에 띄게 성장함과 동시에 단기간에 패션 산업계에 크게 자리 잡았다. 이러한 SPA매장의 서비스 스케이프 현황을 분석하는 이 연구가 향후 SPA브랜드와 패션 산업의 성장에 미흡하게나마 도움을 줄 수 있는데 의의를 둔다. (연구방법)서비스 디자인의 하위 요소인 서비스 공간 디자인은 다른 말로서비스 스케이프 라고 불리는데 서비스 스케이프의 범위를 매장이라는 공간으로 제한하였을 경우 서비스 스케이프의 항목은 물리적 증거, 터치 포인트, 고객경험, 고객여정 네 가지로 구분된다. SPA매장의 서비스 스케이프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위와 같은 항목들을 기준으로 사례 분석 대상매장을 관찰하였다. (결과)분석 결과 사례 대상 매장은 각 브랜드에서 판매하는 상품과 추구하는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사례 대상 매장 모두 기존 패션 브랜드와는 다른 SPA브랜드만의 시스템을 수용하기 위한 서비스 스케이프가 관찰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수 있었다. (Background and Purpose)Although various needs of consumers continue to be recognized, consumption patterns have become shorter. To meet the demands of the consumer culture, the fashion industry came up with the SPA concept. SPA brands have experienced rapid growth, becoming predominant in the fashion industry within a relatively short time.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the “servicescape” in SPA brand stores was analyzed to promote higher growth of SPA brands and fashions. (Method)In the sub-categories of service design, design of service space is referred to as the servicescape. Limiting the extent of the servicescape to stores, its components include physical evidence, touch points, customer experiences, and customer journeys. (Results) To analyze the status of the service landscape in SPA stores, a target store cas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based on the items mentioned above. Because the target store sold products associated with various brands, the different servicescapes for these brands were observed and compared to the SPA branding system.

      • KCI등재

        축제 브랜드 디자인 영향 분석 - 김제지평선축제를 중심으로 -

        최혜영(Choi, Hei-Young),윤현호(Yoon, Hyun-Ho)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9 觀光硏究論叢 Vol.31 No.3

        본 연구는 문화관광체육부 지정 대표축제인 김제지평선축제의 잠재방문객을 대상으로 축제 브랜드 디자인과 브랜드 태도, 브랜드 인지도 그리고 행동의도 간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Keller(1993)의 브랜드 편익 구성요인과 Kaplan & Kaplan(1989)의환경선호모델구성요인을결합하여발전시킨브랜드 디자인구성요인을 통하여축제의포스터와캐릭터가축제의브랜드태도및브랜드인지도에미치는영향과 행동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브랜드 디자인 구성요인 중 ‘가독용이성’과 ‘체험성’은 브랜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일관성’, ‘신비성’, ‘다양성’, ‘상징성’, ‘기능성’, ‘체험성’ 등 총 6개의 요인과 브랜드 인지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인지도는 축제방문객의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전국적으로 다양한 축제가 개최되고 있는 상황에서포스터와 캐릭터가 축제의 경쟁력 있는 마케팅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ing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among the festival brand design, brand attitude, brand awareness and behavioral intention of the potential visitors to Gimje Horizon Festival. This festival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festivals assign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is study adapted the brand design component factors developed by combining Keller’s(1993) brand benefit component factor and Kaplan & Kaplan’s (1989) landscape preference model. Consequently, analyses were made on the relation between the impact, which the poster and character of the festival gave on brand attitude and brand awareness,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among brand design component factors, ‘legibility’ and ‘experiential’ had a significant impact on brand attitude as well as 6 factors, such as ‘coherence’, ‘mystery’, ‘variety’, ‘symbolic’, ‘functional’ and ‘experiential’, and brand awareness. This study provided the implications that poster and character could be utilized as competitive marketing strategy for diverse festivals being held throughout the country.

      • 브랜드스케이프 건축의 있어 사용자의 체험과 인지에 관한 연구

        이종진(Lee Jong-Jin),이영수(Lee Young-Soo) 대한건축학회 2007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7 No.1

        This is the study of changes in brandscape architecture and analysis of its characteristics. Today's society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brand name and marketing experience plays huge role when the products' quality and technology became similar. When prices played big role among the competing marketing industries, by earning a response from the consumer from the marketing experience is becoming prominent strategy. Brandscape architecture is important when today's consumers' emotions are mature and diverse. To achieve a perfect brandscaping, we need to first research consumers' acknowledgement and build structure for brandscaping

      • KCI등재

        커피전문점의 서비스스케이프, 브랜드자산, 관계의 질과의 영향관계

        손재근 ( Jae Keun Shon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3 觀光硏究 Vol.28 No.4

        본 연구는 커피전문점 서비스스케이프의 브랜드자산이 관계의 질인 신뢰와 몰입 간 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충실히 실행하기 위하여 연구가설을 설정하여 검증한 결과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커피전문점이 새로운 여가 공간으로서 누구나 쉽게 이용하지만 커피전문 매장으로서 청결성과 쾌적성이 매장의 이용 적 가치와 사후 방문 하는 장소에 중요한 결정적 요인으로서 선행변수로 작용 한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커피는 일상적인 생활공간에서 전국의 유명브랜드 제품을 손쉽게 구매할 수 있는 커피 전문점들이 많다. 커피를 구매하는 고객은 누구나 선택하는 커피전문점의 브랜드에 관하여 신뢰와 몰입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브랜드자산과 만족간의 관계에서도 고객들이 브랜드가 좋으면 만족 간 에 특별한 저항 없이 유의미한 관계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the coffee shop`s service brand equity landscape is qual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and commitment has been carried out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relationship. Purpose faithfully set to perform hypothesis testing the hypothesis that the results were significant results can be derived. As a result, the new leisure area coffee shop used as an easy for anyone, but as a specialty coffee shop by the store`s cleanliness and comfort of the value and use of the store to visit the post to act as a major determining factor that acts as antecedent variables to identify was Coffee is a daily burden of living space easy to buy from anyone living area, especially in life or national brands, local brands, such as coffee shops where you can purchase easily applicable by the customer for each brand of coffee shops on trust and commitment Grace can be seen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equity and satisfaction in the formation of a significant relationship permitting the customer satisfaction across the brand with little significant resistance can be seen that the relationship fo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