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술과 감정 그리고 미적경험에 관하여: 불안(Anxiety)을 중심으로

        류호인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5

        불안은 무엇으로도 명확하게 규정할 수 없는 비가시성과 부정성(불쾌)으로 인해 보편적인 쾌(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미학적 전통에서 단지 주관적 경험으로만 간주되어 왔다. 이러한 맥락에서 전통적으로 미적경험은 외부 대상 특히 예술이나 자연의 형식에 따른 시각적 경험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외적 대상에 대한 시각적 인식에 앞서 이미 작동하고 있는 인간의 근원적인 감정 즉 불안을 미적경험의 중요한 요소 상정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의 근원적 감정에 관한 자크 라캉(Lacan, J.)과 키에르케고어(Kierkegaard)의 불안이론을 기초로 미적경험의 전통적 논의의 한계를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이러한 탐구방식은 미적경험을 외적 대상에서 인간의 내적감정을 중심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실존주의 철학자 키에르케고어는 '불안의 개념'에서 인간의 근원적이고 원초적조건으로 불안을 언급한다. 또한 키에르케고어에게 불안은 ‘가능성’에 의미와 다름없다. 정신분석의 관점에서 라캉(Lacan, J.)은 불안을 주체를 압도하는 ‘실재적 경험’이지만 그것의 원인과 대상은 어떠한것으로도 환원 불가능한 ‘근원적 정서’라고 언급한바 있다. 본 연구는 먼저 이러한 인간의 근원적 불안에 대한 논의를 키에르케고어의 실존주의와 라캉의 정신분석학을 통해 살펴보고, ‘모호함’, ‘식별 불가능한 것’으로서의 불안을 칸트(Kant)와 버크(Burke, E)의 숭고의 논의와 비판적으로 연결할 것이다. 또한 내적감정을 미적경험으로 나타낸 표현주의 작가 뭉크(Munch)의 작품을 사례를 들어 불안의 문제를 조명한다. 이러한 분석방법은 시각적 경험에 선행하는 기억, 환상, 무의식, 욕망과 같은 주관적정신현상들의 근거로서 불안을 상정하고 불안이 미적경험에 중요한 요소임을 밝힌다. 이로서 대상에대한 시각적 경험의 전유물 한정된 미적경험의 한계를 불안이라는 ‘가능성’에서부터 새롭게 접근해야한다는 결론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적경험에 대한 전통적 논의를 비판적으로 확장하여 새로운 내러티브를 제시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Anxiety has been regarded only as a subjective experience in the aesthetic tradition of pursuing ‘universal pleasure’(beauty) due to invisibility and ‘negativity’ (displeasure) that cannot be clearly defined by anything. Traditionally, In this context, aesthetic experience are centere on external objects, especially visual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forms of art or nature. This study postulates the underlying human emotion, anxiety, as an important element of aesthetic experience, prior to the visual perception of these external objec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analyze th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discussion of aesthetic experience based on Lacan and Kierkegaard's theories of ‘anxiety’. This method of exploration means shifting aesthetic experiences from external objects to human inner emotions. Existentialist philosopher Kierkegaard refers to anxiety as an Essential and fundamental condition of human beings in the ‘concept of anxiety’. Also, For Kierkegaard, anxiety is also synonymous with ‘possibility’. Lacan referred to anxiety as a “real experience” that overwhelms the subject, but says the cause and object are “essential emotions” that cannot be Reduction to anything. This study will first look at this discussion of human fundamental anxiety through Kierkegaard and Lacan, and critically link ‘ambiguous’ and ‘the Invisible’ as the Emotion of Anxiety with the discussion of the sublime of Kant and Burke. It also sheds light on the issue of anxiety by taking an example of the work of Expressionism artist Munch, who expresses inner emotions as aesthetic experiences. This analysis method assumes anxiety as the cause of subjective perception that precedes visual experience, and reveals that anxiety is an important factor in aesthetic experience. This concludes that the limits of the limited aesthetic experience of the visual experience of the object should be approached anew from the 'possibility of anxiety.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an opportunity to critically expand the traditional discussion of aesthetic experience and present new narratives.

      • KCI등재

        금융소비자의 재무불안에 대한 연구

        이해랑(Haerang Lee),나종연(Jong-Youn Rha) 한국FP학회 2023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6 No.2

        기존 재무불안의 개념은 병리학적 특성과 재무 상황에 대한 개인 능력 및 의지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불안은 개인의 특성과 환경이 결합되어 발생하는 일반적인 현상으로 기존 연구는 금융소비자가 경험하는 재무불안을 포괄적으로 살펴볼 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재무불안을 개인의 능력과 환경적 맥락을 고려하는 다차원적인 개념임을 검증하고, 이를 기반으로 금융소비자들의 재무불안 수준을 진단하였다. 문헌고찰을 통해 재무불안의 개념을 확장한 척도를 개발한 후 소비자 조사를 통해 신뢰도 및 타당성을 검증하여 재무불안의 하위차원을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재무불안은 금융소비자가 자신의 재무상태에 대하여 보편적으로 느끼는 개인적 차원 불안이며, 재무자산 불안, 부채 불안, 개인상황변화 불안, 거시환경변화 불안의 하위차원으로 구성된다. 소비자들은 거시 환경변화 불안을 가장 크게 느끼고 있으며, 부채에 대한 불안을 가장 적게 느끼고 있었다. 본 연구는 재무불안의 범위를 보편적인 금융소비자의 경험으로 확장시키고, 개인이 통제 불가능한 환경적 변화에 따른 불안 역시 재무불안의 중요한 부분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금융소비자들의 재무불안과 관련한 문제 발생 시 개인의 능력은 물론 금융소비자가 처한 맥락이나 상황을 함께 살펴보는 다차원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Financial anxiety has focused on the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personal ability, and willingness for financial situations. Anxiety is a general phenomenon caused by a combination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 environment, and existing studies cannot comprehensively examine the financial anxiety experienced by financial consumers. Therefore, this study confirmed that financial anxiety is a multidimensional concept that considers individual abilities and environmental contexts and diagnoses the level of financial anxiety of consumers. After developing a scale that expanded the concept of financial anxiety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verified through a consumer survey to form a sub-dimension of financial anxiety. Hence, financial anxiety is a personal level of anxiety that financial consumers generally feel about their financial status, and it is composed of sub-dimensions of financial asset anxiety, debt anxiety, personal situation change anxiety, and macro-environmental change anxiety. Consumers felt the greatest anxiety about macro-environmental change and the least anxiety about debt. This study expands the scope of financial anxiety to the experience of general financial consumers. The data show that anxiety caused by environmental changes that individuals cannot control is also an essential part of financial anxiety. This suggests that a multidimensional approach is needed to look at the context or situation of financial consumers and individual abilities when problems related to the financial anxiety of consumers occur.

      • KCI등재

        범불안장애극복을 위한 ‘상반행동강화’의 기독교상담적 적용

        전요섭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6

        이 연구는 범불안장애를 완화, 감소 및 극복을 위해 기독교상담적인 입장에서 ‘상반행동강화’의 적용을 모색한 것이다. 불안은 현대인들이 겪는 가장 심각한 심리정서적 문제이다. 불안상태가 질병화된 것이 범불안장애인데 이는 기본적으로 불안의 정의와 개념을 기초로 하여, 그것이 (1) 일상화되고, (2) 과도해지고, (3) 미래적 또는 재앙화적이고, (4) 통제가 안 되고, (5) 신체화 증상의 발현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범불안장애를 앓고 있는 사람들을 위해 기독교상담은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가에 대해서 이 연구는 상반행동원리의 응용 가능성을 모색해 보았다. 상반행동원리는 행동주의심리학 또는 인지심리학에서 행동수정 기법의 하나로 다루어지는 내용이지만 기독교상담에서 응용 및 적용 가능성 있으며, 불안증상을 완화, 감소 및 극복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했다. 상반행동원리를 기독교상담적으로 응용 및 적용함에 있어서 성경의 원리를 모색해 볼 때 성경의 지지를 얻을 수 있는 기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범불안장애의 이해(범불안장애의 정의와 개념, 범불안장애의 원인 분석, 범불안장애의 폐해), 범불안장애극복을 위한 행동주의 접근방법(상반행동강화 방법, 상반행동강화로서 이완 및 심상), 상반행동강화를 통한 범불안장애 극복방안 및 기독교상담적 적용 가능성(상반행동강화의 성경적 기초, 기독교상담적 상반행동강화)을 다루었다. This is to clarify the incompatible behavior reinforcement for overcoming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in Christian counseling. This study sought to apply 'incompatible reinforcement in Christian counseling for palliative, reducing and coping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xiety is the most seriou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 of modern people. Disease state of anxiety is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is basically based on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anxiety. Additionally, characteristic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is the (1) generalized, (2) excessive, (3) futuristic or catastrophical, (4) uncontrolled, and (5) manifestation of somatization symptoms. This study explores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incompatible behavior reinforcement to Christian counseling for those suffering from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The principle of incompatible behavior reinforcement is one of behavior modification techniques in behavioral psychology or cognitive psychology. There is, however, potential for application in Christian counseling. It can be an effective way to alleviate, reduce and overcome anxiety symptoms in Christian counseling. The principle of incompatible behavior reinforcement is a technique to be supported of the Bible. This research dealt with general understanding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definitions and concepts, cause analysis, and damage of anxiety), behavioral approach to cope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method of incompatible behavior reinforcement, relaxation and imagery as reinforcement of incompatible behavior reinforcement), overcoming anxiety disorders through incompatible behavior reinforcement, and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Christian counseling(biblical basis of incompatible behavior reinforcement)

      • KCI등재

        박인환 시의 불안, 죽음 의식과 이를 통한 시쓰기의 문제

        박지은(Park, Ji-Eun) 한국시학회 2018 한국시학연구 Vol.- No.55

        이 연구는 박인환 시에 나타나는 불안과 죽음 의식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박인환 시에서 나타나는 불안과 죽음 의식이 단순하게 비극적 시대 상황에 처한 지식인의 수동적인 감정이 아니라, 그가 역사를 인식하는 데 보다 근본적인 역할을 하는 중요한 ‘기분’(Stimmung)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 과정을 통해 박인환 시에서 주로 등장하는 모티프들(검은 신, 바람/폭풍, 종말 등)을 해석하고, 박인환 시를 깊이 있게 이해하는 한 지점을 마련하고자 했다. 그의 문학 전반을 관통하고 있는 불안과 죽음 의식은 단순히 한국전쟁이라는 특정한 원인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그의 시에서 불안은 오히려 세계 속에 ‘내던져져 있음’(Geworfenheit)에 의한 존재론적 불안에 가깝다. 그는 이러한 존재론적 불안을 ‘바람’(폭풍)의 이미지로 표현하고 있으며, 그에게 인식되는 무의미의 세계는 ‘검은 신’의 이미지로 나타난다. 존재론적인 불안의 문제는 죽음 의식과도 연관된다. 그는 언제나 자신을 삶과 죽음 사이에 위치한 존재로 위치시키는데, 이 때 그에게 죽음은 곧 닥쳐올 어떤 것이면서 동시에 그로 하여금 현재의 삶을 계속 자각하게 하는 것이다. 그에게 죽음을 인식하는 시간은 자신이 처한 현재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게 하는 ‘순간’이 된다는 것이 그의 죽음 의식의 특징적인 부분이다. 결국 그가 불안과 죽음 의식을 통해 얻게 된 것은 양심으로서의 시쓰기이다. 화자는 불안 속에서 들려진 양심의 부름을 듣고, 그는 본래적인 자기(시인이 되기)를 회복하려는 노력을 계속한다. 이렇게 봤을 때 불안과 죽음에 대한인식은 시인이 시쓰기를 계속할 수 있는 동력이 된다. 즉 박인환의 문학에서 ‘불안’은 단순하게 전쟁으로 인한 수동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그의 시작(詩作) 전체를 추동시키는 근본적인 요인으로 기능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박인환은 자신의 문학을 통해 특정한 시대를 뛰어 넘는 진정한 실존의 의미에 대해 질문했다. 또한 불안이라는 감정에 잠식되는 것에서 나아가 자신만의 독특한 죽음 의식과 양심의 문제를 보여주었다. This study discusses Park, In-hwan’s attitude toward death and anxiety as they appear in his poetry. I argue that the anxiety and consciousness of death that appears in Park’s poetry is not simply the passive emotional response of an intellectual facing a tragic era, but is instead an important mood(stimmung) that serves a more fundamental role in Park’s perception of history. Through this process, I interpret some of the main motifs of Park’s work (the black god, wind/storms, finality, and so on), hoping to provide a perspective from which to understand Park’s poetry with greater depth. The source of the anxiety and consciousness of death that permeates Park’s work is not limited simply to the Korean War. The anxiety of his poetry is instead closer to the ontological anxiety of “having-been-thrown” (geworfenheit) into the world. He expresses this ontological anxiety through the image of ‘wind’ (or storms), and he represents a perceived world of meaninglessness in the image of ‘the black god.’ The issue of ontological anxiety is also linked to his consciousness of death. Park consistently locates himself in the space between life and death, so that to him death is both something fast approaching and, at the same time, the thing that repeatedly makes him aware of life. The discerning feature of this consciousness of death is that the moment the poet perceives death is the moment that forces him to see his present objectively. Ultimately what Park achieves through this consciousness of death is a poetry of conscience. From within his anxiety, the speaker hears the call of conscience, and then makes a continued effort to recover his essential self (to become a poet). In this way, anxiety and perception of death become the motivation for the poet to continue writing poetry.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in Park’s work, anxiety is not only the expression of a passive emotional response to war, but in fact functions as the fundamental element that sets his entire poetic process in motion. Park thereby approaches the question of the real meaning of existence, which extends beyond a specific era, in his literary work. In addition, he moves beyond the encroachments of anxiety as an emotion to reveal a unique attitude towards death and the problem of conscience.

      • KCI등재후보

        범불안장애에 대한 명상과현실치료의 통합적 이해

        양영애 한국명상상담학회 2011 명상심리상담 Vol.6 No.-

        본고는 범불안장애에 대한 명상과 현실치료의 통합적 이해를위한 문헌중심의 소논문이다. 범불안장애란 무엇인지, 범불안의 원인이 외부에서 오는 것인지, 내부의 어떤 요인 때문인지, 그리고 피할 수 없는 불안을 어떻게 대처 하는 것이 지혜로운지에 대한 궁금증과 관심 때문에 연구의 필요성을 느꼈으며, 이에 대한 대처전략으로써, 현실치료를 중심으로 다른 이론과의 차이를 간단히 살펴보고, 현실치료에서 다루지 못하는 성장욕구의 충족을 위해 명상을 도입함으로써 통합적 관점으로 범불안 장애를 이해하고자 했다. 이것을계기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불안장애의 하위범주인 ‘범불안장애’는 과도한 불안과 더불어 미래에 대한 걱정과 불길한 기대를 가지며 이러한 걱정이 잘통제되지 않는 불안을 경험할 때 진단되는 불안장애로서 항상 걱정에 시달리는 것과 불안을 유발하는 자극이나 상황이 모호한 경우가많고, 외적인 상황과 관계없이 불안을 경험한다는 것이 주된 특정이다. 둘째, 불안은 우리가 살아가는데 필연적인 동반자로 하이데거(Martin Heidegger)는 ‘우리에게 언제나 가분은 주어진다’고 말한다. 불안은 우리 마음의 한 부분이며, 어떤 기분으로 살 것인가는 각자의 몫으로 행복해지기위해서 우리는 언제나 책임 있는 선택윤 할수 있는 존재이다. 셋째, 범불안의 원인은 매우 광범위하고 다양하다. 범불안 장애의 원인은 뇌(특히 후두엽)의 기능에서 찾기도 하고, 욕구충족을 위한 선택, 무의식적 소망, 환경자극에 대한 학습의 결과, 인지도식, 자동적 사고, 심상, 비합리적 신념, 흥분에너지와 지지간의 간격차이, 미래 상태와의 동일시, 미해결과제, 접촉경계혼란 등 여러 가지 원인이 있지만, 그것이 외부에서 오는 것보다는 내부의 많은 요인에의해 범불안 장애를 겪게 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던 것은 범불안장애에 대한 진단과원인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고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치료에대한 연구가 다른 장애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는 것이다. 다양한 원인에 맞는 적절한 치료를 위해서는, 인간의 섬층적인 부분까지 포함하는 치료적 전략과 범불안 장애에 대한 임상적, 생리적, 섬리적, 실존적, 철학적, 종교적 등 다양한 관점의 통합적이고 포괄적인 접근과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넷째, 범불안 장애에 대한 치료는 증상이나 원인이 매우 다양하여 단일 치료법으로는 치료가 어렵다고 볼 수 있다. 버틀러 (Butler등, 1987)의 연구에서처럼, 치료효과의 지속성은 연구자가 지향해야할 목표이자 과제인데, 범불안장애에 대한 치료적인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위해서는 명상과 심리치료의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연구자의 ‘범불안장애에 대한 명상과 현실치료의 통합적 이해’는 후속 연구를 위한 출발점이자 많은 과제를 남기며, 섬리치료와 명상의 통합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 등 다양하고 구체적인 치료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본다 This study is the literature-centered essay to understand the-integration of mindfulness and reality therapy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The need for research was brought about from the curiosity and the interest that ‘what is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where is the cause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from?(e.g., inner or external), and ‘what is the wise ways how we can cope with the anxiety if we may not avoid it?’. As the coping strategies of this, I will investigate briefly the differences between reality therapy and other therapies focusing reality therapy, and be eager to figure out generalized anxiety disorder?”,‘where is the cause of an integrated perspective derived from adopting mindfulness, because reality therapy couldn"t deal with the need of development. From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is obtained:Firstly,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that is a subcategory of anxieties has excessive anxiety, concerns about the future and ominous expectation, and this disorder is diagnosed when these kinds of concerns aren't controlled well.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are that the patient is always suffered from concerns, the stimulus or situation arousing the anxiety is unclear, experiencing the anxiety regardless of external situations .secondly, we have no choice but to live with anxiety as the lifetime companion, Martin Heidegger says that ‘everyone is always given feelings’. Anxiety is a part of our mind, there fore we are responsible for our own feelings. To be happy, we should choose what to do by ourselves. Thirdly, the causes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re widespread and various. One of them has to do with the brain(particularly the occipital lobe), on the other hand, we might consider a number of causes such as the choice to serve one' swill, unconscious wish, learning effect of environmental stimulus, cognitive schema, automatic thoughts, imagery, irrational belief, the gap between excitement energy and support, identification with future's situations, unsolved problems, contact confusion etc. But the patients suffer from not external causes but various inner causes. In this study, I found that relatively there are very few studies for therapy in comparison with other disorders, while the diagnosis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d the studies are richer. Given a variety of causes, for appropriate treatment, I suggest that we need the therapeutic strategies including in-depth factors of human being, and an approach and understanding which are integrated and comprehensive, having different perspectives such as clinical, physiological, psychological, existential,philosophical, religious perspective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Lastly, it is difficult to deal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with single approach because of the complexity of symptoms and causes. Like butler et al. (1987) study suggests, although the durability of curative value is the goal and task of researchers, the integrated approach including meditation and psychotherapy is needed to keep the curative value continuously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The integrated understanding of meditation and reality therapy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is the starting point for further studies, and also has many problems. I also suggest that an Strategic approach of treatment that is various and specific is needed such as development of integrated program including psychotherapy and mindfulness, effectiveness verification etc.

      • KCI우수등재

        신경증적 불안에 대한 불교적 이해

        이충현 불교학연구회 2022 불교학연구 Vol.72 No.-

        Anxiety is the most vital concept in the understanding of psychopathology. It is regarded as the fundamental cause and effect of all neuroses and, it is also diagnosed as anxiety disorder, one of the major mental disorders. However, it was only in the 19th century, just two centuries ago, that anxiety became such an important issue in the history of human suffering. Freud is regarded as the person who laid the foundation for today's concept of anxiety from a pathological point of view.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Freud's theory of neurotic anxiety from a Buddhist perspective.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examines that theory and extracts key factors that explain neurotic anxiety well. Next, this study deals with the above analysis from a Buddhist perspective. Several concepts in Buddhism that are translated as “anxiety” are reviewed. Then, key factors of neurotic anxiety will be analyzed with the concept of “defilement (kilesa),” which is also regarded as the cause of mental suffering, and it is confirmed that defilement explains neurotic anxiety well. Based on this discussion, this study argues that the concept of neurotic anxiety matches the concept of defilement in both aspects: narrow and broad.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of modern people involving communication between these two traditions focused on the mind and suffering. Therefore, an approach that not only compares the core causes and concepts of suffering in each tradition, but also discovers mutually compatible concepts,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further facilitate communication between these traditions and to enhance the essential understanding of human psychology and suffering. 서구 정신병리의 이해에 있어 불안은 가장 핵심적 개념 중 하나이다. 불안은 모든 신경증의 근본 원인 및 정서로 이해되거나, 진단의 맥락에서는 특정한 심리 장애로서 불안 장애이고 이는 다시 공포증, 강박증 등과 같은 하위의 신경증들로 구분되기도 한다. 이렇게 불안은 인간의 심적 고통을 해명하는데 핵심적 위상을 지니나, 인류 고통의 역사에 있어 불안이 주목받게 된 것은 불과 2세기 전인 19세기 이후부터였다. 그리고 프로이트는 병리적 관점에서 오늘의 불안 개념이 있도록 토대를 닦은 인물로 평가받는다. 본 연구는 프로이트의 신경증적 불안 이론을 불교적 관점으로 이해하는데 일차적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프로이트의 신경증적 불안 이론을 살펴보며 신경증적 불안을 설명하는 핵심 요인들을 추려낼 것이다. 그리고 불교적 관점에서 신경증적 불안을 이해할 것인데 먼저, 불안으로 번역되는 불교의 여러 개념들을 살펴본다. 그 다음, 신경증의 원인으로 간주되는 불안의 핵심 요인들을 불교 전통 내에서 역시 심적 고통의 원인으로 이해되는 번뇌의 관점으로 분석하며 어떠한 번뇌 개념들이 신경증적 불안을 잘 설명하는지도 확인한다. 이를 토대로 신경증적 불안 개념은 크게 협의와 광의의 두 측면에서 번뇌 개념들을 통해 접근가능함을 논할 것이다. 마음의 이치를 다루는 두 전통은 오늘날 서로 소통하며 현대인의 정신건강을 위해 많은 시도를 해오고 있다. 따라서 각 전통의 고통에 대한 핵심 원인과 개념들을 비교 및 해석하고 더 나아가 상호 호환 가능한 개념을 발굴하려는 시도는 앞으로 두 전통 간의 소통을 더욱 원활히 하도록 함은 물론 인간의 심리와 고통에 대한 본질적 이해도 함께 증진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중국인과 한국인 대학생의 영어 말하기 불안감 비교

        정지은,김해동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1 Global Creative Leader Vol.1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nglish speaking anxiety perceived by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t a university general English conversation class in Korea and to compare it with that of Korean students. For the data collection, a questionnaire survey asking about English speaking anxiety was conducted on 86 Chinese students and 100 Korean students enrolled in a university in Seoul.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nese university students showed a higher level of anxiety than Korean university students in four areas of classroom anxiety, evaluation and class preparation anxiety, teacher-related anxiety, and peer-related anxiety. Second, Chinese student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classroom anxiety among the subsections of anxiety whereas Korean students answered the highest level at peer-related anxiety. Third, in qualitative response, Chinese students responded that lack of English speaking ability was the most influential cause of English speaking anxiety, while Korean students mentioned that lack of confidence was the biggest cause of anxiety. The findings suggest that general English course instructors need to take care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levels of English speaking anxiety between Chi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minimize their English speaking anxiety and maximize creativity in their speaking performance.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과 한국인 학생을 대상으로 교양 영어 회화 수업을 수강하며 느끼는 영어 말하기 불안감을 조사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서울시 소재의 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중국인 학생 86명과 한국인 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영어 말하기 불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첫째, 중국인 학생은 영어 말하기 불안감의 4가지 세부 영역인 수업 관련 불안, 평가 및 수업 준비 관련 불안, 교수자 관련 불안, 동료 관련 불안의 영역에서 한국인 학생보다 높은 수준의 불안감을 보였다. 둘째, 불안의 세부 영역 중에서 중국인 학생은 수업 관련 불안에 가장 높은 불안 정도를 보였으나, 한국인 학생은 동료 관련 불안에 가장 높은 정도를 보였다. 셋째, 질적 응답 결과에 따르면, 중국인 학생은 영어 말하기 불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영어 회화 능력 부족을 언급하였으나, 한국인 학생은 자신감 부족을 불안의 가장 큰 원인으로 언급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른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중국인과 한국인이 수업을 같이 듣는 대학 교양 영어 회화 수업에서 교수자는 이들 학생의 영어 말하기 불안감 세부 유형의 정도에 차이가 있음을 인식하고 이를 조절하여 불안감을 최소화하고 창의성을 극대화하는 영어 말하기 수업을 유도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 읽기 불안 요인 분석

        안성민 ( An Sun-min ),학수 ( Hao Shuai ) 우리어문학회 2023 우리어문연구 Vol.76 No.-

        이 연구는 초급 한국어 학습자가 경험하는 읽기 불안의 양상과 요인, 그리고 학습자의 성별, 언어 학습 과정에 따른 불안의 차이를 체계적으로 다루었다. 읽기 불안 의 측정은 외국어 읽기 불안 척도(Foreign Language Reading Anxiety Scale: FLRAS)를 활용하여 109명의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측정 결과 초급 학습자는 읽기 불안의 평균 점수가 2.95이며 중간 수준의 불안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 요인 분석 결과, ‘낯섦에 대한 불안’, ‘자기 효능감 불안’, ‘읽기 전략 부족 불안’ 총 3가지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그중 ‘자기 효능감 불안’의 불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낯섦에 대한 불안’ 요인이 가징 낮은 불안도를 보였다. 읽기 불안과 각 문항 및 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르는 것에 관한 문항들이 전체 읽기 불안과 매우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요인별로는 ‘자기 효능감 불안’이 모든 요인과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성별과 언어 학습 과정에 따른 불안에는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는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불안에 주목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로 초급 학습자의 읽기 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ystematically dealt with the patterns and factors of reading anxiety experienced by beginner Korean learners and differences in anxiety according to the learner's gender and course. Reading anxiety was measured by 109 foreign learners using the Foreign Language Reading Anxiety Scale(FLRAS). As a result of this measurement, it was found that beginner learners had an average score of 2.95 for reading anxiety, which demonstrated an intermediate level of anxie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anxiety factors, three factors were extracted: 'anxiety about unfamiliarity', 'anxiety of self-efficacy', and 'anxiety of lack of reading strategies'. Among them, 'self-efficacy anxiety' was the highest, and the 'anxiety about unfamiliarity' factor was the lowe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reading anxiety and each question and the factor, it was found that questions about what learners didn't know had a very high correlation with overall reading anxiety. Moreover the factor 'self-efficacy anxiety' was highly correlated with overall reading anxiety. Overall anxie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arner's gender and course they tak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primary data to reduce the reading anxiety of beginner Korean learners.

      • KCI등재

        프로이트와 라캉, 불안의 개념화와 정신분석 실천 함의 : 불안, 행위(로)의 이행 너머 환상의 횡단으로

        이수진(Lee, Soo-Jin)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21 현대정신분석 Vol.23 No.2

        불안은 유기체가 위험이나 친숙하지 않은 환경에 직면할 때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반응으로서 정신의학, 정신분석, 그리고 일반적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는 프로이트와 라캉의 문헌 고찰을 통해 불안의 개념화와 정신분석 실천 함의를 구명한 논의이다. 프로이트의 1895년과 1926년 논문은 ‘자동적 불안과 신호불안’을 개념화한다. 라캉의 『세미나 2』와 『세미나 4』는 ‘조각난 몸/분리의 실패에 대한 두려움의 가면, 불안’을, 『세미나 8』과 『세미나 10』은 ‘결여가 결여된 주체의 속이지 않는 유일한 정동, 불안’을 개념화한다. 이러한 세 가지 불안 개념은 라캉의 후기 관점에서 상호 연결됨으로써 ‘신호와 자동화 사이에서 욕망 주체 과정의 생톰으로서의 불안’을 개념화한다. 프로이트의 불안은 주체의 출생 외상, 즉 거세 콤플렉스와 연관된 자아의 정동 반응의 반복으로서 하나의 신경증인 동시에 증상 형성의 필요조건, 즉 절점이 된다. 라캉의 불안은 상상계 · 실재와 관련해 i(a)에서 생성되는 주이상스와 욕망 사이에 위치한 중간자로서 주체의 속이지 않는 유일한 정동, 즉 존재자 개현을 위한 여백이 된다. 불안에 대한 프로이트의 테제가 주체의 ‘결여’를 주목 및 논증한 데 비해, 라캉의 테제는 ‘결여의 결여’를 주목 및 논증함으로써 ‘행위(로)의 이행’과 ‘행동화’ 너머 욕망의 탐구로 환상을 횡단하도록 촉구한다. 방어, 증상, 그리고 주이상스와 욕망 사이의 주체의 정동적 목소리가 되는 불안의 개념화와 그에 따른 정신분석 실천은 현대인을 불안과 욕망에 대한 진정한 탐구로 인도한다.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conceptualization of anxiety and the implications of psychoanalysis practice through a review of the literature of Freud and Lacan. Anxiety is the most basic reaction that an organism exhibits when it is faced with a danger or an unfamiliar environment, and has meanings in psychiatry, psychoanalysis, and in generality. Freud’s discussion of anxiety in 1895 and 1926 conceptualizes the automatic anxiety and the anxiety as signal. The discussion of Lacan’s anxiety in Seminar 2 and Seminar 4 conceptualizes the anxiety as the mask of fear about a fragmented body and failure of separation, and his discussion in Seminar 8 and Seminar 10 conceptualizes the anxiety which is the only undeceived affect to the subject as the lack of a lack. These three concepts of anxiety are interconnected from Lacan’s later point of view, conceptualizing the anxiety as the sinthome of process that the subject desires object a between the signal and the automation. Freud’s anxiety is a neurosis as a repetition of the affective response of the ego associated with the subject’s castration complex, and is simultaneously a necessary prerequisite for symptomatic formation, that is, a nodal point. Lacan’s anxiety is an intermediary between the jouissance and desire generated in i(a) in relation to the imaginary and the real, and is the only affect the subject is not deceived. Whereas Freud’s thesis on anxiety demonstrates the subject’s lack, Lacan’s thesis demonstrates the his lack of lack, and it leads the subject traversing the fundamental fantasy beyond the passage to the act by exploring the desire. The conceptualization of anxiety that becomes the subject’s affective voice as a defense, symptom, and the sinthome between jouissance and desire, and the resulting psychoanalytic practice enables that contemporary people make the true exploration of their anxieties and desires.

      • KCI등재

        소비자불안의 수준과 영향요인: 유전자재조합식품, 식품첨가물, 광우병을 중심으로

        사지연 ( Jee Yeon Sah ),여정성 ( Jung Sung Yeo ) 한국소비자학회 2014 소비자학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소비자와 전문가 사이에 존재하는 과학지식의 격차를 인정하고 위험에 대한 소비자의 감정적 반응을 보다 중립적인 시각에서 다루고자 유전자재조합식품, 식품첨가물, 광우병에 대한 소비자불안의 수준과 그 영향요인을 탐색하였다. 이 때 소비자불안의 영향요인으로는 지식과 신뢰, 위험인식을 다루었으며, 각각의 변수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의 방향과 크기를 사례별로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 일반소비자 509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패널조사가 수행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도출한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소비자불안의 수준은 광우병, 유전자재조합식품, 식품첨가물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불안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ㆍ인구학적 변수는 사례마다 서로 달랐다. 특히 유전자재조합식품과 식품첨가물에 대한 불안수준은 나이가 많을수록, 기혼자이거나, 전업주부일 때 높게 나타난 반면 광우병은 정치성향이 진보적일수록 높은 불안수준을 보였다. 둘째, 객관적ㆍ주관적 지식, 정보제공원에 대한 신뢰, 위험인식 등이 유전자재조합식품, 식품첨가물, 광우 병에 대한 소비자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위험인식 중 통제가 어렵다는 인식과 성별, 객관적ㆍ주관적 지식, 정부 및 인터넷에 대한 신뢰 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세 사례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변수는 통제가 어렵다는 인식이 유일했고, 나머지 변수들은 사례별로 서로 다른 결과를 보였다. 셋째, 소비자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해본 결과, 유전자재조합식품은 통제가 어렵다는 인식 다음으로 객관적 지식이, 광우병은 통제가 어렵다는 인식 다음으로 정부에 대한 신뢰가 불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소비자불안수준의 감소를 위해 각 사례별로 우선시해야하는 변수의 종류가 서로 다름을 시사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는 효과적인 소비자불안의 감소를 위해서는 불안 수준이 높은 사례와 소비자집단을 파악하고, 사례별로 다른 소비자불안에의 영향요인을 고려함으로써 소비자불안감소를 위한 정책적 자원들이 적재적소에 전달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함을 제언하였다. Consumers express subjective emotional reactions to technologies compared to experts, who make a logical, objective risk assessment. Considering the gap in scientific knowledge between consumers and experts, it is understandable and even natural. For this reason, this study explores the levels of consumers’ emotional reactions, that is, anxiety, and identify its determinants. As the object of anxiety, we selected genetically modified food (GMO), food additives, and mad cow diseases because consumers worry about these cases more than experts as it have both characteristics as food and technological risk. For this research, an online panel survey was performed on 509 adult consumers, and based on th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evels of consumer anxiety was higher in order of mad cow disease, genetically modified foods, food additives. Comparing with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shows the anxiety level of mad cow disease was more increased than other two cases. Considering circumstances around mad cow disease in 2008, the result indicates level of consumer anxiety is influenced by social issues. Therefore, we should monitor the changes in level of consumer anxiety and correspond to these changes rapidly. Second, the variables which mak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nxiety levels of consumer groups was not same on each case. For GMOs and food additives, high levels of anxiety appeared in older, married, and housewives groups, whereas groups who had more liberal political tendencies showed a higher level of anxiety for mad cow disease. This result reflects what consumer groups show the relatively high level of anxiety and indicates who should be considered to manage consumer anxiety more efficiently. Third,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perception of uncontrollable state was the only variable which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onsumers’ anxiety in all three cases. Meanwhile, the other variables showed different influences and different relative power of impact on consumers’ anxiety in each case. First, in GMO foods, objective(-) and subjective knowledge(+), risk perception of uncontrollable state(+), and gender(+, 0=male/1=female) showed a significant impact on consumer anxiety. Second, in the case of food additives, only the risk perception of uncontrollable state(+) and gender(+, 0=male/1=female) showed a significant impact on levels of consumer anxiety. Finally, in the case of Mad Cow Disease, objective knowledge (-), trust of the government(-), trust of online communities and blogs(+), and the risk perception of uncontrollable state(+) showed a significant impact on levels of consumer anxiety. Comparing each variable’s relative power of impact, objective knowledge was the most powerful variable which affects levels of consumer anxiety on GMO foods, while trust of the government was the most powerful variable in relation to Mad Cow Disease. This result shows policy makers should consider different strategies for different cases to reduce consumer anxiety more eff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for the more effective management of consumer anxiety we should allocate government resources in the right places by finding cases and groups which show high levels of anxiety, and considering different factors which affect levels of anx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