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등경에서 불이(不二) 개념의 위상에 관한 일고(一考) : 『사익범천소문경(思益梵天所問經)』을 중심으로

        최은영 한국불교연구원 2014 불교연구 Vol.40 No.-

        This study purports to examine the subtle uniqueness of the essential connotation of the concept of non-duality (不二) in its emphasis according to its context in a sutra. Concretely, around the Brahmaparipṛcchā(思益梵天所問經), one of Vaipulya sutras, the concept of non-duality is examined here, its context contrasted against the early sutras and the Prajñāpāramitā sutras. As a result, while the early sutras shows its usage as connoting the meaning of equality, the Prajñāpāramitā sutras showing its meaning as emptiness, the concept of non-duality is ascertained, through the texts of vaipulya sutras, to have been used to express the meaning of middle way. While equality, emptiness, and middle way are not mutually incongruent, the concept of non-duality is examined to have been the one substitute through which equality, emptiness, and middle way can be explained as constituting a concept. which might be thought to enable us to reexamine significantly the status of the concept of non-duality. Further, since East Asian Buddhism is positive in its explanation of the non-duality as the middle way (中道不二) or the middle way as non-duality (不二中道), combining non-duality and middle way, the typical adoption of the doctrinal synthesis of the prajñā and vaipulya sutras is noteworthy here. Thus, this study might be significant for clarifying the unique status of the concept of non-duality in the doctrinal history of Buddhism, having influenced East Asian Buddhism in a unique way. 본 논문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불이(不二, non-duality)라는 개념이 쓰여질 때, 초기경전, 반야경, 방등경에서 강조되는 핵심내용이 약간 차이가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고찰하게 된 연구이다. 불이는 초기경전에서는 평등의 의미, 반야경에서는 유를 대치하는 공(성)의 의미로만 주로 쓰여졌다. 그러나 방등경에서는 유와 무, 생과 멸 등 극단적인 두 개념을 모두 떠나는 중도적인 의미로 불이가 쓰여지고 있다고 볼 수 있음을 문헌을 통해서 확인해보았다. 평등, 공, 중도가 완전히 다른 개념이라는 말이 아니라, 불이라는 하나의 개념이 경전에 따라서 평등-공-중도를 치환하면서 사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서, 방등경에서의 불이의 위상을 재고해볼 수 있도록 해준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사익경』은 불이의 의미가 공-중도적이라고 설명할 수 있는 측면을 모두 드러내어, 반야경과 방등경이 연속선에 있는 경전부류이면서도 공만을 강조하던 반야경에서 관점이 확장되었음을 보여주는 방등경이기도 하다. 따라서 5시 교판설에서 반야시와 방등시를 구분하였던 것이 사상적으로도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역경전의 방등경에서 불이라는 개념이 평등·공보다는 중도라는 의미가 강조되는 불교교리상의 위치를 밝히고 있다. 동아시아 불교에서 삼론학은 불이와 중도를 결합한 중도불이(中道不二), 불이중도(不二中道)라는 표현을 쓰면서 적극적으로 중도를 설명하고 있다. 이것은 중국반야중관사상을 전개한 삼론학에 내포되어 있는 방등경의 중도로서의 불이사상의 일면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중국 불학원의 설립·운영 현황과 학제 구성의 특징에 대한 고찰

        강경구(Kang Kyong-Koo)(姜鯨求) 대한중국학회 2021 중국학 Vol.77 No.-

        중국에는 파악 가능한 불학원이 60-70여 개 존재한다. 이 불학원들은 중등불학원과 고등불학원으로 나눌 수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들 불학원에 대해 설립 및 운영 현황과 학제 구성의 두 측면으로 나누어 고찰해보았다. 설립 및 운영의 측면으로 보면 독립형, 본교-분교형, 연합대학형이 있다. 독립형은 불학원 설립의 기본형에 속하고, 본교-분교형에는 중국불학원과 그 분원들이 이에 속한다. 연합대학형에는 광둥불학원, 저장불학원, 장쑤불학원 등이 이에 속한다. 학제 편성의 측면으로 보면 중전(2년), 대전(3년), 예과(2년), 본과(4년), 연구생(3년)의 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 남아 있는 초급불학원과 양정원(养正院)을 더해 7등급 체계로 이해할 수도 있다. There are about 40-60 official Buddhist academies in China. Buddhist Academies can be divided into Middle and high Buddhist academy. In this paper, these Buddhist Academies were divided into two aspects: operation and academic organization. In terms of operation, there are independent type, main-branch type, and joint university type. General Buddhist academies belong to the independent type, and ‘The Buddhist Academy of China’(中国佛学院) and their branches belong to this main-branch type. The main-branch type is based on the Chinese Buddhist Association’s strategy to spread the teaching system and political stability of the Buddhist Academy Of China. joint university type include ‘Guangdong Buddhism Academy’(广东佛学院), ‘ZheJiang Buddhism Academy’(浙江佛学院), and ‘Jiangsu Buddhism Academy’(江苏佛学院). Buddhist associations in each province are trying to raise the level of education and secure political stability by tying existing Buddhist academies. In terms of academic organization, the Buddhist Academy consists of a system of Zhongzhuan(2years), Da-zhuan(3ye- ars), A secondary(2years), undergraduate(4years), and class for research work(3 years). It can be seen that the academic system of Buddhist academies generally constitutes a seven-grade education system by adding basic four grades and auxiliary three grades. If ‘Yangzhengyuan’(养正院) is added to this official organization, it can be understood as an eight-class system.

      • KCI등재

        민속에 나타난 ‘불(火)’의 물리적 경험과 기호적 의미

        표인주(Pyo, In-Joo) 비교민속학회 2016 비교민속학 Vol.0 No.61

        인간이 불을 발견한 것은 삶의 경험적 기반이 바탕이 된 것으로, 불의 원초적 체험 기반은 태우기이다. 태우기를 통해서 체험할 수 있는 것이 연기, 빛, 열이었다. 열을 이용하는 과정 속에서 연기와 빛의 경험을 하게 된 것이다. 여기서 열은 실용적 경험의 토대로서만 지속되어 왔다면, 연기와 빛은 실용적인 경험을 토대로 종교적 경험으로 발전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불의 물리적 경험은 태우기로부터 시작하여 연기피우기, 밝히기, 가열하기(익히기, 덥히기 등) 등으로 확장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은 이와 같은 불의 물리적 경험 영역을 토대로 다양한 기호적 경험을 한다. 그것은 자연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이 작용하여 형성한 기호내용이 불의 다양한 민속을 형성시킨 것이다. 불의 민속의 기호화 과정과 기호적 의미를 6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먼저 화전농업과 쥐불놀이의 기호화는 <태우기 ↔ 생산(풍요) → 화전농업․쥐불놀이>라는 기호적 경험의 구조를 통해 전개되고, 기호적 의미는 생산(풍요)이다. 두 번째로 화재막이의 기호화는 <화기(火氣)의 땅(화재) ↔ 재액 → 화재막이(불막이제, 도깨비제, 소금단지 매장, 짐대세우기)>라는 기호적 경험의 구조를 통해 이루어지고, 기호적 의미는 재액(소멸)이다. 세 번째로 달집태우기(동화제)․횃불싸움․낙화놀이․액막이불놓기․불밝히기의 기호화는 <불 ↔ 정화 → 달집태우기(동화제)․횃불싸움․낙화놀이․액막이불놓기․불밝히기>라는 기호적 경험의 구조를 통해 전개되고, 기호적 의미는 정화(신성)이다. 네 번째로 기우제(불피우기)의 기호화는 <불(연기) ↔ 주술 → 기우제>라는 기호적 경험의 구조를 통해 전개되고, 기호적 의미는 주술(생산)이다. 다섯 번째로 연등행사의 기호화는 <등불 ↔ 재생(부활) → 연등행사>라는 기호적 경험구조를 통해 전개되고, 기호적 의미는 재생(부활)이다. 마지막으로 민속음식의 기호화는 <자연적인 식재료 ↔ 변형 → 민속음식>라는 기호적 경험의 구조를 통해 전개되고, 온돌의 기호화는 <차가운 방 ↔ 변형 → 온돌(구들)>의 기호체계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들의 기호적 의미는 변형(변화)이다. 문화는 우리가 공유하는 물리적 경험과 그것으로부터 다양하게 확장된 기호적 경험의 게슈탈트적 융합체이다. 이러한 구조 안에서 공공성과 변이성을 갖게 되는데, 달집태우기(동화제)․횃불싸움․낙화놀이․액막이불놓기․불밝히기에서 액막이불놓기․불밝히기는 현저하게 공공성을 잘 드러내고, 횃불싸움․낙화놀이는 변이를 드러내고 있다. 정화(신성)라는 기호적 의미를 지닌 액막이불놓기와 불밝히기가 가장 원형적이며 보편적인 것이고, 횃불싸움과 낙화놀이는 변이형태로서 개별성을 드러낸 것이다. 따라서 횃불싸움과 낙화놀이의 기호적 근원은 액막이불놓기와 불밝히기라는 것을 말하고, 액막이불놓기와 불밝히기가 불의 민속을 전승하는 원초적 기반이었음을 말한다. 동일한 물리적 경험은 하나의 기호적 경험에 반영된 다양한 기호내용의 중첩으로 인해 기호적 의미의 다의성을 갖게 한다. 예컨대 화전농업․쥐불놀이는 생산과 풍요의 관념이 작용하여 형성된 기호적 경험으로서, 기우제(불피우기)도 주술적인 방법으로 생산과 풍요를 추구하기 위한 기호적 경험이라는 점에서 기호적 의미의 유사성을 갖는다. 그리고 달집태우기(동화제)․횃불싸움․낙화놀이․액막이불놓기․불밝히기는 기본적으로 정화라는 기호적 의미를 가지고 있고, 정화의 수단은 모든 종교적 행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액을 물리치고 몰아내어 신성의 모습을 유지하는 것은 생산을 기원하기 위함이고 재생을 간절하게 소망하기 위한 것이어서 기호적 의미의 다의성을 갖는다. 연등행사 또한 단순히 재생(부활)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생산을 갈망하고 재액을 몰아내고자 하는 의미를 갖고 있기 때문에 다의성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기호적 의미의 다의성은 서로 다른 기호적 경험의 영역을 서로 넘나들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불은 인간의 삶에서 중요한 실용적인 도구이지만, 종교적인 측면에서는 경계의 대상이면서 정화의 수단으로 활용된다. 특히 가열하기의 물리적 경험을 토대로 형성된 민속음식이나 온돌(구들)의 기호적 경험은 실용성을 추구하지만, 태우기2와 밝히기의 물리적 경험을 토대로 형성된 기호적 경험들은 종교적인 의미가 강하게 반영되어 있다. 불로 인한 재앙을 물리치기 위해 불막이제, 도깨비제, 소금단지, 짐대세우기와 같은 화재막이를 한 것이나, 액을 물리치기 위해 불밝히기, 액막이불놓기, 달집태우기, 횃불싸움, 낙화놀이와 같은 정화적인 행사를 한 것은 불의 양면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A find of fire is based on life experiences of human beings and the physical experiences of fire expand from burning to smoldering, lighting and heating. Human beings went through a variety of symbolic experiences based on the physical experiences of fire and the generated natural,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formed a variety of folklore. The symbolic meanings of fire in folklore are production, calamity, purification and transformation. Culture would be defined as the Gestalt syncytium component of the shared physical and symbolic experiences. In this structure, it has publicity and variability and ‘Ak-mak-e-bul-no-ki’ and ‘Bul-bal-ki-gi’ are most archetypal and universal and ‘Hwa-bul-ssah-um’ and ‘Nak-hwa-no-ri’ are variations that have individuality. The same physical experiences make polysemy of symbolic meanings by superposition of various symbolic contents that are reflected on a symbolic experience. ‘Yeon-dung-hang-sah’ is also a polysemy in that it pursues not only regeneration but also production and removing calamity. Fire is polysemy in that it is a practical tool for human beings as well as is vigilance and a method of purification in religious aspect.

      • KCI등재

        佛印과 塔印 등, 印의 한국 수용과 전개

        문상련 동악미술사학회 2023 東岳美術史學 Vol.- No.34

        본 논문은 고려와 조선시대 간행의 다라니에 실린 佛印과 塔印 등 印의 수용과 전개를 서술한것이다. 먼저 경전에 근거해 印과 佛印의 개념을 설명했으며, 중국에서 형성된 불인과, 부처의 內 在性을 형상화한 種字가 佛印化되는 양상을 서술하였다. 또한 한국의 경우 삼국 이래 佛印과 塔印의 수용 양태를 서술했으며, 고려, 조선시대의 간행다라니에 실린 3종 佛印과 1종의 塔印, 그리고 舍利甁印이라 칭할 수 있는 印 등 5종의 印이 형성되는 과정과 함께, 진언의 佛印化를 통해 새로운 印이 성립되었음을 말하였다. 이에 고려와 조선 전기의 경우, ‘불정심인’과 ‘비로자나인’ 등 2종의 불인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조선 초에는 탑인이 추가된 예를 설명하였다. 이후 15세기 후반 16세기 이래, 2종의 불인과 탑인외에 ‘석가여래화압’이 추가되었으며,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에 실린 ‘옴 치림’과 ‘옴 부림’, ‘옴 타림’ 등 3종 불인을 통해 진언이 종자화, 佛印化되는 과정을 통해 불인이 다양화되는 예를 언급하였다. 이외에 새로운 印으로서 ‘舍利甁印’의 형성과 함께, 印은 다라니 안에서 부적의 한 예로 자리했다가, 차츰 부적에 비해 우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음을 언급하였다. This thesis examines the adoption and development of the Buddhist seals (in) in the Goryeo and Joseon periods as represented by the “Buddha’s seals” (burin) and “pagoda seals” (tabin) contained in the dharanis published in Goryeo and Joseon. The main discussion starts with an introduction of the seal and the Buddhist seal based on texts in the Buddhist scriptures, and continues with the Buddhist seals developed in China and the process by which the “seed syllables” representing the internality of Buddha developed into Buddhist seals. The following discussion focuses on Korea and how both the Buddha’s seal and the pagoda seal were introduced there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It also addresses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five types of Buddhist seals, three Buddha’s seals, and one pagoda seal contained in Goryeo and Joseon dharanis, and another that can be called the “sarira bottle seal”,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of a new seal created through the transition from the mantras. The discussion then turns to the fact that the Buddhists of Goryeo and early Joseon used two types of Buddha’s seal, the “usnisa heart seal” and the “Vairocana’s seal”, and later introduced the pagoda seal. It also shows that two more Buddha and pagoda seals, plus the “Shakyamuni’s floral seal”, were introduced between the late fifteenth and late sixteenth centuries, and that Buddhist seals became more diverse in this period through the process by which mantras - particularly the three (om chirim, om burim, and om tarim) contained in the Meditation Based on the Six-character Mantra of the Sacred Bodhisattva of Spontaneous Contemplation - developed into “seed syllables” and, finally, the Buddha’s seal. Finally, the discussion focuses on the creation of the sarira bottle seal, concluding that it was originally established as a form of talisman in the dharanis, but was gradually raised to a superior status.

      • KCI등재

        청소년의 소비자불만 대응과 소비자시민 역량이 소비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조현영,강우성 한국소비자원 2024 消費者問題硏究 Vol.55 No.1

        모바일 기기에 익숙한 청소년은 온라인 비대면 거래를 촉발한 COVID-19를 기점으로 소비의 주체로 떠올랐다. 각종 제품/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익숙하게 접할 수 있어 까다로운 소비 기준을 갖게 된 청소년 소비자는 그만큼 소비생활에서 불편을 경험할 가능성도 커졌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소비자불만 경험, 그리고 불만에 대한 대응여부가 이들의 소비생활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고 이러한 소비자불만에 적절히 대응하는 능력으로 청소년의 소비자시민 역량을 살펴보았다. 소비자시민 역량은 소비자 권리와 관련된 정책이나 제도를 이해하고 소비자의 책임을 다하는 행동을 실천하는 능력이므로, 불만 대응시 필요한 소비자의 권리를 이해하는 데에 필수적인 능력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 소비자가 현재 소비자시민 역량을 어느 정도로 갖추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소비자 교육 정책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소비자원이 제공한 2022년 청소년 소비자역량지수 데이터를 사용하여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교차분석, 일원분산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해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소비자불만 경험은 소비생활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소비자불만을 경험하더라도 이에 대응하는 행동은 소비생활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시민 역량 및 이 역량의 하위영역인 소비자시민 지식 및 실천은 불만대응 여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소비자시민 역량이 청소년이 자신의 소비자불만에 대처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소비자시민 역량은 청소년의 인구통계학적 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대도시에 거주하는 청소년이 중소도시 및 읍면 지역에 거주하는 청소년에 비해 자신의 소비자시민 역량을 높게 평가했다. 반면, 불만 대응 정도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높고 지역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이는 여학생과 남학생에게 각기 다른 방향의 소비자 교육이 필요하되, 전국적으로 균등하게 진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adolescent familiar with mobile devices emerged as the subject of consumption with the onset of COVID-19, which triggered online non-face-to-face transactions. Adolescents, who have become familiar with various product/service-related information, have developed stringent consumption standards, increasing the likelihood of experiencing discomfort in their consumption lives. The ability to appropriately respond to such consumer dissatisfaction is a crucial factor positively influencing consumption satisfaction. This study examined consumer citizenship competence as a factor closely related to this ability. Consumer citizenship competence is the ability to understand policies or systems related to consumer rights and to practice behaviors that fulfill consumer responsibilities. It is the ability necessary to understand consumer rights required when dealing with dissatisfaction. Based on data from the 2022 Adolescent Consumer Competence Index provided by the Korea Consumer Agency, this study examined the research problem. Analyzing the data using cross-tabulation, one-way ANOVA, and logistic regression, it was found that experiences of consumer dissatisfaction had a negative impact on consumption satisfaction, and that even when experiencing consumer dissatisfaction, actions taken in response had a positive impact on consumption satisfaction. Furthermore, consumer citizenship competence and its sub categories, consumer citizenship knowledge and practice, positively influenced the response toward dissatisfaction, indicating that consumer citizenship competence is an important factor in dealing with consumer dissatisfaction. Consumer citizenship competence varied according to demographic factors; male adolescents and adolescents residing in large cities evaluated their consumer citizenship competence more highly than female adolescents and adolescents residing in small to medium-sized cities and rural area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regional difference in the extent of response toward dissatisfaction. This suggests the need for different directions of consumer education for female and male adolescents, while also indicating that such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evenly nationwide.

      • KCI등재

        <야래자설화>와의 관계 속에서 본 <불씨와 동삼>-불 신앙에 관한 비교민속을 겸하여-

        이지영 동아시아고대학회 2008 동아시아고대학 Vol.18 No.-

        본고는 ‘불 신앙’을 바탕으로 생겨난 설화 <불씨와 동삼>이 전승되는 구체적인 실상을 살피면서, 그것이 <야래자설화>의 영향을 받아 구조와 의미가 변하여 현재의 전승 모습을 갖게 되었음을 밝히기 위하여 작성된 것이다. 우선, 구전자료들을 이야기의 핵심 요소의 변화에 따라 <현장 추격형>(A형)과 <명주실 추적형>(B형)으로 대별하고 전자를 다시 세 개의 자료군으로 나눈 뒤, 네 자료군들이 내용상 어떤 특징을 보이는지 살폈다. 이를 토대로 이 설화의 기본적인 의미를 다음 네 가지로 추출하였다. 첫째, ‘집안의 불의 간수는 여성이 담당하며, 여성이 어떠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불을 지켜야 한다.’는 우리의 전통적인 민간신앙과 관습이 드러난다. 둘째, 불씨를 간수하면 그 집안이 복을 받는다는 사람들의 믿음을 반영한다. 셋째, 며느리의 입사식담의 성격을 지닌다. 넷째, 사악과 부정을 제거하며 생식을 소생하는 불의 의미 외에도 가계의 계승과 한 집안의 복을 의미를 내포한다. 다음으로, ‘불씨 회복’의 과정이 원래는 이야기 속에 들어 있어야 마땅함을 입증하기 위하여 비교민속적인 관점에서 우리와 주변 민족의 설화 및 불 신앙 등을 살폈다. 그 결과 ‘매년 정기적으로 묵은 불을 끄고 새불[新火]을 일으키는 불 의식’이 널리 퍼져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이야기 결말의 ‘동삼 얻어 부자되기’보다는 ‘불씨의 회복’이 더 원래적인 요소임을 추정하였다. 또한, 결말의 ‘동삼 얻어 부자되기’가 <야래자설화>의 영향에 의한 것임을 입증하기 위하여, 이와 관련된 야담과 구전민담을 제시하며 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두 설화가 접변할 수 있는 근거로서, <불씨와 동삼>에 <야래자설화>의 내용이 공통된 것이 많다는 점, 두 나무를 마찰하여 불을 일으키는 것과 총각이 오줌을 누어 불을 끄는 것 등이 남녀의 성적인 교합을 의미하는데 이는 <야래자설화>의 이물교혼 부분과 연관된다는 점, ‘화롯불을 지키는 여사제가 수목신과 신성혼을 거쳐 영웅을 낳았다.’는 내용의 <로물루스> 탄생담처럼 <불씨와 동삼>도 ‘수목신과 여성의 성적인 결합’의 내용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적 친연성으로 인하여 <야래자설화>의 영향을 쉽게 받을 수 있다는 점 등을 들었다. 끝으로, 이 설화의 구조와 의미가 변모하는 과정으로 세 단계를 설정하였다. 곧 원래 ‘불씨의 보존과 간수’를 중시하는 민간신앙과 의식을 바탕으로 이야기가 생겨난 첫째 단계, ‘묵은 불을 새로운 불로 바꾸는 불 의식’이 반영되는 둘째 단계, <야래자설화>가 결합되면서 이야기의 구조, 줄거리, 의미 및 성격 등이 변하는 셋째 단계 등이 그것이다.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actual tradition process of <Bulssi and Dongsam> which is based on the faith in fire and showed that this process was affected by <the tale of Yaraeja>. This intellectual endeavor was also the efforts of attempting to disclose the underlying meaning of <Bulssi and Dongsam>. To this end, I looked at the folk belief dimension and the thinking of fire that are held by Korean and the neighboring peoples. First, each version of <Bulssi and Dongsam> is classifi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its core elements, and the common story structure that exists in different versions is extracted. This exhibits a few key meanings of the story. 1) the story reflects our traditional folk belief and custom that keeping the fire in a house alive is the duty of women and they must not fail in any difficulty, 2) this story shows the belief that the whole family will be blessed when the fire is kept wholeheartedly, 3) this folklore can be seen as the initiation story of a daughter-in-law, and 4) the fire in this story symbolizes 'the succession of family' and 'the blessing of the family.' This last element appears to emerge due to the fire being combined with the belief on Jowang(竈王). Next, I noted that nowhere in the story are shown the women's efforts to restore a extinguished fire while their efforts to keep fire are omnipresent. I attempted to show that the efforts of restoring fire had originally been included in the story. For this, I examined the folklore and the belief of fire of Korea and its neighboring peoples. Based on the findings, I concluded that the missing part must have been existent in the story. Finally,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tale of Yaraeja> has changed the meaning and the structure of the story. It is pointed out that both of the stories have elements that are reflective of sexual relationships. This illustrates that the story has gone through a few stages of transformation. The first stage is that the story began to emerge based on folk belief and thinking of maintaining and cherishing fire, which can be easily found in the story. It is the second stage that the thinking of changing a old fire to a new one became embedded into the story line. This stage is the one that is easily expected due to the belief that an extinguished fire must be restored. Third, the story transformed its structure, its story line, its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as it got blended with <the tale of Yaraeja>. I claim that upon the influence of <the tale of Yaraeja>, 'extinguishing a old fire' transformed to 'searching for the reason why the fire died' to 'tracing the thread' and to 'identifying the person who extinguished the fire.' Accordingly, 'obtaining a new fire' has also changed to 'getting Dongsam,' and as a result the story has come to emphasize the meaning of becoming rich. Therefore, becoming rich with gold and silver in each of the story versions is claimed to be due to the blending of the two stories.

      • KCI등재

        물질 이미지와 공포성의 관계 연구 : ‘불’과 ‘물’을 중심으로

        오정미(Oh Jeongmi)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1

        본고에서는 홀림군과 물질의 결합에서 발생하는 공포의 자질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그동안 물질의 공포성에 대한 논의는 드물었다. ‘물’과 ‘불’은 단순한 환경적 요소나 환각이 아닌, 물질의 상상력에서 공포를 읽어낼 수 있는이야기의 원형이 된다. ‘물’과 ‘불’이 가지는 원형은 이야기의 맥락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더불어 공포와 죽음이라는의미적 자성을 띠고 있는 주체들과의 결합 양상도 논의될 필요가 있다. 도깨비, 여우는 물과 불로 전환된다는 공통의 특징을 갖는다. 특히 호랑이, 도깨비, 여우 등 홀리는 존재와 물질적 존재들이 하나의 의미소로 결합한 후, 의미의 강화가 있었다. 이렇듯 서사의 기능과 물질의 상호 관련성을 찾기 위해서는 호랑이, 여우, 도깨비의 홀리는 이야기에서 유사한 이야기들을 수집하고 기능(function)면에서 ‘불’과‘물’의 공포적 자질을 확인해야 했다. 호랑이의 비와 여우비는 물을 뿌리는 행위가 연상되는 원형으로, 결혼을 포함하는 낭만적인 서사보다는 잡아먹힌다는 의미가 극대화된 공포의 서사이다. 호랑이비와 여우비는 호식의 의미로 ‘물’과 결합되어 있고, 여우비와 도깨비의 비는 유혹의 의미를 공유한다. 도깨비불에서는 유독 비와 불의 연관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특히 도깨비불은 한(恨)이 매개된 인불이라는 점에서 같은 유형으로 판별할 수 있다. ‘물’은 생명과 죽음의 물을, ‘불’은 생성과 소멸의 불로서 양가성을 나타낸다. 홀림군의 설화에서 ‘불’과 ‘물’은홀림군이라는 이중적 존재와의 결합을 통해 ‘홀림’을 강화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중적 존재의 변신과 목격을 통해비일상적인 공간이 생겨나고, 그것이 목격이나 접촉되었을 때 공포성이 대두된다. 이렇듯 ‘불’과 ‘물’은 변신의 양상이 아닌, 물질적 원형성에 근거한 당위성을 갖는다. ‘불’과 ‘물’이 갖는 상상력 안에는 ‘공포’와 ‘정신적 죽음’이 내재되어 있고, 이러한 원형적 의미가 홀림군이라는 주체(motif)와 결합하여 홀림의 기능을 좀 더 강화하는 효과를야기한다. 결국 이러한 물질들 또한 공포를 실재화한 은유의 상징들이라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try to confirm the qualities of fear generated by the binding of substances with the Bewitchment type. During that time, discussions about the fear of matter were rare. “water” and “fire” are not simple environmental elements or hallucinations, but are the prototypes of stories in which fear can be read from the imagination of matte. The prototypes of “water” and “fire” must be discussed in the context with the subject having the semantic magnetism if fear and death. Dokkaebi and foxes have the common feature of turning into water and fire. In particular, after the seductive and material beings such as tigers, Dokkaebi, and foxed were combined into one semantic element, there was an enhancement of meaning. Collect similar stories from the seducing stories of tigers, foxes, and Dokkaebi to fi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function of the story and the substance, and we had to confirm the horrifying qualities of “fire” and “water” in terms of function. The tiger-rain and fox-rain are prototypes associated with the act of watering, and are not romantic epics that include marriage, but horrifying epics that mean “be hunted and preyed on” Tigers and foxes are combined with “water” in the sense of fear and the rain of foxes and Dokkaebi share the meaning of temptation. In Dokkaebi, the relationship between toxic rain and fire became prominent. In particular, Dokkaebi can be identified by the same type in that it is a ‘human-fire’ mediated by a grudge. “Water” shows ambivalence as water of life and death and “fire” as fire of generation and extinction. In the tale of the Bewitchment type. “fire” and “water” have produced the result of strengthening “bewitchment” through the combination with the dual existence of the seduction type. The transformation and witnessing of dual beings creates an extraordinary space that raises fear when witnessed or touched. “Fear” and “mental death” are inherent in the imagination of “fire” and “water”, and the meaning of such archetype ins combined with the subject(motif) of the Bewitchment type, and the function of Bewitchment is strengthened. After all, it can be said that these substances are also symbols of the metaphor that makes fear a reality.

      • KCI등재

        공공분야 소비자불만 서비스회복품질 요인이 서비스회복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신혜 ( Choi Shin Hea ),김형준 ( Kim Hyung-jun ) 한국소비자학회 2021 소비자학연구 Vol.32 No.5

        소비자행동 중에서도 구매 후 행동 분야에서 논의되는 소비자불만은 기업의 이용을 전제로 하여 나타난 소비자의 불만족에 대한 감내 또는 표출 등의 행위가 향후 기업에 대한 긍정적인 이용의도에 영향을 발휘하게 된다는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논의되고 있다. 특히 기업에서는 소비자의 불만행동에 대한 피드백이 소비자의 기업에 대한 평가이자 관계지속 의지에 영향을 발휘하는 요소로 보고 이에 대한 관리 필요성과 중요성을 언급하고 있다. 이처럼 소비자불만 관리의 필요성과 그 중요성이 대두되는 가운데 공공분야 또한 소비자불만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는 분야 중 하나로 언급되고 있다. 기업의 경우 소비자불만 해소를 통해 추구하는 소비자와의 지속적인 관계유지, 경제적 이윤과 같은 명확한 성과체계가 구축되어 있는 반면, 공공분야의 경우 소비자불만에 대한 높은 관심에도 불구, 어떠한 가치에 중점을 둔 전략수립이 필요한지에 대한 가치관이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분야에서 발생하는 소비자불만의 특성에 맞는 서비스회복품질체계가 공정성과 신뢰를 매개로 하여 서비스회복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가설 검증 결과 서비스회복품질 중 공감성, 확신성이 공정성과 신뢰를 매개로 서비스회복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이 지지되었다. 이를 통해 감정적 차원에서 접근하는 공감성, 확신성이 소비자가 공정성을 지각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서비스회복품질 중 확신성, 적시성, 용이성, 환류성이 신뢰를 매개로 서비스회복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이 지지되었다. 이를 통해 이성적 차원에서 접근하는 확신성, 적시성, 용이성, 환류성이 소비자가 신뢰를 지각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공공분야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고 나타나는 소비자불만 해소를 위해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서비스회복품질과 성과사이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서 소비자의 감정적 또는 이성적 차원에서 필요한 전략의 방향성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공공서비스 이용 후 소비자 불만 분야의 연구 확장에 기여하였다. A customer complaint is a situation where a consumer raises an issue after using the products and services of a company. Management of consumer complaints is very important because consumers want to improve their experiences and build positive behaviors for companies through feedback.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the service recovery system and performance measurement that is appropriate for consumer complaints at touch points in the public sector. Accordingly, this paper proposes empathy, assurance, timeliness, facilitation, and feedback as major variables of service recovery quality related to consumer complaints about public services and uses fairness and trust as mediator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with satisfaction with service recovery. The hypothesis that empathy and assurance (as service recovery quality elements) impact the satisfaction with service recovery (with fairness and trust as mediators) is supported. Furthermore, the hypothesis that assurance, timeliness, facilitation, and feedback (as service recovery quality elements) impact the satisfaction with service recovery (with trust as a mediator), is also supported.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recovery quality in the public sector and appropriate performance. Furtherm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field of service recovery quality in the public sector.

      • KCI등재

        시베리아 에벤족의 불 숭배 연구

        문준일(Moon, Joonil) 충북대학교 러시아 알타이지역 연구소 2020 러시아학 Vol.- No.21

        고래로부터 인류는 불을 숭배했다. 혹독한 겨울을 이길 수 있게 해주는 온기의 원천이며 포식자 짐승들로부터 보호해주는 불은 인류의 생존에 가장 일차적인 요소였다. 그래서 불은 꺼트려서는 안 되는 소중한 존재가 되었고, 동굴이나 천막의 중심에 위치해서 구성원의 중심이 되었다. 이러한 불에 대한 숭배는 매우 자연스런 현상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시베리아 에벤족의 불 숭배의 모습과 의미를 고찰한다. 에벤족에게 불은 가족과 부족을 보호하는 신이었다. 에벤족의 천막 중심에 위치한 화로불은 거주공간의 성스러운 중심이며 불의 영이 거주하는 장소이다. 불 숭배는 시베리아 민족들에게 널리 퍼져 있는 현상이다. 불에게 여러 일을 의논하였으며, 성공적인 사냥 이후엔 불을 대접했다. 하는 일이 잘 되기를 빌기 위해서, 또 지역의 주인령들이 그들을 잘 받아들여 달라고 불에게 기원을 하였다. 불 숭배는 에벤족의 명절에서 반드시 행해지는 정화의식으로 나타난다. 일상생활에서도 불 숭배의 모습은 찾아 볼 수 있다. 그리고 샤먼의 모든 의식도 불의 영과 관련이 있다. 불의 영이 인간을 악령으로부터 보호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불 숭배는 불이 가지는 정화기능과 연관된다. 또한 불은 신과 인간의 중개자로 등장한다. 인간의 기도와 제물을 하늘에 전해주고 신의 은총을 인간에게 가져다주는 역할을 한다. 불의 중개자로서의 역할은 불이 인간들에게 미리 예언을 해 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한다. 불은 타이가의 주인령이 말하는 전달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불이 가지는 이러한 정화와 수호의 힘, 예언의 능력은 에벤족에게 불을 신의 격으로 올리게 되었다. Since ancient times, humanity has worshiped fire. The source of warmth that allows us to overcome the harsh winters and the fire that protects against predator beasts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human survival. Therefore, fire became a precious being that should not be extinguished, and it became the center of members by being located in the center of a cave or tent. This worship of fire seems to be a very natural phenomenon. This study examines the appearance and meaning of fire worship among the Siberian Evens. For the Evens, fire was a god protecting families and tribes. The hearth,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Even’s tent, is the sacred center of the living space and the place where the spirit of fire resides. Fire worship is a widespread phenomenon among the Siberian peoples. They discussed various things with the fire, and after a successful hunt, he served fire. In order to wish for a good job, they prayed to the fire to receive them well the spirit of the local areas. Fire worship appears as a ritual of purification that is always practiced on the holidays of the Evens. Fire worship can be seen in everyday life. And all shaman rituals are also related to the spirit of fire. Because the spirit of fire protects man from evil spirits. This worship of fire is related to the purifying function of fire. Also, fire appears as a mediator between God and man. It plays the role of delivering human prayers and offerings to heaven and bringing God’s grace to humans. Its role as a mediator of fire gives fire the ability to prophesy in advance to humans. Because fire can convey what the taiga’s master spirit says. The power of purification, protection, and prophecy of fire made fire a god for the Evens.

      • KCI등재

        저당권의 불가분성에 관한 연구 - 일본의 학설과 판례를 중심으로 -

        김상찬 한국토지법학회 2012 土地法學 Vol.28 No.2

        The mortgagee can exercise the right for the entire object until the whole credit is reimbursed, which is called the inseparability of mortgage, the regulation of the lien, the Article 321, our Civil Law shall apply to the regulation of the Article 370, our Civil Law, with respect to the inseparability of mortgage. This concept is not clear state since it is the circumstances that there has been no thesis dealing with this in our country and the textbook mentioned that the regulation of the lien shall apply in only and there has been no special explanation in the lien. Therefore, it would be so necessary to clear up the concept of inseparability of mortgage and review the several issues in relation to the inseparability. The comparatively concrete principle of Law has been established by introducing the legal theory of France with respect to the inseparability of mortgage in Japan, the inseparability is considered to be the sphere of functional area comprising two different concepts. Namely, the inseparability of mortgage is comprised of the inseparability in connection with the secured claim aiming at keeping the object as each part of secured claim is in pledge by the entire mortgage object before the exercise of mortgage and the inseparability in relation to the mortgage object as each part of mortgage object is to hold a mortgage of the entire secured claim functioning related to the sphere of preferential repayment right at the time of exercise of mortgage. We, in this manuscript, intend to further definitize the meaning and contents of mortgage which has been thought abstractly till now in our country by inspecting the legal theory in relation to the inseparability of mortgage in Japan. This manuscript is analyzing and arranging the theory and the judicial precedent, to begin with, after inspecting the debates in relation to the inseparability both in the process where the inseparability of old Civil Law has been introduced and in the process where the current code of Civil Law has been established, in Japan, This manuscript will help establish the legal theory in relation to this in our country where there has been no advanced research in relation to the inseparability of mortgage at all. 저당권자는 채권전부의 변제를 받을 때까지 목적물 전부에 대하여 그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데 이를 저당권의 불가분성이라고 하며, 우리 민법 제370조는 저당권의 분가분성에 대하여 민법 제321조의 유치권 규정을 준용하도록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금까지 이에 관하여 다룬 논문이 거의 없는 실정이고, 교과서에서도 유치권의 규정을 준용한다고 하고 있을 뿐이고, 유치권에서도 특별한 설명을 하고 있지 않아서 이 개념은 명확하지 않은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저당권의 불가분성의 개념을 명확하게 하고 불가분성에 관련된 여러 문제를 검토하는 것은 매우 필요한 일이다. 일본에서는 저당권의 불가분성에 관하여 프랑스의 법이론을 받아들여 비교적 구체적인 법리를 정립하고 있는 바, 저당권의 불가분성을 기능영역이 다른 두 개의 개념으로 구성된다고 보고 있다. 즉 저당권의 불가분성은 피담보채권의 각 부분은 담보목적물 전부에 의해 담보되는 것으로서 저당권 시행 전에 그 객체의 유지를 목적으로 하는 ‘피담보채권에 관한 불가분성’과, 담보목적물의 각 부분은 피담보채권의 전부를 담보하는 것으로서 저당권 실행시에 우선변제권의 범위에 관계되는 것으로 기능하는 ‘담보목적물에 관한 불가분성’이라는 두 개의 개념으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일본에 있어서의 저당권의 불가분성에 관한 법이론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에 있어서 지금까지 추상적으로 생각되어 온 저당권의 불가분성의 의미와 내용을 보다 명확히 하고자 한다. 우선 일본에 있어서 구민법상의 불가분성이 도입되는 과정과 현행민법전이 성립하는 과정에서의 불가분성에 관한 논의에 대하여 살펴본 후, 일본의 현행민법전 상 저당권의 불가분성에 관한 학설과 판례를 분석․정리하고 있다. 본고는 저당권의 불가분성에 관한 선행연구가 거의 없는 우리나라에 있어서 이에 관한 법이론을 정립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