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교문화콘텐츠학 교육의 체계와 방법 연구

        이재수 한국종교학회 2023 宗敎硏究 Vol.83 No.1

        In this paper I aim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achievements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and the educational system and method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studies.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Association of Humanities Contents 20 years ago, the academical research foundation of cultural contents was established. In the meantime,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cultural contents in Korea has grown remarkably. The Korean Wave has spread greatly, and K-content is loved by people all over the world. The cultivation of talent in related fields is an important role of the university,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prepare for the future. By 2022, there were 32 master’s degrees related to Buddhist Cultural Contents, and various universities have obtained master’s degrees with interest in Buddhist Cultural Contents in the areas of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and religious cultural contents. 14 doctoral dissertations were produced, with nearly 80% of research related to cultural content genres and development. The result of analyzing 81 research papers related to Buddhist Cultural Contents, About half of them are related to society and culture in the humanities. 22.2% of theses are about the utilization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It was followed by development, production and genre at 13.6% each. Through this research, Buddhist Cultural Contents studies have a destitute foundation, but social demands are very high, so strategies and support measures for promoting Buddhist Cultural Contents are urgently needed, and the results will be very in height. Futhermore this paper examine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ystem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studies and sugguested a graduate course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education and research. Additionally, this research paper examine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ystem of Buddhist cultural content studies and proposed a graduate program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education and research. In addition, in order to develop and spread Buddhist Cultural Contents education, I revealed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a content-oriented Buddhist Cultural Contents ecosystem, promote Buddhist Cultural Contents, establish Buddhist Cultural Contents archives, and establish and operate a Buddhist Cultural Contents creator network. Through this discussion, I would like to contribute to the path of efforts and cooperation to revitalize the educational system that will lead the future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본 논의는 불교문화콘텐츠 연구의 현황과 성과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불교문화콘텐츠학 교육체계와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20년 전에 인문콘텐츠학회가 성립되면서 문화콘텐츠학의 학문적 토대가 성립되었는데, 그동안 문화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한국의 문화콘텐츠는 눈부실 만큼 성장하였다. 한류는 큰 확산을 이루었고 K-콘텐츠는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고있다. 바로 관련 분야의 인재의 양성은 대학의 중요한 역할이며, 그 미래를준비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불교문화콘텐츠 관련 석사학위는 2022년까지 32건으로 다양한 대학에서전통문화콘텐츠와 종교문화콘텐츠 영역에서 불교문화콘텐츠에 관심을 가지고 학위를 취득하였다. 박사는 총 14명이 배출되었는데, 문화콘텐츠 장르와 개발 관련 연구가 80%에 육박하였다. 이를 통해 본다면 불교문화콘텐츠학 관련 연구의 기반은 조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불교문화콘텐츠 관련 연구 논문 81편을 분석한 결과 인문학 분야의 사회문화 관련이 절반이고, 활용이 22.2%, 개발, 제작과 장르가 각각 13.6%의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불교문화콘텐츠학은 토대는 부실하지만, 사회적 요구는 매우 높으므로 불교문화콘텐츠 진흥 전략과 지원책이 시급하며, 그 성과도 매우 높게 나타날 것이다. 이 글에서 불교문화콘텐츠학의 교육환경과 체계에 대해 살펴보고, 교육과 연구의 기반을 세우기 위한 대학원 과정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교육의방법론으로 인재양성, 현장 실무 교육과 전문 자격 시스템을 및 불교문화콘텐츠 전문가 네트워킹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불교문화콘텐츠학 교육의 발전과 확산을 위해 콘텐츠 중심의 불교문화콘텐츠 생태계 조성, 불교문화콘텐츠 진흥 시스템, 불교문화 콘텐츠아카이브 구축, 불교문화콘텐츠 크리에이터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이 필요함을 밝혔다. 본 논의를 통해 불교문화콘텐츠의 미래를 이끌어 갈 교육체계의 활성화를 위한 노력과 협력의 길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불교문화콘텐츠학의 연구방향과 교육방법 고찰

        이재수(LEE, Jae-Soo)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3 종교문화연구 Vol.- No.20

        본 논의는 불교문화콘텐츠의 학문적 체계 정립을 위한 문제와 그 교육체제 및 방향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불교문화콘텐츠학이 성립하기 위한 이론적인 토대와 그 방향성 정립을 시도하고자 한다. 즉 불교문화콘텐츠학은 응용불교학의 한 분야로, 또는 종교문화콘텐츠의 하위 분야로 자리를 잡을 때 불교문화콘텐츠학의 위치와 교육 목표는 종교성에 기반을 두고 출발할 것이지만, 문화콘텐츠학의 분과학문이 될 때는 문화콘텐츠가 지니는 공공성과 대중성의 기반 위에서 보편성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 불교가 지닌 문화콘텐츠와 관련된 문화적 배경과 내부역량의 잠재력은 무궁무진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교문화콘텐츠의 학문적 역량을 성숙시키고, 대중적 확산과 이를 구체적으로 진흥하고 체계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중심축과 디지털 콘텐츠 생태계 조성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논자는 불교문화콘텐츠 교육과정의 기본적인 틀을 다양한 불교문화의 분야별 이해와 문화콘텐츠 장르별 결합을 통합 복합적 이해가 필요하다고 본다. 불교문화콘텐츠 교육과정 및 체계보다도 더 중요한 것은 불교문화콘텐츠 관련 인재들의 교육과 실습 등을 통해 현장 중심의 교육과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인재양성의 시스템 구축이 선행이다. 본 논의가 앞으로 불교문화콘텐츠학의 학문적 정립과 교육 시스템과 교육방법 등의 진전된 논의를 이끌어 내는데 이바지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ssues with establishing an academic system for Buddhist Cultural Contents and further its educational system and directionality. For that purpose, the investigator tried to build a theoretical foundation and directionality for the emergence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studies. If Buddhist Cultural Contents studies were established as an area of applied Buddhist studies or a subarea of religious Cultural Contents, its position and educational goals should be based on religious nature. If it were established as a segment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it should be based on the publicness and popularity of Cultural Contents and move toward universality. The cultural backgrounds related to the Cultural Contents of Buddhism and its internal capability have infinite potential. It is time to build a central axis and a digital content ecosystem to mature the academic capabilities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expand it among the public, promote it specifically, and utilize it in a systematic manner. The investigator believes that the basic framework for a Buddhist Cultural Contents curriculum should b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various areas of Buddhist culture and the complex understanding of many different genres of Cultural Contents. What is more important than a Buddhist Cultural Contents curriculum and system is a system of producing talents to lead the field-based education and market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through education and practice. The study will hopefully make a contribution to true discussions about the academic establishment and educational systems and methods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studies.

      • 불교문화 콘텐츠 구축 현황 및 방향

        김양웅 동국대학교 전자불전연구소 2005 전자불전 Vol.7 No.-

        불교가 우리나라에 전래된 이후 1700여 년간 우리 민족은 상당 부분 불교가 體化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불교문화가 濕合된 한국문화를 형성하게 되었다. 문화의 결정체로서의 가치를 지닌 구조물을 문화재라고 지칭하고, 한국문화재의 대부분은 불교문화재이고 불교에서는 이를 聖寶 문화재라고 칭하고 있다. 문화콘텐츠는 꼭 멀티미디어 형태에 국한된 게 아니라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불교문화콘텐츠 또한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지니고 있다. 한국인들에게 신앙과 관계없이 습합되어 체화된 문화와 불자들의 신앙생활에 습합된 문화 또한 불교문화일 것이다. 불교 디지털 콘텐츠를 발전시키기 위하여 인문학적인 측면에서의 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와 이를 토대로 한 철저한 기반 구축 없이, 각 개인의 상상력과 창의력의 기반에서 문화적 요소를 조미하는 형태로는 각 문화에 대한 고유성과 깊은 특성을 담아내는데 한계가 있다. 국내에서 불교문화콘텐츠 중 멀티미디어콘텐츠 분야는 이제 시작 단계이며, 성공적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축하기 위하여 환경적 기반의 조성과 더불어 이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현재 정부는 문화관광을 주요 산업으로 설정하고 이를 추진하고 있다. 주 5일제 근무 등의 영향으로 많은 사람들이 보다 더 많은 관광에 시간을 할애 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1980년대나 2000년대나 불교에 대한 문화나 관광은 수려한 풍광과 아름다운 건축미를 지닌 사찰의 관광에서 벗어나고 있지 못하다. 신도의 신앙생활에 도움을 주고, 일반인들에게는 불교문화를 쉽게 향유케 하며, 이를 통한 불교문화의 발전과 멀티미디어 콘텐츠 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방향 중 하나는 여기에 있다. Since Buddhism was introduced, Korea has internalized Buddhism for 1700 years and has formed its culture assimilating into Buddhist culture. A structure that has the value of cultural essence is called a cultural property. Most cultural properties in Korea are Buddhist cultural properties. In Buddhism, it is called as sacred cultural treasures. Culture contents are not limited in the multi-media type. They have various types and structures. Buddhist culture contents are also in various types and structures. To Koreans, Buddhist culture has been dissolved into all internalized cultures regardless of their religions. Needless to say, it contains the Buddhist culture that has been formed through the religious life of Buddhists. In developing Buddhism into digital contents, without profound understandings about the culture in the humanistic aspect and a concrete foundation based on those understandings, if only adding some cultural factors to each individual’s creativity or imagination, there are little chances to find successfully the characteristics and peculiarities of each culture In Korea, the movement to build Buddhist culture contents in the multi-media type is still in the beginning stage and, profound understanding alongwith creating an environmental basis is essential to establish successful multi-media Buddhist culture contents. Currently, the Government sets up and promotes cultural tourism as a major industry. Thanks to the five-working-day system, many people spend their times for tourism. Despite of these favorable circumstances, the culture and tourism in the Buddhism sector has emphasized only on outstanding sceneries and beautiful architectures in 2000s, as same as they did in the 1980s. Here is the way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Buddhist culture and promoting multi-media contents while helping Buddhism followers concentrate on their religious life and giving general people a chance to enjoy Buddhist culture.

      • KCI등재

        <특집논문1> 화엄사상과 현대예술의 만남 : 『화엄경』을 통한 불교문화 콘텐츠 활용방안

        장재진 ( Jae Jin Ja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2

        불교가 여러 유형무형의 창작물들을 생산한다거나 근본적인 불교정신을 일반 대중들에게 잘 전달하고 있는지는 정보화 사회인 현대에 새로운 미디어 출현에 부합하여 사회 전체의 통괄과 제어의 기능을 잘 활용하는가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현재 불교문화는 연극·영화를 비롯해서 게임·만화·애니메이션·사진·만화콘텐츠 등의 이미지·영상·공연·오락·축제를 비롯한 여러 콘텐츠분야를 통한 산업화 시대의 전개에 부합되기를 요구받고 있다. 미디어의 발전은 구술과 문자를 통해 화자와 청자 혹은 작가나 독자와의 관계가 형성되었던 시대를 지나서 디지털시대의 전개를 향유한지 이미 오래된 일이다. 여기서 더 나아가 문화상품을 대중화하는데 선도적인 역할을 한 유비쿼터스라는 미디어의 역할을 넘어 사물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시대의 도래와 전개를 예견하고 있다. 논자는 이러한 미디어의 변화에 부응하여 불교문화콘텐츠 중에서 특히 『화엄경』에 주목하고자 한다. 『화엄경』을 통해서 우리는 깨달음에 대한 광경, 정토에 대한 이야기, 학문적인 전통, 여러 가르침, 예술적 표현 등을 볼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불교의 근원적인 진리에서 불교문화 및 불교예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원형을 찾을 수가 있으며 이와 관련된 문화콘텐츠 활용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다. ‘소리, 말, 몸짓’을 중심으로 『화엄경』의 법회장면에서 묘사되는 여러 장르를 응용 확장해서 스토리텔링 할 수 있다. 그리고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의 문화원형분류 기준에 따라서 화엄경 이야기의 소재를 이야기형, 디자인형, 정보자료형에 상응하는 콘텐츠 구축에 대해 모색할 수 있다. 또한 채트먼 서사구조를 중심으로 문화원형의 소재별 모티브를 대입하여 문화원형의 스토리텔링의 구조로 도출한 내용에 따라서 『화엄경』의 서사적 모티브, 도상적 모티브, 심상적 모티브, 사료적 모티브, 그리고 말하기의 발현에 따른 문화콘텐츠 장르를 중심으로 응용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다. 본고를 통해서 논자는 유비쿼트스나 IoT시대의 미디어에 부합하는 문화콘텐츠의 활용방안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그리고 화엄의 중심사상을 전개함에 있어서 미적으로 표현한 우주의 질서에 담긴 연화장세계(蓮華藏世界)의 형상예술의 콘텐츠를 모색하고 이의 활용방안을 알아보고자 함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e questions as to Buddhism`s roles in production of tangible and intangible works of art or dissemination of the fundamental Buddhist spirit can be explored in line with the adaptation to the new media in the contemporary IT society and its efficiency in its functions of projection and control of the entire society. Currently, Buddhist culture is asked to correspond to the unfolding of the industrialization in the areas of drama, cinema, game, cartoon, animation, photography and other such contents as well as in various contents areas of image, video material, performance, amusement and festival. The media advance has long been enjoying the digital gifts beyond analogousness. Furthermore, the ubiquitous media role is advancing to the IoT era. The author focuses on 『the Avatamska Sutra』 as Buddhist culture contents in line with such media trends. 『The Avatamska Sutra』 enables us to explore the moments of realization, the Buddhist Elysium, academic tradition and artistic expressions. Based on this, various prototypes ranging from Buddhist culture to Buddhist art are found in the fundamental truth of Buddhism. Cultural contents may be explored in this context.

      • 불교문화콘텐츠의 개발과 활용방안

        최진구(Choi Jin goo)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문화연구원 2008 불교문화연구 Vol.9 No.1

        The culture in modern society has become the factor that changes human life and has ruled the world of human spirit. KUKBO 173 kinds of 307 ones and BOMUL 956 kinds of 1,469 ones, in total, 1,129 kinds of 1,776 national treasures, showing 63.6% of them, are related to Buddhism. Consequently,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Buddhist cultural contents are typical of Korea s cultural contents. It is a good thing recently, although it s late, that Buddhist experts and academics show interest in digitalization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To go forward with digitalization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it is necessary for believers in Buddhism to have interest in it and to draw support from Buddhist circles. Therefore it would be the best way that Buddhist TV takes the role. Buddhist cultural contents can be defined as Creatively produced cultural contents composed of Buddhist cultural heritage, Buddhist way of life, and social phenomena related to them, aiming value of Buddhism by Buddhology . Buddhist cultural contents are fully worthy of using. Buddhist cultural heritage should be popularized and industrialized by making it as digital contents, so people can contact it easily. Buddhism has been putting down roots as symbolic and universal value concept of our own. Buddhist film can be said that it began from such emotional categories. As the starting of Buddhist film was late, Buddhist cultural contents have not put down roots yet. The major problem of Buddhist film is not production but analysis, therefore, it is more important to analyze Buddhist film by Buddhist position than produce Buddhist films. Buddhist circles show interest recently in the industry of animation character. The character industry, regarded as a growth factor of future industry, attract attention of Buddhist circles as well as whole social fields. Hence experts, men of great originality and idea, should be bred up and should take roles for central growth factor leading Buddhist cultural contents. On the basis of this, I suggest that Buddhist TV should consider televise Buddhist films for the promotion of program rating and the diversification of program contents. Also it is necessary that the development of flash animation and character, the most easily approachable Buddhist cultural contents children and teenagers can. I suggest that Buddhist TV hold Buddhist Film Festival with the advantage of cable TV broadcaster. So far any religion-related film festival has not been held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If Buddhist TV hold Buddhist Film Festival through preliminary examination and preparation with the advantage of picture missionary media, it will get excellent results. Once Buddhist TV(BTN) hold Buddhist Film Festival successfully, it will grow Buddhist films as Buddhist cultural contents, and contribute to the strengthening of prestige as a Buddhist broadcaster as well as secure program contents. 현대사회에서의 문화는 인간의 생활을 변화시키는 요소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정신세계까지 지배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국가지정문화재 국보 총307종 가운데 173종, 보물1,469종 가운데 956종, 합계 1,776종 중 63.6%에 해당하는 1,129종이 불교와 관련된 문화재이다. 따라서 불교문화 콘텐츠가 한국의 대표 문화콘텐츠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최근 들어 불교학계와 뜻있는 전문가들이 중심이 되어 불교문화 콘텐츠의 디지털화에 관심을 보이고 있음은 늦었지만 다행스러운 일이다 디지털화 작업들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불교인들이 관심을 갖도록 하여 불교계의 지원을 유도하는 역할이 필요한데 이 역할을 불교TV가 맡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이다. 불교문화콘텐츠는‘불교철학의 입장에 서서 불교적 가치를 지향하며, 불교 문화유산·불교적 생활양식, 이와 관련된 사회적 제반 현상 등을 소재로 하여 창의적인 방법으로 제작된 문화 콘텐츠’라고 할 수 있다. 불교문화콘텐츠는 그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 따라서 전략적으로 디지털콘텐츠화하여 불교문화유산을 대중화하고 산업화하여 많은 사람들이 손쉽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하여야한다. 불교는 우리 민족의 상징적, 보편적 가치 개념으로 자리 잡고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불교영화 역시 그러한 정서적 범주에서 출발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교영화의 출발은 매우 늦었으며 아직까지 확실한 불교문화콘텐츠로 자리 잡지 못하고 있다. 앞으로 불교영화의 과제는 생산이 아니라 해석에 그 과제가 있으며 불교를 소재로 한 영화를 생산하는 것보다, 영화를 얼마나 불교적인 입장에서 해석해내는가가 관건이다. 불교계에서 최근 들어 많은 관심을 갖게 된 분야가 애니메이션 캐릭터 산업이다. 물론 불교계뿐만 아니라 미래산업의 신성장동력으로 평가 받고 있는 캐릭터 산업은 사회 모든 분야의 관심을 끌고 있다. 따라서 창의력과 아이디어가 넘치는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불교문화콘텐츠를 주도하는 핵심 성장동력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불교TV에서도 시청률 제고와 프로그램 콘텐츠의 다양화를 위해 불교영화의 방영을 적극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불교문화콘텐츠인 플래시 애니메이션과 캐릭터를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케이블TV 방송사라는 장점을 살려‘불교영화제’개최도 고려해볼 만하다. 현재까지 국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종교영화를 주제로 한 영화제는 개최된바가 없다. 따라서 철저한 사전 조사와 준비를 거쳐 불교TV가 영상 포교 매체의 장점을 활용하여‘불교영화제’를 개최한다면 상당한 성과를 기대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불교TV(BTN)가 불교영화제를 성공적으로 개최한다면 불교문화콘텐츠로서의 불교영화를 성장시켜 프로그램 콘텐츠 확보는 물론 종교방송사로서의 위상 강화에도 크게 기여 할 것으로 보인다.

      • 특집논문 : 산업적 활용을 위한 불교문화콘텐츠 기획

        이재수 ( Jae Soo Lee )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2006 전자불전 Vol.8 No.-

        본 논문은 현재 불교문화콘텐츠의 미래와 문화콘텐츠 산업의 축 면에서 불교문화콘텐츠의 기획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불교문화콘텐츠는 활용적인 가치도 매우 높은데, 일반인들에게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 확산, 교육적 활용적인 가치도 매우 높은데, 일반인들에게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 확산, 교육적 활용도 매우 높고, 외국인들에게도 문화상품으로 훌륭한 역할을 하여, 우리문화의 우수성을 전 세계에 홍보할 수 있다. 나아가 문화상풍으로서도 원 소스 멀티유즈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불교문화콘텐츠의 개발전략에서 콘텐츠 기획은 사용 가에게 콘텐츠라는 One Source를 Multi-use로 개발하는 것이 기획의 목적이다. 아울러 사용자 중심의 열린 콘텐츠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본 논의는 불교문화콘텐츠가 산업에 활용될 수 있는 방향으로 기획하는데 조금이 나마 이바지 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dict the future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and Planning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for Industrial Application.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is very broad and valuable. Educational applications, the expansion of people`s understanding of our culture and the introduction of Korean culture to foreign countries are all highly expected. Furthermore. One Source with Multiple-Uses as a cultural product is available. The ultimate purpose of planning Buddhist cultural contents lies in developing from one source contents into multi-use contents. At the same time development strategies should be focused on open access to contents for the sake of the user`s conveniences. I would like to dedicate myself to the Buddhist cultural contents which can reflect the true happiness way. the Buddhism.

      • KCI등재

        신흥 개발 도심의 불교문화콘텐츠 구성 방향 - 인천광역시 연수구를 예로 하여 -

        황충하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19 불교문예연구 Vol.0 No.12

        이 글은 인천광역시 연수구를 대상으로 최근 개발된 도심에서 불교 문화콘텐츠를 구성하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이 글에서는 먼저 연수구의 지역적 특성을 파악하여 연수구의 문화적 원형을 정리하고 그 안에서 발견되는 연수구의 불교적 문화원형을 찾는다. 이어서 이를 바탕으로 기존에 진행되고 있는 문화자원에 결합하여 새로운 스토리텔링을 구성함으로써 연수구의 불교문화콘텐츠 구성의 실례를 모색하고자 한다. 최종적으로 연수구가 신흥 개발 도심임을 상기하여 이러한 작업이 불교를 전면적으로 내세울 일이 아니라 일반 인문학의 범주에서 수용 가능한 맥락으로 구성해야 함을 밝히고자 한다. 연수구의 기본적인 문화원형인 바다와 백제를 바탕으로 인문학적 관점으로 불교문화콘텐츠를 구성한다면 과거의 역사와 현재의 국제교류가 담긴 현대적이고 국제적인 콘텐츠가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야말 로 송도국제도시를 품고 있는 연수구의 미래와 한국문화의 미래를 만들어가는 바탕이 될 것이다. In this article, we will look at ways to form Buddhist cultural contents in downtown areas that have recently been developed for training districts in Incheon.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first identifie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hydrangea, organizes the cultural archetypes of the hydroponics, and visits the Buddhist cultural archetypes of the hydrologic zones found in them. Based on this, the government plans to combine the existing cultural resources to form a new storytelling system to explore examples of the composition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in the area. Finally, reminding us that the training district is an emerging development center, this work should be composed of acceptable contexts in the categories of general humanities, not in the full term of Buddhism. If the Buddhist cultural contents are organized from a humanistic perspective based on the basic cultural prototype of the “Sea and Baekje,”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modern and international content that contains past history and current international exchanges. And that will be the basis for creating the future of the training districts and the future of Korean culture that harbor the Songdo international city.

      • KCI등재

        企劃 : 문화예술과 동양사상; 불교문화콘텐츠 개발과 스토리텔링

        윤종갑 ( Jong Gab Yun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0 동양문화연구 Vol.6 No.-

        본 논문은 오늘날 문화 산업에 있어 핵심 아이콘이라 할 수 있는 문화컨텐츠와 스토리텔링 개념들을 이해하고 이를 불교문화와 접목시킴으로써 불교문화컨텐츠를 어떻게 개발하고 발전시킬 것인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문화콘텐츠는 미디어나 기술을 전제로 하는 내용물이기는 하지만 그것을 디지털기술에만 국한시킬 필요는 없다. 아날로그 콘텐츠도 가능하며 문화적인 소재를 기획하고 포장하고 상품화 시킨 것도 얼마든지 문화 콘텐츠가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문화콘텐츠는 스토리텔링과 결부될 때에 그 효과가 극대화 되는데, 스토리텔링이란 이야기성·현장성·상호작용성이 강화된 표현 전달 행위를 지칭하는 것이다. 즉, 스토리 텔링은 객관적인 사실에 대한 단순한 보고가 아니라 사물이나 사람이 만들어내는 개인적인 의미를 이야기로 지어내어 말하는 것이다. 본질적인 의미를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는 과정에서 스토리가 개입되며 이를 엮어서 창조적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결국 스토리텔링이란 상대방에게 알리고자 하는 바를 재미있고 생생한 이야기로 설득력 있게 전달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불교문화콘텐츠 개발과 스토리텔링의 결합을 성백엽의 애니메이션 <오세암>(2003), 영화 주경중의 <동승>(2003)과 박철관의 <달마야 놀자>(2001)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불교의 문화유산으로는 팔만대장경과『삼국유사』가 불교문화콘텐츠 개발의 좋은 소재라 할 수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팔만대장경과 그리고『삼국유사』에 나타난‘이차돈의 순교’와 ``원효대사의 깨달음’을 스토리텔링의 기법에 의거해분석해 보았다. The study is about the u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the prototype of Buddhist culture as the creative elements of cultural contents storytelling by making it as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way how these subjects could be applied to the real cultural contents storytelling. Throughout this the concept and status of the overall cultural industry have been described to help understand the cultural storytelling itself and particularly presentation materials have been collected from the people in cultural contents storytelling for the use later in real cultural storytelling field. Also, an analysis has been conducted to understand the utilization process of cultural contents storytelling in worldwide markets. Buddhist contents and motifs in animations, movies and storytelling were observed and organized. And this article aims at researching strategy to adapt tales of Samgukyusa(Overlooked Historical Records of the Three Korean Kingdoms) for storytelling of cultural contents. Korean Buddhist culture can be considered as the treasure house of cultural contents resources and a comprehensive art refined over the past long years. Therefore, for the active development and industrialization of Buddhist culture contents, storytelling should be established and re-processed to create modem contents and continuous long term investment is required.

      • 산업적 활용을 위한 불교문화콘텐츠 기획

        이재수 동국대학교 전자불전연구소 2005 전자불전 Vol.8 No.-

        본 논문은 현재 불교문화콘텐츠의 미래와 문화콘텐츠 산업의 측면에서 불교문화콘텐츠의 기획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불교문화콘텐츠는 활용적인 가치도 매우 높은데, 일반인들에게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 확산, 교육적 활용도 매우 높고, 외국인들에게도 문화상품으로 훌륭한 역할을 하여, 우리문화의 우수성을 전 세계에 홍보할 수 있다. 나아가 문화상품으로서도 원소스 멀티유즈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불교문화콘텐츠의 개발전략에서 콘텐츠 기획은 사용자에게 콘텐츠라는 One Source를 Multi-use로 개발하는 것이 기획의 목적이다. 아울러 사용자 중심의 열린 콘텐츠를 지양해야 할 것이다. 본 논의는 불교문화콘텐츠가 산업에 활용될 수 있는 방향으로 기획하는데 조금이나마 이바지 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dict the future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and Planning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for Industrial Application.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is very broad and valuable. Educational applications, the expansion of people's understanding of our culture and the introduction of Korean culture to foreign countries are all highly expected. Furthermore, One Source with Multiple-Uses as a cultural product is available. The ultimate purpose of planning Buddhist cultural contents lies in developing from one source contents into multi-use contents. At the same time development strategies should be focused on open access to contents for the sake of the user's conveniences. I would like to dedicate myself to the Buddhist cultural contents which can reflect the true happiness way, the Buddhism.

      • 불교문화 콘텐츠의 개발현황

        조현철 동국대학교 전자불전연구소 2005 전자불전 Vol.7 No.-

        Culture can upgrade the national and local image, and is the best medium to gather many people in short time. Specially, buddhist culture has infinite power to move human mind such as bamboo ghost sweep the yard because of its originality and science. The excavation and preservation and popularity of buddhist culture establish the real form of nationality as well as being the past way to construct culture power Korea. In this paper, the following contents are reviewed and proposed to popularize and industrialize buddhist culture. First, the originality and science of our buddhist culture is reviewed. Second, the developmental present condition of Buddhist Culture Contents is reviewed. Third, the development and upgrade of Buddhist Culture Contents to consider consumer sensitivity is proposed. Fourth, the developmental environment of original Buddhist Culture Contents and the training specialist are proposed. 문화란 국가 및 지역의 이미지를 고급화시키고 많은 사람들을 단시간에 모을 수 있는 최고의 매개체이다. 특히 우리의 불교문화는 독창성과 과학성 때문에 마치 대나무 그림자로 마당을 쓸 듯이 우리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우리의 전통문화를 발굴하고 보존함을 넘어 대중화시킨다는 것은 민족의 정체성 확립뿐만 아니라 ‘문화강국 대한민국’을 건설하는 지름길임은 틀림이 없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