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向流컬럼浮選機에서 石炭灰의 크기 및 未燃炭素 含量이 分離特性에 미치는 영향

        이정은,이재근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0 資源 리싸이클링 Vol.9 No.6

        석탄회는 기포에 잘 부착되는 미연탄소 성분의 입자와 기포에 부착되지 않는 산화광물 성분의 입자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석탄회입자를 수중에 부유시킨 상태에서 기포를 발생시키면 미연탄소와 산화광물질 입자를 각각 분리할 수 있다. 분리된 이들 두 종류의 입자들은 건축용 재료, 화장품, 섬유 및 반도체의 충진제(Filler), 흡착제, 야금용 탄소 등과 같이 고부가가치 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부유선별법에 의해 구성된 향류컬럼부유분리장치를 이용하여 혼합입자인 석탄회 입자를 효율적으로 분리하고자 하는 것인데, 분리특성은 기포와 혼합입자의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 기포의 특성에 대한 연구는 장치의 설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선행연구에서 충분히 이루어졌으나 혼합입자의 특성에 따른 분리효율 평가에 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고 있다. 혼합입자인 석탄회가 분리에 미치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석탄회 입자의 질량중앙직경이 23, 95, 190$mu extrm{m}$일 때, 미연탄소의 함량이 7, 11, 20%일 때에 각각의 분리효율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급되는 석탄회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미연탄소 함량이 작을수록 분리효율이 증가하였다. 즉 포수제 투입량이 8$\ell$/ton-fa로 같은 조건에서 미연탄소 함량이 7%와 20%인 경우 분리효율은 각각 86%와 74%로 분석되었으며 질량중앙직경이 23$mu extrm{m}$와 190$\mu\textrm{m}$ 일 때 분리효율은 각각 74%와 39%로 분석되었다. 결국 석탄회에서 소수성인 미연탄소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분리효율은 감소하는 반면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기포와의 부착성능이 향상되어 분리효율은 향상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ta$/$\beta$/$\gamma$/$\alpha$/$\alpha$/$\beta$]r 배향각을 갖는 적층판을, 일반기술자들이 이해하기 쉬운 본 논문의 방법으로 해석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기술자들의 참고자료로 사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경우에 대한 고유진동수의 계산결과가 제공되고 있다. 고유진동수의 계산결과가 제공되고 있다. 사료된다.거나 둔화되는 것으로 분석된다.으로 분석된다..리학적 부하량이 2 $m^3$/$m^2$/min 일때, 2 kg 02 kg $O_2$/kW-hr의 가장 높은 표준에어레이션효율을 나타내었다. 위의 두 실험 결과에 따라 packed column 에어레이터에서 발포스티로폼 입자를 산소전달 매질로 이용하여 산소 전달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i, Cu, Y, Nb, La, Nd, Pb, Th in excess of 10 ppm. Relatively high amount of most trace elements were detected in the Hwangto. The major and minor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Hwangto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s of host rocks. However, their difference was in the similar range compared with the compositions of host rocks. electron acceptor triggers sensory transduction processes in B. japonicum.t Fly ash was composed of the unburned carbon and mineral particles. The former was able to attach on the bubbles, while the latter was not.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separate the unburned carbon and the mineral from fly ash using the froth flotation proces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separation efficiency as a function of the ny ash particle properties in the column flotation. Separation efficiency was analyzed for various size fraction of -38 fm,38~125 fm and 1125 W, and for various fly ash samples containing 7, 11, and 20 wt% unburned carbon. For the size fractions of -38 fm containing 7 wt% unburned carbon, separation efficiency was 86ft, whereas separation efficiency was found to be 74% for the size fraction of +125$\mu\textrm{m}$ containing 20 wt% unburned carb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separation efficiency increased with the decrease in the particle size and the unburned carbon content of the fly ash.

      • KCI등재

        끝나지 않은 철도 구조개혁 -상하분리를 중심으로 한 평가와 향후 정책방향-

        우윤석 ( Yoonseuk Woo ) 한국정책학회 2013 韓國政策學會報 Vol.22 No.2

        2015년 출범하는 수서발 KTX 운영과 관련하여 운영권을 민간에 위탁하여 경쟁체제를 도입함으로써 철도구조개혁을 완성해야 한다는 정부입장과 경쟁체제 도입이 결국 실패로 돌아갈 수밖에 없으므로 철도시설과 운영의 분리체계를 통합해야 한다는 코레일의 입장이서로 상반되고 있다. 논의의 핵심은 철도의 상하분리 정책을 제대로 완성해서 철도구조개혁의 당초 목적을 달성할 것인가 혹은 미완의 시도로 그치거나 중단해야 할 것인가라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유럽을 중심으로 도입된 상하분리 정책은 철도의 건설과 관리를 중심으로 한 시설과 열차운행을 중심으로 한 운영을 분리하여 운영부문에서는 신규사업자의 진입과 경쟁이 가능하도록 하자는 철도구조개혁 방안이다. 우리나라가 2004년에 구 철도청을 철도공단과 코레일로 분리한 이유도 상하분리 원칙을 받아들인 결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간 철도의 상하분리에 대한 이론적 논의가 많지 않았을 뿐 아니라 그 효과에 대한 경험적 연구도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의 철도 상하분리가 효율성 측면에서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지 경험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자료포락분석을 통해 국제비교를 시도한 결과 상하분리 도입 이전과 이후 모두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효율성을 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상하분리가 효율성을 저해하기 때문에 재통합해야 한다는 주장이 타당하지 않음을 반증하지만, 완전한 상하분리가 효율성을 더 높여줄 것이라는 것을 입증하기도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다만 높은 수준의 효율성이 독점체제의 유지에 의한 것이므로 상하분리의 본래 목적인 경쟁체제를 도입함으로써 단순한 비용효율성이 아니라 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제고할 수 있는가에 대해 지속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제한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Currently big debate is reopened about the way of management for Suseo-departing KTX due to start in 2015, arguing that whether it should be contracted-out to private operator to achieve more efficiency or it should be run by KORAIL after re-integrating infrastructure and operation. The heart of this conflict is related with effectiveness of vertical separation and thus specific question; do we need to complete railway reform by accomplishing vertical separation through introducing real competition or not? Vertical separation policy has been adopted by many European countries as a part of railway reform package to allow new entrance and competition to the operation sector separated from infrastructure sector which tends to be natural monopoly with enormous sunk cost. Following this, Korean government also separated former National Railroad Administration into KORAIL and KR in 2004. Until recently, however, neither there have been theoretic discussions nor empirical analyses to identify possible effectiveness of vertical separation. This study tackled the issue and revealed that Korean rail sector enjoys high level of efficiency both before and after separation through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international comparison. This conclusion proves against the notion that vertical separation should be re-integrated due to inefficiency of separation policy, but does not support either the notion that higher efficiency could be achieved through perfect separation. However, as higher level of efficiency came from monopoly system and is not related with higher level of service, it gives limited policy implication that reasonable way of introducing more competition should be reviewed further, which was original objective of vertical separation.

      • KCI등재

        유전체분리판 전기집진기의 도시철도 승강장 내 초미세먼지 제거 실증 평가

        김세훈,방주엽,이재근,박민찬,김창욱,김흥렬,김종원,김치광 한국도시철도학회 2020 한국도시철도학회논문집 Vol.8 No.4

        The concentration of ultra fine particles (PM2.5) inside the underground subway station is greatly affected by the outdoor PM concentration. It is necessary to remove ultra fine dust by installing an air purification facility with high dust collection efficiency and low pressure drop. In this study, an high efficiency electrostatic precipitator(ESP) with a dielectric separator is designed and evaluated. The dielectric separator can prevent short circuit between electrodes and improve the dust collection performance by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electric field and the dust collection area by electric polarization. The result of the demonstration facility installed at Busan Minam Subway station without replacing the fan motor of the existing air handling unit shows that about 40% of the concentration of PM2.5/PM10 in the platform is removed during the subway operation hours. The collected dust is automatically removed to be possible to use for a long time. 도시철도 지하역사 내 초미세먼지(PM2.5) 농도는 외기농도에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외기를 도입하는 공기조화기에 높은 집진효율과 낮은 차압 구조의 공기정화설비를 설치하여 초미세먼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지하역사에 설치된 공기조화기에 설치가 가능하고, 초미세먼지 제거효율이 높으며, 낮은 압력손실을 가지며, 자동세정이 가능한 유전체분리판 전기집진기를 개발하였고, 부산 미남역사에서 실증 설치하여 초미세먼지 제거 특성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전체 분리판은 전기집진기 내에서 전극 간 단락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기적 분극에 의해 전기장의 세기와 집진면적을 증대시켜 집진성능 향상이 가능하다. 부산 도시철도 미남역에서 공기조화설비의 팬모타 교체 없이 본 연구 개발품을 적용한 실증설비의 연구결과는 지하철 운행시간 중 승강장 내 PM2.5/PM10 농도의 약 40%가 제거되었으며, 포집된 먼지는 자동세정이 가능하여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였다.

      • Offshore Topside Separator 설계 인자 도출을 위한 아크릴 가시용 상압 다상분리장치의 분리효율에 관한 연구

        임동하,이진우,박경태,구윤장,박치균,이병돈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1

        해상의 유전 및 가스전 채굴 과정에서 생산되는 원유, 천연가스를 포함한 물과 모래 등의 다양한 성분들은 separator를 통해 분리과정을 거쳐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어 처리되며, separator로 유입된 다상의 혼합 유체를 보다 효율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separator 내부에 다양한 내장품을 설치하여 이들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성분 유체의 분리 현상을 가시적으로 볼 수 있도록 제작한 아크릴 재질의 상압용 다상분리장치에 in-let device, plate pack coalescer, wire mesh mist eliminator 등의 내장품을 장착하여 해상환경에 적합한 topside separator의 설계 인자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Separator 내로 유입되는 공급 유체 유량과 조성을 변화시키면서 기-액, 액-액 분리 효율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전산모사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고효율의 separator 설계 및 제작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화학적 항유화제에 의한 물/비튜멘 에멀젼의 분리특성

        박근익(Kunyik Park),한삼덕(Sam Duck Han),노순영(Soon Young Noh),배위섭(Wisup Bae),이영우(Young Woo Rhee) 한국청정기술학회 2009 청정기술 Vol.15 No.1

        비튜멘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화학적 항유화제에 의한 물/비튜멘 에멸젼의 분리를 연구하였다. 비튜멘 에멀젼을 모사하기 위해 모사물질로 엔진오일(GS Caltex Deluxe Gold V 7.5W/30, Hyundai gear oil 85W/140)과 아스팔트(AP-5, KS M 2201, ㈜동남유화)를 사용하여 예비실험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오일샌드로부터 추출한 비튜멘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예비실험으로 수행된 물/오일 에멀젼의 분리실험에서 항유화제를 첨가하지 경우 에멸젼이 분리되지 않았으며, 항유화제의 농도가 낮을 때 Hyundai 엔진오일은 GS Caltex 엔진오일보다 분리효율이 높았다. 그러나 GS Caltex 엔진오일에 비해서 분리효율의 증가율은 낮았다. Hyundai 엔진오일은 GS Caltex 엔진오일보다 점도가 높아서 물의 분산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HLB (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 값이 높을수록 분리효율이 높았으며, 사용된 항유화제 중 TWEEN 20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solution)이 가장 좋은 분리효율을 나타내었다. In this study, the separation of water/bitumen emulsion was investigated by chemical demulsification method. Motor oils (GS Caltex Deluxe Gold V 7.5W /30, Hyundai gear oil 85W/140) and asphalt (AP-5, KS M 2201, Dongnam Petrochemical MFG. Co.) were used as model oils in the preliminary experiments to effectively remove water from water/bitumen emulsion. The bitumen extracted from Canadian oilsands was used in this study. The water/oil emulsion was not separated without demulsifiers, and Hyundai motor oil showed higher efficiency of water separation at a low concentration of demulsifier compared with that for GS Caltex motor oil. However,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d, the efficiency did not rapidly increase compared with that of GS Caltex motor oil. It was highly speculated that the water phase of Hyundai motor oil was not dispersed well compared with that of GS Caltex motor oil because the viscosity of Hyundai motor oil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GS Caltex motor oil. The demulsifier of higher HLB (hydrophilic - lipophilic balance) value had high separation efficiencies in water/oil emulsion. The TWEEN 20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solution) showed better separation efficiency than other demulsifiers.

      • KCI등재

        Baermann Funnel법의 선충 분리 여과지 선발

        강헌일,은근,하지혜,이재현,김동근,김용철,최인수,Kang, Heonil,Eun, Geun,Ha, Jihye,Lee, Jaehyun,Kim, Donggeun,Kim, Yongchul,Choi, Insoo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5 No.4

        Baermann funnel법을 이용하여 비교적 선명한 선충 분리를 위해서는 Kimwipes 4매 정도를 여과지로 사용하여야 한다. 더욱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선충 분리용 여과지를 찾기 위하여 시판되고 있는 15개의 제품을 Kimwipes와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다. 선충 분리 효율 검정에는 Heterodera sp.의 유충, Meloidogyne sp.의 유충, Pratylenchus sp., Rhabditis sp., Acrobeloides sp., Panagrolaimus sp., Poikilolaimus sp. 그리고 Diplogasterida 등 8속의 선충을 이용하였다. 전체 선충 분리 효율은 42.0 - 88.8%로 나타났다. 1회 비용, 선충 분리 효율 그리고 선명도를 고려하였을 때, 선명도는 A이고 분리 효율은 69.4%로 Kimwipes 4장과 비슷하며(P=0.05), 비용은 50% 저렴한 국내 업체 모나리자 사의 Pulling Kitchen Towel 1매 사용이 가장 적합하였다. The Baermann funnel method requires approximately four Kimwipe tissues for research a nematode count under a stereo microscope. To select more efficient and economical nematode extraction paper for nematode extraction, 15 different kinds of tissue papers were tested and compared with Kimwipe tissues. Nematode species used in the extraction efficiency tests include juvenile (J2) of Heterodera sp., J2 of Meloidogyne sp., Pratylenchus sp., Rhabditis sp., Acrobeloides sp., Panagrolaimus sp., Poikilolaimus sp. and Diplogasterida. The extraction efficiency varied between 42.0 to 88.8%. Considering costs, extraction efficacy, and clarity, the Pulling Kitchen Towel (Monalisa Co., Korea) is the best tissue, with clarity A, isolation efficiency of 69.4%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Kimwipe 1 ply 88.8%), and 1/2 costs per isolation of Kimwipe 2 ply.

      • KCI등재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이동 싱크 그룹의 분리를 지원하기 위한 라우팅 프로토콜

        장재영 ( Jaeyoung Jang ),이의신 ( Euisin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6 No.1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구조 팀이나 군대의 소대처럼 이동 싱크 그룹에서 통신은 이동성을 제어하기 위해 새로운 도전 문제를 가져온다. 이를 위해, 이동 싱크 그룹을 지원해주기 위한 많은 연구가 제안되었다. 이동 싱크 그룹에서 이들은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따라 다수의 작은 그룹으로 분리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쟁에서 소대는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다수의 분대로 분리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전 연구들은 이동 싱크 그룹의 분리에 의해 발생되는 세가지 이슈를 다루지 않기 때문에 이동 싱크 그룹의 분리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없다. 첫 번째 이슈는 새로운 작은 이동 싱크 그룹을 위한 리더 싱크를 선정하는 것이다. 소스로부터 작은 이동 싱크 그룹까지 효율적을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두 번째 이슈이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이슈는 작은 이동 싱크 그룹들의 리더 싱크들 사이에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이러한 세가지 이슈를 해결하는 것에 의해 이동 싱크 그룹의 분리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첫 번째 이슈를 위해, 제안 프로토콜은 새로운 리더 싱크와 이전 리더 싱크 사이의 거리와 새로운 리더 싱크로부터 이것의 모든 멤버 싱크까지의 거리의 합이 최소가 되도록 새로운 작은 이동 싱크 그룹의 리더 싱크를 선정한다. 두 번째 이슈의 소스로부터 작은 이동 싱크 그룹까지의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해, 제안 프로토콜은 소스와 리더 싱크들의 위치 정보를 통한 계산을 통하여 소스로부터 작은 이동 싱크 그룹까지의 데이터 전송 거리를 최소화하기 위한 경로를 결정한다. 세 번째 이슈와 관련하여, 제안 프로토콜은 멤버 싱크들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리더 싱크들 사이에 효율적인 데이터 공유를 제옥하기 위한 리더 싱크들 사이의 멤버 싱크를 이용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제안 프로토콜이 이전 프로토콜에 비해 에너지 소비의 관점에서 우수함을 증명한다. Communications for mobile sink groups such as rescue teams or platoons bring about a new challenging issue for handling mobility in wireless sensor networks. To do this, many studies have been proposed to support mobile sink groups. When closely looking at mobile sink groups, they can be divided into (multiple) small groups according to the property of applications. For example, a platoon can be divided into multiple squads to carry out its mission in the battle field. However, the previous studies cannot efficiently support the division of mobile sink groups because they do not address three challenging issues engendered by the mobile sink group division. The first issue is to select a leader sink for a new small mobile sink group. The efficient data delivery from a source to small mobile sink groups is the second issue. Last, the third issue is to share data between leader sinks of small mobile sink groups. Thus, this paper proposes a routing protocol to efficiently support the division of mobile sink groups by solving the three challenging issues. For the first issue, the proposed protocol selects a leader sink of a new small mobile sink group which provide a minimum summation of the distance between the new leader sink and the previous leader sink and the distance from the new leader sink to all of its member sinks. For the efficient data delivery from a source to small mobile sink groups in the second issue, the proposed protocol determines the path to minimize the data dissemination distance from source to small mobile sink group by calculating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both the source and the leader sinks. With regard to the third issue, the proposed protocol exploits member sinks located among leader sinks to provide efficient data sharing among leaders sinks by conside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member sinks. Simulation results verified that the proposed protocol is superior to the previous protocol in terms of the energy consumption.

      • KCI등재

        미립 물질 제거를 위한 소형 사이클론 분리기의 이론적 연구 및 실험적 검증

        고한결(Han Gyul Ko),김홍석(Hong Seok Kim) 대한기계학회 2013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37 No.1

        사이클론 분리기는 제작이 쉽고, 경제적이며, 가혹한 환경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산업공정에서 미립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장비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사이클론의 복잡한 유동특성 때문에 입자를 분리하는 세부적인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이클론 분리기의 기하학적 특성과 유동 파라미터가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사이클론의 분리효율과 절단입경을 계산하기 위한 이론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론적 모델을 통해 예측한 분리효율과 절단입경은 0.5-30㎛ 의 입자에 대한 실험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또한 사이클론의 성능은 기하학적 특성과 유동 파라미터 뿐 아니라 표면의 마찰특성에도 현저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 cyclone separator has been widely used in various industrial processes for removing fine particulate matter because it is easy to fabricate, cost effective, and adaptable to extremely harsh conditions. However, owing to the complex flow field in cyclones, a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detailed mechanisms of particulate removal has not yet been gained. In this study, a theoretical analysis was performed for calculating the collection efficiency and cut-off size in cyclones by taking into account the effects of geometrical and flow parameters. The collection efficiency and cut-off size values predicted by the theoretical model showed good agreement with experimental measurements for particles with a diameter of 0.5-30 ㎛.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 surface friction, along with the flow and geometrical parameter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yclone performance.

      • KCI등재

        한정승인, 재산분리, 상속재산의 파산에 관한 입법론 -비교법의 관점에서-

        최준규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서울대학교 法學 Vol.60 No.2

        이 글에서 필자는 비교법 연구(독일, 프랑스, 스위스, 오스트리아, 캐나다 퀘벡주, 일본)를 토대로 한정승인, 재산분리, 상속재산 파산 제도에 관한 입법론을 검토하였다. 현행 제도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① 상속인이 상속여부 및 방법에 관하여 선택을 하기 전에 상속채무를 파악하기 어렵다. ② 상속인이 선택할 수 있는 상속방법이 다양하지 않다. ③ 상속재산과 상속인의 고유재산의 분리가 쌍방향으로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④ 한정승인에 따른 상속재산 청산은 효율과 공평의 관점에서 모두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자가 제안한 입법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적목록 작성 제도를 만들어 상속인이 선택권을 행사하기 전에 상속채무를 확인할 수 있게 하고, 상속인의 선택지도 늘린다. 둘째, 한정승인 제도와 재산분리 제도를 통합하여 평시 상속재산 청산제도를 만든다. 이는 상속재산이 채무초과가 아닌 경우 제3자가 상속재산을 분리⋅청산하는 제도이다. 셋째, 상속재산이 채무초과인 경우 상속재산 분리⋅청산은 상속재산 파산절차로 일원화한다. 넷째, 현행 상속재산 파산절차의 미비점을 보완한다. 보완할 내용으로는 상속인의 채권자에게 파산신청권 부여, 간이한 상속재산 파산절차 신설, 완전하고 자동적인 재산분리 효과 인정 등이 있다. 다섯째, 상속인이 선택권을 행사할 수 있는 기간 동안 상속채권자의 집행권원 취득을 금지하고, 상속인의 채권자의 강제집행도 금지한다. 다만 상속채권자와 상속인의 채권자의 보전처분은 허용한다. In this article, I reviewed the legislation on the heir’s qualified acceptance of succession, separation of inherited property, bankruptcy procedure of inherited property based on the comparative studies(Germany, France, Switzerland, Austria, Canada Quebec, Japan). The current Korean system has the following problems. ① It is difficult for the heir to identify the inheritance debt before he or she chooses whether or not to inherit and how to inherit. ② There are not so many types of the inheritance that the heir can freely choose according to his or her preferences. ③ The separation of the inherited property and the heir’s property is not symmetrical and thorough. ④ The liquidation of inherited property according to the heir’s qualified acceptance of succession has many problems both in terms of efficiency and equit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 proposed the following amendments. First, it is desirable to create the public inventory system to help the heir identify the inheritance debt before choosing the inheritance form. This system can also increase the heir’s options. Second, we need to integrate the heir’s qualified acceptance of succession and the separation of inherited property to create the new liquidation system of inherited property. This is a system in which the third party liquidator separates and liquidates the inherited property only when the inherited property is not over-indebted. Third, if the inherited property is over-indebted, the liquidation process of the inherited property should be unified into the bankruptcy procedure. Fourth, the deficiencies of the current bankruptcy procedure of the inherited property should be improved. Some of these improvements include giving the creditors of the heir the right to file for bankruptcy, establishing a simple and inexpensive bankruptcy procedure, and recognizing the effect of separation of two properties (the inherited property and the heir’s property) fully and automatically. Fifth, during the period in which the heir can exercise his option about inheritance, the inheritance creditors should be prohibited from acquiring the execution title against the heir, and the execution of the heir’s creditors should also be prohibited.

      • KCI등재후보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한 풍력 선별기의 선별효율 연구

        이건주 유기성자원학회 2013 유기물자원화 Vol.21 No.3

        In this study,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wind power selector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 of the air to perform gravity separation method) of municipal solid waste which was landfilled was investigated to reduce amount of waste that is designed to increase the recycling rate of wastes for the ANSYS CFX Program's numerical methods with wind through the separator. When a suction device designed to suction 1000mL of a plastic bag, the separation efficiency was 100% and when the wind speed was 0.9 m /sec or more and when the wind speed was 1.6 m / sec or more, the efficiency of plastic bottles in a mixture of 500mL and 1500mL plastic bottle waste was 100% and the aluminum screening efficiency of 250mL aluminum can was 100 % when the wind speed was 2.3 m / sec. In the last, 5mm thick compressed aluminum can efficiency was 90 % when the wind speed was 2.4 m / sec. 본 연구는 생활폐기물 처리에서 매립되는 폐기물량을 줄이고 재활용비율을 늘리기 위하여 고안된 풍력선별기 (공기의 흐르는 방향을 이용하여 공기 중에서 비중분리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ANSYS사의CFX Program을 이용한 수치 해석적 방법을 통해 풍력선별기의 모형을 설계 및 제작하고 시뮬레이션을통해 풍력에 따른 폐기물의 분리 효율을 고찰하였다. 흡입장치에서 비닐봉지 1000mL를 흡입하도록 설계할 때 입구 풍속은 0.9 m/sec 이상에서 100%효율을 얻을 수 있었고 1.6 m/sec 이상에서 의 플라스틱병500mL 와 플라스틱병 1500mL의 혼합 폐기물 효율의 100 % 알루미늄 250mL 선별 효율은 2.3 m/sec 이상에서 100% 마지막으로 알루미늄 250mL를 5mm 두께 압축 선별 효율은 2.4 m/sec 이상에서 90% 임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