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漢江·錦江流域 原三國~百濟 漢城期 鐵器 副葬樣相의 變化 硏究

        성수일(Seong, Su-Il) 중앙문화재연구원 2017 중앙고고연구 Vol.0 No.23

        본고는 한강·금강유역 원삼국~백제 한성기까지 분묘에서 확인되는 철기의 부장양상의 변화와 지역별 특징 파악을 위해 지역별·시기별 양적 변화양상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시기 부장철기의 변화상은 총 5기에 걸쳐 이루어지며, 이는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농·공구류의 부장량이 높게 나타나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원삼국에서 백제화 되는 영향에 따라 농업 생산이 집중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일부 무기류의 출토량이 높은 지역은 원삼국에서 백제로 정치체의 변화과정 속에서 전쟁참여 집단이 다수 존재했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마구류와 철정과 같은 경우는 특정지역에서만 한정되어 출토되는 경향을 보인다. 마구류와 같은 경우는 군사체계의 변화를 기반으로 4세기 후반부터 급증하며, 철정은 철생산 관련 집단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부장철기의 특징으로는 지역별·시기별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인 부장패턴은 유지하고 있다. 한편 묘제에 따라 부장패턴의 변화상이 관찰되며, 영남지역과 비교할 때 박장화의 경향이 관찰된다. 본고에서 대상이 되는 한강·금강유역은 마한과 백제의 고지에 해당하며, 정치체의 변화에 따른 부장양상과 형태적 변화상이 활발히 이루어진 곳이다. 즉 시기성을 반영한 사회적 변화상과 함께 철기의 제작기술 및 형태의 발전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quantitative changes in regional and temporal patterns in the ironware structure as burial goods found in the tombs from Proto-Three-Kingdoms to the Baekje Hanseong period in the Han River/Geum River Basin. Changes in the ironware as burial goods during this period take place over five stages, and they differ by region. Generally, there is greater amount of agricultural and manufacturing tools, due to the concentration of agricultural production in accordance with the influence of Baekje government. The regions with high quantity of weaponry imply a large number of war participation groups in the process of political changes from the Proto-Three-Kingdoms to the Baekje period. Harnessry and iron chisels are discovered in limited cases. Harnessry increases in the late 4th century based on the changes in the military system; iron chisels are thought to be associated with ironware production groups. Although there are regional and temporal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rial ironware, the basic burial patterns are maintained. Changes in the burial patterns are observed depending on the burial types, and there is a tendency of the valuation when compared with the Yeongnam region. The Han River/Geum River Basin covered in this article corresponds to the highlands of Mahan and Baekje, and is the place where the changes in the political structure and the changes in the burial patterns co-occur. In other words,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forms of ironware have accompanied the social changes reflecting different periods.

      • KCI우수등재

        신라 고분의 착장 이식에 따른 부장 양상 차별화와 그 의미

        하대룡(Ha, Daeryong) 한국고고학회 2020 한국고고학보 Vol.0 No.114

        본고에서는 부장 양상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고총기 신라 고분의 피장자가 착장한 세환이식과 태환이식의사회적 의미 규명을 시도하였다. 세환이식과 태환이식은 그간 착장자의 성별 지표로 여겨졌지만, 관련 자료의축적을 통해 그렇지 않음이 드러나, 이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대안적인 설명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피장자에게 기대된 사회적 역할이 부장품에 일정 부분 반영되어 있다는 관점에서, 세환군과 태환군의 토기와철기의 부장 양상이 어떻게 같고 다른지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해석하는 것을 연구 방법으로 하여 이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착장 이식이 식별 가능한, 출토 유물이 전량 보고된 낙동강 이동 각지의 신라 고분 64 기를 분석 대상으로 선택하고, 거기서 출토된 토기 6,675점과 철기 5,874점을 각각 12개 기종과 18개 기물로 분류한 다음, 양자의 부장 양상 차이를 출토 수량과 비율, 주성분 분석 등을 활용하여 통계적으로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토기의 경우 전체 부장 수량과 기종별 출토율에서 양자 간 차이를 찾을 수 없어 토기의 부장양상을 결정하는 데 있어 이식이 중요한 기준이 아니었음이 드러났다. 반면 철기의 경우 세환군이 전반적인출토량에서 태환군을 압도하였으며, 특히 무기류의 출토율과 수량에서 그러하였다. 반면 태환군은 철기 부장량이 열세인 가운데 기경구적 성격의 농구류 등에서 세환군보다 출토율이 높았다. 세환군에 배타적으로 장식대도가 부장되고, 태환군에는 성시구·등자· 갑주가 부장되지 않는다는 기존 연구 결과와 종합할 때, 세환군의부장품 구성에는 일관적으로 무기류를 비롯한 군사력과 관련된 성격의 유물이 강조되었고, 반면 태환군에는최상위층의 예외가 있으나 일관되게 무기류의 부장이 기피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부장 양상에서, 세환이식과 태환이식은 사회 복합화 과정에서 나타난 신라 엘리트의 평면적 분화를 함의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양자의 분화는 경제력과 무력을 바탕으로 하는 세속적 권력과, 이념을 바탕으로하는 종교적 권력의 상보적 분장(分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착장위세품과 무구· 마구, 그리고철기류의 차별적 부장은 그들이 분장한 권력의 성격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이러한부장 경향이 중앙과 지방의 고분에서 사실상 동일한 양태로 반복된다는 점에서, 신라권 고분 전체가 중앙에서 파급된 사회적 질서에 바탕한 동일한 부장 규범을 공유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ocial implications of Silla earrings. They consist of two specific types − Thick Hollow Earrings (THE) and Thin Solid Earrings (TSE) − which can be used to distinguish two elite groups. They were generally considered to have represented the gender of the wearer but recent osteological analysis has acted to refute this hypothesis. Therefor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lternative social meanings of the earrings, statistical analysis was undertaken on 64 Silla tombs and their 12,000 artifac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 that the TSE-group and THE-group demonstrate no specific difference in the quantity and types of earthenware. On the other hand, a fundamental difference could be observed in the quantity and variety of ironware. The TSEgroup has more ironware and is more varied, particularly in the case of weaponry. The THE-group has less ironware overall, but greater numbers of more plowing iron tools (shovel edges, plows, etc). Based on these results and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which established that the TSE-group is exclusively buried with iron swords, armor and stirrups,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they were elites with extensional, secular authority. The THE-group, maintaining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the TSE-group, is believed to have been elites with ideological, religious authority. This suggests that the Silla elites had been segmented into two major groups that maintained two different types of power, in the process of increasing social complexity. It is also noted that THE-TSE segmentation and their discriminative grave goods assemblages can be observed in all parts of the Yeongnam Province, which suggests that in the process of state formation, the peripheral, newly annexed regions were also coerced into adopting Silla’s distinctive form of social order.

      • KCI등재

        종장판갑(縱長板甲) 부장의 다양성과 의미 - 부산 복천동 164·165호분 출토 자료를 중심으로 -

        이유진,Lee, Yu Jin 국립문화재연구원 2011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4 No.3

        부산 복천동고분군은 4~5세기를 중심연대로 하는 삼국시대 무덤으로 종장판갑이 다량 출토한 고분군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2006년 복천동 고분 구릉의 동쪽 사면 말단부에 축조된 164 165호분에서 종장판갑 2령이 추가로 조사되었다. 본고에서는 보존처리가 완료된 종장판갑 2령의 내용을 정리하고, 기존 종장판갑 부장 유구와의 비교검토를 통해 4세기대 종장판갑 부장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164 165호에서 출토된 종장판갑은 제작기술 속성을 기준으로 IIa형식(型式)인 경주 울산식 판갑으로 분류되며, 종장판갑편년 3단계 중 II단계의 이른 시점으로 편년된다. 부장양상을 살펴보면, 동단계에 속하는 구릉 정상부의 대형분에서는 종장판갑이 2령 이상 복수로 부장되지만, 164 165호에서는 1령씩 단수 부장된다. 따라서 복천동에서 경주 울산식 판갑(I IIa식)이 부장되는 단계에는 분묘의 규모에 따라 부장되는 종장판갑의 수량에 격차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종장판갑은 지금까지 복천동 고분 구릉 정상부에 위치한 대형무덤에 부장되고 있어 상위계층의 전유물로 생각되어 왔지만, 164 165호분과 같이 무덤의 입지, 규모, 부장유물의 양과 질적인 면에서 중소형분에 속하는 분묘에서도 종장판갑이 부장된 사실이 확인되었다. 164호분은 장단축비가 1:3 이상인 세장방형 목곽묘로 갑옷 및 유구의 형태, 부장유물의 배치 상태 등에서 경주 구정동 3호분, 사라리 55호분 등과 같은 소위 경주식 목곽묘로 볼 수 있다. 반면 부장 토기의 양상은 소위 금관가야식 토기라 불리는 김해지역 토기와 공통되는 점이 주목된다. 4세기대 복천동고분군에서는 분묘의 입지, 규모, 종장판갑의 부장 수량 등에서 분묘간의 격차가 확인된다. 하지만 종장판갑의 부장유무만으로 분묘간의 계층성을 논하기 어려우며, 종장판갑의 부장이 곧 군사력의 장악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하기는 곤란하다. 164호분의 양상에서는 판갑 부장의 지역성, 복천동 분묘의 계층성에 대해 유추해 볼 수 있다. The ancient tombs found in Bokcheon-dong, Busan originate from the time between the $4^{th}$ and $5^{th}$ centuries, the period of the Three Nations. They are known as the tombs where the Vertical Plate Armour was mainly buried. In 2006, two units of the Vertical Plate Armour were additionally investigated in the tombs No.164 and No.165 which had been constructed at the end of the eastern slope near the hill of the group of ancient tombs in Bokcheon-dong. Throughout this study, the contents of the two units of the Vertical Plate Armour, whose preservation process has been completed, have been arranged, while the group of constructed ancient tombs in Bokcheon-dong from the $4^{th}$ century has been observed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the burial pattern. The units of the Vertical Plate Armour from the tombs No.164 and No.165 can be classified as the IIa-typed armor showing the Gyeongju and Ulsan patterns, according to the attribute of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Also, they can be chronologically recorded as those from the early period of Stage II among the three stages regarding the chronological recording of the Vertical Plate Armour. While more than two units of the Vertical Plate Armour were buried in the largesized tomb on the top of the hill of the group of ancient tombs, one unit of the Vertical Plate Armour was buried in the small-sized tomb. By considering such a trend, it can be said that in the stage of burying the armor showing the Gyeongju and Ulsan patterns (I-type and IIa-type), different units of the Vertical Plate Armour were buri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omb. However, as the armor showing the Busan pattern (IIb-type) was settled, only one unit was buried. Meanwhile, the tombs No.164 and No.165 can be included in the wooden chamber tomb showing the Gyeongju pattern, which is a slender rectangular wooden chamber tomb with the aspect ratio of more than 1:3. However, according to the trend shown by the buried earthenware, it can be said that there seem to be common types and patterns shared with the earthenware which has been found in the area of Gimhae and is called the one showing the Geumgwan Gaya pattern. In other words, there seem to be close relationships between the subject tombs and the tomb No.3 in Gujeong-dong and the tomb No.55 in Sara-ri, Gyeongju, regarding the types of armor and tombs and the arrangement of buried artifacts. However, the buried earthenware shows a relationship with the areas of Busan and Gimhae. By considering the combined trend of the Gyeongju and Gimhae elements found in one tomb,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the group of constructed ancient tombs in Bokcheon-dong used to be actively related with both areas. It has been thought that the Vertical Plate Armour used to be the exclusive property of the upper hierarchy until now, since it was buried in the large-sized tomb located on the top of the hill of the group of ancient tombs in Bokcheondong. However, as shown in case of the tombs No.164 and No.165,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Vertical Plate Armour was also buried in the small-sized tomb in terms of such factors as locations, sizes, the amount of buried artifacts and the qualitative aspect.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discuss the hierarchical characteristic of the tomb just based on the buried units of the Vertical Plate Armour. Also, it is difficult to assume that armor used to symbolize the domination of the military forces. The hierarchical characteristic of the group of constructed ancient tombs in Bokcheon-dong from the $4^{th}$ century can be verified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size of each tomb. As are sult, the re seem to be some differences regarding the buried units of the vertical plate armour. However, it would be necessary to carry out amore multilateral examination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e burial of the vertical plate armour could be regarded as the artifact which symbolizes the status or class of

      • KCI등재

        고구려 토기의 부장양상과 토기에 반영된 사회적 배경

        이승미(李升美) 고구려발해학회 2017 고구려발해연구 Vol.59 No.-

        고분에서 출토된 토기는 부장용 토기로, 고구려 고분에서 출토된 토기는 대부분이 실용기보다 크기가 작은 명기이다. 고구려에서는 구형호와 심발이 기본적인 부장용 기종이며 4세기가 되면 기종이 다양해지는데, 이는 무덤은 죽은 자의 집이라는 중국의 사후 관념에서 생긴 횡혈식 묘제가 사용되면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되며, 실생활에서 필요한 기본적인 토기를 부장하던 것을 넘어 다양한 토기를 부장한다. 고구려는 지역과 시기에 따라 부장 토기의 출토 기종 및 조합에 차이가 나타난다. 구형호와 심발이 기본 조합으로 사용되며, 이 기본 조합을 비롯한 일정한 토기 조합은 4세기에 정형화된다. 여기에는 식생활이 축약, 내포된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토기 조합의 정형성은 6세기 이후가 되면 사라진다. 지역에 따라 다른 유역에서는 확인되지만 특정 1개 유역에서 확인되지 않는 토기 기종이 존재한다. 혼하 · 태자하 유역에서는 장동호가, 대동강 · 재령강 유역에서 심발, 임진강 · 남한강 유역에서는 완이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생활 유구에서는 유역에 상관없이 장동호와 심발, 완이 모두 출토되어, 지역에 따라 사용되는 기본적인 부장 용기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세기 이후가 되면 고분에 부뚜막형 토기 등의 모형토기와 시유도기가 등장한다. 이는 횡혈식 묘제와 함께 들어온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그간 한과 낙랑에서 지속적으로 유입되었던 이주민에 의한 것이다. 고구려의 전통 묘제가 아니었던 횡혈식 묘제가 4세기부터 적극적으로 사용된 배경에는 고구려의 왕권과 관련한 정치적 의도가 깔려있는 것으로 보인다. 모형토기와 시유도기는 고구려로 유입되면서 고구려화되어 위세품의 성격으로 사용되었다. 고분 출토 토기를 통해 당대 사람들의 가치관과 그에 따른 부장양상을 알 수 있었으며, 당시 유입된 외래의 문화 요소를 파악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삼국시대 경주지역 고분 출토 대금구의 부장양상 검토

        김재열(Kim, Jae-yul) 신라사학회 2014 新羅史學報 Vol.0 No.32

        대금구는 신라 고분에서 출토되는 귀금속제 장신구 중 하나다. 그에 착안해 이 글에서는 대금구가 실제 고분에 부장된 위치와 성격 그리고 부장 유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대금구의 고분 부장 위치는 주피장자 허리 부위, 머리측 부장칸, 석단, 목곽 상부 등이다. 허리 부위의 대금구는 주피장자 착장품으로 망자의 성복 의례품이다. 머리측 부장칸 대금구는 망자 생전의 소유품이 부장되었다. 목곽 상부에 부장된 대금구는 순장자의 유품 등이다. 대금구 부장 위치와 방식에 따른 부장 유형은 A류(주피장자 허리 착장) , B류(주피장자 허리·머리측 부장칸), C류(주피장자 허리·머리측 부장칸·목곽 상부 등)로 구분된다. A~C류로 가며 대금구 부장이 다양해지며 주피장자의 위계성이 반영되었을 것으로 추론된다. 금제 대금구는 C류에만 확인된다. 그중 영락 달린 금제 대금구는 일상품으로 적절하지 않은 구조며, 공반된 대금구 가운데 늦은 시기 제작품인 관계로 망자 사망 즈음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다. 공교롭게 영락이 달린 금제 대금구는 금관과 공반되며 금관 또한 장례 전용품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해 본 글은 영락 달린 금제 대금구는 금관처럼 망자의 盛服을 위해 제작된 부장 전용품일 견해를 제시한다. Belt ornament is one of jewelry of precious metals in the ancient Silla. Research on belt ornament concentrated on understanding of origin, system, transition and era. Research on belt ornament burial aimed to determine relics compounding and then, to grasp political and social nature of the owner of an ancient tomb. Belt ornament is relics excavated from ancient tombs but review on burial aspect was insufficient. This writing investigates location, mode, process and burial aspect of belt ornaments buried in an ancient tomb. Burial location of belt ornaments is waist part of the tomb owner, the owner’s head side space, stone platform, upper part and lower part of wooden coffin. The belt ornament excavated from waist part was wearing item which was mourning ceremony dress of the owner. The belt ornament in head side burial space was item during life of the owner. The belt ornament buried in upper part of wooden coffin was memento of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and the belt ornament buried in lower part of wooden coffin was ceremonial item of tomb construction unrelated to the tomb owner. Burial patterns of belt ornaments are pattern A (wearing on waist of the tomb owner), pattern B (wearing on waist of the tomb owner+head side burial space) and pattern C (wearing on waist of the tomb owner + head side burial space+upper part of wooden coffin). Pattern A~C was outcome of status of the tomb owner and diversified ceremony. Golden belt ornament is seen from pattern C only. Golden belt ornament had decorations so that it is not suitable as daily item. In addition, it is a product made in the latest period among belt ornaments excavated at the same time. It might be manufactured at the time when the tomb owner died. Golden belt ornament with decorations was buried with a gold crown. There is a view to consider the gold crown as an item for exclusive use of funeral. Taking consideration of this view, the golden belt ornament is an item for exclusive use of funeral to be buried for the tomb owner like a gold crown.

      • KCI등재

        고령 지산동고분군 출토 철제농구에 대한 연구 -석곽묘를 중심으로-

        강석범 ( Seok Beom Kang ) (재)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11 文物硏究 Vol.- No.19

        고대에 있어서 철이라는 소재는 일반적으로 권력과 부를 상징하는 주요한 요소 중 하나로 인식되어 왔으며 사회변동의 동인(動因) 중 하나로 큰 역할을 해왔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철을 소재로 제작된 농구 중 대가야의 중심지로 생각되는 고령 지산동고분군 자료를 대상으로 그 부장양상을 검토하고 기존연구에서 대가야권역에서만 확인되는 축소모형농구의 부장현상을 살피고자 한다. 자료의 검토결과 지산동고분군의 철제농구 부장은 대가야권역이라는 지역적 특성에 부합하듯 다른 지역과는 달리 축소모형농구가 다량 부장되고 있다. 일반농구와는 다른 인식하에 제작되고 부장된 축소모형농구의 부장양상을 살펴보았을 때 이는 백제지역과 관련한 전통적인 부장습속으로 5세기 중엽을 전후로 대가야 세력의 팽창과 관련해 발전한 것으로 보여진다. 대가야가 활발히 세력을 확대해나가던 5세기 중엽 집중적으로 부장되는 축소모형농구는 6세기 중엽 신라에 의한 병합을 전후로 한 시기까지 그 명맥은 유지되었다. Iron has been always in the centre of the social power and wealth in the ancient time. But iron also plays such an important role to change the society. In this work, therefore, iron agricultural wares found from Jisan-Dong Tombs sites were chosen to be analys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ways of burial and findings of small-sized tools. As a result, small-sized tools were found in this tomb site whereas no other areas found in these kind of tools. When it comes to think about the small-sized tools, they were traditional way of burial and also normal agricultural tools were also buried together. This tradition in connection with Beakje seemed to be oriented from the strong influence of Dae-Gaya in the middle 5th century. After Dae-Gaya was dominated by Silla in the middle 6th century, small-sized tools were still buried but the entire numbers were fallen compared to the 5th century.

      • KCI등재

        동물 부장양상을 통해 본 북흉노의 매장습속 —몽골지역을 중심으로—

        장윤정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12 文物硏究 Vol.- No.2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animal bones were buried in the tombs of Mongolia and Inner Mongolia in China, determining whether the burial styles of animal bones found in those tombs, which has been just deemed one of nomadic burial customs, were actually what were applied by the Huns as an ancient nomadic tribe.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burial styles of animal bones excavated from the tombs of Mongolia and Inner Mongolia varied according to where those tombs had been formed. According to the kinds of animal bones, those tombs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those located in the east and west of Arhangai Aimag. In the west, more specifically, animal bones found in the Huns tombs were mostly from sheep, which were in more cases combined with goat bones. Most containers excavated from the tombs also had sheep bones inside. In the east, while, the kinds of excavated animal bones varied in accordance with where the Huns tombs were formed or what remains were associated with those tombs. Nevertheless, most of those bones were still from sheep, which were found combined with cow or horse bones. Containers from the tombs usually had a mixture of sheep, horse and cow bones inside. In the Huns tombs of Mongolia, animal bones were in most cases found inside the tomb hollow, followed by in the space of the dead body's burial or his or her belongings' burial, inside the container, inside the walls of the tomb hollow and in the stone mound or topsoil of the tomb in order. In the Huns tombs of Inner Mongolia in China, while, animal bones were mostly found in the space of the dead body's burial or his or her belongings' burial. Therefore, placing animal bones inside the walls of the tomb hollow or putting them in the container may be regarded as one of the characteristics that the Huns tombs of Mongolia had. The tombs where animal bones were found generally had Chinese bronze mirrors inside. Accordingly, the period when regions having those forms made exchanges with China could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Key regions that maintained relationships with China from the first to third stages were Akhangai Aimag and Bulgan Aimag. While, it was the second stage when Tov Aimag emerged as another mainstream in relationships with China. 몽골지역을 대상으로 동물 부장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이제까지 막연하게 유목민의 매장습속으로 규정되어 오던 동물 부장양상이 유목민의 한 족속인 흉노 내에서 동일한 형태로 행해지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동물 부장이라는 커다란 카테고리 안에서도 지역별 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동물 뼈 출토상태를 근거하면 지역적으로 아르항가이 아이막지역을 중심으로 크게 동쪽과 서쪽으로 나눌 수 있다. 즉, 서쪽은 개 뼈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 또한 羊이 중심을 이루며 羊과 말(馬)은 1개체 분을 전부 활용하고 있다. 그리고 음식물의 성격이 강한 容器 안에 羊을 매납하고 있다. 그에 반해 동쪽은 개 한 마리가 부장되고 있다. 각 지역별, 혹은 유적별 다양성을 나타내지만 羊을 중심으로 하는 것은 동일하며 소(牛) 혹은 말(馬)을 조합하고 있다. 容器 안에도 羊을 포함한 말(馬), 소가 확인되고 있다. 동물의 부장위치를 보면 묘광내부→ 매장주체부, 부장공간→ 容器 안→ 묘광 벽 안, 지표면 적석 혹은 표토 順으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어 대체적으로 묘광내부, 매장주체부, 부장공간 등을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가운데 묘광 벽을 다시 파서 안에 공간을 만들어, 혹은 容器 안에 동물을 부장하는 것은 몽골지역 흉노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동반유물 중 중국제 청동거울에 주목하여 시기를 3단계로 나눌 수 있다. 각 시기별에 따른 중국과의 관계는 1단계부터 핵심을 이루고 있던 아르항가이와 볼간 아이막지역이 3단계까지 그 세력을 유지하며 투브 아이막지역은 2단계부터 등장하여 합세하고 있다.

      • KCI등재

        동물 부장양상을 통해 본 북흉노의 매장습속 -몽골지역을 중심으로

        장윤정 ( Yoon Chun Chang )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12 文物硏究 Vol.- No.22

        몽골지역을 대상으로 동물 부장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이제까지 막연하게 유목민의 매장습속으로 규정되어 오던 동물 부장양상이 유목민의 한 족속인 흉노 내에서 동일한 형태로 행해지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동물 부장이라는 커다란 카테고리 안에서도 지역별 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동물 뼈 출토상태를 근거하면 지역적으로 아르항가이 아이막지역을 중심으로 크게 동쪽과 서쪽으로 나눌 수 있다. 즉, 서쪽은 개 뼈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 또한 羊이 중심을 이루며 羊과 말(馬)은 1개체 분을 전부 활용하고 있다. 그리고 음식물의 성격이 강한 容器 안에 羊을 매납하고 있다. 그에 반해 동쪽은 개 한 마리가 부장되고 있다. 각 지역별, 혹은 유적별 다양성을 나타내지만 羊을 중심으로 하는 것은 동일하며 소(牛) 혹은 말(馬)을 조합하고 있다. 容器 안에도 羊을 포함한 말(馬), 소가 확인되고 있다. 동물의 부장위치를 보면 묘광내부→ 매장주체부, 부장공간→ 容器안→ 묘광 벽 안, 지표면 적석 혹은 표토 順으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어 대체적으로 묘광내부, 매장주체부, 부장공간 등을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가운데 묘광 벽을 다시 파서 안에 공간을 만들어, 혹은 容器 안에 동물을 부장하는 것은 몽골지역 흉노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동반유물 중 중국제 청동거울에 주목하여 시기를 3단계로 나눌 수 있다. 각 시기별에 따른 중국과의 관계는 1단계부터 핵심을 이루고 있던 아르항가이와 볼간 아이막지역이 3단계까지 그 세력을 유지하며 투브 아이막지역은 2단계부터 등장하여 합세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animal bones were buried in the tombs of Mongolia and Inner Mongolia in China, determining whether the burial styles of animal bones found in those tombs, which has been just deemed one of nomadic burial customs, were actually what were applied by the Huns as an ancient nomadic tribe.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burial styles of animal bones excavated from the tombs of Mongolia and Inner Mongolia varied according to where those tombs had been formed. According to the kinds of animal bones, those tombs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those located in the east and west of Arhangai Aimag. In the west, more specifically, animal bones found in the Huns tombs were mostly from sheep, which were in more cases combined with goat bones. Most containers excavated from the tombs also had sheep bones inside. In the east, while, the kinds of excavated animal bones varied in accordance with where the Huns tombs were formed or what remains were associated with those tombs. Nevertheless, most of those bones were still from sheep, which were found combined with cow or horse bones. Containers from the tombs usually had a mixture of sheep, horse and cow bones inside. In the Huns tombs of Mongolia, animal bones were in most cases found inside the tomb hollow, followed by in the space of the dead body`s burial or his or her belongings` burial, inside the container, inside the walls of the tomb hollow and in the stone mound or topsoil of the tomb in order. In the Huns tombs of Inner Mongolia in China, while, animal bones were mostly found in the space of the dead body`s burial or his or her belongings` burial. Therefore, placing animal bones inside the walls of the tomb hollow or putting them in the container may be regarded as one of the characteristics that the Huns tombs of Mongolia had. The tombs where animal bones were found generally had Chinese bronze mirrors inside. Accordingly, the period when regions having those forms made exchanges with China could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Key regions that maintained relationships with China from the first to third stages were Akhangai Aimag and Bulgan Aimag. While, it was the second stage when Tov Aimag emerged as another mainstream in relationships with China.

      • KCI등재

        섬진강유역 지석묘의 전개과정

        황재훈(Hwang, Jaehoon) 한국상고사학회 2012 한국상고사학보 Vol.75 No.-

        동복ㆍ주암댐 수몰지구, 호남고속도로 및 지방도 확포장구간내 문화유적에 대한 조사에서는 모두 44군집 520여기의 지석묘가 발굴되어 섬진강유역 지석묘문화의 시공간적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제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무덤 형식과 변이, 편년자료 확보의 취약성 등의 한계로 인해 지금까지 체계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무덤의 입지와 배치, 형식, 부장유물과 양상 등의 종합적 분석을 통해 섬진강유역 지석묘의 전개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섬진강유역의 지석묘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묘역시설, 지석, 매장주체부 등의 세부 구조가 상호연동하면서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무덤의 형식과 출토유물의 시간성에 기초하여 볼 때, 섬진강유역의 지석묘문화는 크게 3단계에 걸친 계기적인 전개과정을 갖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Ⅰ단계 지석묘는 대부분 보성강중류역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되는데 주로 하천가의 충적평지와 구릉대지상에 입지하며 강의 흐름에 따라 열상으로 배치된다. 무덤의 형식은 평면 장방형과 타원형의 묘역부가 시설된 지하 석곽형과 혼축형의 구조이며 유경식 석검과 심부 유단식 석검, 유경식 석촉 등의 무기류가 주로 부장된다. Ⅱ단계에 접어들면 지석묘군의 입지와 무덤의 공간 배치와 형식, 출토유물, 부장양상 전반에 걸친 급진적인 변화가 감지된다. 평지에서 열상 배치되는 Ⅰ단계 지석묘군과 달리 Ⅱ단계의 무덤은 주로 산기슭 사면이나 구릉상, 고갯마루에서 3~7기가 군집을 이루며 환상 배치된다. 매장주체부는 지하 석관형과 소형의 지석을 연접한 위석형이 주를 이루며 묘역시설은 점차 간략화 된다. 부장품은 퇴화 또는 의기화된 석검, 석촉과 함께 삼각형 석도, 유구석부, 석착 등의 송국리 단계 생활용 도구가 다수 발견된다. 섬진강유의 지석묘문화가 점차 소멸되어가는 Ⅲ단계의 무덤은 주로 구릉 사면이나 고개마루에서 소군집을 이루거나 단독으로 분포한다. 지석묘 형식은 대형 지석을 놓은 지상 매장주체부의 대형 기반식과 간략화된 위석형, 상석이나 묘역시설이 없는 석곽형, 석관형, 토광형 등이 공존한다. 부장품은 퇴화된 무기류와 도구류 파편이 소량 검출되어 시간의 지남에 따른 부장양상의 퇴화과정을 엿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dolmens developed in the Seomjin river basin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of forms and arrangement of dolmens, remains, and burial types. As a result, we found that detail structures including grave facilities, memorial stones, and a chamber to bury a corpse in changed over time in a continued and instrumental manner. Time of the development of dolmen forms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location and arrangement of graves, burial types, and types of remains. At phase Ⅰ, Dolmens in the Seomjin river basin began to the middle Boseong river, arranged in a row along the stream at the alluvial flatland and hills of the riverside. When it comes to the forms of dolmens, they are of underground stone coffin type and mixed type with plane rectangular graves, where weapons like yugyeong style stone sword, simbu–youdan style stone sword, and stone arrowhead are buried together. In phase Ⅱ, rapid changes happened to the location and arrangements of graves, detail structure of dolmens, and burial type, but graves are made in groups of three to seven mainly on the slope of mountains or uphills, compared with phase two. Gravesites are simplified, and a chamber to bury a corpse in in general takes the form of underground stone coffin type and wiseok–type having small memorial stones nearby. Burial accessories such as obsolete stone swords and stone arrowheads and household tools like triangular stone knives, stone axes, and stone chisel have been found. At phase Ⅲ, when dolmens gradually disappeared, graves are gathered together or alone on hillside or uphills. In terms of grave types, a number of foundation and simplified wiseok–type with large memorial stones have been found, along with stone coffin type and ground shed type. Mostly, excavated burial accessories include fragments of obsolete weapons and tools, and a considerable number of Saehyeongdonggum culture related relics have been excavated from the phase Ⅲ dolmens in the Jeola province.

      • KCI등재

        고분출토 취사용 토기로 본 고대 한·일 장송의례의 비교 -일본열도 瀨戶內地域을 중심으로-

        松永悅枝 영남고고학회 2009 嶺南考古學 Vol.- No.50

        In this paper, the author showed a document about tools for cooking rice form earthenware vessel of the practical use size as well as the miniature portable kitchen range to excavate from “Korea-oriented grave system” which attracted attention in a Japanese side, and performed compaarison with Korea. In particular, the author tried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by using vessels of steaming vessels(甑). Thus, the author presented a place like Silla concerning the derivation of tumulus mounds in “Korea-oriented grave system” which bury cooking rice form earthenware vessels corpse belongings. First, the author made a focus on earthen vessels which have cooking rice function such as steaming vessels, pan and so on without limiting portable ceramic cooking-hearth with open firing hood. As a result there are buried in areas of Setouchi in Japanese Islands from the latter half in the 6th century. In addition, the author could watch aspect which the steaming vessels were buried whith the corpse continuously and intensively in Silla area such as Gyeongju, Keizan, Taegu in Korea throgh the 6th century from the 5th century. The tool for cooking rice form earthenware vessel to be excavated from the local old burial mound in Setouchi is the practical use size that can excavate together from the habitation site. This may be said to be burial of corpse belongings form to be common in constant areas with Silla. In such common backgrounds in Setouchi, Korea-oriented artifacts remains excavate intensively from aucient times and it is assumed that the areas were the base of negotiations with Korea.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일본고고학계에서 주목을 받아 온 이른바 「韓半島系 墓制」에서 출토된 소형 및 실용크기의 취사용 토기를 분석하고, 한반도와의 그것과도 비교 검토하였다. 특히 시루라는 기종을 가지고 다른 관점으로 접근해 보았다. 이것을 통해 취사용 토기가 부장되는 「韓半島系 墓制」의 유래로 신라라는 하나의 후보지를 제시하였다. 우선 부뚜막형 토기에 한정하지 않고 같은 취사기능을 가지는 시루와 냄비형 토기에 중점을 두었다. 일본열도에서는 이러한 시루와 냄비형 토기가 瀨戶內地域의 일정 지역에서 6세기 후반부터 지속적으로 부장되는 양상이 확인된다. 또한 한반도에서는 경주, 경산, 대구와 같이 신라지역에서 5세기부터 6세기에 걸쳐 시루가 집중 부장되는 양상을 볼 수 있다. 瀨戶內地域의 고분에서 출토되는 취사용 토기는 주거지에서 출토되는 것과 크기, 형태가 동일한 실용기이다. 신라지역 출토자료도 마찬가지여서 이러한 점은 대형봉토분에만 한정되지 않고 소형 수혈식석곽에도 부장되어 신라의 일정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부장형태라고 할 수 있다. 취사용 토기의 부장이라는 면에서 瀨戶內地域이 신라와 이러한 공통점이 나타는 배경에는 이 지역은 이전 시기부터 韓半島系 遺物이 집중하여 출토되며 한반도와의 교섭 기반이 이미 있었던 지역이라는 점이 상정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