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수명주기가 감사시간 및 감사보수에 미치는 영향

        권수영,문보영 韓國公認會計士會 2012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4 No.1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corporate life cycle on audit hours and audit fees. Corporate life cycle is one of important factors to be considered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operating and investing decisions along with competitive strategies. The reason is that the business strategy to pursue to be successful and the business risk associated with the strategy vary with corporate life cycle. Thus, it will be helpful for auditors to make audit plans and scope by understanding the corporate life cycle of their clients and the corresponding business risk. In addition, we investigate whether auditors take into account audit risk varying with firm life cycle, and adjust their audit hours and price the audit risk in audit fees. We classify firm life cycle into three categories-growth stage, maturity stage and decline stage, and analyze 4,889 firm-years over the 2003-2008 periods.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auditors put more audit effort when firms are either in growth or decline stages on its life cycle compared to mature stages. This implies that auditors explicitly recognize audit risk varying with corporate life cycle. Second, auditors ask higher audit fees when clients are in growth stage due to the incremental audit risk from high competitiveness and unstable business environments of the firms.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distinctive difference in audit fees between mature and decline stages. Thir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udit hours and audit risk is attenuated at growth stage. Thi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auditors already put too much effort when clients are at growth stage even if there is an increase in audit risk associated with the uncertainty at growth stage. However, highly leveraged firms at growth stage are considered relatively less risky since auditors view high debt-to-equity ratio as unavoidable to growth firms and thus make less audit effort. On the other hand, higher debt ratio at decline stage signals the increase in uncertainty to auditors and strengthens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audit hour and audit risk. Fourth,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audit fee and audit risk is attenuated in both growth and decline stages when we use debt-to-equity ratio and loss firms as proxy for audit risk. In particular, we find high debt-to-equity ratio at growth stage is viewed as the appropriate financial structure to auditors, lowering audit fees whereas loss at decline stage does not require auditors to increase audit fees. This indicates that the high financial leverage may signal audit risk at decline stage, not at growth stage. It appears that auditors consider clients’ corporate life cycle in planning audit hours and determining audit fees.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has three folds. First, this study extends the effect of firm life cycle on audit hours and audit fees. We find that auditors consider clients’ business circumstances and strategies when they allocate economic resources (i.e., audit hours) and demand compensation for the effort. Second,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e that auditors spend audit hours varying with corporate life cycle. This is in line with the direction of the new ISA which requires auditors to make strategic audit plans and implement those plans efficiently in accordance with clients’ specific circumstances. Third, we added corporate life cycle as one of determinants of audit hours and fees. Prior literature only considered growth as a determinant of audit hours and fees, but we replace the growth variable by the comprehensive measure, corporate life cycle, considering both business maturity and decline. This allows us to test the effect of corporate life cycle on audit hours and fees and its differential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audit hours/fees and audit risk. 본 논문은 기업의 수명주기가 감사시간과 감사보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다. 기업수명주기는 경영자가 기업의 생산활동이나 투자기회 및 경쟁사간의 전략 등을 파악하고 정책을 수립해 나가는데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그 이유는 기업수명주기에 따라 기업이 추구하는 전략이 다르고 이에 따른 위험도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감사인 역시 피감사기업의 기업수명주기를 파악하고 있다면 해당 기업이 직면하고 있는 사업위험을 이해하고 감사절차를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감사인이 한정된 자원인 감사시간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감사위험에 대한 보상을 적절히 받기 위하여 감사시간과 감사보수 결정시 기업수명주기를 고려하는지 여부를 살펴본다. 실증분석 결과 기업수명주기에 따라 차별적인 감사시간이 투입되며, 성장기와 쇠퇴기 기업의 경우 성숙기 기업 보다 추가적인 감사시간이 투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보수의 경우 성장기의 기업에 대해 성숙기와 쇠퇴기 기업보다 높은 보수를 청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감사시간과 보수가 기업수명주기에 따라 성장기, 성숙기, 쇠퇴기로 갈수록 감사시간이 일률적으로 감소하거나 증가하지 않고 해당 수명주기에 따른 위험에 기초한 행태의 감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나아가, 일반적으로 알려진 감사위험 요소인 부채비율이나 손실 여부에 대해서도 각 수명주기에 따라 감사인이 위험 정도를 다르게 평가하여 감사시간과 감사보수를 결정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피감사기업이 처한 기업수명주기 단계에 따라 기업의 불확실성 정도가 다르고, 이에 따른 경쟁전략이 다를 수 있음을 감사인이 고려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기존의 감사시간 및 감사보수의 연구와 차별화된다고 보여진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현행 감사제도가 신국제감사기준(New ISA)에서 권고하고 있는 사업위험을 고려한 전략적인 감사수행의 기본방향과 일치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연구는 감사시간 및 감사보수의 결정요인으로 기업의 경제적 상황을 요약하는 기업수명주기를 추가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기존 연구들은 단순히 성장성이라는 지표로 감사보수 결정요소를 고려했던 것에 반해 본 연구는 성숙기와 쇠퇴기를 포함하는 기업수명주기가 감사시간 및 보수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기존의 감사위험 요인이 기업의 수명주기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어 감사시간 및 보수에 미치는 정도도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 도입과 이로 인한 감사보수의 인상이 감사인의 독립성을 제고하나?

        이광숙,기은선 한국세무학회 2022 세무와 회계저널 Vol.23 No.6

        I examine the effect of the increase in audit fees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on audit quality, using 2019 and 2020 financial statements data and audit fee data of listed companies with total assets of 182.6 billion won or more at the end of 2019. The first hypothesis is about the effect of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on audit quality. Under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companies are not free to appoint auditors, so it is unlikely that audit fees will be discounted due to competition to attract new clients. If the auditor receives an appropriate compensation for the input time without a discount, he/she will spend more time understanding the new client, thereby preventing the deterioration of the audit quality during the initial audit. However, since the companies subject to the periodic designation system in 2020 are large listed companies, it can be difficult for auditors to fully understand the complex business structure of new clients, even if they input the most of their available time during the busy seas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 of the introduction of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on the audit quality. In this study, we measure audit quality by the absolute value of discretionary accruals. The second hypothesis directly investigates the effect of increased audit fees on audit quality after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When an auditor is assigned, it is common for audit fees to increase because there is no competition to attract new clients. Prior studies focused on whether the initial audit fee discount under the free audit engagement system affects audit quality. There has never been a study directly examining whether an increase in audit fee due to the designation of an auditor leads to the improvement of audit quality. If such an increase in audit fee simply compensates for the audit cost incurred by the auditor to understand new clients and does not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audit quality, the social cost of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can be seen as greater than the benefit. I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company and the matched company in the effect of the audit fee increase on the audit quality. Main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I find that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do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udit quality. In addition,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audit fe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not only for companies that subject to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but also for other companies, but the audit fee increase rate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udit quality. These results show that although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had the effect of realizing the audit fee, which wa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audit efforts, this did not lead to the improvement of the audit quality 본 연구는 2019년 말 자산총액이 1,826억원 이상인 유가증권 및 코스닥시장 상장기업의 2019년과 2020년 재무자료 및 감사보수 자료를 이용하여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 도입으로 인한 감사보수증가가 감사품질에 미친 효과를 살펴본다. 감사인을 지정하면 신규고객 유치를 위한 경쟁이 없으므로 감사보수가 증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선행연구는 자유수임제 하에서 초도감사 보수할인이감사품질의 하락을 가져오는지를 주로 살펴보았으며, 감사인 지정으로 인한 감사보수의 인상이 궁극적으로 감사품질 제고로 이어지는지를 직접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이제까지 없다. 주기적 감사인지정대상기업이 대응기업에 비하여 감사보수가 크게 인상되었으나, 이러한 감사보수의 증가가 신규고객에 대한 감사인의 단순이해 증진에 들어간 감사비용의 보상에 그치고 본래의 도입 목적인감사품질의 제고에 기여하지 못한다면 주기적 지정제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효익보다 큰 것으로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감사보수 인상이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주기적 지정기업과 대응기업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다. 주요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산총액 1,826억원 이상 대규모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 주기적 지정제는 감사품질에 유의한 영향을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기적 지정제 도입 후 주기적 지정제 적용기업뿐 아니라 그외 기업도 유의하게 감사보수가 인상되었으나, 감사보수인상률은 감사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실증결과는 대형 상장기업의 경우 주기적 지정제의 도입이 감사투입시간에 비하여 부족한 감사보수를 현실화하는 효과는 있었지만, 이것이 감사품질의 증가로이어지지 못했음을 시사한다.

      • KCI우수등재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와 자유수임제의 비교: 감사품질을 중심으로

        박종일 ( Jong Il Park ),정선문 ( Sun-moon Jung ),이윤정 ( Yun Jeong Lee ) 한국회계학회 2023 회계학연구 Vol.48 No.2

        신외감법 개정으로 2020년부터 시행된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가 감사품질을 개선한다는 뚜렷한 실증적 증거가 확보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는 주기적 지정교체가 감사품질을 개선하는지를 자유수임 교체의 경우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감사품질의 대용치는 재량적 발생액을 이용하고, 분석기간 2018년∼2021년 사이를 이용한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0년 기준 주기적 지정기업이 자유수임 교체와 비교하여 초도감사 및 감사 2년차의 감사품질이 더 높다는 증거는 관찰할 수 없었다. 둘째, 2020년 기준 주기적 지정교체의 초도감사는 교체 2년전(2018년) 또는 직전연도(2019년)와 비교하여 감사품질이 개선된다는 증거는 나타나지 않았다. 자유수임 교체의 경우도 앞서와 질적으로 유사하였다. 셋째, 2020년 기준 주기적 지정교체 후 감사 2년차는 감사품질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자유수임 교체의 경우에도 감사품질의 개선효과가 나타나 2년차 개선효과는 주기적 지정의 특유한 효과는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추가분석에 따르면, 감사 2년차에 감사품질의 개선효과는 주기적 지정교체가 자유수임 교체에 비해 오히려 유의하게 낮았다. 마지막으로, 2020년 주기적 지정 대상기업은 전년 대비 감사보수가 평균 99.9% 증가, 시간당보수는 58% 증가한 반면, 자유수임 교체기업은 감사보수가 15% 증가하나 시간당보수는 오히려 3.1% 감소하였다. 이러한 주기적 지정기업이 부담하는 감사비용을 상호작용변수로 고려해 추가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주기적 지정기업에서 증가된 감사비용이 감사품질을 개선시키는 데 추가적인 승수효과로 작용한다는 증거는 나타나지 않았다. 요약하면, 본 연구는 감사인 교체라는 동일 조건에 있는 기업 중, 주기적 지정교체와 자유수임 교체 간의 감사품질을 상호 비교한 새로운 실증적 증거를 제공한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발견은 규제당국이 주기적 지정제의 비용-효익 간의 유효성을 판단할 때 유용한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With the amendment of the Act on External Audit of Stock Companies, a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has been implemented since 2020 to secure auditor independence and improve audit quality. This study examines whether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improves audit quality compared to the case of free auditor contract.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s the second-year’s audit quality after auditor replacement, above and beyond the initial year’s audit quality after replacement under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Based on the sample period from 2018 to 2021, we first find no evidence that the audit quality of the initial and the second year after auditor replacement was higher for periodic designation compared to free contract cases. Second, we find little evidence that the initial audit under the periodic designation system result in improved audit quality compared to two years before the replacement or the year immediately before the replacement. Third, audit quality is found to improve in the second year of audit after periodic designation compared to two years before replacement or the year immediately before replacement. However, even in the case of free auditor contract, the audit quality improvement effect was found in the second year of audit, indicating that the improvement effect in the second year was not a unique effect of periodic designation. The difference-in-difference test results indicate that audit quality improvement effect is significantly smaller for periodic designation compared to free contract cases. We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authorities to judge the effectiveness of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on audit quality.

      • KCI등재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도를 통해 교체를 앞두고 있는 감사인의 협상력

        임유니,염승훈 한국회계학회 2022 회계저널 Vol.31 No.1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bargaining power of auditors to the audit fee of companies that are about to change auditors through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the bargaining power of company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ir audit fees, when an industry professional auditor conducted an audit. This means that larger firms are more likely to ask auditors for a discount of audit fees. Korea enacted the Act on External Audit of Stock Companies in 2017. In order to secure the independence of auditors and improve the quality of audit,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was implemented through the Act on External Audit of Stock Companies which was amended in 2017 to ensure auditor independence and improve audit quality. A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was introduced for unlisted companies.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is a regulation for designating auditors for the three business years to the stock-listed corporations (excluding KONEX) who have freely appointed auditors for six consecutive business years. In this research, the influence of auditors when negotiating audit fees was newly set. It was confirmed that the overall effect of auditors in the bargaining process of audit fees in companies where auditors are replaced prior to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However, in the analysis performed by dividing the period by yearly, it was confirmed that the auditor's bargaining power was strengthened only in 2019, the year immediately before the change of regulation on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phenomenon that the auditor's bargaining power was generally low in the bargaining of audit remuneration. However, it was reversed in the year immediately before the auditor replacement. This means that the audit fees were seen of audit fees premium for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And this phenomenon was also found in the case of professional auditors. It was confirmed that the bargaining power of auditors was strengthened when negotiating audit fees only in 2019, the year immediately before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auditor's bargaining power was limited as the result of the auditor's bargaining power on the audit fee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 in general. This is a fact that confirms tha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any and the auditor” is still worked. However, in 2019, the direct before year of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auditor's bargaining power is reversed. This result was also found in the audit fee and hourly audit fee, and even in the case of an industrial professional auditor, the auditor's bargaining power increased in the year immediately before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As a result of this, auditors who are fully aware that they will not be able to free the company through competition for the time being can protect themselves from litigation risks without causing disagreements with future auditors on financial statements. Therefor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check how the auditor who is about to be replaced by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exerts influence on the audit fee with the relevant company. The contribution poi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rough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real samples of companies whose auditors are replaced were used to promote timeliness and accuracy in the analysis. Secondly, through the selection of a new variable called the bargaining power of auditors(apower), the influence of auditors whose auditors are replaced by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on the calculation of audit fees before replacement was examined with the negotiation about the audit fees. Finally, the influence of auditors on the calculation of periodic au... 본 연구에서는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도를 통해 감사인 교체를 앞두고 있는 기업들의 해당 감사인이 감사보수 산정에 미치는 영향력(bargaining power of auditor)에 대해서 분석을 시도하였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산업전문감사인이 감사를 수행하는 경우 감사보수 산정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의 협상력(bargaining power of company)은 종속변수인 감사보수와 음(-)의 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감사인에게 할인을 요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해당 선행연구의 분석표본 중에서 자산총액이 평균 이상에 해당하는 기업에서 더 유의하게 감사보수 할인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기업의 자산규모가 클수록 감사보수 산정에 미치는 기업의 영향력이 더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감사보수 협상 시 감사인의 영향력을 새로운 변수로 설정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도를 앞두고 감사인이 교체되는 기업의 감사보수 협상 과정에서 전반적으로 감사인이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임을 확인하였다. 그렇지만, 감사인 교체 직전 기간을 연도별로 구분하여 분석을 수행한 분석에서는 교체 직전 년도인 2019년도에서 감사보수 협상 시 감사인의 협상력이 강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감사보수 협상에서 전반적으로 감사인의 협상력은 낮았다가 교체 직전 연도에 반전되어 감사보수 할증이 나타나는 현상은 산업전문감사인에서도 동일하게 발견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해당 기업에 대해서 경쟁을 통한 자유수임을 당분간 할 수 없음을 충히 인지하고 있는 전기 감사인들이 차기 감사인들과의 전기 재무제표에 관한 의견불일치를 발생시키지 않고, 소송위험 등으로부터 자신들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그 원인을 분석해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감사인의 협상력이라는 새로운 변수를 활용하여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도 시행 3년 전에는 전반적으로 감사보수 협상 시 감사인이 미치는 영향력이 제한적이었으나 교체 직전 년도인 2019년도에 감사인의 협상력이 높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산업전문감사인에서도 동일하게 관찰되는 바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도에 의하여 교체를 앞두고 있는 전기 감사인이 해당 기업과의 감사보수 산정에 영향력이 발휘되는지를 확인해 볼 수 있다.

      • KCI등재

        교육시설물의 보수주기·보수비용 비율 도출을 통한 유지보수비용 분석

        송창영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3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5 No.3

        본 연구는 BTL발주방식으로 추진되는 교육시설물에 대한 부위별 유지보수비용의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 목적의 수행을 위해 전문가를 대상으로 면담과 설문을 수행하여 유지보수 발생빈도를 고려한 부위별 분류체계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유지보수비용 분석을 위해 부위별 분류체계에 따라 예방적, 평균적, 실질적 보수주기·보수비용 비율을 조사 및 분석하였으며, 2011년도에 BTL발주방식으로 수행된 교육시설물 5곳을 사례대상으로 선정하여 초기 공사비용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조사 및 분석된 예방적, 평균적, 실질적 보수주기·보수비용 비율 자료와 사례대상 5곳의 평균 초기 공사비용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된 예방적, 평균적, 실질적 유지보수비용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방적 유지보수비용은 약 5,136,028천원, 평균적 유지보수비용은 약 4,095,324천원, 실질적 유지보수비용은 약 3,504,732천원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예방적, 평균적, 실질적 보수주기·보수비용 비율 결과와 예방적, 평균적, 실질적 유지보수비용 결과는 국내 교육시설물 건설사업 수행 시 사업초기 단계에서 미래에 지출되는 유지보수비용의 추정과 유지보수비용 관리 계획의 수립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 KCI등재

        주기적 감사인지정제가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

        노기팔,박경호,이유선 대한경영학회 2022 大韓經營學會誌 Vol.2022 No.특별호2

        The ‘Act on External Audit of Stock Companies, etc.’, which was completely amended in 2017, introduced a standard audit hour and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to improve audit quality. While the standard audit hour system aims to improve the audit quality through the appropriate audit hour,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is introduced to improve the audit quality by improving the independence of the auditor designated by the Securities and Futures Commi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periodic designation system, which was implemented in 2020, actually has the effect of improving audit quality. In order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the periodic designation system, we made a sample of companies the periodic designation system was applied and a sample of companies whose auditors are changed due to the other reasons. We analyze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in audit quality between the two samples before and after. And audit hour, audit fee, and discretionary accrual were used to measure audit quality. The results of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the audit hours spent to the companies subject to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were increased more compared to those in cases the auditors were changed by the free agency contract,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to those in which the auditors were changed by mandatory designation. Secon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the audit fees of the companies subject to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were increased more compared to those in cases the auditors were changed by the free agency contract,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to those in which the auditors were changed by mandatory designation. Third, the discretionary accruals of companies subject to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decreased more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compared to companies whose auditors were changed through free agency contracts and those whose auditors were changed by mandatory designation. These results are interpreted as showing that the application of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udit quality. Although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supervisory authorities and audit researchers in terms of presenting empirical results on the effect of the introduction of periodic designation system, caution is needed when interpreting the results of this paper in terms of an initial empirical study using only data from the first year of implementation. 2017년에 전면개정된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이하 ‘신외감법’이라 함)은 감사품질 향상을위해 표준감사시간제도와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도(이하 ‘주기적 지정제’라 함)를 도입하였다. 표준감사시간제도가 감사인의 적정 감사시간 산정을 통해 감사품질의 향상을 도모한 제도라면, 주기적 지정제는증권선물위원회의 감사인 지정을 통한 감사인의 독립성 향상을 통해 감사품질을 향상시키려는 제도라고 할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20년부터 시행되기 시작한 주기적 지정제가 실제로 감사품질을 개선시키는 효과가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주기적 지정제의 감사품질 향상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주기적지정제가 처음으로 적용된 기업들로 구성된 표본과 기타의 사유로 감사인이 변경된 기업들로 구성된 표본을구성하였고, 주기적 지정제 도입을 전후로 두 표본의 감사품질 변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감사품질은 감사시간, 감사보수, 그리고 재량적 발생액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증분석에서 발견된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주기적 지정제 적용대상 기업들은 자유수임계약으로 감사인이변경된 기업들에 비해 제도 도입 후에 감사시간과 감사보수가 더 많이 증가하였으나, 직권지정으로 감사인이변경된 기업들과 비교했을 때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주기적 지정제 적용대상 기업들은자유수임계약으로 감사인이 변경된 기업들과 직권지정으로 감사인이 변경된 기업들에 비해 제도 도입 후에재량적발생액이 더 많이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주기적 지정제의 도입이 감사품질에 긍정적 영향을주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2020년에 시행된 주기적 지정제의 도입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측면에서 감독당국과연구자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지만, 시행 첫 해의 자료만을 이용한 초기 실증연구라는 측면에서결과 해석의 일반화 가능여부에 대해서는 주의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주기主氣’ 개념의 딜레마, 그리고 실학實學과의 불화

        한형조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1 다산학 Vol.- No.18

        My paper mainly explains why and how I use the 主理-主氣 framework in this philosophical map of Joseon Confucianism. The terms 主理-主氣 are not monopolized by Prof. Takahashi; I find them to be only two trends among six types, which I have analysed “philosophically,” not “genealogically.” I would like to clarify two false impressions which still prevail. Ironically, 主氣 scholars didn’t identify themselves as 主氣, because the label means “to respect bodily desire first”-condemned in the past, however admirable in modern times. Again, it is an irony that today, we admire 主氣scholars as “realists,” and hence we are ready to link the school with “Practical Learning” in late Joseon. But 主氣, especially in late Joseon, was not “Practical” whatsoever; rather it was Anti-Practical. The core issue is that this term is inherently confusing. Is there a way to resolve this issue? It is easy to fall into the fallacy of interpreting 主氣 as “the tendency to emphasize 氣.” This sounds like an anti-Confucian claim because Confucian scholars hold fast to the primary principle of “理 is put before 氣.” If 主理 is translated as “the tendency to empha size 理,” then every single Confucian scholar of Joseon would be a 主理 scholar. This perplexity has led to the following statements:I would like to suggest that we distinguish the different levels of the concept of 主氣 in order to solve this puzzle. 主氣 is under the umbrella of “理學” in that 理 is the highest basis. Let us not forget that 主氣 and 主理 are sub-strata of 理學. In this sense, 主氣 means to “the thinking that emphasizes the practical movement of 氣” under the sub-strata of 理, and not “the tendency to emphasize 氣 more than 理.” If we distinguish the different levels thus, confusion outlined above should be resolved. And 主氣 is not a demeaning term, and it should not longer be used as such. Hasn’t the world changed to the point where the body and its desires are respected nowadays? Furthermore, practically responding to changes in everyday life makes 主氣 more appropriate for today’s living. Rather, excessive praise and great expectation of 主氣 is the issue. People have assumed that 主氣 is closely related to Practical Learning(實學) and is the foundation for the reform-minded in late Joseon. But the actuality was far from it. 主氣 train of thought is surprisingly more “conservative,”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Noron Faction’s orthodox 主氣 in late Joseon. The Noron Faction was not interested in building industries, improving systems, or learning new ideas and things from foreign civilizations. Why? Because they clung tenaciously to the Classics and were fired up with religious fervor to realize the propriety outlined in the Classics in this world. They insisted that their members suppress any individual desires, respect social status and their respectively order in the scheme of things, and be self-sacrificing in the “responsibility” assigned to them in the family or at work. In conclusion, 主氣 is the furthest from so-called Practical Learning(實學), which, surprisingly enough, developed from the 主理 tradition. There must have been a reason for this paradox. How should we resolve this paradox? 시험 삼아 조선 유학의 지형도를 그린 이후, 몇 가지 의문과 비판이 제기되었다. 그 가운데 ‘주기主氣’를 둘러싼 문제가 가장 첨예하다. 무엇보다. ‘주기’라는 용어가 애매하고 모순되는 의미를 담고 있다는 것 가령 주기의 대표자로 우리는 율곡을 꼽는데, 놀랍게도 정작 율곡이나 그 계열들은 가령 17세기 남당 한원진이나, 한말의 간재 전우 자신들을 결코 주기로 정위하지 않았다는 이의제기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는 개념의 층위를 구분하자고 제안한다. 주기이든 주리이든 공히 리理를 최고의 근원이자 가치로 한다는 점에서, ‘리학理學’의 우산umbrella 아래 있다. 실제 이 용어는 오랜 연원을 갖고 있는 주자학의 자기정위이다. 주기주리는 리학理學 안의 ‘하위분지下位分枝, sub division’임을 기억하자 이때 주기는 “리理보다. 기氣의 가치를 우선한다”가 아니라 “기의 현실적 작동을 중시하는 사유”의 뜻을 갖는다. 가치와 의미는 그 상위의 리가 쥐고 있다. 그렇다면 주리主理 또한 “리의 현실적 작용을 강조하는 유파”로 번역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주기’는 유학자들에게 경멸의 주홍글씨였지만, 지금은 시대가 달라져서 거기 붙들릴 필요가 없다. 지금의 시대는 신체와 몸의 욕구를 존중하고, 현실의 변화에 따른 실용적 적응을 건전하게 생각하기에, ‘주기’의 이름은 훈장이지 낙인이 아니다. 오히려 ‘주기’에 대한 과도한 찬양, 넘치는 기대가 문제이다. 주기가 실학적 성향을 갖고 있으며 조선 후기 개혁 마인드의 토대라는 오래된 기대가 있지만 그러나 사태는 정반대이다. 율곡에서 남당으로 이어지는 ‘주기’ 라인의 사고는 놀랍게도, 다른 리학의 갈래보다. 더 ‘보수적’ 성향을 노정했다. 그들은 경전의 지식을 고수하고 재래의 예禮의 이상을 현세에 구현하려는 종교적 열망과 책임감에 불탔던 사람들이다. 그들은 구성원들로 하여금 자신의 욕구와 개성을 억압하고, 주어진 사회 계급과 신분 질서를 존중하고, 가족이나 직업에서 주어진 역할 ‘의무’에 헌신하라고 독려했다. 조선 유학에 있어, 주기는 이른바 실학의 기대와 멀리 있고, 실학은 주리의 계열에서 발전했다.

      • KCI등재

        기고 : "주기主氣" 개념의 딜레마, 그리고 실학實學과의 불화

        한형조 ( Hyong Jo Han ) 다산학술문화재단 2011 다산학 Vol.- No.18

        시험 삼아 조선 유학의 지형도를 그린 이후, 몇 가지 의문과 비판이 제기되었다. 그 가운데 ``주기主氣``를 둘러싼 문제가 가장 첨예하다. 무엇보다. ``주기``라는 용어가 애매하고 모순되는 의미를 담고 있다는 것. 가령 주기의 대표자로 우리는 율곡을 꼽는데, 놀랍게도 정작 율곡이나 그 계열들은 (가령 17세기 남당 한원진이나, 한말의 간재 전우 자신들을 결코 주기로 정위하지 않았다는 이의제기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는 개념의 층위를 구분하자고 제안한다. 주기이든 주리이든 공히 리理를 최고의 근원이자 가치로 한다는 점에서, ``리학理學``의 우산umbrella 아래 있다. 실제 이 용어는 오랜 연원을 갖고 있는 주자학의 자기정위이다. 주기-주리는 리학理學 안의 ``하위분지(下位分枝, sub division)``임을 기억하자. 이때 주기는 "리理보다 기氣의 가치를 우선한다"가 아니라 "기의 현실적 작동을 중시하는 사유"의 뜻을 갖는다. 가치와 의미는 그 상위의 리가 쥐고 있다. 그렇다면 주리主理 또한 "리의 현실적 작용을 강조하는 유파"로 번역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주기``는 유학자들에게 경멸의 주홍글씨였지만, 지금은 시대가 달라져서 거기 붙들릴 필요가 없다. 지금의 시대는 신체와 몸의 욕구를 존중하고, 현실의 변화에 따른 실용적 적응을 건전하게 생각하기에, ``주기``의 이름은 훈장이지 낙인이 아니다. 오히려 ``주기``에 대한 과도한 찬양, 넘치는 기대가 문제이다. 주기가 실학적 성향을 갖고 있으며 조선 후기 개혁 마인드의 토대라는 오래된 기대가 있지만 그러나 사태는 정반대이다. 율곡에서 남당으로 이어지는 ``주기`` 라인의 사고는 놀랍게도, 다른 리학의 갈래보다. 더 ``보수적`` 성향을 노정했다. 그들은 경전의 지식을 고수하고 재래의 예禮의 이상을 현세에 구현하려는 종교적 열망과 책임감에 불탔던 사람들이다. 그들은 구성원들로 하여금 자신의 욕구와 개성을 억압하고, 주어진 사회 계급과 신분 질서를 존중하고, 가족이나 직업에서 주어진 역할 ``의무``에 헌신하라고 독려했다. 조선 유학에 있어, 주기는 이른바 실학의 기대와 멀리 있고, 실학은 주리의 계열에서 발전했다. My paper mainly explains why and how I use the 主理-主氣framework in this philosophical map of Joseon Confucianism. The terms 主理-主氣are not monopolized by Prof. Takahashi; I find them to be only two trends among six types, which I have analysed "philosophically," not "genealogically." I would like to clarify two false impressions which still prevail. Ironically, 主氣 scholars didn`t identify themselves as 主氣, because the label means "to respect bodily desire first"-condemned in the past, however admirable in modern times. Again, it is an irony that today, we admire 主氣scholars as "realists," and hence we are ready to link the school with "Practical Learning" in late Joseon. But 主氣, especially in late Joseon, was not "Practical" whatsoever; rather it was Anti-Practical. The core issue is that this term is inherently confusing. Is there a way to resolve this issue? It is easy to fall into the fallacy of interpreting 主氣 as "the tendency to emphasize 氣." This sounds like an anti-Confucian claim because Confucian scholars hold fast to the primary principle of "理is put before 氣." If 主理 is translated as "the tendency to empha-size 理," then every single Confucian scholar of Joseon would be a 主理 scholar. This perplexity has led to the following statements: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we distinguish the different levels of the concept of 主氣 in order to solve this puzzle. 主氣 is under the umbrella of "理學" in that 理 is the highest basis. Let us not forget that 主氣 and 主理 are sub-strata of 理學. In this sense, 主氣 means to "the thinking that emphasizes the practical movement of 氣" under the sub-strata of 理, and not "the tendency to emphasize 氣 more than 理." If we distinguish the different levels thus, confusion outlined above should be resolved. And 主氣 is not a demeaning term, and it should not longer be used as such. Hasn`t the world changed to the point where the body and its desires are respected nowadays? Furthermore, practically responding to changes in everyday life makes 主氣more appropriate for today`s living. Rather, excessive praise and great expectation of 主氣 is the issue. People have assumed that 主氣 is closely related to Practical Learning(實學) and is the foundation for the reform-minded in late Joseon. But the actuality was far from it. 主氣 train of thought is surprisingly more "conservative,"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Noron Faction`s orthodox 主氣 in late Joseon. The Noron Faction was not interested in building industries, improving systems, or learning new ideas and things from foreign civilizations. Why? Because they clung tenaciously to the Classics and were fired up with religious fervor to realize the propriety outlined in the Classics in this world. They insisted that their members suppress any individual desires, respect social status and their respectively order in the scheme of things, and be self-sacrificing in the "responsibility" assigned to them in the family or at work. In conclusion, 主氣 is the furthest from so-called Practical Learning(實學), which, surprisingly enough, developed from the 主理 tradition. There must have been a reason for this paradox. How should we resolve this paradox?

      • KCI등재

        영구임대주택 시설물의 유지관리 수선사례 분석을 통한 수선주기 재설정

        최성민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6 No.4

        영구임대주택의 장기적 안전성 및 사용성능(내구수명)을 확보하고, 경제적 유지관리를 위한 대책 마련과 이를 위해 각종 시설물의 개․보수를 위한 재료 성능설계 및 시공의 활용가능한 모든 요소를 검토하고,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시간 및 경제성 등을 감안하여 재료 및 공법을 선택할 수 있는 체계적인 검토 사례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그 준비 단계로써 영구임대주택단지 시설물의 개․보수 현황조사 및 개․보수기준 검토 등을 통해 국내에서 주택관련 공공기관이 설정해 놓은 20년 보수주기 적정성을 재검토 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각 시설물별 적정한 보수주기를 재설정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얻어진 성과는 영구임대주택 보수공사 비용 절감 및 공공구조물로써의 재산적 가치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ultimat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build an economic maintenance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structural, working, environmental, and economic conditions of permanently rental housing. For this reason, we considered potential changes to the repair cycle by utilizing multiple forms of investigation and analysis, and a statistic technique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the 20-year repair cycle, the existing control level for the facilities of permanently rental housing. As a result, four items were determined to have 15, 20, 25, and 30-year cycles respectively, seven items had a 35- year cycle, and eight items had a 50-year cycle. Also, when we tested the validity of the present 20-year repair cycle, it was found that its short duration led to a huge waste of bud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repair cycle should be reset and delays made in repair times. By doing this, a considerable reduction in the permanently rental housing repairs budget would be accomplished.

      • KCI등재

        주기적 감사인 지정이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에 미치는 영향

        김현정,유승원 한국회계학회 2022 회계저널 Vol.31 No.1

        본 연구는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도의 시행 이후 지정 감사인이 자유수임 감사인보다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이 높다는 실증증거를 제시한다. 금융당국이 기업에 감사인을 지정해주므로 지정 감사인의 독립성은 향상될 것이며, 지정 감사인은 향후 감사실패로 인한 제재 등 감사위험을 낮추기 위해 보다 철저한 감사를 수행할 것이므로 감사시간이 증가할 것이다. 더불어 감사인 지정의 절차적 특성상 감사인의 감사계약 유치 및 유지에 대한 부담을 낮춰줄 수 있으므로 감사시간의 증가와 함께 감사보수도 증가할 것이다. 2019년부터 2020년까지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지정 감사인은 자유수임 감사인보다 더욱 높은 수준의 감사시간을 투입하고 이에 따라 높은 감사보수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정상 감사보수 및 비정상 감사시간 또한 더욱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지정 감사인은 지정 여부를 감사위험으로 판단하여 추가적인 감사시간을 투입하고 감사보수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도감사의 효과를 통제하기 위해 2020년 감사인이 교체된 기업만을 대상으로 추가분석을 수행한 결과, 자율교체 기업의 감사인보다 지정교체 기업의 감사인이 더욱 높은 수준의 감사시간을 투입하고 높은 감사보수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지정 감사인은 높은 독립성을 견지할 수 있으며 이것이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에 반영되는 것을 나타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