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형 머리 모델을 이용한 머리 전달 함수의 보간

        이기승,이석필,Lee, Ki-Seung,Lee, Seok-Pil 한국음향학회 2008 韓國音響學會誌 Vol.27 No.7

        본 논문에서는 머리 전달 함수에 대한 새로운 보간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기법은 각 방위각에 대한 머리 전달 함수의 충격파 응답이 인접 방위각에 대한 시간 지연된 충격파 응답의 선형 보간으로 주어진다고 가정하였다. 각 방위각에 대한 충격파 응답의 시간 지연은 방위각, 머리의 물리적 형태, 음원과 머리의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추정될 수 있는 귀와 음원간의 전파시간과 최소 자승 오차를 갖도록 하는 교정값의 합으로 주어진다. 또한 제안된 모델에서는 보간 시 방위각의 간격을 고정 간격이 아닌 가변 간격으로 하였으며 본래 충격파 응답과 보간된 충격파 응답이 본래의 충격파 응답과 비교하여 청취 상으로 큰 차이가 느껴지지 않고, 보간에 필요한 충격파 응답의 재수가 최소화되는 조건을 만족하도록 결정하였다. 제안된 보간 모델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더미 헤드 및 3명의 사람으로부터 측정된 머리 전달 함수에 대해 제안된 보간 모델을 적용하였다 머리 전달 함수는 0도의 고도각을 갖는 수평면을 5도 간격의 방위각으로 분할한 총 72개가 사용되었으며, 실험 결과 전체 머리 전달 함수 중 단지 $30\sim40%$ 만을 사용하고 나머지는 보간에 의해 얻어진 머리전달 함수를 사용하더라도 청취상의 음원의 위치가 변동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paper, a new interpolation model for the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 (HRTF) was proposed. In the method herein, we assume that the impulse response of the HRTF for each azimuth angle is given by linear interpolation of the time-delayed neighboring impulse responses of HRTFs. The time delay of the HRTF for each azimuth angle is given by sum of the sound wave propagation time from the ears to the sound source, which can be estimated by using azimuth angle, the physical shape of the underlying hea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and sound source, and the refinement time yielding the minimum mean square error. Moreover, in the proposed model, the interpolation intervals were not fixed but varied, which were determined by minimizing the total number of HRTFs while the synthesized signals have no perceptual difference from the original signals in terms of sound location. To validate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interpolation model, the proposed model was applied to the several HRTFs that were obtained from one dummy-head and three human heads. We used the HRTFs that have 5 degree azimuth angle resolution at 0 degree elevation (horizontal plan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using only $30\sim40%$ of the original HRTFs were sufficient for producing the signals that have no audible differences from the original ones in terms of sound location.

      • KCI등재

        SD700 확대머리 철근의 겹침이음 상세를 적용한 단차가 있는 RC 보의 구조성능 평가

        이지형 ( Ji-hyeong Lee ),김승훈 ( Seung-hun Kim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5 No.6

        논문은 SD700 확대머리철근의 겹침이음을 이용한 단차가 있는 보의 접합상세를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한 구조성능평가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실험변수는 주철근의 겹침이음길이, 철근 항복강도, 단부정착상세 등이다. 모든 실험체에 대하여 춤이 작은 보(B2)의 하부 주 철근은 확대머리철근을 적용하였으며, 춤이 큰 보(B1)의 하부 주철근은 일자형 확대머리철근, 90°갈고리형 확대머리철근 등 두 가지 상세로 이음방법을 적용하였다. 실험결과, SD500과 SD600을 적용한 실험체들은 겹침이음부에서 모두 휨파괴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최대내력은 유사하게 나타났다. SD500을 적용한 실험체들에 대하여, B1의 주철근을 90°갈고리형 확대머리철근으로 적용한 상세가 확대머리철근에 비하여 겹침이음부의 수평균열을 억제하였다. SD700의 확대머리철근을 사용한 실험체는 취성적인 정착파괴가 나타났으며, 겹침이음길이의 증가에 따라 최대내력이 증가하였다. SD700의 확대머리철근을 사용한 실험체들은 실험체정착길이/이론정착길이에 대한 실험내력/이론내력이 ACI 318-19 식은 1.30~1.48로 나타났으며, KDS-2021 식은 1.14~1.30로 평가되었다. 이를 볼 때, ACI 318-19 산정식이 보다 보수적으로 정착길이를 평가함으로써 더 큰 안전율을 가지고 있었다. This paper conducts an evaluation of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lap splice detail of SD700 headed bar experiment for developing an RC beam with different depths joint details. The experiment variable is lap splice length, yield strength, and end anchorage of main reinforcements. For all specimens, a headed bar was applied to the main reinforcement of the beam with low depth (B2), and the beam with high depth (B1) was applied to the main reinforcement with two splice methods: straight headed bar and 90° hooked-headed bar.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that specimens of applying SD500 and SD600 had the results of flexural fracture at the lap splice location, which maximum load was similar. For specimens of appling SD500, the 90° hooked-headed bar of B1, suppressed horizontal cracks in the lap splice section compared to the straight headed bar. Specimens of applying an SD 700 headed bar had the results of brittle anchorage failure. In addition, maximum load was increased with the lap splice length increasing. For specimens of applying SD700 headed bar, test for test maximum load/theoretical load for test development length/design development length were estimated to be 1.30~1.48 for the ACI 318-19 equation, and 1.14~1.30 for the KDS-2021 equation. Thus, ACI 318-19 equation had conservatively greater safety factors as estimated development lengththened.

      • 외부 보-기둥접합부 실험을 통한 대구경 확대머리철근의 정착성능평가

        정형석,이병수,최창식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는 철근의 정착을 위하여 갈고리 철근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원전 구조물과 같은 특수 구조물에 갈고리 철근을 사용할 경우, 배근되는 철근간의 간섭이 심해져 배근이 어려워지며, 조밀한 배근 간격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타설이 어려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원전 구조물에 대한 확대머리철근의 적용이 필요하다. 현행 구조설계기준에서는 철근의 직경, 항복강도 등에 대하여 확대머리철근의 적용범위에 제한을 두고 있다. 현행 기준으로는 대구경 확대머리철근에 대한 적용이 사실 상 어렵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대구경 확대머리철근의 정착 성능 평가 및 원전구조물에 대한 적용성 평가를 위하여, 대구경 확대머리철근을 적용한 외부 보-기둥접합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체는 확대머리철근의 정착길이, 측면피복두께, 횡보강근 및 파괴유형을 실험변수 설정하여 설계하였으며, 반복하중을 가력하여 외부 보-기둥접합부의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성능평가 결과, 정착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측면피복두께 및 횡보강근 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외부 보-기둥접합부에서 대구경 확대머리철근은 충분한 정착성능을 보여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송(宋)《영조법식(營造法式)》중 월량(月梁) 보머리 가공 규범에 대한 고찰

        이용준 한국농촌건축학회 2019 농촌건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Vol.21 No.3

        Woolyang(月梁) is a beam which whole shape is curved like a so-called moon(月). According to the 《Yeongjobeosig(營造法 式)》, In the case of beams installed under the ceiling of a wooden building, it is used by manufacturing them in Woolyang(月梁) for maximum visual decorative effects as the shape is exposed. In order to achieve the end of a beam that is manufacturing in Woolyang(月梁), it is important to process it in a suitable size and shape for a given situation to achieve a combination with other members around it. However, in the 營造法式, the standard of production of the Woolyang(月梁) is divided into Myeongbog(明栿), Chagyeon(箚牽), Pyeonglyang(平梁), and the height of each beam head is divided into 21分°, 15分°, 25分°, but it is not possible to look at any more specific reference. In this paper, try to consider the principle of Woolyang(月梁) manufacturing and its normative contents which were indirectly proposed in the 《Yeongjobeosig(營造法式)》.

      • KCI등재

        외부 보-기둥 접합부에 정착된 확대머리철근의 파괴유형과 강도

        천성철(Chun Sung-Chul),이성호(Lee Sung-Ho) 대한건축학회 2009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25 No.5

        New provisions of ACI 318-08 specify the development details of headed bars. The provisions result in the development length (ldt) of approximately 80% of the length of hooked bars (ldh) with restrictions on material strengths, cover thickness, and spacing between bars. Due to quite limited experimental researches used in developing the provisions, the anchorage strengths of headed bars are dependent on applied members even though they have same development length. The development length determined by ACI 318-08 can yield an unsafe result in beam-column joints. In addition, it requires more than 4db for clear bar spacing. This can be a significant restriction, as the exterior beam-column joint mostly involves the use of headed bars to reduce steel congestion. It is impossible to design 4db of clear spacing between layers of beam longitudinal bars. To develop a reasonable and safe design of headed bars in beam-column joint, failure modes of headed bars and models for anchorage capacities were proposed by modifying similar models. Experimental study was also conducted to verifying the proposed models. Moreover, available test data for beam-column joints with headed bars were compared with the models. Finally, design guidelines on headed bars anchored in beam-column joints were suggested.

      • KCI등재SCOPUS
      • KCI등재

        RC 및 SFRC 외부 보-기둥 접합부에 대한 고강도 확대머리 철근의 정착강도

        장덕영,정재원,이강석,김승훈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3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7 No.6

        본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RC) 및 강섬유보강콘크리트(SFRC) 외부 보-기둥 접합부에서 SD700인 확대머리철근의 정착성능을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체는 총 10개로 제작되었으며 강섬유 보강 유무, 정착길이, 보의 유효춤, 스터럽 배근상세 등을 변수로 계획하였다. 실험결과, 실험체는 실험변수에 따라 측면파열파괴, 콘크리트 브레이크아웃파괴, 전단파괴 등이 나타났다. 정착길이를 변수로 한 RC 계열실험체에서 정착길이가 25~80% 증가함에 따라 정착강도는 26.5~42.2% 증가하여 정착길이에 비례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보의 유효춤이 2 배인 JD 계열 실험체는 콘크리트 브레이크아웃파괴가 나타나 기준 실험체에 비하여 31.5~62% 최대내력이 감소하였다. 확대머리철근 주위의전단보강근 간격이 기준실험체에 비하여 1/2배인 S 계열 실험체는 8.4~ 9.7% 최대내력이 증가하였다. SFRC 실험체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RC 실험체 콘크리트 압축강도에 비하여 29.3% 작게 평가되었지만, 정착강도는 7.3~12.2% 더 크게 증가하였다. 이에 강섬유 보강에 따른 확대머리철근의 정착성능이 크게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KDS 기준의 정착길이 92%, 110%로 배근된 실험체의 실험 최대내력이 이론내력에 비하여92%, 99%인 결과를 고려하면 안전율을 더욱 크게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정착길이 대비 보의 유효춤을 고려한 설계식 제시가 요구된다.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performance of the head bars, which is SD700, was experimentally evaluated at the RC (reinforced concrete) or SFRC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external beam-column joint. A total of 10 specimens were tested, and variables such as steel fibers, length of settlement, effective depth of the beam, and stirrups of the column were plann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specimens showed side-face blowout, concrete breakout, and shear failure depending on the experimental variables. In the RC series experiments with development length as a variable, it was confirmed that the development strength increased by 26.5~42.2% as the development length increased by 25-80%, which was not proportional to the development length. JD-based experiments with twice the effective depth of beams showed concrete breakout failure, reducing the maximum strength by 31.5% to 62% compared to the reference experiment. The S-series experiment, in which the spacing of the shear reinforcement around the enlarged head reinforcement was 1/2 times that of the reference experiment, increased the maximum strength by 8.4 to 9.7%. The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of SFRC was evaluated to be 29.3% smaller than the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of RC, but the development strength of SFRC specimens increased by 7.3% to 12.2%. Accordingly it was confirmed that the development performance of the head bar was greatly improved by reinforcing the steel fiber. Considering the results of 92% and 99% of the experimental maximum strength of the experiment arranged with 92% and 110% of the KDS-based settlement length, it is judged that the safety rate needs to be considered even more.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present a design formula that considers the effective depth of the beam compared to the development length.

      • KCI등재

        근접 배치된 확대머리 철근의 보-기둥 접합부 내진 성능 평가

        조아서,신형엽,정승용,강현구,김우석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9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3 No.6

        To resolve the conservative requirements for clear headed-bar spacing in KBC 2016 and ACI 318-08, two 2/3-scale exterior beam-column connections were tested under cyclic seismic loading. The seismic tests primarily explored the effect on their seismic performance of using (a) small clear spacings and (b) multiple layers of headed reinforcements in the beam. Also, the previous test data were thoroughly analyzed. It was concluded that the clear bar spacing of 2db or the use of two bar layers might be permitted for headed reinforcements embedded in exterior beam-column connections. KBC 2016 및 ACI 318-08에서 확대머리 철근의 순간격에 대한 지나치게 엄격한 요구 사항을 개선하기 위해 2/3 스케일의 외부 보-기둥 접합부 실험체를 준정적 반복 하중을 적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내진 실험을 통해 좁은 간격의 철근 순간격과 다열 배치 확대머리 철근 적용여부를 주요 변수로 하여 내진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또한, 본 실험결과를 이전 연구자들의 실험 데이터와 함께 면밀히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외부 보-기둥 접합부에 정착된 확대머리 철근에 대해 2db의 철근 순간격 또는 2 개층의 확대머리 철근의 사용은 내진 설계에 있어 허용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반복하중을 받는 외부 보-기둥 접합부에 정착된 57mm 확대머리철근의 정착성능평가

        정형석 ( Hyung-suk Jung ),정주홍 ( Joo-hong Chung ),최창식 ( Chang-sik Choi ),배백일 ( Baek-il Bae ),최현기 ( Hyun-ki Choi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5 No.6

        본 연구에서는 반복하중을 받는 외부 보-기둥 접합부에 정착된 57mm 확대머리철근의 정착성능을 평가하였다. 총 4개의 외부 보-기둥 접합부 실험체를 계획하였으며, 콘크리트 압축강도, 측면피복두께, 횡보강근비 및 파괴유형을 주요 실험 변수로 설정하여 정착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성능평가 결과, 접합부에 정착된 대구경 확대머리철근의 정착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소는 측면피복두께 및 횡보강근으로 나타났으며, 외부 보-기둥 접합부에 정착된 57mm 대구경 확대머리철근은 반복하중하에서도 충분한 정착성능이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anchoring performance of 57mm headed bars anchored at the external beam-column joint under cyclic loading was evaluated. A total of 6 external beam-column joint test specimens were planned, and anchorage performance was evaluated by setting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side covering thickness, lateral reinforcement ratio, and fracture type as major experimental variables. As result of cyclic loading test,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anchoring capacity of the large-diameter headed bar anchored at the joint were the side cover thickness and the transverse reinforcing bar. It was confirmed that the 57mm large-diameter headed bar anchored at the external beam-column joint showed sufficient anchoring capacity even under cyclic loading.

      • KCI등재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외부 보-기둥 접합부의 거동 평가

        이범식,김경덕,김상우,김길희,이정윤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4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8 No.6

        이 논문은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외부 보-기둥 접합부의 실험결과를 보고한 것이다. 실험체의 주요 실험변수는 접합부 파괴모드, 콘크리트 압축강도, 철근의 정착 방법이다. 모든 실험체는 ACI 352R-02 기준에 바탕을 두어 J파괴와 BJ파괴가 되도록 계획하였다. 주철근은 90도 표준갈고리로 하거나 확대머리철근으로 하였다. 실험결과는 콘크리트 압축강도에 제한되는 현행 ACI 설계 기준식이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한 보-기둥 접합부의 강도를 다소 과소평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확대머리철근을 가진 J파괴형 보-기둥 접합부의 강도는 표준갈고리를 가진 접합부보다 약 10% 이상 높게 평가되었다. This paper reports the test results of reinforced concrete exterior beam-column joints with high-strength concrete. The main parameters of eight specimens were joint failure modes,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and the head shapes of steel bars.All specimens were designed according to ACI 352R-02 design recommendations. Two types of failure modes were considered; J-failure and BJ-failure. The longitudinal steel bars were anchored by 90 degree standard hooks or headed reinforcement.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the current ACI design recommendation limited by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somewhat underestimated the strength of beam-column joints with high-strength concrete. In the specimens showed joint shear failure, the strength of beam-column joints with headed bars was approximately 10 percent higher than that of joints with 90 degree standard h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