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ynthetic Polyester Prosthetic Ligament 보강술을 이용한 후방 십자 인대 손상의 치료

        손승원,전시현,박진욱,Sohn, Sung-Won,Jeon, Si-Hyun,Park, Jin-Uck 대한관절경학회 2002 대한관절경학회지 Vol.6 No.2

        목적 : 후방 십자 인대 손상의 치료에 있어서 synthetic polyester ligament를 이용한 관절경적 보강술을 시행한 후 임상 결과 및 방사선학적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0년 1월부터 1996년 1월까지 synthetic polyester ligament(ABC ligament, Surgicraft, U.K )를 이용하여 관절경적 후방 십자 인대 보강술을 시행한 환자 중에서 5년 이상 추시가 가능한 60예를 대상으로 후방 부하 방사선 촬영 및 KT-2000관절계측기를 이용하여 후방 안정성에 대해 평가를 하였고, Lysholm knee Score를 이용하여 임상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 후방 부하 방사선 촬영상 후방 전위의 정도는 건측에 비해 술 전 평균 13.2 mm에서 술 후 평균 3.6 mm로 개선되었고, KT-2000 관절계측기를 이용한 검사상 후방 전위는 건측 평균 3.2 mm, 환측 평 균 3.9 mm이었고, Lysholm knee score는 술 전 평균 49.2점에서 술 후 평균 84.3점으로 평균 33점 증가하였다. 결론 : synthetic polyester ligament를 이용하여 손상된 후방 십자 인대를 관절경적 보강술로 치료하고 장기 추시 관찰하여 자가 이식건을 이용한 경우의 임상적 결과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고, 이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보아 후방 십자 인대 손상의 치료에 있어 인조 인대 보강술은 하나의 치료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linical outcomes and radiological changes of arthroscopic augmentation with synthetic polyester ligament for pos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Materials and Methods : The assessment was made among 60 patients who underwent arthroscopic augmentation with synthetic polyester ligament (ABC ligament, Surgicraft, U.K.) into the substance of ruptured PCL proper under the arthroscopic control from January, 1990 to January, 1996 and whose follow-up period was more than 5 years (average 7.8 year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the posterior stress radiographs by Telos stress device, KT-2000 arthrometer and the clinical assessment by using Lysholm knee score. Results : The average difference of posterior displacement on stress radiographs were 13.2 mm preperatively and 3.6 mm at last follow up. Both knee showed minimal difference on KT-2000 arthrometer (0.7 mm on 20 lb) at the last follow-up. The mean Lysholm knee score was 49.2 preoperatively and improved to 84.3 post-operatively. Conclusion : Authors observed that long-term results of arthroscopic augmentation with synthetic polyester ligament for PCL injury were similar with those using human allograft. Taking these results into consideration, the synthetic polyester ligament is assumed to be a method of treatment of the PCL injury.

      • KCI등재

        골수내정 고정술 후 발생한 대퇴 간부 골절 불유합의 금속판 보강술에서 저접촉 압박 금속판과 잠김 압박 금속판의 비교

        김세동 ( Se Dong Kim ),손욱진 ( Oog Jin Sohn ),곽병훈 ( Byung Hoon Kwack ) 대한골절학회 2008 대한골절학회지 Vol.21 No.2

        목적: 골수내정 고정술 후 발생한 대퇴 간부 골절 불유합의 금속판 보강술에서 저접촉 압박 금속판과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한 방법을 비교하여 임상적인 효율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3월부터 2005년 9월까지 골수내정 고정술 후 불유합으로 진단받고 금속판 보강술로 치료를 시행한 2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저접촉 압박 금속판의 경우는 양쪽 피질을 나사못으로 고정하였으나 잠김 압박 금속판의 경우는 한쪽 피질골만을 잠김 나사못으로 고정하였다. 결과: 저접촉 압박 금속판을 이용한 1예에서 골수내정의 파손이 있었으나 전예에서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다.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한 방법이 저접촉 압박 금속판을 이용하는 방법에 비해 골유합 기간, 수술 시간, 수술 후 혈색소 저하, 수술 후 수혈량, 완전 체중 부하까지 소요된 기간에서 더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나 양 군 사이의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다 (p>0.05). 결론: 한쪽 피질만을 고정하는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한 보강술은 양측 피질골을 고정하는 저접촉 압박 금속판을 이용한 방법과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어서 금속판 보강술 시 사용될 수 있는 하나의 좋은 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surgical treatment through the comparison of LC-DCP (Limited Contact-Dynamic Compression Plate) versus LCP (Locking Compression Plate) fixation in the plate augmentation for the nonunion of femur shaft fractures after intramedullary nail fixation. Materials and Methods: Twenty-four patients with the nonunion of femur shaft fractures after intramedullary nail fixation who underwent plate augmentation were evaluated from Mar. 2001 to Sept. 2005. The group with LC-DCP augmentation was done bicortical screw fixation and the group with LCP was done monocortical fixation. Results: There was one case of nail breakage in LC-DCP group, but sound bony union were achieved uneventfully in all the cases of both group. LCP fixation was slightly superior to LC-DCP fixation in view of the bony union time, operating time, postoperative Hb down, amount of postoperative transfusion,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p>0.05). Conclusion: We got the satisfactory results after monocortical LCP augmentation as well as bicortical LC-DCP fixation and have concluded that monocortical LCP fixation was an effective treatment option for nonunion of femur shaft fracture occurred after Intrmedullary nail fixation.

      • 만성 단독 후방십자인대 파열에서 자가 슬괵건과 후-후 삼각술기를 이용한 만성 후방십자인대 보강술

        김영진,채수욱,최병산,김종윤,이황용,한창완,한수연,Kim, Yeung Jin,Chae, Soo Uk,Choi, Byong San,Kim, Jong Yun,Lee, Hwang Yong,Han, Chang Wan,Han, Su Hyoun 대한관절경학회 2013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7 No.1

        목적: 슬관절의 후방십자인대 파열 시 잔존하는 절단단 또는 이완된 인대를 유지하면서 관절경하 후-후 삼각기법과 단일절개 횡경골 접근법을 이용하여 4겹의 자가 슬괵건을 사용해 손상된 후방십자인대 보강술을 시행한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후방십자인대 파열로 진단되어서 4겹의 자가 슬괵건과 후-후 삼각기법과 단일절개 횡경골 접근법을 이용한 보강술을 시행한 환자 중에서 최소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는 5년 5개월(범위: 2-7.9)이었다. 수술 시 연령은 평균 35.2세이었다. 운동 가능 범위, 후방 전위 검사, Telos stress 방사선 검사, Lysholm knee score, Tegner activity score,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의 판정 기준을 이용하여서 술후 기능 평가, 2차적 관절경 검사 등을 시행하여 주관적 및 객관적 지표로 삼았다. 결과: 최종 추시 시에서 후방 스트레스 방사선 사진상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감소 소견이 관찰되었다(p<0.05). 최종 추시에서 IKDC grade는 Group A가 18예, Group B가 11예, Group C가 3예이었고, Group D는 한 예도 없었으며, 각각 통계학적 의미가 있는 호전을 보였다(p<0.05). 결론: 만성 단독 후방십자인대의 파열에서 관절경하 후-후 삼각기법과 단일절개 횡경골 접근법을 이용하여 4겹의 자가 슬괵건을 사용해 손상된 후방십자인대 보강술은 양호한 슬관절의 안정성과 기능 회복을 얻을 수 있는 좋은 수술 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outcome of arthroscopic posterior cruciate ligament (PCL) augmentation using an autogenous hamstring tendon graft and the posterior-posterior triangulation technique with preservation of ligament remnant or elongated ligament.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2 to December 2009, we performed PCL augmentation using an autogenous hamstring tendon graft and the posterior-posterior triangulation technique in 32 patients. The mean age was 35.2 years. Twenty two cases were male and 10 cases were femal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5 years and 5 months (range: 2-7.9). Subjective and objective parameters were utilized in analyses, such as the mean range of motion, post. drawer test, Lysholm knee score, Tegner activity score,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inittee (IKDC) grade, and second look arthroscopic examination. Results: At last follow up posterior displacement by the Telos stress test decreased from $10.8{\pm}5.1\;mm$ to $2.8{\pm}3.7\;mm$ (p<0.05). The final Lysholm knee score improved from $60.4{\pm}5.8$ to $84.6{\pm}4.8$. Tegner activity score improved from 3.2 to 4.8. The final IKDC grade was A in 18, B in 11, C in 3. Postoperative Lysholm knee score, IKDC grades, Tegner activity scale, and posterior displacement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compared to the preoperative state (p<0.05). Conclusion: Arthroscopic PCL reconstruction using an autogenous hamstring tendon with preservation of ligament remnant showed a good clinical results and posterior stability.

      • 자가 반건양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보강술

        최남용,한창환,인용,문찬웅,최승욱,진성기,Choi, Nam-Yong,Han, Chang-Hwan,In, Yong,Moon, Chan-Woong,Choi, Seung-Woog,Jin, Sung-Ki 대한관절경학회 2008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2 No.1

        목적: 저자들은 전방 십자 인대 부분 파열 환자에서 남아있는 다발을 보존한 상태로 자가 반건양건(Semitendiosus tendon) 을 이용하여 보강술을 시행한 후 추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6년 6월까지 자가 반건양건을 이용하여 전방 십자 인대 보강술을 시행한 2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술 후 관절 운동 범위, 전방 전위 정도, pivot shift 검사 및 슬관절의 기능적 평가를 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전방 전위 정도는 KT 1000 관절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슬관절의 기능적 평가는 Modified Feagin Scoring System과 Lysholm score를 측정하였다. 결과: 술 후 최소 1년 이상 추시 결과, 관절 운동 제한 소견을 보인 예는 없었으며, KT-1000 관절계를 이용한 경골 전방 전위에서는 20lb 부하시 정상측과 비교하여 평균 1.7 mm의 차이를 보였다. Modified Feagin knee scoring system에 의한 기능 평가는 91%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으며, Lysholm score는 술전 평균 70점에서 술후 평균 92점으로 향상되었다. 결론: 전방 십자 인대 부분 파열 환자에서 자가 반건양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보강술은 슬관절 안정성의 유지와 더불어 고유 감각 기능을 보존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presents clinical result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ACL) augmentation using autogenous two-strand semitendinosus tendon in the treatment of partial ACL tears with preservation of residual portion.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4 to June 2006, twenty two patients who had an ACL injury underwent ACL augmentation using autogenous two-strand semitendinosus tendon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clinical results with regard to clinical findings(range of motion,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 standard knee scales(Lysholm, Modified Feagin Scoring System), and KT-1000 arthrometer testing. Results: At minimum one year postoperatively, there was no limitation of range of motion. Lachman and pivot shift tests were negative in all knees. On instrumented anterior laxity test by KT-1000 arthrometer, mean side to side difference was improved from 4.6mm preoperatively to 1.7mm postoperatively. Average Lysholm score was improved from 70 to 92. Ninety one percent of cases were rated as good or excellent in Modified Feagin Scoring System. Conclusion: Augmentation using autogenous two-strand semitendinosus tendon with preservation of residual portion of the ACL seems to be an acceptable method for restoring knee stability and proprioceptive function.

      • KCI등재

        무지 중수지 관절의 종자골하 관절염의 치료 : 종자골 절제 후 전방판 보강술

        김종필(Jong-Pil Kim),유현열(Hyun-Yul Yoo),민병권(Byoung Kwon Mi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2

        목적: 무지 중수지 관절의 종자골하 관절염에 대한 치료로 종자골 절제 후 건 이식을 이용한 전방판 보강술의 임상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종자골 절제 후 장장건 이식을 이용하여 무지 중수지 관절의 전방판 보강술을 시행 받은 11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자 7명, 여자 4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46세(30-56세)이었다. 무지 중수지 관절의 과신전 손상 후 발생한 관절염 9예 및 특발성 관절염 2예였다. 수술 전후 객관적 및 주관적 기능 평가를 하였으며 최종 추시 기간은 평균 19개월(12-35개월)이었다. 결과: 최종 추시 시 1명을 제외하고 대부분 만족의 결과를 보였다(우수 3명, 양호 7명 및 불량 1명). 악력과 집기력은 반대쪽에 비교하여 수술 전 각각 평균 63.0%와 51.3%에서 수술 후 각각 평균 84.9%와 88.9%로 향상되었다. 술 후 무지 중수지 관절의 평균 운동범위는 신전 -5.9도, 굴곡 50.9도였으며 평균 DASH 및 MHQ 점수도 수술 전 보다 의미 있게 향상되었다. 결론: 무지 중수지 관절의 종자골하 관절염에 대한 치료로서 종자골 절제 후 건 이식을 이용한 전방판 보강술은 통증을 감소시키고 악력과 집기력을 향상시키는 등 무지의 기능에 필요한 안정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유용한 술식이라고 사료된다. Purpose: To report the clinical outcomes of a volar plate reinforcing technique with free tendon grafts after sesamoid excision for the surgical treatment of subsesamoid arthritis of the metacarpophalangeal (MCP) joint of the thumb. Materials and Methods: Eleven consecutive patients that underwent sesamoid excision and volar plate reinforcement using a palmaris longus free tendon graft were enrolled. There were 7 males and 4 females, with an average age of 46 (range, 30-56 years). Post-traumatic arthritis after a hyperextension injury of the thumb was present in 9 patients. Two patients had idiopathic arthritis. All patients were evaluated by objective and subjective criteria,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19 months (range, 12-35 months). Results: The results were satisfactory overall (3 excellent, 7 good, 1 poor). The mean grip strength and pinch strength significantly improved from 63.0% and 51.3%, respectively, preoperatively, to 84.9% and 88.9%, postoperatively. The mean range of motion for the MCP joint was -5.9/50.9 degrees. The mean DASH and MHO score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compared to the preoperative scores. Conclusion: The early clinical results suggest that the described technique is a safe and effective option for subsesamoid arthritis of the MCP joint of the thumb.

      • KCI등재

        흉요추부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 골절의 수술적 치료 : 골시멘트 보강술을 이용한 척추경 나사 고정

        전득수(Deuk Soo Jun),백종민(Jong-Min Baik),박지현(Ji Hyeon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4 No.4

        목적: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 골절 환자에서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고정술을 시행 시 골시멘트(polymethylmethacrylate) 보강의 방사선적 효용성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골다공증성 압박 골절에서 골시멘트 보강술을 이용한 척추경 나사 고정을 시행한 20예의 환자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평균 추시 기간은 15.6개월이었으며, 인구학적인 자료, 골밀도(bone mineral density, BMD), 유합 분절, 척추경 나사의 사용 개수 및 골시멘트 주입량은 의무기록을 통하여 검토되었다. 방사선적인 결과를 산출하기 위하여 시간 순차적(수술 전, 수술 직후, 술 후 6주, 술 후 3, 6개월 및 술 후 1년) 추시를 통해 방사선적 지표를 측정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 총 20명의 환자(여자 16예[80.0%]; 평균 나이, 69.1±8.9세)가 포함되었다. 평균 BMD는 -2.5±0.9 g/cm², 각각의 추체당 평균 골시멘트 주입량은 6.3 ml였다. 술 전 측정한 후만각(Cobb angle)은 32.7°±7.0°였으며, 술 후 측정값은 8.7°±6.9° (p<0.001)로 큰 호전을 나타내었고, 교정은 술 후 시간 순차적인 추시에서도 유지됨을 보였다. 기구 고정 후 후만각, 설상각, 시상지표 또한 유사한 호전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골절된 추체의 전방 높이 또한 수술 전 11.0±5.0 mm에서 수술 후 18.5±5.7mm (p=0.006)로 호전되었고 3, 6개월 및 1년간의 추시 간에도 유지됨이 확인되었다. 결론: 골다공증성 압박 골절에서 골시멘트 보강술을 이용한 척추경 나사 고정은 효과적인 치료법이라 생각되며, 이 술식을 통해 국소 흉요추부 후만의 충분한 교정을 얻을 수 있고 술 후에도 잘 유지할 수 있는 방법으로 골다공증 척추 압박 골절 환자에서 유용한 술식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radiological efficacy of polymethylmethacrylate (PMMA) augmentation of pedicle screw operation in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OVCF)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OVCF patients, who underwent only posterior fusion using pedicle screws with PMMA augmentation,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5.6 months. The demographic data, bone mineral density (BMD), fusion segments, number of pedicle screws, and amount of PMMA were reviewed as medical records. To analyze the radiological outcomes, the radiologic parameters were measured as the time serial follow-up (preoperation, immediately postoperation, postoperation 6 weeks, 3, 6 months, and 1 year follow-up). Results: A total of 20 patients were examined (16 females [80.0%]; mean age, 69.1±8.9 years). The average BMD was -2.5±0.9 g/cm². The average cement volume per vertebral body was 6.3 ml. The mean preoperative Cobb angle of focal kyphosis was 32.7°±7.0° and was improved significantly to 8.7°±6.9° postoperatively (p<0.001), with maintenance of the correction at the serial follow-up, postoperatively. The Cobb angle of instrumented kyphosis, wedge angle, and sagittal index showed similar patterns. In addition, the anterior part of fractured vertebral body height averaged 11.0±5.0 mm and was improved to 18.5±5.7 mm postoperatively (p=0.006), with maintenance of the improvement at the 3-month, 6-month, and 1-year follow-up. Conclusion: The reinforcement of pedicle screws using PMMA augmentation may be a feasible surgical technique for OVCF. Moreover, it appears to be appropriate for improving the focal thoracolumbar/lumbar kyphosis and is maintained well after surgery.

      • KCI등재

        Treatment of the Femoral Shaft Nonunion Occurred after Intramedullary Nailing

        Heun Guyn Jung(정현균),Dae Joong Kim(김대중),Byung Hak Kim(김병학),Young Yool Chung(정영율)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5

        목적: 골수강 금속정 고정후 발생한 대퇴골 불유합에 대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치료를 실시하고 각 방법들의 치료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교합정 골수정 고정 후 발생한 대퇴골 불유합 31예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26예는 위축성 불유합이었으며 5예는 비후성 불유합이었다. 31예의 불유합에 대해 총 45회의 수술적 치료를 하였다. 골이식술 14회, 골수강 금속정 교환술 13회, 금속판 보강술 및 골이식술 14회, 역동화 수술 4회이었다. 결과: 31예의 불유합에 대한 1회 수술 성공률은 58%이었다. 4예의 역동화 수술은 전 예에서 실패하였으며, 금속정 교환술은 13예 중 7예(54%)에서 골유합을 얻었다. 14예의 금속판 보강술과 골이식술은 전 예에서 골유합을 얻었다. 골유합은 골절후 평균 20개월에 얻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확공후 금속정 교환술은 모든 불유합에서 골유합을 얻는 것은 아니었으며, 금속판 보강술과 골이식술은 합병증없이 불유합을 치료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었다. Purpose: To evaluate of efficacy of the treatment options for a femoral shaft nonunion occurring after intramedullary nailing. Material and Methods: Thirty-one patients with nonunion of a femoral shaft fracture, who had been treated with interlocking intramedullary nailing from January 1996 to December 2000, were examined. Twenty-six had oligotrophic nonunion and five were hypervascular. Forty-five procedures were performed for 31 nonunions; bone grafting for 14, exchange nailing for 13, plate augmentation and bone grafting for 14 and dynamization for 4 cases. Results: The success rate after a single procedure was only 58%. The four dynamization cases failed to unite. Seven of the 13 (54%) nonunion cases treated with nail exchange healed satisfactorily. All cases treated with plate augmentation and bone grafting achieved successful union. The mean period from fracture to union was 20 months. Conclusion: Exchange nailing is not always a reliable procedure for treating nonunion of a femoral shaft fracture. Plate augmentation and bone grafting were found to be a successful mode of therapy for the femoral shaft nonunion without complications.

      • KCI등재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서 인대보강술의 역할

        이광원(Kwang Won Lee),배경완(Kyoung Wan Bae),황윤섭(Yun Seob Hw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8 No.1

        회전근 개 파열은 어깨 관절의 심한 통증과 기능 저하, 근력 약화를 유발하는 흔한 원인 중의 하나이다. 이 질환에 대한 이해와 수술적인 치료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의 수술적 치유 결과는 파열 크기가 작은 경우에 비하여 저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높은 실패율은 환자 자신의 내재적 치유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생물학적인 요인뿐 아니라 기계적인 요인에 기인한다. 최근 조직 공학적으로는 회전근 개 봉합의 치유를 돕기 위하여 지지체(scaffold)나 성장 호르몬, 간엽 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 등에 관한 연구가 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지체는 기계적인 강도와 생물학적인 치유를 증진시킬 목적으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저자들은 이 종설에서 회전근 개 복원술에 사용되는 지지체 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세포 외 기질 지지체의 최근 연구 경향 및 임상적인 응용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Rotator cuff tears are a common cause of debilitating pain, reduced shoulder function, and weakness. Despite improvements in the understanding of the disease process and advances in surgical treatment,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that healing of massive rotator cuff tears is not as predictable as that of smaller rotator cuff tears. These high failure rates are a result of both mechanical and biologic factors that may affect the patients’ intrinsic capacity to heal. Most research studies have concentrated on tissue engineering as a means for improvement of healing in rotator cuff repair, including the use of scaffolds, growth factors, and mesenchymal stem cells. There has been much interest in the development of various scaffolds that provide adequate strength as well as stimulate and enhance healing potentia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current basic science and clinical application of extracellular matrix scaffolds, which are currently the most widely used scaffolds for repair of rotator cuff tears.

      • 급성 후방 십자 인대 파열의 관절경하 봉합술 및 자가 슬괵 이식건 보강술 - 수술 술기 -

        안진환,이상학,성기룡,Ahn, Jin-Hwan,Lee, Sang-Hak,Sung, Kee-Lyong 대한관절경학회 2005 대한관절경학회지 Vol.9 No.1

        목적: 대퇴 근위 부착부가 파열된 급성 후방 십자 인대 파열에 있어서 후방 경격막 도달법을 이용한 관절경적 봉함술 및 보강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수술 술기: 슬관절의 관절경적 기본검사 후, 후내측 도달법과 후외측 도달법을 개설하여 후방 경격막 도달법을 확보한 후 파열되어 후방으로 이동된 후방 십자 인대 다발을 후내측 관절경적 시야 하에서 전내측에서 삽입한 Suture hook을 이용하여 봉합한다. 이 봉합사를 전내측으로 빼내어 견인하여 파열된 인대 다발을 과간 절흔으로 보낸 후 전방에서 추가 봉합을 시행한다. 남아 있는 후방 십자 인대 다발을 보존하면서 경골 및 대퇴골 터널을 만든 후에 자가 단일 다발 반건양 및 박 이식건을 터널을 통해 관절 내로 통과시키고 대퇴 터널을 통과 시킨 후방 십자 인대 봉합사과 함께 고정한다. 결론: 급성 후방 십자 인대 손상 시 특히, 대퇴 근위 부착부 파열의 경우 파열된 다발을 후방에서 관절경적 봉합술을 시행할 수 있으며 후방 경격막 도달법을 이용하여 남아있는 다발에 최소한의 손상을 주면서 경골 및 대퇴골 터널을 만들고 자가 슬괵 이식건을 보강함으로써 좋은 결과가 기대된다. Purpose: We describe a new technique of arthroscopic repair with using autogenous hamstring tendon graft augmentation for the acut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upture. Operative technique: A routine arthroscopic examination of the knee joint is initially performed, then the posterior trans-septal portal is prepared with the using the posteromedial and posterolateral portals. The torn tibial stump that is retracted to the posterior compartment is repaired by a suture hook that is introduced through the anteromedial portal; visualization during this procedure is done with the arthroscope via the posteromedial portal. Using the retrieved suture, both suture ends are brought out to the anteromedial portal. The torn tibial stump is pulled to the intercondylar notch and then repaired with stitches at the anterior compartment. After the tibial and femoral tunnels are prepared without damaging the remnant PCL bundle, the combined torn PCL fibers and the autogenous single-bundle semitendinosus and gracilis tendon grafts are passed through the femoral tunnel and fixed together Conclusion: Arthroscopic repair of the torn tibial stump and autogenous hamstring tendon graft augmentation after preparing the tibial and femoral tunnels by using the trans-septal portal, without damaging the remnant PCL bundle, seems to be a very effective method for the treatment for acute PCL injuries, and especially for tears at the femoral attachment.

      • KCI등재

        Tight-Rope<SUP>®</SUP>을 이용한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치료

        권석현(Seok Hyun Kweon),최상수(Sang Su Choi),이성인(Seong In Lee),김정우(Jeong Woo Kim),김광미(Kwang Mee Kim)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3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6 No.2

        목적: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에서 Tight-Rope<SUP>®</SUP> (Arthrex)를 이용한 오구 쇄골 인대 보강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10월부터 2011년 3월까지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 환자에 대해 Tight-Rope<SUP>®</SUP>를 이용하여 치료한 환자 중에서 12개월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한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술 후 정복 상태의 평가는 쇄골의 방사선학적 추시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임상적 결과는 UCLA 점수, Constant 점수 및 VAS 통증 점수를 사용하였다. 결과: 임상적 평가에서 UCLA 점수는 22예(73%)에서 우수, 5예(17%)에서 양호, 2예(7%)에서 보통, 1예(3%)에서 불량이었으며, Constant 점수는 평균 92.5±7.5점이었다. 방사선학적 결과는 26예(86%)에서 해부학적 정복을 보였으며, 2예(7%)에서 중등도의 정복 소실, 2예(7%)에서 완전 재탈구를 보였으며, 이중 완전 재탈구를 보였던 2예에서 임상적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았으며 재수술을 필요로 하였다. 결론: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에서 Tight-Rope<SUP>®</SUP>를 이용한 오구 쇄골 인대 보강술은 신뢰할 만한 임상적 결과를 제공하는 좋은 치료 방법이라 생각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ults of acute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treatment with coracoclavicular ligament augmentation using Tight-Rope<SUP>®</SUP> (Arthrex). Materials and Methods: From October 2009 to March 2011, 30 patients with acute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underwent coracoclavicular ligament augmentation using Tight-Rope<SUP>®</SUP> and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12 months after surgery. The radiologic results were qualified according to serial plain radiographs, and the clinical results according to University of California - Los Angeles (UCLA) Shoulder Scale, Constant score, and VAS pain score. Results: Using the UCLA scoring system, excellent results were observed in 22 cases (73%), good results in five cases (17%), fair results in two cases (7%), and a poor result in one case (3%). The average Constant score was 92.5±7.5. According to radiologic results, anatomical reduction was achieved in 26 cases, and two cases showed a moderate loss of reduction, and two cases showed complete re-dislocation. Clinical results for patients with re-dislocation were unsatisfactory and reoperation was required. Conclusion: Coracoclavicular ligament augmentation using Tight-Rope<SUP>®</SUP> is a good option providing reliable functional results in patients with acute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