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계금융위기와 베이징컨센서스의 대외적 확산?

        김애경(Kim, Aekyung)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0 동서연구 Vol.22 No.2

        이 글은 세계금융위기 이후 중국이 베이징컨센서스를 확산하는가에 대해 분석한다. 2008년 세계금융위기는 워싱턴컨센서스의 발전모델로서의 적실성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되고 이에 대한 대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베이징컨센서스이 주목을 받게 되었다. 특히 국제사회에서 중국의 정치ㆍ경 제적 역할이 증가되고 개발도상국들이 중국에 보내는 긍정적 평가는 세계금 융위기 이후 중국이 자국의 발전경험인 베이징컨센서스를 확산시킬 것이라는 우려를 낳고 있다. 그러나 중국이 의도적으로 베이징컨센서스를 확대하고자 한다고 판단하기에는 아직 이르다. 베이징컨센서스 자체가 가지는 불완전성, 내재적 모순, 원칙 지향적 특성은 합의(consensus)라고 부르기에 부족하다. 중국은 아직 지속적으로 발전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고 자신들의 책을 쓰고 있는 상황이다. 때문에 베이징컨센서스는 중국의 성공을 전제로 하는 진행형이다. 따라서 중국이 만약 금융위기로부터 상대적으로 상처 없이 잘 빠져나온다면 베이징컨센서스는 개발도상국이 선택할 수 있는 경제성장모델이될 수 있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at will China spread Beijing Consensus after global financial crisis. Many Analyst cast doubt on Washington Consensus that it is suitable for development model. Because it is suggested that the alternative should provide, Beijing Consensus is paid close attention after global financial crisis. In addition, as China s influence increase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in international society and developing countries stand for China, much concern is being voiced about spreading Beijing Consensus. But it seems a little early that China has a desire to spread Beijing Consensus. It is not suitable to call it Consensus as Beijing Consensus still has incompleteness. China has a mission that is to achieve continuous economic growth. So continuous economic growth is a prerequisite for Beijing Consensus and it is making now. If China would weather the crisis relatively without hardship, Beijing Consensus will be a model that developing countries wish to follow.

      • KCI등재

        베이징 컨센서스 비판: 라모와 아리기의 논의를 중심으로

        윤상우 ( Sang Woo Yoon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4 유라시아연구 Vol.11 No.4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고도성장은 수많은 발전론적 쟁점들을 양산해왔으며, 최근에는 ‘베이징 컨센서스’의 개념으로 호명됨으로써 신자유주의적인 워싱턴 컨센서스를 대체하는 대안적인 발전모델로까지 격상되고 있다. 그러나 베이징 컨센서스의 담론적 주장은 중국의 현실을 오도 왜곡하고 있으며 나아가 제3세계에게 잘못된 대안모델을 제시하고 있다는 인상을 지우기 어렵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베이징 컨센서스 담론을 대표하는 라모(Ramo, 2004)와 아리기(Arrighi, 2007)의 주장을 중심으로 이들 논의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중국 발전모델의 실체를 재구성 재개념화하고자 하였다. 라모의 베이징 컨센서스론은 그가 제시한 혁신, 형평성, 자결의 원칙이 경험적으로 중국의 실제 현실에 부합되지 않는다는 비판이 제기되어왔으며, 이외에도 개념규정의 엄밀성 결여, 과학성을 빙자한 자의적 설명의 한계점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아리기의 세계체제적 베이징 컨센서스론은 중국의 경제부흥이 과거의 역사적 유산인 비자본주의적 시장경제, 근면혁명(industrious revolution), 스미스적 발전경로 등의 전통과 연관되어 있다고 주장하는데, 그의 설명 역시 시장경제 및 자본주의 개념의 모호성,중국에 대한 긍정일변도의 역오리엔탈리즘적 인식, 세계 헤게모니 이행에 대한 자의적 설명 등으로 한계를 지닌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베이징 컨센서스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토대로 중국 발전모델에 대한 핵심 쟁점을 중국모델의 기본 성격, 중국모델의 보편성과 특수성, 중국모델의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중국모델의 기본 성격과 관련해서는 신자유주의적 시장원리를 발전국가적 케인즈주의적 국가개입을 통해 관리 통제하는 혼합자본주의로 규정하였고, 중국모델은 대만기업 및 화교자본의 초기투자, 국제분업구조상의 모든 가치사슬 진입이라는 측면에서 보편성 보다는 특수성을 강하게 지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중국경제의 지속가능성 여부는 현재 중국이 직면하고 있는 축적의 불균형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가에 달려있다고 판단된다. Since 1978 China’s economic miracle has produced various developmental issues, and it was recently conceptualized as the ‘Beijing Consensus’ which would replace the Washington Consensus and suggest an alternative development option for the developing countries. However, it is argued that the discourse on the Beijing Consensus might misinterpret and distort the realities of China’s development experiences, and also misguide false alternative model to the Third world. This study attempts to review critically the discourse on the Beijing Consensus focusing on Ramo(2004)’s and Arrighi(2007)’s arguments, and to re-identify the natures and features of China’s development model. Ramo’s thesis has definitely so many limitations to explain the China’s experience, due to inadequate conceptualization of core factors enabling the Chinese miracle and to ad hoc interpretations disguising itself as scientific axioms just like quantum physics. And, Arrighi has argued that China’s renaissance in the reform era was associated with its historical traditions such as industrious revolution and Smithian natural path of development. However, Arrighi’s argument also did not make sense, because of false recognition on market-economy and capitalism, ‘orientalism in reverse’ toward China’s renaissance, and ad hoc explanations on transitions of world hegemony. Alternatively, this study identify China’s development model as mixed capitalism including coexistence of neoliberal market and developmental-keynesian interventionism. Also, we can find out that the chinese model have exceptional characteristics rather than universal properties, and have problems of its sustainability concerning about unbalance of accumulation.

      • KCI등재

        사회주의의 중국화와 덩샤오핑이론 - 중국식 발전모델의 혁명사⋅문화사적 독해 -

        전홍석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2021 韓中關係硏究 Vol.7 No.2

        본 연구는 21세기 중국식 발전모델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지평을 넓히기 위해 기획 되었다. 2001년 미국 신경제의 거품이 꺼지고 중국의 성장활력이 다른 지역의 경제회 복에 크게 기여하면서 ‘신아시아시대—베이징 컨센서스(the Beijing Consensus)’가 다양 한 문맥에서 조명되고 있다. 여기서는 기본적으로 베이징 컨센서스가 사회주의혁명의 유산으로서의 중국식(중국특색) 사회주의에 원천을 둔다는 주장에 합류한다. 이른바 중국특색 사회주의란 현 중국공산당의 노선・방침・정책의 기조로서 직접적으로는 ‘덩 샤오핑(鄧小平)이론—실사구시實事求是사상’에 토대를 둔다. 따라서 본고는 덩샤오핑 이론의 전후맥락을 추적해 베이징 컨센서스의 원천, 즉 중국특색 사회주의의 혁명사・ 사상사・문화사적 실체와 그 전개양상을 검토했다. 또한 그에 대한 독법의 하나로 세계 최대의 현실사회주의와 베이징 컨센서스라는 성장모델을 만들어낸 사회주의의 중국화 실험이 전통사상에 뿌리를 둔 실사구시, 실용주의, 인민주의(민본사상), 소강小康사상 등을 매개로 전개되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연구진행은 선행적으로 마오쩌둥(毛澤東) 시대와 연결되는 사회주의 중국화의 배경 속에서 덩샤오핑이론이 차지하는 담론사적 위치를 파악했다. 그런 다음에 덩샤오핑이론의 요체인 ‘소과도론’을 재구성해 중국특 색 사회주의의 역동성과 다면성을 관찰했다. 더해서 그 문화적·사상적 토대로서 전통 문화와의 연원관계를 추적・규명함으로써 중국모델의 원천으로서의 의미망을 보다 포 괄적이고 다원적인 시야에서 점검해보았다. This study was planned out to broaden the horizon of a new understanding of Chinese growth models in the 21st century. As the bubbles of the American new economy burst in 2001 and the growth energy of China greatly contributed to the economic restoration of other regions, new light has been shed on the ‘New Asian Age—Beijing Consensus’ under various context. This study joins the argument that the Beijing Consensus originates from Chinese socialism(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which is a heritage of the socialist revolution. So-called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refers to the keynote of routes, principles, and policies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based on the ‘Deng Xiaoping Theory—empirical tradition ideology’. Accordingly, this paper reviewed the revolutionary, ideological, and cultural nature of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and its development aspects as the source of the Beijing Consensus by tracking the context of the Deng Xiaoping Theory. In addition,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experiment on Chineseization of socialism, which generated the world’s largest real socialism and a growth model called the Beijing Consensus, was mediated by empirical tradition, pragmatism, populism(people-oriented ideology), and small tranquility rooted in the traditional ideology. The study was carried out by examining the discursive position of the Deng Xiaoping Theory in the background of Chineseization of socialism, which is connected to the Mao Zedong Era. ‘Small transition,’ the key point of the Deng Xiaoping Theory, was reorganized to observe the dynamics and manifold of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Moreover, by tracking and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with traditional cultures based on the cultural and ideological foundation, this paper inspected the semantic network of the Chinese model in more comprehensive and plural perspectives.

      • KCI등재

        건당 초기 장선푸: 중국특색 사회주의의 맹아 - 혁명노정과 중국화론을 중심으로

        전홍석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2021 韓中關係硏究 Vol.7 No.3

        2000년대 초입 베이징 컨센서스(the Beijing Consensus, 北京共識)가 제기된 뒤로 중국 식 발전모델을 규명하려는 논의가 인문・사회과학 분야에서 다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 요지는 현 중국의 발전양태는 사회주의혁명의 유산인 ‘중국특색 사회주의’에 원천 을 둔다는 견해로 모아지고 있다. 이렇듯 중국식 발전모델을 설명하는 핵심기제인 중 국특색 사회주의는 마르크스주의(Marxism) 중국화 과정에서 서구사상, 전통문화, 실천 경험, 혁명실제 등이 혼종화(hybridization)된 중국경험의 결정체이다. 더욱이 중국특색 사회주의는 중국공산주의운동사에서 마르크스주의 중국화의 전체적인 전후맥락을 포 괄한다. 그럼에도 현재 국내외의 중국특색 사회주의, 곧 마르크스주의 중국화 연구는 대체로 중국공산주의운동사의 제2기에 국한시켜 조명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노정한다. 마르크스주의 중국화는 중국공산당의 건당建黨 초기부터 태동했다. 중국공산당의 3대 창시자로 꼽히는 장선푸(張申府, 1893~1986)가 그 주역 중의 하나이다. 장선푸철학은 오늘날의 중국특색 사회주의를 설명하는 대부분의 핵심명제들을 간직한다. 그것은 현 중국공산당과 국가의 지도이념인 마오쩌둥(毛澤東)사상, 덩샤오핑(鄧小平)이론 등으로 이어지는 마르크스주의 중국화의 유전지도라고 할 수 있다. 장선푸는 20세기 전반 혁 명노정路程 속에서 일찍부터 ‘실實’사상에 입각해 실사구시實事求是를 제시함은 물론, 중국화에 대한 비교적 선명한 의식과 실질, 구체화, 전통문화와의 결합, 공농工農혁명, 실재적 인간관, 인식과 실천의 관계, 자각능동성 등을 개진했다. 베이징 컨센서스와 그 원천으로서의 중국특색 사회주의를 고찰할 때 장선푸를 호명하고 반추해야 하는 이유이다. After the Beijing Consensus was raised in the early 2000s, there have been multilateral discussions in the fields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o investigate Chinese development models. The essence of such discussions is rooted in ‘Chinese style socialism,’ which is a legacy of the socialist revolution. Chinese style socialism, the core mechanism that explains Chinese development models, is the outcome of Chinese experience that hybridizes the Western ideology, traditional culture, practical experience, and actuality of revolution in the chinization process of Marxism. Moreover, Chinese style socialism embraces the overall context before and after the Chinization of Marxism in the history of Chinese communist movements. Nonetheless,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on Chinese style socialism or Chinization of Marxism expose limits in that they are restricted to the second stage of the history of Chinese communist movements. The Chinization of Marxism began in the early stage of foundation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Zhang Shenfu(1893~1986) is one of the leaders depicted as one of the three founders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The Zhang Shengfu philosophy includes most of the core propositions that explain Chinese style socialism of today. His philosophy can be regarded as the genetic map of Chinization of Marxism, which leads to the national guiding philosophies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such as the Mao Zedong Thought and Deng Xiaoping Theory. Zhang Shenfu proposed to seek truth from facts based on the realist ideology from the early days amid the revolution journey in the early 20th century, expressing a relatively clear awareness of Chinization, embodiment, combination with traditional culture, revolution of workers and peasants, real human views,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and practice, and active self-awareness. For these reasons, Zhang Shenfu must be called and reminded when discussing the Beijing Consensus and Chinese style socialism as the source of the Beijing Consensus.

      • 중국 경제사회에 대한 인식과 재인식

        민성기(Min, Sung Ki)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人文科學硏究 Vol.38 No.-

        The recent emergence of Beijing consensus has came from the recognition of China"s influence in world economy as well as its political nd societal development model. Since Beijing consensus itself does not aim to build up a universal form of development model, it is quite inappropriate to criticize that it lacks in universality in comparison with western"s Washington"s consensus. Rather. it is quite meaningful to recognize and understand the context where Beijing consensus is engaged and consequences that it brings about.

      • KCI등재
      • 글로벌 금융위기와 개발협력 -개발 패러다임 이동과 동아시아 "개발국가"

        강선주 ( Seon Jou Kang )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2011 세계정치 Vol.15 No.-

        글로벌 금융위기가 가져온 세계적 권력관계의 변화는 ``어떤 방식으로 개도국을 지원할 것인가``를 규정하는 개발원조 패러다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개발원조를 제공하는 국가들은 정도 상의 차이는 있지만 개발원조를 다양한 국의 중대 수단으로 활용하고, 개발원조 패러다임은 개발원조 제공국이 개발원조를 자신의 목적을 위해 이용하는 것을 정당화시켜주는 수단이 되므로 국제적 경쟁 대상이 되어왔다. 글로벌 금융위기로 서구 지도력의 정당성 훼손, 개발원조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 제약, MDG(s) 빈곤퇴치의 실망스런 결과가 새로운 개발원조 패러다임으로의 이동을 촉진한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새로이 등장할 개발원조 패러다임은 국가주도 경제성장을 반영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한 경우에 특히 ``베이징 컨센서스(Beijing Consensus)`가 부상할 가능성이 있다. 베이징 컨센서스는 채택 가능한 경제정책을 담고 있지는 않지만 개발에 있어서 주권과 자율성 인정 국가 개입주의를 정당화 시켜주는 유용한 정치적 선언을 담고 있다. 국제적 고려 가치가 있는 좀 더 보편적인 개발원조 패러다임은 동아시아의 ``개발국가(developmental state)`일 수 있다. 동아시아의 개발국가는 중립적인 개발 계획을 수립, 실행할 수 있는 정치재도시로서 경제개발에 효과적임을 경험적으로 증명하였기 때문에 채택 가능한 개발원조 패러다임입니다 그러나 동아시아에서 개발국가의 성공은 이들 국가들의 특수한 역사적, 정치적, 사회적 여건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경제개발 명목하에 권위주의체제와 결합하였다는 약점을 갖고 있음에 유념해야 한다. 그러므로 개발을 절실히 필요로 하는 다수에게 실효성 있는 새로운 개발원조 패러다임의 형성은 과거의 독주와 베타성에서 벗어나 서구와 신흥개도국들이 공존과 개방성에 기초하여 타협하는 정도에 달려 있다. A new global power structure emerging in the wake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s likely to affect the development paradigm which determines how foreign aid is conducted. While in varying degrees, donor countries have used foreign aid for their strategic interests and accordingly competed to establish development paradigms that would justify their behavior in foreign aid. Now paradigm shift is being called for as the Western developed countries have lost legitimacy in development issues and laced difficulties in increasing foreign aid, and as the MDG(s) have produced less than satisfactory results in poverty reduction. A new development paradigm likely to emerge after the crisis may embrace state-led economic growth as being preferred by developing countries. Under that circumstance, the Beijing Consensus in particular is likely to win support although it does not contain specific policy prescriptions but a political message of sovereignty and autonomy over development and state interventionism. A more viable development paradigm would be the developmental state of East Asia. The East Asian developmental state has proven to be an effective institution that promoted neutral planning and implementation, However, it should be noted at the same time that the East Asian development experiences emerged from a set of unique historical circumstances, which would be difficult for contemporary states to replicate and that the East Asian developmental state has been based on non-democratic political regimes. Therefore, it will depend on practical compromise between the Westem developed countries and emerging economies whether or not an effective development paradigm emerges to help those who are in desperate need of development.

      • KCI등재

        중국의 외국인직접투자(FDI)와 중국식 발전모델

        이민자 (李民子 LEE Min-Ja)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9 신아세아 Vol.16 No.2

        중국 경제개혁의 특징은 ‘외국인 직접투자(FDI: Foreign Direct Investment)’를 중심으로 수출주도형 경제발전을 추진하여 고도성장에 성공한 것이다. 중국 FDI에 관한 기존연구는 경제발전의 시각에서 순기능과 역기능을 설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2001년 이후 중국의 FDI 정책이 변화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이며, 이런 FDI 정책 변화를 ‘중국식 발전 모델’의 시각에서 어떻게 볼 수 있는지, FDI가 중국의 사회․정치적 변화의 차원에서 어떤 함의를 지니는지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졌다. 이 논문은 1992년부터 2001년 WTO 가입 이전까지 FDI 의존적 발전, 2001년 이후 FDI 개방 확대, FDI 우대정책 폐지 및 관리 강화라는 정책변화를 ‘중국식 발전모델(Beijing Consensus)’의 시각에서 연구한다. 핵심 문제의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아시아국가들이 차관 의존적 발전을 한 것과 달리 중국은 1992년 이후 왜 FDI 의존적 발전방식을 선택했는가? 둘째, 2001년 이후 FDI 정책 변화의 핵심 내용은 무엇이며 왜 이런 변화가 발생했는 가? FDI 정책 변화는 ‘중국식 발전모델’의 시각에서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가? 셋째, 중국정부의 FDI 정책이 중국의 민주화를 지연시키고 공산당 통치체제 유지에 기여했는가? 이런 의문들에 대한 해답을 찾는 과정을 통해 중국의 ‘경제개혁 심화’와 ‘공산당체제 유지’를 중국식 발전모델의 특징으로 설명하고 있다. Chinese economic reform has successfully accomplished high growth of economy by adopting export promotion policy on the basi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FDI). Studies about Chinese FDI policy, until now, have focused on good and bad effects on economic development. There has not been enough research on the cause of Chinese FDI policy change after joining WTO in 2001, its relations to Chinese development model, and the influence of FDI policy on socio-political change. This study focuses on Chinese FDI policy change on the basis of Beijing Consensus: i. e., FDI dependent development from 1992 to joining WTO in 2001, open-door policy for FDI after 2001, and the abolition of preferential policy for FDI and intensification of management. I raised four questions in detail. First, why China chose FDI dependent development after 1992 while other East Asian countries chose foreign loan dependent development? Second, what was the contents of main change of FDI policy after 2001 and the meaning in terms of Chinese development model, and what was the reason? Third, did Chinese FDI policy change contribute to sustain the governing of communist party and to delay democratization? Answering these questions, I explained Chinese ‘strong economic reform’ and ‘the sustenance of communist party system’ as the special feature of Chinese development model.

      • KCI등재

        중국의 대아프리카 소프트파워 외교와 경제협력

        유동원 ( Dong Won Yoo ) 한중사회과학학회 2010 한중사회과학연구 Vol.8 No.2

        This paper aims to deal with the argument on China`s soft power by making an analysis of her economic cooperation with Africa. China`s presence in and other links to Africa have expanded greatly during the current decade. Seeking new markets for its export-driven economy and unimpeded access to Africa`s abundant natural resources, China lavishes African leaders with financial and commercial aid. Beijing is building ties with African energy suppliers through investment, aid, and a strict policy of "noninterference in internal affairs" that Africa`s strongmen find comforting. China has invested billions in resource development and infrastructure-and written off billions more in debt-to help build cozy relationships with dozens of African countries. So in parts of Africa, the so-called "Beijing consensus" on authoritarian government plus a market economy has become more popular than the previously dominant "Washington consensus" of market economics with democratic government. China has reinforced this attraction by economic aid and access to its growing market. Chinese policies are supporting African dictatorships, hindering economic development, and exacerbating conflicts and human rights abuses in troubled countries such as Sudan and Zimbabwe. So there is limitation in China`s soft power because of aid problems.

      • KCI등재

        중국 발전모델의 특징 - 동아시아 발전 모델과의 유사성과 차이점 분석

        이민자(李民子)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8 신아세아 Vol.15 No.1

          그동안 중국 국내외에서 개혁기 중국 경제발전 방식은 기존 경험과 얼마나 유사하며, 다른가라는 논쟁이 제기되었다. 중국 발전모델은 동아시아 발전모델의 또 다른 한 형태라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다. 그러나 2004년 베이징 컨센서스(Beijing Consensus) 개념이 제기된 후, 새로운 ‘중국 발전모델’의 출현에 관한 논의가 주목받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중국 발전모델을 ‘동아시아 발전모델’과 비교하여 그 유사성과 차이점을 분석함으로써 중국 발전모델의 적실성 혹은 실체를 밝히고자 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중국 발전모델은 동아시아 발전모델과 유사성을 지님과 동시에 동아시아 발전모델로는 설명할 수 없는 중국적 특수성이 있다. 따라서 동아시아 모델과의 유사성 및 중국적 특수성이 공존하는 혼합적 발전 방식이 바로 ‘중국 발전모델의 특징이라 설명했다.   There have been debates over Chinese economic development pattern whether it is similar with former development pattern of other countries or not. Some scholars contended that Chinese development model is another version of East Asian development model. Since the concept of "Beijing Consensus" was presented in 2004, however, scholars have given attention to the new Chinese Development Model.<B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Chinese Development Model and East Asian development model. The findings are Chinese Development Model has its own particularity which cannot be explained by East Asian Development model although it has some similarity. Consequently, Chinese Development Model is a mixed model where Chinese distinctiveness and general aspect of East Asian Development model coexi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