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國 古代 木簡의 分類 方案

        김재홍 한국목간학회 2022 목간과 문자 Vol.- No.28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number classification of ancient Korean wooden documents by stage after being excavated from the ruins and storing them in a storage(relic storage), and classifies the types of wooden documents based on the planar conformation. Tho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promote the convenience of search by identifying the appearance of wooden documents, and to prepare a classification standard of wooden documents. The classification plan between wooden document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number classification and type classification. The number of wooden documents is a classification that easily identifies the wooden documents with the name of wooden documents, and it is numbered step by step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wooden documents will be given numbers such as ①The location number of the excavated site, ②The number of the organization, ③The number of the report, and ④The number of national attribution number(official number goven by the country). The type classification of wooden documents set up on consideration of the planar conformation, the upper and lower(upper and lower ends), and cross-sectional shape. Considering the planar conformation of the wooden documents, it was classified into Ⅰ: elongated square type, Ⅱ: bar type, and Ⅲ: crumb type for set as a standard. 이 글은 한국 고대 목간을 대상으로 유적에서 출토된 이후 수장고에 수장하는 단계별로 번호 분류의 의미를 살피고 평면 형태를 기준으로 목간의 형식을 분류하였다. 이를 통해 목간의 외형적인 특성을 파악하여 검색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목간의 분류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목간의 분류 방안은 크게 번호 분류와 형식 분류로 나눌 수 있다. 목간의 번호는 목간의 명칭과 더불어 목간을 쉽게 파악하는 분류 방식이며, 정리하는 과정에서 단계별로 번호가 부여된다. 목간은 ①출토 위치 번호, ②정리(임시) 번호, ③보고서 번호, ④국가귀속번호 등의 번호를 부여받게 된다. 출토 위치 번호는 목간의 출토 위치와 층위를 표현한 번호로서 학문적인 자료로서의 지위를 부여 받는다. 목간의 최종적인 번호는 소장 기관의 수장번호를 반영하는 국가귀속번호이며, 목간의 번호 분류의 기준이 되어야 한다. 목간의 형식 분류는 평면 형태와 상·하단 형태, 단면 형태 등을 고려하여 설정하였다. 먼저 목간의 평면 형태를 고려하여 Ⅰ: 장방형, Ⅱ: 봉형, Ⅲ: 부스러기로 분류할 수 있다. Ⅰ: 장방형의 하위 단위로 상단 형태는 알파벳 대문자, 하단 형태는 알파벳 소문자로 세분할 수 있으며, Ⅱ: 봉형의 하위 단위는 단면 형태를 기준으로 아라비아 숫자로 표현한다. 폐기 시의 상황을 고려하여 파손은 ‘×’로 표현하여 현존 상황을 나타낸다

      • KCI등재

        실생활에 적용된 분석합성식 분류기법의 사례에 관한 심층적 분석

        오동근,Oh, Dong-Geu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2 No.2

        이 연구에서는 분석합성식 문헌분류이론이 실생활에 적용되어 활용되고 있는 사례들을 찾아 이를 새로운 시각에서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한글의 초성과 중성, 종성의 합성 사례와 함께, 대구광역시 및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번호, 주요 결혼관련업체의 회원정보, 부동산중개 및 경매관련정보, 우편번호와 광역전화통화권역(DDD) 번호 등의 사례를 문헌분류의 시각에서 분석해보고 그것이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분석합성식 분류이론과 그 기법을 적용할 경우 특히 각 시스템의 기호법의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This article tries to analyze some examples applied the analytico-synthetic classification techniques found in the practical life. For this purpose, it selected and investigated the cases of the combination rules of the Hangeul, the number systems of the city buses of Daegu and Seoul Cities, information of the members of the wedding consulting agencies, information from real estate agents and court auction, and postal codes and direct distance dialing(DDD) numbers in Korea. It suggests that applying the analytico-synthetic classification techniques to the systems can improve them especially in the regards of notational systems.

      • KCI등재

        신중한 분류기와 학습 예제 가중치 조정을 이용한 차량번호판인식시스템의 인식성능 향상 방안

        백남철(Baik Nam Cheol),이상협(Lee Sang Hyup),류광렬(Ryu Kwang Ryul) 대한토목학회 200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6 No.4D

        차량번호판인식시스템은 무인 카메라 등의 영상장치를 통하여 입력된 차량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판 정보를 읽어내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차량번호판인식시스템의 응용 시스템 중 과속차량 단속과 같은 일부 응용 시스템은 번호판의 글자나 숫자를 다른 글자나 숫자로 잘못 인식할 경우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해 우리는 인식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낮은 경우 인식을 포기 또는 위임하는 ‘신중한 분류기(Cautious Classifier)’를 이용하여 인식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또한 학습 예제의 가중치를 조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이러한 신중한 분류기의 성능을 향상시켰다. Vehicle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reads information from vehicles license plate using image detection devices. Of many applications provided by Vehicle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some, such as speed enforcing system, can be problematic when the system incorrectly scans letters or numbers from a vehicle's license plate. Using Cautious Classifier avoids such problems by discarding the scanned information when the confidence level is doubted to be low. This study develops the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using Cautious Classifier and investigates effectiveness of applying the Weighted Instance Metho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Cautious Classifier.

      • KCI등재

        한국 출토 목간의 분류와 정리 및 표준화 방안

        이재환 한국목간학회 2019 목간과 문자 Vol.0 No.23

        Since studies on wooden documents excavated in South Korea have been advanced, issues regarding ‘standardization’ and ‘systematization’ were raised in terms of organizing and categorizing wooden documents. However, they were still individual proposals, so it was not possible to draw conclusions by exchanging opinions constructively. First of all, the definition of ‘wooden document’ is not fully agreed on yet. Even the quantity of wooden documents in South Korea can vary widely according to the definition. In the past, wooden document was often defined based on the purpose or form of it. But figuring out the creator’s intent or guessing its purpose without text can be arbitrary. Therefore, I propose to define wooden document as “wooden item on which text has written” and to add a provisory clause such as “except one made for printing and stamping”. The number that identifies each wooden document is the name of it. Making easy to identify and search, that is why numbering fundamentally. Therefore, we should not give the same name to different wooden documents, and should not give several names to one wooden document. So far, it has been very confusing to identify wooden documents in Korea, for one wooden document has more than three names. The most basic direction is to follow the number in the excavation report, but it is not possible practically because a lot of research are carried out on excavated wooden documents before the publication of the excavation report. As a general rule, it should be recommended to use the number assigned at the initial disclosure in all subsequent studies, catalogs, reports, etc. Nevertheless, the manner to display the assigned numbers may also vary. It can lead to confusion in search in the future.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Wooden Documents must list all the numbers and titles used for wooden documents so far, and specify the standard notation in the journal each year. The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should also be established by the society. And categorization criteria are not uniformed yet, so they vary from researcher to researcher. I proposed a code system by appearance for wooden documents in this paper. More important than proposing a criterion or method is the further discussion and conclusion. In Korea,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Wooden Documents could be the center for those discussions. Through the process of ‘consensus’ and ‘accreditation’, standardized results would be produced soon, I hope. 한국 목간의 연구가 본격화되면서 그 정리나 분류에 있어서 ‘표준화’나 ‘체계화’에 대한 문제 제기도 나오고 있지만, 아직 본격적인 의견 교환 및 결론 도출에 이르지는 못하였다. 우선 ‘목간’의 정의조차 충분히 합의되지 못한 상태로서, 정의에 따라 한국 출토 목간의 수량 파악 자체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기존에는 제작 의도나 형태에 기반하여 목간을 정의한 경우가 많았는데, 이 경우 의도 파악이나 묵서가 없는 목제품의 성격 추정에 있어서 자의성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에 ‘文子가 書寫된 木製品’으로 정의하고 ‘捺印·印出을 위한 것은 제외한다’ 등의 단서를 부가할 것을 제안한다. 각 목간들을 식별할 수 있게 해주는 일련번호는 그들의 이름에 해당하는데,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근본적 의의는 식별과 검색의 용이성이라는 측면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하나의 이름이 여러 개의 목간에 부여되거나, 하나의 목간에 여러 개의 이름이 붙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하겠다. 지금까지 한국의 목간 정리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는 하나의 목간에 여러 개의 이름을 붙여 버렸다는 점이다. 가장 기본적인 방향성은 발굴보고서의 일련번호를 따르는 것이겠지만, 현실적으로는 발굴보고서가 발간되기 이전에 이미 해당 유적 출토 목간에 대한 연구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진행·발표되므로, 발굴보고서 이전 단계의 일련번호가 사용되지 않을 수 없다. 발굴기관에서 목간을 최초 공개·보고할 때 부여한 번호를 원칙적으로 이후의 모든 연구서와 도록·보고서 등에서 가능한 한 바꾸지 않고 사용할 것을 권고해야 하겠다. 일련번호가 하나로 확정되어도 그것을 구체적으로 표기하는 방식이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향후 검색에 있어서 혼란을 가져올 가능성이 있다. 한국목간학회에서 지금까지 공개된 목간들의 호칭들을 정리하고, 표준 표기 방식을 지정하는 표를 학회지에 만들어 싣는 것이 좋겠다. 아울러 한국목간학회의 판독문 범례 및 용어 표준화안 또한 확정될 필요가 있다. 비슷한 유형의 목간을 모을 분류 기준 또한 연구자 별로 각자의 기준을 제시해 둔 정도의 상태이다. 특히 통일이 필요해 보이는 부분은 형태에 따른 분류 방법이다. 日本의 형식 분류를 참조하고, 한국 출토 목간의 특징을 고려한 외형 코드 및 상·하단 형태 코드를 만들어 보았다. 기준이나 방법을 제안하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그 이후 논의의 진행이다. 한국에서 그러한 논의의 주체는 역시 한국목간학회가 되어야 한다고 본다. 어떤 식으로든 ‘합의’와 ‘공인’의 절차를 거쳐, 빠른 시일 내에 많은 연구자들이 따를 만한 표준화의 결과물이 만들어져 나오기를 희망해 본다.

      • KCI등재

        자동차 제원 DB를 활용한 도로교통량 조사방안 연구

        김지민,오동섭 한국ITS학회 2023 한국ITS학회논문지 Vol.22 No.2

        도로법에 의거한 도로교통량 상시조사는 매설식 AVC를 통해 12종 차종분류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매설식 AVC 장비는 차량과의 마찰, 도로 균열, 소성변형, 도로공사로 인한 센서 의 물리적 파손 등으로 인해 장비 가동률이 낮고, 수집 정보의 정확도와 신뢰도 저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로인해 장비보수 등 유지비용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자 비매설식 AVC 장비 도입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차종을 분류하기 위해 복수의 장비 또는 교통량 정보 매칭을 위한 별도의 DB 구축·운영이 필요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관리법에 근거하여 운영 중인 자동차관리정보시스템(VMIS)의 차량 제원 정보와 번호 판 자동인식 기술(ANPR)을 활용한 12종 차종분류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도로교통량 조사체계를 개선하고 자동차 제원 정보를 활용하여 친환경 차량 분류 등 도로교통 량 통계 고도화, 다변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urrently, the permanent road traffic volume surveys under Road Act are conducted using a intrusive Automatic Vehicle Classification (AVC) equipments to classify 12 categories of vehicles. However, intrusive AVC equipment inevitably have friction with vehicles, and physical damage to sensors due to cracks in roads, plastic deformation, and road construction decreases the operation rate. As a result, accuracy and reliability in actual operation are deteriorated, and maintenance costs are also increasing.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ITS technology, research to replace the intrusive AVC equipment is being conducted. However multiple equipments or self-built DB operations were required to classify 12 categories of vehicle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prepare a method for classifying 12 categories of vehicles using vehicle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VMIS), which is collected and managed in accordance with Motor Vehicle Management Act.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o be used to upgrade and diversify road traffic statistics using vehicle specification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a road traffic survey system using Automatic Number Plate Recognition(ANPR) and classification of eco-friendly vehicles.

      • KCI등재

        훈련예제 병합을 이용한 자동차 차량번호판 문자인식 성능 향상 방안

        백남철(Baik Nam Cheol),이상협(Lee Sang Hyup),류광렬(Ryu Kwang Ryul) 대한토목학회 200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6 No.3D

        자동차 수의 급증으로 야기되는 교통혼잡, 교통사고, 주차난 등의 많은 문제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제한된 인력과 비용을 사용하는 자동차 관리가 필수적인데 이를 위한 많은 연구들이 국내외적으로 현재 진행되고 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여러 연구 분야 중에서 특히 자동차의 차량번호판인식 기술은 법규위반 차량 식별, 통행료 징수, 자동차세 징수, 도난ㆍ도주 차량 확인 및 주차 관리 등의 많은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자동차의 차량번호판 문자 인식 문제와 같이 훈련예제 수집 비용이 많이 드는 경우에 제한된 수의 훈련예제를 최대한 활용하여 분류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수집된 훈련예제들로부터 가상의 예제를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예제를 훈련예제로 추가하여 학습하는 여러 연구가 수행된 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번호판 문자 인식의 성능 향상을 위해 수집된 예제들을 적절히 병합하여 가상의 예제를 생성하는 방안에 관해 기술하고, 문자인식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여러 알고리즘에 대하여 다양한 가상예제 생성방안 및 다양한 생성비율에 따른 실험을 통해 그 효용성을 확인한다. To cope with traffic congestion, traffic accidents and lack of parking facilities, caused by dramatic increase in total vehicle number, vigorous researches on managing vehicles efficiently are done,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e vehicle license plate recognition makes effective management of traffic possible, with its wide application in many fields, covering from speed enforcement, collecting toll, stolen vehicle detection to parking management. The vehicle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causes high cost for collecting training data. Many researches are done by using the virtual sample method, which can be effective for utilizing limited number of training data by generating virtual sample. This paper investigates technique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vehicle license plate recognition by using the training data's annexation. Also, popular methods for virtual sample creation used for text recognition algorithm are analyzed and their effectiveness is verified.

      • 전통의료 ‘경험지’의 의료문화사적 가치와 집성 및 활용방안

        박경용(Bak Gyeong-Yong)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9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2 No.2

        이 글의 목적은 원로 전통의료 전문인들이 평생 동안 의약업을 해오는 과정에서 축적한 전통의료 ‘경험지’의 문화적 가치를 살펴본 후 연구와 집성 및 활용방안을 모색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원로 한의약업인들을 만나 의약업 생애사와 전통의료 경험지를 구술로 채록하고 소장 문서나 물증 등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전통의료 경험지는 환자 집증과 처방,한약 조제, 약물과 침구시술 등 의료 실천과정에서 오랜 시간 동안 체득하여 축적한 경험지식과 기술을 의미한다. 경험지는 과학적 검증과 공론화 과정을 거치지 못함으로써 사회적으로 공인되어 있지는 않지만, 무형의 문화유산으로서 전통의료 지식과 기술의 집적과 보존에 나아가 이를 전승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으로는 특정 부문에 탁월한 치료효과를 나타냄으로써 국민보건에 기여하고 새로운 치료 기술과 한방제제 개발의 원천이기도 하다. 전통의료 경험지 연구를 위해서는 장기간 한 분야에 종사해온 한약업사나 한의사, 침구 사, 채약인, 민간치료사 등을 발굴할 필요가 있다. 이들을 통해 의약업의 구술 생애사와 전통의료 경험지를 채록하고, 관련 문서나 물증 등의 소장 자료를 수집한 후 모든 자료에는 분류번호와 더블린코어를 부착하여 디지털 형식으로 집성한다. 이들 집성자료들은 학술적 분석 및 과학적 검증을 통해 회술자료의 생산과 한의학 이론 구축에 나아가 새로운 치료기술 및 한방제제 개발의 원천으로 활용 가능하다. 교양방송 및 교육용콘텐츠로 제작하여 일반인에게 건강정보를 제공하고 학생들에게는 교육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 전통의료 경험지는 의료문화사적 가치가 크고, 집성을 통한 활용가치도 상당하다. 무형의 민족문화자산으로서의 전통 보존과 계승 차원에서도 이의 연구는 시급하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ultural value of the experience knowledge in traditional medicine and the plan for data archiving and practical use. For this, I recorded oral data and collected a series of real materials and documents, concerning of the every day"s lives of traditional medicine business. ‘Experience knowledge’ in traditional medicine is a knowledge and skill that senior of a herb and an Oriental medicine have accumulated in various medicine practices for a long time, diagnosis and recipe, making drag, acupuncture & moxibustion etc. Though it is not approve of explicit knowledge by a scientific test or an official debate, it have been preserved and handed down next to next as an u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it have been used of a creative source of a new therapy technique and a herb drag, because of excellent healing effects in special part. We must research and archive the experience knowledge in traditional medicine in form of a digital method, erecting senior one as key informants and collecting oral data, document and real material. For taxonomy and distinction, index of data, we must label a taxonomy number and dublin core of each data. The experience knowledge in traditional medicine has a large value in the succession of medicinal culture and it"s practical use. Therefore we can produce research reports and Oriental medicine theory and use as a source of a new therapy technique and a herb drag. Furthermore, we can use it as contents for broadcasting and education so as to provide the information of health and culture. Especially, it is necessary for us to research the experience knowledge’ in traditional medicine in behalf of preservation and succession of the tradition of national culture.

      • KCI등재

        대륙별 메가 스포츠 이벤트 개최가 수출에 미치는 영향

        이지원 ( Ji Won Lee ),허정 ( Jung Hur ) 한국국제통상학회 2013 국제통상연구 Vol.18 No.3

        본 연구논문은 대륙별 메가 스포츠 이벤트를 개최하는 것이 개최국의 수출량 증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중력모형을 이용하여 실증 분석한 논문이다. 기존의 연구논문에서 확인한 세계 올림픽 개최의 수출량 증대 효과가 과연 대륙별 메가 스포츠 이벤트를 개최하는 데에서도 발견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Rose & Spiegel (2011)에서 논의된 소위 스포츠 이벤트 개최의‘신호 효과’의 실재 여부에 대해서 검증하였다. 추가적으로 한국의 경우1986년과 2002년 아시안 게임 개최와 1988년에 하계 세계 올림픽 개최가 수출량의 증대를 발생시킨 것으로 추정되어 한국의 경우에도 메가 스포츠 이벤트의 신호효과가 발생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관찰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regional mega sports events on exports of host countries, using gravity models. The previous study by Rose & Spiegel (2011) showed the positive effect of World Olympic Games on trade of host countries. We extended this idea to show so-called “signal effect”of mega sports events at the regional levels on host countries` export performances. In addition, we observed that the Korean exports has been positively affected by the series of Asian Game hosted in 1986 and World Olympic Game in 1988, and the recent one, 2002 Asian Game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