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말 소설의 중국어 번역에서 나타나는 미적 요소의 재현 문제 -신경숙의 ≪외딴방≫(≪단인방(單人房)≫)을 중심으로-

        최은정 영남중국어문학회 2011 중국어문학 Vol.57 No.-

        本論文通過申京淑的≪외딴방≫及其中譯本≪單人房≫的比較分析, 試將小說飜譯領域中審美效果的再現問題分成三個方面進行說明。第一, 敍述形式。≪單人房≫是典型的元小說。其最突出的特點就是單人房時代的過往故事與現在時間相互交織, 交替進行。령外, 多樣的敍述體裁的揷入而引起了時間的分節。飜譯過程中, 使人難爲的就是這些不同時間段的區分與揷入內容的判斷。於是, 沒有任何標志表示時間, 而先後脈絡來判斷不同的時間段時, 就産生了一些誤譯和理解上的混亂。第二, 文體飜譯。因≪외딴방≫在創作過程中語言表達方式偏離於一般普通的使用方式, 使其在文體上獨具一格。但中譯本中有相當一部分是根據規範的語言習慣編譯的。병且, 在忽視了內容和形式不可分割的情況下, 加之采用了省略或著句式變形等飜譯策略, 不僅導致了文體效果上的損失, 還導致了意義上的殘缺。最後, 在談話飜譯過程中, 因沒有引用符號或者特別的提示語, 發生了說話人或者動作主題被誤認的情況。若說, 從語言學的角度符合語法而비漏較少的飜譯稱爲老實的飜譯, 那마≪單人房≫可以算其一。這樣老實的飜譯以傳達信息爲主的非文學文本裏當然要追求的目標。但是, 在應該考慮原作的審美效果的文學文本中, 値得我們仔細斟酌的部分還有흔多。령外, 從≪單人房≫中出現的飜譯問題上看來, 我認爲對於將要飜譯的作品, 譯者的仔細閱讀是極爲重要的。譯者完全把握源文本的審美特點和作者的意圖時, 原作和譯本之間的距離會有縮短的可能性。

      • KCI등재

        Two Basic Patterns of Translator Activation

        Chu Dongwei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2010 통번역학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번역사 활성화(translator activation)에 관한 기본 가정에서 출발하여 6명의 잘 알려진 중국 번역가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일반적인 번역사 양성 방법 두 가지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인생의 어떤 시점에서 개인의 번역 능력이 향상되고 이것이 외부요소와 함께 작용하여 번역사가 탄생하게 된다. 즉, 번역사가 활성화되는 것이다. 중국 근현대의 유명한 번역사 여섯 명의 인적사항을 살펴봄으로써 번역사 활성화의 빠른 패턴(quick pattern)과 느린 패턴(slow pattern)의 두 가지 기본적인 패턴을 설명할 수 있다. 일부 번역사의 경우에는 “성장하는” 과정에서 번역사로서의 잠재력이 키워져 일단 동기가 부여되면 이와 같은 번역 에너지가 표출된다. 다른 번역사들의 경우에는 언어 연습의 일환으로 번역을 시작하거나 번역사로서 완벽한 역량을 키우기 전에 우연히 번역을 시작하게 되는데, 이들은 번역사로서 성숙하기 위해 보다 오랜 과정을 거친다. 두 가지 패턴 모두 결국에는 우수한 번역 역량으로 이어질 수 있다. 여러 개인이 어떤 활성화 메커니즘을 거쳤는지 밝혀내는 데는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들이 있다. 그러나 번역사 활성화의 기본 패턴을 이해하는 것은 번역학 연구, 특히 번역사의 훈련이나 교육에 있어 중요하다.

      • KCI등재

        기독교 용어의 번역과 사상의 토착화 연구 - 음역어 ‘예수’와 의역어 ‘하님’을 중심으로 -

        유경민(Yu Kyung-Min) 우리말학회 2020 우리말연구 Vol.60 No.-

        번역 성경의 독자는 성경 원문을 해석하고 이해한다기보다는 번역어를 기준으로 해당 언어의 사전에 풀이된 의미나 번역된 단어가 갖는 일상적인 의미로 성경을 이해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번역자들은 서양 문화권의 사상을 자신들이 아직 잘 모르는 동양 문화권의 언어로 어떻게 표현하느냐에 대하여 고민이 깊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 의식은 번역을 위해 번역자들이 새로운 단어를 만들거나 먼저 번역 성경이 출판된 다른 언어권의 용어를 도입하는 방식보다는 해당 문화권에 익숙한 기존의 단어와 문체를 활용하여 번역하는 토착화 방식을 취하는 배경이 되었을 것이다. 번역 초기의 번역자들은 해당 문화권에 새로운 것을 전달하는 사람인 동시에 자신들에게 낯선 문화권의 언어와 사상을 그 누구보다 성심껏 배우는 학습자들이기도 했다. 이는 사상과 의미의 전달을 언어적 번역으로 완성시켜야 하는 사역자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선교사들의 선교지 언어에 대한 연구와 성경 번역은 해당 언어에 생명을 불어 넣는 작업이다. 번역은 일상 언어의 연구, 언어의 표준화, 의미의 상세화, 맞춤법 등의 문제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주시경, 장지영 등 초기 한국어 문법의 기틀을 잡았던 국어학자들이 서양 선교사들의 한국어 연구 결과물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20세기 초에 우리에게 학문성의 영향을 줄 수 있는 사람들은 많지 않았고, 특히 언어 연구에 있어서는 일본의 영향을 받지 않고자 하는 목표성이 뚜렷했기 때문이다. 유학자 중심의 한문과 어려운 국한혼용문이 문자 생활의 주류를 이루던 사회에서, 또 일본어가 기능적으로 더 지배력을 갖던 시대에 한국어 성경 번역은 우리에게 한글 사용의 긍지와 한국어의 품격을 심어주었다는 역사적 의미를 갖기에 충분하다. 한국어 번역 성경은 한국의 역사 속에서 한국인의 영적 성장을 견인하였으며 현대 한국어의 문체 정착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언어적 번역과 사상의 전달 사이의 유기적인 관계성을 탐구하기 위하여 초기 번역본부터 현대역본까지 대비하며 ‘예수’와 ‘하ᄂᆞ님’을 중심으로 국어사적, 혹은 어휘사적 연구를 진행한다. 일차적으로는 주기도문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표기 양상을 살피고, 주기도문에서 확인된 표기를 신약전서 전체를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이 논문은 언어, 문화, 성경 번역에 관심이 있는 모든 사람들과 관계될 것이다. The Korean people who read the Korean Bible would not interpret it in its original language but understand it in the ordinary or lexical meaning of its translated word. This caused the translators of the Bible into Korean language to suffer from the trouble of how to express the thought of their western culture in the language of oriental culture. This fact must have been a factor that motivated the translators, rather than to invent some new terms or employ the words of foreign cultures, to choose the method of linguistic contextualization in which they translate the Bible with the words and expressions and the aboriginal style of writings so familiar to the Koreans. The early translators of the Korean Bible were, obviously, foreigners who had to deliver something new in their culture for the Koreans and also to learn the language and thought of the Korean culture that was so unfamiliar to them, in order that they could realize the delivery of western thought to the Koreans via the linguistic translation. This paper exams the indigenous languages of the missionaries in early modern Korea as found in their Korean translation of the Bible. A translation is to breath into the native languages the breath of life. It directly involves in the issues of languages standardization, semantic mapping, orthography and so forth. Regarding this, it is obvious that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done by the missionaries had influenced the scholars of Korean language, who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Korean grammar in its early stage, because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ere were only a handful of people who affected to our scholarship on Korean language and also because the Korean scholars of that time would not get any aid or influence from Japan in the field of linguistic study.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Bible has a great historicity that it provides us with the pride of using Korean and the dignity of Korean, especially in the time when the Chinese language of the Confucian scholars and the complicated Korean-Chinese characters were mainly used, and when Japanese language prevailed in linguistic function.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Bible did not just drive the religious or spiritual growth of the Koreans but also strongly impacted the modern style of writing in Korean to be settled. This paper intends, for seeing the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the delivery of thought and the linguistic translation, to examine the Lord s Prayer as the standard prayer in Christianity, comparing the various versions of the early Korean Bible, with the hope that this study will show the historical transition of Korean language in them. This study is immediately relevant to anyone interested in language, culture, and Bible translation.

      • KCI등재

        번역의 자리: 사르트르, 바르트, 리쾨르의 사유를 중심으로

        변광배(Byun, Kwangbai)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2 외국문학연구 Vol.- No.48

        이 글의 목적은 20세기 프랑스의 문학비평 영역에서 활발한 활동을 벌였던 사르트르와 바르트, 그리고 『번역론』을 출간해 번역에 대해 심도 있는 철학적 성찰을 하고 있는 리쾨르의 사유를 한데 묶어 번역이 이루어지는 ‘자리’, 보다 상세하게는 번역이 이루어지는 ‘존재론적ㆍ인식론적 자리’를 탐사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특히 번역학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등가’, 그 중에서도 ‘의미의 등가’ 개념에 주목하고자 한다. 사실 번역에 대해 거의 관심을 보이고 있지 않은 사르트르와 바르트, 그리고 번역에 대해 고유한 사유를 전개하고 있는 리쾨르를 수평적 차원에서 비교, 분석한다는 것은 조금 생경한 시도일 수 있다. 하지만 우리의 판단으로는 과거로부터 내려오는 번역 활동의 오랜 역사에 대한 인정, 이 활동의 행복한 미래에 대한 보장 등을 ‘동일성 없는 등가’ 개념을 바탕으로 규명하고 있는 리쾨르의 번역에 대한 탐구는 사르트르와 바르트 등의 문학비평적 사유, 특히 그들 각자의 ‘저자’ 개념, 혹은 ‘저자의 의도’ 개념을 참고할 때 오히려 더 정확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르트르는 ‘저자의 의도’를 상정하고 있는데, 이 경우 모든 번역은 의미의 결손을 내포할 수밖에 없으며, 극단적으로 말하자면 모든 번역은 틀린 번역이 될 수밖에 없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하지만 이 경우 모든 번역은 더 나아질 수 있는 가능성이 확보된다. 반면, 바르트처럼 ‘저자의 의도’를 부정한다면 이와는 정반대의 상황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리쾨르는 ‘동일성 없는 등가’ 개념을 도입해 이 두 상황을 절충하면서 번역의 ‘자리’를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는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해 번역 행위에 대한 진정한 이해를 위해서는 언어학적 시각을 넘어 해석학, 문학비평, 문학이론 등의 상호학제적 시각의 동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In his text intitled Sur la traduction, Paul Ricoeur asserts that a translator can be happy in his translation only when he abandons the conception of perfect translation. And he also asserts that if a translator wants to be happy in his future work of translation, he must continue translation keeping mind the concept of “l’équivalence sans identité.” But it seems that we must turn to the theory of literary criticism in order to understand this concept more precisely. For this concept is not indifferent to the author’s intention, which is considered as the core of literary criticism. If there is said to be an author’s intention (it is especially the case with Jean-Paul Sartre), all translations might be wrong. It cannot go another way, since every interpretation of a literary work, on which every translation is based, is caracterized by the gap between the author’s intention and the sense that a translator draws from his work. In this case, however, there will be room for improvement in every translation. Everything that applies to those who admit the author’s intention may also apply to those who deny it, but in an inverse direction. If literary criticism denies the author’s intention (particularly in the case of Roland Barthes), all translations might be possible, but there would be no way to judge which translation is better than others. It seems obvious, for there is no criterion to determine that a given translation is closer to the ideal translation than the others. From there issues the necessity for Paul Ricoeur to introduce the concept of “l’équivalence sans identité”. And it seems that he succeeds in setting up the ontological-epistemological place of tranlation. But we should be conscious that by so doing, he relied,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on the ideas of literary criticism of Sartre and Barthes. This is why we can admit the need for interdiscplinary approaches in Translation studies.

      • KCI우수등재

        근대 불교잡지의 번역담론

        김종진(Kim, JongJin) 불교학연구회 2018 불교학연구 Vol.54 No.-

        근대불교잡지 특히 『불교』(1924.7-1933.7)에는 해외의 불교연구, 과학지식, 문학 작품 등 경전의 번역을 넘어서는 다양한 번역이 혼재되어 있다. 또 근대의 변화를 인식하면서 그 시대에 불경 번역의 당위성을 제시하고 방법론을 모색한 불교 지성의 논설이 적지 않게 수록되어 있다. 이러한 정황은 그동안 선행연구자들이 근대불교 지성의 번역에 대한 인식과 당대인의 실천을 소극적으로 파악했던 것에 대한 반성적 고찰을 요한다. 이 시기 전개된 번역담론으로는 권상로의 조선글화엄경을 보고 (불교43호, 1928.1), 백성욱의 역경의 필요는 ? (불교 58호, 1929.4), 김법린의 민중본위적 불교운동의 제창 (일광 2호, 1929.9), 이대문제(일광 3호, 1931.3) 에 대한 김법린과 한용운의 답변, 같은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서 박한영의 설창한화 (일광 3호,1931.3), 한용운의 조선불교의 개혁안 ( 불교 88호, 1931.10) 과 역경의 급무 ((신) 불교 3집 1937.5) 등이 있다. 본고의 2 장에서는 근대불교 번역론에 대한 최근의 연구사를 검토하고 불교잡지 번역담론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3장에서는『불교』를 중심으로 1920-30 년대 불교 잡지의 번역 담론을 조사하고 그 특징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조선글화엄경」(1927, 1928) 간행 이후 박한영, 권상로, 한용운, 백성욱, 김법린 등 불교계를 대표하는 지성들 이 형식적 다양성을 지향하는 번역론을 전개했으며, 문화와 문학적 번역의 가치를 긍정하는 방향으로 논의를 전개했음을 확인하였다. 『불교』를 비롯한 1920-30년대 불교잡지의 번역담론은 백용성의「조선글화엄경」출간으로 촉발되었고 그 논리가 심화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Modern Buddhist journals, especially the magazine Bulgyo (Buddhism) published between 1920s and 1930s contains various translations covering overseas Buddhist research, scientific knowledge, poetry, novels, etc., more than the those of scriptures. These journals also present the various discourses by Buddhist intellectuals on the method of translation. This circumstance requires a reflective review on the fact that previous researchers have passively explored the modern Buddhist leading intellectuals’ view of translation. Therefore, in Chapter 2, this study reviews recent research on the modern Buddhist translations and raises the need for research on translation discourses through Bulgyo. In Chapter 3, this study explores in detail the translation discourses appearing in Bulgyo between 1920s and 1930s and extracted their characteristic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such intellectuals representing the Buddhist world as Park Han-yeong, Kwon Sang-ro, Han Yong-un, Baek Seong-uk and Kim Beop-rin, etc. developed a translation theory aimed at formal diversity and that the discussions were developed in the direction of affirming the value of culture and literary translation. The publication of Joseongeul Hwaeom-gyeong (Avatamsaka Stutra in Korean 1927, 1928) by Baek Yong-seong is followed by active discussions related to the translation work. Bulgyo and other magazines ( 彙報 ) and journals ( 宗報 ) contain articles on Joseongeul Hwaeom-gyeong. Various articles, commentaries, and advertisements of Buddhism were triggered by the publication of Joseongeul Hwaeom‐ gyeong, with the development of logic in depth.

      • KCI등재

        幾點翻譯研究方法論的省思― 以朝鮮時代中國小說翻譯《第一奇諺》為例

        주숙하 중국어문논역학회 2011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29

        본 논문은 조선시대에 중국소설을 번역한 《제일기언》을 예를 들었다. 번역 연구 방법론에 대해 몇 가지 응용되고 있는 흔한 연구 방법들은 실제로는 논리적으로 합리성이 부족하고 번역 연구에 대해서도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이러한 연구 방법의 맹점에 대하여 반성하면서 나아가 더욱 좋은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우선 번역연구의 첫 번째 맹점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즉, 번역활동은 단지 눈으로만 확인할 수 있는 서술행동과 서사 텍스트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번역활동 자체는 번역자가 원작을 읽을 때부터 시작하여 원작에 대한 내재적인 사유, 즉 원작에 대한 인식론, 그리고 원작을 재해석하고, 마지막으로 언어로 「재 서술」하는 것이다. 많은 번역연구들이 시작될 때 흔히 번역 텍스트만 갖고 원문과 번역문을 대조 비교를 하고, 일반적으로 이 단계에서 끝나는 것은 번역활동의 전반을 파악하지 않은 것으로 이러한 제한적인 어학적 방법은 정답을 찾기에는 거리감이 있다고 생각한다. 번역활동의 전체는 번역의 서사 활동뿐만 아니라 번역자의 심리활동까지 포함되어야 번역자와 번역 텍스트에 관한 모든 것을 비교적 바르게 파악할 수 있다. 두 번째는, 원작에 대한 많은 학자들의 견해를 면밀히 이해하여 번역자가 과연 원작의 중심요지에 대하여 어떻게 파악하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맹점에 빠지는 오류를 피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번역 텍스트를 분석할 때 단지 원문과 번역문의 언어적 차이점을 찾는 것도 중요하지만, 어학적인 접근보다는 과연 번역문이 원작의 문학성의 훼손 없이 원 저자의 의도를 충분히 정확하게 전달하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서술방법과 현상을 찾아냄에 있다.

      • KCI등재

        1890년대 프랑스 연극장(場)의 입센 ‘번역’

        오영주(Oh, Youngju)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3 외국문학연구 Vol.- No.50

        20세기 후반기에 괄목할 두 사건이 번역학에서 일어났다. 하나는 원본의 절대적 권위가 와해된 것으로, 그로써 번역을 복제가 아닌 제2의 창조로 간주, 번역이 주체 구성의 실천이라는 점에 주목하게 되었다. 다른 하나는 ‘번역학의 문화적 전이’로, 이후 ‘번역’은 언어 사이의 이동뿐 아니라 그를 둘러싼 역학관계, 문화의 전이와 변용과 혼종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그 지평이 확대되었다. 두 사건이 만나는 지점에서 번역연구는 원본-출발문화와 번역본-수용문화 사이에 암암리에 상정했던 위계를 무너뜨리고 번역주체의 욕망, 의지, 전략과 전술을 강조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번역학에서 이루어진 이러한 논의를 공유하면서, 1890년대 프랑스의 연극장(場)에서 행해진 입센 초기 번역을 고찰한다. 프랑스에서 입센의 소개와 번역은 상당히 늦게 시작되었다. 이는 북구와의 언어 · 문화적 거리 외에 당시 프랑스산(産) ‘잘 짜인 극’이 유럽 전체에서 누리던 호황과 명성 때문이었다. 반면 새로운 연극에 대한 열망에서 비롯된 자연주의 연극 운동이 이론에 버금가는 독창적이고 강력한 작품을 만나지 못한 채 막바지에 달했을 때, 독일에서 이룬 ‘자연주의자 입센’의 쾌거 소식을 접하고 시작된 번역은 텍스트 번역과 무대를 위한 번역 양쪽에서 집중적이고도 동시적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입센이 자연주의 극이 내세운 대항마로 머문 기간은 2년 남짓이었다. 독일과 영국의 자연주의를 추동했던 입센극의 사회비판적 측면이, 프랑스 무대 위에서는 전취되어 있었기에 새롭거나 충격적이지 않았던 것이다. 자연주의 연극과 관련하여 입센 담론은 오히려 유전과 같은 과학적 정보나 배우의 연기를 비롯한 연출을 둘러싸고 형성되었다. 곧 입센은 자연주의 극에 대항하는 상징주의자들의 전유물이 되었다. 가히 창조적 오역이라 할 만한 프랑스 상징주의자들의 입센 번역은, 입센 자신이 반기지 않았던 것이지만, 20세기 현대주의적 입센비평에 이어져 흔적을 남기게 된다. Two remarkable events took place in translation studies in the late 20th century. One was the collapse of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original. The other was a cultural turn in translation studies. In the junction of the two events, translation studies undermined the hierarchy between the original/giving culture and the translation/receiving culture, coming to emphasize the desire, strategy and tactic of the translating subject. Taking into account such a new development in translation studies, this article explores the early translation of Ibsen in the drama field of 1890s France. The introduction and translation of Ibsen made a very slow start in France. This was due not only to the linguistic and cultural distance between France and a Scandinavian country but to the popularity and fame the French ‘piece bien faite’ were enjoying in France and abroad. Yet the ‘piece bien faite’ could not repress the growing naturalist drama movement stemming from a great zeal for new dramas, and couldn’t produce an exemplary work living up to its theory. That’s why Ibsen’s work began to be intensively translated both in the literary and the theatrical world of France. Yet Ibsen held on as a representative of the naturalist drama for only about two years. This was because the kind of the social criticism of Ibsenian dramas, which drove naturalism in Germany and England, was not new or shocking in France as it had been preempted in that country. Ibsen was soon monopolized by symbolists who were opposed to naturalist dramas. The translation of Ibsen by French symbolists may well be called creative mistranslation. The symbolist twist of Ibsen with which he was not pleased left a significant footprint in the 20th contemporary critique of him. 20세기 후반기에 괄목할 두 사건이 번역학에서 일어났다. 하나는 원본의 절대적 권위가 와해된 것으로, 그로써 번역을 복제가 아닌 제2의 창조로 간주, 번역이 주체 구성의 실천이라는 점에 주목하게 되었다. 다른 하나는 ‘번역학의 문화적 전이’로, 이후 ‘번역’은 언어 사이의 이동뿐 아니라 그를 둘러싼 역학관계, 문화의 전이와 변용과 혼종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그 지평이 확대되었다. 두 사건이 만나는 지점에서 번역연구는 원본-출발문화와 번역본-수용문화 사이에 암암리에 상정했던 위계를 무너뜨리고 번역주체의 욕망, 의지, 전략과 전술을 강조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번역학에서 이루어진 이러한 논의를 공유하면서, 1890년대 프랑스의 연극장(場)에서 행해진 입센 초기 번역을 고찰한다. 프랑스에서 입센의 소개와 번역은 상당히 늦게 시작되었다. 이는 북구와의 언어 · 문화적 거리 외에 당시 프랑스산(産) ‘잘 짜인 극’이 유럽 전체에서 누리던 호황과 명성 때문이었다. 반면 새로운 연극에 대한 열망에서 비롯된 자연주의 연극 운동이 이론에 버금가는 독창적이고 강력한 작품을 만나지 못한 채 막바지에 달했을 때, 독일에서 이룬 ‘자연주의자 입센’의 쾌거 소식을 접하고 시작된 번역은 텍스트 번역과 무대를 위한 번역 양쪽에서 집중적이고도 동시적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입센이 자연주의 극이 내세운 대항마로 머문 기간은 2년 남짓이었다. 독일과 영국의 자연주의를 추동했던 입센극의 사회비판적 측면이, 프랑스 무대 위에서는 전취되어 있었기에 새롭거나 충격적이지 않았던 것이다. 자연주의 연극과 관련하여 입센 담론은 오히려 유전과 같은 과학적 정보나 배우의 연기를 비롯한 연출을 둘러싸고 형성되었다. 곧 입센은 자연주의 극에 대항하는 상징주의자들의 전유물이 되었다. 가히 창조적 오역이라 할 만한 프랑스 상징주의자들의 입센 번역은, 입센 자신이 반기지 않았던 것이지만, 20세기 현대주의적 입센비평에 이어져 흔적을 남기게 된다. Two remarkable events took place in translation studies in the late 20th century. One was the collapse of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original. The other was a cultural turn in translation studies. In the junction of the two events, translation studies undermined the hierarchy between the original/giving culture and the translation/receiving culture, coming to emphasize the desire, strategy and tactic of the translating subject. Taking into account such a new development in translation studies, this article explores the early translation of Ibsen in the drama field of 1890s France. The introduction and translation of Ibsen made a very slow start in France. This was due not only to the linguistic and cultural distance between France and a Scandinavian country but to the popularity and fame the French ‘piece bien faite’ were enjoying in France and abroad. Yet the ‘piece bien faite’ could not repress the growing naturalist drama movement stemming from a great zeal for new dramas, and couldn’t produce an exemplary work living up to its theory. That’s why Ibsen’s work began to be intensively translated both in the literary and the theatrical world of France. Yet Ibsen held on as a representative of the naturalist drama for only about two years. This was because the kind of the social criticism of Ibsenian dramas, which drove naturalism in Germany and England, was not new or shocking in France as it had been preempted in that country. Ibsen was soon monopolized by symbolists who were opposed to naturalist dramas. The translation of Ibsen by French symbolists may well be called creative mistranslation. The symbolist twist of Ibsen with which he was not pleased left a significant footprint in the 20th contemporary critique of him.

      • KCI등재

        리차드 러트(Richard Rutt)의 『九雲夢』 英譯本의 底本 활용양상과 번역전략 연구

        이창희(Lee, Chang-hee) 한국고전번역원 2019 民族文化 Vol.54 No.-

        본고는 리차드 러트(Richard Rutt)의 『九雲夢』 英譯本인 A Nine Cloud Dream의 저본 활용양상과 번역전략을 분석한 것이다. 제2장에서는 러트의 底本 활용양상을, 제3장에서는 그가 번역텍스트에 적용한 번역전략을 고찰했다. 그 개략은 다음과 같다. 러트는 번역소설의 서문에서 밝힌 바와 같이 번역 당시 性眞의 大覺場面이 포함된 李家源本을 원천텍스트로 삼고 서울대본을 보조텍스트로 활용하며 수정·보완하였다. 兩 異本은 전체적인 서사구조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세부 묘사, 서사구조의 배치, 그리고 인물 간의 대화 등에서는 두 텍스트 간에 간극이 존재한다. 때문에 충실한 번역비평을 위해서 러트가 선택한 원천 및 보조 텍스트의 활용방식을 일차적으로 규명하였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러트는 李家源本을 주요 원천텍스트로 삼으며 해당 판본에 누락된 내용을 서울대본을 통해 보완하였다. 하지만 지식적·문화적 배경이 다른 서구 독자들에게 거리감을 유발할 수 있는 요소는 보조텍스트를 통해 보완하지 않았다. 또한 두 텍스트의 층위를 구분하기 보다는 독자들의 충실한 작품 감상을 위해 때로는 보조텍스트를 선택하거나 심지어는 가시성(visibility)을 드러내기 위해 일부 구절을 변용하기도 했다. 러트는 번역서문에서 자신의 작품인식, 번역관 그리고 목표수신독자를 명시했다. 이에 의거하여 본 논문은 러트가 번역텍스트에 적용한 번역전략을 중심으로 번역비평을 전개하였다. 번역자는 ‘여성’과 ‘공간’이라는 화두를 중심으로 번역텍스트의 전체적인 서사구조를 재편성했다. 크게는 7장으로, 세부적으로는 원천텍스트와 다르게 16회로 재구성했다. 러트는 목표수신독자 중심의 번역관에 입각하여 번역어 차원에서는 첨가 및 구체화 수법을 활용했다. 또한 ‘상위어(superordinate)’를 사용하여 어휘의 층위를 높이는가 하면 로컬리제이션(localization)을 통해 원천 및 번역 텍스트 독자 간의 문화적 거리를 좁히고자 했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R. Rutt’s English version, A Nine Cloud Dream, based on his translation principles and text understanding. According to ‘Introduction’, Rutt clarified the orignal and secondary text he used. Shortly, he used Yi Ka-won text(李家源本), making further amendments and additions in the light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text. Yi Ka-won text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text do not have much difference in the overall narrative structure, but there are some gaps between the two texts, such as detailed description, arrangement of the epic structure, and dialogue etc. Therefore, I identified the way of Rutt’s utilizing source and secondary text for a translation criticism. In conclusion, Rutt used Yi Ka-won text as the source text and made amendments and addi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version. However, he did not supplement some elements that may cause a sense of distance to Western readers with different intellectual and cultural backgrounds. Sometimes some phrases in the secondary text were selected and translated. Even Rutt adapted some phrases, showing his visibility. Rutt stated his text review, translation principles and the target reader in the ‘Preface.’ Accordingly, the translation criticism was conducted based on them mainly focusing on the translation strategies that Rutt applied to the translational text. The translator reorganized the overall narrative structure of the translational text concentrating on the topics of ‘women’ and ‘space.’ He used strategies such as ‘addition’ and ‘explicitation.’ Moreover, Rutt used ‘superordinate’ and ‘localization’ to narrow the cultural difference.

      • KCI등재후보

        차이의 존재론에 대한 새로운 질문들 - 번역 논의를 넘어서

        하승우 영상예술학회 2013 영상예술연구 Vol.22 No.-

        번역 개념을 강조하는 이들은 최근 한국영화가 할리우드의 장르 컨벤션 및 블록버스터 포맷 등을 참조, 인용, 모방하면서도 한국의 역사적 소재를 상연함으로써 할리우드와 차별화되는 새로운 차이들을 생산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여기에는 원본과 번역본 사이에서 형성되는 오해로서의 번역불가능성을 생산적인 가치로 인식하는 전제가 놓여져 있다. 이 번역불가능성의 매개를 통해서 새로운 관계를 구성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될 수 있다면, 번역불가능성에 대한 강조는 또 다른 번역가능성을 상상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번역(translation) 개념이 한국영화연구에서 급진적 차이 개념을 인식하는 조건이 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면서, 번역 개념의 다양한 용례와 사례들을 검토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한다. 궁극적으로 번역 개념이 안겨다주는 나름의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이 글에서는 궁극적으로 번역 개념을 넘어설 필요가 있다고 주장할 것인데 이를 살펴보기 위해 주디스 버틀러와 호미 바바의 번역 개념을 집중적으로 점검할 것이다. 주디스 버틀러의 번역 개념(“유령적 보편성”)은 그 나름대로 정치적임에도 불구하고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데, 그것은 버틀러의 번역 개념에 번역불가능성의 문제가 녹아들어가 있지 않기 때문이다. 경험적 사실로서의 역사와 이와 같은 경험적 역사에 통합되지 않는 것으로서의 비역사적 중핵을 구별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버틀러의 번역 개념은 역사주의로 축소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호미 바바의 번역 개념은 번역불가능성의 문제를 통해 번역가능성의 문제를 사고한다는 점에서 버틀러의 이론이 지니고 있는 취약점을 넘어서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바의 번역 개념은 여전히 급진적이지는 않은데, 그것은 바바에게 있어서의 번역불가능성의 지위가 순수 사건적인 차원의 영역으로까지 확장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지역적 번역 논의를 넘어서 영화 이미지 구성에서 차이의 존재론의 새로운 구성원리를 인식하기 위해 이 글에서는 영화 텍스트의 급진성은 영화 텍스트 내부의 긴장을 통해 조망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할 것이다. 이러한 시도 속에서, 나는 한국영화를 비롯한 내셔널 시네마의 장을 근본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조건들을 제시할 것이다. This paper explains how the notion of translation is used in the field of national cinema studies and, in particular, Korean cinema. According to the dominant trend of contemporary Korean cinema, the notion of translation has been used as an alternative model to move beyond official historiography:the basic matrix of translation can be seen as borrowing Hollywood genre convention but localising historical material on its own. In this regard, contemporary Korean cinema can be seen as producing an infinite chain of difference against Hollywood. However, while fully examining the usefulness of the notion of translation,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notion of translation is not fully political. To demonstrate this argument, I will examine the political validity of Judith Butler’s (2000) notion of ‘spectral universality’ and Homi Bhabha’s (1994) notion of translation. Butler’s notion of translation is critically examined, because her account of translation can be characterised as lacking the dialectical tension between historical material and the non-historical moment. Unless one poses the gap between the two, her account will fall into the trap of empiricism and/or historicism. Bhabha’s notion of translation may be more useful than Butler’s because it posits the impossibility of translation, thus establishing a gap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However, this is also critically examined, as his notion of translation does not entail the notion of non-sense on the transcendental level. This is not to say that we have to entirely reject the relevance of the notion of translation for film studies. Instead, this paper suggests new terms and conditions for reconstituting the notion of translation by arguing that the impossibility of translation should be directed towards the notion of non-sense on the transcendental level, following the line of Deleuze (1990) in The Logic of Sense. On the premise that the idea of translation refers to pure event, that is, something beyond the empirical element, it will offer a new condition for rethinking a new vision of filmic image.

      • KCI등재

        한국 번역사 논의의 전제

        김정우 우리말학회 2005 우리말연구 Vol.16 No.-

        한국 번역사는 한국에서 이루어진 번역의 역사이다. 한국 번역사를 객 관적이고 합리적으로 기술하려면 기술 대상이 되는 번역 자료의 범위를 결정 해야 한다. 이는 번역의 정의와 직결된 문제인데, 번역의 정의는 선험적으로 이루어지기보다, 과거에 존재했거나 현재 존재하는 다양한 번역 현상에 대한 정확한 관찰에 근거해서 이루어져야 번역사의 기술에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 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는 표기의 수단과 번역의 단위, 번역의 방향, 언어의 치환 여부 등을 기준으로 번역의 정의를 정밀화했다. 이에 따르면 번 역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번역은 말이나 글로 된 한 언어(SL)의 단어 이 상 텍스트에 담긴 의미를 그와 등가인 다른 언어(TL)의 글로 된 텍스트로 옮 겨서 재현하는 과정이나 혹은 그러한 과정의 결과이다. 이때 목표언어 고유의 표기 수단이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고, 목표언어가 반드시 번역자의 모국 어일 필요도 없으며, 간혹 언어 기호의 치환이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러한 정의에 따라 한국 번역사의 자료로 꼽을 수 있는 것은 원천언어 텍스트 를 상정할 수 있는 한역(漢譯) 자료, 석의류 자료, 석독구결 자료, 정음 번역 문헌 등이다. 이상과 같은 본고의 논의는 한국 번역사의 내용 구성과 아울러 한국 번역사의 시대 구분 작업에 이론적인 토대를 마련해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