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독어독문학과 번역

        안인경 ( In Kyoung Ahn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2 獨逸文學 Vol.124 No.-

        한국의 독어독문학은 1990년대 대학 학부제 실시와 전통적 제 이 외국어 수요 감소 등으로 인해 위기의식을 갖게 되었고, 독어독문학의 정체성과 새로운 방향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 이러한 논의는 2008년 한국독어독문학회가 창립 50주년을 맞으면서 더욱 활발해졌다. 관련 논의에서 번역이 자주 언급되었지만, 단편적 언급에 머무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한국 독어독문학의 역사를 다룬 논문들에서 번역은 주로 문학번역과 관련하여 등장했다. 그러한 논문들은 문학작품의 번역을 한국 독어독문학의 주요 업적 중 하나로 꼽고, 짧게나마 정확한 번역의 중요성, 오역 문제, 번역과 번역비평의 활성화 필요성 등을 지적한 경우가 많다. 독어독문학의 미래, 특히 교육의 미래와 관련한 연구에서도 번역은 중요한 요소로 언급되었다. 문학 및 문화 분야 번역의 중요성에 상응하는 교육을 해야 한다는 주장, 독어독문학도들이 문학 이외에도 경제, 법, 기술 등 모든 분야에서 번역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 등이 있었으며, 번역학과의 모델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가 구체적으로 활발히 진행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 글에서는 연구자들이 한국의 독어독문학 역사 서술에서 번역을 어떻게 자리매김하고 있는지, 미래와 관련하여서는 어떠한 제안을 하고 있는지 살펴 보았다. 또 독어독문학 관련 학회지에 실린 번역 관련 논문을 조사함으로써 번역에 대한 학술적 관심을 진단해보았다. 번역 일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과 관련하여서는 기존 연구결과를 인용하였다. 번역 관련 현실을 알아보기 위하여서는 37개 대학 41개 독어독문학 관련 학과의 홈페이지 조사를 통해 교육목적, 졸업생 진로, 교과과정의 상호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또, 독일어 번역사들이 어떠한 일을 얼마나 하고 있는가를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독과 졸업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대한출판문화협회의 번역 도서 출판통계와 한국문학번역원의 번역지원 통계를 통해서는 독일어가 번역과 관련하여 여러 외국어들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보았다. 결론에서는 번역에 대한 논의나 태도가 번역교육 및 번역실제와 괴리를 드러내는 원인을 짚어보고, 번역교육 및 번역학의 활성화가 가져올 수 있는 이점을 간단히 진단 해보았다. 이러한 조사분석 결과가 번역교육과 번역실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한국 독어독문학의 정체성을 재정립하는 데 도움이 되기 바란다.

      • KCI등재

        「동심초」 번역과 김소월 시 창작방법 비교 연구

        권정우 한국시학회 2018 한국시학연구 Vol.- No.5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e that the translator of Dongsimcho is Kim So-wol, not Kim Ok. Although Kim So-wol was known as a poet, he did, in reality, translate many literary works based on his excellent foreign language skills, including many Chinese poems. There are two reasons to prove that Kim O-eok did not translate Dongsimcho. First of all, the process of translating by Kim's is unnatural. Translation levels in rows 1 and 2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lines 3 and 4, and works modified 10 years later are significantly lower in levels. The other is that in order to translate Dongsimcho, it need to know about Dongsimgeol, which Kim did not know. The following is why Dongsimcho was translated by Kim So-wol. First, Kim So-wol knew about Dongsimgeol very well. We can see this by the poem Sososo-grave which he translated. Second, Dongsimcho written by the natural colloquial statements of a poetic narrator, which is characteristic of Kim So-wol's method of creation. Third, the translation method for line 3 of Dongsimcho and 1, 2 lines of Sososo-grave is similar. Fourth, the poetic narrator of Pultaki and the listener in Kejeoul are similar to the poetic narrator of Dongsimcho on the characteristic and the situation. This study, which reveals Dongsimcho's actual translator, is significant in that it signals a new start in research of Kim So-wol. [동심초] 번역자가 지금까지 알려진 것과는 다르게 김억이 아니라 김소월임을 입증하는 것이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이다. 김소월은 시인으로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탁월한 외국어 능력을 바탕으로 많은 문학 작품을 번역했으며, 이 중에는 많은 한시가 포함되었다. 김억이 [동심초]를 번역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근거는 두 가지이다. 먼저, 김억의 [동심초] 개작 과정을 보면 자연스럽지 않은 점이 있다. 1,2 행의 번역 수준과 3,4행의 번역 수준이 크게 차이가 나며, 10년 뒤에 수정한 작품이 오히려 수준이 현저히 낮다. 다른 하나는, [동심초]를 번역하기 위해서는 ‘동심결’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하는데 김억은 이를 알지 못했다는 점이다. [동심초]를 김소월이 번역한 것으로 보아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김소월은 동심결에 대해서 명확히 알고 있었다. 그가 번역한 한시 [소소소 무덤]을 보면 이를 알 수 있다. 둘째, [동심초] 번역자는 시적 화자의 자연스러운 구어체 진술을 고집하는데 이는 김소월 창작방법의 특징이다. 셋째, [동심초] 3행과 [소소소묘] 2연 1,2행 번역 방법이 유사하다. 넷째, [풀따기]의 시적 화자와 [개여울]의 청자의 성격과 처한 상황이 [동심결]의 시적 화자와 유사하다. [동심초]의 실제 번역자를 밝히는 연구는 김소월 연구의 새로운 시작을 알린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La traductologie, une réflexion sur une pratique

        Franck Barbin 한국프랑스학회 2011 한국프랑스학논집 Vol.76 No.-

        a 번역분야에서 경험과 인식은 독특한 관계를 이루고 있다. 번역의 역사가 명확히 보여주고 있듯이 조상들의 관습이라 할지라도 그 자체로서의 과정보다는 맺어진 결과와 평가에 항상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 왔다. 그에 대한 증거로 번역학의 용어는 최근(1972년)에야 나타났다. 이는 언어학, 비교문체론, 번역의 예술적 통찰력과는 구분되는 것으로 정체성과 인식을 추구하는 새로운 학문이다. 이 학문내부에서조차 대학번역가들과 직업번역가들 사이에 경쟁관계와 일부 상호이해 부족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번역실무가들이 시도한 이론화는 번역학자들에 의해 무시되었고, 반대로 번역학자들이 이루어낸 이론화는 번역실무가들에 의해 무시되었다. 경험상 번역의 순수한 언어학적 접근에는 한계가 있다. 번역과정을 묘사하 는것은 복잡하다. 부분적으로 직관적이면서 거의 순간적이고 불연속적이며 감동과 창작력으로 가득하여 흔히 우리의 오성을 벗어나게 되는 작용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에 답을 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은 번역가 자신이 번역학자의 연구와 실험대상이 되는 것이리라.

      • KCI등재

        한국어 성서 형성의 기원을 찾아서 : 초기 재한 선교회(1887-1911)의 한국어 성서 번역을 위한 조직과 원칙 그리고 실제

        임걸(Gol Rim)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0 신학사상 Vol.0 No.191

        초기 재한 선교회는 한국어 성서 번역을 시작한 지(1887년) 무려 24 년 만인 1911년에 한국어 신구약 『성경젼셔』를 출판함으로써 성서 번역사역을 마쳤다. 한국어 성서는 한국 사회를 변화시켰고, 무엇보다도 한국 교회와 믿음의 기초를 놓았다. 그런데 재한 선교회는 한국어 성서 번역 사역을 위해서 언제부터 그리고 어떻게 체계적이고 책임 있는 조직을 운영했을까? 또한 번역자들은 성서를 번역할 때 현대적인 번역 원칙을 가지고 번역했을까? 그리고 그들은 성서 번역 과정에서 어떻게 공동 번역 작업을 진행했을까? 본 연구는 한국어 성서 번역 사역의 실질적인 핵심 세 명의 번역자, 곧 언더우드(H. G. Underwood), 게일(J. S. Gale) 그리고 레널즈(W. D. Reynolds)의 글에서 재한 선교회의 번역위원회는 성서 번역을 위해서 어떤 책임 있는 조직과 규정을 만들었으며, 어떤 성서 번역 원칙을 가지고 한국어 성서를 번역했는지, 또 어떻게 공동 작업을 해왔는지를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재한 선교회의 한국어 성서 번역 사역의 의의와 문제점을 찾아보려고 한다. The Korean Bible translation work by the early Protestant missions in Korea started in 1887 and was completed in 1911. The Korean Bible changed Korean society and culture, and especially laid the foundations of the Korean church and the Christian faith. Given the importance of this undertaking, we cannot help but ask about whether and how the missionaries in Korea used any systematic and guiding principles in their Bible trans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organizations, principles and practices in the early Korean Bible translation work (1887-1911) based upon the articles of three pioneer missionaries, H. G. Underwood, J. S. Gale and W. D. Reynolds. Finally, this study emphasizes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the publication of the Korean Bible and comments on the merit of Korean Bible ‘Sungkyungjeonseo(성경젼셔)’.

      • 『제대로 된 통역⋅번역의 이해』의 이론과 실제 그리고 평가

        김동미(Dong-mie Kim) 통섭인문학회 2022 통섭인문학 Vol.1 No.2

        『제대로 된 통역⋅번역의 이해』는 모두 네 파트에 걸쳐서 통역과 번역의 개념, 통역 번역의 핵심 개념, 통역과 번역의 이론, 통역과 번역의 실제를 다루고 있다. “통역이나 번역은 실제적이기만 하면 되고, 이론은 필요 없다”는 얇은 편견을 이 책을 통해 깨트리고 있다. 단순한 번역이나 통역의 수행 역할을넘어, 학문으로써도 통역이나 번역은 체계적으로 다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이론과 실제가 합쳐진 예술작품이라는 것을 이 책을 통하여 실감하게 되었다. All four parts of Understanding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deal with the concepts of interpretation & translation, the core concepts of interpretation & translation, the theory of interpretation & translation, and the reality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hrough this book, we can break the thin prejudice that "translation or interpretation only needs to be practical, and no theory is needed." Beyond the role of simple translation or interpretation, I realized through this book that interpretation or translation needs to be dealt with systematically as an academic study, and that it is artwork that combines theory and practice.

      • KCI등재

        연성흠의 동화구연론과 의미

        류덕제(Ryu, Duck-jee) 국어교육학회 2021 국어교육연구 Vol.- No.77

        일제강점기에 연성흠은 소년단체의 동화회와 경성방송국의 ‘아동시간’을 통해 오랫동안 동화구연 활동에 참여하였다. 활동이 많아지자 동화구연 이론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되었을 것이고, 「동화구연방법의 그 이론과 실제」는 여기에 호응한 것이다. 이 글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동화구연의 이론과 실제를 살핀 글이다. 도합 19회에 걸쳐 연재한 것으로 동화구연에 관한 여러 가지 내용을 담고 있다. 이론과 실제에 걸쳐 12항목을 논한 다음, 동화구연의 실제에 있어서 7개의 참고사항을 담고 있다. 동화구연에는 형용(몸짓)이 중요한데, 비애, 실망, 공포, 경악, 탄원, 사색, 결단, 감사, 분노, 제지, 조소(嘲笑), 희열, 해학, 감탄 등 14가지나 되는 형용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덧붙여 놓았다. 그러나 이 글은 연성흠이 집필한 것처럼 했지만, 실은 기시베 후쿠오의 저서 『お伽噺の仕方の理論と實際』 (東京: 明治の家庭社, 1909)를 발췌⋅번역한 것이다. 그러나 번역임을 밝히지 않고 자신이 집필한 것처럼 하였다. 그래서 일본의 작품명, 인명과 지명 등은 조선의 것으로 대체하였고, 불가피한 것은 번역하지 않았다. 동화구연에 도움을 주고자 하면 구체적인 작품에다 형용(몸짓)을 부기하고 주의사항을 첨부하여야 한다. 기시베 후쿠오는 「新桃太郞」, 「犬少尉」, 「勇ましき姉妹」, 「あはれな金二郞」 등 4편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구체적인 형용(身振り)과 주의사항을 꼼꼼하게 제시하였으나 연성흠의 글에는 이 부분이 없다. 번역임이 드러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였거나, 조선의 작품으로 대체하여 구체적인 형용과 주의사항을 부기하는 일이 여의치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번역을 집필로 위장한 것은 바람직하지 않지만 연성흠의 노력에 일정한 평가를 할 부분도 있다. 1922년경부터 1930년대에 걸쳐 당시 조선의 동화구연 열풍은 거셌으나 이렇다 할 이론서나 구체적인 구연 방법에 관한 안내서조차 없는 형편이었다. 이러한 사정을 타개하기 위해 비록 기시베 후쿠오의 저서를 저본으로 하였지만, 조선의 사정을 감안하여 동화구연의 이론과 실제를 설명하고자 한 점은 평가할 만한 부분이다. 무릇 새로운 문화의 창출은 “양자의 교섭의 결과로서 제3의 자(者)를 산출하는 방향”이라고 한 임화(林和)의 말처럼 앞선 외국의 문화를 이식하면서도 주체적인 노력을 통해 수용하려고 애쓴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Yeon Seong-heum participated in storytelling activities for a long time through ‘Children’s Time(아동시간)’ from Gyeongseong Broadcasting Station and Storytelling Meeting(동화회) from Boy Associations. Having been as active as Bang Jeong-hwan or Lee Jeong-ho, he published an article 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children’s stories, 「Theory and Practice of Storytelling Methods」. This article is the first article in Korea to examine this topic. Each of the 19 series contains various contents regarding storytelling in about 160 sheets of a squared manuscript paper for 200-characters. After discussing 12 items across both theory and practice, the article contains 7 references regarding the practice of storytelling. Because expressions(body movements) are important in storytelling, he has expounded upon 14 items of sorrow, disappointment, fear, shock, plea, contemplation, determination, gratitude, anger, restraint, jeer, joy, humor, and admiration. However, it turns out that this article is in fact an excerpt and translation of Fukuo, Kishibe’s 1909 book, 『Theory and Practice of Storytelling Methods』(お伽噺の仕方の理論と實際). He replaced Japanese work titles, names and places with those of Joseon, and omitted the translation of irreplaceable names. Famous Japanese old stories such as 「Momotaro」 and 「Hanasakajijii」 have been changed to 「Sun and Moon(해와 달)」 or 「Tale of Heungbu and Nolbu」(흥부 놀부 이야기). The term ‘otogibanashi’(お伽噺) was translated as ‘donghwa’(동화; children’s story) or ‘yetnaliyagi’(옛날이야기; old tales). The term ‘假作話’ was tactfully translated as ‘changjakdonghwa’(창작동화; children’s fictions), but terms like ‘hitokuchibanashi’(一口噺) or ‘rakugo’(落語) which pertain to unique Japanese genres were not translated. Fukuo, Kishibe picked four titles, 「新桃太郞」, 「犬少尉」, 「勇ましき姉妹」, 「あはれな金二郞」 and added specific body expressions and several notes to provide help to actual storytellers. However, Yeon Seong-heum did not translate these parts at all. Perhaps it was in attempt to avoid the disclosure of his plagiarism, or because it was not easy to add specific body expressions and notes for Joseon titles. Nonetheless, there are some areas to credit the efforts of Yeon Seong-heum. From around 1922 to the 1930s, many people in Joseon narrated children’s stories, and readers responded greatly. However, there were no books of theory or guides on specific methods of storytelling. In order to overcome such circumstances, Yeon Seong-heum took Fukuo, Kishibe’s work as his writing, but tried to offer an explanation based on Joseon’s titles. As Imhwa(임화) has said, the creation of a new culture goes “in the direction of producing a third party as a result of bilateral negotiations”. Yeon Seong-heum’s attempt to transplant the advanced foreign culture while applying independent efforts is therefore noteworthy.

      • KCI등재

        Data-based Korean-to-English Translation of Soccer News on the Russia World Cup

        Lee, Dong-Young(이동영)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연구 Vol.71 No.-

        이 연구의 목적은 축구뉴스 말뭉치에 있는 실제 자료를 바탕으로 2018년 러시아 월드컵에 관한 한국어 뉴스를 영어로 번역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그 팀은 2-1로 역전승했다"라는 한국어 문장은 실제 말뭉치 자료의 사용을 통해서 ‘The team came from behind to win 2-1’라는 영어문장으로 자연스럽게 번역될 수 있다. 한국어 축구뉴스와 영어 축구뉴스 말뭉치 자료는 일간신문과 방송사에서 제공한 온라인 뉴스에서 수집된 것이다. 영어 말뭉치에서 자주 쓰이는 실제 단어, 구, 문장을 참조하여 한국어 축구뉴스를 영어로 번역하는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 자연스러운 번역 결과를 얻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translating Korean news on the Russia 2018 World Cup into English on the basis of real data in the corpora of soccer news. For example, the Korean sentence "그 팀은 2-1로 역전승했다" can be naturally translated into the English one "The team came from behind to win 2-1" through the use of real corpus data. The data in the corpus of Korean soccer news and that of English soccer news are collected from online news provided by daily newspapers and a broadcasting corporation. The method of translating Korean soccer news into English by consulting real words, phrases, and sentences that are frequently used in the English corpus makes it possible to get a natural translation result.

      • KCI등재

        김소월 초기 시에 나타나는 「상사몽」의 영향

        권정우 한국문학언어학회 2023 어문론총 Vol.97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how Hwang Jin-yi's Sino-Korean poem ‘Sangsa-mong’ had an effect on Kim So-wol's work. ‘Azalea Flower’ is a representative work Kim So-wol created after reading ‘Sangsa-mong’ and was inspired by it. is the first hypothesis, and the second hypothesis is that ‘Dream’, which is included in Kim Eok's Chinese translation “Daylily Flower” (1949), is a work translated by Kim So-wol. ‘Dream’, which is included in “Bouquet”(1944), is a problematic translation work in that excellent translation and mistranslation are mixed. Comparing this work with ‘Dream’ in “Daylily” (1949), Kim Eok modified the second half of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of the work translated by others and included it in “Bouquet” (1944), “Daylily” (1949), it can be seen that it was recorded with little modification. The person who translated Hwang Jin-yi's ‘Sangsa-mong’ was Kim So-wol, and the time of translation can be assumed to be around 1921. As the author revealed in the previous paper, the actual translator of ‘Dongsimcho’, which is known to have been translated by Kim Eok, is Kim So-wol. The characteristics of Kim, Sowol's translation are that there is no 1:1 correspondence between original and translated poems at the level of poetic language or sentence, and that the translation is made into a natural colloquial monologue that allows the speaker's speech situation to be known. These characteristics can also be found in ‘Dream’. It is also an important basis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a poet who can make use of the poet's intention and achieve a different level of translation to gain sympathy from readers, except Kim, Sowol. Kim, Sowol translated ‘Sangsa-mong’ and created works such as ‘Dream Road’ series of poems, ‘Azalea Flower’, and ‘The Way to Go’ inspired by this poem. Poems in the series of ‘Dream Road’ are poems created by transforming the contents of ‘Sangsamong’, and the level of completion of the work is not high. But in works such as ‘Azalea Flower’ and ‘’The Way to Go’, the perfection of the work could be improved by finding a way to embody the parting.could raise.

      • KCI등재

        对外汉语教学中翻译课程的定位及其教学

        全香?(QUAN Xianglan)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4 인문학연구 Vol.21 No.-

        This thesis discusses several issues on the orientation and teaching method of translation courses in TCFL. It holds the view that translation courses in TCFL are auxiliary courses, which serve as assistant to the study of Chinese, and this characteristic decides what the basic task and purpose of translation courses are. This thesis summarizes the teaching methods of translation courses with the help of the author’s teaching experiences. Taking Korea-Chinese translation as an example, it introduces and analyses every step and contents in the teaching process.

      • KCI등재

        Translation strategies for film titles in Korea : Exploring actual viewers’ responses in cognitive and behavioural aspects

        Han-Nae Yu,Hunil Park,Choel Ja Jeong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2019 통번역학연구 Vol.23 No.3

        The translation of film titles has received much attention in translation studies as the titles play a crucial role in conveying the content of the films and serve as an important marketing tool to attract audiences. Research on the translation of film titles, however, has mainly dealt with the types of strategies adopted by the translators or distributors while viewers’ responses have received little attention. This study takes a two-pronged approach to bridge this gap and investigates how viewers actually respond to different translation strategies. Analysing 724 imported film titles released from 2000 to 2016 in Korea together with a questionnaire survey, we investigated the viewers’ cognitive and behavioural responses to different types of translation strategies. The results show that while transliteration is the most widely adopted translation strategy in Korea, the survey respondents show inconsistency between their cognitive and behavioural responses to film title translations. This incongruence suggests a discrepancy between implied and actual readers, which ha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both film marketing and translation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