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방과 후 스포츠여가활동의 교육적 의미 탐구

        고문수(Moon-Soo Ko),김재운(Chae-Woo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6

        본 연구는 방과 후 스포츠여가활동의 수혜자인 학생과 학부모 그리고 현장의 교사가 방과 후 스포츠여가활동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토대로 방과 후 스포츠여가활동의 교육적 의미를 탐구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11년 수도권 소재의 Y초등학교에서 방과 후 스포츠여가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5학년 학생 3명과 방과 후 스포츠여가활동에 관심을 갖고 있는 학부모 3명 그리고 방과 후 스포츠여가활동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3명의 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는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radley(1979)가 제안한 영역 분석과 분류 분석을 토대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방과 후 스포츠여가활동의 교육적 의미는 신체활동의 다양한 가치 체험〔학생들의 건강 및 체력의 향상, 학교생활의 적극성 강화, 신체적 자기개념 및 효능감 증진〕, 학교체육과 생활체육과의 만남, 교육복지 실현: 교육격차의 해소, 체육문화에의 입문 등이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study was to exploring on the educational values in after school physical programs. The participants were students in grades 5 (3), after school parents who are interested in sports activities (3), after school sports activities led by experienced teachers in three of were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collected data were transcribed and coded for domain analysis, classification analysis. The analysis of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fter school physical activities,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various values of physical activity experiences, meeting with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educational welfare: the elimination of educational disparities, physical culture, introductory appeared.

      • KCI등재후보

        방과후 스포츠 활동의 의의와 정착을 위한 실천과제

        김동규,정태진 한국체육철학회 2005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3 No.1

        This study aims on proposing policy to search meaning of intramurals and state the reality and problems of intramurals and physical education at schools. It is time to consider the theological problems of why intramurals are necessary, and in what direction and method the policy of advanced intramurals are to be settled. Intramurals mean sports activity in the form of games performed with general students using time other than regular class hours of schools. However, the reality is that intramurals performed with general students are unsystematic in any schools, due to lack of recognition for intramurals, and systematic and policy consideration by schools for investment from excessive interest for opposing games. It is thought that sports events performed sporadically in each school, in other words field days are substitutes for them. Therefore, the goals of intramurals activity should be set and the activity should be progressed in form of games as policy tasks in intramurals. Moreover, management system, selection of games, activity locations and ways of using facilities, management personnel, how to take care of damages, and role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hould be considered for intramurals. ‘전인교육’이란 우리나라의 교육목표는 사회환경의 변화 속에서 위기에 처해 있으며, 입시에 유리하게 작용되는 교과목만 집중하면 모든 것이 해결된다는 식의 가치인식이 팽배해 있다. 그리하여 현대사회는 청소년의 욕구와 흥미에 맞는 여가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건전한 청소년의 육성을 위한 여가문화를 정착시킬 필요가 있다. 최근 학교체육정책은 방과후스포츠활동을 권장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그에 대한 프로그램의 개발이나 경제성 및 효율성 등 제반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합리적인 방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방과후스포츠활동은 왜 필요하며, 선진국형 방과후스포츠활동의 실천과제는 어떠한 방향과 방식으로 설정할 것인가 하는 원론적인 문제를 생각해 볼 때가 된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학교체육과 방과후스포츠활동의 실태와 문제점을 개진해보고 방과후스포츠활동의 의의와 실천과제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과후스포츠활동의 실천과제로서 방과후스포츠활동의 목표정립과 활동방식이 경기형태로 진행되어야함이 중요한 요인으로 논의되었다. 또한 방과후스포츠활동의 운영방법, 종목선정, 활동장소 및 시설이용 방법, 운영요원, 경비문제, 상해발생 시 처리문제, 체육교사의 역할 등이 방과후스포츠활동의 근본취지에 맞도록 고려되는 방안도 제시되었다.

      • KCI등재

        방과 후 스포츠 활동에서의 집단따돌림 현상 및 스포츠 지도자의 대처 방법 탐색

        김선희(Sun Hee Kim),권민정(Min Jung Kwon),추나영(Na Young Choo),박경석(Kyung Suk)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3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학교 현장에서 가장 문제시 되고 있는 집단따돌림 현상이 방과 후 스포츠 활동에서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스포츠 지도자는 집단따돌림에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참여자로는 방과 후 스포츠 활동을 담당하는 스포츠 지도자 7명을 선정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한 사전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분석의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집단따돌림의 양상 및 스포츠 활동과의 관계로는 1)관계적 따돌림과 팀 분위기의 혼탁화(混濁化), 2)언어적 따돌림과 낙인(烙印)문화의 형성, 3)행동적 따돌림과 스포츠 속빈곤감 학습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중 집단따돌림의 악화 원인으로는 1)스포츠 지도자의시선 밖 ‘힘의 논리’, 2)스포츠 활동 이전의 ‘교실따돌림’, 3)스포츠 활동 중 ‘짝 찾기’와 ‘팀 구성’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 지도자의 집단따돌림 대처 방법으로는 1)‘관심 갖기’로 소통하기, 2)‘역지사지(易地思之)’ 이해시키기, 3)규칙 변경하기와 보상하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스포츠 지도자들이 고려해야 할사항으로는 1)따돌림 금지 규칙의 수립과 실천, 2)집단따돌림 대처 프로그램의 개발 및 활용, 3)집단따돌림가해-피해 학생들의 자존감 향상을 위한 스포츠 환경 조성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스포츠 활동에서 집단따돌림 문제를 해결하고 바람직한 학생스포츠 문화를 형성하기 위한 전략이나 제도 수립에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henomenon of group bullying during after-school sports activities and how instructors deal with it. Bullying is also the biggest issue in schools recently. To accomplish the objective, 7 sports instructors in charge of after-school sports activities were selected, and pre-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were conducted to collect data.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inductive category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correlation between bullying and sports activities is as follows. 1)Relational bullying and deterioration of team atmosphere, 2)Verbal bullying and ostracization, 3)Behavioral bullying and acquiring a sense of poverty during activities. Second, the causes of worsening bullying during after-school sports activities are as follows. 1)‘Exercising power’away from sports instructors. 2)‘Classroom bullying`` before sports activities. 3)‘Finding partners’and‘group creation’during sports activities. Third, the countermeasures of sports instructors against bullying is as follows. 1)Communicating with‘interest’, 2)Showing ‘empathy’, 3)Changing rules and offering compensa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sports instructors should consider and execute the following. 1)Establishing rules prohibiting bullying and encouraging compliance, 2)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group bullying prevention program, 3) Promoting a sports environment that boosts the self-esteem of victims and offenders of bullying. This study findings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strategies or systems for solving group bullying during various sports activities and promoting a desirable sports culture among students.

      • KCI등재

        방과 후 스포츠활동 참여가 남자 중학생들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김은숙,김경원,이학권 대한운동학회 2014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6 No.1

        [INTRODUCTI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after-school sport activity on aggressive attitude of mal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explore its educational value in the identity development of juveniles. [METHOD] For this study, a total 336 students were recruit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experimental group 171, control group 195).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7 different events(eg, soccer, basketball, baseball, tennis, badminton ect.) for three months. They responded to the Hostility Scale that was verifi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elf-administration method was used for the response of the Scale. For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test was performed by SPSS 18.0.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fter-school sport activity resulted in the decrease of aggression's level,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ported in the resentment as one of the sub-factors. Second, the effects of after-school sport activity on reducing aggress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wo groups, and this difference resulted from two sub-factors such as suspicion and resentmen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catharsis effect of sport activity, while previous studies contradicted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part.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in the future research various variables(eg. stress in daily lives, peer relationships, academic achievement etc.) that can influence on the aggression should be considered. Furthermore, a new standpoint of the catharsis effect of sport activity is required. [서론] 이 연구는 방과 후 스포츠활동이 학교폭력의 근원인 공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청소년들의 정체성 발달과 관련하여 어떠한 교육적 가치가 부여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2년 9월부터 12월까지 방과 후 스포츠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171명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195명의 남자 중학생들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방과 후 스포츠활동 참여 학생들은 축구, 농구, 야구, 테니스 배드민턴 등 7개 종목에서 한 학기 동안 20회 이상 40시간 이상 스포츠활동을 하였다. 방과 후 스포츠활동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해 적합성을 확인한 공격성 측정 설문지를 통해 사전,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자기평가기입법을 통해 응답된 자료들의 분석을 위해 SPSS 18.0을 사용한 t-test가 실시되었다. [결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 후 스포츠활동에 참여한 남자 중학생들의 공격성은 사전․사후 검사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했는데, 하위요인들 중 적대감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방과 후 스포츠활동의 공격성 감소효과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는데, 의심과 적대감요인에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의 정화효과를 지지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나, 이와 관련한 연구의 결과들은 상충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현상은 다음의 두 가지 원인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첫째, 청소년들의 공격성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예: 일상의 스트레스, 또래 관계, 학업 성적 등)이 연구에서 충분히 통제되지 못한 연구방법론상의 문제가 있다. 둘째, 스포츠의 정화효과를 사회 안정이라는 장기적 측면에서 이해하기 보다는 단기간적 측면에서 이해하려는 경향이 결과 불일치성의 또 따른 요인인 것으로 사료된다.

      • 방과 후 농구 스포츠활동이 남자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장수 한독심리운동학회 2019 심리운동연구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fter-school Sports Activity on the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of male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researcher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effect does After-school Sports Activity have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Second, what effect does After-school Sports Activity have on middle school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To proceed this study, the researcher selected 12 students who were joining a club of After-school Sports Activity Program at K middle schoold located in Seo-gu, Busan, and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After-school Sports Activity Program. The measurement devices used in this study are the self-esteem scal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scale.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ANCOVA in accordance with SPSS Ver. 20.0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fter-school Sports Activity has a meaningful effect on self-esteem of male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After-school Sports Activity has a meaningful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of male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findings above, this study shows that the After-school Sports Activity helps male middle school students. 본 연구는 방과 후 농구 스포츠활동이 남자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 서구 소재의 K중학교에서 방과 후 농구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는 12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고 타 방과 후 프로그램을 신청한 12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여 배치하였다.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으며 실험집단에 방과 후 농구 스포츠활동을 10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방과 후 농구 스포츠활동은 남자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자아존중감의 하위영역인 신체·외모 자아존중감을 제외하고 학업 및 전반적자아존중감, 친구관련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성격적 자아존중감, 신체능력 자아존중감, 교사관련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나타났다. 대인관계능력의 하위영역 중 권리주장 및자기노출을 제외하고 처음 관계 맺기, 정서적지지 그리고 대인갈등 다루기 향상에 효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볼 때 본 연구에서 적용한 방과 후 농구 스포츠활동은 남자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능력을 향상되게 하였고, 긍정적 효과를 미칠 수 있음이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체육교육과의 방과후 스포츠클럽 활동의 법적 고찰

        임운학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22 스포츠와 법 Vol.25 No.2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일본의 정규교과 교육이 끝나고, 방과후에 활동하는 스포츠클럽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방과후 학교체육 프로그램 개발 및 편성, 운영에 법・제도적 제언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 전개 하였다. 첫째, 한국의 국가 수준 교육과정과 일본의 학습지도요령이라는 법적 고시에 나타나는 교과활동을 분석한다(개정 신학습지도요령(新學習指導要領)중심). 둘째, 한국과 일본의 방과후 스포츠클럽 사례를 분석한다. 셋째, 한국과 일본의 방과후 스포츠클럽 활동에 대한 탐색과 시사점을 도출한다. 결론으로 우리나라와 일본 모두 주5일제 정착과 노동시간 단축에 따른 여가시간 증대에 따라서 학교체육의 역할이 증대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일본보다 늦은 경쟁중심의 엘리트 스포츠에서 스포츠의 대중화에 따른 다양한 레저스포츠 및 치료나 예방 등을 위한 뉴스포츠, 그리고 건강증진에서 복지차원에서 법제화가 뒤 따르고 있다. 이와 같은 현실에서 학교 체육교육과 방과후 학교 스포츠클럽은 학생의 자연발생적 욕구와 사회의 필요성에 부합되어야 한다. 또 체육교육과정과 스포츠클럽의 수준 높은 프로그램을 준비하여, 사회에서도 지속적인 스포츠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먼저 현장에서 다양한 분석과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고, 그에 따른 법제도화가 이루어져야 좀 더 적극적인 활동이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방과 후 스포츠 활동이 예절의식과 교사친밀도에 미치는 영향

        박종태(Park, Jong-Tae),오준석(Oh, Joon-Seok) 한국초등체육학회 2020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6 No.3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가 예절의식과 교사 친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방과 후 스포츠 활동의 효과적 활용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성별에 따른 예절의식과 교사 친밀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남학생 집단보다 여학생 집단에서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 유무에 따른 예절의식과 교사 친밀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언행예절, 인사예절 그리고 정서적 친밀감, 행위적 친밀감에서 참여집단이 미 참여집단보다 유의하게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 유형에 따른 예절의식과 교사 친밀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언행예절, 인사예절 그리고 행위 친밀도에서 교외 방과 후 참여집단과 비 참여집단이 교내 방과 후 집단과 교내·외 방과 후 집단 보다 유의하게 낮은 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서적 친밀도에는 언행예절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행위적 친밀도에는 경청예절, 대인예절, 인사예절, 식사예절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imed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ffects of elementary students participation in after-school sports activities on the senses of courtesy and intimacy with teacher to present a basic data for the activation of sports after-school activitie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nses of courtesy and intimacy with teacher on gender, and they were found to be more perceived by the female group than by the male group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nses of courtesy and intimacy with teacher on whether or not after-school activities, and they were found to be more perceived by the participant group than by the non participant group in language courtesy, greeting courtesy, emotional intimacy and behavior intimacy. Thir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nses of courtesy and intimacy with teacher on after-school activities styles, and they were found to be more perceived by the school activities participant group and school · extramural activities participant group than by the non participant group and extramural activities participant group in language courtesy, greeting courtesy and behavior intimacy. Fourth, language courtes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intimacy and listening courtesy, interrelationship courtesy, greeting courtesy, table courtes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 intimacy.

      • KCI등재후보

        스포츠교육모형을 적용한 고등학교 방과 후 농구수업의 실행 과정과 교육적 의미

        진형수(Jin, HyungSoo),신기철(Shin, KiCheol),김대진(Kim, DaeJin)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0 교육연구 Vol.48 No.-

        우리나라 고등학교 학생들의 일상은 대학입시에 대한 중압감과 과도한 학습량에 노출되어 있는 반면에 건강과 체력의 유지⋅증진에 필요한 신체 활동의 기회는 유보하도록 요구받고 있는 실정이다. 정과체육시간이 암묵적으로 주지교과 학습을 위한 자율⋅보충학습으로 남용되는 교육 현실이 이를 방증한다. 더욱이 선택중심교육과정 운영으로 인해 정과체육시간마저 부재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에게 신체 활동의 기회를 부여하는 동시에 정과체육의 대안으로서 방과 후 체육교실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려는 의도에서 시작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방과 후 교실의 일환으로 개설된 농구교실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에게 스포츠교육모형을 적용한 농구 수업을 어떠한 단계를 거쳐서 실행하였는지를 기술하고, 실행 과정상의 어려움과 학생들이 경험한 것에 대한 교육적 의미가 무엇인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유목적 표집에 의한 네 명의 학생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개방형 설문조사, 심층면담, 교사수업일지, 문서 그리고 참여관찰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례기록과 귀납적 범주분석 과정을 통해서 분석이 이루어졌다. 스포츠교육모형을 적용한 농구수업의 실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의 방향 제시, 스포츠위원 선발, 설문조사 등의 오리엔테이션. 둘째, 기초기술의 숙달 및 경기운영역할의 이해⋅적용 단계인 기술연습⋅경기운영역할 교육과 개인의 성취도를 알아보는 평가. 셋째, 팀 전술 완성과 경기운영역할의 재평가라는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진 시범경기와 공식경기. 마지막으로 새로운 스포츠 문화와의 만남의 장이 되었던 팀별 이벤트와 시상식 등이 실시되었다. 스포츠교육모형 적용 농구수업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은 ‘수업 준비’, ‘수업 환경’, ‘학생 관리’ 등으로 나타났으며, 학생들이 경험한 것에 대한 교육적 의미는 ‘교사와 학생간의 공감대 형성’, ‘적극적인 역할 수행’, ‘체육의 가치인식’ 등으로 해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applying progress of sport education model to the basketball class in after-school programs for high-school students. And we analyzed the problems and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application of this model.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pened/closed questionnaires, in-depth interview, teachers’ teaching journals, documents and participated-observation. Textual analysis and Inductive category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First, basketball classes applied sport education model were composed of the class orientation(1H), basic skill, team strategy, education in playing the role of administrator(6H) and evaluation(2H), an exhibition game(2H) and an regular game(6H). Some of the difficulties while applying this model were that ‘providing is preventing’, ‘poor lesson environment’ and ‘difficulties in administering students’. Lastly, the educational meanings of the performance of above model were ‘bond of sympathy between teacher and student’, ‘active role performance’ and ‘recognizing values of physical activities’.

      • KCI등재

        초등학생 방과후 스포츠 활동 참여에 따른 제약 인식 분석

        이석훈(Seok-Hoon Lee),김재운(Chae-Woo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인천지역 초등학교 학생들의 방과후 스포츠활동 참여 제약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초등학생 360명을 무선표집 하였고, Raymore, Godbey, Crawford, 그리고 Von Eye(1993) 등이 개발한 여가제약 설문지를 이용하여 기술 통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일원분산분석과 독립 t-검정, 그리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Raymore, Godbey, Crawford 등의 여가 제약 설문지는 초등학교 방과후 스포츠 활동 참가의 제약요인을 규명하는데 적합하고 효과적이다. 둘째, 전체 문항별로 초등학교 방과후 스포츠 활동 참가의 제약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스포츠 활동에 대한 부모의 의견이나 지지(support) 정도, 운동할 때 받는 스트레스, 불편함, 그리고 학교시설이나 운동 도구의 부족 등의 구조적 제약이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초등학교 방과후 스포츠활동의 요인별 제약수준을 비교하면, 구조적 제약요인이 내재적 제약요인이나 대인적 제약요인보다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at looking into constraints of physical activity amid 「after school」programs operated by an elementary school of Incheon City. For this study, 330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Incheon City were sampled, and tested of descriptive statistics, explan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One-way ANOVA, independent t-test,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y Raymore, Godbey, Crawford’s questionnaire. First, examining difference of constraints in accordance with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physical activity participants. Second, analyzing probing and confirmative factors and reliance of leisure constraints for physical activity participants. Third, examining the relations of cause and effect between factors of leisure constraints of physical activity participants and participation.

      • KCI등재

        중학생의 체육수업만족과 방과 후 스포츠 활동 및미래 생활체육 참여의도의 구조모형분석

        박광해(Park, Kwang-Hae),이철화(Lee, Chul-Hwa),안수운(Ahn, Soo-W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9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미래 생활체육 참여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접근으로서 체육 수업만족과 방과 후 스포츠 활동 및 미래 생활체육 참여의도에 대한 관계를 검증하고, 이를 통해 중학생들의 미래 생활체육 참여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체육수업의 역할과 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7년 3월에 예비조사를 마치고, 5월 ∼ 8월에 본 조사를 충청북도에 거주 하고 있는 중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편의표본추출 방법을 활용하여 400명을 표집하여, 설문에 응답하지 않거나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후 총 360명의 유효 표본을 확보한 후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연구도구로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문항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설문지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EFA)과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이용하여 타당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분석기법은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학생들의 체육수업만족은 방과 후 스포츠 활동과 미래 생활체육 참여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중학생들의 방과 후 스포츠 활동 또한 미래 생활체육 참여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test relation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with Physical Education(PE) classes, after-school sport activities,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ports for all in the future as an approach to increase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ports for all in the future and establish a theoretical ground for the roles and possibilities of PE lessons to increase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ports for all in the future.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attending schools in Chungbuk metropolitan cities in 2017 were selected as the convenience sampling. After excluding incomplete survey forms, a total of 360 valid samples were analyzed.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this study a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tudents satisfaction with PE classes had direct effects on their after-school sport activities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ports for all in the future. students After-school sport activities had direct effects on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ports for all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