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동주택 발코니 확장의 건축법적 쟁점과 과제

        이문규(Lee, Moon-Gyu),정영철(Jung, Young-Chul)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法學硏究 Vol.32 No.1

        건물의 발코니는 건축물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완충공간으로서 전망·휴식 등의 목적으로 건축물 외벽에 접하여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공간이라고 건축법에 명시되어 있다. 그러나 공동주택의 발코니는 대피공간 구성을 위한 발코니를 제외한 모든 발코니를 확장하기 때문에 존재하지 않는다. 2005년부터 발코니확장의 건축행위를 합법화하였고, 확장을 전제로한 침실 및 발코니가 설계되었으며 확장을 하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는 공간이 구성되었다. 국토교통부 지침으로 발코니 설치를 위한 내력벽설치는 할 수 없도록 하였지만 발코니설치를 위한 내력벽을 설치하고, 확장을 하지 않으면 침실로 사용할 수 없는 평면계획으로 입주예정자의 선택권을 무시하는 등 발코니의 주된 목적은 완전히 상실되었다. 발코니가 본래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는 발코니 외부의 벽은 비내력벽으로 하여야 하고, 1997년도 주택건설기준등에관한 규칙을 개정하면서 삭제된 별표2 “주택의 평면 및 각 부위의 치수 및 기준척도”를 현실에 맞게 재 제정하여 확장을 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평면구성을 하여야 한다. 또한 발코니의 완충 효과가 가장 큰 거실에는 상층으로의 화재확산 방지를 위해 발코니를 확장 한 후에도 발코니의 본래 기능과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The building’s balcony is a buffer space that connects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building, and is specified in the BUILDING ACT as a space that is additionally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for the purpose of observation and relaxation. However, the balcony of the apartment house does not exist because it extends all balconies except for the balcony for evacuation. Since 2005, the BUILDING ACT for balcony expansion was legalized by the construct, and bedrooms and balconies were designed on the premise of balcony expansion, and spaces that could not be used without expansion were constructed. The MOLIT(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has also made it impossible to install a bearing wall for balcony installation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the MOLIT to prevent indiscriminate balcony expansion, but a bearing wall for balcony installation was installed. As a plan that could not be used as a bedroom unless the balcony was expanded, the option of the prospective occupant was ignored, and the main purpose of the balcony was completely lost by allowing the occupant to coordinate with the expedient extension and substantial repair. In order for the balcony to maintain its original function, the walls outside the balcony shall be non-bearing walls, and the attached Table 2 “Dimensional and reference measures of the floor plan and each part of the house” deleted in 1997 when the rules on housing construction standards, etc. shall be re-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reality to form a floor plan that can be used without expansion. In addition, in the living room where the buffer effect of the balcony is the most, a balcony must be installed even after expansion of the balcony so that it can play the role of preventing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balcony and the spread of fire to the upper floor.

      • KCI등재

        아파트 발코니면적의 시계열적 변화와 내재가치 추정에 관한 연구

        김진유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19 不動産學硏究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historic change of balcony of apartment in Seoul for the last three decades and estimate the imputed value of the balcony space. The balcony data of the 310 apartment units of Seoul were collected on the real estate information service sites which provide floor plan of each unit. The other data for the Hedonic Price Model to detect imputed value of balcony were gathered on the public apartment data provider including Korea Appraisal Board and National Statistic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ast 33 years can be divided into 3 periods: 1983 to 1992, 1993 to 2003, and 2004 to 2016. The Balcony to Exclusive Using Area Ratio (BER) raised from 19.6 percent to 24.3 percent in early 1990s. The BER change from period 2 to period 3 is about 8.7 percent point (from 24.3 to 33.0). The changes seem to be caused by rapid housing demand under the loose regulation on balcony renovation. Because the balcony area is excluded when the government calculates the floor area for taxation and building permission. Therefore, Koreans usually wanted to expand the balcony illegally and the space was changed into interior area such as bedroom and livingroom. Second the estimated unit value of balcony is about 6.4 million won per square meter that is more expensive than that of original interior area , 4.7~5.9 million won per square meter. The results provide meaningful policy implications associated with housing market. The existing incentives and benefit for under mid-sized house should be adjusted to the increasing housing demand. For example, decremental incentives by the house size increase can be adopted. Second, a new floor area standard including balcony size is necessary to realize fair taxation and building permis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we can call the new floor area standard ‘Real Using Area.’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택시장에서 발코니확장이 가지는 의미와 발코니의 내재가치를 선행연구와 정책변 화, 지난 30여년간의 발코니면적 변화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동안 발코니확장이나 발코니면적 증가 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져왔으나 주로 발코니의 건축적 기능이나 주거환경적인 의미 등에 집중하였 을 뿐, 주택수요나 주택가격 등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흡했다. 본 연구에서는 1983 년 이후 2016년까지 준공된 서울시의 310개 아파트를 대상으로 시기별 발코니면적의 변화를 살펴보고, 변 화의 원인에 대해 진단해보았다. 또한 2018년 7월 기준 시세자료를 토대로 다른 요인들을 통제하였을 때, 발코니면적이 가지는 내재가치를 추정하여 방이나 거실과 같은 본래의 실내면적의 가치와 비교하였다. 주 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1983년 이후 2016년까지 아파트들을 전용면적대비 발코니면적 비율(이후 발코니비율)을 기준으로 시기구분하면 크게 세시기로 나눌 수 있는 바, 1기는 1983년에서 1992 년, 2기는 1993년에서 2003년, 3기는 2004년에서 2016년까지이다. 1기에서 2기로 넘어가는 시기에는 발코 니비율이 약 5%p 증가하였는데, 이때는 80년대 경제발전으로 인해 주택수요가 폭발하면서 추진한 5개 신 도시의 입주가 시작되는 시기이다. 2기에서 3기로 전환되는 시기는 1998년 외환위기에서 회복하여 주택시 장이 재활성화된 시기로서 2005년 발코니확장 합법화가 이루어지는 시점이다. 이때는 발코니비율이 약 9%p 정도 증가하여 1990년대초보다 더 급격한 면적 증가가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자료를 기반으로 헤도닉 모형을 추정하면 발코니의 내재가치는 약 641만원/㎡로서 전용면적의 내재가치(471~594만원/㎡)보다 크게 나타났다. 즉, 주택시장에서는 발코니의 가치를 실내면적과 유사하거나 더 높게 보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은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서비스면적을 늘려서 주택수요 증가 를 편법적으로 충족시키는 상황을 바로잡기 위해서는 일정 구간에만 국한되어 있는 각종 혜택을 주택면적 에 따라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테면 국민주택규모 이하와 초과의 극명한 혜택의 차이를 완화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이미 발코니면적은 내부공간으로서 중요한 가격형성요인이 되 었으므로 이를 포함하여 밀도규제나 과세를 하여 형평성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공동주택 발코니 배수소음의 현황 및 개선방안

        노태학,오양기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6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8 No.3

        본 연구는 서비스 공간으로서의 발코니와 거실로 확장된 발코니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배수소음 문제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 있다. 설비소음에 대한 공동주택 거주자들의 반응을 기초로 발코니 배수소음의 문제가 소음으로 인한 불편의 수준에 이르렀다는 가설을 수립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동주택 3곳을 대상으로 발코니에서의 배수소음과 인접실인 거실과 안방에서의 소음레벨을 측정하여 발코니 배수소음의 영향정도를 파악하였다. 또한, 발코니 배수관의 각 부분에 대한 소음배출정도를 파악함으로서 발코니 배수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Facility noise in apartment houses is one of major complaints on noise. Bath and toilet equipments noise such as water supply/drain noise and toilet flush noise are the most well known facility noise, and mostly concerned research subject on that field. According to recent investigation, balcony drain noise is the second rated noise problem. The unreasonably legalized extended balcony in apartment houses in 2005 has been making the balcony area half-outside-half-inside space. That causes unexpected drain through non insulated drain pipe works inside the living area. It is focused that the drain noise problem between extended and non-extended units, as they use the balcony differently, as a service area and a living area. The actual noise levels are measured in balcony, and the major reason why the balcony drain noise is pointed the second major facility noise is investigated. Design method to prevent the excessive balcony drain noise in new apartment houses is also investigated, and a drain cover for mitigating the balcony noise problem in old apartment houses is proposed.

      • KCI등재

        공동주택 발코니 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심상일(Sim, Sang-il),박미진(Park, Mi-jin) 한국주거환경학회 2021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9 No.2

        우리나라의 주거문화는 근대화를 기점으로 과거의 전통적인 주거 양식이 변화하며 아파트라는 집합주거형식의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공동주택은 크게 개인적인 공간과 가족구성원 전체를 위한 공용공간으로 구성 되어있으며 이는 법적인 제한을 기준으로 사회적인 요구에 대응하며 거주자의 편의와 특성을 고려하여 점차 세분화되고 다양하게 변화하였다. 하지만 각 실 고유의 기능이 편리하게 특화되고 다양해지는 반면 초고층 공동주택이 늘어나고 있는 현 시점에서도 유일하게 외부공간과의 완충 역할을 하는 발코니의 기능은 오히려 퇴보되어 오로지 전용공간 확장을 위한 서비스면적으로만 자리매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공동주택 전용 면적당 발코니 공간의 비율과 발코니 확장 비율은 일정한 기준이 없이 건설사의 평면계획에 의하여 정해지다보니 발코니 확장의 여부와 관계없이 기본형과 확장형 모두가 기능적으로 활용도가 저하되고 피난 및 안전에 관한 필수적인 요소들은 오히려 사용자의 편의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변모 하고 있다. 정책적으로는 2005년 12월 기존의 불법적으로 시행해 오던 발코니 공간 확장에 대한 합법화 이후에 확장을 전제로 하는 일률적인 건축계획으로 도시미관 발전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대사회의 대표적인 주거형태인 공동주택에서 본래의 기능이 퇴색되고 있는 발코니 공간에 관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전용면적 비율에 따른 발코니 면적 제공과 발코니 확장 면적비율을 제한하여 공동주택 발코니의 기능적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Starting with modernization, Korea s residential culture has been changed the traditional residential style of the past and developed around apartment houses in the form of collective housing. Apartment houses are largely composed of private spaces and public spaces for all family members, which respond to social needs based on legal restrictions and have been gradually subdivided and varied considering the convenience and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However, at a time when the number of high-rise apartments is increasing, the function of balconies, which serve as buffers with external spaces, has been regressed and established only as a space to expand the service area.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balcony space per apartment area and balcony expansion ratio are set by the contractor s plan without certain rules, making both basic and expandable functionally underutilized and essential elements of evacuation and safety rather hinder residents convenience. Policy-wise, the unitary construction plan, which presupposes expansion after legalization of the existing illegal balcony space expansion in December 2005, has hindered the development of urban beauty. In this study, we will identify and analyze problems with balcony space, which is fading in apartment houses, a representative residential type of modern society, to present the ratio of balcony area per dedicated area and balcony expansion area ratio, and plan for sustainable revitalization.

      • KCI등재

        단위세대 발코니를 활용한 기후변화 대응 스마트팜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최근 3년간 서울시 전용면적 84㎡ 단위세대를 중심으로-

        유승연,김용성,송석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지난해 IPCC에서 발표한 제6차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와 비슷한 양의 이산화탄소 배출이 지속한다면 기온이 1.5℃ 상승하는 시점이 앞선 보고서에서 예측했던 시기보다 10년 앞당겨진 2021~2040년이 될 것으로 예상하며, 각 분야의 기후변화 대응방안 적용이 시급한 상황이다. 기후변화는 경지면적 감소와 재배적지의 변화, 기상이변을 일으키며 농업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식자재 생산 및 공급에 문제는 식량안보에 위협이 되고 있다. 이에 대한 농업분야의 대응방안으로 스마트팜에 대한 관심이 날마다 증가하고 있으나 에너지 사용으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은 지속가능성에 대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또한 건축분야에서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건축정책이 시행되고 있으나 완화차원에만 치우쳐져 있고, 발코니 확장법 제정 이후 단위세대에서는 발코니의 확장이 보편적 평면구조가 되어 실내환경 조절에 문제가 되며 실내 쾌적성을 유지하기 위해 에너지 사용량이 증가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단위세대의 내·외부를 연결하는 발코니를 활용하여 스마트팜과 결합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 완화와 적응 모두 적합한 완충공간이자 단위세대 내 식량을 생산 및 공급하는 공간으로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 기후변화 대응의 개념과 현황을 고찰하고, 기후변화 대응 측면에서의 발코니 공간의 기능과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단위세대에서 나타나는 발코니 공간의 유형을 기반으로 최근 3년 서울시에 공급된 84㎡ 단위세대 발코니 공간의 양상을 분석하여 프로토타입의 평면을 도출하였다. 또한 재배 및 유통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분석하여 단위세대 내 스마트팜 적용 효과를 분석하였고, 스마트팜의 재배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단위세대에 결합하기에 적합하며 태양광 병용이 가능한 형태의 스마트팜을 파악하였으며, 도출된 전용면적 84㎡ 단위세대 발코니 공간에 스마트팜을 결합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한 발코니 공간의 스마트팜 적용방안과 생산 가능한 식재량을 분석한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 최근 3년간 서울시 84㎡ 단위세대에서 뚜렷하게 드러나는 발코니 유형은 양면형과 전측면형으로 이 두 유형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평면 형태의 프로토타입을 도출하였으며, 단위세대와 결합하기에 적합하며 태양광과 인공광원의 병용이 가능한 스마트팜의 유형으로는 선반형 스마트팜과 레일형의 스마트팜이 적합할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에 대한 기본 모듈과 적용방안과 생산가능한 식재량을 도출하였다. (결론) 이는 단위세대 발코니와 스마트팜의 결합방안으로써 기존의 주거형 스마트팜 연구에서 고려되지 않았던 단위세대에 대한 분석과 단위세대와의 결합 및 태양광 병용의 형태적 적합성을 고려한 스마트팜 유형 분석을 토대로 적용방안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으며, 주거공간 내 식량의 자체 생산과 공급을 통해 기후변화에 대해 대응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써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아파트 발코니 확장에 따른 전용공간의 변화에 관한 연구 - 전용면적 85㎡형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

        배동식 한국농촌건축학회 2018 농촌건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e and use change of the private space according to the balcony expansion and use it as the data of plan design. According to Bay, front length/width ratio and the change of balcony space before and after expansion of space organization of house units were analyzed. Common characteristics of Flat type and Tower type are an increase of the frontage length of house units in an apartment, an increase of the number of front bay, and an increase of integrated LDK focusing on living room. A difference is that Flat type shows high frontage ratio, Bay figure, and spatial arrangement favorable to front openness and lighting. Flat type shows higher area distribution than Tower type in LDK area distribution located in at the plane center. Spatial expandability and visual openness of Flat type are more beneficial than those of Tower type in the planning, and a balcony extension of house units has developed to direction to open more. Tower type creates various block images through a combination of house units focusing on the core. Uses after balcony expansion are area expansion of a balcony-neighboring room, storage space, expansion and function improvement of the variable range, and specialized space different from a neighboring room. In addition, there is no escapable space except for a shelter, so unit plan should be prepared to prevent using it other space of a shelter and to solve moving line of two-way horizontal refuge and vertical refuge.

      • KCI등재

        주거용 건축물의 면적 산정 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 연구

        이재영,이재영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1

        (연구배경 및 목적) 용도를 불문하고 주거용 건축물의 면적은 거주자에게 있어 분양과정에서부터 소유, 사용, 매매, 재건축까지 영향을 지속적으로 미치는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일률적이고 타당하게 배분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주거용 건축물의 면적 산정기준이 명확하지 못해 여러 가지 혼선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주거용 건축물에 대한 일관되고 명확한 면적 산정 기준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일괄적으로 적용가능한 적정한 면적 산정 기준을 정립하고자 하며, 이를위해 면적산정 기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과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먼저, 선행연구와 법제도적 현황을 통해 면적 산정 기준에 있어 문제점과 그 원인을 확인하고, 각각의 원인별로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법제도적 측면에서 주거용 건축물의 종류와 각각의 개념을 살펴보고, 면적산정 기준과 그 변천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바닥면적에 산입되지 않는 발코니 확장 합법화로 인한 실제 주거 전용면적 등의 증가로 발생되는 공간사용 및 과세의 형평성문제와 면적 기준에 따른 면적 용어의 차이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결과) 주거용 건축물 면적 산정기준은 법 적용에 상관없이 일원화된 면적 산정기준을 도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법 테두리 내에서 혼선이 없도록 단독주택의 경우도 공동주택의 경우처럼 안목치수 개념의 전용면적과 벽체 공용을 포함하는 주거공용면적으로 구분하여 적용하고, 발코니의 경우 모든 주택에서 새롭게 기타전용면적으로 분류하여 전용면적에 포함하고, 확장이 불가한 발코니의 설치기준을 설정하여 발코니의 고유기능을 유지하도록 개선하도록 하여 용도 간 공간사용 및 면적의 형평성을 유지하도록 제시하였다. 또한 법적기준 일원화화 발코니 면적의 유효면적화를 통해 면적 용어의 체계도 새롭게 제시하였다. (결론) 현재 주거용 건축물은 다양한용도로 공급되고 있으며 용도에 따라 적용법이 다르나, 면적 산정 기준을 일원화하고 면적 용어를 정리함으로써 공간사용의 형평성 및 면적 용어에 대한 오해를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주거용 면적 산정 기준 개선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과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는 기초연구로서, 발코니를 포함하여 법제도적 테두리 내에 있는 면적 산정 기준과 관련 용어를살펴보고 개선방향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발코니 면적의 유효면적화와 그에 따른 설치기준에 대한 세심한 연구가추가적으로 필요하며, 따라서 이에 대한 후속 연구를 통해 전체적으로 관련법 정비 방안이 제안되고, 발코니 계획 방향 등에 대한 기존의 선행연구 결과와 함께 잘 운용된다면 좀 더 다양하고 좋은 주거 환경을 만들어 나가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 확장계획을 통해 본 발코니 공간 특성 분석

        배선영,강인호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06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 No.1

        It should be starting point to define the func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 in housing design. Balcony, however, gas not been figured out in terms of it`s function and spatial property.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essential function of balcony by analysing it`s extension desig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rea of balcony has increased constantly. 2) Unit plan was influenced by balcony extension design. 3) Remained balcony after balcony extension was for the utility and the privacy.

      • KCI등재

        공동주택 발코니의 차양식 방화루버 개발연구

        채영석,임병훈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3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5 No.3

        일반적으로 발코니를 확장하여 실내를 확장한 공동주택이나 커튼월 형식의 주거 및 상업용 건물에서는 발코니가 없어 햇볕을 차단하는 차양기능이 사라지고, 커튼이나 블라인드등으로 전면유리창을 가리는 형식으로 햇볕을 차단하게 되며, 그로 인하여 창밖의 경치를 가리게 되는등 조망권의 손실을 보게 된다. 특히 2006년부터는 공동주택에서 발코니확장이 인정되고, 2008년부터 발코니가 없거나 커튼월 형식의 공동주택의 경우 방화유리나 방화판 설치와 대피공간확보(방화문설치로 대체 가능)가 의무화(2008년 시행) 되어있어 발코니 확장 공동주택 및 커튼월 형식의 주거 및 상업용 건물등은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대안으로 건물 외부에서 햇볕을 차단하고 에너지 절약을 가능하게 하는 차양의 역할을 하며, 화재시에는 방화기능도 겸비하는 차양식 방화루버의 개발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차양식 방화루버”는 아파트 외부 전면부에 설치되는 루버로 아파트 미관상 적합한 디자인과 거주자의 필요에 의해 루버를 쉽게 접어 올리거나 내려 사용할 수 있고, 내화, 내식, 내구성 있는 루버개발에 그 목적을 둔다.

      • KCI등재

        차양식 방화루버의 방화성능시험 및 전산해석 연구

        김윤덕,임병훈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6 No.6

        일반적으로 발코니를 확장한 공동주택은 직사광선이 실내로 직접 들어오는 것을 일부 막아주는 차양루버의 역할과 화재발생시 화염이 발코니를 타고 상층부로 전이되는 것을 늦춰주는 방화역활을 해주던 공동주택의 발코니가 없음으로 해서, 실내에 직달일사의 사입량이 증가하였으며, 화재시 창호를 통하여 화염이 상층부로 전이되어 화재의 빠른 확산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2006년부터는 공동주택에서 발코니확장이 인정되고, 2008년부터 발코니가 없거나 커튼월 형식의 공동주택의 경우 방화유리나 방화판 설치와 대피공간확보(방화문설치로 대체 가능)가 의무화(2008년 시행) 되어있어 발코니 확장 공동주택 및 커튼월 형식의 주거 및 상업용 건물등은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1)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대안으로 건물 외부에서 햇볕을 차단하고 실내 에너지 절약을 가능하게 하는 차양의 역할을 하며, 화재시에는 방화기능도 겸비하는 차양식 방화루버의 개발연구를 수행하였다. In 2006, the government was sanctioned balcony remodeling in apartment. However, In many cases, it did not install the evacuated space. and was not good for fire-proofing properties between each floors. The venetian blind louver as one of the means to solve these problems, have been presented. The venetian blind louver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remodelled apartment balcon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fire protection and prevention preformance using the fire venetian blind louver. Also, is to improve a louver design and to make it easy how to use. The prototype of the venetian blind louver were tested for fire prevention in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KICT). The results of tests were a good fire prevention performance between in initial to 5 mins. In case of fires in apartment, the initial 5 minutes is very important to survive the peoples. This study, therefore, will improve the prototype of the venetian blind louver for fire protection and prevention pre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