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후 한국 반공주의의 균열과 전환

        김성보(Kim, Seong-Bo) 역사실학회 2017 역사와실학 Vol.62 No.-

        한국전쟁을 겪은 이후 1950년대에 한국의 반공주의는 외면적으로 매우 강력하게 작동했다. 그러나 그 내면을 들여다보면 심각한 균열로 인해 반공주의가 국민적 통합의 기제로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였음이 확인된다. 이 글은 1950년대 한국 반공주의의 균열 양상을 세 가지 층위에서 분석했다. 첫째 층위는 정부가 주도한 반공주의 선전과 탈이념적 사회현실 사이의 균열이며, 둘째 층위는 서구중심의 진영담론과 반서구적·민족주의적 담론 사이의 균열이다. 그리고 세번째로 반공권위주의와 자유민주주의 사이의 균열이 있었다. 1950년대의 한국사회는 전쟁의 체험 속에서 반공과 냉전에 휘말려 들어가면서도, 그 안에서 반공주의를 주체성의 회복과 동양적 가치의 실현, 민주주의의 확장 등 다양한 각도에서 구성해가고 있었다. 그런 점에서 전후의 반공은 냉전, 친미, 자본주의, 국가폭력 등으로 닫힌 반공이 아닌, 다양한 가능성이 경합하는 열린 공간으로서의 반공이었다. 다만 반공주의의 3층위에서의 심각한 균열은 이 이데올로기를 내적 통합력을 증대시키거나 대중동원을 통한 생산적 에너지로 전환하게 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였다. 그 전환은 1960년 4월혁명 이후 경제경쟁에서 이겨야만 공산주의를 이길 수 있다는 ‘승공’의 논리가 대두하면서 비로소 가능하게 된다. After the Korean War, the communism in Korea in the 1950s exercised its strong power on the surface. However, on the inside, anti-communism failed to properly function as a national mechanism for unification due to serious cracks. This study is focused on analyzing the aspects of anti-communist cracks in Korea in the 1950s centering on three layers. The first layer pertains to cracks between communist propaganda led by the government and post-ideological social reality. The second layer pertains to western-centered discourses and anti-western nationalistic discourses. The third layer pertains to cracks between anti-communist authoritarianism and liberal democracy. The Korean society in the 1950s was embroiled in the cold war amid the ashes of a war while establishing anti-communism from various aspects featuring recovery of identity, realization of the Eastern ideas and expansion of democracy. In this regard, postwar anti-communism was based on open space where diverse possibilities compete against one another instead of closed space wrecked by the cold war, pro-Americanism, capitalism and state violence. Serious cracks in the three layers of anti-communism made it impossible to convert the ideology into productive energy through increased internal integration or public mobilization. The conversion became possible with the advent of a logic of a victory over communism espousing that communism can be overcome only through a victory over an economic warfare after the April Revolution in 1960.

      • KCI등재

        1950~60년대 반공주의 담론과 감성 정치

        한국사회사학회 2012 사회와 역사 Vol.0 No.95

        <P>&nbsp;&nbsp;이 글은 1950~60년대의 반공주의를 담론과 감성의 측면에서 접근하여 반공주의가 여러 경합하는 담론들과 결합되어 다양하게 변주된 비균질적인 감성/감정의 복합체임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1948년 정부수립 이후 남한 국가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중요한 인자였던 반공주의는 이후 수십 년간 통치 이데올로기로서 맹위를 떨쳐왔으며 한국사회의 민주화가 진척된 이후에도 여전히 현실적인 힘을 발휘하고 있다. 그러나 반공주의 극복은 분단 극복의 핵심 사안인 만큼 반공주의를 보다 심층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반공주의를 이데올로기/이념/사상의 차원뿐만 아니라 감성/감정/정서의 차원에서 바라보았을 때 그 형성기인 1950~60년대의 반공주의는 대략 다음 몇 가지로 세분해 볼 수 있다. ① 전체주의적 민족주의/애국주의로서의 반공주의 ② 진영 논리로서의 반공주의 ③ 자유주의/개인주의/휴머니즘 옹호 논리로서의 반공주의 ④ 자본주의체제 수호 논리로서의 반공주의 ⑤ 반독재 민주화 정서로서의 반공주의 ⑥ 근대화/개발 논리로서의 반공주의 ⑦ 계급감정 으로서의 반공주의 ⑧ 반통일 정서로서의 반공주의 ⑨ 반민주화 논리로서의 반공주의 ⑩ 반민족/반북 정서로서의 반공주의. 이처럼 반공주의는 민족과 반민족, 민주화와 반민주화, 통일과 반통일이 혼재된 상이할 뿐만 아니라 상충되기까지 하는 다양한 사고와 감성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면적, 중층적, 모순적이다. 대략적으로 1950년대의 반공주의는 반공=민주주의=反독재→反정권으로 귀결된 반면, 1960년대에는 반공=反용공=反反독재=反민주주의→反反정권으로 의미화 된다고 할 수 있다. 반공주의는 다양한 억압적·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에 의해 확산되었는데 그중 가장 중요한 역할을 했던 것이 각급 학교에서 실시된 반공교육이다. 1950년대와 1960년대의 대표적인 반공교재를 텍스트로 하여 그 교육 목표 및 방식, 내용 등을 살펴보았다. 1950년대의 반공교육은 인성 도덕 과목과 결합하여 특정 감정을 자아내고 배제하는 감정 규율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1960년대에는 반공교과목뿐만 아니라 전교과목에서 더욱 심도있게 결합되어 ‘승공’, ‘방첩’이라는 정부의 반공시책에 부응하도록 유도하는 감성 프로파간다로서 기능하였다.</P><P></P>

      • KCI등재

        반공주의 형성과 성차별주의

        이명희(Lee Myunghee)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07 아시아여성연구 Vol.46 No.1

        1950년대 한국전쟁은 반공주의를 내면화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승만 정권은 반공이라는 최대의 자원으로 국민을 지배할 수 있었다. 이때 반공주의는 긴밀하게 성차별주의와 결탁한다. 이와 같은 사실은 반공주의가 문학 속에서 어떤 양상의 성차를 통해 집단 정체성을 형성해 갔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확인된다. 반공주의(자)는 공산주의(자)와 비교해서 도덕적 혹은 인간적으로 우위성을 얻음으로써 공산주의를 배제하는 방식으로 나아간다. 이때 반공주의 형성에서 여성은 남성 영웅의 보조자 혹은 매개자로 구현됨으로써 성차를 드러낸다. 또한 반공주의가 국가를 위한 통합의 장치로써 강력한 이데올로기로 작동될 때, 여성을 ‘국민 주체’화 함으로써 강간을 민족의 유린으로 받아들이지만, 이때 국민의 전형을 ‘남성 주체’에 두고 있기 때문에 집단 정체성이 극화되는 지점에서 여성은 객체화된다. 한편 반공주의가 성차별주의와 만나는 양상은 반공주의를 유포하는데 있어서 작가가 남성과 여성을 달리 다룬다는 점에서도 확인된다. 여성에게 있어서 이데올로기 실현은 부족함 혹은 미완성으로 남는다. 이와 같이 반공주의 형성에서 성차별주의와 결탁하고 있는 작가의 글쓰기 전략에는 국가주의뿐만 아니라 가부장적 이데올로기가 지니는 억압성의 일면을 보여준다. 따라서 반공이라는 국가주의가 지니는 억압 속에는 성차(性差)라는 또 다른 얼굴의 억압적 이데올로기가 겹쳐있다. Syngman Rhee's presidency ruled the South Korean for maximum resource by anti-communism while Korean War became the opportunity of internalization for anti-communism. At this point, anti-communism conspired with sexual discrimination. For this fact, anti-communism verified how to form the sexual difference through the group's identity as inquiring into the Korean literature. Anti-communism, or anti-communists, advanced on acquiring a predominant position of morality or humanity by comparing with communism, or communists, to eliminate of communism. At this moment, Female character was indicated materialization as an assistant or an intermediary in forming anti-communism. Moreover, the female was accepted violation as the devastation of people as “the subject of the nation” when communism was operated an equipment as powerful ideology. At this time, the women became object at the point of the maximum of the group's identity because the model of the nation was set “the subject of the male.” In the meanwhile, to diffuse an aspect of meeting of anti-communism and sexual discrimination was certified by the authors admit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le and female. Realization of ideology for the women remained insufficiency or incompletion. The strategy of the author conspiring sexual discrimination in the forming anti-communism was indicated an aspect of suppression having not only nationalism but also patriarchism's ideology. Therefore, sexual discrimination was overlapped the other side of suppressional ideology in the term of anti-communism in nationalism having oppression.

      • KCI등재

        1950~60년대 반공주의 담론과 감성 정치

        이하나 ( Ha Na Lee ) 한국사회사학회 2012 사회와 역사 Vol.0 No.95

        이 글은 1950~60년대의 반공주의를 담론과 감성의 측면에서 접근하여 반공주의가 여러 경합하는 담론들과 결합되어 다양하게 변주된 비균질적인 감성/감정의 복합체임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1948년 정부수립 이후 남한 국가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중요한 인자였던 반공주의는 이후 수십 년간 통치 이데올로기로서 맹위를 떨쳐왔으며 한국사회의 민주화가 진척된 이후에도 여전히 현실적인 힘을 발휘하고 있다. 그러나 반공주의 극복은 분단 극복의 핵심 사안인 만큼 반공주의를 보다 심층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반공주의를 이데올로기/이념/사상의 차원뿐만 아니라 감성/감정/정서의 차원에서 바라보았을 때 그 형성기인 1950~60년대의 반공주의는 대략 다음 몇 가지로 세분해 볼 수 있다. ① 전체주의적 민족주의/애국주의로서의 반공주의 ② 진영 논리로서의 반공주의 ③ 자유주의/개인주의/휴머니즘 옹호 논리로서의 반공주의 ④ 자본주의체제 수호 논리로서의 반공주의 ⑤ 반독재 민주화 정서로서의 반공주의 ⑥ 근대화/개발 논리로서의 반공주의 ⑦ 계급감정으로서의 반공주의 ⑧ 반통일 정서로서의 반공주의 ⑨ 반민주화 논리로서의 반공주의 ⑩ 반민족/반북 정서로서의 반공주의. 이처럼 반공주의는 민족과 반민족, 민주화와 반민주화, 통일과 반통일이 혼재된 상이할 뿐만 아니라 상충되기까지 하는 다양한 사고와 감성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면적, 중층적, 모순적이다. 대략적으로 1950년대의 반공주의는 반공=민주주의=反독재→反정권으로 귀결된 반면, 1960년대에는 반공=反용공=反反독재=反민주주의→反反정권으로 의미화 된다고 할 수 있다. 반공주의는 다양한 억압적 · 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에 의해 확산되었는데 그중 가장 중요한 역할을 했던 것이 각급 학교에서 실시된 반공교육이다. 1950년대와 1960년대의 대표적인 반공교재를 텍스트로 하여 그 교육 목표 및 방식, 내용 등을 살펴보았다. 1950년대의 반공교육은 인성 도덕 과목과 결합하여 특정 감정을 자아내고 배제하는 감정 규율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1960년대에는 반공교과목 뿐만 아니라 전교과목에서 더욱 심도있게 결합되어 ``승공``, ``방첩``이라는 정부의 반공시책에 부응하도록 유도하는 감성 프로파간다로서 기능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at South Korea``s anticommunism in 1950s~1960s is a complex of unequalized effect combined with a lot of competing discourses and tuned variously from a logotional(emotional and rational) point of view. After establishment of South Korea``s government in 1948, anticommunism, a vital factor composing of national identity, have raged as a predominant ideology for several decades and still influenced after progress of democratization in Korean society. Because coping with anticommunism is a core issue of overcoming division, we need to study it in depth. When we investigate anticommunism not only in the level of ideology/thought but also in the level of sensibility/ emotion/sentiment, anticommunism in 1950s~1960s, a formative period, can be approximately subdivided into ten elements; ① totalitarian nationalism/chauvinism ② camp logic ③ support logic of liberalism/individualism/humanism ④ protection logic of capitalistic system ⑤ sentiment of anti-dictatorship democratization ⑥ logic of modernization/development ⑦ class sentiment ⑧ sentiment of anti-unification ⑨ logic of anti-democratization ⑩ sentiment of anti-nation/anti-north Korea. Like this, anticommunism is multifaceted, superimposing, contradictory in the way that it contains diverse conflicting thought and effect, and that it is mixed nation with anti-nation, democratization with anti-democratization, unification with anti-unification. We can explain briefly that anticommunism in 1950s was concluded anti-regime (anticommunism = democracy → anti-dictatorship → anti-regime), while in 1960s means anti-anti-regime (anticommunism = anti-pro-communism = anti-anti-dictatorship → anti-democracy → anti-anti-regime). Meanwhile, anticommunism was diffused by many oppressive and ideological apparatus of the state. Anticommunist education conducted in schools has performed a most crucial role. This article examined the educational goal, means, and contents through some representative textbooks of anticommunism. Anticommunist education in 1950s combined with Ethics subject was fulfilled in the form of emotion regulation arousing and excluding some specific emotion, and in 1960s conjoined with the other subjects in depth and functioned as a effect propaganda which induced to gratifying anticommunist policy of government like ``defeating communism`` and ``protecting from spying``.

      • KCI등재

        소녀의 탄생과 반공주의 서사의 계보

        김복순(Kim Bok-soon) 한국근대문학회 2008 한국근대문학연구 Vol.9 No.2

        서사에서 시선은 가치를 유발ㆍ창출하기도 하며, 가치를 위협ㆍ살해하기도 한다. 반공주의 서사는 개인 주체 및 집단 정체성 형성 및 사회체계 형성과 관련하여 강력한 규율장치 역할을 해왔기 때문에 그 형성과정 및 계보는 반드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녹색의 문』은 소녀의 탄생-낭만적 사랑-반공주의 결합의 기원을 제시한다. 전후 ‘예비 여성시민으로서의 소녀’는 ‘낭만적 사랑의 준비 단계’인 시공간으로서, 스위트 홈을 창출하고 새로운 가부장제를 안착시키는데 필요한 순결 규범, 애정 규범, 미적 규범이 내면화 되는 단계를 의미한다. 즉 소녀는 세대별로 구분지어, 현모양처 규범 ‘이전’의 규범을 만드는, 일종의 여성 통치 수사학이었다. 소녀는 순결 규범, 애정 규범, 미적 규범의 대상 및 주체로서, 세 규범은 완전히 독립적이기보다 서로 관련되어 작용하며, 성ㆍ사랑ㆍ결혼의 통합인 낭만적 사랑은 소녀의 ‘세 규범의 조화’와 완전히 일치한다. 비록 현모양처 규범의 재편과 관련되어 있지만, 『녹색의 문』은 소녀의 일상 및 사유가 전면적으로 제시된 소설이라는 점에서, ‘소녀라는 주인공의 탄생’이 이루어진 해방후 최초, 최대의 소설이다. 『녹색의 문』은 붉은 연애자 또는 성적 욕망에 충실한 여자를 악녀로 배치하면서, 여성을 성적 주체 및 운동적 주체로부터 배제한다. 민족주의자로서의 여성 영웅인 도영혜를 악녀로 등장시키고 스파이-매국노-빨갱이-비국민의 은유를 만들어 가는 과정은 전후 사회의 반공주의화 과정과 호몰로지이다. 이념(사상성)과 여성성의 부정적 결합으로 규정되는 낭만적 사랑의 애정규범은 전후의 ‘반공주의적 가부장제’의 작동 방식을 제시한다. 『흑의의 여인』에서 낭만적 사랑을 넘어서는 여성의 일의 발견과 자매애의 발견은 반공주의와 여성성의 결합 양상의 중요한 한 유형을 제공해준다. 하지만 『녹색의 문』은 반공주의 서사 형성에 일종의 균열지점을 산출하였다. 남성젠더 시선의 반공주의 소설이 여성 인물을 필연적 계기 없이 자신의 신념을 쉽게 포기하도록 배치한 것과 반대로 오히려 남성을 변모시키는 등 반공주의의 우위성이 성차를 통해 이루어지는 방식을 거부하였다. 또 유보화라는 여성 인물을 반공주의의 단순한 인간애에 기초하도록 배치하지 않았으며, 남성의 보호자로 각인시켜 영원히 권력의 타자로 머물게 하는 성 권력의 배치로 기능하게 하지도 않았다. 따라서 『녹색의 문』에서 여성은 단순히 남성의 타자가 아니다. 이것이 여성젠더 시선의 반공주의 서사의 한 특징이며, 소녀의 탄생-낭만적 사랑-반공주의 서사의한 계보를 창출하는 지점이다. Green Door shows a correlation of the discovery of girls - romantic love - anti-communist narratives. At postwar era, 'Girls as a pre-female-citizen' is 'a stepping stone to romantic love', internalizing purity, love, aesthetic norms required to create sweet-home and stabilize brand new patriarchy. It was a kind of rhetorics for dominating women, which girls are divided into several steps by ages and asked to learn norms before internalizing ‘wise mother and good wife’ norms. Girls take both subjective and objective roles in purity, love, aesthetic norms and these three are co-related. Also, romantic love, a combination of sex, love and marriage completely accord with 'a harmony of three norms' of girls. Excluding sexual, progressive independence, romantic love narrative shows a negative combination of ideology and feminity, pointing out how 'anti-communist patriarchy' works. Discovering woman's work and sisterhood shows one way anti-communism and feminity correlations. This is one of major characteristics in woman's anti-communist narratives, unfolding new genealogy in anti-communist narratives.

      • KCI등재

        소녀의 탄생과 반공주의 서사의 계보 -최정희의 『녹색의 문』을 중심으로-

        김복순 한국근대문학회 2008 한국근대문학연구 Vol.9 No.2

        Green Door shows a correlation of the discovery of girls - romantic love - anti-communist narratives. At postwar era, 'Girls as a pre-female-citizen' is 'a stepping stone to romantic love', internalizing purity, love, aesthetic norms required to create sweet-home and stabilize brand new patriarchy. It was a kind of rhetorics for dominating women, which girls are divided into several steps by ages and asked to learn norms before internalizing ‘wise mother and good wife’ norms. Girls take both subjective and objective roles in purity, love, aesthetic norms and these three are co-related. Also, romantic love, a combination of sex, love and marriage completely accord with 'a harmony of three norms' of girls. Excluding sexual, progressive independence, romantic love narrative shows a negative combination of ideology and feminity, pointing out how 'anti-communist patriarchy' works. Discovering woman's work and sisterhood shows one way anti-communism and feminity correlations. This is one of major characteristics in woman's anti-communist narratives, unfolding new genealogy in anti-communist narratives. 서사에서 시선은 가치를 유발ㆍ창출하기도 하며, 가치를 위협ㆍ살해하기도 한다. 반공주의 서사는 개인 주체 및 집단 정체성 형성 및 사회체계 형성과 관련하여 강력한 규율장치 역할을 해왔기 때문에 그 형성과정 및 계보는 반드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녹색의 문』은 소녀의 탄생-낭만적 사랑-반공주의 결합의 기원을 제시한다. 전후 ‘예비 여성시민으로서의 소녀’는 ‘낭만적 사랑의 준비 단계’인 시공간으로서, 스위트 홈을 창출하고 새로운 가부장제를 안착시키는데 필요한 순결 규범, 애정 규범, 미적 규범이 내면화 되는 단계를 의미한다. 즉 소녀는 세대별로 구분지어, 현모양처 규범 ‘이전’의 규범을 만드는, 일종의 여성 통치 수사학이었다. 소녀는 순결 규범, 애정 규범, 미적 규범의 대상 및 주체로서, 세 규범은 완전히 독립적이기보다 서로 관련되어 작용하며, 성ㆍ사랑ㆍ결혼의 통합인 낭만적 사랑은 소녀의 ‘세 규범의 조화’와 완전히 일치한다. 비록 현모양처 규범의 재편과 관련되어 있지만, 『녹색의 문』은 소녀의 일상 및 사유가 전면적으로 제시된 소설이라는 점에서, ‘소녀라는 주인공의 탄생’이 이루어진 해방후 최초, 최대의 소설이다. 『녹색의 문』은 붉은 연애자 또는 성적 욕망에 충실한 여자를 악녀로 배치하면서, 여성을 성적 주체 및 운동적 주체로부터 배제한다. 민족주의자로서의 여성 영웅인 도영혜를 악녀로 등장시키고 스파이-매국노-빨갱이-비국민의 은유를 만들어 가는 과정은 전후 사회의 반공주의화 과정과 호몰로지이다. 이념(사상성)과 여성성의 부정적 결합으로 규정되는 낭만적 사랑의 애정규범은 전후의 ‘반공주의적 가부장제’의 작동 방식을 제시한다. 『흑의의 여인』에서 낭만적 사랑을 넘어서는 여성의 일의 발견과 자매애의 발견은 반공주의와 여성성의 결합 양상의 중요한 한 유형을 제공해 준다. 하지만 『녹색의 문』은 반공주의 서사 형성에 일종의 균열지점을 산출하였다. 남성젠더 시선의 반공주의 소설이 여성 인물을 필연적 계기 없이 자신의 신념을 쉽게 포기하도록 배치한 것과 반대로 오히려 남성을 변모시키는 등 반공주의의 우위성이 성차를 통해 이루어지는 방식을 거부하였다. 또 유보화라는 여성 인물을 반공주의의 단순한 인간애에 기초하도록 배치하지 않았으며, 남성의 보호자로 각인시켜 영원히 권력의 타자로 머물게 하는 성 권력의 배치로 기능하게 하지도 않았다. 따라서 『녹색의 문』에서 여성은 단순히 남성의 타자가 아니다. 이것이 여성젠더 시선의 반공주의 서사의 한 특징이며, 소녀의 탄생-낭만적 사랑-반공주의 서사의 한 계보를 창출하는 지점이다.

      • KCI등재

        한국전쟁과 천주교 반공주의 : 역사적 변동과 비판적 성찰

        강인철 수원교회사연구소 2021 교회사학 Vol.- No.19

        이 글에서 필자는 역사적이고 비판적인 관점에서 한국 천주교회와 그 지도자들의 반공주의를 분석했다. 그동안 식민지-해방-전쟁 시기에 머물 렀던 천주교 반공주의 연구의 대상 기간을 전쟁 이후 시기와 현재까지 대 폭 확대하여, 지난 한 세기 동안 천주교 반공주의에서 진행된 변화 과정 전 체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역사적 안목을 얻고자 했다. 또한, 이 연구는 한국전쟁에 일차적인 초점을 맞추었다. 한국 천주교 반공주의 역사를 ‘전 쟁 이전’과 ‘전쟁 이후’로 양분할 수 있을 만큼, 전쟁은 천주교 반공주의에 서 중요한 분기점이었다. 필자는 (1) 전쟁 이전, (2) 전쟁 과정, (3) 전쟁 이 후라는 세 시기를 비교의 맥락 안에 위치시킴으로써, 전쟁이 천주교 반공주의에 끼친 영향을 좀 더 선명하게 드러냈다. 전쟁은 반공주의의 이데올로기적 위상 격상, 반공주의의 담론적 집중 성 제고, 반공주의의 종교성 강화, 순교 및 성모 담론과의 결합을 통한 감 정동원 및 행위 동기화 능력 제고 등을 수반했다. 전쟁 후 천주교 반공주의 에서 발생한 가장 중요한 변화는 ‘반공주의 종교화’ 과정의 전면화와 가속 화였는데, 이는 전쟁에 대한 기억과 재현 방식에서 비교적 명확히 확인된 다. 교리와 신념체계(해방 이전), 순교·성모신심운동(해방 후 전쟁 이전)에 그쳤던 반공주의의 종교화는 전쟁 후 교회조직(망명교구 설정, 교회분단 제도화 및 북한교회 소멸 공식화), 공식기억(교회사 편찬, 수난자 전기 편 찬), 의례(침묵의 교회를 위한 기도의 날, 현충일 추도미사), 순교신심운동 (한국전쟁 희생자들을 순교자로 규정하고 현양하는 활동), 선교(북한선교, 선교요원 양성, 북한교회 재건 준비) 등으로 최대한 확장되었다. 교회와 민 족의 재일치·재통합 문제에 대한 한국교회 지도층의 접근방식 역시 대체 로 분단체제의 공고화에 기여하는 것이었다. 1980년대 말부터 한국교회는 ‘종교화된 반공주의’와 거리를 두기 시작 했다. 2000년대 초에 이르러 한국교회는 ‘분단-대결 패러다임’에서 ‘탈분 단-평화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사실상 완료했다. 이것은 평화주의적 전 환(pacifist turn)이자 탈분단체제로의 전환이었다. 그 결과 고령 신자들을 중심으로 반공주의적 정서는 남아 있을지라도 한국교회 안에서 반공주의 의 종교적 색채는 거의 사라졌다. 물론 교회 내 극우단체의 활동, 한국전쟁 당시 살해되거나 납치당한 교회 지도자들의 유해송환운동이나 시복운동 등은 ‘공격적인 종교적 반공주의’를 되살려낼 요인으로 작용할 잠재력을 여전히 지니고 있다.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anti-communism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and its leaders from a historical and critical point of view. So far, research on Catholic anti-communism has been limited to the colonialliberation- war period, but in this study, it has been greatly expanded to the post-war period. By doing so, I tried to gain a historical perspective that can see the whole process of change that has taken place in Korean Catholic anticommunism over the past century. In addition, this study focused primarily on the Korean War. The war was such an important turning point that it was possible to divide the history of Korean Catholic anti-communism into ‘before the war’ and ‘after the war.’ By placing the three eras (1) before the war, (2) during the war, and (3) after the war in the context of comparison, I highlighted the impact of the war on Catholic anti-communism more clearly. Through the war, Catholic anti-communism achieved an elevation of ideological status, enhancement of discoursive concentration, reinforcement of religiosity, and enhancement of ability to mobilize emotions and motivate actions. The most important change that occurred in Catholic anti-communism after the war was the acceleration of the process of ‘religiousization of anti-communism’, which is relatively clearly confirmed in the way of memory and representation of the war. Before the war, the religiousization of anti-communism was limited to doctrines and belief systems (before liberation), and faith movements related to the martyrs and the Virgin Mary (after liberation to before the war). However, after the war, the religiousization of anti-communism was expanded to church organization, official memory, rituals, martyr cult, and missions. The Korean church leadership's approach to the problem of reunification of the church and the nation also contributed to the consolidation of the division system. From the late 1980s, the Korean church began to distance itself from ‘religiousized anti-communism.’ By the early 2000s, the Korean church had virtually completed the transition from the ‘division/confrontation paradigm’ to the ‘post-division/peace paradigm.’ It was a pacifist turn and a transition to the post-division system. Although some elements with the potential to revive ‘aggressive religious anti-communism’ still exist, and although anti-communist sentiments remain among older believers, the religious color of anti-communism has almost disappeared with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 KCI등재

        냉전 초기 반공주의와 흑인민권운동의 연구: NAACP사례를 중심으로

        주정숙 ( Jeong Suk Joo ) 한국아메리카학회 2012 美國學論集 Vol.44 No.1

        본 논문은 냉전 초기 전미유색인지위향상협회(NAACP)의 반공주의에 대한 기존 연구를 고찰하고 이를 통해 흑인민권운동과 (반)공산주의의 관계 및 냉전의 반공주의가 흑인민권운동에 미친 영향을 살펴본다. 2차 대전은 기존 흑백관계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으며 향후 민권운동의 기반을 다진 중요한 시기이다. 그러나 전후 반공주의 분위기 속에서 민권운동 단체들은 공산주의 영향 하에 있다 하여 공격을 받았고 이에 Manning Marable과 같은 학자는 냉전이 민권운동의 전진을 늦추거나 이의 퇴보를 가져왔다고 비판하였다. 반공주의가 민권운동에 끼친 폐해와 더불어 공산주의 자들이 오랫동안 흑인 민권을 지지해 왔음을 고려할 때 그는 가장 큰 민권단체인 NAACP가 반공주의 공격에 직면하여 공산주의자들과 협력하기를 거부하고 반공주의에 순응했던 것에 대해 특히 비판적이었다. 그러나 최근 ManfredBerg와 같은 학자는 NAACP의 반공주의는 단지냉전 시기 반공주의자들의 공격에 대한 대응과 적색공포의 산물이 아니라 이전부터 계속되었던 NAACP지도부와 공산주의자들 간의 갈등을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냉전으로 인해 NAACP의 반공주의가 더욱 강화되었을 수는 있지만 냉전이 없었더라도 전후 NAACP와 공산주의자들의 협력을 기대하기는 어려웠음을 주장한다. 이에 NAACP의 반공주의에 대한 비판은 재고의 여지가 있다. 그러나 민권운동의 담론을 법적 차별 철폐에만 한정시켰다는 점과 NAACP가 적극적으로 반공주의를 취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반공주의자들을 공격을 받았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냉전의 반공주의가 민권운동에 끼친 폐해는 분명해진다.

      • KCI등재

        반공주의의 내면화와 1960년대 풍자소설의 한 경향-이호철ㆍ서기원의 단편을 중심으로

        김준현 상허학회 2007 상허학보 Vol.21 No.-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relation of the special character of anticommunism and satirical short stories in 1960"s, in Korea. The anti-communism system used by the "Park, Chung-hee" government had a special character, which can be described by the word "internalization". With this "internalization", the anti-communism system could control not only people"s act, but also their thinking itself. The internalization of anti-communism was made possible by widening denotations of related signs. By that, The government could control all kind of anti-government acts in the name of anti-communism without any fabrication because no Korean citizen was free from the widened sign "pro-communist". As people were not able to own concrete methods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communists, they also could not own their subjective identity and independence. "The internalized censorship" is another word describes this condition. Satire is a form of criticism, and at the same time, it is a form of a roundabout. Writers who would criticize the negative effects of anticommunism in 1960"s, always had to face the strong censorship it produced. Satire is one of the best way to evade censorship, criticizing itself and its owners. For this reason, writers tried new type of their creation, that leads to satirical short stories. Lee, Ho-chul"s stories contain humoristic episodes driven by widened denotations of signs. Characters run away or get obsequious even though they did nothing illegal. By this stories, he criticize anti communism system which keep people from being independent and expressing their own thoughts. Main characters in Seo, Ki-won"s stories are agents of the government, whose mission is to chase and capture communist. Their missions always fail because they have no formula to distinguish communists from ordinary people. It shows that domestic political control was an important issue of anti-communism, because characters lay stress on investigation itself, not on arresting communists. 이 글은 1960년대 반공주의의 특성을 검토하고 당시 창작된 풍자소설의 한 경향을 파악하려는 의도를 지닌다. 5ㆍ16 주체인 박정희 정권의 지배 담론으로 활용된 반공주의는 이전 시기의 그것과는 구별되는 성격을 가진다. 1960년대 반공주의를 이전의 반공주의와 구분하는 키워드는 ‘내면화’이다. 이것은 반공주의가 제도적 차원이나 법집행 차원을 넘어서 사회성원들의 사유방식 자체를 통제하는 데까지 나아간 것을 의미한다. 반공주의의 내면화는 관련 기호들의 외연을 넓히는 방식(예: 공산주의자→용공주의자)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정부로서는 친정부적이지 않은 행위를 특별한 조작 없이 모두 반공의 이름으로 처단할 수 있게 되었고, 국민들은 자신들의 주체적인 행위나 의견을 외연이 넓어진 ‘빨갱이’의 그것과 구별할 수 없게 되었다. 반공이라는 체제 하에서 국민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할 수 없었으며, 따라서 주체적이거나 논리적인 사고를 할 수 없는 상태로 나아간다. 내면화된 검열이라는 것은 이러한 상태를 일컫는다. 풍자는 두 가지 성격을 가진다. 하나는 비판의 형태라는 것이고, 하나는 우회의 형태라는 것이다. 이 글에서 살피는 풍자소설들은 검열을 비판하면서 동시에 그것을 우회한다. 1960년대 중반을 전후로 풍자소설이 활발히 창작되었던 사실은 작가들이 반공주의가 생산하는 모순에 대한 비판의식을 표출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검열 장치를 우회하여야 했던 상황과 관계가 있다. 이호철의 「부시장 부임지로 안 가다」와 「어느 이발소에서」는 반공주의 관련 기호들의 외연이 확장되면서 생기는 모순을 우연히 일어나는 촌극을 통해 날카롭게 묘파하여 풍자하고 있다. 등장인물들은 불법적인 행동을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도피하거나 부당한 외압 앞에서 비굴해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공산주의자로부터 자신을 구분할 수 없는 시민은 ‘잠재적 죄인’으로 전락해버리기 때문이다. 서기원의 「아리랑」, 「이유」, 「오산」은 용공분자를 색출하는 임무를 가진 기관원을 주인공으로 내세운다. 그런데 그들과 그들이 속해 있는 기관은 용공분자를 평범한 시민들로부터 가려낼 수 있는 확립된 기준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리하여 그들의 임무는 언제나 성공적으로 수행되지 못하고 희화화된 촌극으로 이어진다. 이를 통해 용공분자의 색출자체보다 감시 자체가 더 중시되는 반공주의의 대내 통제적 특성이 드러난다.

      • KCI우수등재

        한국형 신자유주의 기원으로서 반공자유주의

        김동춘(Kim, Dong-Choon) 비판사회학회 2018 경제와 사회 Vol.- No.118

        외환위기 이후 신자유주의적 개혁이 본격화된 이후에도 한국의 국가는 여전히 시장에 깊이 개입해왔으며, 성장주의, 재벌 주도의 발전전략은 사라지지 않았다. 외환위기가 한국을 세계화, 신자유주의 질서로 본격 편입시킨 결정적인 계기가 된 것은 사실이나, 1987년 이전인 전두환 정권 이후에도 경제개방과 더불어 일부 신자유주의 정책은 시행되었다. 미국발 반공자유주의는 한국 정치 · 경제를 주조한 기본적인 틀이 되었다. 북한 공산주의에 대한 ‘방어’와 자본주의 체제 안정화를 위해 귀속재산의 민간 불하, 지주 세력을 몰락시키고 농민에게 소유권을 보장하는 농지개혁, 은행 및 국유기업의 사유화를 이미 정부 수립과 한국전쟁 전후에 추진했다. 한국전쟁, 그리고 그 이후 수십 년 동안 지속된 남북한 간의 휴전 상태는 국가의 존립 자체가 위협을 받는 ‘비상사태’, 즉 준전쟁 상황이었으며, 근대화와 수출 주도의 경제성장 노선, 생산주의는 이런 조건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 1960년대 이후 수출 위주의 공업화와 발전국가는 공산주의로부터 자본주의 체제를 ‘방어’해야 한다는 미국발 세계 경제 질서 재편의 요구, 즉 반공지유주의의 큰 우산 아래에서의 정책 전환을 반영했다. 자본주의 세계체제, 냉전하의 한국의 발전국가는 국가의 시장 개입의 특징도 갖지만, 재벌 대기업에 대한 일방적 특혜, 국민 저축 장려를 통한 사적인 복지와 사회 안전망 마련, 그리고 임금 통제와 노동 억압 등의 특징을 갖는 것이었다. 국가-재벌의 결합에 의한 발전국가는 민주화와 노동세력의 도전, 외부의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도전을 맞아 크게 변형되지 않을 수 없었다. 87년 민주화와 97년 외환위기는 한국 자본주의의 큰 전환점이었고, 과거의 반공자유주의는 약화되었으나 경제적 반공주의, 즉 신자유주의적 시장주의가 그 자리를 차지했다. 한국의 국가 주도, 국가 주도형신자유주의는 발전주의의 연장 속에 있으며, 반공자유주의의 궤도 위에 서 있다. 신자유주의의 주요 특징으로 알려진 낮은 공공복지, 저조세, 저복지, 작은 국가 상태는 발전국가, 멀리는 반공주의의 틀에서 이미 그 기초가 형성되었으며, 한국이 이러한 정치 · 경제 질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신자유주의의 기원으로 반공자유주의, 그리고 발전국가의 성격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Even after the 1997’s financial crisis in South Korea when neoliberal reformation was forced and institutionalized substantially, the state still intervened in the market deeply, and the Chaebol-led developmental economic policy and growth-oriented ness has far from disappeared. While it was certain that the economic crisis constituted the deterministic moment by which South Korea entered the whale of global neo-liberalism, some neoliberal policies were already adopted in the Chun Du-Whan government paralleled with economic openness. US-led anticommunist liberalism after 1945 created the basic framework of South Korean political economy. The urgency of national security against the threat of North Korea and stabilization of capitalist economy conditioned such policies like distribution of Japanese-left assets, land reform, and the privatization of state-owned companies and banks before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The Korean War(1950-1953) and the ‘truce system’ thereafter that have lasted for several decades could be viewed as an ‘emergency’ or quasi-war situation, which connected to the modernization and export-led economic growth policy in the 1960s under the US’s shift of global cold way strategy. The export-led industrialization reflect that anticommunist policy of the US that tried to defend the underdeveloped countries against the communist’s threat. Developmentalism may not be characterized just as intervention of state to market but as an preferential policy to big business, suppression of the organized labor. wage control, and family-oriented private welfare system. After 1987’s democratization, South Korea’s developmental state, by which state-Chaebol collusion had been structurally consolidated, had to adapt itself on the new challenges like democratization and growth of organized labor internally, neoliberal globalization externally. Economic liberalism or market fundamentalism took the place of anticommunist liberalism after 1997. But South Korea’s state-led neoliberalism may be regarded as extension of past developmentalism and did not go astray from the track of anticommunist liber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