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미투 운동 이후 페미니즘 정치의 전환: ‘연대의 정치’를 향하여

        백미연 한국정치사상학회 2019 정치사상연구 Vol.25 No.2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historical and social significance of the #MeToo movement in Korean society and present the direction of Korean Feminist politics after the #MeToo movement. To this end, I examine the historical and social meanings of anti-feminism sentiment and misogyny in American society and Korean society. The #MeToo movement can be understood as a "resistance to the whole society that allowed misogyny" movement. And I point out the limits of mainstream (neo)liberal feminism that failed to prevent the 'whole society that allows misogyny '. In American society, #MeToo and #TimesUp movements demand new feminist politics. In Korean society, #MeToo movement also raised the necessity of new feminism theory and politics, not mainstream state feminist strategy. The Korean #MeToo movement is still focused o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changes of gender violence, but it is very encouraging in that it showed the possibility of social solidarity in addition to women 's solidarity. The Post #MeToo movement should be transformed into 'politics of solidarity' that will lead to a debate on prospects and strategies for future society. We expect that such debate will be centered around values ​​such as 'political inclusion' and 'parity of participation'. 이 글은 한국사회에서 미투 운동의 역사적·사회적 의미를 분석하여, 미투 운동 이후 한국 페미니즘 정치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미투 운동이 처음 시작 된 미국사회와 한국사회의 반페미니즘 정서와 여성혐오현상을 검토하여, 미투 운동의 역사적·사회적 의미를 분석한다. 미투 운동은 ‘여성혐오를 허용한 사회전체에 대한 저항’운동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여성혐오를 허용하는 사회’를 막는데 실패한 주류(신)자유주의 페미니즘의 한계를 지적한다. 미국 사회에서 미투 운동과 타임즈업 운동 등은 새로운 페미니즘 정치를 요구하는 실천이며, 한국 사회에서 미투 운동 역시 주류 국가페미니즘 전략이 아닌 새로운 페미니즘 이론과 정치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한국 미투 운동은 여전히 젠더폭력에 대한 법적·제도적 변화에 집중하고 있지만, 여성 연대 나아가 사회적 연대의 가능성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대단히 고무적이다. 포스트 미투 운동은 ‘포용’과 ‘참여의 평등’ 가치를 중심으로 미래 사회의 전망과 전략 논쟁을 주도하는 ‘연대의 정치’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 미투운동의 응결점들 - B시 P대학의 경험을 중심으로

        최나현 ( Choi Na-hyun ),김영 ( Kim Young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24 여성학연구 Vol.34 No.1

        이 글은 2018년 P대학 미투운동 참여자의 경험을 통해 대학에 안정된 여성운동조직 기반이 없었음에도 미투운동이 활발히 진행될 수 있었던 까닭을 파악하고, 미투운동 참여 경험이 참여자에게 미친 영향과 후속효과를 확인했다. 2018년 3월초 P대학에서는 연이은 미투 고발과 함께 스스로를 ‘P대페미’라 명명하던 ‘꿘페미’, ‘곁페미’, ‘한줌단’이라는 세 주체가 나란히 등장했는데, 이들은 학생운동 조직에서의 훈련과 여성학 수업에서 맺은 관계를 바탕으로 미투운동에 참여할 수 있었다. 활동 과정에는 여성학 행사에의 참가자 운집과 미투운동 선전물이 캠퍼스를 가득 메우는 ‘페미니스트 스펙타클’ 전술이 작동됐다. 이는 참여자들의 연대감을 강화할 뿐 아니라 운동에 대한 주목도를 높이며 교내 구성원의 미투운동 지지 의견 표명을 활성화했다. 한편, 미투운동 참여 경험은 참여자들이 새로운 페미니즘 소모임을 구성하고 자율적 활동을 실시하는 원동력이 되었으며, 현재까지도 페미니스트로서의 구체적 실천을 고민하도록 만드는 토대였다. 이 연구는 대학 여성운동의 재활성화 가능성을 탐색하는 동시에 미투운동의 불씨가 우리의 삶에 어떻게 살아남아 있는지를 확인했다는 의의가 있다. This article is an case study on “P” university Me-Too Movement, aiming at identifying the factors of the subjects making of the university women’s movement. In 2018, “P” University did not have a stable female student organization, but during the Me-Too movement, ‘three subjects’ appeared, based on the relationship and training in women’s studies class and the student movement group. In 2018, “P” university campus was filled with countless post-its, hand-written posters, and banners supporting Me-Too movement, this “feminist spectacle” tactic boosted the movement. Me-Too movement participation experience is not a one-time experience but a long lasting experience continuing to feminist network and practices in their daily lives in their own ways. The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revitalizing the women’s movement in universities and the continuity of the Me-Too movement in our lives.

      • KCI등재

        미투 운동(#Me Too)과 우리의 대응에 관한 고찰

        오봉욱(Oh, Bong Yook) 한국교정복지학회 2018 교정복지연구 Vol.0 No.53

        본 연구는 사회복지계의 구성원으로서 최근 우리사회에서 확산되고 있는 미투 캠페인(The #MeToo Campaign)에 대한 전개와 정부·민간의 대응에 관하여 살펴보고, 자성적 성찰 속에 사회복지계의 실천 방안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미투 운동의 전개 과정의 유사점은 ‘지위를 이용한 권력형 성범죄’이며, 그 과정에서도 친족간, 온라인, 이주여성 등 사각지대가 존재한다는 점이다. 둘째, 미투 운동에 대해 지지와 격려, 동참의 움직임과 함께 미투 운동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가진 움직임도 확산되고 있다. 셋째, 미투 운동은 자성적 반성, 가해자들의 행위는 범죄라는 인식, 본질을 해치는 무고와 허위신고도 범죄행위임을 알려주었다. 마지막으로 미투 운동에 대한 사회복지계의 내부적 자성적 반성과 외부적 실천노력 등의 실천 방안을 모색하였다. 따라서 미투 운동을 단순한 여성단체의 움직임이라는 인식을 버리고 우리 사회에 만연했던 성폭력피해에 관심을 갖고 성평등 의식 속에 인권존중이라는 이념을 지켜나갈 수 있도록 사회복지계의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In this study, the investigator as a member of the social welfare profession set out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the #MeToo Campaign, which has been recently spreading across the society, and the government s and citizens reactions to it and explore practice plans for the social welfare field in the middle of its self-reflective introspectio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mmon element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MeToo Movement in the nation was power-related sexual crimes to use one s position. There were blind spots such as sexual crimes committed by relatives, online, and to migrant women in the process. Second, the negative view of the #MeToo Movement was spreading along with people s support, encouragement, and participation for the movement. Third, it was informed that the #MeToo Movement was a self-reflective introspection, that the acts of the offenders were crimes, and that false accusations and reports damaging the movement s essence were also acts of crime. Finally, the study searched for practice plans including the social welfare field s self-reflective internal introspection and external practice efforts for the movement. These findings raise a need for the social welfare field to make constant efforts so that people will discard the misconception that the #MeToo Movement is a mere movement by women s organizations, take interest in victimization by sexual violence that is prevalent across the society, keep the idea of respect for human rights in the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 KCI등재

        미투운동과 성(性) 문화

        김종두(Jong-Doo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5

        이 연구는 미투운동(me too campaign)에 대한 인식을 충북 S대학의 사범대학과 교육대학원 교직과목 수강생들에게 설문지 조사를 통해 알아본 것이다. 조사기간은 2018년 3월-4월에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미투운동에 찬성하는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그 동안의 사회적으로 억눌린 여성들의 마음을 알게 해 주는 토대가 된다. 둘째, 미투운동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로 가장 높은 것은‘자신의 신분노출이 싫어서’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남성들의 권위에 의한 여성들의 피해가 얼마나 큰 것인가를 짐작하게 해 준다. 셋째, 미투운동의 참여는 페미니즘의 확산을 가져오고 있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건전한 이성교제의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 우려되고 있다. 넷째, 성 피해에 대해 참고 지낸 경험을 가진 사람들이 매우 높다는 점과 더불어 여성들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것에 대한 불만도 높게 나타나고 있다. 다섯째, 미투운동의 부작용도 크게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투운동을 찬성하며, 법적인 강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미투운동은 성에 대한 인식수준을 향상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여권신장을 가져왔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the mite movement through questionnaires to students of teaching college of education college of Chungbuk S university. The survey period was March - April 2018.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there is a very high rate of approval for the me too campaign. This is the basis for understanding the feelings of socially oppressed women over the years. Second, the reason for not participating in the me too campaign is the highest level of "I do not want to expose my identity". This makes us wonder how much women are damaged by the authority of men. Third, the participation of the me too campaign is highly perceived as leading to the spread of feminism, and it is worried that the difficulty of healthy diversion may arise. Fourth, there is a high level of people who have had experience with gender violence, and there is a high level of dissatisfaction with the development of women around them. Fifth, despite the concern that the side effects of the me too campaign could also be significant, there was a strong perception that the me too campaign should be supported and strengthened legally. Sixth, it was a tendency to increase awareness about sexuality and to recognize that it brought the height of femininity.

      • 미투 운동의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한 성범죄 국민 인식 연구

        최은경(Choi, Eun-Kyung),이경렬(Lee, Kyung-Lyul) 4차산업혁명융합법학회 2020 4차산업혁명 법과 정책 Vol.1 No.-

        우리나라 강력범죄 가운데 살인, 강도, 방화 범죄는 지난 10년간 감소추세를 보이는 반면, 성범죄는 약 2배가량 증가하였다. 정부의 성범죄 방지를 위한 법률제정이나 개정은 1994년 이후로 현재까지도 계속 진행되어 오고 있다. 하지만 성범죄를 근본적으로 근절하기 위해서는 법과 제도 개선 이외에도 국민의 인식 개선이 또한 필요하다. 2018년 초 검찰청 내부 성추문 사건의 폭로를 계기로 촉발된 한국 미투 운동을 중심으로, 이 연구는 미투 운동의 버즈량을 수집하여 미투 운동에 대한 국민적 관심의 흐름과 미투 운동, 성범죄, 성폭행의 연관키워드, 감정키워드에 대한 빅 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온 국민의 관심을 받았던 미투 운동은 성폭행 · 성범죄 피해자 위주로 국민사고의 대전환이 있었고, 권력형 성범죄에 대한 인식방법이나 피해자에의 공감을 통한 2차 피해를 예방하는 인식변화의 기점이라는 사실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던 우리 사회에 만연한 가해자 위주의 성범죄 인식에서 피해자 공감으로 전환한 국민인식의 변화를 토대로 성범죄의 법적 예방대책 마련에 일조하기를 기대해본다. Among the nation’s violent crimes, crimes of murder, robbery and arson have been on the decline over the past decade, while sex crimes have increased about twice. The government’s legal enactment and improvement of sex crimes has been ongoing since 1994. However, in order to eradicate sex crimes fundamentally, it is also necessary to improve the public’s social awareness in addition to improving laws and systems. In early 2018, Korea Me-too Movement began after the revelation of a sexual harassment scandal within the prosecution office. This study conducted the Big Data analysis of the Me-too movement’s interest trend of the people and the Me-too movement, sex crimes, sexual assault related keyword, and emotional keyword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Me-too movement, which received the public attention, was the starting point of sexual assault, the shift to victim-oriented thinking, the perception of influence-peddling, sex crimes are not something to be hidden, and a change in perception that prevents secondary damage through empathy with victims. We hope that sex crimes prevalent in our society, as shown by this data, can be helped to take legal preventive measures against sex crimes based on changes in public perception that are centered on victims.

      • 미투(#MeToo) 운동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고찰

        김은혜(Un-Hey Kim) 혜암신학연구소 2023 신학과교회 Vol.19 No.-

        한국 사회의 미투 운동은 성폭력 피해가 더 이상 피해자 개인의 문제가 아님을 인식하고, 공론의 장에서 성에 대한 새로운 담론으로 정착되어 가면서 여성을 정치적 주체로 서게 하는 중요한 변화를 이끌어 가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결코 비껴갈 수 없는 한국교회도 성폭력 현상에 대해 책임 있게 응답해야 한다. 본 논문은 끝나지 않는 미투 운동에 대해 기독교윤리적 관점에서 분석과 성찰을 통해 미투 운동의 의미를 생각해 보고자 한다. 또한 그 과정에서 미투 운동을 여성 주체성의 형성 과정으로 적극적으로 평가하며, 그것을 사회 변혁 운동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끝으로 다양한 사회 변화에도 불구하고 광범위한 성폭력 피해자의 호소가 공정하게 해결되지 않는 그 원인들을 규명하면서, 폭력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은 교회 여성의 주체성 형성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며 미투 운동의 기독교윤리적 의의를 생각해 보고자 한다. The Korean Social Movement recognizes that sexual assault and violence is no longer a personal problem of the victim and leads to a major change in the women’s standing as a political subject as it is settled as a new discourse on sexuality in the field of public opinion. The Korean church, which can not be ignored in this reality, should respond responsibly to sexual violence. In this paper, I have attempted to think about the meaning of the MeToo Movement through the analysis and reflection from the Christian ethical perspective on the Me Too Movement which is not finished. In the process, I have actively evaluated the Me Too movement as a process of formation of women subjectivity and establish it as a social transformation movement.

      • 미투 운동과 법체계의 경합, 그 향방에 관하여

        김진영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공공거버넌스와 법센터 2019 연세 공공거버넌스와 법 Vol.10 No.2

        서지현 검사가 검찰 내 성추문에 대해 고발하면서 대한민국의 ‘미투’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피해사실을 수사기관에 직접 알리거나 고소하는 경우보다 사회적 비난가능성에 기대어 글을 게시하는 경우가 훨씬 많은 것이 사실이다. 이처럼 미투 운동이 법체계, 특히 공형벌권으로서의 형사제재를 대체하고 있는 상황에서 현재의 진행과정과 앞으로의 전망을 면밀하게 살필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세 가지를 검토하였는데, 나열하자면 첫째로 한국 내 미투 운동의 의의와 사회적 배경을, 둘째로 피해자들이 굳이 미투 운동을 선택하고 지지하는 이유를, 셋째로 미투 운동에 대한 비판 및 한계와 추이가 그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투 운동은 단순히 성범죄를 드러내는 1차적 의미에서 벗어나 성차별을 재생산하고 은폐하던 구조를 드러내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배경으로는 축적된 여성 운동의 역사, SNS를 비롯한 매체의 변화, 인식의 전환, 달리 표현하면 사회적 비난가능성의 확대를 꼽을 수 있다. 둘째, 피해자들은 법적 의사소통 방식에 대한 부지, 무고죄 피의자로의 전환, 수사과정에서의 2차 피해, 가해자와의 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익명에 기댈 수 있는 미투 운동을 지지하게 되는데, 특히 가해자가 사회·경제적으로 우위에 있을 때 이러한 방식을 택하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비판으로는 동성간, 여성의 남성에 대한 성폭력 문제를 드러낼 수 없다는 것, 유명인이 아닌 일상적 영역에서 발생하는 성범죄를 해결하지 못한다는 것, 무죄추정의 원칙이 지켜지지 않고, 무고의 위험성이 존재한다는 것, 정치적으로 이용된다는 것, 비공식적 제재(사회적 비난가능성)에 기대고 있는 탓에 지속성이 담보되지 않아 피해자 보호에 취약할 수 있다는 것 등이 있다. 한편, 전망에 관하여는 성희롱 판단 기준에 관한 대법원 판결이 나오면서 다소간의 변화가 감지, 예측되나 성희롱을 제외한 범죄에까지 영향이 있을 것인지는 명확치 않고, 안희정 전 충남도지사의 사례를 볼 때, 아직은 피해자 보호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문헌 연구를 통해 살핀 것처럼 성폭력 범죄에 대한 판례의 입장의 변화가 전부터 있어왔고, 법체계에 대한 사회적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만큼 조사과정 및 판결 상의 변화가 전혀 없으리라고 생각지는 않는다. 이러한 경향성은 다수의 피해자들로부터, 미투 운동이 반복적, 지속적으로 이어지며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페미니즘 운동과 미디어 윤리

        이희은(Hee-Eun Lee)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8 언론정보연구 Vol.55 No.3

        2017년을 기점으로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미투 운동(#MeToo)은 페미니즘과 미디어 연구와 관련한 윤리적인 문제를 화두로 던져주었다. 미투 운동은 페미니즘 운동이면서 미디어를 적극 활용한 운동의 성격을 띠며, 미디어가 일상에 편재한 이 시대의 윤리란 그저 관념적이거나 당위에 관한 것일 수 없다는 점을 일깨워준다. 이 논문은 미투 운동의 사례를 중심으로, 미디어와 페미니즘과 미디어 연구의 관계에서 고민해야 할 윤리 문제를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다룬다. 첫째, 미투 운동이 드러낸 상처받은 피해자의 목소리를 푸코의 파레시아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을 논의한다. 둘째, 미투 운동의 시작과 확산에 직접적인 계기이자 기반으로 작용한 미디어의 역할을 해시태그 페미니즘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셋째, 오늘날 페미니즘 운동과 미디어의 관계를 고찰함에 있어서 미디어와 미디어 연구는 어떤 윤리적 입장을 취할 필요가 있는지 논의한다. 이러한 탐색의 과정을 거쳐, 이 논문은 미투 운동이 제기하는 윤리적 태도란 확실하고 단정적인 규율의 적용이 아니라 윤리적 딜레마에서 양가성을 고민하는 지속적인 과정이어야 함을 주장한다. Starting from 2017, the worldwide movement of #MeToo has brought about ethical issues related to feminism and media research. The #MeToo movement is a feminist activism, a movement that utilizes the media as a platform of parrêsia, and makes it clear that the ethics of the contemporary society where the media are ubiquitous in daily life cannot be simply justified. This thesis explores on the ethical issues that need to be consider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feminism and Cultural Studies. First, the voices of victims resonated in the process of the #MeToo movement can be understood as Foucault"s concept of parrêsia. Second, the role of media as a direct momentum and basis for the initiation and spread of the #MeToo movement is discussed, focusing on the case of hashtag feminism. Third, the theoretical positions and the ways in which media ethics and ethics of media studies need to take in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eminist movement and media are discussed. Through these explorations, this paper argues that the ethical attitude posed by the #MeToo movement is not an application of definite and assertive moral discipline, but a continuous process of thinking about ambivalence in an ethical dilemma.

      • KCI등재

        포스트 미투 운동과 ‘시민-독자’의 자리 : 이후의 삶, 너머의 문학

        소영현 한국여성문학학회 2019 여성문학연구 Vol.47 No.-

        이 논문은 2018년 시작된 미투 운동 이후 한국사회에 어떤 실질적인 변화가 있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포스트 미투 운동 시대를 전망해보고자 했다. 성폭력 관련 사건의 가해자에 대한 법적 처벌 자체도 쉽지 않지만, 법적 판결만으로 미투 운동의 성취를 말해도 좋은지, 성폭력 해시태그 운동이나 미투 운동의 성공이란 과연 무엇인지 묻고자 했다. 성의 위계질서에 대한 전면적인 문제제기인 미투 운동이 법적 공방으로 납작해지는 동안 공동체에서 사라지는 피해자에 대한 논의는 어디에서 어떻게 시작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묻고자 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입각해서 미투 운동이 개별 공동체의 성격에 따라 다른 대처법이 요청되기 시작했음을 지적하고 이에 따른 대처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아울러 가해-피해의 권력 차이로 법적 공방을 거치면서 점차 문단 내 성폭력 해시태그 운동에 대한 기록이 누락되고 왜곡되는 지점들이 생기기 시작했음을 지적하고 이에 따라 사건의 다시 쓰기와 사건에 대한 아카이빙 작업의 절실한 필요성을 지적했다. 말하기와 쓰기 그리고 연대의 방식으로서의 아카이빙 작업을 통해 미투 운동 이후를 논의할 수 있지 않을까 전망해 보았다. This paper aims to look at the changes since the MeToo movement, which began in 2018, and forecast the era of the post MeToo movement. While there are many achievements of the MeToo movement, it should be said that such achievements are one-sided, considering the literature field. In fact, it is necessary to go back to the sexual violence hashtag movement in 2016. In this paper, the MeToo movement pointed out that different re-writing methods have begun to be requested according to the communities and discussed the corresponding re-writing methods. In addition, I pointed out that the missing and distorted records of the sexual violence hashtag movement and thus pointed out the urgent need for re-writing the cases of sexual violence hashtag movement and archiving the cases.

      • KCI등재

        직장인의 미투운동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가은,엄유진,권기성,김연수 한국공안행정학회 2018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duct an exploratory study to confirm the perception of workers about the recent issue, #MeToo movement. In addition, this paper tried to understand the issue in the point of gender and power in order to examine points of view of interpreting this movement. For this purpose, I conducted a survey of undergraduates admitted through the special admission program in D University, Seoul. The questionnaire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MeToo movement were composed on the basis of the media reports and articles, and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social dimensions. Based on this analysis, on the individual dimension, the frequency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showed that most of the employees in the workplace showed a reflective attitude toward the issue and did not feel uncomfortable when working with the opposite sex or having company dinner. On the organizational level, many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re was not much change in the organization. On the social level, it was confirmed that most of the workers recognized positive change in the society after #MeToo movement. In addition, we examined the actual state of sexual assault, and regarded the perception of #MeToo movement was related to the gender differences on individuals and various perceptions. Therefore, we examined the gender differences in #MeToo movement perception, organizational silence, power distance, and gender role attitude, and analyzed the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As a result, gender differences were identified in perception of #MeToo movement and perception of individual.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individual perception on #MeToo movement and the main variables in the correlation among the related variables. Although this study is limited to exploratory research,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direction on the viewpoint of #MeToo Movement. 이 연구는 최근 이슈가 된 미투운동에 대한 직장인의 인식을 탐색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미투운동의 해석 관점으로 젠더적 측면과 권력적 측면을 고려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D대학의 재직자전형 입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미투운동 인식은 언론보도 내용이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추출된 문항으로, 이를 개인-조직-사회적 차원의 인식으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미투운동에 대한 인식은 개인적 차원에서 대부분의 직장인들이 반성적 태도를 보였으며, 이성과의 업무나 회식자리에 대해서는 불편하지 않다고 답했다. 조직적 차원에서는 조직 내 변화가 크게 없다고 답한 응답자가 많았으나, 사회적 차원으로 대부분의 직장인들이 미투운동 이후 사회 내 변화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미투운동 인식과 조직침묵, 권력거리, 성역할태도에 대한 성별 간의 차이를 검증하고, 각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투운동 인식 및 개인이 가지는 인식에서 성별 간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 관련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개인적 차원에서 본 미투운동 인식과 주요 변수들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비록 이 연구는 탐색적 연구에 그치고 있지만 미투운동을 바라보는 관점에 대한 방향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