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디어아트 도시의 정책에 대한 방향성 연구 - 린츠, 카를스루에, 광주를 중심으로 -

        김영순 유럽문화예술학회 2021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2 No.1

        2014년 광주가 미디어아트로 유네스코 창의도시에 선정되었다. 한번의 재수 끝에 일궈낸 쾌거였다. 많은 도시가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UCCN: 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에 선정되기를희망한다. 세계 각국의 도시들이 앞을 다퉈 UCCN(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에의 가입을희망하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글로벌 시대에 세계에 도시를 어필하지 않으면 살아남기 힘들기 때문이다. 특히 20세기 후반부터 도시 단위의 경쟁력이 치열해졌고 각 도시는 문화를 내세워 도시 브랜드확보에 나서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아트 도시 광주가 도시 이미지와 위상을 드높이고 지속가능한 창의도시로거듭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고찰하는데 있다. 대표적인 미디어아트 창의도시인 오스트리아 린츠, 독일의 카를스루에의 미디어아트 관련 정책과 사업을 분석했다. 그리고 광주는 그들 도시와어떤 점에서 같은 흐름으로 가고 어떤 점에서 다르게 가는지를 고찰했다. 세 도시는 모두 미디어아트로 선점효과를 누리고 있다. 린츠는 2014년 광주와 비슷한 시기에 선정되었으나 미디어아트와 관련해선 오랜 역사를 지녔다. 1979년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페스티벌을 개최한점을 고려하면 40년이 넘는 전통을 갖고 있다. 카를스루에는 2019년 다소 후발 주자로 미디어아트창의도시에 선정되었지만 미디어아트도시의 기반이 된 ZKM(Zentrum für Kunst und Medien)의 개관이1989년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꽤 오랜 역사를 자랑한다. 광주는 아시아에선 두 번째, 세계적으론 네번째로 미디어아트 창의도시에 선정되며 미디어아트와 관련된 정책과 사업에 열정을 불태우고 있다. 본 연구자가 분석한 바에 따르면 세 도시는 같은 방향을 가면서도 부분적으로는 차별화된 정책과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세 도시의 공통점으로는 열정적 의지를 비롯해 미디어아트 페스티벌, 플랫폼운영, 협업 추진 등을 들 수 있다. 그에 반해 도시의 배경에 따라 지향점이 다르고 추진방법이 다르다는점이 확연하게 나타났다. 광주는 2019년 AI((Artficial Intelligence)허브도시를 선포하고 제4차산업의전진기지임을 선포한 바 있다. AI(Artficial Intelligence)와 미디어아트의 접점을 이루며 도시의 미래혁신성장을 도모하려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광주의 미디어아트 추진 방향이 올바르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살펴 도시가 안고 있는이슈를 미디어아트를 기반으로 하여 해결하는 토대를 삼고자 한다. 또 나아가 아시아문화중심도시, 비엔날레도시, AI(Artficial Intelligence)허브도시와 연계해 미디어아트가 광주의 실질적인 성장동력이되기를 기대한다. In 2014 Gwang-ju was selected as UNESCO-CREATIVE city. It was a great achievement after a single attempt. Many cities wants to be slected as UNESCO=CREATIVE city. Why do many cities of the world hope to join UNESCO? Because it is difficult to survive in Global era if Cities don’t appeal to the world. Especially, since the late 20th century, urban competitiveness has been grown up and each city is trying to secure its brand by promoting its culture. The purpose of this reasearch is to consider how a media art city Gwang ju should enhance its city image and status and reborn as sustainable creative city. For this purpose, we should analyze the policy and business of Austria Linz and Germany Karlsruhe related with Media art. In addition, it is essential to consider whether Gwang-ju is going with the same flow of other city or not and to find the way that Gwang ju should follow. Three cities all get the benefict of the preoccupation effect by Media art. Even if Linz was selected around the same time as Gwangju in 2014, it has long history related with Media art. Considering that Linz held Ars electronic festival, it has over 40 years tradition. Even though Karlsruhe was selected as Media art city in 2019 and it was not so early selection, it has long history because open of ZKM as known as infrastructure of media art city was 1989. Gwangju has been selected as the Second Asian and fourth media art creative city in the world, getting the benefit of the preoccupation effec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researcher, common features of three cities are media art festivals, platform operations, and collaboration promotion. The difference is that style of collaboration, business and policy focus is various, because of the city’s background. Based on this, the purpose of this reasearch is to find out whether gwangju’s direction of media art is proceeding well and to make the foundation based on media art for sloving the city’s problems. Futhermore, it is hoped that medai art will become a practical growth motivation for Gwangju, Gwangju connecting with Asian cultural hub cities, biennale cities, and Ai hub cities.

      • KCI등재

        팬데믹 시대의 문화예술축제 대안 연구 : 유네스코 미디어아트 창의 도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선영현 유럽문화예술학회 2021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2 No.2

        이 연구에서는 코로나 시대에 국내 문화예술축제와 유럽 문화예술축제의 진행 상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진행된 유럽의 린츠, 리옹, 카를스루에의 문화예술축제와 광주의 미디어아트페스티벌 사례를 분석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 팬데믹 시대를 위한 문화예술축제의 운영 과 대응 방향을 제시하였다. 유럽의 경우 언택트 시대에 관람객들의 수요와 요구를 즉각 반영하여 다양한 온라인 시스템을 개발하고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하여 수준 높은 서비스를 온라인으로 제공하였다. 광주의 경우에도 코로나19의 확산 방지와 안전한 축제 진행을 위해 작품을 여러 곳에 분산 배치하는 등 행사 방역관리 지침과 운영 준수사항을 마련하고 이를 충실하게 이행하였다. 이상의 사례들을 통해 팬데믹 시대에 문화예술을 어떻게 기획하고 준비해야 하는지 알 수 있었으며, 문화예술 축제의 새로운 변화와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ogress of the Korean Culture and Arts Festival and the European Culture and Arts Festival during the Corona Pandemic. This paper also analyzes the cases of the Lintz, Lyon, Karlsruhe Culture and Arts Festival, and the Gwangju Media Art Festival. In Europe, a variety of online systems were developed to reflect the needs of visitors immediately in the Untact era. High-quality online services were provided using th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o further prevent the spread of covid-19 and conduct safe festivals, Gwangju also prepared and implemented guidelines for event prevention and operation management, such as distributing works in various places. These examples show how to plan and prepare culture and art in the post-corona era and identify changes and possibilities of the Culture and Arts Festival.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의 아시아문화전당 발전 방안

        김선영(Kim, Sun Young),이의신(Yi, Eui Shi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3 No.-

        아시아의 과거와 현재의 문화예술과 혁신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콘텐츠를 생성, 교류하고자 지난 2015년에 출범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많은 기대와 인프라의 투자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그 정체성을 찾지 못하고 표류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아시아문화전당의 정체성과 특성화 기능의 부재, 지역사회 · 문화계와의 소통 부족, 실험 예술과 지역 관객 눈높이의 격차 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에 집중하고 현안들을 타개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작되었다. 광주시는 문화재단을 통해 2010년부터 미디어아트페스티벌을 개최하고 있다. 또한 2015년부터는 오스트리아 아르스 일렉트로니카를 벤치마킹하며 뉴미디어 융복합 페스티벌인 ‘ACT페스티벌’을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선보이고 있다. 아시아문화전당과 아르스 일렉트로니카는 소외된 지역적 한계, 유사한 기능과 조직, ‘실험예술’과 ‘미디어아트’와 같은 기술과 융합된 예술을 추구하는 등의 유사한 점이 많다. 따라서 본고는 다양한 기술과 예술을 접목하여 새로운 미디어아트를 구현해내는 38년 역사의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사례를 분석하여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지향 해야 할 방향성을 찾아 제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지속성을 담보한 광주의 문화자원을 창조적 자산화 할 수 있는 원천스토리 발굴과 창작의 활성화 둘째, 시장 형성이 가능하고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나라와의 전략적 네트워킹, 셋째로 경쟁체제 도입을 통한 공신력 확보를 제안하였다. 또한 차별화 전략으로 기존 미디어 혹은 뉴미디어의 개념에서 한 단계 더 진보한 ‘4차 산업혁명 예술’ 개념의 개발과 생산 등을 제시하였다. 무조건적인 모방 보다는 아시아문화전당의 실정에 맞는 변형과 이를 뛰어넘으려는 창의적 시도가 요구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예술에 대한 심층적인 이론 연구와 실천방안 논의를 통해 아시아문화전당이 세계적인 예술 페스티벌(기관)로서 도약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기를 바란다. Asia Culture Center (ACC), which was launched at the end of 2015 to create and exchange innovative and futuristic content from Asia’s past and present culture and arts, still drifts away from its identity, despite a lot of expectations and infrastructure investment. At this point, this study started to look for ways to break through the issues on the voices of concerns about the identity of ACC and the absence of specialization functions, lack of communication with local communities and cultures, disparities between experimental arts and local audiences. Gwangju City is holding a media art festival since 2010 through its Cultural Foundation. From 2015 onwards, the ACT Festival, the new media combined festival, is being presented at ACC, benchmarking the Austrian Ars Electronica. The ACC and Ars Electronica have a lot of similarities, such as the marginalized regional limitations, functions and organizations, and pursuing arts fused with technologies such as ‘experimental art’ and ‘media ar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Ars Electronica case of 38 years history which embodies various media arts by combining various technologies and arts, and tried to suggest the direction that the National ACC should aim f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discover the source stories that can sustain the cultural resources of Gwangju and to activate creative activities. Second, strategic networking with the countries that can form a market and utilize the technology. Third, it proposed to secure public confidence through the introduction of a competitive system. In addition, the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the concept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ary Art’, which is one step further from the concept of existing media or new media art, is proposed as a differentiation strategy. Instead of imitating unconditional imitation, it is necessary to transform the culture of the ACC and try creative ways to overcome it. Based on these findings, we hope that the ACC will be able to lay the foundations for leaps and bounds as a global arts festival by discussing in depth theoretical research and practice on new arts requir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KCI등재

        문화적 의미를 통해 본 ‘광주의 빛’ 연구

        정윤정(Jeong, Yun Jeong),김진아(Kim, Jin A)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7 No.-

        광주의 지명에서 유래된 ‘빛고을’은 1980년대부터 광주를 지칭해온 별칭이다. 이를 계기로 광주시는 광산업을 적극 진흥하기 시작했고, 빛의 모티브를 문화산업으로 확장?적용해 왔다. 특히 ‘빛’은 광주시에서 최근 몇 년간 개최된 문화예술 관련 행사와 공간기획에서 독보적인 키워드로 대두되었다. 그러나 산업과 문화행사를 위한 활용에 비해 그 근간이 되는 빛의 의미에 대한 진지한 논의와 연구는 미비하였으며, 광주는 주로 빛의 물리적인 특징에 연계된 경제적 효과 창출에 집중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광주시가 왜 빛이라는 개념을 이용하여 도시를 브랜딩하고 있으며, 광주의 빛이 과연 무엇이고 어떻게 규정되어야하는지에 대한 비평적 고찰을 수행하고자 했다. 우선 빛의 과학적, 정신적, 문화적 정의와 의미를 짚어보고 광주 지명의 역사적 유래와 광산업, 5?18 운동과 관련된 빛의 개념을 추적하였다. 그리고 현재 광주시에서 진행되고 있는 빛 관련 문화행사 중 ‘광주세계光엑스포’와 ‘미디어아트페스티벌’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문화행사의 확산 속에서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빛의 의미에 대한 인문학적, 문화적 숙고라 간주하며, 광주의 빛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광주의 빛은 과학기술과 문화예술이 조화를 이룬 융합의 형태를 지향해야한다. 둘째, 동양의 음양사상과 서양의 해체주의를 바탕으로 과학과 예술, 산업과 문화, 물질과 정신 등의 이분법적인 사고와 위계질서들에 대해 도전해가는 과정이어야 한다. 셋째, 광주의 민주, 인권 정신을 바탕으로 이를 실천하는 열린 개념이어야 할 것이다. 지역의 경제 발전이라는 목표 아래 급격하게 진행되어온 문화산업의 흐름 속에서 그동안 소외되어왔던 광주의 역사와 정신을 담은 빛의 의미 및 그 표현에 대한 진지한 연구와 더불어 광주가 지향해야 할 빛의 방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Light Village’ was named after the place name of Gwangju and has been used as another name that indicated Gwangju after 1980s. Emphasizing the name of ‘Light Village’, the city of Gwangju has been literally and actively supporting the optical electronics industry in the subject of ‘light’ and started expanding the scope of the motif of light into the cultural industry. Especially, the light has been in a limelight as a matchless keyword in the field of cultural and artistic events and spaces for the past few years. However, compared to how Gwangju has been branding the city with the light as a major industry or an event, an in-depth discussion of the meaning of ‘Light of Gwangju’ is currently superficially dealt with. This study started from an inquiry as to what was the origin of ‘Light Village’ in Gwangju with an awareness of an issue along with the meaning of the light in Gwangju and also why the city of Gwangju is currently branding the city by using the light. Hereupon,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cultural events and spaces in progress in Gwangju and to define the identity and the meaning of the light in Gwangju based on aforementioned consideration of the light. First of all, the light of Gwangju not only is in the form of industrial light in the perspective of scientific technology but also pursues to the unified form in harmonization with cultural art. Secondly, the light of Gwangju is based on the open thought derived from the harmonization of yin and yang idea East Asia and also de-constructivism in the Western world including the brightness as well as darkness behind. Third, it is suggested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light of Gwangju in connection with democracy and human right as a spirit of Gwangju and also regard it as an opened concept not in the fixed concept and form but in the relationship. Therefore, it shall be a continuous course for criticizing and removing the trends that exclude dichotomous thought and an order of rank. In the flow of cultural industry of Gwangju city rapidly accompanied for the rapid local economic development, it is of an assignment to identify how to research and develop the light in the history and spirit of Gwangju.

      • KCI등재

        미디어아트 창의도시와 지역축제의 연관성 연구

        정혜영(Jeong, Hye Young),김경수(Kim, Kyoung Soo)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4 No.-

        본 논문은 유네스코 지정 미디어아트 창의도시 8개 도시 중 모범적인 3개 창의도시와 주요축제를 각각 미디어아트와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창의도시 관점에서는 그 도시만이 가지고 있는 역사, 자연환경, 인적자산 등 장점의 극대화를 바탕으로, 도시의 비전과 미디어아트 창의도시로서 일치화가 필요하며, 창의도시 컨트롤타워의 일관성 및 지속화로 도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모색해야 한다. 지역축제 관점에서는 미디어아트 관련 축제를 차별화하여 세계적인 축제로 집중육성하고 비관련 축제들을 미디어아트와 융합을 유도하고, 미디어아트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대중화, 그리고 온·오프라인 축제와 아날로그·디지털 축제의 융합으로 청년들의 참여를 이끌어내야 한다. 결국 미디어아트 창의도시 구축을 위해서는 도시 고유의 장점을 극대화하면서 미디어아트의 일치화를 통해 미디어아트 창의도시로서 이미지를 제고하고, 다양한 축제들을 미디어아트 기술의 융복합화 및 차별화로 세계적인 축제를 만들 수 있는 창의도시와 지역축제의 융·복합과 협치가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This study’s purpose is to research the correlation between property and the major festivals with media art of exemplary 3 cities among 8 Unesco Media Art Creative Cities. As a result, it is drawn a conclusion that the below strategies are necessary to achieve success for Unesco Media Art Creative City. First, from the Creative City’s point of view, on the basis of the maximization of various merits such as history, natural surroundings, and human resources of the city, it is necessary to reconcile a vision of the city and an identity of Media Art Creative City, and to seek for continuous growth of the city by consistency and durability of control tower within the local government. Second, from the local festival’s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differentiated service in the existing media art festivals, to attract the fusion of media art and festivals, and the diversification and the popularization of media art programs. And, it needs to lead to involvement of young people with the fusion of on-line and off-line festivals, the fusion of analogue and digital festivals. In the conclusion, for the successful constructing of Media Art Creative City, it is necessary to maximize the merits of the city’s own, to enhance the image for Media Art Creative City wit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rits and media art, and to differentiate the city’s own various festivals, ant the same time, to converge them with media art technology. With these strategies, the local festival can make a new leap for global festival when it constitutes a whole with Media Art Creative City.

      • KCI등재

        기획논문2- 주제: <주제: 전통공연유산의 지속과 변화> : 현대사회 문화콘텐츠로서 산조의 활용 방안 연구

        조석연 ( Seogyeon Cho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6 공연문화연구 Vol.0 No.32

        본고는 산조는 음악적 완성도뿐 아니라 한국인의 정서를 가장 잘 담아낸 곡으로서 절대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시대적 변화에 따라 신봉하는 가치의 중심이 변하고 새로운 관점에서 가치가 정립되기 때문에, 산조역시 절대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대사회에서 요구하는 동시대적 가치를 보유하기 위해 또 다른 변화와 노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필자는 이러한 ‘대중과의 소통’에 중점을 두고, 산조의 발전방향을 시대적가치의 실현, 실험과 사회적 변신, 21세기형 창조적 축제, 융합융화의 도약, 콘텐츠의 사회화라는 다섯 가지 관점에서 고찰해보았다. 첫째, ‘시대적 가치’로서의 산조는 크게 전통과 계보를 고수하며 이 시대의 새로운 ‘더늠’으로서 창작활동을 하는 것과, 산조가 제시하는 기본 형식과 틀 안에 머물면서도 자유롭게 이탈을 일삼는 창작활동을 가리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어느 쪽이든 산조는 새로운 창작에서 ‘시대적 가치’를 갖는다. 새로운 선율이 가미된 새로운 유형의 산조만이 현대의 대중들과 소통할 수 있는 시대적 가치를 갖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가치가 사회적으로 실현될 때, 비로소 산조는 새로운 생명력을 얻게 될 것이며, 그 무한한 가치를 인정받게 될 것이다. 둘째, 실험과 사회적 변신으로서 ‘21세기 전통악기의 변모’를 살펴보았으며, 서양음악어법을 연주하기 위해 우리 악기가 변모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음악을 보여주기 위해 우리 악기가 변모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셋째, 창조성의 사회 확산은 ‘21세기 새로운 산조축제’로서 대중과 ‘소통’할 수 있는 축제의 장을 소개하고 설명하였다. 넷째, 융합융화의 도약과 관련해서는 ‘스토리텔링 산조’와 ‘미디어아트 도입’을 통해 산조 공연을 끊임없이 움직이고 변화하는 매개물로서 대중들과 소통시킬 수 있는 공연문화를 제안하였다. 다섯째, 콘텐츠의 사회화에서는 대중매체를 이용하는 방법을 통해 산조가 대중매체의 콘텐츠로 자리 잡아야 함을 강조하였다. Sanjo has a quintessential value not only because of its musical depth but also because of its style of music that best expresses Korean sentiment. However, new values are being established from different viewpoints as time passes so Sanjo’s values need a modification in order to encompass a contemporary value that is required and accepted by modern society. In this context, while focusing on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I contemplated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Sanjo in five perspectives; The Social realization of value, The Experimental and social transformation, The Social diffusion of creation, The Leap of fusion and harmony and finally The Socialization of contents. In the perspective of ``social realization of value``, Sanjo refers to creative activity as a new ``duneum`` which allows traditional and creative activity to deviate freely while still being under the Sanjo guideline. Either way, it has a periodical value because new forms with new rhythms are the only ways to communicate with the modern public. When these values can be understood by modern society can Sanjo be revived and be acknowledged as an infinite value. Secondly as an experiment and social transformation, there is a transformation of musical instruments in the 21th century. Our musical instruments should be transformed to effectively perform our music rather than to perform Western music. Third, social diffusion of creation should be the ``new Sanjo festival in 21th century`` which can facilitate the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Fourth, regarding leap of fusion and harmony, I suggest a performing culture consisting of ‘Storytelling Sanjo’ and ‘Media Art’ which will ceaselessly evolve Sanjo performance as a medium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Finally, in regards to the socialization of contents, I emphasize that Sanjo should have contents of mass media as a way of means to help utilize mass med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