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재교육 입법의 의의와 과제

        김용구 한국박물관학회 2022 博物館學報 Vol.- No.43

        2019년「문화재보호법」개정을 통해 문화재교육의 입법이 이루어졌다.「문화재보호법」이 제정된 1962년 이후 60년 문화재보호정책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의 의미를 가진 입법이라 할 수 있다.「문화재보호법」에서 문화재교육이 조문화 된 것은 문화재보호가 문화재 보존 중심에서 문화재 향유를 중심으로 문화재보호체계가 전환될 수 있는 중요한 계기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2019년 문화재교육 입법을 통해「문화재보호법」은 문화재교육의 정의와 범주를 정하고, 문화재교육 실태조사를 실시하도록 하고 있으며, 문화재교육지원센터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였고, 문화재교육 프로그램을 인증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입법 내용들은「문화예술교육지원법」에 따른 문화예술교육과의 관계, 문화재교육프로그램 인증제의 규제성 여부 등 일정한 쟁점을 갖고 있기도 하다. 문화재교육이 이전의 보존중심 문화재보호체계와 다른 방식의 문화재정책이라 할 때, 문화재교육이「문화재보호법」내에 규정되는 것 보다는 독립적인 법률로 제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이러한 법률 제정에서 현재의「문화재보호법」내에 불비한 문화재교육전문인력 양성과 지원에 대한 입법과 문화재교육의 주체인 문화재교육 전문인력의 체계적인 양성을 통해 문화재교육의 발전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역사교육이나 문화예술교육과 차별화된 문화재교육의 고유영역을 정립해 나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문화재교육 활성화 정책개발을 위한 델파이조사

        김남숙(Nam-Sook, Kim),기영화(Young-Wha Key),이윤진(Yun-Jin L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재교육 법제화를 계기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재교육 진흥을 위한 기반 구축과 활성화 전략 도출에 있다. 기존의 문화재교육은 문화재 보존과 활용의 일환으로전개되었다. 그러나 사회문화적 변화, 문화재교육에 대한 관심과 요구의 확대로 문화재교육 인식제고와 지역발전과 재생을 정책가치로 제시하고 있다. 이에 문화재교육 활성화를 위한 전략과제도출을 목적으로 관련 전문가 23명을 대상으로 1,2차에 걸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조사결과 다음과 같은 전략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문화재교육 전달체계 구축이 요구된다. 지역거점센터를 활용하여 지역문화재교육지원체제 역할이 요구된다. 중앙과 지방을 연결하는 문화재교육의 협력적 추진체제가 요청된다. 둘째, 문화재교육 사업예산의 지속적 확보가 필요하다. 문화재교육의 특성 상 장기지속 사업모델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셋째, 문화재교육 콘텐츠와 교육정보를 관리하는 통합시스템이 요구된다. 학습자의 편의성과 콘텐츠의 선진화, 프로그램 홍보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넷째, 문화재교육 전담인력양성이 필요하며 전담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문화재교육 직무분석과 자격체계 구축이 선결되어야한다. 다섯째, 문화재교육 사업운영기관의 전문성 확보가 요청되며 프로그램 질 관리를 통한 사업의 지속성 확보가 요청된다. 여섯째, 계층·세대별 특화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cultural heritage education and to derive strategies for revitalization of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through the lega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Existing cultural property education has been developed by preserving and utilizing cultural properties. With socio-cultural change, increasing interest and demand for cultural heritage education, raising awareness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and suggesting regional development and regeneration as policy values.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with 23 experts for the purpose of deriving strategic tasks for revitalizing cultural heritage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Delphi survey, the following strategic tasks were derived.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delivery system for cultural properties education. The role of the regional cultural heritage education support system is required, centering on the regional base center. A cooperative system for promoting cultural heritage education connecting the central and local regions is required.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secure the project budget for cultural properties educa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there was a high demand for a long-term business model. Third, a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that manages cultural assets education contents and educational information is required. It can be used for learner’s convenience, advancement of content, and promotion of programs. Fourth,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personnel in charge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and in order to cultivate personnel in charge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job analysis and establishment of a qualification system must be prerequisite. Fifth, it is required to secure the expertise of the cultural property education project operating institution, and to secure the continuity of the project through program quality management. Sixth, specialized programs for each class and generation are required.

      • KCI등재

        U.V.E.C.(Understand, Value, Enjoy, Create) 문화재교육 정립을 위한 문화재교육 목표 연구

        박상혜 국립문화재연구원 2022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5 No.4

        그동안 문화재교육은 국가의 요구와 개인의 필요로 인해 양적으로 많은 성장을 이루었다. 그러나 문화재교육의 질적 성장은 그에 뒤따르지 못했다. 문화재교육은 목표조차 제대로 설정되어 있지 못하였고, 그 결과 문화재교육은 그 정체성마저 흔들렸다. 지금의 문화재교육에서 가장 시급한 것은 먼저 문화재 교육의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현행 문화재교육의 목표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찾아낸 후 교육적으로 유의미하면서 국가의 요구와 개인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문화재교육 목표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현행 문화재교육 목표의 문제점은 문화재교육 관련자들이 교육목표의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으며, 문화재교육 목표가 교육의 실제 내용을 제대로 담고 있지 못하다는 것이다. 또 문화재교육의 목표가 학습자의 다양한 역량과 흥미를 고려하고 있지 못하며, 시대 변화와도 맞지 않는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U.V.E.C. 문화재교육’이란 새로운 문화재교육을 제시하였다. U.V.E.C. 문화재교육은 문화재를 이해(Understand)하고, 문화재의 가치를 인식(Value)하고, 문화재를 향유(Enjoy)하고, 문화를 창조(Create)하는 교육이다. U.V.E.C. 문화재교육의 목표는 명확하고 실천적인 형식과 내용으로, 학습자 중심으로, 변용이 가능하도록 유연하게 설정하고자 하였다. 이런 방향을 바탕으로 총괄목표, 세부목표, 실천목표라는 단계별 목표를 설정하고 각 단계별 문화재교육 목표의 구체적 사례를 제시하였다. U.V.E.C. 문화재교육 목표는 교육으로서의 일반성과 문화재를 내용으로 하는 특수성을 고려하여행동목표의영역다양성과진술명확성,문제해결목표와표현결과의학습자주도성과개방성을모두포함하였다. U.V.E.C. 문화재교육 목표는 교수자에게는 명확하고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해주어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게 하고, 학습자에게는 흥미로우면서도 다양한 역량을 개발할 수 있게 할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U.V.E.C. 문화재교육 목표는 이제까지 제대로 연구된 적이 없는 문화재교육의 목표 설정에도 많은 영향을줄 것으로 예상한다. 본 연구 이후에 U.V.E.C. 문화재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문화재교육 전반이 변화될 것이며 문화재교육은 새로운 학문의 한 영역으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문화재교육의 프로그래밍 방법론에 관한 연구

        최종호 한국박물관학회 2011 博物館學報 Vol.- No.21

        이 글은 문화재교육 프로그래밍을 위한 분석, 기획, 개발, 실행, 평가, 환류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탐색하고, 표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그리고 문화 재를 기반으로 소기의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성취하기 위한 문화 재교육 프로그래밍 방법론을 연구한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서 문화재교육 프로그램의 기획과 개발, 실행, 평가, 환류를 위한 이론과 방법론을 적용하여 창의적 체험학습과 통섭과 융화를 위한 전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실행, 평가, 환류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자 한다. 문화재교육은 문화재를 대상으로 또는 문화재를 활용하여 문화재의 역사적, 학술적, 미학적, 경관적 가치를 밝히고, 문화재 자체에 내재된 의미를 분석하고, 공동체 성원들 사이에 형성된 문화재의 중요성을 해석함으로써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에 쌍방향 교류 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문화재교육은 문화재를 보존, 관리, 보호, 활용 할 수 있도록 공동체 성원들에게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문화재를 통해서 공 동체 성원들의 지ㆍ덕ㆍ체ㆍ영성을 함양할 수 있는 특성화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문화재를 기반으로 문화재현장교육, 문화재와 학교연계교육, 문화재와 지역사회연계교 육, 문화재현장과 박물관연계교육 등을 통해서 통섭과 융화를 위한 전인교육 프로그램 을 제공해야 한다. 문화재교육 프로그래밍은 외부환경과 내부역량 분석을 통해서 공동체 성원들의 요구와 기대, 희망을 수렴하여 교육기관의 정책과 전략을 수립하고, 지ㆍ덕ㆍ체ㆍ영성을 함양하기 위한 창의적 체험학습 프로그램이나 통섭과 융화를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 램을 개발하여 평가와 환류를 통해서 이를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으로 실행하고, 단계 별 평가를 통해서 환류를 함으로써 교육목표를 성취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교수학습설계 모형이다. 오늘날 문화재교육 프로그래밍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시스템을 기반으로 문화재현장 뿐만 아니라 문화재웹사이트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에 쌍방향 교류를 수행할 수 있도록 스마트 경영 체제의 ADDIEF 교수학습설계 모형을 요구한다.

      • KCI등재

        문화재교육사와 문화예술교육사의 자질과 역량, 자격제도에 관한 연구

        최종호 한국박물관학회 2013 博物館學報 Vol.- No.25

        이 연구는 문화융성의 시대에 필요한 문화재교육과 문화예술교육의 특성 비교와 문화재교육사와 문화예술교육사의 자질과 역량, 자격제도 비교를 통해서 문화재교육과 문화예술교육의 정책과 전략 에 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문화재교육은 전통문화의 원형보전에 중점을 두고 문화재의 가치와 의미, 중요성을 배우고 익혀 대한민국의 역사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한국인의 삶의 질을 제고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반 면에 문화예술교육은 다문화 가족을 포함한 한국인의 문화예술 창의혁신에 중점을 두고 문화예술을 통해서 문화적 다양성과 문화다원주의, 문화권, 인권을 존중하는 조화로운 사회의 문화예술 향유와 문화융성 시대에 필요한 시민 역량을 배양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문화재교육사의 직종과 직무, 학력, 경력, 자질, 역량, 지식, 능력, 숙련이 문화예술교육강사의 직무 와 학력, 경력, 자격 요건과 일부 공통점도 있지만 직무와 전문지식, 수행능력, 숙련제도 측면에서 많은 차이가 있기 때문에 문화재교육사 자격 제도와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제도는 차별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화재교육사와 박물관교육사는 직무와 직종, 학력, 경력, 자질, 역량, 전문지식, 수행능 력, 숙련제도 측면에서 동일한 자격 요건이 요구되기 때문에 일원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문화융성 시대에 요구되는 문화재교육과 문화예술교육 정책과 전략의 궁극적 목표는 공동체의 삶 의 질 개선과 글로벌 사회의 문화향유라고 할 수 있다. 문화재교육과 문화예술교육은 지속가능한 공 동체의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할 뿐만 아니라 창조산업의 원천을 제공하고, 창조경제의 원동력을 제 공함으로써 공동체의 지속가능한 성장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정책과 전략을 입안하여 시행해야 한다.

      • KCI등재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직무 재교육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조직풍토와 다문화실천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효진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4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직무 재교육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직풍토와 다문화역량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와 서울 지역에 있는 8개의 다문화 가정지원센터와 건강가정다문화가 족지원센터에 근무하는 180명의 다문화 실천가들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이중 응답이 부실한 5개의 설문지 를 제외하고 175개의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Amos 21.0 프로그램을 통해 다변량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되었으며 SPSS 20.0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직무 재교육은 조직풍토와 다문화역량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으며, 조직풍토는 직무만족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다. 직무 재교육은 직무만족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조직풍토를 완전매개하여 직무만족도에 유의미 한 영향을 주었다. 다문화역량은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으로써 재교육과 직무만족도 사이의 매개 효과가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따라 직무만족도 증가를 위한 실천적 개입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 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career-education on job satisfaction in the multicultural family service center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multicultural practice competence and organizational climate.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on 180 multicultural practitionser in Seoul and Kyunggi Do. A total of 175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with ones insincerely made were excluded. Collected date underwent Multivariat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using AMOS 21.0 and frequency, descriptive, and corelation analysis were made using SPSS 20.0. Statistical program.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career-education directly affect organizational climate and multicultural practice competence, and organizational climate directly affected job satisfaction. Career education did not affect job satisfaction, but organizational climate had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dditionally multicultural practice competence didn't have an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mediating effect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Based on the results, intervention strategies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practitioners and future study implica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성인 대상 국어 재교육의 현황과 전망 -국립국어원 국어문화학교 운영을 중심으로-

        박미영 ( Mi Young Park ) 한국작문학회 2013 작문연구 Vol.0 No.19

        국립국어원 국어문화학교는 1992년부터 일반 국민의 품위 있는 국어생활 유지와 올바른 어문 규범 보급을 위해 교육 과정을 운영해 왔다. 국어문화학교는 공무원 대상의 국어전문교육과정뿐만 아니라,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내용의 국어 교육을 국민들에게 제공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국어문화학교 교육 내용은 대부분 어문 규범 중심의 강의로 구성되었다. 최근에는 국어 사용 능력으로 확대된 독서 특별 과정등을 개설하며, 다양한 분야의 성인 대상 국어 재교육 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그러나 여전히 국어문화학교의 강좌 운영은 어문 규범이나 문법적인 지식을 제공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쓰기 영역이나 말하기 영역에서 개설되는 교육 강좌는 실습보다는 이론 위주의 표면적인 교육이 개설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 국립국어원의 국어문화학교 성인 대상 국어 재교육 현황을 살펴, 국민들이 원하는 국어 교육은 무엇이며, 의사소통 과정에서 어떤 국어 능력을 필요로 하는지 간단하게 살피고자 하였다. 더불어 이를 충족할 수 있는 성인 대상 국어 재교육 방안의 수립 가능성과 그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어문화학교에서 실시하는 설문조사에서 국어문화학교 수강생들과강사들은 모두 한국어 어문 규범 교육도 중요하지만, 글쓰기와 말하기 능력을 신장하는 교육에 대한 관심이 더 많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국어문화학교에서 운영하는 글쓰기 지도 강좌와 생활 글쓰기 강좌는 그 필요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효용성 면에서는 교육생들에게 충분한 재교육이 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순수한 국어 지식 분야보다는 국어 응용 분야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높았다. 이를 위해서 국립국어원과 학계는 국민의 직업군별, 생활 영역별 또는 의사소통 수행 상황을 고려하여 중점적으로 필요한 국어 사용 능력이 반영된 국어 재교육의 범위를 결정하는 연구를 지속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일반 국민 대상 국어 재교육 과정이 구성되어야 하며, 국가에서 제공할 수 있는 국어 재교육 서비스를 확대하여 수행해야한다. 이를 위해서 대국민 교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국어 정책과교육 기관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Korean Language Culture Academy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has offered educational programs since 1992 to ensure the proper use of the language by the general public and to establish a higher language standard. It provides professional Korean language training for public officials as well as the various classes, essentially for all members of the general public. While existing lectures are mostly focused on linguistic rules, efforts have been underway to expand the curriculum to include a special reading course and Korean language retraining for adults. However, the Korean Language Culture Academy is still centered on providing linguistic or grammatical knowledge, and its writing/conversation classes are more based on theory than practice.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retraining for adults at the Korean Language Culture Academy, this paper explores the citizens` needs with regar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linguistic skills required for proper communication. To satisfy the needs of the general public, some suggestions have been made to improve Korean language retraining for adults. According to a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n Language Culture Academy, both students and instructors showed greater interest in writing and speaking even though they agreed on the importance of Korean language rules. Despite this high level of demand, related classes at the Korean Language Culture Academy do not offer adequate retraining in terms of practicality. Furthermore, there is a higher demand for Korean language applications than the knowledge of the language itself. To resolve the above stated issues,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academia must continue to carry out research to determine the proper scope of Korean language retraining with due consideration of various communication situations according to the job and lifestyle demands of the general public. The Korean language retraining program has to be reorganized based on the new findings, and first, language retraining services should be expanded on a national level. This calls for the establishment of Korean language policies and the opening of Korean language educational institutions.

      • KCI등재

        한국 문화 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태국 중·고등학교 한국어 교사의 요구 분석

        공펭 소파(KHONGPHENG SOPHA)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0

        본고는 태국 중·고등학교 한국어 교사 교육 현황을 검토하고 교사들이 한국에서 이수한 교사 양성과정과 태국 내 한국어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사 문화 재교육이 개발되었을 때 필요로 하는 교육 시간, 교육 방식, 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는 태국 중·고등학교 한국어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온라인 설문 프로그램 ‘Google Docs’를 활용하였다. 설문지는 기초 정보, 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 교사 문화 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중심으로 크게 세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교사의 요구 조사 결과, 태국 중·고등학교 교사들이 선호하는 문화교육에 대한 주제는 일상생활 문화, 대중문화, 예절 문화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article reviews the status of Korean language teacher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ailand. Further, it analyzes the satisfaction with teachers’ training courses in Korea and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programs in Thailand. Thus, to develop the cultural re-educa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 demand survey on the preferred training time, method, and educational content was conducted. The demand survey was emailed to 20 Korean teachers at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ailand using “Google Docs”. When elaborating the content of the needs survey, the analysis was divided into three areas: basic information, satisfaction with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demand for the teacher culture reeducation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ai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prefer the cultural topics of daily life culture, popular culture, and etiquette culture.

      • KCI등재

        한국어 교사 대상 온라인 재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분석과 개선 방향 : <한국 문화 활용 교수법>을 중심으로

        강소영(Kang soye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1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의 문화 교수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온라인 재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문화 교육 영역에서 한국어 교사를 위해 어떤 내용이 더 보완되고, 교사의 전문적인 지식 가운데 어떤 요소가 더 고려되어야 하는지를 탐색하여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분석 대상은 현재 국립국어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한국 문화 활용 교수법 교과목을 중심으로 문화 영역 PCK에 근거하여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형식적인 측면에서 이론적 설명과 사진이 함께 제시되면서 내용 정리가 잘 되어 있었으며, 교과 내용지식과 교수학적 지식에 대한 부분이 교사가 이해하기 쉽도록 재교육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다만, 현재 체계적이지 않은 지식 체계의 전달로 인해 실제적인 교수 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전문성이 제대로 갖춰질지 의문스러운 상황이었다. 특히, 상황적 지식과 학습자의 문화 지식, 학습 평가 지식 등에 대해서는 온라인 재교육에서도 여전히 교사의 전문적인 지식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이 연구는 현재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재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보다 더 구체적으로 내용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향후 제공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ent of online re-education programs offered to enhance Korean language teachers’ ability to teach cultur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direction was suggested by exploring which content should be further supplemented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 future cultural and educational areas and which of the teachers’ professional knowledge should be considered more.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were based on the PCK in the cultural field, focusing on the teaching methods for utilizing Korean culture currently provid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heoretical explanations and photographs were presented together in terms of formality, the contents were well organized, and the parts of the curriculum content knowledge and teaching knowledge provided a re-education environment for teachers to understand easily. However, it was questionable whether the expertise gained through practical teaching activities would be properly provided due to the delivery of an unsystematic knowledge system. In particular, concerning the contextual knowledge, the learner’s cultural knowledge, and the knowledge of learning evalua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online retraining still did not provide the teacher’s professional knowledge.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current online re-training program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more specifically and provided implications for future programs.

      • KCI등재

        대학기관 소속 한국어교원의 국립국어원 교원연수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강귀례,정상우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6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s of Korean language instructors who belong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es, who mainly teach internationa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Center', a re-education program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To this end,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asked in this study: 1 ) What made Korean language teachers participate in the re-education program? 2) What has changed since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re-education program? 3) What are the needs for re-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solve this research question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Korean teachers who had experience in the 'learning joints' hel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in 2018. According to the interview,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the re-education program was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 in common, but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o learn about student counseling skills and mediation of cultural conflicts between students according to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r individual circumstances. Through the re-education program, it was found that the ability to use the latest teaching methods such as multimedia as well as the ability to communicate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Korean language was increased. In addition, participants had asked to take courses that fit their own situations, such as careers or stages of education, in a re-education program. Other needs an increased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in re-education programs and regional diversity as requirements. Based 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re-education program, this study also presented plans to improve the re-education program that is more educational participants-friendly. 본 연구는 대학 부설 한국어교육 기관에 소속되어 주로 유학생들을 가르치는 한국어교원들이 국립국어원 재교육프로그램인 ‘배움이음터’에 참여한 경험을 연구 대상으로 교원연수 참여 경험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한국어교원이 재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2) 재교육프로그램 참여 경험 후 달라진 역량변화는 무엇인가? 3) 재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사항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주로 2018년 국립국어원에서 실시하는 ‘배움이음터’에 참여 경험이 있는 한국어교원9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결과, 재교육프로그램 참여 동기는 공통적으로 한국어 교수법 습득이었으나연구참여자들은 기관별 특징 혹은 개별적인 상황에 따라 학생 상담 기술 및 학생들 간의 문화 충돌 중재법을 알고싶어 참여하게 되었다. 재교육프로그램의 참여 후에는 자신을 객관화시켜서 평가하거나 부족한 점 반성 및 교사의역할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고, 재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한국어 지식 측면 전달 능력뿐만 아니라멀티미디어 같은 최신식 교수법을 사용할 수 있는 역량이 높아진 것을 알 수가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국립국어원재교육프로그램의 참여 경험을 토대로 교육 참여자가 제안하는 재교육프로그램의 개선방안도 함께 제시하였다. 참여자들은 재교육프로그램에서 다문화교육과 실제 활용성이 높은 교수법별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경력별 또는 교육 단계별과같은 교육 참여자 자신의 상황에 맞는 강좌를 선택하여 들을 수 있는 소규모 주제별 교육 방식에 대한 요구가 많은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어교원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워크숍 형태의 교육이 추진되었으면 하였고, 재교육프로그램의 참여 기회 증가와 확대를 요청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