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역사회의 정체성이 문화적 갈등 해소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정책적 함의

        김학용(Kim Hag Yong) 한국갈등관리학회 2014 한국갈등관리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논산시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와 정체성 및 문화적 갈등의 해소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정책적 함의 도출을 위한 실증적 연구로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민의 정체성 인식은 예학 충절지역과 도농복합적 특화지역, 정체성의 필요성은 자긍심 고취와 상생?협력의 기반, 정체성 약화ㆍ훼손이유는 세대간 인식격차와 도시화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민의 문화적 갈등 분야는 사회생활분야와 지역개발분야, 갈등 야기요인은 지역간 불균형 개발사업과 학연ㆍ지연ㆍ특정화 등 분파적 갈등, 문화적 갈등의 영향은 주체성 약화와 시민 자긍심 훼손과 세대간 소통단절, 문화적 갈등의 해소ㆍ극복방안은 상호 이해ㆍ절충노력과 대화ㆍ소통 활성화, 갈등해소ㆍ극복을 위한 주체는 지역사회와 시민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적 갈등이 많이 존재할수록 정체성이 필요하며, 문화적 갈등이 심각하다고 느낄수록 정체성이 지역사회 발전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정체성 관련 시사점은 의식 행태 차원에서는 애향심 내지는 자긍심 고취, 시민참여와 협력, 상호존중과 시민의식 개선이, 제도 정책 차원에서는 정체성 확립을 위한 지역특성화, 정체성 강화 프로그램 개발, 미래비전과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이 필요하다. 또한 문화적 갈등 및 해소 인식 관련 시사점은 의식 행태 차원에서는 소통?공감 및 상호이해, 시민생활화 운동 전개, 상생?협력의 지역 문화 조성이, 제도 정책 차원에서는 지역균형발전 추진, 교육(학습) 강화 및 협의체 구성, 문화적 갈등의 조정 해소 메카니즘 구축이 필요하다. 한편, 지방정부의 문화정책의 체계적 진단?분석 및 합리적 발전방안 수립, 제3의 갈등전문가의 참여와 역할을 위한 공공갈등관리 차원의 접근, 논산시와인접하고 있는 계룡시, 공주시, 부여군 및 익산시 등과 지역간 협력이 요구된다. This paper summarized the main results as empirical research for impact analysis and policy implications derived on the cancellation of a focus on community and identity, and cultural conflict Nonsan as follows. First, the identity of the citizen awareness, ritual study and loyalty complex urban and rural areas and specific areas, the need for identity and self-esteem and cooperation based on mutual inspiration, weakening and undermining of identity was recognized because the gap between generations and urbanization net. Second, the cultural conflict areas and sectors of civil society living area development, conflict factors causing regional imbalance development and Gakken and characterize such delay and sectarian conflict, the impact of cultural identity and inter-generational conflict is weakening and undermining civic pride communication disconnected, the elimination of cultural conflict and ways to overcome mutual understanding and compromise and dialogue and communication efforts enabled, the subject for conflict resolution and overcoming appeared in the order of the community and the citizens. Third, there are many more cultural conflict requires identity was more serious cultural conflict feel that identity is perceived to aid in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Fourth, identity-related implications is the consciousness, behavior-dimensional aehyangsim and inspire pride, civic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mutual respect and civic consciousness improvement, institutions, policy-dimensional area characterized for establishing the identity, identity strengthening programs, future vision and sustainability possible regional development is needed. In addition, the recognition of cultural conflict and resolving related implications in consciousness, behavior-dimensional communication. Empathy and understanding, civic development exercise daily life, local culture of coexistence and cooperation, institutions, promot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dimension in policy, education(learning) strengthening and the council, the adjustment of cultural conflict, resolving mechanism is needed to build. On the other hand, a systematic diagnosis of the local government"s cultural policy analysis and rational development plan in place, a third of the conflict expert involvement and conflict management dimension to the role of public access, Nonsan and in adjacent Gyeryong City, Gongju City, Buye-gun, Iksan City as regional the conflict and cooperation is required.

      •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정 자녀의 문화적 정체성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김민지(Kim, Min-ji)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5 디아스포라 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한일 축복결혼을 한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문화적 정체성 형성경험을 국가적 정체성과 종교적 정체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경험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일 축복결혼을 한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문화적 정체성 형성경험은 1단계: 부여된 정체성, 2단계: 정체성 갈등, 3단계: 정체성 선택과 그 결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둘째, 한일 축복결혼을 한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문화적 정체성 형성에는 부모와의 긍정적 관계와 또래 친구의 지지가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한일 축복 결혼을 한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문화적 정체성은 국가적 정체성과 종교적 정체성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해 다문화정책의 발전적 논의를 위해 첫째, 다문화가정자녀의 문화적 정체성 형성을 위해 학교에서 진행되는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이 상호 조화를 이룰 수 있어야 하며 둘째,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존감 향상을 위한 배려와 존중의 다문화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다문화가정 자녀의 문화적 정체성 연구를 위해서 종교적 정체성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t cultural identity formation experiences of children from blessed Korean-Japanese multi-cultural families and categorizes their experiences into international identity and religious ident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cultural identity formation experiences of children from blessed Korean-Japanese multi-cultural families can be divided into stage 1: given identity, stage 2: identity conflict, and stage 3: identity selection and its results. Secondly, the children’s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and support from their peers had a crucial effect in their cultural identity formation. Thirdly, their cultural identity was found to be organically connected to their international identity and religious ident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will be necessary to have developmental discussions on multi-cultural policies: firstly, multi-cultural education and history education carried out in school for the proper formation of cultural identity i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must become mutually harmonious. Secondly, a multi-cultural policy promoting respect and regard to improve the self-esteem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is needed. Thirdly, research on religious identity must be vitalized to enable elaborate studies of cultural identity i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새로운 패러다임의 한민족 정체성 교육을 위한 민족교육 모델 연구: 유태인들의 민족 정체성 교육을 중심으로

        심민수(Sim, Min-So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9 敎育問題硏究 Vol.0 No.35

        현재 우리는 다인종 다문화 사회로의 지향을 요청받고 있다. 물론 이것은 민족 정체성의 포기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더 성숙된 민족 문화의 형성과 그에 대한 교육을 바탕으로 폭넓은 의미의 문화적 공동체를 위한 새로운 민족 정체성 교육의 확립을 전제 한다. 여기서 새로운 패러다임의 민족정체성 교육이란 첫째, 혈통적 근거를 넘어 문화적 정체성을 중심으로 하는 민족 개념을 전제로 하는 교육을 말한다. 둘째로 개인의 자기 정체성 문제와 밀접한 상호 관련성을 지닌 능동적이고 자발적 수용의 민족 교육을 말한다. 셋째로 ‘차이의 존엄성’에 근거한 민족 교육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강조점이 요청되는 패러다임이다. 이런 전제 하에 본 연구는 유태인들이 역사적으로 혼란스런 혼혈의 과 정 속에서 다문화적 상황 속에 살면서도 고유의 문화 가치와 민족적 정체성을 유지하였던 점에 주목하고 이것을 가능하게 만들었던 민족 정체성 교육의 원리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우리의 교육 마당에 필요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정체성 교육을 찾는다. At the present we are required to move into a multiracial, multicultural society. This does not mean to give up our national identity. Rather it is presupposed by our formation of more mature national culture and our education on it, and by our establishment of new national identity education for a broader sense of cultural community. Now national identity education of the new paradigm, first, means an education presupposed by our national concept centered on our cultural identity beyond the national concept rooted in blood. Secondly, national identity education of the new paradigm means a national education which has a close interrelationship with a matter of individuals’ self identity. Thirdly, national identity education of the new paradigm is a new education in the respect that it is founded in ‘respect of difference’ (individual and cultural). Under this subject the research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Jews were able to maintain their own cultural values and national identity while living in multicultural circumstances in the process of historically confused, troublesome mixed blood, intends to study principles of their unique national identity education which made it possible. In this study the research searches for principles and means which can be applied to our national identity education of the new paradigm.

      • KCI등재

        헨리 스타이너의 크로스 컬츄럴 그래픽 디자인에 관한 연구

        윤민희(Min Hie Yu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3

        세계화와 정보통신의 급속한 발달로 국제적 교류가 활성화되면서 국가나 민족 사이의 경계 및 차별성은 희미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사회 현상은 예술과 일상, 고급문화와 대중문화 등의 경계허물기로 나타날 뿐만 아니라 동양과 서양, 전통과 현대, 학문과 학문 간의 벽을 허물고 국경 없는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오늘날 문화의 이미지도 국경을 초월하여 문화와 문화 간의 융합으로 국경 없는 세계화된 문화(global culture)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세계적 추세 속에서 디자인 영역에서도 세계인이 상호 교류할 수 있는 크로스 컬츄럴 디자인(cross-cultural design)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헨리 스타이너의 그래픽 디자인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그래픽디자인 영역의 보편적인 시각언어로써 크로스 컬츄럴 디자인 표현 특성을 문화적 보편성과 특수성의 시각에서 연구한다. 크로스 컬츄럴 디자인분야의 선두주자인 헨리 스타이너(Henry Steiner)는 자신이 집필한 「Cross-cultural design: communicating in the global marketplace」(1995) 에서 문화적 보편성과 특수성의 양면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크로스 컬츄럴 디자인, 즉 다양한 문화적 특성이 공존하는 퓨전적 디자인을 제안하고 있다. 포괄적인 의미에서 그래픽 디자인은 아이디어나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묘사한 시각 정보디자인(visual communication design)이다. 이와 같이 그래픽 디자인은 많은 사람들이 문화권이나 국적을 초월하여 상호 소통할 수 있는 시각언어(visual language)이기 때문에 세계인이 공유하는 디자인의 문화적 보편성이 중요하다. 그러나 20세기 중반 이후 전 세계적 디자인의 표현이 미국화·서구화 경향을 띄고 있기 때문에 동양인의 시각에서 바라보면 동양의 문화적 정체성의 상실을 가져올 수 있는 우려를 가지고 있다. 특히 디자인의 표현이나 교육에서 문화의 보편성과 다양성의 양면적 가치 속에서 세계인인 공유하는 아시아,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을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헨리 스타이너의 크로스 컬츄럴 디자인 철학과 작품은 세계적 보편성의 측면과 함께 문화적 정체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의 범위는 현대 그래픽 디자인과 문화적 다양성과 문화적 정체성, 헨리 스타이너의 현대 그래픽디자인 등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세부적으로 현대 디자인의 문화적 정체성과 특수성 표현을 문화의 특성에 관한 이론적 연구와 함께 디자인 영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한다. 헨리 스타이너의 현대 그래픽디자인에 관한 연구는 그의 약력 및 작품세계, 헨리 스타이너의 크로스 컬츄럴 디자인의 표현 특성을 구체적으로 연구·분석한다. 21세기의 다문화 사회에서 세계인이 소통하는 디자인을 하기 위한 대표적인 디자인 방법론의 하나가 크로스 컬츄럴 접근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방법은 단순히 디자인 영역뿐만 아니라 사회문화 현상 전반에 걸친 학제 간 연구를 바탕으로 행해져야 할 것이다. 특히 한국과 같이 급격한 서구화에 의하여 문화적 정체성의 표현과 서구화라는 양면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크로스 컬츄럴 디자인은 한국의 디자인 교육과 디자이너들에게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한다. Today`s society tends to be against the strict classification and has a mutual exchange relationship. This phenomenon, exposed through destroying the dichotomy division, such as spirit & material, rationality & sensibility, art & life, high & low and Oriental & Western cultu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Henry Steiner`s cross-cultural graphic design.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earch of graphic design as a universal visual language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Henry Steiner, a leader of cross-cultural design field, he wrote “Cross-cultural design: communicating in the global marketplace” (1995) on both sides of the cultural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as a plan to solve problems cross-cultural design. Visual language can deliver a message instantly to anyone, however, the meaning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from each person`s viewpoint. Therefore, Henry Steiner`s visual language gives the strongest message that anyone can imagine. As a universal visual language, it also goes beyond the differentiated language recognition of cultural areas and impresses people as an excellent advertising copy does. However, because of Americanization and Westernization since the mid-20th century, from the Asian perspectives, this tendency can bring a loss of cultural identity. In this respect, Henry Steiner`s cross-cultural design philosoph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ultural identity and universality. Scope and methodology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cope of the study of modern graphic design and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al identity, Henry Steiner, the center of the modern graphic design shall be composed. Modern design in the expression of cultural identity and cultural specificity is based on theoretical research with design case studies. And also, we examine Henry Steiner`s biography and his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cross-cultural research and analysis. Henry Steiner`s design philosophy can influence the direction of design education, and design work, the policy in Korea. Using this cross-cultural approach of the 21st century in multicultural societies, global citizens can communicate with a design methodology. This approach must be studied not only in design area, but also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based on phenomenon. In a situation, this cross-cultural design research is expected to bring important viewpoints for designers and design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한국 유아교육의 주체적 정체성 확립을 위한 논의

        문미옥 한국유아교육학회 2004 유아교육연구 Vol.24 No.6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아교육의 당면과제 중 하나가 한국 유아교육의 주체적인 정체성 확립이라는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정체성 연구는, 타 학문파의 차별화에 초점을 두는 학문적 정체성과 타 문화와의 차별화에 초점을 두는 문화적 정체성의 두 범주로 구분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이 중 문화적 정체성을 위한 논의에 보다 주력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지금까지 문화적 정체성과 관련된 각 분야 학자들의 논의는 전통성과 변화성의 조화, 세계적 보편성과 특수한 개성의 조화라는 두 가지 측면으로 이루어졌다. 이중, 전통성과 변화성의 조화는 과거와 현재 및 미래 즉 시간적 관점의 개념이며 보편성과 특수성은 지구상의 지리적 공간의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고 보고, 현상계를 인식하는 기본 형식인 시간과 공간의 개념으로 이루어진 정체성 확립 구조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정체성 확립 구조모형은 우리나라 유아교육의 경우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민족과 국가의 제반 분야야 적용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정체성 확립을 위한 구조모형"에 기초한 한국유아교육의 정체성 확립 실천방안과 유아교육과정 개발 모형의 예를 제시하였다. A key challenge fac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is the establishment of its own identity. According to a review of the literature, establishing identity can be approached from two spheres: the first, academic identity emphasizes differentiation from other academic fields and the second, cultural identity, focuses on differentiation from other cultures. This paper mainly addresses the latter. Academic discussions on cultural identity are generally about harmony between traditions and change and harmony between universality and uniqueness. Based on the view that harmony between traditions and change is a concept deriving from time differences-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while universality and uniqueness concern spatial differences of the earth, this paper suggests a model for establishing identity made up of both of these concepts for both comprise the basic structure that helps us to understand the world. The model this paper suggests is applicable to not only to the education of children in Korea but also to all nations and peoples. This paper also suggests step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and a developmental model for childhood education courses based upon a "Structural Model for Establishing Identity".

      • KCI등재

        동양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 정체성에 따른 한국 여성 패션에 대한 가치평가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전대근 ( Dae Geun Jun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5 동양예술 Vol.27 No.-

        의복은 대표적인 비언어적 의사표현의 수단으로 배경문화가 서로 다른 사람들사이에서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을 표현하는데 효과적인 도구이다. 시각적 언어인 의복을 통해서 문화적 정체성은 손쉽게 표현되거나 상징적으로 제시될 수 있으므로 타인의 문화적 정체성을 이해하는 의사소통의 수단이라는 측면에서 의복의 중요성을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 한편, 글로벌화와 함께 세계적인 인적 교류가 활성화되는 시점에서 결혼이주여성은 국내에서 주요한 하위문화집단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응과정을 통해 문화적 정체성을 표현하는 결혼이주여성의 의생활을 살펴보고, 이들과 상호작용하는 국내여성패션의 문화적, 예술적 가치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서 12명의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은 Berry의 문화적응이론에 따라 일반적 문화적응 유형에서는 통합, 동화, 분리, 주변화의 4가지 유형으로 나타났고, 의복을 통한 문화적응 유형에서는 동화, 통합, 분리의 3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의복을 통한 문화적응 유형에서는 주변화 유형이 나타나지 않았는데, 가시성이라는 의복 특성을 통해 어느 한 쪽의 문화적 정체성은 반드시 표현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았다. 둘째, 의복을 통한 문화적응의 3가지 유형에서는 서로 다른 의생활 특성을 보였는데, 통합유형에서는 두 가지 문화적 정체성의 표현을 고민하기 보다는 상황에 따라 합리적인 의복행동을 선택하였다. 동화유형에서는 유행에 민감하고 적극적인 의복행동을 표현하였고, 분리유형에서는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을 의복에 이입하여 일방적으로 제시하였다. 셋째, 의복을 통한 문화적응의 3가지 유형에서는 한국여성이라는 집단에 대한 평가와 패션의 대중성에 기반하여 한국여성의 패션에 대해 서로 다르게 평가하였다. 통합유형에서는 분리된 집단이라는 인식 아래 순차적으로 유행을 공유할 수 있으며 한국여성패션을 보다 고급스럽고 가치있는 것으로 받아들였다. 동화유형에서는 상호 동일시할 수 있는 집단이라는 생각 하에 한국여성의 패션을 공통적 대중성에 기초하여 함께 누릴 수 있는 취향의 하나로 평가하였다. 분리유형에서는 서로 분리된 집단이라는 인식 속에서 한국여성의 패션을 개성없는 대중성의 산물로 평가하였다. Clothing as a typical non-verbal means of expression is an effective tool to express their cultural identities among people who have different backgrounds.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clothing is a important communication tool to understand others because cultural identity can be easily found through clothing. With globalization, immigrant women of international marriage are emerging as a major sub-cultural group in South Korea. Immigrant women’s cultural identities should be confirmed and their clothing behaviors need to be examined through acculturation. Especially, cultural & artistic value evaluation of domestic female fashion needs to be confirmed from immigrant women’s viewpoints. This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by interviews to 12 immigrant women and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Immigrant women appeared in general acculturation into four types such as integration, assimilation, separation, and marginalization. Immigrant women appeared in clothing related acculturation into three types such as integration, assimilation, and separation without marginalization because one part of cultural identities was inevitably expressed through visibility of clothing’s nature. Immigrant women showed different clothing behaviors among three clothing related acculturation types. They showed reasonable clothing behaviors in an integration type, fashion conscious and positive clothing behaviors in an assimilation type, and their unveiled cultural identity through clothing in a separation type. Value evaluations for Korean female fashion based on popularityof fashion and evaluation for Korean female group were different among the three types. Korean female fashion was understood as prestigious in an integration type, as shareable in an assimilation type, and as unworthy in a separation type.

      • KCI등재

        예비 한국어 교사를 위한 문화적 자의식 교육 사례 연구

        박소연(Soyeon Par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6

        본 연구는 예비 한국어 교사의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 함양을 위하여 ‘문화적 자의식 교육’의 측면에서 정체성에주목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정체성에 대한 성찰적인 접근으로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상호문화인식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체성에 대한 개념 정의 및 유형을 살펴보고, 정체성의 속성, 그리고 언어와 정체성, 문화 간 의사소통과 정체성의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정체성의 복수성, 상대성, 역동성, 가변성을 확인하였으며 문화적 구성 요소로 작용하는 사회적 정체성들에 대한 특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개인의 발화에서 개인적 정체성과 사회적 정체성이 동시에 나타난다는 것을 바탕으로, 문화 간 의사소통 상황에서의 정체성 고찰이 지닌 필요성과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거의 다루지 않은, 예비 한국어교사를 위한 문화적 자의식 교육 방안을 정체성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그에 대한 효과를 실제 수업 사례를 바탕으로 확인하였다는 데 차별점이 있다. 특히 정체성에 대한 성찰이 이론적 측면에 머물지 않고 실천적 의미에서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모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theoretically considered the identity in terms of 'cultural self-awareness education' in order to cultivate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of prospec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Based on this, as a reflective approach to identity, it was intended to seek specific and practical educational measures for mutual culture awareness. To this end, the concept definition and type of identity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identity, language and identity,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nd identity was confirmed. Through this, the plurality, relativity, dynamics, and variability of identity were confirmed.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identities that act as cultural components were reviewed. In addition, based on the fact that personal identity and social identity appear simultaneously in individual speech,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considering identity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ituations were confirmed. This study specifically presented cultural self-awareness education plans for prospective Korean teachers, which were rarely covered in previous studies, in terms of identity. In addition,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effect was confirmed based on the actual class case. In particular, it is significant in that reflection on identity is not limited to the theoretical aspect but sought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between cultures in a practical sense.

      • KCI등재

        가치관을 통해 본 한국인의 문화적 정체성: 유교와 무교를 중심으로

        김종만,김은기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0 신학과 사회 Vol.34 No.3

        Cultural identity is a person’s identity or sense of belonging to a particular group that has its own distinct culture, be it a nation, ethnic group, religious group, gender or even generation. For the individual, cultural identity is a source of social cohesion in a specific group, as the culture that is shared by its members, i.e., language, religion, tradition, customs as well as history of the group, provides them with a sense of identity, unity, bond, and togetherness. The question is: What is Korean cultural identity? Out of the vast array of elements that constitute culture, which one is the most important in understanding Korean cultural identity? Answers to the latter question may be inspired by insights from Korean philosophy, religion, literature, art, music or even food, but this paper argues that it is Korean values which form the core of Korean cultural identity. In particular, the paper argues that Korean values which derive from shamanism and Confucianism, such as this-worldliness, belief in fortune-telling, filial piety, ancestor worship, collectivism, education, and emphasis on hierarchy, still exert a strong influence on shaping Korean cultural identity. As the most important repository of Korean culture, the values of these two traditional religions reveal the time-honored patterns of thought and behavior that still define the Korean character, their worldview, mindset and collective consciousness. These values also bring to light the ideals with which how they make sense of the world and their lives. In exploring the Korean values-cultural identity nexus, the paper refers to the relevant literature as well as various survey data on Korean values. 문화적 정체성은 자신의 고유한 문화에 기반한 개인의 정체성이나 특정한 공동체의 소속의식이다. 그것은 국가 및 민족, 종교 단체, 성(性), 심지어 세대일 수도 있다. 개인에게 문화적 정체성은 특정 공동체를 사회적으로 결집하는 원천이다. 공동체의 일원이 공유한 문화, 즉 언어, 종교, 전통, 관습 등은 정체성 및 일치감, 결집과 집합의식을 제공한다. 한국인의 문화적 정체성은 무엇인가? 문화를 구성하는 수많은 요소 가운데 한국인의 문화적 정체성을 이해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이에 대한 해답은 한국인의 철학, 종교, 문학, 예술, 음악, 심지어 음식 등을 통해 추론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논문은 한국인의 문화적 정체성의 핵심을 한국인의 가치관으로 보고 논의를 진행한다. 특히 본고는 무교와 유교에서 기인하는 한국인의 가치관을 고찰한다. 왜냐하면 두 종교의 주요한 가치들인 현세성, 점과 운세, 효, 조상숭배, 집합주의, 교육, 수직적 위계 강조 등은 여전히 한국인의 문화적 정체성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문화의 가장 중요한 보고(寶庫)인 무교와 유교의 전통적 가치들은 한국인의 특징, 세계관, 사고방식 그리고 집합의식을 정의하는 전통적인 사고와 행동 패턴을 드러낸다. 따라서 이 논문은 한국인의 가치관에 관한 여러 데이터뿐만 아니라 관련 문헌들을 통해서 한국인의 가치관을 탐구한다.

      • KCI등재

        새로운 정체성 ‘Korean-American’에 관한 비교연구

        김성주,김범준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1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3 No.1

        One’s identity is creat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its accompanying culture. Also, since a race and its home country share many cultural aspects, a people’s identity has a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their race’s identity. Thus, sharing these cultural similarities helps to bring the people closer to their race and home nation. Korea has over 100 years of immigration history. Among the 7 million Korean immigrants around the world, there are over 2 million Korean immigrants in USA. The first Korean American generation worked so hard in a new land of opportunity in order to survive and to make a living with no time to develop a strong cultural identity. Therefore an identity problem for the 2nd generation of Korean-Americans is considered a growing pain which has unfortunately been ignored and neglected. Finding one’s identity while growing up in the multicultural community of the USA is not the same as finding one’s identity in Korea. Thus, these second-generation children must learn how to correctly balance their two developing cultural identities. This can be done by teaching them how to be a good American in meeting the responsibilities and enjoying the rights and liberties that come from being an American while instilling a sense of respect and love for their mother country. They do not have to be completely educated in the traditional Korean culture, but neither is there a need to completely conform to the trends and fashions of American life. An example of a good second-generation Korean American would be one that is bilingual, understands the cultures of America and Korean, and is able to live within each country as an accepted member of that community. So, these second-generation Korean Americans are neither Korean or American, they are a new cultural group called the Korean American. They will have a bright future ahead of them because they have been able to overcome the struggle of cultural friction. They should be proud of what they have accomplished and what they can accomplish because of who they are. 정체성이란 자신이 속하는 문화와 환경에 대한 자신의 반응이다. 대체로 한 민족이나 국가는 많은 공통된 문화를 형성하고 공유하기 때문에 문화정체성은 민족정체성이나 국가 정체성과도 연결된다고 본다. 이는 공유된 특징으로 인해 어느 한 개인이 특정 민족이나 국가에 자신이 스스로 속해있다고 느끼는 감정과도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우리민족의 해외 이민의 역사가 100년을 넘기면서 해외 교포가 700만 명에 이르고 재미교포만도 200만 명을 넘는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특히 재미교포 사회는 그 동안 양적, 질적으로 엄청난 성장을 거듭해왔다. 새롭게 이주해 온 땅에 정착하기 위해,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의 1세대 이민들은 오로지 앞만 보고 달려왔다. 그러다 보니 우리의 자녀들이 성장통처럼 겪어야 하는 정체성의 문제에 대해 방기하거나 무관심했던 것이 사실이다. 민족 정체성은 미국과 같이 다민족 사회에 살고 있는 재미교포들에게는 항상 존재하는 상수라기보다는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주요한 변수라고 보아야 하며 그것은 나면서부터 갖게 된 한국인의 정체성과 성장하면서 얻게 되는 미국인으로서의 정체성 사이에서 나름의 고통스러운 시간을 겪어내어 획득하게 되는 절충물 내지는 결과물이라 말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기에 교포자녀들의 정체성의 혼란은 한민족으로서 가져야 할 민족정체성과 미국인으로서 경험하게 되는 국가정체성을 조화롭게 유지하지 못하고 모순적으로 양자가 충돌함으로서 생겨나게 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이것은 이민 1세대가 스스로 민족적 정체성에 대해 특별히 자녀들에게 가르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언어나 문화의 차이에 따른 이민생활의 고단함이나 어려움 등에 따라 오히려 자녀들이라도 적극적으로 빠른 시간 안에 미국인으로서 미국화가 되기를 바란 부모세대의 방조도 한 원인이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코리안 아메리칸이라는 새로운 정체성은 한국의 옛것만을 고집하는 전통적인 한국인도 아니고 미국 사회에 철저히 동화된 미국인도 아닌 새로운 절충형의 모습이 될 것이며 미국 시민으로서의 권리와 책임을 다하며 동시에 모국에 대한 애정과 관심을 갖고 있는 새로운 정체성의 모델이 될 수 있다. 이들은 이중언어를 유창하게 구사하고 이중 문화권에서 살아감으로써 한국과 미국 양국 모두에서 아무런 제약이나 문제없이 활동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을 뿐 아니라 또한 스스로를 새로운 코리안 아메리칸으로 인식하며 확고한 자아의식을 가지고 문화적 정체성의 혼란을 당당히 극복한 자랑스런 우리의 ‘미래’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문화정체성(文化正體性) 형성요인(形成要因)에 관한 논구(論究)

        이윤희 ( Yoon Hee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50 No.-

        정체성(identity)이라는 용어는 그동안 학문적 관점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일상용어로 빈번하게 사용되어 왔었다. 그런데 왜 최근 들어 `정체성(正體性)`이라는 표현이 사회적 용어 이상의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가? 실제로 오늘날 다양한 사회현상을 분석하고 진단하는데 있어서 빠질 수 없는 중심문제가 되고 있다. 정체성의 본질은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되고 지속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정체성을 통해 문화에 대한 신념을 갖게 되고, 집단이 갖고 있는 삶에 대한 동기, 열망, 계획을 갖는 근거가 되기 때문에 집단의 성격이 잘 드러나고 나아가 역사적으로 정의되는 특성을 갖고 있는 것이다. 세계화가 다양한 민족과 국가의 정체성에 심대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역사적으로 단일 민족의 문화적 지형을 크게 흔들면서 기존의 우리 문화적 정체성에 혼란과 위기를 초래하고 있다. 특히 약소국가의 문화정체성 보호문제는 정책적으로 세심한 배려가 필요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정체성 본질형성에 관한 부분을 고찰하였다. This paper attempted to point out the tendencies of the ages, social interchanges and national identities as the issues leading to the formation of the cultural identities. "Every nation which lives in the contemporary age is a mixed composition." Identity of a nation was not be fixed in its beginning, but be formed in the long making process. The identity based on nations, classes and races became to be undergone changes by variations of social structures and systems. Social life styles, global marketability, world travels and multi-media systems connecting to inter-continental world made to remove the ideological limitations of particular places, history and traditions of national states. Cultural mixtures and intercourses are to be accelerated rapidly in our days. Our regional ideas cannot be completely parted from other regions, and not be called no more the non-mixed regional identity. We are now living without knowing our mixed social life. Our current life style became diverse, and so asks the unspecialized cultural ident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