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리합리성 관점에서 본 문화예술교육 과제

        김세훈 한국문화교육학회 2012 문화예술교육연구 Vol.7 No.1

        이 논문은 사회이론적 관점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살펴보고 그 현실태와 문제들이 이러한 관점에서 어떻게 분석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쓰여졌다. 이를 위해 푸코의 관리합리성과 하버마스의 문화적 공공영역 논의를 빌려오면서, 문화예술교육이 우리사회의 관리합리성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이며, 현실적으로 미흡하지만적어도 기획이나 구상에 있어서는 문화적 공공영역으로서의 성격을 강하게 내포하고 있다고 제시하였다. 이러한 인식에 기반하여 이 논문에서는 현재 문화예술교육을 둘러싸고 제기되고 있는 문제들이 외형적으로는 문화예술교육의 실행이나 제공상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과 관련된 것처럼 보이지만, 심층적으로는 문화예술교육이 주목하고 있는 행위자 개인에 대한 관리기술(art of government) 미흡과 문화적 공공영역으로서의 자기인식 부족에서부터 비롯된다고 지적하였다. 사회이론적 기반에 대한 이러한 검토가 문화예술교육 전반을 설명해주는 것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차원에서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실천적 관심에 주목하고 이를 성취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는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For the last 10 years, the culture & arts education has been rapidly extended in Korea. The issues relating to it have been generally dealt with in the artistic views. This paper tries to explore culture & arts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theory and to suggest its social meaning based on the 'practical interest'(praktische Interesse). For the purpose, it introduces the notions of 'governmental rationality' by Foucault and 'cultural public sphere' by Habermas. As a collective mentality, the governmental rationality focuses on individuals as an object whose capabilities should be strengthened. Regarding this concern, it develops various tactics, methods and techniques which aim to shape and guide their wishes, attitudes and activities. Cultural public sphere functions as a place for private individuals to transform into the public. The notions provide meaningful tools for the examination on the culture & arts education. The education represents governmental rationality in Korea society, which tries to achieve social changes by affecting individuals' thoughts, attitudes and activities. It also concerns the public who has self-control ability to contribute for the changes. From the point of view, the culture & arts education is not only artistic practice but also social practice. Therefore, many issues around the education, it argues, should be re-explored from the social-theoretical perspective and suggestions for it should be conceived relating to the governmental rationalty.

      • KCI등재

        문화예술 영역별 소비향유가 문화적 자기효능감 및 지식에 미치는 영향과 그 성별 차이에 관한 연구

        변상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8 문화정책논총 Vol.32 No.3

        This study compared effects of five culture & art domains on cultural self-efficacy and knowledge. The domains are literature & books, plastic art, film & drama, classical performing art and popular performing art. Gender difference was examined in each domain. A nationwide online survey(N = 547) was conducted with a stratified sampling. The study found that the effects on cultural self-efficacy and knowledge are different between domains. Classical performing art is most highly effective, but film & drama has a negative effect. Gender is moderating the main effects. Plastic art and popular performing art have positive effects on cultural self-efficacy among women. An Effect of literature & books on knowledge is positive among men.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최종 <국문초록> 본 연구는 인문학 분야 등의 도서·출판, 미술·조형예술, 영화·드라마, 순수·클래식공연, 대중공연 등 문화예술 5개 영역별 소비향유가 문화적 자기효능감과 지식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지를 분석하였다. 각 영역에 있어 그 영향이 성별에 따라 달라지는지도 살펴보았다. 성별·연령별 비례할당방식에 근거한 전국단위 표본을 수집하여 이메일 설문조사(N = 547명)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문화예술 5개 영역별 개인의 소비향유는 서로 정(+)적 상관관계를 맺고 있었다. 문화예술에 대한 소비향유(빈도)는 영화·드라마 영역을 제외하고 여성이 남성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예술 5개 영역별 소비향유의 효과는 차이가 있었다. 인문학 분야 등의 도서·출판, 미술·조형예술, 순수·클래식공연 등의 소비향유는 문화적 자기효능감과 지식에 정(+)적 영향을 주었다. 대중공연은 지식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영화·드라마는 지식에 부(-)적 영향을 끼쳤다. 셋째, 문화예술 5개 영역에서의 소비향유가 문화적 자기효능감과 지식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미술·조형예술과 대중공연은 여성의 문화적 자기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영화·드라마는 여성의 문화적 자기효능감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인문학 분야 등의 도서·출판은 남성의 지식에 정(+)적 영향을 주었다. 끝으로 이론적·현실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문화역량과 표준보육과정 예술경험 영역의 개인적 교수 효능감과의 관계

        강정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학논집 Vol.19 No.1

        This study examined the features of child care teachers' cultural competence and personal teaching efficacy in the 'Art experience' area of the Korea National Child Care Curriculu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For this study, 209 child care teachers in Seoul completed questionnaires that covered aspects such as Cultural Competence Scale and Teaching Efficacy Scale. The cultural competence scale was consisted of three sub factors-'cultural capacity', 'cultural experience', and 'cultural practice'. In addition, personal teaching efficacy was also surveyed by esthetic exploration, artistic expression, and artistic appreciation which were the three categories of Art experience area in the Korea National Curriculum for child care center. Descriptiv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ub-categories of cultural knowledge, cultural orientation, and cultural acceptance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e sub-categories of watching performing arts, digital literacy, and cultural artistic creation activity. The teachers' personal teaching efficacy in the area of Art experience were higher than median score. Child care teachers' culture competence and personal teaching efficacy in area of Art experience mostly had positive correlations. The regression analysis found that teachers who had higher cultural orientation, watching performing art, and cultural acceptance expressed higher personal teaching efficacy in the area of Art experience.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문화역량과 표준보육과정 예술경험 영역의 개인적 교수효능감의 정도와 두 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 209명의 교사들이었고, 연구방법은 문화역량 검사도구와 교수효능감 도구를 수정 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문화역량은 문화소양, 문화향유, 문화실천의 세 요인을 측정하였고, 표준보육과정 예술경험 영역의 세 가지 범주인 아름다움 찾아보기, 예술적 표현하기, 예술 감상하기에 대한 개인적 교수 효능감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문화역량의 요인들 중, 문화소양의 문화지식과 문화정향, 문화 실천의 문화수용성은 문화향유의 문화예술 관람과 디지털리터러시, 문화실천의 문화예술 창작활동 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보육교사의 예술경험 영역에 대한 개인적 교수 효능감은 보통 이상의 수준을 보였다. 보육교사의 문화역량과 예술경험 영역의 개인적 교수효능감은 대부분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회귀분석 결과, 문화역량의 요인들 중 문화소양이 설명력을 나타내었고, 문화정향, 문화예술관람, 문화수용성 등의 하위요인이 교사의 예술경험 영역의 개인적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융합시대의 예술경영 연구 방향에 대한 탐색적 시론

        박양우,김유리 한국예술경영학회 2011 예술경영연구 Vol.0 No.20

        No one can deny that we live in the era of convergence. Not only are the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converging, but also various and diverse media are blending very rapidly. It does not stop at a convergence between several different genres but it goes beyond to an amalgamation between industries. This Study deals with the tasks of and the direction the Arts Management should take in the era of convergence. This Research examines the fields and the trend of research at the Arts Management in academic perspective, outlines the cultural policy of Korea since the liberation in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perspective, and finally summarizes the interests of Korea’s Arts Management. Lastly, after exploring the trend of current convergence phenomenon, the study proposes the tasks of and directions to research the Arts Management in the perspective of the relationship within the cultural and arts fields,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other fields, the new fields and perspective the cultural policy and arts management should touch upon and possess,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academic disciplines. Research on arts management in the future should be considered on the basis of the following tasks and mission. Every effort for convergence should be made among arts and arts related fields as well as among arts fields. Futhermore, convergence between arts industry and other industries should also considered. New content responding to converged media and environment should be planned and developed. Such phenomena as convergence should be melted in the research of cultural policy and arts management overall. The study, in addition to them, includes some suggestions on academic convergence in the universities and convergence among academic societies, and new trend in arts market. 지금은 융합시대라 할 수 있다. 방송과 통신, 다양한 매체 간 융합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고, 장르와 장르 간 융합을 넘어 산업과 산업 간 융합도 시도되고 있다. 이 논문은 이 같은 융합환경 속에서 예술경영학은 어떤 과제를 안고 있으며 향후 어떤 방향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인가를 다루고 있다. 우선 학문적 측면에서 예술경영학의 연구영역과 연구동향을 점검해보고, 정책적 측면에서도 그동안 해방 이후 우리나라 문화정책을 개관해 본 다음 우리나라 예술경영학의 관심사를 정리해 보았다. 다음으로 융합현상에 대한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 문화예술 영역내의 상호관계, 문화예술과 외부영역과의 관계, 문화정책 또는 예술경영이 다루어야 할 새로운 영역이나 관점, 학문단위간의 관계 등의 측면에서 예술경영학의 과제와 연구방향들을 제시하였다. 첫째, 예술분야 간 융합 노력이 있어야 한다. 둘째, 예술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분야들과의 적극적 융합 노력이 있어야 한다. 셋째, 타 산업들과의 연계·통합노력 또한 필요하다. 넷째, 무엇보다 다양하고 질 높은 문화콘텐츠를 발굴하고 이를 개발하는 일이 중요하다. 다섯째, 문화정책과 예술경영 전반에 새로운 미디어 융합, 분야 간 융합에 따른 대책들이 강구되어야 한다. 여섯째, 학문적 입장에서 다양한 학문 분야 간 교류와 융합 노력이 경주되어야 한다. 일곱째, 학회들 간에도 서로 밀접한 융합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여덟째, 대학교 내에서 예술대학과 다른 인문사회학, 이공계 분야와의 융합과정을 시도해 보는 것도 필요하다. 아홉째, 대학 내에 MIT 미디어랩처럼 예술분야와 인문사회 분야, 그리고 이공 분야가 결합된 융복합연구소를 설치할 수도 있다. 열 번째, 예술경영과 관련하여 종합적 능력을 가진 전문 예술경영 인력 배양이 어느 때 보다 절실하다. 마지막으로 융합에 따른 예술산업 시장의 성장과 함께 대형 예술매니지먼트사의 등장과 대외 개방에 따른 외국 매니지먼트사의 진입 등 예술산업 시장의 환경변화에 대응한 전략이 필요하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역량과 누리과정 예술경험영역의 교수불안과의 관계

        백지혜 ( Baek Jeehea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8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역량과 누리과정 예술경험영역의 교수불안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대구, 강원도, 충청북도의 140명의 예비유아교사이며, 문화역량 검사도구와 교수불안 도구를 수정 보완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문화역량은 감수성, 상상력, 관심, 이해, 표현력, 공감, 소통, 관용의 8가지 요인을 측정하였고, 누리과정 예술경험영역의 세 가지 범주인 아름다움 찾아보기, 예술적 표현하기, 예술 감상하기에 대한 교수불안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신뢰도 검증, 기술통계, Pearson 적률상관관계 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역량은 보통 이상의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예술경험영역의 교수불안은 보통보다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역량과 예술경험영역의 교수불안은 대부분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셋째, 회귀분석결과 문화역량의 요인들 중 관심, 이해, 표현력, 공감이 예술경험영역의 교수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교사양성과정에서 예술교과목의 구성에 있어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pre-service teachers’ cultural competence to teaching anxiety in the ‘Art experience’ area of the Korea National Nuri Curriculum. The subjects were 14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nrolled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around Daegu, Gangwon-do, and Chungcheongbuk-do province.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questionnaires were Cultural Competence Scale and Teaching Anxiety Scale. The Cultural Competences Scale consisted of eight sub factors ‘sensitivity’ ‘imagination’ ‘interests’, ‘understanding’, ‘ability to express’, ‘empathy’, ‘communication’, ‘generosity.’ In addition, teaching anxiety was surveyed by esthetic exploration, artistic expression, and artistic appreciation which were the three categories of ‘Art experience’ area in the Korea National Nuri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hown to have higher cultural competence and to have lower teaching anxiety than average. Second, overall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ultural compet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ir teaching anxiety. Third, the pre-service teachers with higher ‘interests’, ‘understanding’, ‘ability to express’, and ‘empathy’ in cultural competencies were more likely to express lower teaching anxiety in the area of Art experience.

      • KCI등재

        정책논단(政策論壇) : 문화경제학이 재정학 커뮤니티에 던지는 메시지

        임상오 ( Sang Oh Lim ) 한국재정정책학회 2007 財政政策論集 Vol.9 No.1

        이 논문에서는 문화경제학이 재정학 커뮤니티에 던지는 메시지가 무엇인가를 탐색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국제문화경제학계를 둘러싼 주류와 반주류 간의 대화를 살펴본다. 이 논문의 시사점은 예술과 문화의 긍정적 예부효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점, 장기적 관점에서 저작권제도 그 자체가 문화 서비스의 공급을 창출하는 인프라가 될 수 있다는 점, 비영리조직(NPO)을 포합한 사회적 영역(the social sphere)을 재정학 체계 속에 보다 적극적으로 자리 메김 할 필요가 있다는 점, 한 나라의 문화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문화 소비자인 시민의 문화향수능력이 발달되지 않고서는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점 등이다. The paper tries to derive public policy implications of cultural economics in public finance. Toward this aim, the paper traces a multitude of conversations between main-stream and anti-mainstream cultural economists. What kinds of messages can be derived from the conversations? It needs, firstly, to notice externalities, especially positive ones, which can be generated in the production, dissemination and consumption of the arts. Secondly, the indirect supply system of the cultural goods through e.g. tax or copyright can be much better than direct supply system of the cultural goods. A final suggestion concerns the roles of the 3rd sphere in the society in question.

      • 북한 아동복지 관련법 분석

        양정훈 남북문화예술학회 2009 남북문화예술연구 Vol.0 No.4

        1989년 체결된 국제아동권리협약은 아동의 권리문제에 대해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권리규범을 제정함으로써 18세 미만의 모든 아동을 보호의 대상으로 함과 동시에 적극적인 권리의 주체로 인정하는 아동권리에 대한 국제문서로서 법 적 구속력을 갖는 국제규범이다. 북한에는 아동복지라는 별도의 용어는 없지만, 유아상담소 법령, 탁아소에 관한 규정,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어린이보육교양법, 교육법, 장애자보호법 등의 아 동복지 관련법을 통해서 북한 아동을 위한 아동복지체제가 마련되어 있다. 이를 구체적 영역으로 나눠 보면, 첫째 생존권 영역으로는 아동의 생명권·발달권, 건 강과 의료의 관리, 둘째, 보호권 영역으로는 발달에 해로운 노동으로부터의 보호 받을 권리와 난민 아동의 보호와 원조, 셋째, 발달권 영역에는 아동양육에 대한 국가와 사회의 공동 책임원칙, 결손 가정 아동에 대한 국가의 보호와 원조, 교육 에 대한 권리 등 있다. 하지만 참가권 영역은 하나도 없었다. 이는 국제아동권리 협약에 근거하여 현재의 북한의 아동복지 관련법에서 아동 권리의 차원에서 어떤 영역이 미흡한지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한다고 본다. 북한 아동복지 관련 법 대부분의 조항은 거의 모두 아동의 보호와 지원 차원의 내용들이었으며, ‘아동 권리’ 차원에서의 아동에 대한 주체적인 인식은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북한이 사회주의 체제이기는 하지만, 북한 아동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서는 국제아동권리협약의 내용을 참조 틀로 하여 아동복지 관련법의 법적 체계화 와 보완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KCI등재

        국내 대학의 사회과학과 예술 융합교육의 실태

        서덕희(Seo, DeokHee),윤아영(Yoon, Ahyoung),이희용(Lee, HeeY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4

        이 연구는 현대사회의 복잡한 문제현상을 총체적으로 인식하고 창의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데 분과학문 간의 융합이 필요하며, 특히 사회과학과 예술은 역사적으로 실증주의와 고급문화 관념의 후퇴로 사회과학과 예술이 각각 자신의 정체성을 위해 서로를 요청한다는 판단 하에 국내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사회과학과 예술의 융합교육의 실태를 체계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전국 대학들의 인터네 자료를 포괄적으로 검색하고 융합교육 경험이 많은 대학의 교수들에 대한 면담에 근거하여 설문조사 문항을 만들고 이를 토대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해석하는 일종의 혼합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개별 교양교과목에서부터 연계전공, 융합전공, 학생설계전공, 전공학과와 학부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층위에서 사회과학과 예술의 융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 특히 문화컨텐츠라는 이름 아래 문화산업에 필요한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인문학과 공학까지를 포괄하는 상당히 범분과적 융합교육의 형식을 띠는 방향으로 발전해 오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교육의 질에 있어서는 학생들의 융합교육 경험과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다른 융합교육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이 많았다. 결론에서는 그러한 부정적 인식이 많을 수밖에 없는 까닭을 아렌트식의 공공영역 확보의 실패로 보고 이를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Against the backdrop of increasing demand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from inside and outside of universities in South Korea, this paper aims to grasp the current status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between Social Science and Arts in the level of undergraduate course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this paper adopts the mixed method of collecting documents from the web sites of all the universities in South Korea and conducting survey, whose items have been developed based upon the results of interviews with professors who have experienced th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As results, it is revealed that, first, interdisciplinary education between social studies and arts has been implemented in multi- layered ways from individual courses of general education to interdepartmental majors, interdisciplinary majors, student-designed majors, and some independent departments, second, the department of cultural contents, in particular, which covers from the humanities to the engineering, has emerged from all over the country, and, finally, the rates of negative responses to the questions in regard with interdisciplinary education experiences of students in this area are higher than any other area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In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negative responses from students has been interpreted as due to the failure of ensuring Arendt’s way of public sphere, required educational plan for which a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