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평양 정백동·정오동 출토 낙랑 문자자료

        오택현 한국목간학회 2022 목간과 문자 Vol.- No.29

        정백동과 정오동은 평양시 락랑구역 내에 위치한 지역으로 많은 낙랑 고분이 분포하고 있다. 이곳의 많은 무덤에서 다양한 유물이 발견되었다. 그중 정백동 364호분이라 불리는 무덤은 낙랑군 25개 현의 호구를 조사한 목간과 논어가 기록된 죽간이 발견되어 낙랑군이 중국 군현으로 운영되고 있었음을 증명해주었다. 정백동과 정오동이 위치한 지역은 낙랑군에 있어 중요한 지역이었던 것이다. 본고에서는 정백동과 정오동에서 출토된 문자자료를 도장과 칠기, 기타 문자자료로 구분해 정리했다. 도장은 관인과 사인으로 구분되며, 피장자의 위치(지위) 및 이름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칠기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 칠기들이 발견되었다. 그중에서 일정한 형식으로 명문이 기록된 기년명 칠기가 주목된다. 향후 기년명 칠기 명문 파악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는 도장 및 칠기가 아닌 기타 문자자료를 정리했다. 정백동과 정오동 자료는 체계적으로 정리되지 않았고, 유물 사진 자료가 많지 않다. 그래서 정백동과 정오동 출토 명문자료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최대한 사진 자료를 찾아 정리했기에 향후 정백동과 정오동 문자자료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 KCI등재

        문자자료를 활용한 발해사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 검토 -위준, 효의황후, 순목황후, 진만 묘지명을 중심으로-

        권은주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4 嶺南學 Vol.0 No.88

        한국고대사 연구에서 문자자료를 활용한 연구는 하나의 흐름이 되었다. 최근 발해사와 관련된 문자자료도 상당수 확인되고 있어, 이를 활용한 새로운 연구의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본 글에서는 위준, 효의황후, 순목황후, 진만 묘지명의 내용을 소개하고, 발해사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을 검토해 보았다. 위준은 732년 장문휴가 이끄는 발해 수군의 기습을 받아 사망했던 당나라 등주자사이다. 그는 중앙에서 황실의 시위를 오랫동안 담당하다가, 50대에 처음 지방관이 되었다. 55세 이후 등주자사가 되었다가 57세에 전사하였다. 그의 묘지명 발견으로 730년대 발당전쟁 전반에 대한 이해 뿐만 아니라, 발해 수군의 제해권과 성격, 등주지역의 군사력 및 관방체계, 발당 관계에서의 역할 등 미시적 접근을 통한 새로운 연구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용두산고분군에서 발굴된 문왕의 황후인 효의황후와 간왕의 황후 순목황후에 대해서는 매우 간략한 정보만 알려져, 여러 논란이 있었다. 최근 張福有의 글(2023)에서 효의황후의 성이 한씨이며 보력 2년(775)에 사망하여 珍陵台에 장사한 것과 순목황후의 사망 시기는 천장한 건흥 12년(829)이 아닌 “▨▨二年四月卄四日”에 “鮮卑不易山原”에서 사망한 사실이 새로 밝혀졌다. 용두산고분군의 정식발굴보고서가 출판되어 두 묘지명이 공개된다면, 향후 발해건국지, 왕릉비정, 왕실제도, 북방민족과의 관계, 내부 정세나 상장제례 등 여러 주제의 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진만 묘지명」은 1980년대 이후 閻萬章에 의해 진품으로 확인되었다. 진만은 진왕 이존욱의 아래에서 탁주자사로 있다가, 918년 40세에 포로로 잡혀 蕭阿古只를 따라 거란에 들어갔다. 「진만 묘지명」에는 『요사』 등에 확인되지 않는 923년, 925년 거란의 발해 공격 기사가 나와 주목받고 있다. 이렇듯 진만 묘지명은 발해 멸망 전쟁 과정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발해와 거란의 충돌 및 거란의 요동 진출 과정, 동단국 운영 문제와 관련한 연구에 활용 가능하다. 이상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 발해사 역시 문자자료를 활용하여 공백으로 남아 있는 여러 주제를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사료의 부족으로 정체되어 있는 발해사 연구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In the study of ancient Korean history, the study using epigraphs became a trend. Recently, a number of epigraphs related to Balhae have also been identified. So, The possibility of a new study of Balhae history using this was confirmed. In this article, I introduced the writings of the tombstones of Wi Jun(韋俊, Ch. Wei Jun), Empress Hyoui(孝懿), Empress Sunmok(順穆), and Jin Man(陳萬, Ch. Chen Wan), and reviewed the new possibilities of the study of Balhae history. Wi Jun was the governor of Dengzhou(登州刺史) of the Tang Dynasty, who died in a surprise attack by the Balhae navy led by Jang Munhyu(張文休) in 732. He was in charge of imperial demonstrations at the center for a long time, and became a regional minister for the first time in his 50s. After he was 55 years old, he became the governor of Dengzhou and was killed in action at the age of 57. The discovery of his tombstone made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 overall war between Balhae and the Tang in the 730s. In addition, new research possibilities can be confirmed through a microscopic approach, such as the naval power and nature of the Balhae naval force, the military power and defense system of the Dengzhou region, and the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alhae and the Tang of the governor of Dengzhou. Only very brief information was known about the two empress‘s tombstone of Balhae, Empress Hyoui of King Mun(文王), and Empress Sunmok of King Gan(簡王), discovered in Longtoushan(龍頭山) Balhae Tombs, and there were many controversies. Recently, in Zhang Fuyou(張福有)’s article (2023), it was revealed that Empress Hyoui's surname was Han(韓), and she died in the 2nd year of Boryeok(寶曆, 775) and was buried at Jinneungdae(珍陵台). And Empress Sunmok died in “Seonbi(鮮卑, Ch. Xianbei) Bulisanwon(不易山原)” on “24th day of the fourth month of the 2nd year of ▨▨”, not in the 12th year of Geonheung(建興, 829). If the official excavation report of the Yongdusan Ancient Tombs is published and the two tombstones are made public, future research will be possible on various topics such as the founding site of Balhae, the royal tombs location, the royal system, relationships with northern peoples, internal situations, and funeral rites. The Jin Man’s tombstone has been confirmed as authentic by Yan Wanzhang(閻萬章) since the 1980s. Jin Man served as the governor of Zhuozhou(涿州刺史) under King Jin(晉王) Lee Jonwook(李存勖, Ch. Li Cunxu), but was taken prisoner in 918 at the age of 40 and followed So Agoji(蕭阿古只, Ch. Xiao Aguzhi) into the Khitan. The Jin Man’s tombstone is drawing attention for articles on the Balhae attack of the Khitan in 923 and 925, which are not confirmed in the Liaoshi(遼史, History of the Liao). As such, the Jin Man’s tombstone provides new information on the process of the collapse of Balhae, which can be used for research on the conflict between Balhae and the Khitan, the process of entering the fluctuations of the Khitan, and the operation of the Dongdanguk(東丹國).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case, Balhae also uses epigraph texts to examine various topics that remain blank. This method is thought to be helpful in revitalizing the research of Balhae history, which has been stagnant due to lack of feed.

      • KCI등재

        미술사의 과제와 역사학

        남동신 한국미술사학회 2010 美術史學硏究 Vol.268 No.268

        This paper, written on the occasion of the 50 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Art History, explores tasks facing the discipline of Korean art history – research directions and methods in the 21st century - by looking at Korean Buddhist art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I begin by discussing methodological tasks. One of the recent research trends in Korean art history has been to extend the field of research to include a broader visual culture and even material culture as a whole. In terms of methodology, this trend has been concerned with the active use of not just visual art forms, but also tex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s and texts, I argue that they are different ways of recording one and the same experience, and that when these media are used to transmit religious messages, there is a difference in terms of authoritative value; a fact well understood by Buddhist artists of premodern and modern times. My discussion then moves on to future research directions. As is well-known, the modern discipline of Korean art history was a field transplanted to Korea by Japanese government- sponsored researchers as part of an attempt to legitimize Japan’s colonial rule over Korea, and what was transplanted was not art history as a modern academic discipline,which was created in Europe, but the way it was understood and re-adapted in Japan. This transplanted framework of art history could not properly reflect Korean history and culture,concerning both the selection of research subjects, methods, and terminology. In light of this, I propose, in this paper, the ways in which we conduct research on and interpret Korean art history as well as East Asian art history from various perspectives. To give a concrete example, I have reviewed two records of repair and renovation found inside the Seokgatap Pagoda of the Bulguksa Temple, Mugujeonggwang Jungsugi (Dabotap Jungsugi , 1024)and Seoseoktap Jungsugi (Seokgatap Jungsugi , 1038) and have identified fifteen names of stone pagoda parts that were widely used in the early Goryeo period. I suggest that these names be used to replace or complement the Japanese-style names of pagoda parts that are currently in use. Art history and history are intimately related to each other insofar as they both reorganize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past. No two academic disciplines are as closely linked to each other as art history and history. In this sense, this paper serves to stimulate the communication and exchange between these two research fields. 본고는 한국미술사학회 창립 50주년을 맞아, 역사학의 관점에서 불교미술사를 중심으로 한국미술사학의 당면 과제–새로운 세기의 연구방향과 방법론–를 검토하였다. 첫째는 방법론의 과제이다. 최근 한국미술사학의 연구동향은, 연구 영역을 미술에서 시각문화로, 시각문화에서 물질문화로 확장하면서, 방법론에 있어서도 시각자료만이 아니라 문자자료까지 적극적으로활용하는 추세를 잘 보여준다. 이와 관련하여 필자는 시각자료와 문자자료가 동일한 체험을 다른 방식으로 기록하며, 종교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서 종교적 권위에 차이가 있는바, 이 사실을 전근대 불교도들도충분히 인식한 위에서 불교미술품을 제작하였음을 부각시켰다. 둘째는 연구 방향의 문제이다. 주지하다시피 한국근대미술사학은, 서구에서 성립된 근대미술사학이일본식으로 번안되고, 이것이 다시 일본 관학자들에 의하여 일제의 한국 식민지화를 합리화 하려는 의도에 부응하며 한국에 이식된 것이다. 따라서 미술사학의 주제 설정, 방법론, 용어 등에서 한국의 역사 및 문화를 정당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불가피하였다. 필자는 이와 관련하여 한국적 시각에서 한국의 미술사, 동아시아의 미술사를 새롭게 정립할 것을 제언하였다. 구체적으로 불국사 석가탑에서 출토된 「무구정광탑중수기」(다보탑중수기, 1024년)와 「서석탑중수기」(석가탑중수기, 1038년)를 검토하여, 고려 초에 통용된 한국의 전통적인 석탑 부재 명칭 15종을 발굴하였으며, 이것이 현재 통용되고 있는 일본식 석탑 부재 명칭을 수정 보완할 수 있음을 밝혔다. 미술사학과 역사학은 과거의 역사와 문화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다른 어떤 학문분야보다 친연성이 깊다. 그런 점에서 본고는 향후 두 학문 분야간의 소통과 교류를 더욱 활성화시키는 데 기여하리라 기대된다.

      • KCI등재

        扶餘 扶蘇山城의 築城法과 文字資料의 編年的 位置

        백종오 중부고고학회 2023 고고학 Vol.22 No.1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fortification method change process and the chronological position of Busosanseong Fortress, the royal castle of Baekje.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chronological position more closely by examining the properties and excavation context of the text materials to trace the diachronic change process of Busosanseong Fortress. Busosanseong Fortress is a representative of the rammed earth(版築) technique. The rammed earth fortress wall in Korea describes Busosanseong Fortress and Pungnaptoseong as their prototype models.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se fortresses is largely divided into eight stages: Seonji(選地, selecting location), Jeongji(整地, grading), Jijeong(地釘, soil ground), Guchuk(構築, construction), Bubyeok(扶壁, buttress), Pibok(被覆, covering), Yeongseon(營繕, maintenance), and Bosu(補修, repair). The principle of construction appears in the Chinese classics such as Wuyuechunqiu(吳越春秋), Bowuzhi(博物志), Guanzi(管子) “Duoditiao(度地 條)” and Zhouli(周禮) “Kaogongji(考工記)”, and Zuozhuan(左傳). As seen in Guanzi “Duoditiao”, “build a castle inside and build a wall outside” is understood as ① Seonji(選地) stage, “if the ground is high, dig a valley, and if the ground is low, build an embankment” as ②Jeongji(整地) and ③Jijeong(地釘) stages, “make a moat outside the fortress and plant thorns around it to make it more difficult to climb, then it will be sturdier” as ④Guchuk(構築), ⑤Bubyeok(扶壁) and ⑥Pibok(被覆) stages, “repair continuously every year, and manage it sturdy every season” as ⑦Yeongseon(營繕) and ⑧Bosu(補修) stages. Through this, it can be explained that their principle and process of construction were directly reflected in the fortification method of Korean fortresses as it is in principle and practice. Kuodizhi(括地志) Quoted in Hanyuan(翰苑) is a literature showing the existence of stone-built fortress walls in the Sabi period of Baekje. This book has a higher historical value in that it records the observations made after a Chinese envoy directly visited Sabi capital city in Baekje before 636. Among the articles in Kuodizhi, “北面 累石爲之(the north side was built by stacking stones)” is the only literature case showing the stone-built fortress walls of Baekje. It refers to the northern wall of Busosanseong Fortress and the northern walls that refer to the connecting section of Buknaseong Fortress. Among the text materials of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inscription tile, ‘儀鳳二 年(the second year of the Yifeng era)’銘(677) corresponds to the seventeenth year of King Munmu. By linking this with historical event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Soburi Ju(所夫里州) in 671, the victory of the Battle of Gibeolpo at the mouth of the Geum River in 676, and the end of the Silla-Tang War, it is narrowed down to the initial construction time of the Gunchangji(軍倉址) and Sajaru(泗泚樓) Temoe style fortress. Through the inscription tile, ‘會昌七年(the seventh year of the Huichang era)’銘(847), it was also identified that the intensive rebuilding and maintenance of the fortress was carried out in the middle of the ninth century. The inscription tile of the Goryeo Dynasty, ‘大平八年(the eighth year of the Taiping era)’銘(1028), is the same relic as the relics excavated from the nearby Jeongnimsa Temple site, which infers the fact that some renovations were made on the southern wall section of Pogok(包谷) style fortress along with the construction of Daejangjeon Hall at Jeongnimsa Temple site in the early eleventh century. It is considered that the inscription tile, ‘朝鮮國何東扶元宮(Hadong Buwongun of Joseon)’銘, excavated from Gunchangji dates from the middle of the fifteenth century, when Jeong Inji(鄭麟趾) was designated as Hadong Buwongun(1453-1478). 본 고는 백제 왕성인 부소산성의 축성술 변화과정과 출토 문자자료의 편년적 위치를 살펴본 것이다. 그리고 부소산성의 통시적인 변화과정을 추적하기 위해 문자자료의 속성과 출토 맥락을 검증하여 그 편년적위치를 좀 더 면밀히 살펴볼 수 있었다. 부소산성=판축기법으로 대표된다. 우리나라의 판축성벽은 부소산성과 풍납토성을 그 원형모델(prototype model)로 설명하고 있다. 이들 성곽의 축조 공정은 크게 選地, 整地, 地釘, 構築, 扶壁, 被覆, 營繕, 補修 등 모두 8단계로 나누어진다. 그 조영원리는 중국의 고전인 『吳越春秋』, 『博物志』, 『管子』 度 地條와 『周禮』 考工記, 『左傳』 등에서 살펴볼 수 있다. 이중 『管子』 度地條에서 보듯이, 성을 쌓을 때“안에는 성을 쌓고 밖에는 곽을 쌓는다”는 ① 選地段階, “땅이 높으면 골을 파고, 땅이 낮으면 둑을 쌓는다”는 ② 整地段階와 ③ 地釘段階, “성곽 밖에는 해자를 두고 주변에는 가시나무를 심어 오르기 어렵게하면 더욱 견고해 진다”는 ④ 構築段階와 ⑤ 扶壁段階 그리고 ⑥ 被覆段階, “해마다 끊이지 않고 수리하고, 철마다 튼튼하게 관리한다”는 ⑦ 營繕段階와 ⑧ 補修段階로 이해된다. 이렇듯 성곽의 조영 원리와 그축조 공정은 원론과 실제로써 우리나라 성곽의 축성법에 그대로 투영되었다고 할 수 있다. 백제 사비기 석축성벽의 존재 여부를 보여주는 문헌이 『翰苑』 所引 『括地志』이다. 이 책은 중국 사신이636년 이전에 백제 사비도성을 직접 방문한 후 그 관찰한 내용을 기록한 것이기에 더욱 사료적 가치가 높다고할 수 있다. 『括地志』 기사 중‘北面 累石爲之’는 백제 석축성벽을 보여주는 유일한 문헌 사례인데, 이 기사는부소산성 북벽부와 이곳에서 연결되는 북나성의 연접 구간을 지칭하는 북쪽 성벽들을 말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통일신라시대 문자자료 중 ‘儀鳳二年’銘(677) 명문기와는 신라 문무왕 17년에 해당되는데, 671년 所 夫里州 설치, 676년 금강 하구의 기벌포 전투 승리와 나당 전쟁 종결 등의 역사적 사건 등과 결부시켜 보면, 군창지 및 사자루테뫼식산성의 초축 시점으로 압축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자루테뫼식산성에서출토된 ‘會昌七年’銘(847) 명문기와를 통해 9세기 중반에 부소산성내 집중적인 修改築과 함께 성내 營繕 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하였다. 고려시대의 ‘太平八年’銘(1028) 명문기와는 인근 정림사지 출토품과 동일한 유물로 13세기 초 정림사지의 대장전 건립과 함께 포곡식산성 남벽 구간에 대한 일부 수개축이이루어졌다는 사실을 유추하는 자료로 판단하였다. 그리고 군창지 출토 ‘朝鮮國何東扶元宮’銘 명문기와는 정인지가 하동부원군(1453~1478)으로 봉해지는 15세기 중엽으로 보아도 무리가 없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일본전근대] 주제 제한성 탈피를 위한 방법론의 전환: 일본 전근대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정순일(CHONG, Soonil) 역사학회 2020 역사학보 Vol.0 No.247

        This article observes research trends of Japanese premodern history studies published in the Korean academic world during the two years of 2018 and 2019 and based on this, it predicted future research direction. The following research trend characteristics were found. First, there was a noticeable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ies that dealt with the same subject material using innovative approaches and unique and creative research methodologies. Second, intensified Korean-style research was shown. Third, research bases were expanded with the publications of annotations and source books and attempts were being made for the popularization of Japanese history through the publications of high quality liberal arts books, academic journals, and translations. Fourth, research was conducted actively on excavated text data such as wooden tablets and memorial inscriptions and most were products of Japanese researchers. In general, judgments can be made that conversions have been attempted to break away from subject limitations. Meanwhile, it seems that the absence of controversy within the academic world and a lack of relations among researchers of the same field are tasks that must be resolve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