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료를 통해 본 송대 이후의 문묘일무

        임학선 한국무용연구회 2009 한국무용연구 Vol.27 No.1

        문묘일무는 유교의 예악사상이 담긴 춤으로 스승을 공경의 마음으로 섬기는 특별한 의미를 지니는 춤이다. 문묘석전에서 추게 되는 이 춤은 고대 중국에서 유래된 춤으로 고려 예종 11년(1116)에 우리나라에 유입된 이래 고려와 조선의 성균관을 거쳐 오늘에 이른다. 본 연구에서는 사료 분석을 통해 (1)고려와 조선시대의 문묘일무와 송나라시대의 문묘일무의 관계성 (2)조선시대에 행해진 문묘일무의 실제모습 (3)삼진삼퇴의 일무가 제자리에서 추는 일무로 바뀌게 된 이유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조선시대의 문묘일무는 송나라시대의 것과 동일계열이다. 둘째, 조선시대에는 일무를 당상과 당하 사이 뜰에서 춤추었다. 셋째, 일무는 일무의 위치에 무표를 세우고 이를 따라 삼진삼퇴를 춤추는 것이 전통이다. 넷째, 제자리에서 추는 일무는 예의에 어긋나는 것으로 명나라에서 비롯된 것이다. 다섯째, 공경·사양·겸양의 철학적 의미를 지니는 춤사위는 송대 이후 변함없이 일관되게 지켜졌다. 여섯째, 천지인합일을 의미하는 춤사위는 십자형(+)을 이루는 것이 원래의 모습이다. 엑스자(X)형과 십일자(11)형의 춤사위는 청나라에서 만든 춤사위이다. Munmyo Ilmu is a dancing performance with a special meaning for devotions to teachers with respectful minds as a dance containing Confucian decorums and music. This dance performed at Munmyo Seokjeon was originated from ancient China, and has been handed down to today via the era of Goryeo and Sunggyungwan of Chosun since its introduction to our country in the 11th year of King Yejong in Goryeo. This study examined through analyses on historical data; (1) Relationships of Munmyo Ilmu of Goryeo and Chosun with Munmyo Ilmu of Song Dynasty; (2) Actual appearance of Munmyo Ilmu performed during Chosun, and (3) Reasons of change on Ilmu performance into performance at one location from performance with three forward steps and three backward steps.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reached. First, Munmyo Ilmu of Chosun was the same line of Song Dynasty. Second, Ilmu was performed in a yard between Dangsang and Dangha in Chosun. Third, Ilmu is traditionally performed with three forward steps and three backward steps according to Mupyo which is established at the location of Ilmu. Fourth, Ilmu performed at one location is thought to violate decorums, which was originated from Ming Dynasty. Fourth, the dancing performance with philosophical meanings of respect, courteousness and humility has been consistently kept with no change since Song Dynasty. Sixth, the dancing performance meaning the unification of heaven, earth and human should be shown with a shape of a cross (+) in original appearance. The dancing performance in a shape of X or a parallel line (ll) was created in Qing Dynasty.

      • KCI등재

        문묘일무 춤사위의 미적 특성 연구

        유혜진 한국동양예술학회 2015 동양예술 Vol.27 No.-

        문묘일무(文廟佾舞)는 공자를 비롯한 성현에 대한 제사인 석전대제(釋奠大祭)에서 추는 춤으로, 예악사상(禮樂思想)에 근거한 정형화된 규범이라 할 수 있겠다. 문묘일무를 춤추는 목적은 그 규범을 통해 발현하고자 하는 참된 인간의 ‘덕성(德性)’을 키워내기 위함이다. 그리고 그것은 지극히 자연스럽고 순수한 인간 본연의 감성을 자극하여 궁극적으로 모두가 화합하여 조화로운 삶을 지향하는 ‘화(和)’의 정신에 함축되어 있다. 일무(佾舞)는 춤의 줄을 의미하는 것으로, 행(行)과 열(列)을 갖추어 춤추는 춤의 형식이다. 일괘일자일음일무(一卦一字一音一舞)’의 구조적 체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 글자에 하나의 동작만을 나타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자연의 이치와 더불어 주역의 원리를 취하여 만들어진 일무에는, 음과 양이 대립적이면서 동시에 상호보완적인 음양대대(陰陽待對)의 관계 하에 성립된 사상과 춤사위가 내포되어 있다. 이렇듯 음양(陰陽)의 원리에 입각하여 만들어진 일무는 혼자가 아닌 상대와 짝을 이루어 춤추는 상대무(相對舞)라 할 수 있다. 문묘일무 춤사위는 몸동작과 무구동작이 하나로 합하여져 예(禮)를 상징하는 동작으로 표현된다. 진퇴(進退)를 행하며 동서가 서로 마주하는 상대(相對)와 서로 등을 지는 상배(相背), 몸을 굽히고 펴는 궁신(躬身)과 평신(平身) 등의 음양의 짝을 이루는 동작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동작이 의미하는 바와 상징하는 바는 다르지만, 이들은 모두 삼진·삼퇴(三進三退)하며 삼읍·삼사·삼겸(三揖·三辭·三謙)의 기본구조에 의해 예(禮)를 표상하는 춤사위로 표현된다. 본고에서는 문묘일무 춤사위의 구조를 파악하고, 그 구조를 통해 발견되는 미적 특성을 형태미(形態美)와 심상미(心象美)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혼자가 아닌 함께 추는 춤인 문묘일무는 상대가 있어야 내가 존재하는, 그래서 상대와 함께 주고받는 마음을 중요시한다. 상대방을 존중하고, 상대를 위해 나를 낮추고, 상대를 위한 마음을 극진히 하는 공경과 사양과 겸양의 마음이 읍·사·겸(揖·辭··謙)의 춤사위로 발현된다. 그것은 순임금과 요임금이 왕위를 이양할 때 주고받았던 마음 ‘수수지례(授受之禮)’와 일맥상통하며, 서로를 아끼고 배려하는 마음을 통해 한마음 한뜻으로 진정한 하나를 이루고자 하는 의지의 표현이자 모두가 화합하는 조화로운 삶(人和)을 지향하는 것이라 하겠다. 文廟초舞是在祭祀以孔子爲首的聖賢,卽釋奠大祭中所跳的舞,可以說是以禮樂思想爲根基的已經定型化的規範准則。跳文廟초舞的目的,是爲了通過這規範發掘培養人類眞正的‘德性’。幷且,刺激人類本有的最自然、最純粹的感性情感,最終將萬物相合,含蓄出和諧生活的‘和’之精神。 초舞爲舞列之意,是需要排成行與列跳舞的舞蹈形式。以‘壹卦壹字壹音壹舞’的結構體系所構成,秉壹字只舞壹動作之원則。 文廟초舞的舞蹈動作,是通過身體動作與舞具動作的合壹,來表現象征‘禮’的動作的。由行進退、東西相對與相背,躬身與平身等陰陽相濟的動作構成。雖然每個動作的意義與象征有所不同,但這些舞蹈動作都是根據三進三退和三揖、三辭、三謙的基本構造來體現‘禮’的。 遵行自然法則的초舞,作爲立足于陰陽원理之上的舞蹈,也可以稱其爲幷非獨自,而是需成對而舞的‘相對舞’。取周易之원理的초舞,內含著在陰陽對立又互補的陰陽待對的情況下,得以成立的思想與舞蹈動作。 本硏究將對文廟초舞舞蹈動作的結構特性進行了解,幷將通過其結構發現的美學特性劃分爲‘形態美’與‘心象美’進行分析。幷非獨自而是成對而舞的文廟초舞,蘊含有니才有我之意,所以注重與對方相互的往來之心。 文廟초舞的舞蹈動作將尊重對方,放低自己,以及把考慮他人之心表現的淋리盡致的恭敬、辭讓和謙讓,以揖、辭、謙的舞蹈動作表現出來。這正是與堯王向舜王轉讓王位時抱有的相互禮遇之心,卽‘授受之禮’壹脈相通的。這正是以互尊互愛之心,和齊心協力實現眞正合壹之心,壹同向往著萬物和合的和諧生活(人和)。

      • KCI등재

        문묘일무(文廟佾舞)에 내재된 절도(節度)와 교육적 기능

        정향숙 ( Choung Hyang Sook ) 무용역사기록학회 2016 무용역사기록학 Vol.41 No.-

        본 연구는 석전(釋奠)에서 추어지는 문묘일무에 내재된 교육적 기능을 찾아봄으로써 현대인들을 위한 교육수단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엿보고자한다. 문묘일무는 현재까지 공자를 모시는 성균관의 석전의례에서 추어지고 있는 춤으로서 몸에서 몸으로 전승되는 무용과는 그 의미나 가치적인 면에서 차별화된다. 유가(儒家)의 윤리도덕(倫理道德)과 철학사상을 내포하는 의식적 춤동작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형식과 구조는 매우 절도 있고 규범적이며, 추모와 경배라고 하는 의례적·종교적(儀禮的·宗敎的) 성격이 조밀하게 융합되어 있다. 즉, 유희나 감정의 표현, 새로운 시도를 통한 변화·변형과 같은 일반적인 무용의 목적과는 달리, 우주와 인간 그리고 인간과 인간 사이를 관통하는 질서(秩序)와 조화(造化)라는 보다 교육적인 근원(根源)을 지향하는 춤이라 할 수 있다. 문무는 마음자세를 위한 정신수양의 춤이며, 무무는 신체 단련을 위한 춤으로서 형상화되었다. 문묘 일무는 하늘과 땅과 인간을 이어주는 춤이며 공자와 앞서 가신 성현들에 대한 감사의 표현이며 인간의 삶에서 우러난 경험 즉 서로간의 예의와 존경심을 미적으로 승화시킨다. `성균(成均)`은 고대 주대(周代)의 5개 대학 중 하나로서 `악교(樂敎)`를 통하여 덕(德)을 키우는 교육을 하던 곳이었다. 제사를 지내는 존현(尊賢)과 교육을 통한 양현(養賢)의 기능을 수행하는 이러한 학궁의 석전에서 추어지는 문묘일무의 기능을 윤리적, 사회적, 예술 교육적 기능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문묘일무는 윤리적으로 인격교육의 가장 근본이 되는 수신서인 소학(小學)의 핵심내용인 삼절(三節)과 사도(四道)를 형상화한 춤으로서 `절도(節度)의 춤`이라 할 수 있다. 둘째로 문묘일무는 제사의 의식무를 넘어서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신과 인간, 사회와 인간, 인간과 인간간의 관계를 조성한다. 예를 갖추는 행위로서 문묘일무는 언어를 초월한 의사소통의 춤으로 서로간의 마음과 마음을 나누는 `수수지례(授受之禮)`의 춤이며 `평화(平和)`를 상징하는 춤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일무는 고대로부터 문헌에 지속적으로 기록되어온 역사의 춤이며 예악을 기반으로 전통예술을 계승하는 교육적 의미 속에 자신을 발견하는 `위기지학`의 춤인 것이다. 문묘일무는 예를 춤으로 실현한 것이며 이는 결국 `몸공부`이다. 문묘일무를 `몸공부`로 활용하여 춤을 교육하고 결국엔 자신의 수양과 더불어 덕(德)을 쌓고 소통의 예의 즉 `마음의 공부`가 되는 춤으로 발전하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 문묘일무의 교육이 될 것이다. Munmyo-Ilmu (文廟佾舞) is a dance that has been performed in Seokjeon-Uirye (釋奠: the rite for laying out offerings) at Sungkyunkwan (成均館) deifying Confucius. It is distinguished in its meaning and value from other dances that have been passed down physically through the human body to body. Since the Munmyo-Ilmu consists of ritual dancing steps that portray the ethics and philosophical ideology of Confucius, its formality and structure are very modest and normative, and merge with the rituals and religious characters of cherish, memory, and worship. In other words, unlike common dances that express amusement and emotions, and the transformation through a new attempt, Munmyo-Ilmu may be considered a dance that has an educational and philosophical origin in which order and harmony g exist between human beings or between the universe and human beings. The scholarship dance resulted from the combination of the dance of the spiritual culture for the mindset and the martial arts dance for physical training. Munmyo-Ilmu is a dance that connects heaven, earth, and human beings, expresses gratitude to Confucius and the old sages, and sublimates the experiences, such as courtesy and respect, infused from human life into an aesthetic. Sungkyun was the school that was in charge of music for the five colleges of the Ancient Zhou Dynasty, in which educating virtues harmonized with human characters through `Akgyo (樂敎: music education)`. The Munmyo-Ilmu, which has been danced in Munmyo-Seokjeon-Uirye at Sungkyunkwan, can be considered as `the dance of modesty` that was based on three passages and four doctrines that form the core contents of Sohak (小學: Confucian disciplinary textbook) and are at the base of Confucian character education. Furthermore, Munmyo-Ilmu, as a means of communication beyond a ritual dance, creates a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god and human being, and society and human being. Munmyo-Ilmu, as the exchange of courtesies, can be considered to be a communicational dance that transcends language; it is a dance of `Susujirye (授受之禮: the exchange of courtesies)` in which dancers share one mind in a dance symbolizing peace and harmony.

      • KCI등재후보

        문묘일무 무보해(舞譜解) 동작의 형식을 활용한 춤사위 분석체계 연구

        임학선,김기화 한국무용연구학회 2012 한국무용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문묘일무 춤사위의 분석체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에 『국학예악록(國學禮樂錄)』과 『성문악지(聖門樂誌)』에 전하는 문묘일무보(文廟佾舞譜) 무보해(舞譜解) 동작의 형식을 분석하고 이를 활용하여 문묘일무 춤사위 분석의 체계를 표형식의 분석틀로 제안하였다.『국학예악록(國學禮樂錄)』과 『성문악지(聖門樂誌)』에 전하는 문묘일무보(文廟佾舞譜) 무보해(舞譜解)에는 입지용(立之容), 무지용(舞之容), 수지용(首之容), 신지용(身之容), 수지용(手之容), 보지용(步之容), 족지용(足之容), 예지용(禮之容), 무구동작(舞具動作)을 전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아홉 가지의 용어에는 하위 범주에 해당하는 동작들이 명칭과 술어로 상세히 기록되어있다. 본 연구는 이 아홉 가지의 동작군을 각기 분석하여 개별 동작군의 특징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이 동작군들을 크게 공간구성형식, 신체운동형식, 무구조작형식, 표현형식으로 나누었다. 이상과 같은 무보해 동작의 네 가지 형식은 문묘일무의 춤사위를 구조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해 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묘일무보 춤사위 분석의 대안으로 무보해 동작의 형식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동작의 형식은 각 동작의 운동자체를 술어로서 양식화하고 있어 동작 명칭을 움직임의 기호로 인식 할 수 있다. 무보해 동작의 형식에서 보여주듯이 무보해는 동작의 방향, 신체의 움직임, 무구의 움직임 등과 동작의 의미구조를 언어적 기호로 선택하고 있다. 또한 문묘일무가 갖는 시간적구조가 일자일음일무(一字一音一舞)라는 특성을 갖고 있는 점에 착안하여 표형식의 분석틀을 문묘일무 춤사위 분석체계로 제시하였다. 표형식의 문묘일무 춤사위 분석틀은 수직의 칸에 무보의 체계를 순차적으로 기술하고, 수평의 칸에 분석하고자 하는 춤사위의 내용을 기술할 수 있다. 수직의 칸에 기술된 문묘일무 춤사위 분석 체계를 맨 위 칸부터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문묘일무보 도본(圖本)의 춤사위그림⇨악장(樂章)⇨춤사위 술어⇨무보해 동작의 공간형식⇨무보해 동작의 신체형식⇨무보해 동작의 무구형식⇨무보해 동작의 표현형식’으로 기술할 수 있다.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an analysis system on dance moves of Munmyoilmu. Forms of movements passed down by Munmyoilmubo demonstrative illustrations in Kukhakyeakrok and Seongmunakji are analyzed and by utilizing this, the analysis system of dance moves in Munmyoilmu is presented as an analytic frame with a table form. Munmyoilmubo demonstrative illustrations in Kukhakyeakrok and Seongmunakji introduce Ipjiyong (types of motions within standing), Mujiyong (types of motions within dancing), Sujiyong (head motion types), Shinjiyong (body motion types), Sujiyong (hands motion types), Bojiyong (types of motions within walking), Jokjiyong (feet motion types), Yejiyong (manners in types of motions) and Mugujiyong (movements performed with the instruments). These 9 terminologies describe movements which are classified into subcategories in detail with their names and technical terms. This study investigates features in each of the 9 groups by analyzing every group of terminologies respectively. These groups of movements are roughly divided into forms of space organization, physical activities, instruments operation and expressions. Aforementioned four forms of demonstrative illustrations can provide perspectives that enable to see dance moves of Munmyoilmu structurally. This study, therefore, suggests utilizing movement forms of demonstrative illustrations as an alternative to analyze dance moves of Munmyoilmubo. Since forms of movements stylize each movement's physical activities as technical terms, it is able to recognize names of movements as signals of activities. As seen in movement forms of demonstrative illustrations, the illustrations adopt direction of movements, physical movements, movements of instruments and meaning structure of movements as linguistic signals. In addition, temporal structure which Munmyoilmu has is characterized by one-letter, one-note, one-movement so the analytic frame with a table form is presented as the analysis system on dance moves in Munmyoilmu. The system of dance notation and contents of dance moves to be analyzed can b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described within the table respectively. To explain the analysis system on dance moves of Munmyoilmu which is written in columns of the table from the top to the bottom stage by stage, it can be demonstrated as; (i) illustrations for dance moves in Munmyoilmubo drawings, (ii) Akjang (music composed in early Chosun Dynasty for official events), (iii) technical terms in dance moves, (iv) space forms of movements in demonstrative illustrations, (v) physical forms of movements in demonstrative illustrations, (vi) instrument forms of movements in demonstrative illustrations and (vii) expression forms of movements in demonstrative illustrations.

      • KCI등재

        연구논문 : 문묘(文廟) 일무(佾舞)의 심미형상(審美形象) -『春官通考』를 중심으로-

        진성수,김룡복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0 儒學硏究 Vol.21 No.-

        文廟佾舞는 추모의 대상에 대한 敬意를 표현하기 위해 音樂[樂]·樂章[歌]·佾舞[舞]가 三位一體가 된 儀式舞이다. 또한, 일무의 춤동작은 매우 논리적이며, 철학적·미학적으로 심오한 내용을 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무의 악장가사와 춤동작[述語]에 나타난 미학적 특징에 대해 『春官通考(1788)』의 초헌례 악장과 춤동작[文舞]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일무의 춤동작에 나타난 陰陽 및 三才思想과 공자의 學德인 ``溫良恭儉讓``의 정신이 어떻게 예술적으로 형상화되었는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일무는 형식적으로는 다수의 舞員이 ``行列形式``으로 춤을 추는 樂舞이며, 내용적으로는 神明에 대한 인간의 畏敬과 謙虛함을 표현하는 동시에 先聖[先師]의 學德에 대해 송축하는 일종의 종합예술이다. 일무는 ``樂舞一致[樂舞合一]``의 원칙에 따라 실시되며, 추모와 경배라고 하는 儀禮的·宗敎的 성격이 융합되어 있다. 이처럼 일무는 단순한 춤이 아니라 유교사상·문화의 예술적 총화인 동시에 孔子의 學德과 禮樂思想을 상징적으로 구현한 禮의 기본모형[典範]이다. 또한, 일무를 통해 堂上과 堂下가 상징하는 陰陽의 합일 및 天地人의 합일, 樂舞의 합일, 禮樂의 합일, 時空의 합일 등이 구현된다. 舞譜에 나타난 일무의 춤동작은 初·中·終 3개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述語는 총 96字[96동작]로 되어 있다. 96개 춤동작은 ``一字一音一舞``의 원칙에 따라 노래가사[字]가 음률[音]이 되고, 그 음률이 춤동작[舞]이 되는 樂·歌·舞의 合一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악장가사를 통해 살펴보면, 1)초헌례 악장가사는 天地人 三才 중 ``天``을 상징하며, 形而上的 象·神的存在-的內容. 2)亞獻禮的樂章歌詞象抽象的·神的 존재로서의 聖人을 추모[경배]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2)아헌례의 악장가사는 天地人 三才 중 ``地``를 상징하며, 形而上과 形而下의 상호교류와 구체적인 행위를 상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3)종헌례의 악장가사는 天地人 三才 중 ``人``을 상징하며, 形而下的·具體的인 실천자로서 공자의 인간교육과 문화계승을 찬양하는 내용이다. 이상의 내용을 기초하여 볼 때, 『論語』에 나타난 공자의 학덕인 ``溫良恭儉讓``의 정신은 일무의 춤동작에 상징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이것을 초헌례의 악장가사와 춤동작에 적용해 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文廟佾舞是一種音樂[樂]·樂章[歌]·佾舞[舞]三位一體的儀式舞, 爲追悼對象表達敬意. 而且佾舞的舞蹈動作富於邏輯, 亞包含哲學·美學深層的內容. 本論文以『春官通考(1788)』之初獻禮樂章與舞蹈動作[文舞]爲中心, 探討了呈現於佾舞樂章歌詞與舞蹈動作[述語]中的美學特徵. 尤其討論了呈現於佾舞動作的陰陽、三才思想與孔子的學德-``溫良恭儉讓``的精神-如何予以藝術性的形象化. 佾舞的形式爲: 多數的舞員以``行列形式``舞蹈的樂舞; 內容爲: 表示人類對神明的畏敬與謙虛, 以及頌揚先聖[先師]的學德的一種綜合藝術. 佾舞根據``樂舞一致[樂舞合一]``的原則進行, 亞融合了追悼與敬拜的儀禮·宗敎的性格. 如此, 佾舞不僅是一種舞蹈, 而且爲儒家思想·文化的藝術精華, 進而爲象徵性的體現孔子學德與禮樂思想的禮的典範. 亞且通過佾舞體現出代表堂上與堂下的陰陽合一、天地人合一、樂舞合一、禮樂合一、時空合一等. 舞譜中的佾舞動作有初·中·終三個樂章, 述語有96字[96個動作]. 96個動作根據``一字一音一舞``的原則, 體現樂·歌·舞合一的特徵, 卽歌詞[字]成爲音律[音], 音律成爲舞蹈動作[舞]. 通過樂章歌詞我們可發現: 1)初獻禮的樂章歌詞象徵著天地人三才中的``天``, 包含著追悼[敬拜]聖人-卽形而上·抽象·神的存在-的內容. 2)亞獻禮的樂章歌詞象徵著天地人 三才中的``地``, 包含著形而上與形而下的相互交流與具體行爲的內容. 3)終獻禮的樂章歌詞象徵著天地人三才中的``人``, 包含著頌揚形而下·具體的實踐者孔子, 其對敎育與文化繼承的內容. 根據上述內容, 呈現於『論語』的孔子的學德-卽 ``溫良恭儉讓``的精神, 乃象徵性的表現在佾舞動作上. 若把這一點放在初獻禮樂章歌詞與舞蹈動作上思考, 可整理出如下內容.

      • KCI등재

        『春官通考』 소재 文廟祭禮 佾舞圖의 史料的 가치 연구

        이숙희 한국국악학회 2007 한국음악연구 Vol.42 No.-

        이 논문은 『춘관통고』 소재 일무도의 유래와 내용의 정확성을 중심으로 사료적 가치를 살펴 문묘제 례 일무의 올바른 전승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춘관통고』소재 일무도는 『반궁예악서』 소재 일무도와 동일함에도 당시에 행했던 것이라는 뜻의 ‘今儀’라고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춘관통고 소 재 일무도가 『반궁예악서』의 일무도를 그대로 모사하여 수록한 것인지, 아니면 당시 조선에서 행했던 일무 제도를 기록해 놓은 것인지를 밝혀야 이 일무도의 사료적 가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춘관통고』 소재 일무도의 사료적 가치는 『춘관통고』 소재 일무도가 당시의 것을 반영하고 있는지 여부와 우리나라에 전승되어온 일무를 정확하게 기록하고 있는지 여부에 있다. 『춘관통고』 소재 일무 도의 유래, 악장, 춤의 종류, 의물, 복식, 일무를 추는 제례 절차를 중심으로 사료적 가치를 살펴보았으 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춘관통고』 소재 일무도에 기록된 춤의 종류, 악장, 의물, 복식에 관한 내용은 『춘관통고』 본문 에 기록된 것과 서로 다르다. 『춘관통고』 본문의 일무의 종류와 의물․복식 등과 관련된 내용은 조선전 기의 기록 및 현재 전승되는 것과 일치하고, 악장의 변화된 내용과 역사적 사실이 분명히 기록되어 있 다. 이와같이 『춘관통고』본문의 내용이 당시 일무 제도를 반영하고 있는 반면 일무도는 이와 일치하지 않는 모순을 안고 있다. 즉 『춘관통고』는 문묘제례 일무와 관련한 기록에 있어서 내재적으로 모순을 지니며, 일무도의 내용은 당시 일무 제도와 관련 없다. 둘째, 문묘제례 일무와 관련하여 『춘관통고』 본문에 기록이 없거나 부족한 춤의 종류, 악장, 일무를 추는 제례 절차 등을 『국조오례의』와 『악학궤범』의 기록 및 현행 제도와 비교해 본 결과 일무도에 기 록된 내용과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즉 『춘관통고』 외 관련 기록과 비교해 보았을 때 『춘관통고』소재 일무도의 기록을 『춘관통고』 당시 일무 제도로 보기 어렵다. 이상과 같이 『춘관통고』소재 일무도는 『춘관통고』 내의 관련 기록 및 『춘관통고』외 관련 문헌의 기록과 일치하지 않는 반면 반궁예악서』 소재 일무도와 일치한다. 즉 『춘관통고』소재 일무도에 ‘今 儀’라는 기록이 있지만, 이것은 당시의 제도를 기록해 놓은 것이 아니라 『반궁예악서』의 일무도를 그대 로 모사해 놓은 것이며, 사료로서 가치를 인정하기 어렵다. 『춘관통고』는 정조 당시의 국가의식과 관련된 상징물의 변화를 상당부분 담아내고 있지만 완전하지 않다. 『춘관통고』에 당시 일무 제도와 다른 반궁예악서의 일무도를 모사하여 수록하고 ‘금의’라고 기 록해 놓은 것도 『춘관통고』의 문헌적 불완전성의 한 맥락으로 보인다. 『춘관통고』가 조선후기 전례 연 구에 주요 참고 자료이기는 하지만, 『춘관통고』소재 일무도는 당시의 문묘제례 일무와 관련없는 까닭 에 사료적 가치를 인정하기 어려우며, 이것을 수용함에 있어서 신중함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historical value of the ilmudo recorded in “Chun-gwan-tong-go” with a focus on the history of ilmudo and its exactness, and to present the right direction in succeeding to the Munmyojerye ilmudo. Although the ilmudo recorded in “Chun-gwan-tong-go” was the same with the ilmudo recorded in “Ban-gung-ye-ak-seo”, it has a mark of “geum-eui”今儀, which implies it was conducted at that time. Accordingly, it is essential to examine whether it is a reproduction that copied out the ilmudo recorded in “Ban-gung-ye-ak-seo”, otherwise, whether it is a record that recorded the ilmu system which was performed during that time of Joseon dynasty in order to determine its historical value. The historical value of the ilmudo recorded in “Chun-gwan-tong-go” depends on whether it reflects what was in the past, and whether it exactly recorded the ilmu which has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Korea. This paper examines its historical value with a focus on its origin, movements, dancing types, ritual items, costume, and the ritual procedure of dancing ilmu. The results are described in the followings: First, the descriptions of dancing types, movements, ritual items, and costume recorded in the ilmudo recorded in “Chun-gwan-tong-go” are different from those recorded in the body of “Chun-gwan-tong-go”. Those recorded in the body of “Chun-gwan-tong-go” are identical to records in the early Joseon and what has transmitted to date, and the body of “Chun-gwan-tong-go” definitely contains varied movements and historical facts. As seen, the contents in the body of “Chun-gwan-tong-go” reflect the ilmu system at that time, but not ilmudo, which shows some inconsistency. In other words, “Chun-gwan-tong-go” is inconsistent in the records concerning Munmyojerye ilmu, and ilmudo is not related to the ilmu system at that time. Second, with regard to Munmyojerye ilmu, as a result of comparing dancing types, which are absent or insufficient in the body of “Chun-gwan-tong-go”, movements, ritual procedure of dancing ilmu with the records in “Gukjo-orye-eui” and “Akkak-gwebeom” and the current system, they are found to be different from the descriptions recorded in the ilmudo. In other words, when examining related records other than “Chun-gwan-tong-go”, it is not considered that the ilmudo recorded in “Chun-gwan-tong-go” is regarded as the ilmu system at that time when “Chun-gwan-tong-go” was written. As shown above, the ilmudo recorded in “Chun-gwan-tong-go” is inconsistent with the related records in “Chun-gwan-tong-go” and other related records other than “Chun-gwan-tong-go”. However, it is consistent with that recorded in “Bangung-ye-ak-seo”. More specifically, although the ilmudo recorded in “Chun-gwan-tong- go” contains the word “geum-eui”今儀, it is a reproduction of the ilmudo in “Bangung-ye-ak-seo”, not the descriptions of the system at that time. Accordingly, it is not available to recognize its historical value. Although “Chun-gwan-tong-go” covers changes in symbolic items related to national rituals at the reign of King Jeongjo, it is incomplete. The fact that “Chun-gwan-tong-go” reproduced and recorded the ilmudo from “Bangung-ye-ak-seo”,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then ilmu system and represented “geum-eui”今儀 may show the incomplete context of “Chun-gwan-tong-go” as literature. Although “Chun-gwan-tong-go” is an important material in studying ritua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is not available to recognize its historical value concerning the ilmudo recorded in “Chun-gwan-tong-go” because it is not associated with the Munmyojerye ilmudo at that time. Accordingly, prudent attention is required before accepting it.

      • KCI등재

        문묘일무의 춤사위 ‘진퇴’에 담긴 교육철학적 가치

        임학선,김기화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1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7 No.2

        문묘 석전이 갖고 있는 공경의 교육철학적 가치는 문묘일무의 춤사위로 드러난다. 교육의 궁극적 목적인 ‘바람직한 인간’을 주지하듯 일무는 그 자체가 유가의 예악론 안에서 마치 하나의 소우주처럼 질서정연하게 움직여나간다. 거기에는 밖에 드러나는 동작 속에 가려져서 잘 보이지 않는 마음이 있는데, 그 마음을 수수지례(授受之禮)로 표현한 것이 바로 일무이며 수수지례가 곧 일무 춤사위의 철학적 배경이다. 본고에서는 이 수수지례의 마음을 잘 반영하고 있는 진퇴(進退)의 춤사위가 갖고 있는 구체적인 의미를 중심으로 그 교육철학적 가치를 논하고자 고문헌에 대한 연구와 일무보(佾舞譜)의 분석을 통해서 나아가고 물러가는 진퇴를 교육철학적인 측면에서 논의 하였다. 진퇴는 일무(佾舞)의 위치에 춤의 기본방위인 동서남북의 사방(四方)에 네 개의 무표(舞表)를 세우고 춤추었던 것에서 비롯되었다. 특히 진퇴는 스승에 대한 예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핵심동작으로 읍양(揖讓), 즉 공경과 사양과 겸양의 덕목을 나타내기 위해 반드시 행해야 하는 일무의 법도임을 고문헌 사료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이는 곧 나아가서 행하는 읍(揖)의 춤사위는 공경을 의미하고, 물러가서 행하는 양(讓)의 춤사위는 사양과 겸양을 의미하는 것이다. 같은 춤사위라 하더라도 나아가서 행하면 읍의 의미가 되고, 물러가서 행하게 되면 양의 의미가 된다. 때문에 일무를 출 때는 반드시 진퇴로써 의미를 나타내게 됨을 알 수 있다. 문묘일무의 춤동작은 고대 궁중예법(宮中禮法)에서 유래되어 일관 된 모습으로 이어져 오늘에 이른다. 문묘일무의 춤사위 하나하나는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써 예의 일상적 몸짓에 악의 율동(리듬감)을 더하여 만들어 졌다. 바로 이처럼 문묘일무는 예악의 문화로 인간다움을 표현미학으로 담고 있다. 겉과 속을 서로 어우르는 관계의 미학이 바로 문묘일무의 예악문화이다. 따라서 문묘일무는 제례가 갖는 과거 시간을 현재 공간에서 재현하는 생명 축제로, 즉 시간이 갖는 생명성과 공간이 갖는 생활성을 통해 이념과 형식을 담는 공경의 악무라 할 수 있다. 문묘 제례를 통해 인간의 성정을 절제와 조화를 통한 미적 활동으로 승화시킨 문묘일무는 이제 미래 예측이 어려운 현대사회에 인간과 인간의 조화,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풀어가는 바람직한 인간을 위한 교육철학으로 현대인들에게 예악의 실천을 통한 아름다운 인간의 완성을 꿈꾸는 이상적 대안이 될 것이다. The educative and philosophical value of the admiration seen in the MunMyoSeokJeon (Ceremonies at Confucian Shrines) reveals in the movements of the MunMyoIlMu dance. As we are aware of the ultimate goal of education, which is to create a desirable human being, IlMu shows orderly movements like a microcosm within a Confucian philosophy of the proprieties and music (YeAk). The dance has a heart that is invisible because it is hidden in the dance movements. It is Ilmu that expresses the heart in the manner of give-and-take, and the manner of give-and-take is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the IlMu dance moves. JinToi, or the advance and retreat moves in the dance reflects the heart of manner of give-and-take well, and so this study focuses on what JinToi means to argue the educative and philosophical value of the dance moves. The study also discusses JinToi from the educative and philosophical aspect by studying old literatures and analyzing the pedigree of IlMu. JinToi stems from dancing with four dance signs set up at the four directions of north, south, east and west. In particular, old literature resources indicate EupYang is key moves in the IlMu dance to present honor to masters. Eup means admiration and Yang modesty and humbleness. Even the same dance moves can be Eup or Yang if they are done in the advanced or retreated position. Therefore JinToi shows meanings when dancing IlMu. The dance moves of IlMu originated from the ancient court manners to get to where it is today. Each movement of IlMu has a specific meaning, and the moves are the combination of the ordinary body moves of courtesy and rhythmical movements of music. So The MunMyoIlMu is based on the philosophy of proprieties and music, and expresses humanity. It is the esthetics of relationship that embraces in and out, which is exactly the philosophy of proprieties and music in the MunMyoIlMu. Therefore MunMyoIlMu is a celebration for life reveling the past in the present space, or an admirative music dance that includes an ideology and formality through life in time and daily lives in space. The MunMyoIlMu sublimates human temperament into an esthetic activity based on the balance of modesty and harmony through the ritual ceremony. Therefore, as an educative philosophy for a desirable human being who can create a harmony between man and man, and man and nature in today’s unpredictable society, the MunMyoIlMu will be an ideal way to hope to complete a beautiful human being by practicing proprieties and music.

      • KCI등재

        韓國 <문묘제례(文廟祭禮)>의 特殊性과 受容의 意味

        이하나(Lee, Ha-na) 중앙어문학회 2015 語文論集 Vol.61 No.-

        <문묘제례(文廟祭禮)>란 문묘(文廟)에서 공자(孔子)를 비롯하여 선성선사(先聖先師)에게 제사지내는 의식을 뜻하며 석전제(釋奠祭)라고도 불린다. 한국은 동아시아의 유교문화권 국가 중에서도 대표격인 나라로 여전히 방대한 유교문화의 전통을 지키고 있다. 무형문화유산에 속하는 <문묘제례>는 유교문화의 요체로서 악(樂)·가(歌)·무(舞)의 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은 물론, 의례의 절차와 의식면에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한국에서 <문묘제례>와 관련한 연구는 크게 기초 연구와 응용 연구의 두 영역에서 진행되었다. 하지만 각 학문 분야는 <문묘제례>의 다양한 구성요소 중 해당 학문 영역이 관심을 갖는 연구에만 집중한 나머지 <문묘제례>를 총체적인 관점에서 조명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이는 향후 진행될 <문묘제례> 연구가 제례의 모든 구성 요소를 아우를 수 있도록 보다 총체적인 관점에서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하며, 이 문제는 학문 통합적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극복이 가능할 것이다. 한국의 <문묘제례>는 수입 당시의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것은 아니나 동국 18현의 문묘 종사, 천자의례로의 승격, 오랜 시간 단절 없는 계승과 보존의 노력 등으로 한국만의 특수성을 유지한 채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는 아시아 전역에서 한국의 <문묘제례>가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논의되는 이유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국에서는 한국형 <문묘제례>의 보존과 계승, 현대적 수용 방안에 대해서 계속해서 연구해야 할 것이다. 한국의 <문묘제례>는 교육적, 사회적, 외교적, 문화적 측면에서 그 수용의 의미를 내재하고 있는데, 21세기에는 특히 ‘문화적 측면의 의미’가 가장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그러므로 동아시아 유교문화의 보편성을 토대로 한국 문화의 특수성을 잘 드러낼 수 있도록 한국<문묘제례>의 문화적 의미의 부각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이는 동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적으로 유교문화의 긍정적인 측면을 알릴 수 있는 방편이 되는 것은 물론, 이 시대에 한국 <문묘제례>가 존재하는 참의미를 발견하는 통로가 될 것이다.

      • KCI등재

        근대이후 한,중 문묘일무의 성격과 현황 비교연구

        임학선 ( Hak Sun Lim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5 한국무용연구 Vol.33 No.2

        문묘일무는 유교제례무로 공자를 제사하는 춤이다. 한국의 석전(釋奠)과 문묘일무(文廟佾舞), 그리고 중국의 제공(祭孔)과 제공악무(祭孔樂舞)가 바로 공자의 제사와 공자제사무를 지칭하는 양국의 용어로 그 의미는 같다. 그러나 오늘날 한국과 중국은 각기 다른 문화적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근대이후 변화 발전을 이룬 한·중 문묘일무의 성격과 현황을 비교분석 하였다. 제Ⅱ장에서 한·중 문묘일무의 유래와 역대 한·중 문묘일무를 조사하였고, 제Ⅲ장에서는 양국 문묘일무의 차이, 즉 공자사당의 명칭, 공자제사의 명칭, 공자제사의 주무기관, 공자제사무의 춤이름, 춤형식, 춤동작과 춤추는 방법, 춤추는 위치 등의 차이를 분석하여 그 내용을 제시하였다. 제Ⅳ장에서는 근대이후 한·중 양국의 복원 방향과 그 내용을 시대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한국은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 수립 후의 문묘일무 복원과정을, 중국은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시기의 제공악무 복원과정을 조사하여 한·중 문묘일무의 차이와 현황을 비교분석 하였다. 그 결과 한·중 문묘일무는 근대 이후 양국의 시대적 배경과 제도적 차이, 전통계승과 복원의 관점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서로 다른 특성을 갖춘 춤으로 변화되었으며, 공자제사의 성격에 따라 춤사위 또한 각기 다른 표현 양상을 지니게 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니는 문묘일무는 동양무용의 시원을 이해하고 춤의 역사와 사상, 철학, 춤의 원리와 구조 등을 두루 살필 수 있는 중요한 무용으로, 본 연구가 미래의 무용학연구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Both Seokjeon and Munmyoilmu of Korea and Jegong and Jegongakmu of China refered to a memorial service for Confucius and a dance performed at such an occasion, respectively. However, nowadays there were different cultural patterns in them between Korea and China.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nature and current state of Korean and Chinese Munmyoilmu that had undergone changes and developments since the modern times. Chapter Ⅱ examined the origins of Korean and Chinese Munmyoilmu and its performances throughout the history. Chapter Ⅲ analyze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Munmyoilmu in the title of Confucius shrine, the name of memorial service for Confucius, the organizing agency of memorial service for Confucius, and the names, forms, movements, methods, and positions of memorial service dance for Confucius, then presenting the results. Chapter Ⅳ examined the restoration directions and results of Korea and China since the modern times by the periods. The findings showed that both Korean and Chinese Munmyoilmu had evolved into a dance with different features from each other due to various factors since the modern times and that there had been different expressive styles in the dance steps between them according to the nature of memorial service for Confucius.

      • KCI등재

        동북아 문화교류의 관점에서 본 문묘일무

        김향선 한국무용연구회 2009 한국무용연구 Vol.27 No.1

        급격한 세계화에 따른 세계 문화의 획일화 경향은 동북아시아에 정치, 경제, 문화의 연대와 통합체의 필요성을 인식시켰다. 특히 한·중·일 동북아 3국은 경제 및 인구규모 외에도 오랜 시간 유교 문화를 공유하고 있는 동질적 문화권이라는 점에서 공동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기반이 충분한 지역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동북아 문화공동체는 21세기 세계 문화와 문명을 발신하는 주도적이고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 정부에서도 우리나라가 이러한 동북아 지역의 허브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유교를 기반으로 한 동질적 문화권인 동북아 권역에서 문묘제례는 악가무가 삼위일체를 이루는 유교문화권을 대표할 수 있는 종합예술이다. 이중 문묘일무는 공자를 기리기 위한 제례의 일환으로 전승되어 온 전통무용으로 동북아 3국이 공유하고 있는 유교 문화의 정수 중 하나로 특히 한국은 전통적인 문묘일무를 가장 발전적으로 계승해온 국가로서, 동북아 3국의 유교문화교류를 주도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현재까지 문묘일무의 원형을 복원하고 창조적으로 계승하기 위한 학문적·예술적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에 의해 온전한 문묘일무의 원형이 복원되어 문묘제례에서 시연됨으로써 동북아 지역의 유교문화교류의 주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역사적 첫발을 내딛었다. 문묘일무의 원래의 모습을 되찾고자 하는 이러한 노력과 함께, 고려 이 후 약 천여년 동안 지켜온 문묘일무가 중국과는 차별화되는 문묘일무로 변화, 발전된 근거를 분명히 하고, 우리나라 문묘일무의 역사성과 우수성을 입증하는 노력도 앞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한국 무용계가 문묘일무의 원형복원과 함께 현대적 전승 발전을 도모하고자 하는 노력을 경주함으로써, 동북아 유교문화 교류를 주도적으로 이끌어나갈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를 통하여 동북아의 문화적 허브 국가로 우리나라를 자리매김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need of unification of Northest Asia in the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is recognized according to the rapid globalization and standardization. Especially, Northest three countries of Korea․China․ Japan have sufficient bases for unification because of sharing Confucianism Culture. Therefore, Northeast Asian Cultural Community will have a leading and main role in the development of global civilization. That is the reason for our government to make much endeavor to take a position of hub in Northest Asia. Munmyo Ilmu which is a kind of religious ceremony for Confucius is the representative composite art in Northeast Asian Confucianism Cultural Community. Especially, Korea has the capacity to lead the communication of Confucianism culture among the three countries as Korea has succeeded to traditional Munmyo Ilmu the most developmentally. The researches and performances in order to restore the original form of Munmyo Ilmu and to succeed to it creatively have been performed the most actively in Korea, and these activities resulted in the success of the restoration of original form of Munmyo Ilmu. That became one of the commencements of conducting the leading role of the communication of Confucianism culture. It will be required to differentiate Korean traditional Munmyo Ilmu from that of China while to restore the original form of Munmyo Ilmu. It will be also needed to establish the superiority and to find out more knowledge of the basic structures and historical backgrounds of Korean traditional Munmyo Ilmu. Korean dance society can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position of hub country of Northest Asia and to making bases for leading the communication of Confucianism culture among the three countries by making great efforts to restore Munmyo Ilmu and succeed to it crea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