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용학의 융복합적 접근

        태혜신(Hyae-Shin Tae),박명숙(Myung-Sook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2

        무용학은 태생적으로 융복합의 성격을 띄고 있다. 그동안의 무용학은 타학문 영역의 이론을 수용하여 예술이론으로만은 설명할 수 없는 무용현상을 다각도에서 이론적으로 규명해나가면서 무용학 영역을 확장해왔다. 그러나 디지털 혁명에 따른 테크늄과 인터렉션 그리고 자유와 개방이라는 융합사회의 특성을 종전의 무용학만으로 설명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이에 국내 무용학의 융복합 연구동향을 고찰한 결과,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무용학은 1.다양한 영역의 융복합 무용학 연구 촉발, 2.융복합 프로그램 개발 연구 시도, 3.무용디지털콘텐츠 융복합 연구 활성화, 4 융복합 무용공연예술현상 연구 이상 , 네 측면에서 각 영역이 개별적이긴 하지만 지속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무용예술의 기술융합 및 과학분야와 학제간 융복합 연구 그리고 타 학문영역과 통섭연구라는 측면에서 무용학의 영역확장 및 구조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촉진제 역할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문제점은 현재 연구개발안이나 연구프로그램은 무용디지털콘텐츠 융합 연구이외에는, 거의 대부분 현실화되거나 실용화되는 경우가 없었다. 이에 융합시대에 따른 무용학 발전을 위하여 다음 세 가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과학과 무용과 기술 이론이 집약된 무용융합학을 제안한다. 이는 융합사회에 따른 새로운 인문학적 모델을 제시할 수 있는 학문적 토대를 마련해 줄 수 있다. 둘째, 무용학의 학제적 융합연구가 현실에서 실효성을 거둘 수 있도록 이론을 현장에 상용화하는 행동주의적 단계로 이행해야 한다. 섯째, 무용융합공연의 연구기술 축적 및 활성화를 위해 대규모 위주의 융합공연 형태에서 아이디어가 참신한 소규모 융합공연 형태로 전환이 필요하다. Dance studies inherently have a nature of convergence and integration. Meanwhile, dance studies have extended their realm by investigating dance phenomena from many perspectives which art theories cannot explain. However, the previous and current dance studies are inadequate to explain a confluence society which is characterized as techuim, Interaction, freedom and openness according to the digital revolution. Hence, a result of research trend in domestic dance studies, it is found that dance studies have been studied in four perspectives since the early 2000s: first, a triggering the various studiesa of the convergent and integrative dance; second, an attempt to the convergent and integrative program development research; third, the vitalization of the convergent research on dance digital contents; and fourth, a research on the convergent dance art phenomena. These researche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oosting a change in the structure and realm expansion of dance studies that are interdisciplinary research enabling a holistic approach to the integration and convergence between scientific technique, skills of dance art and other studies. However, it should be acknowledged that one problem is the current research development plan or/and research program have very little feasibility and practicality except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the dance digital contents. Therefore, it is suggested for the development of dance studies in the age of convergence as follows: first, a dance convergent study integrated in skills and theories of dance and science that would pave the way for an academic foundation leading to a new humanistic model in the age of convergent; and second, a need for a paradigm shift that theories should be deployed in the scene on a commercial scale in order to produce effectiveness of the interdisciplinary and integrative research on dance studies by turning into a behavioristic research phase. third, it needs to changeover from large scale of convergent performance into small scale of convergent performance based on original idea for accumulation of teachnique research and promotion of dance convergent performance.

      • KCI등재

        창의적인 무용학 연구를 위한 입문교육 프로세스 및 연구 환경 개선방안 모색 : Amabile의 창의성 구성요인을 중심으로

        유지영 한국무용연구학회 2013 한국무용연구 Vol.31 No.2

        This study is to provide entry education process which is useful to research beginners and instructors to perform creative dance studies. First, creative components such as expertise, creative-thinking skill, intrinsic task motivation which Amabile(1997) suggested have been applied first to perform studies. Then, the situation of dance studies was detailed. Models to develop creative studies have been schematized. As a result, it has been schematized from acquiring dance studies areas to recognizing dance areas and detailed knowledge in terms of expertise. from integration with adjoint academic disciplines to integration with adjoint academic disciplines of dance studies in terms of the creative-thinking skill, from provoking intrinsic motive related to studies to provoking intrinsic motive of researchers in terms of intrinsic task motivation. And in order to perform expressed creative study tasks, physical, mental, emotional external environments which were insisted by Amabile have been applied to research space, emergence, and environment for mood. Then fit to environment of dance studies, it was arranged to capable research design, instruction from expert, separate theories and practices. The way to improve research environment for dance studies was classified into study fund raising, study organization, study collaborating, and study culture. Here, first, for study fund raising, reward and punishment system is required to foster superior thesis presenters and long/mid-term support to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need to be intensified. Second, intensive investing structure should be established by founding and increasing contract labs and university labs in order to create study organizations. Third, academic societies for non-humane studies and joint academic contest should be recommended. Finally, it was suggested that the number of professors in dance studies major needs to increase to improve study culture so as to establish dignity of dance studies and extend educational period for it the in curriculum of the graduate course at university. 이 연구는 창의적인 무용학 연구수행을 위하여 초보 연구자와 지도자에게 유용한 입문교육 프로세스를 제공하고 무용학 연구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 모색에 목적이 있다. 먼저 창의적인 무용학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Amabile(1997)이 제안한 창의성 구성요인인 전문성(expertise), 창의적인 사고능력(creative-thinking skill), 과제동기부여(Intrinsic task motivation) 요인을 창의적인 연구수행에 1차적으로 적용한 다음 무용학 연구 상황으로 구체화 하였다. 그 결과 전문성은 해당학문 분야의 전문지식의 습득에서 무용학 영역인지 및 세부지식을 습득하는 것으로, 창의적인 사고능력은 인접학문과의 융합에서 무용학의 인접학문 분야 융합으로, 과제동기부여는 연구수행과 관련된 내적 동기유발에서 연구자의 내적 동기유발의 과정으로 창의적인 연구 발현 모형을 도식화 하였다. 그리고 발현된 창의적인 연구 과제를 실제 수행하기 위하여 Amabile이 주장한 물리적, 정신적, 정서적 환경의 외부환경 요인을 각각 연구수행 공간, 연구 몰입, 연구 분위기의 연구 환경으로 대입한 다음 무용학 연구 환경 상황에 맞게 수행 가능한 연구 설계, 전문가의 지지, 이론과 실기의 분리로 구체화 하였다. 무용학 연구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은 크게 연구펀딩, 연구조직, 연구협력, 연구문화로 구분하였다. 그 결과 첫째 연구펀딩 조성을 위해서는 우수논문 발표자 육성을 위한 상벌제도를 마련하여 개인과 조직에 중장기적인 지원을 강화해야 하고 둘째, 연구조직 구성을 위해서는 대학연구소 및 계약적 민간 연구조직 설립 확충을 통해 집중투자 구조를 조성해야하며 셋째, 연구협력을 위해서는 인문학 이외의 학문분야 학회와 공동학술대회 개최를 장려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연구문화 개선을 위해서는 무용학 이론전공 교수의 수를 증강시켜 무용학의 위상을 세우고 대학원 과정의 커리큘럼에서 무용학 연구와 관련된 교육기간을 확장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대학 무용학과의 미래전망

        고경희,백현순 한국무용연구학회 2013 한국무용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대학의 무용학과가 직업을 창출할 수 있는 무용학과로 바뀌어야 한다면 대학무용학과를 지원하는 입학생들을 어떠한 기준으로 뽑아야 하는가에 초점을 두고, 미래 대학무용학과가 어떠한 방향으로 나가야 할지에 대해 전망해 본 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무용학과 입시제도의 변화가 필요하다. 모든 대학의 무용학과에서 선택한 실기 중심의 신입생 선발에서 벗어나 공부나 여타의 다른 능력을 평가하여 다양한 학생들을 선발하여야 한다. 둘째, 첫째 번 사항인 신입생 선발과 관련하여 기능중심의 학생선발과 무용 교육학자를 양성하는 것, 무용과 관련된 이론가들을 양성하는 것, 무용경영관리와 기획에 관한 예술경영 전문인을 양성하는 것이다. 셋째, 대학 무용학과의 신입생 선발이 실기 중심에서 벗어나 차별화 될 경우 그 차별화에 따른 대학 무용학과의 특성화가 필요하며 그 특성에 맞는 커리큘럼을 구성하여야 한다. 넷째, 무용학과에서도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직업창출이 필요하다. 다섯째, 대학 무용학과에서 인문예술분야 혹은 예술경영분야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의 지원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보며, 이는 장래 무용학과의 전망을 밝게 해 줄 것으로 본다. This study focuses on what criteria are to be established for choosing the applicants of dance department and what directions be taken for development, improvement of the department, if dance department have to serve as a job-creating subjec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ntrance system of dance department should be revised. Away from screening based on practical technique, the potential students with differing ability are supposed to be chosen. In addition to selecting the applicants centered on functionality, authorities concerned are required to train educators, theorists, and professionals of art management. Third, it is necessary that dance department of the university provide differentiated curriculum. Fourth, dance department ought to attempt to create jobs, utiliz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Last but not least, it is most likely that the students interested in arts-humanities area or arts-management will apply for the department and thus the prospect for dance department can be said to be quite bright.

      • KCI등재

        지역 대학 무용학과의 현황과 전망: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이종희 무용역사기록학회 2020 무용역사기록학 Vol.56 No.-

        This study identifies the current status of dance departments at universities in Daegu and Gyeongbuk and to raise the need to improve dance education programs and to seek a change in educational direction for dance departments facing the crisis of the abolition at the local universities. Starting with the department of dance at Hyosung Women's University (currently, Daegu Catholic University), which was established in 1974, the department of dance was established at Keimyung University (1984), the dance major at Yeungnam University (2002), and the department of practical dance at Daegu Art University (2004) in succession. The dance culture of Daegu and Gyeongbuk was formed and developed through dance education and creative activities have been centered on these universities. Today, however, with the rapid decline of the school-age population and the university restructuring policy, the dance departments at local universities face a crisis through the abolition, unification, downsizing of undergraduate majors and reform of specialty majors. Therefore, if the departments of dance at the local universities establish a step-by-step educational program that considers not only the admission process, but also student’s employment after graduation, and expand programs such as directing, management, stage, lighting as well as practical education centering on fine arts, and if each university presents a paradigm of specialized education to expand investment in creative dance education and to develop a new dance education ecosystem through the formation of a network between departments, community education institutions, and regional art creation agencies, they will grow into a continuous and future-oriented dance departments at local universities. 본 연구는 변화하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지역 대학 무용학과, 특히 대구·경북 지역 대학 무용학과의현황을 파악하고 지역 대학 무용학과의 미래를 전망하여, 이상적인 대학 무용교육에 있어 오늘날 시대가 요구하는 무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방향 전환 모색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있다. 대구·경북 지역 대학 무용학과는 1974년 신설된 효성여자대학교(현, 대구가톨릭대학교)를 시작으로계명대학교 무용학과(1984년), 영남대학교 무용학전공(2002년), 대구예술대학교 실용무용학과(2004년) 가 신설되었고, 대구·경북을 중심으로 한 무용교육활동, 무용창작활동을 통한 대구·경북 춤 문화를 형성·발전시켰다. 그러나 오늘날 대학은 학령인구의 급속한 감소와 대학구조조정 정책의 일환으로 대학구조개혁평가, 대학기본역량진단 등을 통해 지역 대학 무용학과는 폐과, 학과 통폐합, 학부전공 축소 및세부전공 개편 등의 과정을 거치며 위기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따라서 지역 대학 무용학과는 입학부터 취업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고려한 지속적· 단계적인교육프로그램을 구축, 순수예술을 중심으로 한 실기 교육뿐만 아니라 연출, 경영, 무대, 조명 등의 교육프로그램을 확대, 대학 무용학과와 지역사회교육기관 및 지역예술창작기관 간 네트워크를 형성 등을통해 창조적인 무용교육 프로그램의 투자 확대 및 새로운 무용교육 생태계 발현을 위한 각 대학의 특성화 정책을 구현할 수 있는 무용교육의 패러다임을 제시한다면 지속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지역 대학 무용학과로 성장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 무용학분야 연구동향 및 지원성과 연구

        김운미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2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새롭게 융․복합 연구 분야로 각광을 받고 있는 무용학이 실용학문으로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연구지원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최근 5년간 각 대학교 무용학박사학위 논제 및 한국연구재단의 무용학분야 과제 신청수와 선정률을 대상으로 연구동향과 지원성과를 비교분석했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무용교육, 무용사회학 관련 박사학위 논제가 2000년도 이후 계속 부각되는 것은 학계의 일반적인 흐름으로 실용 학문에 대한 사회적요구로 사료되었다. 둘째, 21세기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높은 관심은 한국연구재단 무용학분야 무용교육관련 논제의 선정률과 선정액으로도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무용학분야의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효과적인 지원에는 한계가 있었다. 셋째, 한국연구재단의 기초연구지원 방향이 현 산업사회에 필요한 다양한 문화콘텐츠 소스로 활용될 수 있는 무용학논제로 향하고 있지만 2007년 이후 현재까지도 현존하는 연구 인력조차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융합 연구환경은 조성하지 못했다고 사료된다. 넷째, 한국연구재단 무용분야 선정현황을 통해서 볼 때 각 사업별 지원목적과 선정된 연구과제 내용, 지원규모 등에서 현실적일 필요가 있다. 2011년도 학문후속세대 시간강사지원의 경우, 현대사회적 요구와 더불어 기초와 응용학문분야의 연구진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융합형 강의지원제도의 개발’사업으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구지원과 동시에 학문의 질적 수준향상을 위해서 성과관리뿐만 아니라 사후관리제도 강화해야 한다. 다섯째, 현대 고령화 사회에서 요구되는 삶의 질과 관련된 사업에 50대 이상 의 교수나 교수급 들의 풍부한 현장경험과 축적된 지식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연구지원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거시적인 관점에서 장기간 연구에만 몰두 할 수 있는 효과적인 무용학 연구기반의 조성을 위해서는 무용학 석․박사학위소지자들 뿐만 아니라 기존의 고급 연구 인력까지도 수용할 수 있는 대학부설 연구소의 활성화와 기존 학회와 연구소의 공동 프로젝트 지원 사업을 적극적으로 시행할 것을 제안한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provide a basic data to form effective environments for research support in order that the practical study of dance, which has recently been in the spotlight as a new field of convergent study, can make a contribution to contemporary society. For this goal, it analyzed research currents and results of support, based on the themes of doctoral dissertations in dance submitted for recent five years, and the number of application for assignments and the selection rate in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It has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it was found that such dissertation themes as dance education and dance sociology, which has been on the rise since 2000, are related to social demands for practical study. Second, an increased interest in culture art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is demonstrated in the selection rate and amounts of themes about dance education, shown in the field of dance in NRF. Yet there is, in general, a limitation in effective support for the enhancement of research capability in the field of dance. Third, the direction of NRF’s support for basic research moves to dance-related themes that can be used as a source of various cultural contents needed in present industrial society. Yet it is unlikely that a systematic environment for convergent studies, which can fully utilize the extant researchers, have been formed up to date since 2007. Fourth, in view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dance field in NRF, the purpose of support for each project, the content of selected research themes, and the scale of support need to be realistic. In case of support for part-time lecturers in 2011 Fostering Next Generation Researchers program, it is desirable to be carried out, alongside the demands of contemporary society, in the form of “development of a support system for convergent lectures” in which researchers in basic and applied studies participated together. Not only is research support needed, but it is also necessary to enhance a performance management and a post management system to improve the quality of studies. Fifth, there has not been any support policy that can apply the abundant field experience and accumulated knowledge of professors or professionals at the professor level to projects that are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demanded in contemporary aging society. In consequence,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ily to accomplish the activation of university-based institutes that can hold the existing advanced researchers as well as master and doctors in dance, and the implementation of joint projects of academic associations and research institutes, in order to establish an effective research foundation for dance, which enables full devotion to a long term of research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 KCI등재

        안무자 양성을 위한 무용학과 안무관련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 및 개선방안

        진윤희 ( Yoon Hee Jin ) 한국무용과학회 2013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0 No.-

        본 연구는 안무자 양성을 위한 무용학과 안무관련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 및 개성방안 연구를 위해 유의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무용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4년제 대학 중 안무자 양성학교 2곳과 일반무용학과 5곳을 선정하여 1~4 학년 재학생 총 314명 표집 하였다. 인식만족도와 필요성 및 개선방안 척도는 김보람(2007), 지도방법 척도는 김석진(2007)의 설문지 문항들을 토대로 수정, 보안하여 사용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특성은 빈도분석을 실시, 설문지의 타당도 검증은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은 Cronbach``α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과정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만족도와 개선방안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안무자 양성학과가 일반 무용학과에 비해 이론 수업 비중을 제외한 모든 문항의 만족도가 평균값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이에 따른 인터뷰 결과 안무자 양성학과 학생들은 다양한 안무관련 수업 방식으로 선택의 폭이 넓고 기준이 분명해지면서 개개인의 안무에 대한 정체성 형성과 안무에 대한 목표의식이 뚜렷해졌고, 수업방식에 대해 구체적이고 새로운 것들을 원하는 반면 일반무용학과 학생들의 경우 현 수업내용은 만족하나 부족한 수업시간에 대한 갈망으로 더 많은 시간 배분을 원하고 있어 안무관련 수업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본다. 둘째, 안무자 양성학과와 일반 무용학과의 지도방법에 대한 만족도 평균값은 일반무용학과가 더 높았고, 통계적으로는 난이도 조절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안무자 양성학과 학생들의 경우 다양한 수업과 여러 강사를 통해서 지도방법에 만족스러운 편이나 시간이 지날수록 개개인의 안무형태가 만들어지고 원하는 수업형태와 지도자에 대한 색이 뚜렷해지는 반면 일반 무용학과의 경우 안무수업을 접하는 지도자가 한 학기에 1~2명으로 제한되어있기 때문에 지도방법에 대해 비교할 수 없기 때문에 만족도 평균값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안무자 양성학과와 일반 무용학과 모두 안무교과목 필요성과 상호교류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안무자 양성학과와 일반 무용학과의 개선방안은 상호교류를 통해 보다 폭넓은 교과목을 원했고, 취업과 연관 지을 수 있는 좀 더 세분화된 교과목 개설로 나타냈다. To identify satisfaction level towards choreography related curriculum at dance department for the cultivation of choreographers and to develop improvement measures, this research utilized purposeful sampling method to select two schools that cultivate choreographers and five regular dance departments at the four 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i. Total of 314 students were selected. Kim Boram(2007), Kim Seok-jin(2007)``s survey questionnaires were utilized to modify for use when it comes to the measure for instruction method. Collected data was subjected to analysis using SPSS 18.0 program, and subjects`` characteristics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T-test was conducted to resolve each research issue. First, school specialized in the cultivation of choreographers manifested higher average value when it comes to the satisfaction level for all the questions except for the share of theoretical classes compared to school regular dance departments. However,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nsuing interview manifested that the students of both school are satisfied with choreography class. Second, average value when it comes to the satisfaction level towards the instruction method was higher in case of the school regular dance departments when compared to that of the school specialized in the cultivation of choreographers. Meanwhile, in case of school regular dance departments, average value when it comes to the level of satisfaction towards leader was higher since the number of leaders who get exposed to choreography class is limited to one or two per semester. Third, students of both the school manifested the need to increase interaction when it comes to awareness and problem related areas. Fourth, students of both school s wanted broader range of classes through interaction when it comes to improvement measure, and wanted increasingly specialized classes that can lead to employment.

      • KCI등재

        안무자 양성을 위한 무용학과 안무관련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 및 개선방안

        진윤희 한국무용과학회 2013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0 No.1

        본 연구는 안무자 양성을 위한 무용학과 안무관련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 및 개성방안 연구를 위해 유의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무용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4년제 대학 중 안무자 양성학교 2곳과 일반무용학과 5곳을 선정하여 1~4 학년 재학생 총 314명 표집 하였다. 인식만족도와 필요성 및 개선방안 척도는 김보람(2007), 지도방법 척도는 김석진(2007)의 설문지 문항들을 토대로 수정, 보안하여 사용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특성은 빈도분석을 실시, 설문지의 타당도 검증은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은 Cronbach'α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과정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만족도와 개선방안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안무자 양성학과가 일반 무용학과에 비해 이론 수업 비중을 제외한 모든 문항의 만족도가 평균값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이에 따른 인터뷰 결과 안무자 양성학과 학생들은 다양한 안무관련 수업 방식으로 선택의 폭이 넓고 기준이 분명해지면서 개개인의 안무에 대한 정체성 형성과 안무에 대한 목표의식이 뚜렷해졌고, 수업방식에 대해 구체적이고 새로운 것들을 원하는 반면 일반무용학과 학생들의 경우 현 수업내용은 만족하나 부족한 수업시간에 대한 갈망으로 더 많은 시간배분을 원하고 있어 안무관련 수업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본다. 둘째, 안무자 양성학과와 일반 무용학과의 지도방법에 대한 만족도 평균값은 일반무용학과가 더 높았고, 통계적으로는 난이도 조절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안무자 양성학과 학생들의 경우 다양한 수업과 여러 강사를 통해서 지도방법에 만족스러운 편이나 시간이 지날수록 개개인의 안무형태가 만들어지고 원하는 수업형태와 지도자에 대한 색이 뚜렷해지는 반면 일반 무용학과의 경우 안무수업을 접하는 지도자가 한 학기에 1~2명으로 제한되어있기 때문에 지도방법에 대해 비교할 수 없기 때문에 만족도 평균값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안무자 양성학과와 일반 무용학과 모두 안무교과목 필요성과 상호교류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안무자 양성학과와 일반 무용학과의 개선방안은 상호교류를 통해 보다 폭넓은 교과목을 원했고, 취업과 연관 지을 수 있는 좀 더 세분화된 교과목 개설로 나타냈다. To identify satisfaction level towards choreography related curriculum at dance department for the cultivation of choreographers and to develop improvement measures, this research utilized purposeful sampling method to select two schools that cultivate choreographers and five regular dance departments at the four 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i. Total of 314 students were selected. Kim Boram(2007), Kim Seok-jin(2007)'s survey questionnaires were utilized to modify for use when it comes to the measure for instruction method. Collected data was subjected to analysis using SPSS 18.0 program, and subjects' characteristics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T-test was conducted to resolve each research issue. First, school specialized in the cultivation of choreographers manifested higher average value when it comes to the satisfaction level for all the questions except for the share of theoretical classes compared to school regular dance departments. However,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nsuing interview manifested that the students of both school are satisfied with choreography class. Second, average value when it comes to the satisfaction level towards the instruction method was higher in case of the school regular dance departments when compared to that of the school specialized in the cultivation of choreographers. Meanwhile, in case of school regular dance departments, average value when it comes to the level of satisfaction towards leader was higher since the number of leaders who get exposed to choreography class is limited to one or two per semester. Third, students of both the school manifested the need to increase interaction when it comes to awareness and problem related areas. Fourth, students of both school s wanted broader range of classes through interaction when it comes to improvement measure, and wanted increasingly specialized classes that can lead to employment.

      • KCI등재

        무용학원 선택 시 서비스 품질과 시설환경 만족도와 소셜미디어 특성이무용학원 재등록에 미치는 영향

        서영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Effect of Service Quality, Facility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Social Media Characteristics on Dance Academy Re-registrationWhen Selecting a Dance SchoolYoung Seo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service quality, facility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social media characteristics on dance academy re-registration when dance majors choose a dance academy. As for the research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on 177 people from October to November 2022. First, the facility environment satisfaction, service quality, and social media characteristics of the dance academy had an effect on re-registration intention. Second, the satisfaction of the facility environment of the dance academy was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Third, facility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had an effect on re-registration intention via social media characteristics. It was suggested that dance academies need a marketing strategy to have differentiated competitiveness in line with the needs of dance education consumers and social changes. Key Words: Dance Academy, Service, Facility Environment, Social Media, Re-registration 무용학원 선택 시 서비스 품질과 시설환경 만족도와 소셜미디어 특성이무용학원 재등록에 미치는 영향서 영**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무용전공자들의 무용학원 선택 시 서비스 품질, 시설환경 만족도, 소셜미디어 특성이 무용학원 재등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 2022년 10월부터 11월까지 1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무용학원의 시설환경 만족, 서비스 품질, 소셜미디어 특성은 재등록의도에 영향이 나타났다. 둘째, 무용학원의 시설환경 만족은 소셜미디어 특성에 영향이 나타났다. 셋째, 시설환경 만족과 서비스 품질은 소셜미디어 특성을 경유하여 재등록의도에 영향이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무용학원이 무용 교육 수요자 욕구와 사회적인 변화에 맞추어 차별적인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핵심어: 무용학원, 서비스 품질, 시설환경, 소셜미디어, 재등록 □ 접수일: 2022년 12월 17일, 수정일: 2022년 12월 28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8일* 이 논문은 2022학년도 조선대학교 학술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 조선대학교 공연예술무용과 교수(Professor, Chosun Univ., Email: sydance@hanmail.net)

      • KCI등재후보

        BSC관점 기반 무용학원 경영성과 모형 및 전략체계도

        김미숙 한국무용연구학회 2014 한국무용연구 Vol.32 No.1

        Dance academy so as to experience a professional dance education which is hardly filled with regular school subject as a general secondary educational institutions underlying the training of useless major. However, the trend of education of recent are concentrated in the education of the entrance examination center, while the recession subsequent socially,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number of performing arts academy has decreased gradually, and ensure the students of dance academy future it is expected that it is, to maintain the increasingly difficult. In addition, structural adjustment of the university due to the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has led to the integration and abolition of useless department, reduction of dance population is concerned, it is placed in a situation where dishonored chain-reaction of this dance academy can not be avoided have. Therefore, in order to be successful in the management of dance academy, and indicators that can be used to understand the overall relationship management of school leaders, and students among themselves and evaluation, detailed strategy for that is required. The study, which is placed an object of the invention is designed based on the viewpoint of the BSC in building the model and dance School Management Scorecard, build strategies system diagram for this. And, scorecard perspectives and model, system diagram strategic BSC was fused to fit the peculiarities of the school dancing BSC model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cluding the mission, perspective financial perspective, the customer, from the point of view of education policy, management strategies should be reference of dance institute management results of the study, a total of 15 point of view of the Interior process, the perspective of learning and growth, in terms of the point of view of resource the index of performance may be used to set performance goals of the type, to grasp whether to meet performance goals, total 33 pieces were constructed. 무용학원은 무용전공자 양성에 초석이 되는 2차 교육기관으로서 일반학교 정규교과에서 충족되기 어려운 전문 무용교육을 경험하게 한다(서영, 2008, p.74). 그러나 최근 교육의 경향이 입시위주의 교육에 집중되어 있고, 사회적으로 경기불황이 지속됨에 따라 예능학원의 수가 점차 감소되고 있는 추세에 있어(충청일보, 2014.2.6.) 향후 무용학원의 수강생을 확보하고 유지하는 일은 점점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대학구조 조정은 무용학과의 폐지나 통합으로 이어짐에 따라 무용인구 축소가 우려되고 있고, 이에 무용학원의 연쇄적인 부도가 불가피한 상황에 놓여있다. 따라서 무용학원을 성공적으로 경영하기 위해서는 학원의 경영자, 지도자, 그리고 수강자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평가할 수 있는 지표와 이를 위한 세부전략이 필요하다. 이에 이 연구는 무용학원 경영성과표와 모형을 구축하는데 있어 BSC 관점을 기반으로 설계하고, 이에 대한 전략체계도를 구축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그리고 BSC 관점 모형과 성과표, 전략체계도는 고등교육기관과 교육인적자원부의 BSC 모형을 무용학원의 특수성에 맞게 융합하였다. 연구 결과 무용학원 경영 시 참고해야할 경영 전략은 사명을 비롯하여 재무적 관점, 고객 관점, 교육정책 관점, 내부프로세스 관점, 학습 및 성장 관점, 자원 관점의 측면에서 총 15가지 성과목표를 설정하였고, 성과목표를 달성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성과지표로는 총33개가 구축되었다.

      • KCI등재

        사회연결망 분석 및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한국 무용학의 연구동향 규명

        현보람,김경식 미래융합통섭학회 2022 현대사회와 안전문화 Vol.5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시기별 무용학 연구 주제어 트렌드의 변화를 분석하고, 무용학 연구의 주요 토픽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2000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 등록된 2,874편의 무용논문을 수집하였다. 자료처리는 넷마이너를 활용한 중심성 분석과 토픽모델링 기법이 적용되었다. 결과 첫째, 시기별로 무용학의 상위권 핵심 연구 주제어는 큰 변화가 없었다. 둘째, 20년간 무용 연구의 핵심 주제어는 댄스, 예술, 교육, 한국무용, 신체, 문화, 발레, 공연 등이다. 셋째, 무용학 연구주제어 토픽은 무용예술교육, 무용예술 음악, 무용공연과 신체, 무용예술 치료, 무용교육 효과, 무용교육 등의 순으로 비중이 높다. 결론 사회연결망 분석방법 및 토픽모델링을 적용하여 도출한 무용학의 지식구조는 무용학의 연구동향을 규명하는데 유용한 방법이며, 무용학의 과거와 현재를 진단하고, 그리고 미래를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