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무용 관련 주제의 학회지 연구 방향 탐색

        이강순(Lee, Kang-Soon),김행화(Kim, Haeng-Hwa) 한국초등체육학회 2021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7 No.3

        본 연구는 무용 관련 주제의 학회지 내 초등학교 관련 연구 방향 탐색으로 초등학교 무용교육에 관한 어떤 연구가진행되고 있는지 파악하고, 앞으로 어떠한 연구가 필요할 것인지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회지, 논문 등을 수집하여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020년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2192 중 예술체육학 대분야, 무용 중분야에 해당되는 7개의 학회지-대한무용학회 논문집, 무용역사기록학, 한국무용과학회지, 한국무용교육학회지, 한국무용연구, 무용예술학연구, 우리춤과 과학기술-에서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총10년에 걸쳐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들 중 ‘초등학교’라는 주요어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 앞으로 필요한 연구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강사 지원사업으로 이루어지는 문화예술교육에서 벗어나 체육 교과 내에서표현 영역에 해당하는 학교 무용교육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학생들의 바른 생활습관을 형성할 수 있고 놀이와 접목하여 저학년 때부터 자연스럽게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으며 쉽고 즐겁게 활동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국어, 사회, 음악, 미술 등 타 교과와 연계한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대면, 비대면 상황 모두 신체활동이 가능한 다양한 표현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at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elementary school dance education by exploring the direction of research in elementary school dance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cademic journals, papers, etc. were collected and compared and analyzed. This study was published in the Korean Academy of Arts and Sports in 2020 in the Korean Academy of Dance, the Korean Academy of Dance History, the Korean Academy of Dance and Arts, the Korean Academy of Dance and Arts, and the Korean Academy of Dance and Science Technology for a total of 10 years from 2011 to 2020.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school dance education, which corresponds to the area of expression within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s needed, away from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at consists of support projects for art instructo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research programs that can form students right lifestyle and can naturally express movement and enjoy activities from lower grades by combining them with play.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tegrated arts education programs that are linked to other subjects such as Korean language, society, music and art. Third, research is needed on a variety of expressive activity programs that allow physical activities in both face-to-face and non-face situations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rona era.

      • KCI등재

        현대무용 전공생의 전공만족, 대학생활적응,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이화석 한국무용과학회 2019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college adjust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contemporary dance. The subject was a population of 230 university students during the period of time Oct. 19, 2018 to Nov, 16, 2018. The data on 199 students were used for actual analyses and data were processed with SPSS 23.0 for Window and Amos 23.0 for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major satisfa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college adjustment. Second, major satisfa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college adjustment had positive effec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th, college adjustment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이 연구는 현대무용 전공생의 전공만족, 대학생활적응,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 전북, 대구지역의 무용전공 대학생들로서 종 199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처리는 SPSS 23.0 프로그램과 AMOS 23.0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측정모델분석, 상관관계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현대무용 전공생의 전공만족의 하위요인인 교과수업만족, 전공인식만족은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관계만족은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대무용 전공생의 전공만족의 하위요인인 교과수업만족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공인식만족, 관계만족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대무용 전공생의 대학생활적응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현대무용 전공생의 전공만족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대무용 전공생의 특성에 맞는 중재방안을 연구하고 실행하여 원활하고 긍정적인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국내 학술지 등재제도 개선에 따른 무용학회 운영의 선진화 방안 -KCI 학술지 내용평가를 중심으로-

        유지영 ( Ji Young Yoo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4 한국무용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학술지 등재제도의 개선배경과 평가항목들을 검토하여 무용학회의 선진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 첫째, 공동학술대회와 공동연구를 통해 학회 간 협력함으로써 무용학 학문을 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회 간 차별화를 추구한다. 둘째, 편집위원에게 학술활동에 대한 서약서를 받고, 학술활동 의무성에 대한 자율규정을 마련함으로써 편집위원의 학술활동을 적극적으로 장려한다. 셋째, 편집양식을 통일하고, 전문편집인 상주와 같은 업무환경 개선을 통해 학회 행정의 효율성을 증대시킨다. 넷째, 심사자의 자격기준을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명단을 공개하여 심사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한다. 다섯째, 영문초록을 전문적으로 감수하기 위해 외부 인력을 수용함으로써 논문초록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킨다. 여섯째, 연구부정 행위의 구체적 기준을 설정하고, 부정행위에 대한 처벌수위를 강화시켜 연구부정 행위를 미연에 방지한다. 또한 심사자는 논문표절방지시스템을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체계적인 논문검증시스템을 마련하고, 학회에서는 연구자와 심사자를 대상으로 관련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엄격한 연구윤리를 확립시킨다. This study aimed to suggest plans to advance dance society management by reviewing the backgrounds of journal registration system improvement and evaluation ite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s results of the study, first, dance theories should be established by collaborating among societies through joint scholarly competition and collaboration. Based on them, the differentiations among societies should be pursued. Second, the covenants on scholarly activities should be received from contributing editors and autonomic regulations on scholarly activity obligation should be arranged. Scholarly activities of contributing editors should be actively encouraged. Third, the form of edition should be integrated. The efficacy of administration should be improved by work environment improvement like constant residence of professional editors. Fourth, the qualifications of evaluators should be established in details. The list of names should be opened to obtain the reliability for evaluation results. Fifth, to review English abstract scrupulously, external professionals should be employed and improve the quality of paper. Sixth, specific standards for unfair practices of wrong research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level of penalty for such wrong research should be intensified to prevent wrong research actions.

      • KCI등재

        상허학회가 걸어온 길과 이태준 연구의 전망

        이봉범 상허학회 2022 상허학보 Vol.66 No.-

        This article was written as part of an academic conference to commemorate the 30th anniversary of the Sanghur Society. I reviewed meaningful academic practices in the course of the Sanghur Society and sought ways to critically develop their unfinished achievements. I suggested two things. First, there is a need to reset the identity and function of the society. It is a well-known fact that it is difficult to perform the existence and society functions of the society due to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confusion of the society and the deepening asymmetry between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nd researchers. The society and the researcher are one body. At the external level, it is necessary to focus on adjusting the society environment centrally, while seeking a method to protect and enhance the rights and interests of researchers. It is a time when efforts to find a way out are urgently needed as the field of academic activities is drastically reformed, including active participation in the Open Access movement. Reorganization of society activities focused on holding academic conferences, publishing academic journals, improving the editorial system of academic journals, and practical orientation of academic solidarity based on academic publicity. Second, as the prospect of Lee Tae-joon’s literature research, an integrated south korea labor party affiliation literary study was proposed. It is necessary to take Lee Tae-joon’s research, which has been practiced for 30 years by the Sanghur society, to restore the reality of the south korea labor party affiliation literature centered on Lee Tae-joon, to dismantle the widow of the Cold War division, and to start research on inter-Korean integrated literary history again. It is the mission given to us by the history of literature to restore the unrestored things that have passed through 40 years of exclusion and prohibition and 30 years of lifting. 이 글은 상허학회30주년 기념 학술대회의 일환으로 작성되었다. 상허학회의 역정에서 의미 있는 학문적 실천들을 개관하고 그 미완의 성취를 비판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봤다. 두 가지를 제안했다. 첫째, 학회의 정체성과 그 기능을 재설정할 필요성이다. 학회의 난립과 한국연구재단/학회·연구자 간 비대칭성의 심화 등 여러 내·외적 요인으로 말미암아 학회의 존립 및 그 학술적 기능을 수행하기가 곤란한 형편에 처한 것은 공지의 사실이다. 학회와 연구자는 한 몸이다. 대외적인 차원에서 학술 환경을 우리 중심적으로 조정하는 데 주력하는 한편 연구자의 권익을 보호·신장시킬 수 있는 방법적 모색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오픈 액세스(OA) 운동에 적극적인 참여를 비롯해 학회활동의 영역을 과감히 쇄신하는 가운데 활로를 찾는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학술대회 개최, 학회지 발간으로 치중된 학회 활동의 개편, 학회지의 편집체제 개선, 학술의 공공성에 기초한 학회 연대의 실질적 지향 등. 둘째, 이태준문학 연구의 전망으로 남북통합적인 남로당계 문인(학) 연구를 제안했다. 상허학회가 30년간 실천해온 이태준 연구를 한 단계 진전시켜 이태준을 구심점으로 한 남로당계 문인(학)의 실체를 복원하고 이를 바탕으로 냉전분단의 미망을 해체하는 동시에 남북통합적인 문학사 연구를 다시금 시작할 필요가 있다. 배제 및 금지의 40년, 해금(제)의 30년을 관통하고 있는 복원되지 못한 것들을 복원(권)하는 일은 문학사가 우리에게 부여한 소명이다.

      • KCI등재

        『朝鮮民俗』과 ‘鄕土舞踊民謠大會’로 본 조선민속학회 -조선민속학회 창립 90년에 식민지혼종론을 생각한다-

        전경수 한국민속학회 2022 韓國民俗學 Vol.76 No.-

        조선민속학회는 1932년 4월 창립되었다. 송석하를 비롯한 조선인들에 의해서 창립된 후, 일본인 연구자들이 참여하였다. 민속학을 포함하는 세계 인류학사상 조선민속학회가 유일한 사례이다. 식민지의 토배기들이 창립한 학회에 식민지 지배세력의 연구자들이 참여하였다는 점에서 조선민속학회의 특수성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1929년 창립하였던 동경의 ‘민속학회’가 선행 모델이었음도 감안해야 할 문제라고 생각하며, 그 ‘민속학회’의 내용은 민족학이었음에 대해서도 이해를 요한다. 학회의 기관지로서 3회 발행되었던 『조선민속』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를 한 마디로 요약한다면, 식민지적 혼종성이라고 말할 수 있다. 동경의 일본청년관이 주도하였던 ‘향토무용민요대회’를 모방하여 조선민속학회가 주최하였던 경성의 ‘향토무용민요대회’는 단 1회, 그것도 봉산탈춤의 공연만 있었다. 이후 유사한 대회들이 몇 차례 실시되었던 것들은 모두 조선총독부의 정책과 깊은 연관이 있다. 중일전쟁 이후의 전시라는 맥락하에서 생산독려에 필요하였던 오락동원의 의미를 간과할 수 없다. 식민지 조선의 오락이라는 문제는 제국일본의 오락 정책이라는 맥락 속에서 고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민중오락이라는 문제를 정책적인 방편으로 재단하였던 제국 차원의 시도들이 식민지 조선에서 ‘향토오락’이라는 장르로 거론되었던 점을 명백하게 인식하여야 한다. 일각에서 송석하를 중심으로 하는 조선민속학회의 ‘문화민족주의’적인 성격을 거론하는 것은 감시와 탄압을 수단으로 하였던 식민지 정책에 대해서 안일한 관점을 적용한 결과라고 생각한다. 식민지에 더해서 전쟁 수행 중의 제국일본의 사찰당국이 ‘문화’라는 형용사가 붙었다고 해서 민족주의의 연행과 포폄을 묵인하였을까? 21세기의 대한민국이라는 공간에서 식민지시기의 문제를 조명하기 전에 당시의 맥락부터 먼저 생각하는 것이 순서일 것이다. 제국의 속지인 식민지 조선의 문제를 고찰하는 안이한 사고방식들을 배척하기 바란다.

      • KCI등재

        현대무용 전공생의 전공만족, 대학생활적응,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이준모 ( Lee Joon-mo ) 한국무용과학회 2019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6 No.3

        이 연구는 현대무용 전공생의 전공만족, 대학생활적응,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 전북, 대구지역의 무용전공 대학생들로서 종 199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처리는 SPSS 23.0 프로그램과 AMOS 23.0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측정모델분석, 상관관계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현대무용 전공생의 전공만족의 하위요인인 교과수업만족, 전공인식만족은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관계만족은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대무용 전공생의 전공만족의 하위요인인 교과수업만족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공인식만족, 관계만족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대무용 전공생의 대학생활적응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현대무용 전공생의 전공만족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대무용 전공생의 특성에 맞는 중재방안을 연구하고 실행하여 원활하고 긍정적인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college adjust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contemporary dance. The subject was a population of 230 university students during the period of time Oct. 19, 2018 to Nov, 16, 2018. The data on 199 students were used for actual analyses and data were processed with SPSS 23.0 for Window and Amos 23.0 for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major satisfa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college adjustment. Second, major satisfa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college adjustment had positive effec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th, college adjustment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KCI등재

        현장적 관점에서 본 한국춤협회 40년의 의미와 과제

        심정민 ( Shim Jeong-min ) 한국무용연구학회 2021 한국무용연구 Vol.39 No.2

        한국춤으로 특성화되어 40년의 역사를 거쳐 온 한국춤협회의 의미와 가치는 높다. 이러한 활동이 가능한 동력으로는 한국무용계 인사들과 인재들을 폭넓게 아우르는 조직체로서 전통의 계승과 동시대적인 창작이라는 일관된 목표를 지향해왔기 때문이다. 이를 바탕으로 학술, 교육, 공연의 영역에서 균형과 조화를 이뤄온 것이 한국춤협회를 다른 협회나 학회와 차별시키는 정체성이다. 21세기도 20년 이상 흐르고 있는 현시점에서 한국춤협회의 미래지향적인 발전을 위해 고려해봐야 할 사항도 존재한다. 이에 대해 현장적 관점에서 접근하자면 우선, 경연의 공정성 관리 등을 위해 선진적 (운영)체계를 확립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통의 계승과 동시대적인 창작의 영역을 구분하여 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유사한 맥락에서, 한국춤의 다양한 분류에 대한 용어 정립과 내용 구분도 고려해볼 만하다. 더 나아가, 21세기에 급변하는 사회적 추세나 예술적 경향에 대한 이해는 동시대적인 창작을 위해 주요한 바탕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춤협회가 한국무용계를 이끄는 역할을 한다는 전제하에 한국무용계에 만연한 계파 의식을 타파하고 상생의 힘을 통해 미래지향적인 발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현장 문화를 바꿔나가야 한다.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Korean Dance Association, which has been characterized as a Korean dance and has been through 40 years of history, is high. The driving force behind these activities is that as an organization that encompasses a wide range of people and talents in the Korean dance world, it has aimed for a consistent goal of inheriting tradition and contemporary creation. Based on this, balance and harmony have been achieved in the fields of academics, education, and performance, which is the identity that differentiates the Korean Dance Association from other associations and academic societies. There are also issues to be consider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Dance Association.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advanced system to manage the fairness of the contes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business by separating the areas of succession of tradition and contemporary creation. In a similar context, it is worth considering the definition of terms and content classification for the classification of various Korean dances. Furthermore, an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conditions or trends can be a major basis for contemporary creation. Lastly, on the premise that the Korean Dance Association plays a leading role in the Korean dance worl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culture of the field so that it can break through the faction consciousness prevalent in the Korean dance world and promote future-oriented development through the power of win-win.

      • KCI등재

        “한국춤 학술,교육적 측면의 성과와 비전”고찰 -한국춤협회를 중심으로-

        이미영 ( Mi Young Lee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5 한국무용연구 Vol.33 No.1

        본 연구는 한국춤 협회를 중심으로 학술적 측면은 한국무용연구학회 학술논문집과 학술대회로, 교육적 측면은 한국춤협회 주체 경연대회 및 강습회의 성과를 살펴보았다. 현재 무용공연은 더 이상 무대공간에서만을 주장할 수도 없거니와 대중들과의 소통이 원활하지 않아 오늘날 무용인구의 감소현상까지 치닫게 되는 한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고찰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보다 춤 교육에 대한 관심과 내실을 기하고 학술이나 강습회 등 여러 방법을 통해 양적·질적 성과에 주목하고자 한다. 학술대회-강습회-제전까지 서로 일련의 유기적 관계로 통합 연결시켜 서로 시너지 효과를 증진시키는데 일조하여야 한다. 이론과 실기의 통합적 발전과 지식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융복합적 성격의 학술대회와 교육적 실천을 확대시키고자 하는 것이 한국춤 협회의 비전이라 할 수 있다. 21세기 현재 교육이 무엇보다 본성을 회복하는 교육으로서, 춤 교육의 방향을 올바르게 잡는 것이 시급한 일이라 생각한다. 이와 함께 앞으로 한국 춤 전반의 학술·교육적 측면의 비전을 제시해보고자 하는 데 본 연구 의의가 있다. The study aimed to examine performance and vision in the academic and educational aspects of Korean dance in quantity and quality in consistent with study subject called "performance and vision in the academic and educational aspects of Korean dance." But this study had limitation because the study could not investigate whole performance in the academic and educational aspects of Korean dance. The study focused on Korean dance association - for academic aspect, the author had reviewed academic theses published by the Society of Korean dance studies and its performance of academic conference; for educational aspect, the study investigated performance of competitions and learning class led by Korean dance association. The study examined activity of Korean dance association for 34 years while tried to introspected for parts which became large discourse in a certain aspect. It was thought that it would be urgent to lead dance education in right direction because above all, present education in the 21th century was one to recover real nature. And this study had a meaning in suggesting vision of academic and educational aspects of whole Korean dance in the future.

      • KCI등재

        근대시대 예술춤의 재현 방법에 관한 비평적 접근 : 무용역사기록학회의 ‘리서치 기반 콘텐츠’를 중심으로+

        심정민 무용역사기록학회 2023 무용역사기록학 Vol.71 No.-

        This study critically approaches the “Research-Based Content” series of the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History, which explores the historical, morphological, and artistic meaning and value of dance through research in the reconstruction of traditional and new dances, the art dances of the modern era. This research is based on expert interviews and opinions of critics. First, it allows for a flexible reconfiguration and recreation of dance beyond the boundaries of tradition. Second, it enables the documentation of the process and results, providing a formal record. Third, through the exchange between dance and theory, as well as dance and other fields, it offers an inclusive experience. Fourth, it allows for the pursuit of new perform ance form s beyond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dance through editing and adaptation in compilation performances.Copyright issues, mutual interests, research adaptation, and time-consuming are among the things to consi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