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용형태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과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의 관계

        최은혜 ( Choi Eun-hye ),김희진 ( Kim Hee-jin ) 한국무용과학회 2018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5 No.4

        본 연구는 직업무용수들과 비직업 무용수들의 심리적 안녕감과 무용수행능력성취감에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심리적 안녕감과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의 관계를 알아보며 직업무용수와 비직업 무용수들의 무용수행능력에 변별력을 주는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직업무용수 300명과 비직업 무용수 300명을 표집으로 설정하였고, 선행 질문지들의 탐색적 요인 분석과 직업무용수와 비직업 무용수들의 심리적 안녕감과 무용수행능력성취감 비교를 위해 독립적 t-test를 실시하였고, 심리적 안녕감과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직업무용수와 비직업 무용수 집단의 변별력 검증을 위해서 판별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통계적 유의도 α=.05로 설정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대인관계 요인은 비직업 무용수들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자율성 요인은 직업무용수가 유의하게 높았다(p< .05). 둘째, 본 연구의 직업무용수들을 무용수행능력성취감 요인의 신체관리능력 및 실기능력성취감, 무용수행자신감, 무용수행집중 및 무용수행성취 요인은 비직업 무용수들 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해능력성취감 요인은 두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05). 셋째, 본 연구에서 직업무용수들은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은 환경에 대한 지배력 및 삶의 목적, 자율성, 자아수용 요인이 부분적으로 무용수행능력성취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비직업 무용수들은 모든 하위 요인들에 부분적으로 무용수행능력성취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넷째, 본 연구의 직업무용수와 비직업 무용수들의 무용수행능력성취감 변별력을 보여주는 결정적인 요인은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개인적 성장 요인이었다. 결론적으로 심리적 안녕감의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개인적 성장 요인이 직업무용수들의 무용수행능력성취감에 영향을 주는 결정적인 요인이며,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비직업 무용수들이 명확하게 변별되는 요인이다. 즉, 이러한 부분들을 개선시킴으로서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무용수로서 지속적으로 활동하는데 영향을 미칠 것이다.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and effectively determine which impact the factors will have on difference between dnacer of dance company and freelance dancer. The subjects were dancer of dance company(N=300) and freelance dancer(N=300) engaged in korean dance, modern dance and ballet. For this study analysis, a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to secure data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was used various statistics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d discriminant analysis. This study result are as follows: For psychological well-being variable, th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significant higher in freelancer dancer(p<.05) but autonomy support was significant higher in dance of dance company(p< .05), There were n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variables between groups(p. >05). The psychological well-being variable included environment governing power, purpose in life, self-acceptance and autonomy support partially affect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in dancer of company dance and the freelance dancer.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variable included autonomy support, personal growth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n effectively distinguish the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between the dancer of dance company and freelance dance group.

      • KCI등재

        직업무용수들의 자기관리행동과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의 관계

        최은혜 한국스포츠학회 2018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단소속의 직업무용수들과 프리랜서로 활동하는 비직업무용수들의 자기관리행동과 무용 수행능력성취감에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무용수행능력에 변별력을 주는 자기관리행동의 하위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 다. 본 연구 대상자는 서울 및 경기와 광역시에 위치한 7개의 무용단 직업무용수 300명과 최근 1년 동안 프리랜서로 활 동하고 있는 비직업무용수 300명으로 설정하였다. 직업과 비직업 무용수들의 자기관리행동과 무용수행능력 비교를 위 해 독립적 t-test를 실시하였고, 자기관리행동과 무용수행능력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모든 통계적 유의도 α=.05로 설정하였다. 결론적으로 직업무용수들의 무용수행능력성취감 에 영향을 주는 결정적인 자기관리행동의 훈련(연습)관리 요인이며, 비직업무용수들의 무용수행능력성취감 영향요인 들과 명확하게 변별되는 요인이다. 즉, 직업무용수보다 비직업무용수들의 훈련(연습)관리 요인에 대한 부분을 개선시 킴으로서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지속적인 무용수로서 활동하는데 영향을 미칠 것이다.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management behavior and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in professional dancer of dance company(N=300) and freelance dancer(N=300). For this study analysis, a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to secure data reliability and validity. If the data gathered through the survey were considered inadequate or unreliable, they were not used in the analysis. Only those data that could be analyzed and available were used by category to get the statistics in Window SPSS 18.0 version. Various statistics were used in the study including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This study result are as follows: Training management and body management of self-management behavior variable were significant higher in dancer of dance company than freelance dancer but, there were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variable between groups. Self-management variables partially affect the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in tow groups but not intrinsic behavior management and training management of self-management behavior can effectively distinguish the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between professional dancer of dance company and freelance dnacer group

      • KCI등재

        무용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무용교수행동유형이 지도자 신뢰 및 무용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혜정(Hye Jeong Kim),박혜은(Hye Eun Park) 한국무용과학회 2010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2 No.-

        이 연구는 무용전공대학생이 지각한 교수행동유형이 지도자신뢰 및 무용수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무용전공 대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유의표집방법을 사용하여 총 280부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 중 분석 가능한 자료를 가지고 SPSS 12.0을 이용하여 ANOVA,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경험특성에 따라 지도자 신뢰와 무용수행능력에는 차이가 있다. 즉, 참가시간과 빈도, 공연횟수가 많을수록 지도자신뢰와 무용수행능력이 높다. 또한 무용 참가경력이 많을수록 무용수행능력이 높다. 둘째, 지도자행동유형은 지도자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지도자가 연습과 지시행동, 민주적 행동, 사회적지지행동을 보일수록 학생들은 지도자의 성실과 능력을 높게 평가하며, 지도자가 권위적 행동을 보일수록 지도자 신뢰가 낮다. 셋째, 지도자행동유형은 무용수행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즉, 연습과 지시행동, 긍정적 보상행동, 사회적지지행동을 보일수록 수행집중과 수행자신감이 높으며, 사회적 지지행동은 수행성취가 높다. 넷째, 지도자신뢰는 무용수행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지도자신뢰의 하위변인인 성실과 능력, 일관성은 학생들의 수행집중과 수행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지도자행동유형과 지도자 신뢰 및 무용수행능력 간에는 인과적 관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eaching behavior style,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 majoring in dance, on trust in instructor and dance performance ability. To achieve this purpose,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are set up as a population, and 280 materials are used in final analysis through purposive sampling. Path analysis of useful materials among collected is made through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12.0. The conclusions made through that method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dance experience, there are differences in trust in instructor and dance performance ability. In other words, the time and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the number of performance times are more, trust in instructor and dance performance ability are higher. And, dance participation experience is more, dance performance ability is higher. Second, according to the teaching behavior style, there is a difference in trust in instructor. The instructor shows more practice, instruction behavior, democratic behavior and social behavior, then students evaluate instructor's sincerity and ability as high, and shows more authoritative behavior, trust in instructor is low. Third, according to the instructor behavior style, there is a difference in dance performance ability. In other words, the more practice, instruction behavior, positive compensation behavior and social support behavior are shown, then dance performance ability and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are high. Forth, according to the trust in instructor, there is a difference in dance performance ability. Sincerity, ability and consistency, the subvariables of trust in instructor, have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concentration and achievement of performance. Fifth, instructor behavior style, trust in instructor and dance performance ability have causality among them.

      • KCI등재

        사회과학분야 :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신체이미지가 자아존중감 및 무용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강은주 ( Eun Ju Kang ),김정수 ( Jung Soo Kim ),이미영 ( Mi Young Lee ),이민기 ( Min Ki Lee ),오진숙 ( Jin Sook Oh ) 한국무용과학회 2014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1 No.1

        이 연구는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신체이미지가 자아존중감 및 무용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 대전, 경기, 충남, 충북에 위치한 예술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443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일원분산분석과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을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개인적 특성 중 성, 무용경력, 공연 횟수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무용수행능력은 차이가 있었다. 둘째, 신체이미지에 따른 자아존중감에서 신체매력은 긍정적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체중관심과 외모무관심은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긍정적 자아존중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신체이미지에 따른 무용수행능력에서 외모관심은 무용수행성취와 무용수행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신체매력은 무용수행성취, 무용수행집중, 무용수행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모무관심은 무용수행집중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무용수행자신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자아존중감에 따른 무용수행능력에서 긍정적 자아존중감은 무용수행성취, 무용수행집중, 무용수행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무용수행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 무용수행능력 간에는 인과적 관계가 있었다. 위 결과를 종합해보면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신체이미지는 무용수행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아존중감을 통해 무용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body image on self-esteem and dance performance ability of art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Using a purposive sampling method and the questionnaire based on previous study, 443 students majoring in dance were selected from art high schools in Seoul, Daejeon, Kyung-gi, Chung-nam and Chung-buk Province. The method of the statistical analysis used in this study were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gender, dance career and performance frequency of person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steem and dance performance ability. Second, the body image of art high school students influenced on self-esteem significantly. Physical attractiveness influenced on positive self-esteem and it also negatively influenced on negative self-esteem. Concern of weight and unconcern of appearance influenced on negative self-esteem and they also negatively influenced on positive self-esteem. Third, body image influenced on dance performance ability significantly. Concern of appearance influenced on achievement and confidence of dance performance ability. Physical attractiveness influenced on achievement, concentration and confidence of dance performance ability. Unconcern of appearance influenced on concentration of dance performance and it also negatively influenced on confidence of dance performance. Forth, self-esteem influenced on dance performance ability significantly. Positive self-esteem influenced on achievement, concentration and confidence of dance performance. Negative self-esteem influenced on achievement of dance performance ability. Fifth, there were causal relationship among body image, self-esteem and dance performance ability. To sum up the above results, body image of art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influenced on dance performance ability directly. Also, body image had positively indirect influence on dance performance ability through self-esteem.

      • KCI등재

        부모의 기대와 경제적 지원이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무용수행능력과 공연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김영미(Young Mee Kim),김양근(Yang Keun Kim),(Gerri Houlihan) 한국무용과학회 2010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2 No.-

        이 연구에서는 부모의 기대와 경제적 지원이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무용수행능력과 공연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집락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8개 예술계 고등학교에서 무용전공 학생 488명을 표집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일원변량분석과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공변량구조분석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개인적 특성과 무용경험 특성에 따라 무용수행능력과 공연자신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다.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무용수행 능력 중 무용기능과 정신력이, 그리고 공연자신감이 높다. 또한 학년에 따라서는 3학년이 1, 2학년 학생들에 비해 무용수행능력과 공연자신감이 높다. 또한 무용참여기간이 길수록 그리고 무용공연 횟수가 많을수록 무용수행능력과 공연자신감이 높다. 둘째 부모의 기대는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무용수행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자녀의 행동특성과 무용재능에 대한 부모의 기대는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의 무용기능과 공연대처 행동, 정신력을 높인다. 셋째, 부모의 기대는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공연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자녀에 대한 행동특성과 무용재능에 대한 부모의 기대는 무용전공 학생의 외형적, 내형적 공연자신감을 높인다. 넷째,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의 무용수행능력은 공연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학생들의 무용수행능력이 높을수록 공연자신감이 높다. 다섯째,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공연자신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용수행능력, 부모의 기대와 지원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기대와 경제적 지원은 무용전공학생들의 무용수행능력을 높여 공연자신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nfluences of parents' expectation and economic support on dance performance ability and performance confidence of art high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Using a cluster sampling method and the questionnaire based on previous study, 488 students majoring in dance selected from 8 art highschools. The method of the statistical analysis used in this study were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SEM analysi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ance performance ability and performance confidence according to the personal attributes and experience extend of dance of high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Second, parents" expectation about children's behavior attribute and dance talent influences on dance performance ability of high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Third, parents" expectation about children's behavior attribute and dance talent influences on external and internal dance confidence of high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Forth, dance performance ability influences on external and internal dance confidence of high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Fifth, parents' expectation and economic support, and dance performance ability influence on dance confidence directly and influenced on it indirectly through dance performance ability.

      • KCI등재

        무용교사의 지도유형이 예술고등학교 학생의 무용지속의도 및 무용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윤예지,정용철 영남춤학회 2023 영남춤학회誌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 dance teacher’s leadership type on the intention of persistence in dance and the dance performance of art high school students. A total of 343 dance students from three art high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The survey consisted of 37 questions. 3 questions and other data were processed through SPSS 29.0 for different analysis purpo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mocratic behavior of a dance teache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intention to persist in dance. Second, the positive feedback behavior of a dance teacher had a similar effect on the skillfulness of movement. Furthermore, the training and instruction behavior of a dance teacher also had a beneficial effect on the artistry of movement. Third, the increased intention to persist in dance of a student had a constructive effect on the dance performance.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intention for persistence and the dance performance of art high school students could vary depending on the dance teacher’s leadership type. Therefore, the dance instructor’s inter est and involvement in a student’s learning is necessary for enhanced intention of persistence and dance performance. 본 연구는 무용교사의 지도유형이 예술고등학교 학생의 무용지속의도와 무용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3곳의 예술고등학교 무용과에 재학 중인 343명의 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는 총 37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회수된 설문지 291부는 SPSS 29.0을 이용하여 분석의 목적에 따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교사의 지도유형 하위요인 모두가 학생의 무용지속의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무용교사의 민주적 유형이 학생의 무용지속의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교사의 지도유형 하위요인 모두가 학생의 무용수행능력 하위요인인 무용동작기술성과 무용동작예술성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교사의 긍정적 보상유형이 무용동작기술성에, 무용교사의 훈련과 지시유형이 무용동작예술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의 무용지속의도가 무용수행능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의 무용지속의도는 무용동작기술성과 무용동작예술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무용교사의 지도유형에 따라 예술고등학교 학생의 무용지속의도와 무용수행능력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무용교사는 학생이 지속적으로 무용 활동에 참여하며, 무용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자신의 지도유형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

      • KCI등재

        필라테스 움직임원리 기반 훈련이 발레무용수의 무용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다진 ( Chung Dajin ) 한국무용과학회 2018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5 No.3

        이 연구는 필라테스 움직임원리를 기반으로 한 훈련이 발레무용수의 무용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편의표본추출법으로 서울 소재 3개의 대학에서 발레를 전공하는 대학생 60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주 3회 약 60분씩 필라테스 움직임 원리를 이용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피트니스 스크리닝 테스트(Fitness Screening Test)와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t-test 로 유의 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피트니스 스크리닝 테스트(Fitness Screening Test) 사전, 사후 검사는 발레무용수의 필라테스 움직임 원리 기반 프로그램 실시 후, 15개의 측정 항목 모두가 중급(level 3)수준에서 중-상급(level 4)수준으로 향상되었으며, 특히 푸쉬-업(push up)은 초급(level 1)에서 중급(level 3)으로 향상되었다. 평가항목 중 하프 스쿼트(half squat), 골 포스트(goal post), 롱-시트(long sit), 푸쉬-업(push up), 프론 프레스 업(prone press up)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또한, 힐 라이즈(hell raise), 시티드 힙 어덕션(seated hip abduction), 제트-시팅(Z-sitting), 헌드레드(hundred), 사이드 리프트(side lift), 슈퍼맨(superman), 프론 숄더 플렉션(prone shoulder flexion), 프론 니드 밴드(prone knee bend)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둘째, 무용수행능력검사에서는 무용수행능력의 하위요인인 무용기능, 공연대처능력, 무용수행정신력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pilates movement principle-based training on the dance performance ability of ballet dancers, this study conducted a program using the pilates movement principle for about 60 minutes(three times a week) for 12 weeks targeting 60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allet of three universities in Seoul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Using Fitness Screening Test and questionnaire as measuring tools, data-processing was done through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t-test(significance level: α=.05). In the results, the conclusion was drawn like below. First, regarding the pre/post test of Fitness Screening Test, after conducting the pilates movement principle-based program for ballet dancers, all the 15 measuring items were improved from level 3(intermediate) to level 4(intermediate-advanced). Especially, the push up was improved from level 1(elementary) to level 3(intermediate). Among items for evalua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lf squat, goal post, long sit, push up, and prone press up(p<.05). Also,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ll raise, seated hip abduction, Z-sitting, hundred, side lift, superman, prone shoulder flexion, and prone knee bend(p<.01). Second, in the results of dance performance ability test, all the sub-factors of dance performance ability such as dance function, performance coping ability, and dance performance mental powe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1).

      • KCI등재

        무용교사의 지도유형이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감성지능 및 무용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소현주,차수정 한국무용연구학회 2018 한국무용연구 Vol.3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leadership type of dance leaders influences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dance achievement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ing. This study conducted survey on 330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ing.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reward type of the instruction type of the dance teacher showed that the democratic typ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understanding of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utilization, and emotional control. Second, positive reward type of instruction type of dance teachers showed that dance performa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achievement self – confidence and performance concentration, democratic type and authoritative type. Third, the understanding of emotional intelligence 's self - emotional understanding and other people' s emotional understanding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elf - confidence and performance achievement of dance performance, and emotional control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all sub - factors of dance performance ability. Thus, this study contributes to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raining method for efficient and appropriate dance education. The study also aims to propose the importance of dancing education method development. 본 연구는 무용교사의 지도유형이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감성지능 및 무용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서울, 경기 및 충청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7곳의 예술고등학교의 무용과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30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Windows용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교사의 지도유형의 긍정적 보상유형은 자기감성이해에 민주적 유형은 감성지능의 타인감성이해, 감성활용, 감성조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교사의 지도유형의 긍정적 보상유형은 무용수행능력의 수행자신감과 수행집중에, 민주적 유형과 권위적 유형이 수행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성지능의 자기감성이해와 타인감성이해는 무용수행능력의 수행자신감과 수행성취에, 감성조절은 무용수행능력의 모든 하위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는 무용교육 현장에서 무용교사가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의 감성의 발달 및 무용수행능력의 향상을 위한 지도법개발 및 효과적인 방안을 마련하는데에 도움이 되며 의미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KCI우수등재

        무용전공대학생의 신체이미지와 자기효능감 및 무용수행능력의 관계

        한선숙(HahnSun-suk) 한국체육학회 2018 한국체육학회지 Vol.57 No.2

        이 연구는 무용전공대학생의 신체이미지와 무용수행능력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수도권에 소재한 대학 6개교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대학생 404명이었으며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지향성이 높고,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외모자신감이 높았다. 학년이 낮을수록 자신감이 높았으며, 발레전공 학생들은 현대무용전공 학생들보다 외모지향성이 높고, 무용수행성취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모지향성은 자기조절효능감에 정적영향을 미치며 외모무관심과불만족은 자기조절효능감에 정적영향을, 자신감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자신감은 자기조절효능감에 부적영향을, 과제난이도선호와 자신감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이미지의 외모지향성변인은 무용수행자신감과 무용수행집중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모무관심 및 불만족 변인은 무용수행자신감과 무용수행집중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신체자신감은 무용성취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신체이미지와 자기효능감 및 무용수행능력 간에는 인과적 관계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body image, self-efficacy and dance performance ability in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Subjects were 404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at 6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A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which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analysis found that first, female students had a higher degree of appearances directivity than male students did, while male students had a higher confidence in appearances than female students did. Students in lower years had a higher confidence level than students in higher years, while students majoring in ballet had higher appearances directivity and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than students majoring in contemporary dance. Second, appearances directiv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regulation efficacy, while disinterest in appearances and dissatisfaction with appearances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regulation efficacy and had a negative effect on confidence. Body confidence had a negative effect on Self-regulation efficacy, while it had a positive effect on preferred difficulty level in tasks and confidence. Third, appearances directivity variable in body image had a positive effect on dance Performance confidence and dance performance concentration, while disinterest in appearances and dissatisfaction with appearances had a negative effect on dance performance confidence and dance execution concentration. Body confid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dance achievement. Fourth, there was a causal correlation between body image, self-efficacy and dance performance ability.

      • KCI등재

        사회과학분야 : 크로스핏 트레이닝이 무용전공자의 신체조성, 기초체력 및 무용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노은초 ( Eun Cho Noh ),박인자 ( In Ja Park ) 한국무용과학회 2015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2 No.1

        본 연구는 무용전공자를 대상으로 8주간 크로스핏 트레이닝과 고전적인 피트니스 트레이닝을 시행하여 이러한 체력훈련 프로그램이 신체조성, 기초체력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무용전공자 및 무용수에 있어 체력훈련의 필 요성과 그 효용을 구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집단으로 S여대 무용전공자 14명을 선정하여 크로스핏군(N=7)과 피 트니스군(N=7)으로 나누어 8주간 해당 프로그램을 시행 후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신 체조성 항목에 있어 체중, 근육량에 두 집단 모두 유의한 변화는 없었으며, 체지방은 두 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 나 집단 간 변화량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기초체력 항목에 있어 크로스핏 집단은 전 항목에서 향상되었으며, 피트 니스 집단은 배근력, 근지구력, 순발력, 민첩성, 유연성이 향상되었다. 집단 간 변화량은 악근력, 배근력, 근지구력, 순발 력에서 크로스핏 집단이 피트니스 집단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무용수행능력 항목에 있어 두 군 모두 모든 항목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집단 간 변화량은 크로스핏 집단이 조력성 5, 6, 7, 조화성 8에서 피트니스 집단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두 프로그램 모두 기초체력, 무용수행능력을 유의하게 향상시켰으며, 요인별 향상도와 소요시 간을 고려해 볼 때 크로스핏 프로그램은 무용전공자를 위한 효율적인 체력훈련 방법의 하나로 볼 수 있다. The study purpose was to compare the outcomes after 8 weeks of CrossFit training and traditional fitness training on dance major’s body composition, fitness level, and performance capacity. Total of 14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CrossFit group and traditional fitness group. For body composition, body weight and muscle mass were unchanged; fat mass decreased in both groups, yet the between group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For fitness level, CrossFit group showed an improvement in all categories; traditional fitness group in back muscle strength, endurance, power, agility, and flexibility. According to between group analyses, CrossFit group participants demonstrated a comparatively higher grip strength, back muscle strength, and power (p<0.05). Overall performance capacity of both groups improved significantly, yet the magnitude in CrossFit group was superior for grading 5, 6, 7 and harmony 8. While both programs are clinically helpful, CrossFit program was shown to be more time efficient and effective training mo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