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20년대 조선의 지방 의료체계와 모르핀 오남용

        박강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0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104

        Among the social problems of colonial Joseon in the 1920s, the spread of morphine was at a serious stage. Various causes were mixed and worked to lead to the spread of morphine to a serious social problem. Among them,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medical system of Joseon and the role of medical personnel. Until now, studies on the morphine problem in colonial Joseon have been mostly approached through Japanese policy. It has been studied in relation to Japan's overall opium drug policy or in relation to the Joseon Government-General's morphine countermeasures. The government-general cited individual sexual pursuit as the internal cause of Joseon. They thought that was the main cause of spreading morphine. Therefore, the Government-General emphasized that public opinion and social sanctions should be imposed rather than enacting laws. However, at the time, the media, including the Dong-A Ilbo, and intellectuals and civic groups had different opinions from the Government-General. They pointed out the lack of legislation and the lack of crackdown by police authorities, and paid more attention to the abuse of morphine injections by medical personnel. There is already some research results on the lack of legislation and the lack of crackdown by the police authorities. On the other hand, no specific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misuse of morphine by medical personnel. Therefore,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problem of morphine in colonial Joseon through the poor medical system in the region and the abuse of morphine by medical personnel. In short, Japan professed to spread the advanced medical system centered on Western medicine while colonizing Joseon. However, the local medical system in the 1920s was still insufficient. Rather, it has resulted in providing an environment that allows some insensitive medical personnels to spread morphine without hesitation. There was still a misconception about the efficacy of morphine, and the local medical system was inadequate. Unconscious medical personnel could easily fall into the temptation of morphine abuse. In addition, the government's light penalties for morphine and the lack of crackdown have also encouraged morphine abuse. Morphine abuse by not a few local medical personnel served as one of the main causes of morphine spread in the 1920s, and added social severity. 1920년대 식민지 조선의 사회문제 가운데 모르핀의 확산은 심각한 단계였다. 모르핀의 확산이 심각한 사회문제에 이르는데 여러 가지 원인들이 혼재되어 작용하였다. 그중 조선의 의료체계와 의료인들의 역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조선 내부의 원인으로 조선총독부는 당초 개인의 성적 추구를 모르핀 확산의 주요 원인으로 여기고 그 대책으로 법 제정보다는 여론 또는 사회적 제재를 강조하였다. 그러나 당시 동아일보 등 언론과 지식인, 시민단체 등에서는 개인의 성적 추구보다는 법 제정의 미비, 경찰 당국의 단속 부족과 더불어 의료인들의 모르핀 주사 오남용 등에 더 주목하였다. 조선총독부의 법 제정 미비와 경찰 당국의 단속 부족에 대해서는 이미 일정한 연구 성과가 있다. 반면 의료인들의 모르핀 오남용과 관련해서는 아직까지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식민지 조선의 모르핀 문제를 지방의 열악한 의료체계와 의료인들의 모르핀 오남용 문제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일본은 조선을 식민지화하면서 대외적 정당성 확보를 위해 서양의학 중심의 선진 의료체계의 보급을 내세웠다. 그러나 20년이 지난 시점에도 지방의 의료체계는 매우 열악하였다. 1910년대 조선총독부가 지방에 시행한 의료정책으로 13개 도에 慈惠醫院이 설치되었고 보완책으로 公醫제도가 마련되었다. 그럼에도 의료혜택은 여전히 도청소재지 등 일부 지역에 한정되어 있었다. 1925년에는 일본 정부의 재정 긴축의 영향으로 자혜의원이 道立醫院으로 변경되고 경영방식 또한 진료비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전환되면서 시료환자 비율이 대폭 감소되었다. 곤궁한 지방민의 의료혜택은 더욱 저조할 수밖에 없었다. 의료 소외지역을 위해 마련된 공의제도 역시 당초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였다. 농촌의 경우는 의료 환경이 더욱 열악하여 한의사인 의생의 역할이 압도적이었으며, 지방 벽촌의 경우에는 의생의 혜택도 쉽지 않았다. 이러한 의료 현실 속에서 1920년대에 모르핀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심각한 사회문제를 야기하였다. 모르핀의 확산에는 부도덕한 의료인들의 모르핀 오남용이라는 문제가 작용하고 있었다. 의료인들의 오남용이 빈발한 데에는 지방의 열악한 의료 현실이라는 환경이 있었다. 우선 개항 이래 지금까지 모르핀이 질병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믿는 사람들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이로 인해 의료인의 모르핀 주사 오남용이 쉽게 이루어졌다. 또한 1920년대 조선의 의료체계는 미비했고 의료인 수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었다. 여기에 본연의 사명을 망각한 채 돈벌이 수단으로 활용한 몰지각한 의료인들이 적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들 의료인에 의해 돈 없는 환자는 치료를 거부당하기 일쑤였고 돈 있는 환자는 모르핀 만성 중독에 빠져 가산을 탕진하게 되었다. 여기에 이 시기 모르핀과 관련한 처벌규정이 가벼웠다는 점은 의료인들의 몰상식한 행위가 도를 넘게 하였다. 모르핀을 오남용하는 행위에 두려움을 갖지 않았다는 것이다. 조선의 미비한 지방 의료체계를 보완하기 위해 조선총독부에서는 공의와 의생을 파견하였지만 이들 역시 처벌을 두려워하지 않으면서 모르핀이 오남용 되는데 일조하였다. 요컨대 일본은 조선을 식민지화하면서 서양의학 중심의 선진 의료체계의 보급을 공언하였지만 1920년대 지방의 의료체계는 여전히 미비하였고 오히려 일부 몰...

      • KCI등재

        1930년대 조선총독부 모르핀 대책의 실상

        박강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9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100

        일본의 조선 강점기 동안 조선에는 모르핀이 만연되어 심각한 사회문제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사회문제에 대해 조선총독부는 어떻게 대처했을까? 일본의 조선 강점기 조선총독부의 모르핀 대책과 관련하여 아직까지 깊이 있는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지만 모르핀 확산문제와 관련하여 대체로 실효성 있는 모르핀 대책이 부족하였다고 보고 있다. 1920년대의 경우 별다른 실효성 있는 대책이 없었으며 모르핀의 확산을 거의 방치하다시피 하였다는 주장이 많다. 1930년대의 경우 아편․마약과 관련된 국제회의 등을 통해 국내외적으로 모르핀의 해독에 대한 인식이 이미 널리 알려진 상황이었는데 이 시기에도 조선총독부의 모르핀 대책에는 변화가 없었던 것일까? 본 논문은 1930년대 조선총독부 모르핀 대책의 실상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모르핀 대책의 내용뿐만 아니라 일본의 전체 식민지 및 점령지의 아편․마약 수급 관계 속에서 그 진의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1920년대 식민지 조선은 모르핀 문제로 인해 심각한 사회문제를 겪고 있었다. 그것은 1914년에 반포된 조선총독부의 아편단속 강화방침과 관련이 있었다. 아편단속 강화방침으로 아편 흡연자는 감소되었지만 그 반작용으로 모르핀 등 마약 사용자가 증가하였던 것이다. 곧이어 1차 대전기에 유럽으로부터 수입하던 의료용 마약의 수입이 곤란해지자 조선총독부는 1919년 ‘조선아편취체령’을 공포하여 조선에서 대량의 아편을 생산하고자 하였다. 즉 일본과 조선에서 생산된 아편을 이용하여 모르핀 등 마약을 제조, 이를 수출하여 수익을 창출하려는 것이었다. 그러나 1차 대전이 일찍 종식되어 다시 값싼 유럽산 모르핀이 수입되면서 당초 계획에 차질이 빗어졌다. 이로써 조선과 일본에서 생산된 모르핀의 수출이 어려워졌다. 판로를 찾지 못한 모르핀이 오히려 조선에서 소비되면서 심각한 사회문제를 불러 일으켰다. 이러한 사회문제는 전적으로 조선총독부가 야기시킨 것이었다. 1914년 아편단속의 강화로 모르핀 등 마약 사용자가 증가한 상황에 대한 조치가 없었고 또한 1차 대전의 종식으로 조선에서의 모르핀 밀매 및 남용 가능성이 한층 높아진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모르핀 등 마약의 처벌규정을 강화하지 않은 조선총독부의 책임이 크다고 하겠다. 조선에 모르핀 문제가 심각해져 국내외적으로 부정적인 여론이 확산되자 조선총독부는 1930년에 세계 최초로 마약전매를 실시하였다. 당국에 의한 마약전매가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처벌규정의 강화가 전제되어야 했다. 이 시기의 마약전매는 마약 처벌규정이 강화되지 않으면서 내실 준비가 미흡하였다. 그 결과 당국의 마약전매가 오히려 마약환자의 증가를 조장하는 격이 되었다. 한편으로 기존 밀매업자들의 밀매 이익을 당국이 탈취하는 것에 불과한 것으로도 비춰졌다. 시기적으로 많이 늦었지만 5년 뒤인 1935년에 가서 강화된 처벌규정이 포함된 ‘조선마약취체령’이 공포되었다. 이로써 마약문제가 해결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곧 중일전쟁이 발발하면서 조선은 1차대전기 마약의 공급지로 주목받았듯이 다시 일본 세력권 내 아편의 주요 공급지로서 그 역할이 강제되었다. 1935년 ‘조선마약취체령’의 공포로 조선총독부 당국이 조선의 마약문제 해결에 적극 나선 것이 결과적으로 일본 세력권 내 부족한 아편의 공급문제 해결 방안과도 연계되었다고 하겠다. 요 ... During Japan's colonial rule of Korea, morphine became prevalent in Joseon, causing serious social problems. How did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respond to these social problems? Research on morphine measures by Japan's Government-General of Korea during its colonial rule of Korea is still lacking in professional research.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s countermeasures against the spread of morphine were not considered effective. In the 1920s, there were no effective measures. Many claim that morphine spread was almost neglected. In the 1930s, awareness of morphine detoxification was already well known at home and abroad through international conferences on opium and drugs. Was there any change in the Government-General's morphine countermeasure at this time? This paper attempted to clarify the reality of countermeasures against morphine o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the 1930s. This paper attempted to clarify the reality of countermeasures against morphine o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the 1930s. In addition to the contents of morphine countermeasures, this study attempted to grasp the truth through opium drug supply and demand in all colonies and occupied regions of Japan. In short, the morphine countermeasures o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the 1930s seemed to have been implemented to solve the serious social problems of Joseon, but behind this, it was promoted in connection with the opium drug policy on Japan's entire colony and occupied territory. During World War I, when imports of European morphine were difficult, Japan produced a large amount of opium in the Joseon Dynasty to manufacture morphine. It caused serious social problems in Joseon, but Japan had a purpose in pursuing profit.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did not properly deal with the serious drug problem in Joseon. It was not until 1935 that th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had tightened the drug punishment regulations. This resulted in a crackdown, but solving Joseon's social problems was not a priority either. The Joseon's morphine measures was devised in the context of solving the shortage of opium in the Japanese territory before and after the Sino-Japanese War.

      • KCI등재

        A Short Reveiw on the Acupoints Used in the Studies about Morphine Addiction

        이봉효,임성철,김재수,이윤규,이현종,정태영,정현정,감철우,Lee, Bong-Hyo,Lim, Sung-Chul,Kim, Jae-Su,Lee, Yun-Kyu,Lee, Hyun-Jong,Jung, Tae-Young,Jung, Hyun-Jung,Kam, Chul-Woo Society for Meridian and Acupoint 2012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ol.28 No.4

        목적 : 침 치료는 약물 중독을 위한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인정받은 이래 이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르핀 중독의 침 치료에 사용된 경혈 및 소속 경락에 대해 육경(六經)적인 관점에서 이를 해석하였다. 방법 : 미국 국립 의학도서관(PubMed)에서 "모르핀, 침"을 주제어로 하여 255개의 논문을 검색하였고, 한국학술정보(주)(KISS)에서 "모르핀"을 주제어로 하여 629개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영어로 기술된 논문만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모르핀에 대한 중독(남용, 의존, 민감화, 중독, 섭취, 금단 증상, 금단 증후군, 재발, 갈망)과 관련된 논문만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침 또는 전침을 사용한 논문만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침을 사용한 것은 제외하였다. 임상 연구와 실험 연구를 모두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 모르핀의 침 연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경혈은 족삼리-삼음교(足三里-三陰交)(전침, 10회)로 나타났고, 그 다음은 신문(神門)(5회)이었으며, 그밖에 합곡(合谷)(2회), 신유(腎兪)(1회), 내관(內關)(1회) 등의 경혈이 사용되었다. 족삼리(足三里)는 장부상통에 의해 심포경과 통하는 위경을 조절함으로써 스트레스 반응에 관계된 심포경을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모르핀 중독 연구에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음양이총혈의 하나인 삼음교(三陰交)는 정신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혈분을 다스리며 식욕을 조절하는 기능 또한 이러한 효능에 관련된 것으로 사료된다. 수소음심경의 원혈인 신문(神門)은 뇌와 관계된 소속 경맥의 기능 및 혈명으로부터 정신 기능을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양계(陽谿)는 양명경의 원혈로서 상통하는 궐음경을 조절함으로써 스트레스 반응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신유(腎兪)는 소속 경맥이 뇌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된 것으로 사료된다. 내관(內關)은 모르핀 중독에 수반되는 스트레스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결론 : 모르핀 연구에 사용된 경혈은 다양한 기전을 통해 뇌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스트레스 반응을 조절하는 것이 이에 관련된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 Since acupuncture was accepted as an useful therapy for the drug addiction, a lot of studies about acupuncture have been carried ou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view the articles about morphine addiction which used acupuncture as a treatment and to interpret the use of acupoints from the viewpoint of Six-meridian (Yuk Gyeong, three yin and three yang) theory. Methods : The authors searched 255 articles in PubMed with the key word of "morphine, acupuncture" and 629 articles in KISS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with the key word of "morphine". The articles written in English only were included. The articles related with morphine (abuse, dependence, sensitization, addiction, intake, withdrawal sign, withdrawal syndrome, reinstatement, craving) only were included. The articles which used manual- or electro-acupuncture only were included and auricular acupuncture was excluded. Both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study were reivewed. Results : The most frequently used acupoint was ST36-SP6 (electroacupuncture), and the second was HT7. LI4 was the third, and BL23 and PC6 were also used. Conclusions : The acupoints used in the morphine study seem to influence the brain through diverse mechanisms and it is thought that control of the reaction against stress appears to be related with these mechanisms.

      • KCI등재

        1930년대 재일 한인 마약 중독자의 실태와 원인 - 도쿄부(東京府)를 중심으로 -

        박강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1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09

        After Japan's occupation of Korea, many Koreans moved to Japan in the 1920s and 1930s. Among them, many were from the southern regions of Joseon (South Jeolla Province, South Gyeongsang Province). At that time, the morphine problem was serious in the southern region of Joseon. These facts have given Japan concerns. Japan was concerned about the spread of morphine in Japan through Koreans moved to Japan. Accordingly, morphine addicts have been banned from sailing since 1925. However, the problem of morphine addiction among Koreans living in Japan was still serious. In the case of Tokyo in 1932, it was reported that the number of morphine addicts reached 3,000, or 7~7.5% of the Korean population. In 1932, the problem of Korean drug addicts living in Tokyo was serious. Many of these Korean drug addicts were engaged in the lowest level of labor. These addicts were generally difficult to receive proper relief due to the indifference and neglect of Japanese government officials. They also received relief from some private aid organizations. It was difficult for these addicts to receive adequate relief. This is because Japanese officials were usually indifferent and neglectful. Some even received relief from private aid organizations. However, it was difficult to say that the achievements were significant due to the neglect of the Japanese authorities. There was also a view to find out the main causes of addiction among Korean drug addicts in Japan in relation to Joseon and Koreans in Japan. However, as a result of examining so far, it can be seen that the main cause is more related to the domestic situation in Japan than to the serious relationship with Joseon where the drug problem is serious. In other words, the main cause is the misuse of morphine by immoral Japanese medical professionals who are blind to money. On top of that, it can be said that the Korean compatriots broker, who abused the situation of economically difficult Korean compatriots and cooperated with Japanese medical personnel, played a part. 지금까지 일본의 조선 강점기 한인의 일본 이주사 연구 및 재일 한인 사회 연구에서 마약문제 연구는 관심 밖에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한인의 도일이 활발했던 1930년대 도쿄부를 중심으로 재일 한인의 마약문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도일 한인 마약 중독문제의 주요 원인과 관련하여 당시 국내 언론과 최근 이 분야 연구 중에는 당시 조선의 마약문제와 관련지어 보는 시각이 있었다. 따라서 이 문제를 구체적으로 밝히기 위해서도 재일 한인 마약 중독자의 실태와 원인 규명에 주목할 필요가 있었다. 일본의 조선 강점 이후 1920~30년대 조선 남부지역(전라남북도, 경상남북도) 출신을 중심으로 많은 한인들이 일본으로 건너갔다. 이들의 대부분은 경제적인 요인 등으로 도일하고 인접성으로 일본을 선호하였다. 도쿄를 포함하여 일본 전 지역에 산재한 재일 한인의 출신지역을 조사해 본 결과도 조선 남부지역 출신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이 시기 도일 한인들의 직업은 일본인들이 기피하는 저임금에 힘들고 위험한 최하층 노동직이 가장 많았다. 당시 일본 내지의 경제상황, 실업상황, 치안상황 등을 감안하여 도일 관리정책을 실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한인들의 도일은 지속적이었다. 재일 한인 가운데 조선 남부 출신이 가장 많았고 당시 조선 남부에서 모르핀 문제가 심각했다는 사실은 일본에게 우려를 주었다. 일본은 1920년대 조선 내 마약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도일 한인을 통한 일본 내 모르핀의 전파 및 확산을 우려하여 1925년 이후 모르핀 중독자의 도항을 금지시켰다. 모르핀 중독자의 도항 금지는 지속되었고 한인의 도일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1920년대 전반 10만 이하이던 재일 한인은 1930년대에 수십만으로 늘었다. 그런데 재일 한인의 모르핀 중독문제는 여전히 심각한 상황이었다. 1932년 도쿄의 경우 모르핀 중독자는 한인 인구의 7~7.5% 정도인 3천 명에 달하였다고 보도되었다. 1932년 도쿄 거주 한인 마약 중독자 문제는 심각한 상황이었으며 이들 한인 마약 중독자 가운데는 일본인들이 힘들고 위험하다고 기피하는 최하층 노동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이들 중독자들은 대체로 일본 관헌들의 무관심과 방관으로 인해 제대로 구호받기도 어려웠다. 일부 민간 구호단체의 구호 혜택을 받기도 하였지만 일본 당국의 외면으로 그 성과는 크다고 하기 어려웠다. 이들 재일 한인 마약 중독자의 주요 중독 원인에 대해 조선과 도일 한인과의 관련 속에서 찾으려는 시각도 존재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 살펴본 결과 주요 원인은 마약문제가 심각한 조선과의 관련성보다는 일본 국내 상황과 더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돈에 눈이 먼 부도덕한 일본인 의료인들의 모르핀 오남용이 주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 경제적으로 어려운 한인 동포들의 상황을 악용하여 일본인 의료인들과 협잡을 일삼은 한인 동포 브로커가 한 몫을 보탰다고 하겠다.

      • KCI등재

        Duration Pattern of the Effect of Acupuncture at HT7 in Morphine Self-administration

        이봉효,박서영,이지혜,임성철,김재수,이윤규,정태영,양재하,윤성순,이경민 대한침구의학회 2010 대한침구의학회지 Vol.27 No.4

        목적 : 기존 연구에서 신문혈 자침은 알코올 및 코카인을 자가섭취하는 동물 모델에서 효과적이라는 점이 밝혀졌으며, 또한 모르핀 자가섭취를 억제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자침의 효과가 얼마나 지속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재료 및 방법 : 체중 270~300g의 수컷 SD계 흰쥐를 이용하였다. 먹이섭취 훈련을 통과한 후 오른쪽 경정맥에 관을 삽입하는 수술을 거쳐, 0.1㎎/㎏의 모르핀을 매일 1시간, 총 3주 동안 자가섭취 하도록 하였다. 모르핀을 일정하게 섭취한 동물에게는 다음날 침술을 시행하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GABAA 및 GABAB 길항제를 자침 30분 전에 투여하여 침술의 효능과 GABA 수용체계 사이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결과 : 모르핀 자가섭취를 억제하는 신문혈 자침의 효과는 매일 비슷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4일째에는 유의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5일째와 6일째에는 다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 뒤집어진 U 자형 곡선을 나타내었다. 또한 GABA 수용체의 길항제들은 자침의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을 때 이를 차단하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 : 모르핀 중독 치료에서 침술의 효과는 항상 비슷하게 발휘되는 것이 아니므로 침 치료는 적어도 1주일에 2회 이상 받을 필요가 있다. 아울러 보다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하여 뇌신경 체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해방 이후의 마약문제와 사회적 인식

        조석연(Cho, Seok Yeon) 한국사학회 2012 史學硏究 Vol.- No.108

        전통시기 민간에서 자생적으로 재배되는 양귀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비교적 관대한 것이었다. 전통사회에서는 일반적으로 농가에서 양귀비를 몇 포기씩 심어 가정상비약으로 사용해 왔다. 양귀비의 미숙한 과피에서 나오는 아편은 필요시 복용하면 그 효과가 매우 좋아 일반 가정에 비치되어 있는 아편덩어리는 흔히 볼 수 있는 광경이었다. 이때는 無醫無藥村이 많고 의약품도 부족했던 시절이었기 때문에 의원을 찾아가기 어려운 경우 ‘만병통치약’으로 알려져 있던 아편을 일정량씩 구비해 두며, 필요시 소량 복용하곤 하였다. 일제시기에는 아편의 흡연뿐 아니라 여기에서 정제한 물질인 모르핀이 일반에 의료용으로 사용되어졌다. 이는 의사의 처방에 의하여 한정된 양만을 투약하여야 하지만, 모르핀을 처방하는 사람이나 처방받는 사람 모두 중독성이나 위험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고, 일제도 이러한 모르핀 사용에 대해 비교적 관대한 정책을 실시하여 많은 오남용 피해자들이 중독자로 전락하였다. 전통사회부터 일반에게 아편은 가정상비약과 같이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마약’을 ‘범죄’의 개념으로 인식하기 어려웠던 것이다. 하지만 그들은 해방을 거치며 점차 사회로부터 새롭게 규정되어 갔다. ‘건국기’ 라는 특수한 상황과 통일민족국가 수립이라는 시대적 과제에 있어 중독자들은 ‘민족’의 건국을 방해하는 ‘반민족적’인 무리로 형상화되었다. 또한 이들은 ‘국민’의 의무로 규정된 마약에 관한 권리를 국가에 넘기지 않은 존재들이었으므로 선거권을 부여받지 못하거나 사면 대상에서 제외되는 등 ‘국민 外’의 대상으로 규정되어졌다. 따라서 이들은 ‘국민’으로서 갖는 기본적 권리와 사회적 기회를 제공받을 수 없었다. 또한 이 시기 마약문제에 대한 사회적 의식은 형성되고 있었지만, 당국은 해방과 좌우대립, 정부수립과 전쟁, 전후복구 등의 역사적 과제 앞에서 기본적 보건문제의 해결 외에 마약문제에 대한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지 못하였고, 따라서 이 시기 마약문제와 그 방안을 인간양심의 의무와 사회윤리의 측면, 즉 ‘국민’의 역할로 강조하는데 그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중독자들은 사회적으로 ‘국민’에서 분리되기 시작하였으며, 해당 시기의 사회적 상황과 필요에 따라 ‘戰力의 소진’이나 국가경제를 해치는 ‘社會惡’으로 규정되고 형상화되었던 것이다. This thesis is the narcotic problems at a nation building process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That researches outline is as the following. National recognition of poppies cultivated by the people is comparatively generous in a traditional society. People had cultivated poppies to utilize them as home medicine in agricultural districts in Korea. Opium gathered on the poppy"s skin takes effects as medicine for internal use, so it was not difficult to see that people had at least a lump of opium at home. At that time a lot of agricultural village didn"t have a hospital and a medicine was always insufficient. Opium was known as a remedy for every ill and people used to take opium they had at home whenever it was required.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Morphine refined from opium was used for a medicine to people as well. Generally morphia had to be used restrictively as prescribed by a doctor, but patients as well as doctors were not aware of its danger and toxicity. Furthermore Japan employed a generous policy on opium, so a lot of people were addicted by opium. Opium had been recognized as household medicine but not as a narcotic. People could not recognize morphinism as a crime. They were certainly patients and scapegoats by the wrong state policies. But they were regarded as a criminal, a social evil, in a special situation of nation building after liberalization. they also were treated as a group disturbing nation building in a time of establishing a united nation of people. Therefore, they did not offer a social opportunity to protection. At this era, even though state had a social conscience of drug problem from the liberalization through 1950s, she could not deal with the drug problem specifically and positively, because of the war and the struggle of ideology between south and north, because of a historical matter like a nation reconstruction after war, because of a trouble building up the basic health problem. Therefore, emphasized to duty of human"s conscience and social moral principle problem that do not take narcotic. State made a social role and status of everyone, regardless of the controlled or the controller, about drug control, enlarging the power of drug control step by step. So to speak, state began to warn the narcotic addicts socially and ethically in a time of liberalization. In the end, after the war came to an end, she treated them as a social evil. On the one hand, in a institutional point of view, state made a narcotic act in 1957 to support span of state control.

      • KCI등재

        일제강점기 도립의원의 변화와 한계(1925–1945): 질병 치료 기능을 중심으로

        이방원 의료역사연구회 2023 의료사회사연구 Vol.12 No.-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존재했던 도립의원의 기능 중 하나인 ‘질병 치료’를 중심으로 지방의료환경의 변화와 그 변화 속에 존재하였던 한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일제강점기 도립의원은 해방되는 1945년까지 지방의중추 지방의료기관으로서 일본인과 조선인의 질병을 치료하였다. 해방기까지 전국에 설립된 46개의 도립의원의규모는 각각 상당한 차이를 보였으나 지속적으로 의사수가 증가하고 진료분과도 세분화되었다. 도립의원의 전신인 자혜의원은 환자를 수가환자와 시료환자로 구분하고, 경제적으로 열악한 조선인들을 무료로 치료해주는규정을 제정하였으며 1912년부터는 순회진료도 시작하여 의료혜택이 미치는 못하는 벽지의 환자도 치료하였다. 그러나 1920년 이후, 1925년 도립의원으로의 전환 이후, 1930년대를 거치면서 조선인 시료환자가 도립의원에서치료받는 비율은 급감하여 1940년에는 3.75%가 되었으며, 순회진료도 시행하는 도립의원의 수와 그 빈도수가적어져 유명무실하게 되었다. 도립의원은 전염병, 모르핀 중독, 결핵 등 일반 병원에서치료하기 어려운 질병을 치료하는 거점 병원으로서의 역할도 담당하였다. 전염병을 위한 격리병사는 설립 초기부터 설치하였으며, 전염병이 발발하면 환자를 격리 수용하였다. 그러나 대부분 도립의원의 전염병실은 수가환자를 위한 병실이었고, 안성과 평양의 도립의원만 전염병 시료환자를 위한 병상이 있었으며 그 수도 총 14개로매우 미미한 수준이었다. 모르핀 중독자에 대한 조선총독부의 정책 수행으로, 1927년 이후 지정된 도립의원에서 모르핀 중독 환자를 강제 수용하여 몇 달에 걸려 치료하고 완치 판정 후 퇴원시켰다. 이런 과정을 거쳐 1930년대 후반에는 일제당국은 모르핀 중독 환자들이 없어졌다고 평가하였다. 결핵 환자를 위한 적극적인 국가의 정책은 1936년 시작되었다. 도립의원 중 결핵 환자를 위한 격리병실을 따로 설립한 도립의원들이 생겨나게 되었으나 당시 전국에 분포한결핵 환자 수에 비하면 그 병상 수가 매우 부족하였으며 결핵 시료환자를위한 병상은 전무하였다. 일제강점기 도립의원이 서구 의술을 경험할 수 있는 지방거점병원으로 질병치료를 위한 여러 활동을 수행하였으나, 의사소통의 문제와 민족적 차별로인해 조선인들이 받은 상대적 박탈감은 컸으며 당시 경제적으로 어려웠던조선인에게는 시료의 기회가 적어져 실질적인 혜택은 일제 당국이 표방했던것과는 큰 괴리가 있었다.

      • KCI등재후보

        호스피스 병동의 암환자에서 경막외 모르핀 주입을 이용한 통증 조절

        이장은,허기훈,강유진,전연수,이옥경,심병용,김훈교,Lee, Jang-Eun,Hur, Ki-Hoon,Kang, Yoo-Jin,Jeon, Yon-Soo,Lee, Ok-Kyung,Shim, Byoung-Yong,Kim, Hoon-Kyo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8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1 No.3

        목적: 경막외 모르핀 주입을 시행 받은 호스피스 병동의 암환자에서 통증 조절의 효율성과 안전성, 합병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1년 3월부터 2004년 3월까지 3년간 성빈센트병원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환자 중 경막외 모르핀 주입을 시행한 24명에 대해 환자의 일반 특성과 모르핀 등가용량, 기저 질환, 도관의 거치기간 등에 대해 후향 적으로 자료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들은 위암, 췌장암이 각각 5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경막외 모르핀 주입 부위는 흉추가 15명으로 가장 많았다. 시행 당시의 기저 모르핀 등가 용량(morphine equivalent daily dose, MEDD)은 615 mg이었다. 경막외 모르핀 주입을 시행 받고 1주일 뒤의 MEDD는 274 mg으로 효과적인 통증 조절이 가능하였다(P-value=0.000). 경막외 도관을 제거한 환자는 6명으로 이중 3명은 재 삽입하였다. 도관의 감염으로 인하여 제거한 환자는 2명이었다. 결론: 호스피스 병동에서 시행한 경막외 지속적 모르핀 주입은 진행한 암 환자의 통증 조절에 효율적이었으며 도관의 위치 변동, 감염으로 인하여 제거한 경우가 있었으나 조절 가능한 합병증이었다. 다만 1일 주사용 모르핀 요구량이 100 mg일 때 경막하 모르핀 주입법을 통한 통증 조절을 권하더라도 동의를 얻는데 걸리는 기간 중 기저 질환의 악화 등으로 인한 투여 모르핀 용량의 증량으로 경막외 모르핀 주입 당시 평균 MEDD는 615 mg이었다. 향후 환자 및 보호자들에게 경막외 모르핀 주입의 효율성과 안전성에 대한 정보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Epidural morphine infusion has been used to control pain in cancer patients whose cancer pain can not be controlled high dose intravenous morphine injection. To study the effectiveness and side effects of epidural morphine for the treatment of cancer pain in terminal patients at Hospice Ward, we evaluated the change in morphine equivalent daily dose for effectiveness and complications of epidural morphine infusion.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24 terminal cancer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continuous epidural morphine between 2001 and 2004 at Hospice Ward of St. Vincent's Hospital. Results: The median of baseline morphine equivalent daily dose was 615 mg, whereas the median dose of initial epidural morphine was 16 mg. The median of morphine daily equivalent daily dose dropped from 615 mg to 274 mg in one week after epidural morphine infusion therapy (P-value=0.000). The median survival from the time of the first catheter insertion was 35 days. In 6 patients, the catheter was removed due to complications, however the catheter was reinserted in 3 patients. Conclusion: Cancer pain management by epidural morphine infusion is very effective method with low rate of severe complication.

      • KCI등재

        모르핀 중독의 침 연구에 사용된 경혈(經穴)에 대한 소고(小考)

        이봉효 ( Bong Hyo Le ),임성철 ( Sung Chul Lim ),김재수 ( Jae Su Kim ),이윤규 ( Yun Kyu Lee ),이현종 ( Hyun Jong Lee ),정태영 ( Tae Young Jung ),정현정 ( Hyun Jung Jung ),감철우 ( Chul Woo Kam ) 경락경혈학회 2012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ol.29 No.2

        Objectives: Since acupuncture was accepted as an useful therapy for the drug addiction, a lot of studies about acupuncture have been carried ou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view the articles about morphine addiction which used acupuncture as a treatment and to interpret the use of acupoints from the viewpoint of Six-meridian (Yuk Gyeong, three yin and three yang) theory. Methods: The authors searched 255 articles in PubMed with the key word of morphine, acupuncture and 629 articles in KISS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with the key word of morphine. The articles written in English only were included. The articles related with morphine (abuse, dependence, sensitization, addiction, intake, withdrawal sign, withdrawal syndrome, reinstatement, craving) only were included, The articles which used manual- or electro-acupuncture only were included and auricular acupuncture was excluded, Both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study were reivewed, Results: The most frequently used acupoint was ST36-SP6 (electroacupuncture), and the second was HT7, LI4 was the third, and BL23 and PC6 were also used. Conclusions: The acupoints used in the morphine study seem to influence the brain through diverse mechanisms and it is thought that control of the reaction against stress appears to be related with these mechanisms.

      • KCI등재

        정주와 이주사이의 동아시아; 일제강점기 경성의 중국인거리와 魔窟 이미지의 정치성

        오미일 ( Mi Il Oh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3 동방학지 Vol.163 No.-

        이 글은 ‘되놈’ ‘아편장이’란 命名에 내재된 화교에 대한 인종적 차별의식이, 제국주의 지배 하 식민지 상황에서 어떻게 발현되고 사회화되어 후세대에게 전승되는지에 대해 분석한 글이다. 여기에서는 특히 그러한 차별인식이 ‘중국인거리’란 특정 장소의 로컬리티로 이미지화되고, 이후 그 로컬리티가 중국인 일반의 사회적 정체성으로 투사되어 정형화되는 과정을 해명하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경성의 중국인사회는 1880년대부터 이주, 정착하기 시작하여 다양한 계층으로 구성되었다. 일본인이나 조선인을 압도할 정도로 조선의 상업계를 주도한 豪商들은 주로 수표정과 관수동에 많이 거주했다. 그러나 아직 공간적으로 중국인마을이라고 할 뚜렷한 할거지역은 없었다. 1920년대에 들어서 華工들이 유입되면서 남대문에서 서쪽 방향인 장곡천정?북미창정?태평통 2정목?서소문정으로 주거지가 확대되었다. 특히 1920년대 말에 서소문정은 중국인이 조선인이나 일본인보다 압도적 다수를 차지하는 중국인마을이 되어 이 거리를 지나게 되면, 마치 중국 山東省 어느 곳에 온 듯한 느낌을 가질 정도였다. 중국인거리는 뒷골목 주택가에 숨어 있는 아편굴과 매음굴을 매개로 식민주의 언론과 조선인 언론에 의해 ‘獵奇街’ ‘魔窟’로 이미지화되었으며, 이러한 이미지는 이 공간에 거주하는 중국인의 사회정체성으로 정형화되어 한국사회에 전승되게 되었다. 그런데 그 배경에는 중국인의 아편 밀매에 대해서는 철저하게 단속하되 일본인의 모르핀 밀수에는 적당히 관대했던 조선총독부의 정치적 의도가 주효하게 작용했다. 중국인거리의 마굴 이미지화에는 또한 당시 노동시장에서 중국인에 의한 조선인의 구축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던 시대상황도 크게 작용했다. 최저생계비 이하의 임금을 받는 화공은 조선인들에게 인간으로서의 기본권마저 침해하는 파렴치한 존재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생존권의 自衛 차원에서 화공은 추방되어야 할 대상으로 간주되었고, 그들이 살고 있는 공간은 청소되어야 할 마굴로 이미지화되었던 것이다. This article analyzes how racism against overseas Chinese hidden in the naming such as ‘Doinom’ or ‘opium eater’ was revealed in the circumstances of colonialism, under the imperialist governance, and how it was passed down to descendants. It especially focuses on explaining the process that the racism was made images as locality of a specific place, ‘the Chinese Street’, and the locality was standardized being projected as the social identity of Chinese people. Chinese society in Kyeongseong started to be established from 1880’, and was made up of various classes. Wealthy merchants who led commercial circles of Joseon overwhelming Japanese or Joseon people mostly resided in Supyojung(水標町) and Kwansudong(觀水洞). However, there was no distinguished region of independence that could be called a Chinese town yet. As laborers started to flow in from 1920s, their residential areas were expanded to Janggogcheonjung(長谷川町), Bukmichangjung(北米倉町), Taepyeongtong 2 Jungmok(太平町 2町目), and Seosomunjung(西小門町), which were located west of the South Gate. Especially, in the late 1920s, Seosomunjung came to be a Chinese town that the number of Chinese overwhelmed that of Joseon people or Japanese, and so ones even could feel like being in some place of Shantung Province of China when they passed by this street. The Chinese Street was made images as ‘the lair of devils’ or ‘underworld’ by the press of colonialism and Joseon people due to dens of opium and prostitution hidden in the ghetto. By the way, on the background, the political intention of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that was strict towards illicit sale of opium of Chinese yet generous towards morphine smuggling of Japanese was effectual. At that time, the state of the period that establishment of Joseon people by Chinese was came to be a social issue also greatly worked for the images of the lair of devils in the Chinese Street. Chinese laborers who received wages lower than the minimum cost of living were recognized by Joseon people as shameless fellows who even violate the basic human rights. Thus, in the aspect of self-defense of rights for living, Chinese laborers were considered targets that should be expelled, and the Chinese Street where they were living was made images as the lair of devils that should be rem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