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경적 설교를 위한 명제형 주제의 이론적 타당성과 실천적 활용법 연구

        채경락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7 복음과 실천신학 Vol.43 No.-

        본 논문은 강해설교의 명제형 주제 설정의 해석학적 타당성을 논증하고, 실 제 설교에서 그것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명제 형 주제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설교학자들 사이에 만장일치가 이루어진다고 해 도 과언이 아니다. 설교 작성법의 중심에는 거의 예외 없이 주제 설정 단계가 자리하고 있다. 그러나 그것의 해석학적 타당성에 대해서는 충분한 논의가 이 루어지지 않았다. 성경에는 내러티브와 시 등의 다양한 장르가 활용되는데, 모 든 장르를 초월하여 명제형 주제를 설정하는 것이 해석학적으로 타당한가? 본 논문은 강해설교자가 추구하는 저자-지향적 해석학에 기초하여, 명제형 주제의 설정은 해석학적으로 타당하다고 주장한다. 저자-지향적 해석학에 의 하면, 본문의 의미는 곧 저자의 의도다. 인격자인 저자의 의도가 곧 본문의 의 미라는 말이다. 여기에 인격자의 의도는 명제형 문장으로 가장 잘 표현된다는 철학적 논의를 도입하면, 인격자자인 저자의 의도로서의 본문의 의미는 명제 형 문장으로 가장 잘 표현된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여기서 명제형 설교와 명제형 주제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명제형 주제는 설교 전체를 명제로 채우는 것이 아니라, 설교의 중심에 선 주제를 명제로 기 술하는 것이다. 내러티브 본문과 명제형 주제는 양자택일의 관계가 아니라, 효 과적 설교를 위한 협업의 관계다. 내러티브와 시는 정서적인 파워는 강하지만, 의미의 선명성에 있어서는 약점을 보이는 수가 있는데, 명제형 주제의 선명성 이 약점을 보완한다. 더욱이, 명제형 주제는 그 선명성으로 인하여 청중의 설 교 참여, 즉 반응 참여를 위한 토대를 제공한다. 청중은 설교 작성자가 아니라 반응자로서 설교에 참여한다. 청중이 설교에 반응하려면, 먼저 메시지를 분명 하게 이해해야 하는데, 명제형 주제가 설교에 선명성을 공급한다. 본 논문은 원포인트 설교와 대지형 설교를 중심으로 명제형 주제의 구체적 인활용방안을제언한다.‘ 주제개설-해석-적용-결론’구도의원포인트형식 을 사용하면, 설정된 명제형 주제를 네 번 강조할 수 있다. 대지형 설교에서도, 전통적인 대등형 흐름보다 점층형 흐름을 활용함으로써, 보다 선명하게 명제 형 주제를 선포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강해설교자에게 선명한 명 제형 주제를 설정하고 설교의 중심에 세울 것을 강력하게 권한다. This paper aims to show the hermeneutical validity of the propositional theme in expository preaching, and its practical usage for powerful preaching.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homileticians are unanimous about the necessity of the propositional theme, so that every sermon preparation procedure has the determining of the sermon theme at its center. But there has not been enough discussion about its hermeneutical validity. Bible makes use of a variety of genres including narrative, poem, etc. Is it hermeneutically valid to establish a propositional theme regardless of the textual genre?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expositors’ establishment of the propositional theme is hermeneutically valid on the basis of the authororiented hermeneutic that expositors pursue. According to the authororiented hermeneutic, the meaning of the text is equal to the author’s intention. In other words, the personal intention of the author is what the text means. By combining the philosophical demonstration that a person’s intention can be best expressed in the propositional sentence, we come to conclude that the textual meaning as the personal intention of the author is best expressed in a propositional sentence. Here we must distinguish the propositional theme from the propositional sermon. To establish a propositional theme is just to establish a central theme of the sermon at its center, but not fill the whole sermon with propositions. Preachers do not need to choose between the narrative text and the propositional theme because the two are cooperative partners to each other for powerful preaching. Narratives and poems are very strong in terms of emotional power, but a little weak in terms of clarity, for which the propositional theme can compensate. Moreover, the propositional theme’s clarity encourages the audience’s reactional participation to the preaching. Audience participates in the sermon, not as the producer of it but as the reactor to it. In order to react, they must clearly understand what the sermon says, and the propositional theme is the foundation of the sermon’s clarity. This paper suggests two sermon structure for clear proclamation of the propositional theme: one-point structure, and intensifying structure. By using what this paper calls the one-point structure with the flow of ‘the theme presentation-textual interpretation-audience applicationconclusion’, preachers can emphatically proclaim the propositional theme, at least four times. Three-point preachers also can clearly proclaim it by using the intensifying structure. In conclusion, the paper encourages strongly those expositors to establish a clear propositional theme, and to place it at the center of sermon preparation and delivery.

      • KCI등재

        화이트헤드의 명제론 연구

        전철(Chun, Chul) 대한철학회 2010 哲學硏究 Vol.116 No.-

        화이트헤드의 실재론은 형이상학과 이후의 수리철학적 전통 뿐만이 아니라 20세기의 언어이론과 분석철학에 있어서도 다양한 기여를 하였다. 화이트헤드의 명제 개념 또한 인식과 언어와 상징을 포괄적으로 다루는 형이상학적인 성찰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화이트헤드에 의하면 명제의 일차적인 기능은 느낌을 위한 유혹으로 정의된다. 또한 명제에 대한 경험은 가능성과 현실성의 결합의 경험을 뜻한다. 이러한 점에서 명제의 실현은 각각의 현실성들이 새로운 방식으로 주체의 명제경험을 통하여 구현되고 탄생되어짐을 함축한다. 화이트헤드의 명제 개념의 구상에는 세계 경험들의 다차원적인 구현을 논리적으로 범주화하려는 목적이 함축되어 있다. 이는 우주의 생생한 발현의 국면들을 논리적으로 해명하려는 화이트헤드 형이상학의 전체적인 성격와 연관된 지점이기도 하다. 그에 의하면 명제는 주체에게 언어를 수행하도록 하는 전언어적인 근본 범주이다. 화이트헤드의 이러한 명제-시스템은 주체의 다차원적인 현실의 해석가능성과 언어의 구체적 수행을 가능하게 논리적 토대가 된다. 명제에 관한 화이트헤드 사유의 점진적인 흐름과 발전의 시선에서 보면, 화이트헤드의 명제론은 명제가 특정한 개별적 주체의 세계와 언어수행에 어떻게 개입되고 발현되는지를 현실의 창조적 전진의 맥락에서 효과적으로 설명하려는 시도로 이해 될 수 있다. 이러한 화이트헤드의 명제론에 대한 독특한 구상을 주목하는 이 연구는 화이트헤드의 형이상학적 체계에서 그의 명제론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특히 화이트헤드의 명제론이 현실을 새로움과 창조성의 구현의 무대로 진술하는 그의 약동의 세계관에 어떠한 방식으로 긴밀하게 기여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Whitehead’s metaphysics and philosophy of nature rest on his awareness of the metaphysical problem of the relation between “I", the “creative advance" and forces of the universe. Whitehead attempted to systematize human experience of the world based on logical explorations. In this context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his discussion of proposition and language is closely connected with his works on a systematic theory of nature. Whitehead proposes a metaphysical concept of proposition also based on the creative advance of the universe. His theory of proposition is designed to show that human language is constructions of the relations between logical and real events in the creative universe which refer to a particular point of view. In this view, a variety of verbal possibilities in the multiple worlds can be realized in the same proposition. For Whitehead the emergence of novelty in the function of proposition is an essential property of the creative universe. This paper will try to give a discussion to Whitehead’s theory of proposition with regard to the emergence of nature. Especially emphasize in this paper Whitehead’s idea and meaning of proposi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Creative advance of nature as one aspect of particular importance.

      • KCI등재

        라즈의 원천 명제

        엄순영 한국법철학회 2015 법철학연구 Vol.18 No.3

        The sources thesis is the basic of Joseph Raz’s legal philosophy. In this article, five features encompass the sources thesis and then this thesis is compared with the incorporation thesis and the coherence thesis. Five features, 1. The scope of law in the sources thesis is the narrowest of other theses and so the range of legal authority reduces that much. 2. The seperation of law and morality doesn’t mean the remote correlation of both. 3. The law as institutional fact relates to complexity and belief. 4. The courts decide not only legal application but also correct law and form. 5. The legal validity is different from a duty to obey law. The next the sources thesis is compared with the coherence thesis. I defend the sources thesis that coherence thesis containing the moral justification in law guides the court to judge a case according to undecided law and then to be legislator and that affirms the judicial discretion. Therefore according to the sources thesis, I think, judges have responsibility about his/her judgment in democratic public sphere. The last the sources thesis is compared with the incorporation thesis. In the incorporation thesis, the law consists of source-based and entailed by source-based law but in the sources thesis, ‘all law is source-based’. And so in the sources thesis, the judicial interpretation is comprised of legal application, creative interpretation about law and judicial discretion. Therefore sources thesis needs to have a perception of legal application, creative interpretion, the relevant social norm or morality and judical discretion and so on. I understand that the sources thesis lefts rule of recognition and internal point view in the domain of limit of law and liberal area about its argument, the possibility of legal exsistence without them. 원천 명제는 라즈 법사상의 출발점이다. 이에 필자는 원천 명제의 특징을 다섯 가지로 분류하고, 원천 명제를 포용 명제와 정합성 명제와 비교하면서 논의하였다. 다섯 가지의 원천 명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원천 명제의 법의 범위는 다른 명제와 비교해서 가장 좁다. 그래서 법의 권위가 적용되는 범위도 그만큼 축소된다. 2. 법과 도덕의 분리는 법과 도덕의 연관성을 부정하지 않는다. 3. 제도적 사실로서의 법은 복잡성과 신념과 연관된다. 4. 법원은 법적용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법을 수정하고 형성한다. 5. 법적 효력과 법준수의무는 구분된다. 다음으로 원천 명제를 정합성 명제와 비교하였다. 정합성 명제처럼 도덕적 정당화까지를 법의 범주에 포함하면, 결정되지 않은 법으로 재판을 하고, 재판이 입법이 된다는 원천 명제의 정합성 명제에 대한 비판적인 주장과 사법재량을 긍정하는 원천 명제의 입장을 필자는 옹호한다. 따라서 필자는 원천 명제가 판사에게 자신의 판결에 대한 민주적 공론의 책임을 부담하게 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원천 명제를 포용 명제와 비교하였다. 포용 명제가 법의 원천에 따라 논리적으로 추론된 것까지를 법으로 보는 것과 달리 원천 명제에서는 법의 원천에 따라 확인된 것만이 법이다. 따라서 원천 명제에서 사법해석은 법적용, 창조적 법해석, 사법재량이 함께 작동하는 공간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원천 명제에서는 판결에서 작용하는 법적용, 창조적 법해석, 그것에 엮여 있는 사회규범과 도덕, 사법재량 등등을 분류하고 각각을 분명하게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원천 명제에서 승인율과 내적 관점 없이 법 존재의 가능성을 주장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서 필자는 원천 명제가 내적 관점을 법의 한계 영역과 인간의 자유의 영역으로 남겨둔 것으로 이해한다.

      • KCI등재

        예술을 통한 명제적 지식의 획득 가능성에 대한 재고

        이해완 ( Hae Wan Lee ) 한국미학회 2016 美學 Vol.82 No.2

        문학 작품의 인지적 가치에 관한 인지주의와 반인지주의의 논쟁과 관련하여 이 글은 다음의 세 논점을 수립하고자 한다. 1) 이 문제에 대한 논의들이 명제적 지식의 후보로 전제하고 있는 것은 작품의 텍스트에 명시된 단언들, 혹은 작품의 해석에 의해 드러난 작품의 의미에 관한 명제들이다. 기존 논의는 이러한 명제들이 정당화된 참인 믿음일수 있는지를 따진다. 이러한 논의 방식 하에서라면 문학 작품을 위시한 예술이 명제적 지식을 준다는 결론을 유도하기는 어렵고 따라서 그럴수 있다는 논변들은 성공적이 못하다. 이것이 필자의 첫째 논점으로, 필자는 인지주의를 옹호하는 캐럴의 논변들을 비판하는 것으로 이를 보이고자 한다. 2) 명제적 지식을 포기한 인지주의자는 예술이 비명제적 지식 혹은 지식은 아니지만 보다 완화된 성격의 인지적 가치를 준다고 주장한다. 이것이 이 문제에 대한 합리적인 절충이라고 간주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비록 심정적인 지지를 얻을 수 있는 입장이라 하더라도, 이에 대한 불만족스러운 시각이 있을 수 있음을 지적하고자 한다. 3) 마지막으로 필자는 지식의 후보가 되는 명제를 기존의 방식과는 다르게 규정해 봄으로써 작품이 명제적 지식을 준다고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해 본다. 지식이 될 수 있는 명제는 작품이 직접적으로 혹은 해석을 통해 진술하는 명제(예를 들어, “인간은 이기적이다(p)”)가 아니라 작품에 관한 타당한 해석적 진술로 이루어진 명제(“이 작품은 ``p``라고 진술한다”)라는 것이 필자의 제안이다. 필자는 이것이 작품으로부터 얻을 수있는 세계에 대한 명제적 지식이라는 점, 인지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점, 인지주의의 난점인 명제적 지식과 예술적 가치와의 연관성 문제를 설명할 수 있다는 점을 들어, 만일 우리가 작품으로부터 얻는 명제적 지식을 고려해야만 한다면, 이러한 명제를 믿는 것이 그 하나의 가능성이됨을 설명하고자 한다. I will try to establish the following three points concerning the issue of whether art is a proper source of knowledge. First, so long as discussion of this matter continues within th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way, the conclusion that artworks (including literature) provide propositional knowledge is difficult to assert. By ``limitation of traditional way``, what I mean is the following: a) The explicitly stated content of a literary work and/or the meaning revealed through interpretation of that work are propositions asserted by the work, b) it is these propositions that may potentially constitute the propositional knowledge the work provides, and c) thus we must determine whether belief in these propositions amounts to having justified true beliefs. I argue against cognitivist``s argument, including Noel Carroll``s. If propositional knowledge should indeed be given up, some cognitivists instead suggest various kinds of non-propositional knowledge such as know-how or a certain kind of less rigorous cognitive value other than knowledge. This move is a reasonable compromise yet has some unsatisfactory aspects. My second point is to sketch these concerns. Finally, I will pursue the possibility of obtaining propositional knowledge from works of art by changing an element constituting the traditional way. My proposal is this: to get propositional knowledge from an artwork, what we should believe is not the proposition that the artwork is purported to assert, but rather a proposition constituted in such a way that the artwork and a true interpretative claim about it respectively occupy the role of subject and predicate in a sentence. For example, suppose there is an interpretive consensus concerning work W, that what W means (asserts, says) is that the loveless marriage is tragedy. Then the proposition that we are considering would not be that ``the loveless marriage is tragedy,`` but that ``W says that the loveless marriage is tragedy.`` This is a clear case of propositional knowledge because we can now explain why and how believing this proposition amounts to a justified true belief. It also explains why getting this type of knowledge is closely related with artistic value, while avoiding the difficulties that cognitivism currently faces.

      • KCI우수등재

        고르기아스의 세 명제와 에피데익티케 논증

        양태범(Tai-Bum Yang) 한국철학회 2007 철학 Vol.91 No.-

        고르기아스는 『있지 않는 것에 관하여』에서 자신의 세 명제를 증명한다. “어떠한 것도 있지 않다. 있다고 하더라도 인식되어질 수 없다. 있고 인식되어진다 하더라도 다른 이들에게 명료하게 되어질 수 없다.” 이 세 명제의 증명에서 고르기아스가 사용하는 논증방식은 내보이는 수사학, 이른바 에피데익티케의 방식이다. 본 논문에서는 고르기아스의 세 명제가 내보이는 수사학의 근본개념으로부터 어떻게 발생하였으며, 내보이는 수사학의 논의방식에 의해 어떻게 증명되는지를 보이고자 한다. 고르기아스는 있는 것들에 대해 말하는 자들이 있는 것들에 대해 그들이 받아들인 대로 그렇게 제시하는 말을 내보이는 말로 파악한다. 그로부터 내보이는 말이란 있는 것들에 대해 말하는 자들이 있는 것들을, 자신이 받아들인 대로, 그렇게 내보이면서 제시하는 말이다. 이런 내보이는 말의 근원적인 의미로부터 고르기아스의 제l명제가 성립한다. 왜냐하면 이런 내보이는 말은 어떤 있는 것 자체가 아니기에 어떤 것 자체는 어떤 이런 내보이는 말이 아니며, 그로부터 그것은 그런 어떠한 것도 아니며 그런 것으로는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렇게 내보이는 말의 근원적인 의미로부터 성립된 제1명제를 고르기아스는 자신의 고유한 증명과 멜리소스-제논식의 증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논증한다. 그에게 어떤 것 자체는 있지 않는 것이 지만, 그것은 있을 수도 있다는 문제 상황으로부터 성립된 테제, 그것은 있음으로도 있지 않음으로도 있지 않다는 명제를 고르기아스는 자신의 고유한 증명에서에 피데익티케의 방식으로 논증한다. 그리고 그것이 있다고 한다면, 그것은 하나이며 생성하지 않는 것이거나 여럿이며 생성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문제 상황으로부터 성립된 테제, 그것은 생성하지 않는 것으로도 생성하는 것으로도 하나로도 여럿으로도 있지 않다는 명제를 그런 존재론적인 술어들이란 내보이는 말일 뿐이라는 점에 근거해 논증한다. 이러한 논증과정에서 고르기아스는 제논처럼 시간과 공간을 있는 것의 조건으로 인정한다. 그런데 이 두 하위명제가 증명되면 그로부터 고르기아스의 제l명제가 말 그대로 증명된다. 그러나 이러한 논증과정 속에서 내보이는 말로 이해된 존재론적인 술어들은 있어야만 하고 있지 않는 것은 인식되어져서는 안 된다. 그로부터 어떤 것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인식되어질 수 없다는 명제가 성립한다. 이러한 제2명제를 고르기아스는 내보이는 말이 전제로 하고 있는 독사로서의 인식을 근거로 논증한다. 그리고 내보이는 말은 단순히 사물을 인식하는 말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자기가 인지한 것을 전달하고자 하는 말이다. 그러나 내보이는 말은 사물이 아니며 그것이 전제로 하는 인식방식을 고려할 때 자신이 인지한 것을 다른 사람에게 명료하게 전달할 수 없다. 이로부터 제3명제가 성립한다. 이것을 고르기아스는 내보이는 말의 의미전달구조 속에서 사물은 말이 아니며 아무도 다른 사람을 위해 상이한 것을 동일한 것으로 지각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논증한다.

      • KCI우수등재

        『도덕형이상학 정초』 1장에서 의무에 관한 세 명제

        강지영 한국철학회 2022 철학 Vol.- No.151

        In Chapter 1 of Groundwork of the Metaphysics of Moral, “the third proposition” (“Duty is the necessity of action from respect of law”) is explained as “the conclusion (‘Folgerung’) of the previous two propositions” (GMS IV: 400). However, since the first proposition was not presented in the text, and the concepts of “law” and “respect” appear in the third proposition for the first time,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how the contents of the previous propositions are included in the third proposition. As a result, there is controversy over 1) what exactly the first proposition is, and 2) whether the third proposition really includes the content of the first and second propositions, and if so, how.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define what the first proposition is and to present a clear interpretation of how Kant’s insistance that the third proposition is the “conclusion (‘Folgerung’) of the preceding two propositions” (GMS IV:400) should be understood. I will analyze pages 397 to 400 of Chapter 1 of Grondwork to formalize what the first proposition is, and clarify the context in which each proposition is presented and the meaning of the proposition in order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propositions. In this process, I will critically review the work of Allison (2011), Schöneker (2012) and Ludwig (2018), which are recent studies on the subject. 『도덕형이상학 정초』의 1장에서 “셋째 명제”는 “앞선 두 명제의 귀결”이라고 설명된다. 그러나 첫째 명제가 본문에 제시되지 않았고, 셋째 명제에는 “법칙”과 “존경” 개념이 처음으로 등장하기에 이전 명제들의 내용이 어떻게 셋째 명제에 포함되어 있는지 파악하기 어렵다. 그 결과 첫째 명제가 정확히 무엇인지, 그리고 셋째 명제가 정말로 첫째와 둘째 명제의 귀결인지, 만약 그렇다면 어떻게 그러한지에 대해 논란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의 목표는 첫째 명제가 무엇인지 규정하고 셋째 명제가 “앞선 두 명제의 귀결”(GMS IV:400)이라는 칸트의 언급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정초』 1장의 397쪽에서 400쪽까지를 분석하여 첫째 명제가 무엇인지 정식화하고, 각 명제가 제시되는 맥락과 명제의 의미를 분명히 하여 세 명제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밝힐 것이다. 이 과정에서 특히 해당 주제에 관한 최근 연구인 앨리슨(2011), 쉐네커(2012) 그리고 루드비히(2018)의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 KCI등재

        『周易』 「巽卦」 命題에 관한 硏究

        정해왕(丁海王)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0 한국민족문화 Vol.36 No.-

        『周易』은 세계를 지시하는 기호체계와 그에 대응되는 언어체계를 담고 있는 문헌이다. 이 체계는 곧 세계에 대한 해석체계인데, 그것은 64종의 卦와 그것을 지시하는 辭에 반영된다. 『周易』의 기호인 卦爻는 세계의 변화를 반영하고 그 명제들인 卦爻辭는 이 기호를 언어로 나타낸다. 그래서 이 명제의 분석을 통해서 세계상을 드러낼 수 있다. 그 세계상을 언어적으로 드러내는 卦爻辭는 象을 포함한 원자명제들로 구성되는 분자명제의 의의를 지닌다. 그래서 ‘巽卦’로 상징되는 세계변화의 한 국면은 그것을 지시하는 기호로서의 卦爻에 함유된 象을 포함한 원자명제들을 그 요소로 하는 분자명제의 형태를 띤다. 64卦 중의 하나인 ‘巽卦’는 세계상의 한 국면을 표상한다. ‘巽卦’는 나그네 같은 상황의 ‘旅卦’ 다음의 영락한 상황을 표상한다. 그것은 겸손, 공손을 주된 이미지로 한다. 그런데 이러한 의미를 나타내는 ‘巽卦’의 卦爻辭는 역시 그에 관련되는 요소卦인 八卦에 대응하는 象을 함유하는 원자명제들로 구성되는 복합적인 분자명제이다. 이러한 명제함수적 관련성을 밝히는 것이 卦爻辭의 유래를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과 통하는 易學史에서의 분석방법이 象數易의 방법이다. 虞?은 그 대표적 학자이며, 이후 근대에 와서 그 방법을 재현한 학자들은 淸代의 학자들과 朝鮮朝의 丁若鏞이다.

      • KCI등재

        J. G.피히테의 학(學)의 정초 이론

        배우순(Bai, Woo-soon) 대한철학회 2011 哲學硏究 Vol.120 No.-

        이 소론이 논의하고자 하는 바는 초기 피히테 철학에 있어서 학(學)의 정초 문제이다. 그런데 이 소론은 이 문제를 두 방향에서 추구하고 있는데, 그 하나는 피히테의 “인식론”은 어떤 내용의 인식정초를 문제 삼고 있느냐 이며, 다른 하나는 그의 학의 정초이론의 실질적 내용의 물음이다.이 소론은 첫째 물음에 대탑하기 위해서 「인식론의 개념에 대해서」 (1794) “Ueber den Begriff der Wissenschaftslehre”를 중심 텍스트로 사용하였다. 이 소론은 이 저작이 제시하는 바, 그의 『인식론』(1794)이 어떤 종류의 ‘학의 정초’ 문제를, 그리고 그것이 어떤 정초 문제의 국면에 기여하는지를 제시하려했다. 피히테에 의하면 그의 “인식론”은 개별과학의 선험적 근거가 된다는 것이다. 피히테는 이 문제를 위해서 네 가지 정도의 컨셉을 논증적 근거로 제시하고 있다. 1. 그의 “인식론”은 체계사상에 기초되어 있다는 점, 2. 이 “인식론”은 그 자체가 갖는 ‘구조적’ 특성의 면에서 일반 개별과학과 다르다는 점, 3. “행위 이론”의 관점에서도 이 “인식론”은 다른 개별과학과과 다르다는 점, 4. 이 “인식론”은 모든 개별과학의 첫 전제의 학으로서 충분한 근거를 갖고 있다는 점이다.이어서 이 소론은 피히테 “『인식론』(1794)Grundlage der gesamten Wissenschaftslehre”의 핵심적인 부분이 되는 그의 근본명제론을 다루었다. 이 근본명제론이 추구하는 바는 모든 학적인 명제가 성립되는 ‘가능적 근거’와 그 기초가 무엇이냐는 것이다. 피히테는 이 답변에 즈음해서 특이하게도 ‘일반’ 다른 체계사상(Systemgedanke)과 다르게 ‘하나로 된’ 근본 명제가 아니라, 3명제로 구성된 복합체의 형태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 3명제는 서로 분리될 수 없는 상호 매개적인인 교호관계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다. 즉 이 3명제는 3개로 독립된 명제라기보다도, 1명제가 3개의 명제로 진화해가는 발전적인 전체라는 것이다. 이런 점을 유념하면서 이 소론은 각기 3개의 명제를 각기 나누어서 논의하였다. 그런데 피히테가 이 문제에 대해서 내린 최종적인 결론을 간단히 요약하자, 인식이란 주관 -“자아”-과 객관 -“비아”(非我)-와의 매개에서 성립한다는 것이다. Diese Arbeit untersucht die zwei Konzeptionen der Wissenschaftsbegruendung in der fruehen Fichte, die er in den Text Grundlage der gesamten Wissenschaftslehre (1794) und “Ueber den Begriff der Wissenschaftslehre” (1794) als einem besondern Thema widmet. Anhand zwei Konzeptionen fichte’schen Begruendungstheorie wird von der Fragen ausgegangen, worauf sie bezeiht und was sie inhaltich bedeutet.Im ersten Teil - Ⅱ. Wissenschaftslehre als Wissenschaftsbegruendung - wurde fichte’schen Wissenschaftsbegruendung hinsichtlich ihrer Begruendungstheorie fuer ‘besonderen Wissenschaft’(Einzelwissenschaft) diskutiert: Was ist eigentlich fichte’sche Wissenschaftslehre und welche Funktion leistet sie in konkret in ihrem Verhaeltis zu den Einzelwissenschaft. Ahand dieses Themas macht diese Arbeit vier Punkte aufmerksam, um den Charakter fichteschen Wissenschaftslehre ihre theoretische Legitimation und ihre Fundierung. 1. Fichtesche Wissenschaftslehre ist auf dem Grund des Systemgedankens in spezifischem Sinn, 2. ‘Diese’ Wissenschaft hat besonderen Chrakter hinsichtlich ihrer ‘innere Strukturform’ im Vergleich mit den Einzelwissenschaften, 3. Sie ist auch auf der wissenschaftlichen Handlung fundiert, 4. Sie als Formwisschschaft lei stet die erste Voraussetzung der wissenschaftlichen Erkenntis.Im zweiten Teil - Ⅲ. die Grundsatzlehre als Letztbegruendungstheorie der Wissenschaft - wurde die Frage gestellt: Worauf bezieht sich fichtesche “Grundsatzlehre” als der Kernpunkt seiner Wissenschaftslehre? Zur Beantwortung dieses Themas wurde es hier zunaechst drei Grundsaetze im Einzelnen dargestellt und erlaeutert. Anhand fichtescher Grundsatzlehre muss es vor allem folgenderweise darauf aufmerksam gemacht werden: 1. Die Tathandlung bzw. ‘Subjekt des ersten Grundsatzes fungiert als Begruendungssubjektivitaet hat. Naemlich hat der erste Grundsatz Primat in der dreifach-einheitlichen Grundsaeze, denn absolute Ich wirkt nicht nur als unmittelbares Erkenntnissubjekt, sondern kann auch als Geltungssubjekt und darueber hinaus als urteilendes Subjekt begriffen werden: “Weil Ich bin und bin schlechthin, was Ich bin; beides fuer das Ich.” 2. Dennoch muss es beachtet werden, dass diese drei Grndsaetze leisten miteinander in Form der untrenbaren Ganzen, z.B. Absolutes Ich als Tathandlung ist leer und sinnlos, wenn es durch Nicht-Ich vermittert wird. 3. Die drei Grundsaetz koennen so gesehen werden, dass sie in sich dialektischen Entwicklungsprozess bmus einhalten: das absolute Ich - das Nicht-Ich - das teilbare Ich(das teilbare Nicht-Ich).Es kann hier auch eine deultiche Schlussfolgerung herbeigefuehrt werden, obwohl der Gedankengang etwas kompliziert war: Wissenschaft fungiert sachgemaess im Horizont der Interaktion zwischen dem Erkenntnissubjekt und seinem Gegenstand.

      • KCI등재

        명제가 지시하는 사태의 실재성

        이동혁 우리말글학회 2019 우리말 글 Vol.82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roblem of traditional proposition theory that claims to judge the truth and false of propositions through direct correspondence with the state of affairs that exist in the outside world, and to see where the situation based on judging the truth and false of propositions exists. In studies dealing with sentence meaning, the meaning of the sentence was perceived as a proposition. It is known that the truth and false of a proposition is determined by directly responding to state of affairs that exists in the outside world and is within a particular model. A proposition with these features has several problems. First, judgments of truth and false on proposition can be fluid. Second, depending on the world behind the existence of the state of affairs, the judgment of truth and false on the proposition may be flexible. The judgment of the truth and false of proposition does not depend on the existence of the state of affairs in the outside world, but on whether the state of affairs exists in the world that the speaker has conceptualized. Although Frege was concerned that communication would not be able to be successfully carried out with psychological concepts, speakers and listeners wishing for the success of communication can use the proposition as a common ground by mutually coordinating their individual actions. 이 글은 바깥 세계에 존재하는 사태와 직접적인 대응을 통해 명제의 참과 거짓을 판단한다고 주장한 전통적인 명제론의 문제를 살펴보고, 명제의 진위 판단에 근거가 되는 사태가 어디에 실재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문장 의미를 다루는 연구에서는 문장 의미가 곧 명제라고 인식하는 편이었다. 외부 세계에 존재하면서 특정한 모형 안에 있는 사태와 명제를 직접 대응시켜서 명제의 참과 거짓을 판정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지닌 명제는 몇 가지 문제가 있다. 첫째, 명제에 대한 참과 거짓의 판단이 유동적일 수 있다. 둘째, 사태의 존재 배경이 되는 세계에 따라 명제에 대한 참과 거짓의 판단이 유동적일 수 있다. 명제의 참과 거짓의 판단은 외부 세계의 사태 존재 여부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니라 화자 자신이 개념화한 세계에 사태가 존재하느냐에 달려 있다. 비록 프레게가 심리적 개념으로는 의사소통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지만, 의사소통의 성공을 바라는 화자와 청자는 각자의 개별 행위를 상호 조율함으로써 명제 내용을 공통기반으로 삼을 수 있다.

      • KCI등재

        2015 개정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텍스트의 명제 연결에 대한 분석

        송혜원,강석진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2 초등과학교육 Vol.41 No.1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과학교육과정의 3학년 1학기와 6학년 2학기 과학 교과서 텍스트에서 명제들 사이의 연결 유형과 명제의 연결에 사용된 표지 유형을 분석하여, 국어 교과서 및 사회 교과서와비교하였다. 명제의 연결은 강조, 상술, 예시, 나열, 추가, 차례, 대응, 인과, 조건, 목적 유형 등으로 분류하였고, 명제의 연결에 사용된 명제 관계 표지의 유형은 지시어나 접속어를 사용한 경우, 쉼표를 사용한경우, 특정 언어 요소를 사용한 경우, 표지가 없는 경우 등으로 분류하였다. 6학년 과학 교과서는 텍스트에 사용된 명제의 연결 관계가 국어나 사회 교과서에 비해 적었지만, 3학년 과학 교과서는 텍스트에사용된 명제의 연결 관계 빈도가 사회 교과서보다는 낮았고 국어 교과서보다는 높았다. 명제의 연결유형에서는 차례, 나열, 조건, 인과 유형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이러한 경향은 국어나 사회 교과서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3학년과 6학년 교과서 모두 명제를 연결할 때 특별한 표지가 없는 비율이 40% 이상이었고, 특히 차례와 인과 유형에서는 표지가 없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