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Messiah of Aaron and Israel”

        Dong-Hyuk Kim(김동혁) 한국구약학회 2018 구약논단 Vol.24 No.1

        쿰란의 메시아사상에 관한 학자들의 논의는 여러 주제를 아우르지만, 그 중 한 가지 난제는 다마스쿠스 문서에서 만나게 되는 간단한 어구인 “아론과 이스라엘의 메시아”와 관련된다. 즉, 이 어구가 한 명의 메시아를 가리키는가, 두 명의 메시아를 가리키는가의 문제이다. 한편으로 다수의 학자들은 이 어구가 두 명의 메시아를 가리킨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적지 않은 학자들은 이 어구가 한 명의 메시아를 가리킨다고 이해한다. 본 연구는 이 어구가 두 명의 메시아적 인물을 가리킴을 논증한다. 이를 위해 논문은 우선 이 어구를 문법적으로 분석하고, 그 다음 다마스쿠스 문서의 관련 본문들을 탐구하고, 마지막으로 다른 두루마리들과 구약 성서의 증거를 검토한다. 논의는 주로 문헌학적인 측면에 집중한다. 첫째, 논문은 “아론과 이스라엘의 메시아”가 복수의 인물을 가리킬 수 있음을 논증한다. 세 가지 사항이 제시된다. (1) “아론과 이스라엘의 메시아”가 만일 단수의 인물을 가리킨다면, 이 표현 자체가 잉여적이고 어색하다. (2) 히브리어 문법에 분배 구문이 있다는 사실은 “아론과 이스라엘의 메시아”를 복수 의미로 이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 (3) CD XIV, 19에 나오는 히브리어 동사 ykpr 는 만약 능동 형태라면 단수의 메시아를 지지해 주는 증거가 되겠지마는, 문맥에 직접 목적어 표시사가 없는 점을 고려할 때에 복수 형태라고 생각된다. 둘째, “아론과 이스라엘”이라는 어구는 한 개체가 아닌 두 개체를 가리킨다. 셋째, 다마스쿠스 문서에서 종교 지도자와 세속 지도자가 함께 일하는 이중의 리더십은 종말론적 맥락에서뿐 아니라 과거 및 현재의 맥락에서도 중요하게 나타난다. 넷째, 다른 사해 두루마리 자료와 성서 자료 역시 이중 메시아사상을 간접적으로 뒷받침해 준다. 본 연구는 다마스쿠스 문서 속 메시아사상의 문헌학적 측면만을 다루지만, 이를 통해 사해 두루마리의 메시아사상 및 더 나아가 유대-기독교 전통의 메시아사상에 관한 연구로 나아가는 학도들이 더욱 많아지기를 기대한다.

      • J. 몰트만과 W. 판넨베르크에게서 나타나는 하나님 자유로서 메시아적 교회론의 종말론적 의미

        최태관(Tae-Kwan Choi) 감리교신학대학교 2020 신학과세계 Vol.- No.99

        본 논문은 몰트만과 판넨베르크의 하나님 백성으로서 메시아적 교회론을 비교하고, 그의 종말론적 의미를 해명한다. 바르트의 삼위일체론에서 시작된 하나님 자유에 관한 인식을 바탕으로 그들은 하나님 미래의 시각에서 메시아적 교회론을 새롭게 전개한다. 종말론적 관점에서 해명될 메시아적 교회론은 세계를 억압하는 정치 권력과 자본 권력에 대한 교회의 저항과 동시에 타자에 대한 돌봄과 헌신을 강조한다. 그 교회론을 위해서 몰트만과 판넨베르크는 바르트가 주장하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활동성으로서 자기 전달을 ‘자기 제한’과 ‘자기 구분’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창조론의 시각에서 역사적이고 현재적인 교회가 지닌 메시아적 잠정성을 드러낸다. 메시아적 잠정성은 역사적이고 현재적 교회가 임박한 하나님 나라의 도래라는 종말론적 미래를 지시하고, 하나님의 활동성을 바탕으로 다른 교회들과의 일치를 이룸으로써 하나님의 종말론적 통치를 앞당기는 힘을 뜻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하나님의 자기 계시의 맥락에서 형성된 바르트의 하나님 백성으로서 교회의 종말론적 의미와 그의 중심개념으로서 하나님 자유를 고찰한다. 하나님 자유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창조행위에서 시작되고, 역사적이고 현재적 교회에서 가시화되는 하나님의 활동성이다. 둘째, 본 논문은 몰트만과 판넨베르크의 메시아적 교회론에서 가시화된 하나님의 구체적인 활동성-자기 제한과 자기 구분-을 해명한다. 셋째, 하나님 자유의 종말론적 실현으로서 메시아적 교회의 종교적이고 신학적 의미를 해명하려고 한다. 현재 교회의 메시아성은 교회의 공적 활동과 교회 안에서의 성만찬의 반복을 통해 가시화되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활동성을 지시하고 있고, 복음화와 세계해방을 현실화되고 있음을 밝힌다. 지속되는 세계창조에서 삼위일체 하나님의 활동은 세계에 대한 그의 사랑과 국가 공동체안에서 정의를 성취한다. 마지막으로 몰트만과 판넨베르크의 메시아적 교회론의 차이를 해명한다. 그 차이는 하나님 미래가 ‘창조적 안식’이나 혹은 하나님의 종말론적 통치, 즉 ‘궁극적 일치’를 지향하는가에 있다. 하나님 창조행위를 바라보는 두 사람의 신앙의 차이로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하나님 창조에서 가시화된 메시아적 교회를 바라보는 것은 현재적 교회가 자신에게 내재된 메시아적 잠정성을 인정하고 철저하게 하나님의 자기 활동성으로 자신의 신학적 방향을 전환해야 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논문은 코로나19의 시대를 직면하여 교회는 지금까지 갇혀있는 교회중심주의의 한계를 넘어 하나님의 창조에 동참하는 책임적이고 공적 공동체로 거듭나야함을 주장한다. This paper compares and studies the Messianic ecclesiology of Moltmann and Pannenberg as the people of God. Based on Barth"s perception of God"s freedom, which began with the Trinitarianism, they newly understand the messianic church from the perspective of God"s future. The Messianic ecclesiology, which will be elucidated from God"s eschatological point of view, aims for the church"s service for the oppressed world and the church for others. For that ecclesiology, Moltmann and Pannenberg interpret self-transmission as the activity of the triune God, which Bart argues, from the perspective of"self-limiting" and"self-organization", and from the perspective of creationism, reveal the potential of the historic and present church. Therefore, the Messianic church has an open nature of the essence that the historic and present church is the eschatological achievement of the kingdom of God, and it is based on God"s activity rather than its own will, and through the unity with other churches, The eschatological reign of Therefore, this thesis reveals the eschatological meaning of the church as Barth"s people of God formed in the context of God"s self-revelation and the concept of God"s freedom as its center. God"s freedom begins with the creative act of the triune God and becomes visible in the historical and present church. Second, by elucidating the problem of the acceptance of the Messianic Church as the people of Moltmann and Pannenberg as the people of God, he tries to reveal that the center of ecclesiology is no longer human but the triune God. third. As an eschatological realization of God"s freedom, we try to clarify the religious and theological meaning of the messianic church. The current messianic reality of the church indicates the activity of the Triune God, which is visible through the public activity of the church and the repetition of the Holy Communion within the church, and also reveals that evangelization and liberation of the world are realizing in relation to this activity. In the lasting creation of the world, the work of the Triune God achieves his love for the world and justice within the national community. Finally, the difference between Maltmann"s and Pannenberg"s Messianic ecclesiology is elucidated. The difference is whether God"s future is aimed at creative rest or God"s eschatological rule, that is, ultimate unity. It is to see the difference between the beliefs of the two who look at the creation of God. In the end, looking at the Messianic church based on God"s creation theory shows that the theology must change its direction as God"s self-activities thoroughly acknowledge the potentiality of the present church. In the face of the era of Corona 19, the church must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hurch-centeredism that have been confined until now, and be reborn as a responsible and public community that participates in God"s creation.

      • KCI등재

        유대교의 두 메시아사상과 신약성서

        서동수(Dong-Su Seo) 한국신약학회 2012 신약논단 Vol.19 No.4

        일반적으로 우리는 신구약성서의 신학적 연속성의 가장 큰 핵심으로 신약성서에 나타난 유대교의 메시아 형상에 대한 수용과 인용으로 받아드린다. 이때 메시아사상은 신구약성서의 일치의 증거로 작용한다. 그러나 주지하는 바와 같이 구약성서와 유대교는 단 하나의 획일적인 메시아 기대사상을 보여주지 않고 시대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 중 가장 현저한 특징은 묵시문학적 사상에 뿌리를 둔 두 메시아 상이다. 구약성서와 유대교와는 다르게 기독교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통합된 한 분 메시아만을 고백한다. 이런 엄청난 차이에도 불구하고 신약성서의 메시아 이해는 두 메시아사상의 흔적을 구조적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용어상으로 수용하고 있음을 이 논문이 보여주고 있다. 논문에서 공관복음, 요한복음 바울서신, 히브리서가 어떻게 두 메시아사상을 통합하여 한 메시아 예수 그리스도를 다양하게 그려내고 있는지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쿰란 문서에 나타난 히브리어 māšîaḥ에 관한 소고

        김준(Jun Kim) 한국기독교학회 2018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10 No.-

        본 논문은 쿰란 공동체의 메시아사상을 연구하는 데 핵심적인 히브리어 māšîaḥ가 다양한 쿰란 문서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고찰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히브리어 메시아를 포함하고 있는 13개의 쿰란 문서의 25개의 본문을 연구한다. 쿰란 문서에서 히브리어 메시아는 다양한 인물들, 구분되는 역할, 시기 등으로 나타난다. 쿰란 문서는 메시아에 대한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사상을 제시하지는 않지만, 쿰란 메시아사상과 관련된 메시아 단어의 몇 가지 주요한 특징을 나타낸다. 첫째, 종말론적인 문맥 가운데 사용된 대부분의 메시아 단어는 한 인물에게만 주로 사용된다. 1QS에서 사용된 “아론과 이스라엘의 메시아들”이라는 표현은 종말론적 배경에서 유일하게 복수형으로 메시아 단어가 사용된 경우이다. 둘째, 미래의 상황에서 메시아의 등장은 종말론적인 시대가 되었음을 구분하는 경계가 된다. 그러나 메시아 단어가 나타나는 대부분의 쿰란 문서에서 메시아가 종말론적인 상황에서 어떤 특별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려주지 않는다. 11Q멜기세덱(ii:18)은 종말론적인 상황에서 메시아의 역할을 포함하고 있는 유일한 본문이다. 셋째, 쿰란 문서의 메시아 단어가 예언자적 인물들에게 사용되었을 때 대부분은 과거의 역사적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넷째, 메시아라는 단어를 마지막 때에 이스라엘을 회복시킬 다윗 계열의 메시아로 이해하는 이른바 ‘다윗적 메시아니즘’이 명확하게 나타나는 본문은 많지 않다. This paper examines how the Hebrew māšîaḥ is used in Qumran literature through the lens of Qumran messianism. The paper investigates twenty–five references of māšîaḥ in thirteen different Qumran scrolls. The Hebrew māšîaḥ refers to various characters, distinctive roles, and different numbers in each scroll’s literary context. Although Qumran literature does not present a systematic view of māšîaḥ, it exhibits certain dominant uses of māšîaḥ in relation to Qumran messianism. Firstly, most usages of māšîaḥ in the eschatological context apply māšîaḥ to a single messianic figure – either a royal Messiah, a priestly Messiah, or a royal and priestly Messiah. The expression “Messiahs of Aaron and Israel” in 1QS ix:11 is the only exceptional passage that employs the plural form of māšîaḥ in the eschatological context. In addition, prophetic māšîaḥ figures appear mostly in past eras rather than within the eschatological context. Secondly, māšîaḥ is important for the Qumran community in terms of the delimitation of the eschatological age. Otherwise, māšîaḥ in this particular time period and setting does not define any specific role of the Messiah. Messiah’s announcing of peace and salvation in 11Q Melchizedek ii:18 is the only passage containing a specific messianic role in the eschatological context.

      • KCI등재

        The Third Messiah in the Book of Malachi

        Young Hye Kim 한국기독교학회 2014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93 No.-

        말라기서의 선행연구는 주로 말라기 1:1과 제2스가랴(슥 9-11장) 및 제3스가랴(슥 12-14장)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히브리어 맛사(신탁)에 대한 언어적 및 편집비평적 분석이 주를 이루면서, 말라기서와 다른 예언서, 특히 스가랴서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본 논문은 이에서 벗어나 말라기서의 메시아 사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말라기서에 나타나는 메시아 사상의 가장 큰 특징은 예언서의 맨 마지막 부분에 등장하는 엘리야에 대한 고찰을 통해 잘 드러난다. 말라기 이전 단계에서 메시아 사상은 주로 다윗 왕가의 회복을 의미하고 있지만, 포로후기의 변화된 사회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이 시대에 기록된 스가랴서와 말라기서는 다른 형태의 메시아를 소개한다. 이에 따라 스가랴서는 이제까지의 왕으로 대변되는 정치적 메시아 사상에서 벗어나 대제사장 예수아를 스룹바벨과 함께 등장시킴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메시아(제2의 메시아)를 이야기한다. 스가랴에 나타난 이러한 이중적 메시아(정치적 및 제사장적 메시아)는 이후의 쿰란 공동체의 이중적 메시아 사상과 직결된다. 스가랴서와 비슷한 역사적 상황에서 쓰여진 말라기서에서도 새로운 형태의 메시아가 나타나는데, 말라기는 예언자 엘리야를 통하여 메시아적 대망을 표현하고 있다(4:5-6). 말라기의 예언자 메시아는 쿰란을 비롯한 다른 문서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말라기만의 독특한 메시아 사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를 스가랴서의 제2의 메시아에 이어 제3의 메시아라고 명명하고 있다. 하지만, 말라기의 메시아 사상은 사멸하지 않고, 신약시대에 예수의 정체성에 대한 이해에 한몫을 한다. 즉, 메시아로서의 예수의 역할이 잘 알려진대로 왕, 제사장, 예언자로 언급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스쳐 지나가기 쉬운 말라기서의 짧은 구절(4:5-6)은 이제까지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후대의 메시아 사상 형성에 크나큰 공헌을 하고 있다고 할 것이다. 4 Remember the teaching of my servant Moses, the statutes and ordinances that I commanded him at Horeb for all Israel. 5 Lo, I will send you the prophet Elijah before the great and terrible day of the LORD comes. 6 He will turn the hearts of parents to their children and the hearts of children to their parents, so that I will not come and strike the land with a curse(Mal 4:4?6 [Heb 3:22?24]).

      • KCI등재

        람밤(마이모니데스)의 메시아사상과 메시아시대

        최중화 ( Jung Hwa Choi )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지역원 2011 지중해지역연구 Vol.13 No.3

        메시아사상은 유대교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핵심되는 교리 중 하나이다. 이 논문은 4가지 질문과 함께 현대 유대교의 메시아사상의 근간을 만든 람밤(Maimonides)의 메시아사상과 메시아 시대를 재구성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1) 람밤의 메시아사상이 어떻게 형성되고 표현되었나? 2) 람밤의 철학적 사고구조에서 메시아시대의 도래를 위한 인간의 노력은 필요한가? 아니면 신의 절대적인 예정하심인가? 3) 람밤이 그리는 메시아는 어떤 메시아인가? 4) 람밤의 메시아사상은 전통적 메시아사상과 반대인가?

      • KCI등재

        발터 벤야민의 정치신학과 약한 메시아주의

        신명아(Myoung Ah Shin) 한국비평이론학회 2014 비평과이론 Vol.19 No.1

        이 논문은 발터 벤야민의 정치 신학과 약한 메시아주의가 시간, 주체성, 그리고 언어의 측면에서 반영되는 양상을 살핀 후 그의 역사유물론적 정치담론이 신학과 불가분적임을 보이고자 한다. 벤야민의 시간관은 약한 메시아주의의 시각으로 인해 일직선적인 크로노스의 시간이 아니라 구원의 가능성이 실현되는 카이로스의 시간을 강조한다. 또한 벤야민의 정치신학은 종말론적이거나 단순히 미래에 도래할 메시아를 믿는 메시아주의가 아니라 오늘 현재를 살아가되 소외되고 볼품없는 카프카적 인물들을 주인공으로 삼는 약한 메시아주의임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런 맥락에서 벤야민의 역사테제 논문에서 신학으로 동일시되는 볼품없는 난장이가 자동인형 체스선수로 동일시되는 역사유물론과 동전의 양면을 이루는 것은 벤야민의 사상을 하나의 이미지로 보여주는 '정지된 변증법적 이미지'가 된다. 그의 생애 마지막에 쓰여진 이 테제에서 주장된 신학과 역사유물론의 불가분적 관계는 일반적으로 신학적 차원은 벤야민의 초기 시절에 국한된다는 편견을 극복하는 결과를 낳을 것이다. 그럼으로써 정치신학은 벤야민의 초기 단계의 산물에 그치지 않고 그의 인생의 마지막까지 강력한 정치적 담론의 토대가 된 것이 드러날 것이다. 벤야민의 정치신학은 약한 메시아주의로 인해 인류가 낳은 수많은 작가들 중에서 특히 카프카의 세계에 큰 관심을 둔다. 이는 카프카의 주인공들이 기존체제에서 주변인으로 배제되었음에도 못생긴 대로 혹은 바보스러운 대로 때로는 비극적 종말을 맞더라도 자신의 속성에 충실하는 인물들이기 때문이다. 벤야민에게 진정한 구원은 주권적이고 권위적인 인물이 아니라 폐허 속에 고통당하더라도 자신의 속성에 충실하는 오드라덱이나 『변신』의 삼사 같은 인물이다. 또한 언어적 시각에서 볼 때 이런 카프카적 인물은 순수언어를 잃고 바벨의 언어, 파편적 언어를 가지고 살지만, 과거에 구현되지 못해 현재 어느 순간에라도 현현하려는 계시의 불꽃을 기다리며 신적 차원이 번역되도록 끊임없이 해석하고 공부하는 학생, 구도자적 인물이다. 결론적으로 벤야민의 정치신학과 약한 메시아주의는 그 신학적 외양에도 불구하고 현재 여기의 역사성과 구체성에 입각해 구원의 세계를 건설하려는 역사유물론적 담론의 틀이 된다. This paper is to delve into the ways Walter Benjamin's political theology and its weak messianism are reflected in his views of time, subjectivity and language. Benjamin's sense of time is not linear and converges on the now-time which connects the past and the present with the messianic vision of the future. However, this messianic vision of Benjamin is not apocalyptic or futuristically utopian. Rather this messianic vision is based on historical situations in which redemption is sought by living people. This vision is reflected in Benjamin's belief that theology which the dwarf in the chess game metaphor represents is the real controller of the workings of the society. The dwarf is influencing historical materialism, the manifest theoretical ideology Benjamin stands for as a Marxist philosopher. In the discussion of the political theology of Walter Benjamin Franz Kafka is presented as an important figure related to this vision because Kafka's characters embody Benjamin's weak messianism with their unobtrusive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endowed with such enduring spirit of persistence and loyalty to the basic needs of their existence. This messianic vision of Benjamin produces his unique concepts of violence such as mythic and divine violence. Discussing Benjamin's concepts of violence and other theorists' views on them further reveals the multifaceted dimensions of Benjamin's political theology, proving his theology and historical materialism to form inseparable relations.

      • KCI등재

        민중신학과 레비나스

        김성호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3 신학사상 Vol.- No.203

        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of Minjung Theology and Levinas. First, I compared the definitions of Minjung and proletariat in Minjung Theology and Levinas. Minjung theologians generally define Minjung as all those who are politically, socially, and culturally marginalized and oppressed, not limited to the proletariat, and in particular, they regard Minjung as the subjects of historical transformation. Levinas defended the spirit of the people and the intellectual’s struggle for the people, and even though Levinas’ “others” were not necessarily the people, through the faces of the “others,” he reveals that the “others” are people such as the stateless, strangers, the poor, proletarians, orphans, widows, and beggars. Second, I compared Minjung theology’s Christ and neighbors with Levinas’ neighbors and Christ. What Seo Nam-dong and Levinas have in common is that they both see the face of God(Christ) in the face of their neighbors and hear the words of God(Christ) in the cries of others. Ahn Byung-moo also deals with the Good Samaritan, but like Seo Nam-dong, he does not see the face of Christ in the face of the other. Ahn Byung-moo’s ultimate concern, like Seo Nam-dong, is to find the image of Jesus in the robber, not in the Samaritan. Third, I compared Minjung and the Messiah in Minjung theology with Levinas’ Messiah or messianism. Ahn Byung-moo claimed that the Minjung were the Messiah, while Seo Nam-dong did not ontologically identify Jesus and Minjung, but claimed that the Minjung were the Messiah in the sense of fulfilling the remaining sufferings of the Messiah. In Levinas, the person who is responsible for the sufferings of others and the world is the Messiah or messianism. Therefore, Ahn Byeong-moo’s self-transcendent Minjung-Messiah and Seonam-dong’s Minjung-Messiah discourse asserting a messianic role of Minjung can meet Levinas’ messianic discourse. Finally, I showed that Kang won-don’s establishment of Ding theology through a hermeneutical turn of John 1:14 and Levinas’ idea of incarnation as extreme passivity can meet. 필자는 민중신학과 레비나스를 비교 고찰했다. 첫 번째로, 필자는 민중신학과 레비나스의 민중과 프롤레타리아 개념 정의를 비교 고찰했다. 민중신학자들은 대체로 민중을 프롤레타리아에 국한시키지 않고 정치, 사회, 문화적으로 소외되고 억압받는 모든 사람들로 정의하며 특히 민중을 역사 변혁적 주체로 상정하고 있다. 레비나스는 민중의 정신과 민중을 향한 지식인의 투쟁을 옹호했고, 비록 레비나스의 타자가 반드시 민중이 아니라 해도 타자의 얼굴을 통해 타자는 무국적자, 이방인, 가난한 자, 프롤레타리아, 고아와 과부, 거지 등 민중임을 밝혔다. 두 번째로, 필자는 민중신학의 그리스도와 이웃을 레비나스의 이웃 및 그리스도와 비교 고찰했다. 서남동과 레비나스의 공통점은 양자가 이웃의 얼굴에서 신(그리스도)의 얼굴을 보고 타자의 절규에서 신(그리스도)의 말씀을 듣는다는 것이다. 안병무도 선한 사마리아인을 다루지만, 서남동처럼 타자의 얼굴에서 그리스도의 얼굴을 보지는 않는다. 안병무의 궁극적 관심은 서남동처럼 사마리아 사람이 아니라 강도 만난 사람에게서 예수의 이미지를 찾는 데 있다. 세 번째로, 필자는 민중신학의 민중과 메시아를 레비나스의 메시아 또는 메시아주의와 비교 고찰했다. 안병무는 자기 초월적 민중이 메시아라고 주장했고 서남동은 예수와 민중을 존재론적으로 동일화하지 않았지만, 메시아의 남은 고난을 이루어간다는 의미에서 민중은 메시아라고 주장했다. 레비나스에게서는 타자들의 고통과 세계에 대해 책임적인 사람이 메시아 또는 메시아주의다. 그러므로 안병무의 자기 초월적 민중 메시아나 서남동의 메시아적 역할을 담당하는 민중 메시아 담론은 레비나스의 메시아 담론과 만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강원돈의 요한복음 1장 14절에 대한 해석학적 전회를 통한 물(物)의 신학 정립과 레비나스의 극단적 수동성으로서의 성육신 사상이 만날 수 있음을 밝혔다.

      • KCI등재

        2000년대 현대시론의 정전 구성과 메시아주의 수용 문제 -‘미래파시론’을 중심으로-

        최종환 우리어문학회 2015 우리어문연구 Vol.51 No.-

        Korean poetics since 2005 has aspired for Messianic truth of our literature and rapidly transfused unconscious keywords related to ‘truth’, unbiased view’, ‘liberation’, ‘calling’, and redemption’. ‘Miraepa Poetics’ and ‘Poem and Politics’ discussions referred since middle of 2000’s were the attempt to convey that new truth in our poems. There was an attempt to relocate the existing literature canon to the Messianic location of ‘New Heaven and New Earth.’ It was a will to strongly reject the conventional lyricism but to form new poem canon as may be known. More than anything else, ‘negativity’ emphasized at the time when Miraepa poetics was planned was to meet the world ‘where things will not be remembered, but be glad and rejoice forever in what I will create, for I will create Jerusalem to be a delight and its people a joy’ (Isaiah 65:17-18). It predicted the arena of the shocking event where the place of Messiah to arrive opens the ‘ugliness’ into the ‘beauty’. That prophecy coincided with the request of Korean literary critics that wanted alternative poem that might replace prosaic lyric poem, and accelerated the work of forming canon Miraepa poetry in the world of Korean poetical circle while going through argument with arguers who opposed it. “Poem and Politics’ discussion ignited while witnessing catastrophic disasters that have occurred in Korea society since 2008, ignited ‘New Heaven and New Earth’ that Miraepa poetics had aspired, into rather different direction. There, Messianic truth was read from the communal position of ‘he will wipe every tear from their eyes’(Revelation 21:4). Dividing line between entities between the entity that can hear divine truth and those not should be split again. There was the ‘awareness of a problem ‘whether we can realize the radical aesthetic knowledge we excavated in the past into our lives. This was the attempt to make the Messianic truth by snipping the standard line of sublime circumcision set by the Miraepa poetics between entities of truth/entities of non-truth since 2005. Due to this, the ‘Poem and Politics’ discussion can be understood from the dimension of re-canon on the liberalism poetics of the futurist public opinion since 2005 in terms of the commitment. From the prospect of Messianic truth, the Messianism in the ‘Poem and Politics’ discussion was activated through interpretation of Messiah by the St. Paul that was flown in at that time. More than anything else, the concept of ‘repartition’ and ‘remaining’ of Paul drawn by Agamben triggered causes for some minority and their communities that they should give up to tell the truth of the others. 2005년 이후 한국 시론은 우리 문학의 메시아적 진리에 대해 열망했다. ‘진리’ ‘공의’ ‘해방’ '소명' ’구원' 등과 관련된 무의식적 키워드를 급속히 수혈했다. 2000년대 중반 이래 운위돼 온 ‘미래파시론’과 ‘시와 정치’ 논의는 우리 시에 그 새로운 진리를 담아내기 위한 노력이기도 했던 것이다. 종전의 문학 정전을 ‘새하늘과 새땅’이라는 메시아 장소로 이동시키려는 시도가 거기 있었다. 그것은 알려진 것처럼 전래의 서정을 단호하게 거부하고 새로운 시의 정전을 구성하려는 의지였다. 무엇보다 미래파 시론의 입안 당시 강조했던 '부정성'은 “지나간 이전 것이 마음에 기억되지 아니하’는, 그래서 메시아적 역능으로 인해 ‘기뻐하고 즐거워하’(사 65:17-18)는 세계를 만나고자 했다. 그것은 도래할 메시아의 장소가 ‘추’를 ‘미’의 장으로 열어내는 충격적 사건적 장에 대해 예언했다. 그 예언은 진부한 서정시를 대체할 대안적 시를 희원하고 있었던 당시 한국 평단의 요구에 부합했고, 그것에 반대하는 논자들과의 논쟁을 거치면서 한국 시단에 미래파시론의 정전 구성 작업을 가속화했다. 2008년 이후 한국 사회에서 일어난 비극적 참사들을 목도하면서 점화된 '시와 정치' 논의는 미래파시론이 열망했던 “새하늘과 새땅”을 다소 다른 방향으로 점화해냈다. 거기서 메시아적 진리는 아파하는 이들의 ‘눈물이 씻겨지’(계 21:4)는 공동체적 자리 속에서 읽혔다. 신적 진리를 들을 수 있는 주체와 그러지 못하는 주체 간 분할 선은 재분할되어야 했다. ‘전날 우리가 발굴했던 급진적 미학적 지식을 삶으로 실험해 낼 수 있는가’의 문제의식이 거기 있었다. 이는 2005년 이후 미래파시론이 진리주체/비진리주체 사이에 설정했던 숭고한 할례의 기준선을 다시 할례함으로써 메시아의 진리를 더 온전케 하려는 시도였다. 때문에 ‘시와 정치’ 논의는 그 의지 차원에서만큼은 2005년 이후 미래파 시론의 자유주의 시학에 대한 재정전화의 차원에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메시아주의의 전망에서만 본다면, ‘시와 정치’ 논의에서 메시아주의는 그 당시 유입되었던 사도 바울의 메시아 해석을 통해 활성화되었다.

      • KCI등재

        시간과 정의: 벤야민, 하이데거, 데리다

        진태원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3 철학논집 Vol.34 No.-

        이 글은 자크 데리다의 발터 벤야민과 마르틴 하이데거에 대한 독해를 검토하면서 최근 서양 인문학계에서 하나의 화두가 되고 있는 메시아주의적 정치의 철학적 원천들(과/또는 대안들)을 탐색해보려고 한다. 데리다는 ?법의 힘?과 ?마르크스의 유령들?에서 벤야민의 폭력론과 하이데거의 시간론을 독해하면서 메시아주의 없는 메시아적인 것이라는 새로운 해방의 정치의 개념을 제시한다. 우리는 이 개념의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데리다가 초기 저작에서 제시한 유사초월론의 관점에서 읽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런 관점에서 읽으면 메시아주의 없는 메시아적인 것은 봉기냐 개혁이냐 혁명이냐 민주주의냐 하는 이원론적 양자택일을 넘어 해방을 정치를 새롭게 사고할 수 있는 길을 제공해줄 수 있을뿐더러 더 나아가 초월론적인 것의 역사에 관한 철학적 전망을 열어놓을 수 있으리라는 것이 이 글의 주장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