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매개효과 연구의 동향분석과 새로운 방향 탐색

        박선미(Sun Mi Park),박병기(Byung Gee Bak) 한국교육심리학회 2014 敎育心理硏究 Vol.2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매개효과 분석의 논점에 기초하여 매개효과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새로운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내용은 매개효과의 논점 정리, 매개효과 연구의 동향분석, 매개효과 분석의 새로운 절차 제안, 새로운 절차에 따른 실례 자료의 분석 등 네 가지다. 첫째, 매개효과의 논점은 정의, 전제조건 검토, 단순매개와 복합매개, 단일지표와 중다지표, 모형검증과 모형비교, 계수검증, 통계방법과 통계프로그램의 등의 측면에서 논의하여 정리하였다. 둘째, 매개효과 연구의 동향분석은 2000년 이후「교육심리연구」에 실린 논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매개효과를 다룬 21편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 연구의 주된 경향은 적합도 지수를 이용한 모형검증 및 모형비교, Sobel test를 사용한 계수검증, 통계방법으로서 SEM을 주로 사용하고 통계프로그램으로서 SPSS나 Amos를 사용하는 것 등이었다. 셋째, 이 연구에서 새롭게 제안한 매개효과 분석의 절차는 연구모형 설정, 전제조건 검토, 모형검증, 계수검증의 4단계로 이루어졌다. 구체적인 분석절차는 매개효과 모형이 단순매개인지 복합매개인지, 그리고 단일지표인지 중다지표인지에 따라서 상이하게 제안되었다. 넷째, 매개효과 분석의 실례로 삼은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J시에 소재한 1개의 중학교 3학년 271명(남: 131명, 여: 140명), 중학교 1학년 283명(남: 130명, 여: 153명), 총 554명(남: 261명, 여: 293명)이었다. 실례 자료는 단순매개이면서 단일지표인 경우, 중다매개이면서 단일지표인 경우, 단순매개이면서 중다지표인 경우, 중다매개이면서 중다지표인 경우의 네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실례분석의 편의상, 네 가지의 경우 모두 연구모형을 부분매개모형, 경쟁모형을 완전매개모형으로 설정하였다. 매개효과의 논점과 연구동향, 매개효과분석의 절차와 실례 등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이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의 방향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trends of mediation effect(ME) researches and to suggest a new direction of them based on the issues of ME analysis. This purpose was differentiated into 4 research contents of overviewing the issues of ME analysis. analyzing the ME research trends in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KJEP), proposing a reasonable procedure for the ME analysis, and based on this procedure showing the ME analyses using a real data set. The issues of ME analysis were overviewed in terms of definition of ME, preconditions of ME analysis, number of variables, number of indicators, model comparison and selection, ME coefficient testing, and statistical methods and programs. The ME research trends reflected in the 21 studies of KJEP revealed that the issues of ME analysis are not fully appreciated by the current researchers. As a reasonable procedure of ME analysis, three steps of examining the preconditions, selecting a model, and testing the coefficient were proposed. This 3-step procedure was described in detail by the ``2 X 2`` combination of mediators and indicators. According to this combination, 4 kinds of 3-step ME analyses were shown using a real data set which was composed of 554 middle school students, 283 in the 7th grade and 271 in the 9th grad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ME studies were discussed in detail.

      • KCI등재

        회귀분석을 이용한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방법

        정선호,서동기 한국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5 No.1

        The goals of this article are to (1) describe differences between mediated moder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2) provide conceptual overview of how to examine each type of integration between mediation and moderation, including analytical strategy and interpretation of numerical results; (3) demonstrate how to analyze each using real data sets. The authors focus on the use of multiple regression because it remains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of assessing mediation and moderation in behavioral research. We hope that this discussion will mitigate confusion over the differences between mediated moder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and thus can enhance the frequency of tests of mediated moder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in the literature. 행동과학 연구자들은 흔히 회귀모형을 토대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더 나아가 이들의 관계를 제 3의 변수인 매개변수 또는 조절변수를 통해 질적으로 이해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최근에는 매개변수와 조절변수의 역할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위해 이들이 서로 결합된 형태로 제시된 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를 연구하는데도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연구자들이 이 통합모형의 개념적 구분과 분석절차의 적용에 있어 적지 않은 혼란을 경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저자들은 연구모형과 통계모형 측면에서 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논의하고 이를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검증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한다. 이 회귀분석 접근법은 이 통합모형을 탐색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단계적 분석방법을 따르므로 이론개발을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연구방법이다. 본문에서 먼저 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에 대한 개념적 구분과 방법론적 배경을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Baron과 Kenny(1986)가 처음으로 소개한 매개된 조절효과와 James와 Brett(1984)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다회귀모형에 바탕을 두어 개념적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 둘을 단일분석모형으로 통합한 Muller, Judd와 Yzerbyt(2005)의 회귀분석 접근법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논의한다. 다음으로, 이 접근법에 의해 각각의 분석전략과 검증방법을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앞에서 논의된 연구방법에 따라 실제 자료를 활용하여 검증하는 과정을 PROCESS(Hayes, 2012)를 통해 보여준다. 저자들은 본 논문을 통해 연구자들이 매개효과와 조절효과의 통합모형에 대한 방법론적 이해도를 높이고 이론개발 단계에서 회귀분석 접근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경험연구를 수행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더 나아가, 그들이 이 논문을 기초로 경로분석 접근법(조건화 과정 모형)으로 연구방법의 폭을 넓혀나가기를 희망해 본다.

      • KCI등재

        사회과학분야의 구조방정식모형에서 매개효과 검정 방법에 대한 논의

        지성호,강영순 한국자료분석학회 2014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6 No.6

        This article discusses about the difference of mediation procedures, in regression and in structural equation model, which universally applied in social science field. And then, we review both limitations in previous mediation studies applie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give an alternative suggested by Holmbeck so as to improve reliability of mediation studies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procedure for mediation test in the previous studies was mostly applied in the approach suggested by Baron, Kenny (1986). In addition,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mediation tests was proved on the basis of approach by Baron, Kenny (1986), but both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 are 1) non-consideration of mediation types (full, partial) which will evokes the importance of mediator's under or over-estimation, 2) non-test of total effects which are enable to make a bias of mediation results. With regard to the non-test of total effects, there are both issues; validity of fit index in comparison of non-nested model, and non-consideration of significance on total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contribute to advance the reliability of research resul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 본 연구는 사회과학 연구에서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있는 매개효과 검정 과정에 있어 회귀분석을 활용한 접근과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접근에 있어 차이점을 논의한 후, 특히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매개효과 검정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이에 대한 보완방법으로 Holmbeck (1997)에 의해 제안된 매개효과 검정과정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기존연구에서 회귀분석을 활용한 매개효과 검정은 Baron, Kenny(1986)의 3단계 검증 과정을 통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구조방정식모형의 매개효과 검정에서도 Baron, Kenny(1986)의 3단계 과정에 기초하여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검증과정에 있어 매개효과 유형 미고려로 인한 매개변인의 중요성에 대한 과소 및 과대평가, 매개효과 검증 과정에서 총효과 검증 부재로 인한 매개효과 연구결과에 대한 편의 가능성이 내포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모형에서 매개효과 검증시 위계적 chi^2검증과 Holmbeck(1997)의 매개효과 검정단계를 제안한다. 특히 총효과 검증과 관련하여 총효과 검증 부재 및 총효과 유의성 검증 미고려와 매개변인 배제모형과 매개변인 추가모형 비교에 활용되는 적합도 지수의 타당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이러한 논의는 향후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매개효과 연구에 있어 연구결과의 편의 가능성을 사전에 보완하여 연구의 신뢰성 확보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우수등재

        조절회귀분석을 이용한 매개된 조절효과 검정에 관한 종합적 고찰

        정선호,양태석,박중규 한국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8 No.3

        Baron and Kenny (1986) first proposed the term mediated moderation, to explore how and why the moderation effect occurs. Most researchers believe that Baron and Kenny (1986)’s model is the only mediated moderation method for analysis. In fact, there are three types of mediated moderation models (Type I, II and III) that have each been adopted as most appropriate in various research areas of behavioral science. However, few are aware of existence of these three types and their distinctive conceptual and statistical definitions. Additionally, to date there has been no source that provides an integrated introduction of the methodological, statistical analyses to three types of mediated moderation model. It is our intention in this manuscript to provide a comprehensive, accessible framework by which researchers examining mediated moderation models can effectively choose a valid conceptual model and statistical testing procedures. We first, define each of three types of the mediated moderation model ba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ir conceptual and statistical models and provide examples of each. Second, we discuss how the three types were derived from a single concept of mediated moderation model via the approach of Baron and Kenny (1986). Third, we describe the analytic procedure by examining each mediated moderation model based on a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ing approach with a real example, accompanied by a regression-based software, PROCESS (version 3.1). 행동과학 이론의 질적 성장에 따라 연구자들은 예측변수와 준거변수 간의 복잡한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매개와 조절 모형의 통합에 높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대표적인 연구방법이 매개된 조절과 조절된 매개이다. 매개된 조절은 조절효과가 “왜” 또는 “어떻게” 발생하는지를 제 3의 변수인 매개변수를 통해 밝히고자하며 통계적으로 매개효과 검정에 해당된다. 그리고 조절된 매개는 매개과정(mediation process)이 조절변수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에 발생하며 통계적으로 조건부 간접효과를 검정한다. Hayes의 PROCESS는 경로분석 접근법에 따른 조건부 과정분석(conditional process analysis)을 위해 개발된 SPSS 매크로 프로그램이다. PROCESS는 다양한 통합 모형에서 조건부 간접효과를 용이하게 검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프로그램의 성장과 맞물려 조절된 매개효과 모형은 빈번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에 반해 매개된 조절효과 검정은 상대적으로 그렇지 못하다. 매개된 조절의 활용이 저조한 대표적인 이유는 많은 연구자들이 매개된 조절은 조절된 매개와 통계적으로 구분되지 않고 PROCESS를 활용한 자료 분석 절차도 동일하다고 믿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조절회귀분석(moderated multiple regression)에 기반을 둔 세 가지 유형(TypeⅠ, Ⅱ, Ⅲ)의 매개된 조절효과 모형을 소개한다. 매개된 조절을 최초로 제안한 Baron과 Kenny(1986)의 단계적 접근법(causal steps approach)을 활용하여 이들 유형에 대해 각각의 통계적 정의 및 자료 분석 절차를 논의한다. 먼저, 이들의 탄생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조절회귀모형에서 조절효과의 개념적 모형(conceptual model)과 통계적 모형(statistical model)의 차이를 논의한다. 다음으로 각 유형 별로 단계적 접근법에 따른 매개와 조절 모형의 통합과정, 통계적 모형, 매개된 조절효과 검정 절차를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PROCESS(Version 3.1)를 활용한 Type III 매개된 조절효과 검정 절차를 예시한다. 연구자들이 연구 배경과 연구 문제에 따라 적합한 조절효과 모형과 매개된 조절효과 유형을 선택하고 타당한 절차에 따라 검정을 진행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학령기 아동의 화용능력과 내현화 문제간 관계: 성별의 조절효과와 또래관계의 매개효과 검증

        노주은 한국아동학회 2021 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11

        연구목적: 언어적 기술이 부족한 아동은 정서적 표현을 인식하고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기 쉽고, 이는 효율적 의사소통 능력의 발달과 긍정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을 저해하여 정서적 · 행동적 문제로 이어질 위험이 높다. 선행 연구들은 어린 아동의 언어적 결함과 이후 청소년기 정신건강의 관련성을 입증해왔는데, 학령기 아동의 언어적 능력과 정신건강의 관계를 다룬 연구는 아직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일상적 의사소통에서 사용되는 언어적 기술이 다른 하위 언어능력에 비해 정신건강과 더 밀접한 관계에 있을 것으로 보고, 학령기에 보다 성숙해지는 화용능력이 내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한편 이러한 메커니즘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매개변인으로 사회적 관계 및 상호작용과 관련한 변인이 지목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또래관계를 매개로 한 모형을 설정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언어능력과 내현화 문제 간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진 성별, SES의 효과가 또래관계를 매개로 한 모형에서도 유의하게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한국아동패널데이터2008의 2017년도(10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주요 변인들의 결측치를 제외한 초등학교 3학년 537명(남=276, 여=261)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주요 변인들은 아동 화용언어 체크리스트, SDQ, CBCL 6-18 등의 척도로 측정되었으며, 가정의 SES 수준은 어머니의 최종학력 및 가정의 소득을 기준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SPSS23와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다. 첫째로 화용능력이 내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과 성별, 가정의 사회경제적 수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로 또래관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processs macro를 이용해 매개모형의 유의성을 검증하였고, 매개모형에서도 선행모형에서 나타났던 성별이나 SES 수준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는지 확인하고자 조절된 매개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화용능력은 내현화 문제와 부적 연관성을 보였으며, 성별의 조절효과 모형에서 R²의 변화량은 유의한 수준(F=4.305, p<.05)으로 나타나 성별에 따라 화용능력이 내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아가 남아에 비해 화용능력은 높으나(t=-3.63, p<.001), 화용능력이 내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은 남아에게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SES는 화용능력과 내현화 문제에 대한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또래관계를 매개로 한 매개모형에서는 화용능력의 내현화 문제에 대한 직접효과와 또래관계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또래관계를 매개로 한 모형에서는 성별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화용능력과 내현화 문제 간 잠재적 매개변인으로 지목된 또래관계의 부분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는 아동의 언어적 능력이 사회적 관계를 매개하여 내현화 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한 선행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결과로, 아동의 일상적 의사소통 능력인 화용능력 역시 또래와의 안정적 관계 형성을 매개로 우울 및 불안 등의 내현화 문제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뒷받침한다. 한편 성별과 SES 중 성별만이 화용능력과 내현화 문제의 관계에 대한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또래관계를 매개로 한 경로에 대해서는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화용능력과 내현화 문제 간 관계에 대한 성별의 조절효과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요인들이 고려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특히 비교적 사춘기를 일찍 겪는 여아의 경우 내현화 문제 발현의 위험요인이 남아에 비해 더 복잡하고 다양하기 때문에 화용능력의 영향력이 훨씬 미미하게 나타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

        초기부적응도식이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보영,김영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6 인지행동치료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을 대상으로 초기부적응도식, 지연행동, 우울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남 지역의 성인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초기부적응도식, 지연행동, 우울 척도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변인 간 관계 및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분석방법 및 Sobel(1982)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초기부적응도식이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울은 부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기부적응도식의 하위영역이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분석에서는 단절 및 거절 도식, 손상된 자율성 및 손상된 수행 도식, 손상된 한계 도식이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울은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초기부적응도식의 하위영역 중 타인 중심성 도식과 지연행동의 관계에 대해 우울이 완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기부적응도식의 하위영역 중 과잉경계 및 억제 도식이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울은 매개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의 결과에 대한 시사점과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mong early maladaptive schema, procrastination and depression in adult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ubjects of 400 selected adults in the region of South Gyeongsang province completed the YSQ-S (Young Schema Questionnaire), the AIP (Adult Inventory of Procrastination) and the CES-D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The mediation effect analysis method by Baron & Kenny (1986) and Sobel (1982) verification was accomplished to verify relations among variables and mediating effec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epression is partially mediated between early maladaptive schema and procrastination. Second, depression has partial mediating effect when investigating the effect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impaired autonomy and impaired performance schema, impaired limits schema which are subcategories of early maladaptive schema on procrastination. Third, depression produced complete mediation effects when other-directedness schema among the subfactors of early maladaptive schema impacted on procrastination. Fourth, depression has no mediating effects when the overvigilance and inhibition schema variable which is a subfactor of early maladaptive schema exerted an influence on procrastination. Finally, this study ends up with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result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학령전환기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학교적응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김경화 ( Kim¸ Kyunghwa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학령 전환기 아동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반영하여 사회적 유능감이 학교적응을 매개로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학교는 유아학교에서 초등 교육기관으로 전환 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변수 이므로 학교적응 전체뿐만 아니라 하위 요인별로 매개효과를 검증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페널 7차년도(2014년)와 8차년도(2015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변인과 관련하여 결측값이 발생한 데이터를 제거하여 총 866명의 응답 자료를 바탕으로 Hayes(2018)가 제안한 PROCESS macro의 model 4번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간접효과는 부스트랩 샘플을 5,000개로 지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적응은 사회적 유능감이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매개효과는 부분매개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생활적응은 유아기의 사회적 유능감이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학업수행적응은 유아기의 사회적 유능감이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매개효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매개효과는 부분매개로 나타났다. 넷째, 또래관계는 유아기의 사회적 유능감이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매개효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매개효과는 부분매개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사관계는 유아기의 사회적 유능감이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매개효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매개효과는 부분매개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기 사회적 유능감이 높을수록 아동의 학교적응과 행복감이 높아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social competence on happiness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school adaptation, reflecting the importance of adapting to a new environment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of school age. Especially, since school is an important variable in that it transitioned from a childhood school to an elementary education institution,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not only for the overall school adaptation but also for each sub-variant. As for the research method, Korean Institute of dhild care and education's Korean Children's Panel data from the 7th year(2014) and 8th year(2015) were used. After removing data with missing values related to the variabl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model 4 of the process macro proposed by Hayes(2018) based on a total of 866 responses. Indirect effects were analyzed with 5,000 bootstrap sampl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chool adaptation shows social competence has a mediating effect on child’s happiness. The mediating effect is partial mediation. Second, school life adaptation does not show early childhood’s social competence has a mediating effect on child’s happiness. Third, academic performance adaptation shows that early childhood’s social competence has a mediating effect on child’s happiness. The mediating effect is partial mediation. Fourth, peer adaptation shows social competence has a mediating effect on child’s happiness. The mediating effect is partial mediation. Fifth, teacher adaptation shows early childhood's competence has a mediating effect on child’s happiness. The mediating effect is partial mediat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higher the early childhood’s social competence, the higher child’s school adaptation and happiness.

      • KCI등재

        호텔종사원들의 감정소진이 조직몰입도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 향: 주도적 성격과 정치적 기술의 결합된 조절효과

        이형권(Lee, Hyeong-Kwon) 대한관광경영학회 2016 觀光硏究 Vol.31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먼저 감정노동을 경험하는 호텔종사원들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로 인 한 감정소진이 감정몰입도를 감소시켜서 결과적으로 조직시민행동을 감소시키는지에 관한 단순매개분석을 실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종사원들의 개인자원인 주도적 성격과 정치적 기 술이 증가하면서 이러한 음의 매개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관한 조절된 조절된 매개효 과(moderated moderated mediation)를 분석하는 것이 최종 연구목적이다. 단순매개효과에서는 매개효과가 누구에게나 동일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가정하지만 조절된 매개효과에서는 여러 요인(환경 혹은 개인특성)에 의하여 매개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한다. 사회적 교환이론(SET)과 자원보존(COR)이론 및 감정적 사건이론(AET)에 의하여 주도적 성격은 스트레스가 결과변수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키는 조절작용을 발생 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2원 상호효과). 하지만 일부 선행연구들은 주도적 성격이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을 오히려 증가시키는 역완충(reverse buffering)효과의 결과를 발표하였다. 따 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와 결과변수와의 관계에서 주도적 성격(제1 조절변수)의 조절 작용을 정확하게 조사하기 위하여 정치적 기술(제2 조절변수)을 도입하여 정치적 기술이 주 도적 성격의 조절작용을 증가시키는지에 관한 3원 상호효과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3 원 상호효과(조절된 조절효과)가 매개효과에 미치는 영향(조절된 조절된 매개효과)을 Mplus Version 7.4와 PROCESS macro Release 2.16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국내 호텔에서 근무하는 종사원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단순매개효과와 2원 상 호효과 및 3원 상호효과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나아가 주도적 성격이 음의 매개효과 를 감소시키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고 특히 정치적 기술의 값이 증가할수록 이러한 매 개효과가 더욱 감소하는 조절된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motional exhaustion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via affective commitment(mediation effect) among hotel employees. In particular, the main interest is to identify whether the indirect effect of emotional exhaustion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affective commitment is dependent on the value of proactive personality and political s k ill(moderated moderated medi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 ws: First, affective commitmen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 ween emotional exhaus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 the relationship bet ween emotional exhaustion and affective commitment is mitigated as proactive personality and political skill increase. That is, high proactive personality combined with high political skill led to the wea k est relationship bet ween emotional exhaustion and affective commitment(three- way interaction). Third, proactive personality moderated the negative indirect effect of emotional exhaustion such that the indirect effect is stronger at lo wer levels of proactive personality. Finally, the moderation of the indirect effect of emotional exhaustion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affective commitment by proactive personality is moderated again as political s k ill changes. Managers in hotel organizations should ta k e the benefits of employees ' proactive personality and political sk ill into account, and they have to consider proactive personality and political skill as important set of criteria for recruiting employee

      • 혁신지향문화와 관계지향문화가 지식경영활동에 미치는 영향 - 지식경영전략 매개효과 중심으로 -

        김명수(Kim Myung Soo)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기업의 혁신지향문화(developmental culture), 관계지향문화(group culture)가 지식경영활동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 지식경영전략 및 지식경영활동과 관련된 문헌 및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우선 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와 지식경영전략간의 관계와 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와 지식경영활동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리고 지식경영전략과 지식경영활동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알아보며, 마지막으로 지식경영전략이 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와 지식경영활동 간의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 학습조직이나 지식경영을 도입한 81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적 연구 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관계가 기업들의 지식경영에 어떠한 요소로 작용하는지를 실증분석 함으로써 지식경영을 진행하는 기업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첫째, 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와 지식경영전략에 있어서는 혁신지향문화는 지식경영전략의 시스템중심전략에서만 유의했고, 관계지향문화는 지식경영전략의 시스템중심전략(codification strategy) 및 사람중심전략(personalization strategy) 모두 유의하였다. 둘째, 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와 지식경영활동에 있어서는 혁신지향문화는 지식경영활동의 지식활용에 대해서 유의했으며, 관계지향문화는 지식경영활동의 지식창출과 지식경영활동 모두 유의하였다. 셋째, 지식경영전략과 지식경영활동에 있어서는 지식경영전략의 시스템중심전략과 사람중심전략은 지식경영활동의 지식창출 및 지식활용 모두에 유의했다. 넷째, 지식경영전략의 매개역할에 대한 검정은 혁신지향문화와 지식경영활동의 지식창출에 대해서 시스템중심전략 및 사람중심전략 모두 매개역할을 하며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이 나타났고, 혁신지향문화와 지식경영활동의 지식활용에 대해서도 시스템중심전략 및 사람중심전략 모두 매개역할을 하여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관계지향문화와 지식경영활동의 지식창출에 대해서 시스템중심전략과 사람중심전략 모두 매개역할을 하며 부분매개효과가 있었고, 관계지향문화와 지식경영활동의 지식활용에 대해서는 시스템중심전략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으나 관계지향문화와 지식경영활동의 지식활용에 대해 사람중심전략은 매개역할을 하지 못하여 매개효과가 없었다. 혁신지향문화에서는 지식경영전략의 시스템중심전략이 유의하고, 지식경영활동의 지식활용이 유의함을 알 수 있고 시스템중심전략을 통해서는 지식경영활동의 지식창출과 지식활용이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으며, 시스템중심전략은 혁신지향문화와 지식창출 및 지식활용 간의 부분매개효과가 있었고, 사람중심전략도 혁신지향문화와 지식창출 및 지식활용 간에 있어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관계지향문화에서는 지식경영전략의 시스템중심전략과 사람중심전략이 모두 유의하고 지식경영활동의 지식창출과 지식활용과도 모두 유의하였으며, 혁신지향문화보다는 관계지향문화가 지식경영전략이나 지식경영활동에 대한 유의성이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시스템중심전략은 관계지향문화와 지식창출 및 지식활용 간의 부분매개효과가 있었고, 사람중심전략도 관계지향문화와 지식창출 간에 있어 부분매개효과가 있었지만, 지식활용 간에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시스템중심전략보다는 사람중심전략이 더 지식경영활동의 폭을 넓게 활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이론적 시사점은 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와 지식경영전략과의 관계, 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와 지식경영활동과의 관계 및 지식경영전략과 지식경영활동에 대해서 분석을 시도하였고, 특히 지식경영전략이 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와 지식경영활동 간의 매개역할에 대해서도 지식경영전략이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기업의 수준에서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것이고, 실무적 시사점은 기업의 매출규모가 400억 미만의 중소기업과, 업력 10년 미만의 기업과 제조업에서는 혁신지향문화보다는 조직구성원들에게 대한 배려와 관심, 유대감과 친밀감 그리고 조직의 결속을 강조하는 관계지향문화가 지식경영을 진행하는 조직에 더 유연하고 합리적인 것으로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지식경영을 진행하는 기업에게 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와 유의한 지식경영전략 및 지식경영활동의 관계에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Developmental culture, group culture,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Developmental culture and group culture on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First,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al culture, group culture and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al culture, group culture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y, and then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y. Finally,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An empirical research and analysis was conducted targeting 81 companies that introduced learning organizations or knowledge management to determine whether this Developmental culture, group culture,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play a mediating role. By empirically analyzing what kind of factor this relationship acts on the knowledge management of companies, important implications were provided for companies conducting knowledge management. First, in the Developmental culture, group culture and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Developmental culture was significant only in the codification strategy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and in the group culture, both the codification strategy and the personalization strategy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were significant. Second, in Developmental culture, group culture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Developmental culture paid attention to knowledge utilization in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and group culture paid attention to both knowledge creation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in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Third, in the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the codification strategy and personalization strategy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paid attention to both knowledge creation and knowledge utilization in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Fourth, the examination of the mediating role of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showed that both the codification strategy and the personalization strategy played a mediating role for the knowledge creation of the Developmental culture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y, and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Regarding utilization, both the codification strategy and the personalization strategy played a mediating role, so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For knowledge creation in group culture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both the codification strategy and the individualization strategy played a mediating role and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For the knowledge utilization of group culture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the codification strateg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ut group culture and knowledge The personalization strategy did not play a mediating role with respect to the use of knowledge in management activities, so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In the Developmental culture, it was found that the codification strategy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was significant and the knowledge utilization of the knowledge management activity was significant. However, the codification strateg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Developmental culture and knowledge creation and knowledge utilization, and the personalization strategy also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Developmental culture and knowledge creation and knowledge utilization. In group culture, both codification strategy and personalization strategy of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were significant, and knowledge creation and knowledge utilization of knowledge management activity were also significant. It can be seen that group culture has higher significance for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or knowledge management activity than Developmental culture.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 KCI등재후보

        라이브 커머스 특성이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신뢰와 몰입의 이중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김성종,정병규 사단법인 한국벤처혁신학회 2022 벤처혁신연구 Vol.5 No.1

        There is growing empirical evidence that passion is an important part of entrepreneurship and influences the intentions, behaviors and performance of entrepreneurs, employees and startups. Passion is especially important in an entrepreneurial context, given the effort and challenge that entrepreneurs starting a startup must overco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passion of startup entrepreneurs participating in the accelerator incubation program and the passion of accelerator entrepreneurs and managers on the entrepreneurial performance of incubator startups. In addition, we tried to confirm whether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plays a mediating role in this influence relationship.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by startups entrepreneur who completed the accelerator incubation program. A total of 33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passion of startup entrepreneurs and the passion of accelerator entrepreneurs and managers all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entrepreneurial performance of incubator startups. The influence of passion was found to be high in the order of startup entrepreneurs, accelerator entrepreneurs, and accelerator managers. It was confirmed that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the passion of startup entrepreneurs, the passion of accelerator entrepreneurs, and the entrepreneurial performance of incubator startups, respectively. However, no significant mediating role was identified between the passion of accelerator managers and the entrepreneurial performance of incubator startup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empirically confirming for the first time that the passion of accelerator entrepreneurs and manager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ntrepreneurial performance of incubator startups. The passion of accelerator entrepreneurs and managers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as a hidden lynchpin in creating the entrepreneurial performance of incubator startups. In particular, since the passion of accelerator entrepreneurs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incubator startup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is fact and carefully examine their passion reputation when startups select accelerators. 코로나19로 인하여 언택트 마케팅이 활성화되고 있다. 그로 인하여 e 커머스 시장에서도 언택트 판매인 라이브 커머스가 활성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라이브 커머스를 통해 구매할 경우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 특히 이제 막 활성화되고 있는 라이브 커머스 플랫폼과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가 중요하고 콘텐츠에 대한 소비자들의 몰입이 중요하므로 이들의 매개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모형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라이브 커머스 특성 중 공통 변인을 도출하여 설정하였다. 실증 분석을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라이브 커머스에서 1회 이상 구매한 사용자 200명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라이브 커머스 특성 중 오락성, 경제성, 전문성은 구매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용 용이성은 구매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영향력은 오락성, 전문성, 경제성 순으로 나타났다. 신뢰의 매개 효과는 오락성, 경제성, 전문성이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용 용이성과 구매 의도간에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검정되지 않았다. 몰입의 매개 효과는 오락성, 경제성이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몰입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용 용이성과 경제성이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몰입의 매개 효과는 검정되지 않았다. 몰입과 신뢰의 이중 매개효과는 오락이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는 몰입의 매개효과가 신뢰의 매개효과 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전문성이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도 역시 몰입의 매개효과가 신뢰의 매개효과 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반면, 경제성이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는 신뢰만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술적으로 소비자들이 라이브 커머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콘텐츠의 재미와 흥미 요소인 오락성이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실증적으로 검증한 점이다. 또한 신뢰와 몰입이 동시에 매개 역할을 하기도 하고 전혀 매개 역할을 못하는 경우등 다양한 결과를 도출한 점이다. 라이브 커머스 플랫폼 사업자와 판매업체들에게 소비자에게 다가가기 위해서 무엇에 우선 순위를 두어야하는지에 대한 단초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인 시사점을 찾을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