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평택지역 3.1운동의 검토와 과제

        진주완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9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98

        The Review of the March 1st Movement in Pyeongtaek Area Jin, Ju-wan This article is a review of the March 1st Movement in Pyeongtaek in 1919. Before the March 1st Movement Pyeongtaek had many changes. These changes have brought benefits to the Japanese and have caused economic disadvantages to the Korean people. During this period, modern educational facilities were established in Pyeongtaek and religious people entered the area. They became the key force leading the March 1st Movement in 1919. The March 1st Movement in Pyeongtaek was reported to have lasted about a month from March 9 to April 10. During this period, independence movements were staged all over Pyeongtaek, and Japanese military & police violently suppressed them. After reviewing the data in this section, we found some areas to be reviewed in the previous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first March 1st Movement site. The report, ruling and newspaper articles writte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did not reveal the details. Second, about a third of those arrested during the March 1st Movement in Pyeongtaek were sentenced to prison, mostly farmers in their 20s and 30s. There was also some data left on the murder victims, but it was hard to trust the time and place of death. Third,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March 1st Movement-related monuments. Some sites seem different from real places. Some places were omitted even though there was ample grounds to celebrate. Fourth, the March 1st Movement in Pyeongtaek was mainly led by students and religions. Students led the March 11 Manse Hurrah Demonstration Movement in front of Pyeongtaek Station. The Cheondogyos seem to have funded the March 1st Movement and led the protests in the background. Christianity seems to have played a pivotal role in regional links. In addition, some officials and residents staged their own Manse Hurrah Demonstration Movements. The residents seem to have joined it enthusiastically. 평택지역 3.1운동의 검토와 과제 진주완 본고에서는 평택지역 3ㆍ1운동에 대해 검토하였다. 근대 시기 평택은 행정구역의 변화, 철도의 부설, 일본지주의 진출 등의 변화가 있었고 이 과정에서 조선인들이 소외되는 현상을 보인다. 특히 개간지의 농민들은 토지조사사업으로 인해 토지를 빼앗기면서 큰 박탈감을 가지게 되었을 것이로 추정된다. 한편 평택지역에 근대적 교육기관과 천도교ㆍ기독교 등 종교계가 진출하였는데, 이들은 3ㆍ1운동 시기 만세시위를 주도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평택지역 3ㆍ1운동에 대한 주요자료에 대해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택지역 만세시위는 3월 9일부터 4월 10일까지 전개되었으나, 이 가운데 3월 9일과 10일 만세시위는 일제측 기록에서 찾아볼 수 없고, 유일하게 기록된 『삼일운동비사』의 경우 몇몇 부분에서 신뢰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어 그대로 수용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따라서 평택지역 최초 3ㆍ1운동지역에 대해서는 논의해볼 필요가 있다. 둘째 평택지역 만세시위로 인해 검거된 인물은 약 60여명이었으며, 이 가운데 1/3인 31명이 형을 선고받았다. 형을 선고받은 인물들은 주로 농민들이었으며 대부분 20대~30대 중반의 인물들이 많았다. 피살된 인물의 경우 해방 이후 『3ㆍ1운동 피살자 명부』를 통해서 10인의 신원에 대해 파악되었는데, 이들의 순국일자와 장소는 신뢰하기 어렵다고 판단된다. 셋째 만세시위가 일어난 지점에 대해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에서 2009년 조사보고서를 정리하였으나 틀리거나 애매한 부분이 있었다. 주재소의 경우 3ㆍ1운동 당시 위치와 이후 이동한 위치 간의 혼동으로 인해 잘못된 위치를 조사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 기존 자료를 인용, 재생산하는 과정에서 원문에 없었던 내용이 추가되는 경우가 있는데, 3ㆍ1운동 최초 발상지로 알려진 계두봉 또는 옥녀봉의 경우 이에 해당한다. 한편 판결문에 등장하는 봉오산과 같은 지점도 사적지에 추가될 필요가 있다. 이어 평택지역 만세시위의 주도세력에 대해 정리하면 학생ㆍ종교인ㆍ관리 및 일반인들로 분류할 수 있다. 평택공립보통학교 학생들은 동문 이도상의 주도하에 3월 11일 평택역 앞 만세시위를 주도하였다. 종교인들의 경우 일제측 자료에 활동이 두드러지지 않은데, 이는 일제의 감시로 인해 적극적으로 활동할 수 없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다른 자료를 보면 이들이 만세시위를 배후에서 지원하고 주도하였음을 알 수 있다. 3월 31일 북면 만세시위는 천도교 진위교구장 박창훈의 지도 아래 야막리ㆍ봉남리의 천도교도들이 주도하여 전개되었다. 또한 이들은 독립운동자금을 모아 지원하기도 하였다. 기독교의 경우 구체적인 활동내용은 파악하기 어려우나, 3월 31일부터 4월 2일까지 전개된 용인ㆍ안성ㆍ평택지역의 만세시위에 주도세력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를 볼 때 이 지역 만세시위를 배후에서 지원하고, 지역적 연계에 있어 한 축을 담당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서탄면에서는 면장이 직접 만세시위를 지휘하였는데, 서탄면장 윤기선은 대한제국 시기 중앙에 진출한 바 있고, 낙향 이후 지역발전을 위해 힘쓰던 인물이었다. 또한 그와 뜻을 함께한 윤대선은 교원을 역임하였고 평택지역 국채보상운동에서 주민들을 독려한 바 있었다. 이외에도 4월 1일 북면 은산리와 청북면 백봉리, 4월 3일 오성면 학현리에서는 마을 주민들이 인 ...

      • KCI등재

        세종지역 3.1운동과 일제의 탄압

        이양희(Yi, Yang-hi) 호서사학회 2021 역사와 담론 Vol.- No.97

        현재의 세종지역이었던 연기군, 공주군 장기면, 청주군 부용면에서는 1919년 3월 중순부터 한 달 이상 만세운동이 일어났다. 3월 13일 만세운동은 전의면을 필두로 시작되었다. 3월 23일 본격화된 만세운동은 조치원면, 동면, 서면, 전동면, 부용면, 남면, 금남면, 장기면으로 확산되며 4월 5일경까지 지속되었다. 당시는 3.1운동의 절정기로, 만세운동, 식민기관에 대한 항의, 일제 군경에 대한 저항과 격투, 야간횃불운동 등 다양한 형태의 만세운동이 전국적으로 발발한 시기였다. 세종지역의 만세운동은 과격하지 않았다. 야간에 마을 인근의 산 위에서 화톳불이나 횃불을 이용하며 만세를 외치는 형태였다. 이는 전통적인 통신 매체인 봉화 체계를 이용하여 만세 동참을 표하는 동시에 인근 마을에 만세운동 동참을 권유하는 행동 양식이었다. 따라서 세종지역 만세운동은 인근 지역 마을과 연동되어 일어나는 경우가 많았다. 세종지역의 만세운동 종교나 독립선언서의 영향은 그리 크지 않았다. 대부분 서울의 만세운동을 목격한 이들이 귀향하면서 마을사람들을 주도해 일으켰다. 당시 세종지역에는 헌병 분견소 1개 아래 헌병 주재소 6개, 경찰관 주재소 1개가 있었으며, 보병 제80연대 파견군과 철도엄호대, 조선임시파견대대가 공주, 조치원 등지에 배치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일제 군경에 의해 150~180명 이상의 한국인이 세종지역 각지에서 체포되었다. 이들 중 35명은 태형과 징역 6개월 이상의 판결을 받았으며, 나머지 인원은 구류, 과료, 태형 등의 즉결처분을 받았다. Yeongi-gun, Janggi-myeon in Gongju-gun, and Buyong-myeong in Cheongju-gun, which comprises today’s Sejong region, were home to the monthlong Korean independence protests that began in mid-March of 1919. The movement began on March 13 in Jeoneui-myeon. With the people participating in earnest beginning on march 23, the movement spread to Jochiwon-myeon, Dong-myeon, Seo-myeon, Jeondong-myeon, Buyong-myeon, Nam-myeon, Geumnam-myeon, and Janggi-myeon, continuing until April 5. At the height of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protests against Japanese occupation and its policies, as well as resistance and conflict against the Japanese military police, and nighttime torchlight rallies, were prevalent throughout Korea.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Sejong region was not violent. People gathered at the top of mountains near villages and make a bonfire or torchlight while shouting their protests against the Japanese rule. This behavior was inspired by the traditional beacon fire communication system, and it had the effect of encouraging neighboring villages to participate in the protests. As such, the protest events in the Sejong region took place in conjunction with those of neighboring villages. The impact of religion or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was not significantin the protest movement in the Sejong Region. Most of the protests wereled by local residents who returned home from Seoul and saw the protestmovement taking place in the capital city. At the time, the Sejong region hosted six military police offices under one military police detachment, as well as one police office. In addition, the 80th Expeditionary Regiment, Railroad Defense Detachment, and Temporary Korea Detachment Battalion were posted in Gongju and Jochiwon. The occupying Japanese military and police arrested 150 to 180 Koreans in various places in the Sejong region. Thirty-five among them were sentenced to flogging and six months or more in imprisonment. The rest were subjected to immediate sentencing for confinement, fine, or flogging.

      • KCI등재후보

        3·1운동기 서대문형무소 학생 수감자의 역할과 行刑

        김용달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8 한국학논총 Vol.30 No.-

        이 연구는 3·1운동 과정에서 보이는 학생층의 역할과 그에 대한 일제의 행형을 실증적으로 추적한 것이다. 학생층은 3·1운동의 계획과 추진, 그리고 전파와 대중화의 전위적 역할을 수행하였다고 알려졌다. 하지만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학생층의 역할을 더 자세히 조명하고, 나아가 그 활동의 특징과 의의도 함께 추적해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전국 각지에서 펼쳐진 학생층의 활동을 다 고찰할 수는 없다. 그래서 3·1운동으로 인해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된 학생 수감자들을 중심으로 그들의 인적사항과 활동내용을 추적하면서, 그들이 수행한 주된 역할과 의의를 고찰하였다. 아울러 이들에 대한 일제의 행형 내용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은 3·1운동의 발원지이자 축소판으로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된 학생들이야말로 3·1운동의 계획과 추진, 그리고 전개과정에서 수행한 학생층의 온갖 역할을 함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된 학생 수감자들의 역할은 3·1운동 주모자, 서울 만세시위운동 주동자, 지방 만세시위운동 주동자, 3·1운동 전파자, 3·1운동 기념 만세시위운동 주동자 등으로 구분된다. 대개 이들은 고등보통학교 학생과 전문학교 학생 이상의 고학력자들이며, 또 당시의 사정 때문이기도 하지만 나이가 학생으로는 많은 편이었다. 이들 학생 수감자들은 3·1운동의 발발과 전개 과정에서 보이는 다양한 역할과 활동을 수행하였다. 3·1운동의 계획 추진 단계부터 참여하면서 3·1운동을 발발시키고, 나아가 3·1 독립선언대회와 제2차 서울 학생 만세시위운동인 3월 5일 남대문역 만세시위 운동을 전개하여 3·1운동을 전국적으로 전파하는 선도적 역할을 수행한 것이다. 이어 서울에서 독립신문·경고문·격문·임시정부 선언문·노동회보 등 각종의 독립운동 관련 문건을 제작하여 살포하면서 각계각층의 만세시위운동을 이끌어내 3·1운동을 대중화하는 데도 앞장섰다. 더 나아가 서울의 만세시위운동 경험을 토대로 귀향하여 고향의 만세시위운동을 추진하여 펼쳐갔다. 각지의 봉기 계획을 짜고 독립선언서와 태극기, 그리고 격문 등을 제작하여 살포하면서 만세시위운동을 주도함으로써 3·1운동이 전국적이며 거족적인 독립운동으로 발전하는데 기여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1920년 3월 1일 3·1운동 기념일을 맞이해서는 기념 만세시위운동을 전개하여 3·1정신을 되살리기도 하였다. 이들에게 적용된 법령은 크게 보안법과 출판법, 그리고 형법상의 소요죄 등이었다.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된 학생 수감자 71명 가운데 68명이 보안법이 적용되었고, 또 보안법과 출판법이 병합 적용된 이른바 ‘병합죄’의 경우도 학생 수감자의 절반에 가까운 34명이나 되었다. 학생 수감자들에 대한 양형을 보면, 대개 서울과 지방 만세시위운동 주동자들로 보안법만 적용된 수감자가 33명인데, 이 가운데 징역 1년 이상의 중형자가 19명으로 절반이 훨씬 넘었다. 이에 비해 3·1운동 주모자로 보안법과 출판법이 병합 적용된 경우와 출판법만 적용된 수감자를 합한 숫자가 37명에 달했지만, 이 가운데 징역 1년 이상의 중형자는 16명으로 보안법만 적용된 경우보다 적었다. 이는 일제가 실제적인 만세시위운동 주동자와 활동가들을 더 가혹하게 처벌한 사실을 보여준다. 아울러 일제가 만세시위운동 주동자와 격렬 시위자들을 가급적이면 중형으로 처벌하여 3·1운동의 전국적인 전파 ... This research chases role of student class and execution of a sentence about them showed process positively. Student l was known that ran plan and propulsion of 3·1 movement, and avant-grade role of propagation and popularization. However, illuminate role of student class more minutely, and furthermore feature of the activity and sense need to chase together through specific reward. Can not investigate all activity of outspread student class from whole country each place. So, as chasing with student prisoners as the central figure cast into prison to three passage prisons their human items and activity detail by 3·1 movement, investigated principal role and sense that they achieve. Wished to analyze execution of a sentence contents of Japan imperialism about these together and examine the feature. Seoul is connoting every role of student class which achieve at students imprisoned to Seodaemun prison planning of 3·1 movement and propulsion, and unfolding process by tabloid edition when it is since prayer of 3·1 movement. Student prisoners' role cast into prison to Seodaemun prison is divided for demonstration prime mover, back 3·1 movement prime mover, Seoul Manse demonstration prime mover, local Manse demonstration prime mover, 3·1 movement spreader, 3·1 movement commemoration Manse. Generally, these are excellent schlarship more than rise an ordinary school student and a professional school student, and was due to then circumstance but was old by a student. These student prisoners achieved various role and activity showed outbreak of 3·1 movement and unfolding process. Run leading role that break out, and Namdaemun station Manse March 5 that is demonstration 3·1 Declaration of Independence contest and 2nd Seoul student Manse furthermore demonstration movement unfold and 3·1 movement all over the country destroy completely 3·1 movement as participating from plan propulsion step of 3·1 movement. It spearheaded to popularize 3·1 movement eliciting Manse demonstration of each field each class as spreading producing each kind independence movement connection document matter such as independence newspaper , warning message, despatch, interim government Declaration Statement, labor circular letter in proverb Seoul. Went home and propel Manse demonstration of the native place and spread on the basis of Seoul's Manse demonstration experience going forward more. Contribute 3·1 movement develops by national and nationwide independence movement by colluding revolt plan of each place and lead demonstration Manse as producing and spread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national flag of Korea, and despatch etc. Waged demonstration commemoration Manse on the occasion of March 1, 1920 3·1 movement memorial day as well as and rekindle 3·1 mind. Decree applied to these was maintenance of public security method and crime of sedition by Publication Law, and criminal law etc. greatly. Maintenance of public security method of 68 people was applied among 71 student prisoner cast into Seodaemun prison, and maintenance of public security method and Publication Law union apply that what is called case of 'Concurrence of offenses' in student prisoner's half near 34 people be . If conduct assessment of a case about student prisoners, generally, prisoners applied maintenance of public security method by demonstration prime movers Seoul and local all ages are 33 people, half of medium size person more than penal servitude 1 year exceeded far to 19 people among this. Than this by 3·1 exercise prime mover maintenance of public security method and Publication Law union number that unite prisoner applied case and Publication Law applied reached to 37 people but medium size person more than penal servitude 1 year wrote than case applied maintenance of public security method to 16 people among this . This shows truth that Japan imperialism punishes demonstration prime mover and active persons flippinger actual Manse. Japan imperialism...

      • KCI등재

        군산 3.5 만세운동과 기독교 영명학교

        김은수 한국선교신학회 2023 선교신학 Vol.71 No.-

        군산 3.5 만세운동은 전북지역 최초의 독립 만세운동으로써 다른 지역 만세운동을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당시 미국남장로회는 군산, 전주, 익산에 기독교 학교를 세웠는데 이들 지역의 만세운동에는 이 학교의 학생들이 그 중심에 있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군산영명학 교이다. 이 학교는 전킨 선교사가 설립하여 앞선 신학문과 기독교 정신을 가르쳤고, 3.5 만세운동 당시 교장이었던 인돈 선교사는 미국으 로 건너가 한국의 독립만세운동의 정당성을 적극적으로 알렸으며, 영명학교 졸업생이자 교사인 박영세는 3.5 만세운동을 주도했다. 이들 은 학생들에게 나라 사랑과 비폭력평화의 기독교 정신을 가르쳤고, 학생들은 3.5 만세운동에서 배움을 실천으로 옮겼다. 3.5 만세운동과 그 정신은 그 후 군산지역의 자발적인 만세운동으로 계속 이어졌다. This paper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Kunsan 3.5 Independence Movement and Youngmyung mission school. Kunsan 3.5 Independence Movement was the first independence movement in North Jeolla province and was an occasion to spark it in other regions. At that time, Southern Presbyterian church in USA established mission schools in Kunsan, Jeonju, and Iksan, where students were at the center of the movement. Kunsan Youngmyung school was a case in point. The founder, Junkin, taught Christianity to his students, and Linton, who was the principal at the time, returned to his home and actively informed the legitimacy of Korea’s Independence Movement. Park Yeon-se, a graduate and teacher at Yeongmyung school, led the 3.5 Independence Movement. Students practiced his learning in the 3.5 Independence Movement. The movement and its spirit continued with the spontaneous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Kunsan region thereafter.

      • 함경남도의 3·1운동

        김진호(Kim, Jin-ho)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2018 충청문화연구 Vol.20 No.-

        함경남도 3·1운동은 2월 21일경 독립선언이 발표된다는 사실을 원산에서 인지되며 독자적 독립선언서를 제작하고 독립만세 실행 준비가 이루어졌다. 2월 28일 밤 경성의 독립선언서가 도착하고 이어 3월 1일 도청에 전달하고 원산리 시장에서 경성과 원산의 독립선언서를 배포하며 조선독립만세를 외쳐 3·1운동은 시작되었다. 이 독립만세운동은 5월 15일까지 76일간에 걸쳐 167회에 56000여 명이 참가한 독립운동이었다. 3·1운동은 천도교와 야소교 계통의 인사나 학생들이 주도하였다. 천도교측 32회, 야소교측 15회, 천도교와 야소교측 연합 8회, 학생 29회를 주도하였다. 또한 면서기, 마을 구장, 전직 면장, 전직 도참사 등도 주도 참여하기도 하였다. 이외 고용인, 간호인의 주도나 여성과 어린 아동들의 참여도 있었다. 독립만세 운동지는 교구당, 교회당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형태이나 주로 시장 23곳(27회), 읍내 16곳, 면내 5곳, 마을 22곳, 학교 9개교, 산 5곳 등 이었다. 물론 일제 기관인 헌병주재소나, 경찰주재소, 면사무소도 주요 독립만세운동지였다. 독립만세운동은 3월 6일부터 3월 중순까지 집중적으로 전개되었다. 3월 6일 6회의 독립만세 이후 본격 증가하여 3월 17일은 7개군 14회 독립만세를 외쳐 함경남도 3·1운동의 최절정기이었다. 이후 3월 21일부터는 1, 2회 정도의 독립만세만 있을 뿐이었다. 독립만세운동은 독립선언서를 제작하거나 교부받아 배포하고 태극기를 제작하며 지역민에게 권유하여 독립만세를 외치는 것이 일반적 형태이나 군청, 면사무소, 주재소, 분견소 등을 공격하는 형태로 전개되었다. 이와 같은 독립만세운동이 전체 167회 가운데 112회(67.07%)나 된다. 이외 독립 연설, 권유활동, 태극기 및 유인물 제작 배포, 독립선언서 제작 배포, 방화 활동, 시장 폐쇄(철시), 주재소 파괴, 순사와 순사보 응징, 동맹 휴업, 집단 사표, 일본인 주점습격 등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었다. 이원군 동면에서는 면사무소에 납부 세금을 반환하라고 요구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사전 제지와 탄압이 예비 검속 및 체포, 권유 활동, 독립선언서와 유인물 배포 등이 35회(20.96%)나 되었다. 이는 일제의 경계와 탄압이 심하였음을 의미하지만 반면 함경남도 도민이 독립만세운동에 얼마나 매진하였는가를 반증하기도 한다. 독립만세를 부르며 독립선언서나 유인물 배포 13곳, 독립 연설 18곳, 구한국 국기(태극기)나 깃발 배포가 40곳이나 된다. 깃발에는 조선독립기, 조선국자주독립만세, 대한독립기, 조선독립국, 조선독립단 등이라 명기하여 자주 독립의식과 독립만세 분위기를 고조시켰다. 112회 독립만세운동 가운데 35.71%로 3회 가운데 1회 이상을 태극기나 깃발을 활용하여 태극기가 독립만세운동의 중요한 역할과 기폭제가 되었다고 하겠다. 이외 악대 연주, 북과 징, 야간 횃불 등을 활용하여 평화적으로 독립만세를 외쳤다. 반면에 일제의 행정, 치안 기관 등을 직접 공격 파괴하거나 일경을 응징하는 등 공격적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독립만세운동은 56000명 이상의 도민이 주도하거나 참여한 독립운동이었다. 하지만 1150명 이상이 체포를 당하고 69명 부상과 61명 순국으로 130명 이상이 사상(死傷)되는 탄압을 받았다. 즉 일제의 무력 탄압은 6곳 중 1곳에서 총기 발포로 사상자가 발생되고 5곳 중 1곳에서 현장 체포가 자행되었으며 이후 철저한 검거 작전이 실행되었다. 재판에 회부되어 형옥을 겪은 인사가 455명이었다. 함흥지방법원 검사국에서는 100여 명을 불기소처분하고 홍원 경찰서에서는 42명을 즉결처분 태형을 가하기도 했다.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of the Hamgyeongnam-do(咸鏡南道) recognized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on 21st of February and began in Wonsan. That is to say,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rrived from Gyeongseong(Seoul) to Wonsan(元山) on 28st of February and some the Yasogyo(耶蘇敎徒) made the their Declaration of Independence. Then they preconized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yelled for Korean Independent Harrish on 1st of March. The hurrah movement for independence was developed from 1st of March to 15th of May for 76 days. Within for this days, the Independent Harrish Movement(獨立萬歲運動) fulfilled the 167 times and was participated the about 56,000 person. The Movement was started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to arrive, the state funeral of King Gojong(高宗) attendant to return home, the persons of other places to advice, the movement of other places to relay and so on. And it executed from 6th of March to around the middle of March. The Independence Movement was developed to yell the Independent Harrish, to wave the Taegeukgi(太極旗) and the flag for national Independence, to distribute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the printed materials for independence and so on. The places were the village and town, the temple of Cheondogyo(天道敎), the Methodist and Presbyterian Church, the local market, the school, the police and military police substation, the Myeon(面) office, the mountain and so on. The leaders were the believer and minister of Cheondogyo, the believer and minister of Protestant, the student and teacher, the Myeon and country office staff, the employee, the caretaker and so on. They developed The Independence Movement as a peacefull means. But they sometimes had a violent protest owing to the military force of Japanese police, military police and military. So, they attacked the Myeon office, the police and military police substation and went as far as to beat the police and military police. Very often, they set fire to the house.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朝鮮總督府) and the Government of Japanese Imperialism thoroughly cracked down on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y closed the local market, imposed the curfew and arrested in advance. And they enforced the dispersal of Harrish crowd on the sport. If not, they oppressed the crowd as the military pressure. In other words, they fired the gun to the crowd in 17 places, killed and injured in 18 places and arrested in 37 places. As a result, 61 peoples were killed, 69 peoples were injured, 1150 peoples were arrested. The 1150 prisoner vigorously were interrogated in the police and military police substation, sent to the prosecutor and put on trial. Consequently, the 455 peoples were sentenced in jail and suffered torments. In conclusion,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of the Hamgyeongnam-do was th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which got a cruel repression from the Japanese Imperialism.

      • KCI등재

        재판 관련 기록으로 본 화성 장안 · 우정면 3 · 1만세운동

        이용창(Lee, Yong-chang)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8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62

        1919년 화성 장안 · 우정면 3 · 1만세운동은 다양한 종교조직과 신분계층의 모의과정을 거쳐 인근 지역 최대 2,500여 명의 주민이 참여한 대표적인 面연대투쟁으로 알려져 있다. 이 과정에서 우정면 화수경찰관주재소가 완전 전소되었으며 화성 송산면과 함께 전국에서 일본 경찰 2명이 처단된 유일한 지역이었다. 그만큼 일제의 잔인한 보복과 학살의 대상이 되었다. 일제는 장안 · 우정면 만세운동에 참여해 체포 · 訊問 과정을 거쳐 예심을 마친 ‘보안법위반 및 소요 · 살인 · 방화 사건’ 피고인들에게 ‘內亂罪’를 적용해 최고형인 사형으로 처벌하려는 방침을 세웠다. 이 과정은 ‘訊問調書’류와 「판결문」에서 ‘내란죄’ 적용 방침과 무산의 이유, 관련법조항과 내용을 검토하였다. ‘신문조서’류의 영인본(일문 · 국문)은 번역 오류와 자료의 누락으로 사료 가치가 떨어지는 한계가 있어 M/F본을 함께 활용해 인물 · 사건 등을 재구성하고 ‘내란죄’기소까지의 과정을 살펴보았다.「판결문」은 화성시가 3급3심 판결내용 전체를 완역해 발간한 『역주 3 · 1운동 재판기록』을 활용하였다. 특히 예심 재판부의 ‘내란죄’ 기소에 대해 불성립을 판결한 고등법원의 입장, 이에 대한 지방법원의 반발과 복심법원의 지방법원 비판 등도 확인하였다. 결국 일제 법원의 ‘내란죄’ 적용 시도는 시급한 정세에 대응하는 정치적 판단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필자는 두 자료를 포함해 「(일제감시대상) 인물 카드」, 「형사공소사건부」, 보충자료로 『3 · 1운동시 피살자 명부』를 ‘재판 관련 기록’으로 묶어 각 자료의 특징과 함께 장안 · 우정면 3 · 1만세운동 관련 피고인들이 체포 후 어떤 절차를 거쳐 조사 · 신문을 받았는지, 일제가 이들을 어떻게 처리했는지, 예심종결 이후 정식 재판까지 어떤 논의가 있었는지, 최종 판결을 받은 ‘김현묵 등 27인’에게 어떤 관련법조항을 적용해 형량이 선고되었는지 등을 살펴보았다. 「(일제감시대상) 인물 카드」에 수록된 20명의 동일인 추정관련 기록 중 보안법위반 17명의 사진과 ‘사진보존 원판번호’ 등을 통해 이들이 장안 · 우정면 만세운동 피고인과 동일인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3 · 1운동시 피살자 명부』에는 순국당시 장안 · 우정면에 거주했던 14명(동일인을 1명으로 합산)이 수록되어 있다. 그동안 미서훈 독립유공자로 보류되었던 2명의 순국정황이 『명부』에서 확인되면서 서훈 추서의 근거가 되었다. 「刑事控訴事件簿」에는 피고인의 인적사항, 각급 법원의 판결내용 등 중요한 정보가 기재되어 있다. 무엇보다 ‘신문조서’류나 「판결문」등이 누락된 경우 최종 판결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로써 가치가 있다. 일제가 장안 · 우정면 3 · 1만세운동 피고인 ‘김현묵 등 27’인에게 적용한 것은「보안법」과 「(일본)형법」이었다. 2명에게 무죄가 선고되었으며 25명 중 5명에 대한 「보안법」의 ‘치안방해’는 무죄가 선고되었다. 「보안법」에 「형법」이 함께 적용되거나, 「형법」만 적용된 25명은 최고 15년에서 최저 1년까지 선고되었다. 그러나 일제가 제정한 관련법에 따라 이루어진 독립운동 피고인 체포, 신문, 재판, 선고는 식민지 악법을 적용한 것에 지나지 않았다.

      • KCI등재

        3·1 독립만세운동에 대한목회신학적함의에대한연구

        이상억 ( Lee Sang Uk ) 한국목회상담학회 2018 목회와 상담 Vol.31 No.-

        2019년은 1919년 3월 1일에 발발한 전국적 독립만세 운동의 100주년이 되는 뜻깊은 해이다. 이에 본 소고(小考)에서 연구자는 3·1 독립만세운동에 담긴 목회신학의 함의를 살펴보며, 현 시대에서 한국교회가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특히 교회교육의 현장에서 우리가 해야할 일이 무엇인지 그 구체적인 지침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연구자는 3·1 독립만세운동을 정신병리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 운동이 단지 상처에 대한 병리적 표출로서 투쟁과 회피가 아니며, 또 마음에 생긴 흔적으로서 콤플렉스와 심리적 고착이 나타내는 집단적 신경증이나 편집적 양상이 아님을 분석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운동의 양상이 비폭력, 무저항, 자유를 향한 평화운동이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분석을 기초로 만세운동이 심리학적으로 정화의 표현이었음을 밝히고, 이것이 어떻게 가능했는지 그 영성적 이해를 통해 밝히고자 한다. 그래서 만세운동이 목회신학적 측면에서 반복적인 신앙훈련을 통한 초월과 창조의 감각으로 깨닫게 된 변형의 순간이었음을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의 기초위에 만세운동을 이끌게 된 정신적 동인으로서 신앙교육과 훈련이 어떤 것이었는지를 평양대부흥운동의 특징에서 살펴보며, 성경공부와 말씀암송의 중요성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초기 선교사였던, 데밍, 스왈른, 피어슨, 게일 등의 증언처럼, 당시 한국교회는 신앙부흥운동 즉 말씀사경회와 성경암송을 통해 예수님처럼 말씀이 육신이 되는 경험을 갖고자 노력하였다. 이러한 영성적 이해를 통해 외상적 상처가 병리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말씀이 개인과 민족의 아픔과 상처를 보듬었던 만세운동을 조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기독교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와 비난의 화살을 던지는 오늘, 안타깝게도 교회는 부패청산의 대상으로 지목되기도 하고, 미래 한국교회를 이끌어갈 다음 세대에게 외면당하고 있는 위기의 상황에 대한 타개책을 이 논문을 통해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개혁교회는 언제나 개혁되어야 한다(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는 개혁신학의 슬로건을 기억하며, 말씀으로 돌아가 회개와 회복 운동의 필요성을 논문을 통해 역설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3·1 독립만세운동이 모든 세대와 계층, 정치신념과 종교, 지역주의를 뛰어넘는 대통합과 포용운동이었음을 밝혀, 모든 사람이 모든사람을 기뻐하고, 모든 사람이 모든 사람의 이야기를 가치 있게 들으며, 모든사람이 모든 사람을 존중하는 세상을 어떻게 한국교회가 만들어갈 수 있는지 그 방향성과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이 연구는 단지 한국교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만이 아니라, 세대와 계층의 갈등, 정치적 신념의 차이, 지역주의와 모든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영성적 이해를 제공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The year of 2019 is the commemorative and meaningful centennial of the March 1st Declaration of Independence Movement which occurred throughout the nation on the first day of March in 1919. Hence, I shall examine the implications of pastoral theology in the movement, and ponder over the future directions Korean churches of today’s modern society should take in this article. In this regard, I suggest specific guidelines regarding what to do in the process of Cchristian education. Furthermore, I study the March 1st Declaration of Independence Movement especially in terms of the from a psychopathological perspective. I am about to analyze the movement to adduce evidence that the movement was neither merely a struggle nor an evasion as a result of a pathological expression stemming from emotional distress. I also show in this article that the movement was neither an inferiority complex nor a mass neurosis and paranoid episode that sprung from psychological fixation. This is briefly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movement was a peace movement which that took on a nonviolent and nonresistant aspect trend towards liberation. Based on the analysis, I am about to establish that the independence movement was psychologically an expression of catharsis, and how that such movement was possible through spiritual understanding. In turn, this paper is intended to show that the independence movement, with regard to pastoral theology, was a moment of transformation realized by the sense of creation and transcendence established through repetitive faith training. On the basis of such analysis, I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yongyang Revival Movement from by figuring out the various kinds of faith training and education which that contributed as to the spiritual forc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Just as the early missionaries, Deming, Swallen, Gale, Pierson, et al., testified, the Korean churches at the time endeavored to experience ‘the Word becoming flesh,’ as an attempt to follow Jesus. Korean churches practiced the attempt through the Revival Movement, or more specifically, Bbible classes and recitations. Such spiritual understandings prevented the nation from experiencing a traumatic stigmata of the nation from pathologically happenings as a result. One of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llumine the independence movement where the Word has embraced and healed the agony and injuries of both an individual and the whole nation.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pose a remedy for the crisis situation where Christianity is criticized and denounced by many others, where the church is unfortunately a target of eradication in terms ofdue to corruption and where it is often ostracized by the next generation, which is responsible to lead the future Korean church. Under the Reformed Theology slogan, 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 of Reformed Theology, I emphasize the necessity of repentance, restoration and getting back to the Bbible throughout this article. Thus, I ascertain that the March 1st Declaration of Independence Movement was a unification and embracement of every class, and every generation. Every political and religious belief was accepted and regionalism was denied. And I explore alternatives and directions how whereby churches of Korea could make create a the world where everyone is joyful for each other, everyone attentively listens to each other’s story, and everyone respects each other. Furthermore, the intention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solve the current problems that lie in Korean churches, but also to provide a spiritual understanding to solve every social issue including conflicts between generations, class, political beliefs and regions.

      • KCI등재

        동화사 지방학림의 3⋅1운동

        김일수 대각사상연구원 2019 大覺思想 Vol.31 No.-

        On March 30, 1919,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Dongmoon Market of Deoksandong district of the local distinguished scholars of the Donghwa Buddhist Temple on March 30, 1919 spread the Daegu’s 3․1 movement into a new phase. In addition, the 3․1 movement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all the national resistance.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the local distinguished scholars of the Donghwa Buddhist Temple occurred at the middle point of Daegu's 3․1 movement and it can be highly regarded as the bridge that amplifies Daegu's 3․1 movement. In particular, it strengthened the role and meaning of Buddhism in the national movement.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the local distinguished scholars of the Donghwa Buddhist Temple expressed the reflection of the Buddhist system about the trend of pro-Japanese of Buddhism and the of chief Buddhist monk of Donghwa Buddhist Temple after the strength of Japanese rule.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the local distinguished scholars of the Donghwa Buddhist Temple was the practical act to recognize that the Buddhist world was also the subject of the colonial national movement. 1919년 3월 30일 동화사 지방학림의 덕산동 동문시장 만세독립운동은 서울의 불교계 주도의 만세독립운동의 확산 과정에서 전개되었다. 동화사 지방학림의 만세운동은 일제강점 이후 불교계와 동화사 주지의 친일화 경향에 대한 불교계의 성찰을 표출하는 것이었다. 동화사 지방학림의 승려들이 동화사를 떠나 대구부내 덕산동 동문시장의 장날을 이용하여 대규모 군중들과 함께 만세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한국의 독립을 ‘당연한 본무’로 간주하고, 만세독립운동에 대해 ‘기쁨을 이기지 못해 만세를 부른’ 것으로 이해하면서 만세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이를 계기로 대구의 3․1운동을 새로운 국면으로 확산시키고, 3․1운동이 전민족적 항쟁으로 발전하는데 기여하였다. 동화사 지방학림의 만세독립운동은 대구의 3․1운동의 중간 시점에 발생하여 대구의 3․1운동을 증폭시키는 가교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1920년대 민족운동에서 불교의 역할과 의미를 강화하였다. 곧 동화사 지방학림의 만세운동은 불교계 역시 식민지 민족운동의 주체임을 인식하는 실천적 행동이었다.

      • KCI등재

        독립운동과 태극기

        윤선자 호남사학회 2009 역사학연구 Vol.35 No.-

        태극기는 1883년 제정이 반포된 이후 조선의 군권, 부모형제, 조선백성을 의미하였다. 국권 상실 이후에는 국권회복과 독립의지, 애국심을 상징하였다. 이를 분명하게 보여준 것이 3ㆍ1운동 때였다. 태극기를 만든 이들은 주로 학생들이었는데, 학생들 외에도 여공, 기생, 농민회 및 청년회 회원들은 물론 일제식민통치의 하부조직원인 순사와 면서기도 태극기를 만들었다. 태극기를 만든 이들이 주로 학생이었던 만큼, 만든 장소도 교장실과 기숙사 등 학교 안에서였다. 학교에 이어 태극기가 많이 만들어진 곳은 개인 집이었다. 태극기 제작은 비밀리에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 이유였다. 태극기는 만세운동 참여자 수와 장소에 따라 제작 매수에 차이가 많았다. 개인 단위로는 수십 장이, 십여 명 이상이 함께 준비할 경우에는 수천 장이 만들어졌다. 태극기에는 ‘대한독립만세’와 같은 만세운동 참여자들의 열망이 글로 표현되었다. 태극기를 들고 만세운동에 앞장선 이들은 일경에 손을 절단당하여 순국하기도 하였다. 일제는 태극기를 만든 사람은 물론 태극기를 지닌 자들도 독립운동가로 간주하고 탄압하였다. 태극기는 독립을 외치는 이들과 함께 했다. 팔에 태극기를 새겨 독립운동에 함께 한다는 마음을 다짐하였고, 독립운동단체에 가입하였다는 증거로 삼았다. 각종 기념식에 태극기가 등장하였고, 임정의 모든 행사가 태극기에 대한 경례로 시작되었다. 그래서 일제는 태극기를 엄중 경계하였지만, 6ㆍ10만세운동 때도, 광주학생운동 때도, 그리고 이후에도 태극기는 한반도 이곳저곳에서 만세를 외쳤고 독립을 갈망하였다. 태극기 논란은 제정 이후 명확한 국기 도안과 사용이 전국적으로 교육ㆍ홍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국권이 상실되었고, 국치 이후에는 태극기의 의미가 독립해야 할 국가인 때문이었다. 독립운동과 함께 하였던, 독립운동의 상징이었던 태극기의 중요성이 컸으므로 태극기의 의미를 정확하게 알고자 하였다. 그런데 이를 분명하게 규정해줄 국권이 없는 가운데 ‘논란’의 형태로 태극기에 대한 관심이 표출된 것이다. 따라서 ‘논란’은 태극기가 국가ㆍ민족ㆍ독립의 상징으로 인식되었다는 의미이다. Since its establishment in 1833, Taegeukgi represented right of Chosun's ruler, parents, brothers and sisters and people of Chosun. After loss of national right, it represented restoring national right, will for independence and patriotism. It was clearly shown when the independence demonstration on March 1 broke out. Students made Taegeukgis and woman workers, gisaeng and members of agrarian and student unions as well as low rank police officers and myeon officials also participated in making Taegeukgis. Since it was mainly students who made Taegeukgis, principals' offices or dormitories in schools were the places where Taegeukgis were made. People's homes were the next. Making Taegeukgis should be kept secret. Number of Taegeukgis for production vari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participants or places. Several tens per person, several thousands per over 10 people were allocated for production. On Taegeukgi, words of participants' hope such as 'hurrah to Daehan's independence!'were expressed. Those who led the demonstration with Taegeukgi in their hands were killed on site for their hands amputated by Japanese police. Japan considered those who made Taegeukgi or had it as activists and oppressed them. Taegeukgi had always been with those who exclaimed independence. Some had Taegeukgi imprinted on their arms to show their support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proof of participation. Taegeukgi was displayed in every ceremony and every event of provisional government began with a salute to Taegeukgi. Japan was on alert for Taegeukgi; however it was seen throughout the country during independence demonstration on June 10, Gwangju Students Movement and so on representing people's hope for independence. Controversy over Taegeukgi rose because the country lost its right while nationwide education and promotion were insufficient and after national disgrace, Taegeukgi should represent independent country. The importance of Taegeukgi as a symbol of independence movement grew and the need to know the meaning of Taegeukgi grew accordingly. But when there was no national right to define it, interest in Taegeukgi emerged in a form of 'controversy'. Therefore 'controversy' suggests Taegeukgi has been recognized as a symbol of the country, nation and independen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