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포삼열(Samuel A. Moffet)의 교육 활동의 전개

        권태경 ( Tae Kyoung Kwon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5 복음과 선교 Vol.32 No.-

        20세기 초 한국의 근대 교육은 선교사들이 교육 발전에 중대한 역할을 하였다. 이 글은 한국의 대표적인 선교사 마포삼열의 교육 활동에 대한 연구이다. 지금까지 마포삼열에 대한 연구는 그의 선교 활동에 대한 것이거나, 다른 선교사들과의 비교 분석 정도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마포삼열의 교육 활동에 집중하고자 한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크게 세 가지의 문제 제기를 통해 논지를 전개해 나가고자 한다. 첫째, 마포삼열의 서신을 통해 그가 어떠한 교육 활동을 계획하였으며, 진행하였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그가 설립했거나 운영에 참여한 학교들을 분석함으로써 그의 교육 사역의 중점적인 목적과 방향을 살펴본다. 셋째, 그가 제시한 교육 활동이 이후 한국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마포삼열은 선교사로서 한국의 근대교육과 민족 교육에 기여한 인물로 교육자로도 평가되어야 한다. 그는 실제로 평양신학교와 숭실대학교 그리고 숭의학교의 설립자와 학장으로 재임한 교육자였다. 그가 평양에서 진행했던 평양신학교를 중심으로 보여준 성경·신학교육 그리고 숭의학교를 통해 드러낸 여성교육, 마지막으로 숭실학교를 통해 한국의 고등·전문 교육 등의 발전에 영향을 준 것은 교육자로서의 면모를 잘 드러내고 있다. 마포삼열은 한국의 근대 교육 발전에 기여한 것과 더불어 이 시기가 일제강점기의 식민지 통치기였으므로, 결국 그의 교육 활동은 민족 교육 발전에 투신한 한국 근대역사의 산 증인이었다. 이처럼 한국근대사에서 마포삼열과 같은 선교사들의 교육 활동이 단순히 근대 교육을 한국에 도입하였다는 의미를 넘어서, 그의 교육 활동이 항일 민족 교육의 운동에 기여하였다는 점은 매우 중요하다. In the early 20th century, missionaries in Korea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Korean modern education. This paper deals with educational work done by Samuel Austin Moffett, one of the most famous missionary in Korean modern history. Most studies on him in the past were about his missionary work or comparision with other missionaries. This paper tries to focus on Moffett’s educational work. This paper focuses on three aspects of his work. First, his plans for education and how he developed them throughout his letters. Second, his goals and orientations in educational ministry by analyzing on schools he founded or administrated. Third, the effects his educational work he presented on Korean society later on. He has to be evaluated not only as a missionary, but also as an educator who contributed to Korean modern and national education. In fact, he is a founder of Pyongyang seminary and Soongeui school and, served as a dean of Soongsil school(university). His role as an educator is well shown in various educational works in these schools. He engaged in theology education in Pyongyang seminary, women education in Soongeui school, and developed Korean higher and professional education in Soongsil school(university). Samuel Austin Moffett contributed to developing Korean modern education and his educational work also plays a role as an witness of a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where we were enthusiastic about developing national education.

      • KCI등재

        초기 개신교 선교사의 ‘한국어 능력 평가’에 관한 史的 고찰 : 『마포삼열 자료집』을 중심으로

        박근희(Park Keu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8

        본 연구는 『마포삼열 자료집』에 나타난 선교사들의 ‘한국어 능력 평가’에 관한 내용을 한국어 교육사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최근 공개된 마포삼열의 서신들과 <한국어 시험 위원회> 보고서, 그리고 기타 자료들이 정리되어 책으로 출간된 『마포삼열 자료집』에는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의 ‘한국어 능력 평가’ 점수 및 내용이 비교적 소상히 기록되어 있다. 특히 기존 연구들에서 다루지 못했던 선교사 개인의 평가 점수와 그 내용까지 표시되어 있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평가의 내용 및 평가 방식 등을 논의하는 데에 기준점으로 삼거나 근대 한국어교육의 역사적 기록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가치가 있다고 보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마포삼열 자료집』의 기록들 중에 한국어교육과 관련된 부분을 상세히 살펴 마포삼열 선교사가 2년 차 되던 시기인 1891년 문답 형식으로 치러진 시험 방식 전체 과정, 그리고 1901년 마포삼열이 아내에게 쓴 서신의 내용을 통해 당시 한국어 평가 방식 및 점수에 대한 일부 정보 등을 기록하였다. 1904년과 1905년 선교본부에 보내는 보고서 내용을 통해서는 해당 년도 1, 2, 3년 차 선교사들의 구체적인 점수와 평가 내용을 확인하고 이를 기록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선교사들의 한국어 시험 평가 및 관리의 주최인 <한국어 시험 위원회>의 다양한 역할과 활동까지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계기로 다양한 자료들이 종교적 기록물로서의 개념을 넘어 근대 한국어교육의 역사를 재조명할 수 있는 중요한 사료로 평가될 수 있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tents of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Evaluation for early protestant missionaries recorded in the 『Samuel Austin Moffett Colle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educational history. The 『Samuel Austin Moffett Collection』 was published with recently disclosed letters, <Korean Language Examination Committee> reports, and other materials of S. A. Moffett contains early protestant missionaries relatively detaile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ssessment scores and evaluations. In particular, the evaluation scores and contents of individual missionaries, which were not covered in previous studies, were displayed, so it was worth being used as a reference point for discussing the contents and evaluation method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s a foreign language or as a historical record of moder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examined the detail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und and recorded some information on the Korean language evaluation methods and scores of the 『Samuel Austin Moffett Collection』 through the entire course of the test conducted in 1891, when S. A. Moffett was in his second year, and the contents of the letter written to his wife in 1901. Through the contents of the report sent to the Mission Headquarters in 1904 and 1905, the specific scores and evaluations of missionaries in the 1st, 2nd, 3rd year were identified and recorded. In this process, the missionary organizers of the Korean test evaluation and management various roles and activities of <Korean Language Examination Committee> were confirme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allow various materials to be evaluated as important historical materials that can shed light o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anguage education beyond the concept of religious records.

      • KCI등재

        『마포삼열 자료집』에 나타난 초기 개신교 선교사의 한국어 학습 고찰 : 韓國語 敎育史的 觀點에서

        박근희(Park Keunh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9

        이 논문의 목적은 『마포삼열 자료집』에 나타난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의 한국어 학습의 실체가 어떠했는지를 한국어 교육사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료집에서 한국인 및 한국어와 관련된 기록을 찾아 당시 선교사들의 한국어에 대한 인식과 선교사들이 한국어 학습을 위해 일상에서 사용했던 방법, 그리고 한국인에 대한 인상과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의 실제 모습을 확인하고 이를 기술하였다. 『마포삼열 자료집』에 나타난 선교사들의 한국어에 대한 인식은 ‘한국어는 지극히 어려운 언어’이며, ‘한국어 습득에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선교사들은 열악한 상황에서도 일상에서 한국어 공부를 위해 자신들만의 방법을 구상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한편 한국인을 인식하는 마포삼열 선교사의 태도가 한국에 정착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한국인을 더 이해하고 긍정적으로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록 선교의 목적이지만 당시 선교사들은 문맹자나 여성 교인들에게 다양한 방법을 동원해서 한국어로 교육했던 모습들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의 한국어교육과 관련된 실제적인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에서 종교적 사료라 할 수 있는 『마포삼열 자료집』에 나타난 선교사들의 한국어 학습의 실체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앞으로도 분야를 초월한 다각적인 시도의 연구들이 계속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orean education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how early Protestant missionaries learned Korean in the 『Sources of Samuel Austin Moffett』. To this end, we found records related to Koreans and the Korean language in the archives and identify and describe the missionaries perception of the Korean language, the methods used by the missionaries in their daily lives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their impressions of Koreans, and the actual appearance of education for Koreans. The missionaries’ perception of the Korean language in the 『Sources of Samuel Austin Moffett』 was that “Korean is an extremely difficult language” and “it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to acquire the Korean language.” However, the missionaries worked hard to devise and practice their own methods for studying Korean in everyday life, even in poor conditions. Meanwhile, it was confirmed that S. A. Moffett s attitude, which recognized Koreans, settled in Korea, and he understood Koreans more and more positively over time. Additionally, even though they had missionary purposes, the missionaries at that time were able to learn how to teach illiterates and women in Korean using various method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looks at the true nature of Korean language learning by missionaries in the 『Sources of Samuel Austin Moffett』, which can be called religious feed in the absence of activ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early Protestant missionaries. I look forward to continuing diverse research attempts beyond this field.

      • KCI등재후보
      • 말라카에서 서울까지, 『쟝원량우샹론』의 전래, 번역 그리고 한국교회사적 의의

        이영식 안양대학교 신학연구소 2023 신학지평 Vol.35 No.-

        1813년 LMS 소속 선교사 윌리엄 밀른(William Milne, 米燐)이 중국에 도착했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아 말라카에서 선교부를 개설하여 선교활동 을 했다. 그는 이곳에서 1818년 영화서원(英華書院)을 설립하였으며, 1819 년 『쟝원량우샹론(張遠兩友相論)』의 저술을 마치고 출판하였다. 『쟝원 량우샹론』은 기독교인 장(張)씨와 기독교에 호기심이 많은 원(遠)씨와의 대화체로 구성된 전도문서 및 교리문서이다. 이 전도문서는 중국과 동아 시아에 인기가 많았던 책자이다. 따라서 일본과 한국에서도 번역판이 출 판되어서 복음화에 기여했다. 1893년경에 마포삼열(S. A. Moffett) 선교사에 의해서 국내 한글번역본 이 출판되었다. 『쟝원량우샹론』은 민족복음화의 귀중한 결실을 가져오 는데 공헌을 했다. 또한 문서선교의 지평을 넓혀주었으며, 순 한글로 번 역되어 한글보급을 통한 민족문화 창달 및 한국 근대화 발전에도 큰 기 여를 했다. 그리고 한글번역판 『쟝원량우샹론』은 오늘날의 한국교회에 복음전파에 대한 열정을 갖도록 촉구하고 있다. 아울러 『쟝원량우샹론』의 국내도입과 전파는 동서양 문화교류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In 1813, William Milne, a missionary from LMS, arrived in China, but due to circumstances, he opened a missionary station in Malacca to conduct missionary work. He established The Anglo-Chinese College(英 華書院) here in 1818 and he finished writing and published The Two Friends(張遠兩友相論) in 1819. The Two Friends was a missionary and doctrinal tract consisting of dialogues between two friends, Christian Chang and non-Christian Yuen. This evangelistic document was popular in China and East Asia. Therefore, translations were also published in Japan and Korea and contributed to evangelization in their nations. Around 1893, a Korean translation of The Two Friends was published by missionary S. A. Moffett. This tract contributed to bringing the precious fruits of national evangelization. In addition, it broadened the horizon of documentary missionary work and was translated into pure Korean and contributed greatly to the promotion of national culture and the development of Korean modernization through the distribution of Hangeul by being translated into pure Korean. And the Korean translation version of The Two Friends urges today’s Korean church to have a passion for evangelical propagation again. Moreover, the introduction and dissemination of The Two Friends in Korea has the meaning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East and West.

      • KCI등재
      • KCI등재

        장로교 선교사들의 저작을 중심으로 본 초기 한국 장로교 예배 이해

        한경국 한국실천신학회 2019 신학과 실천 Vol.0 No.66

        The early PCUSA missionaries who graduated from conservative seminaries of that period have played a crucial role in building the foundation for the worship in the early Korean Church. Samuel Austin Moffet wrote “Wiwonipgyoin Kyudo” the first document related to worship in 1895, and Charles Allen Clark wrote the “Mokhwaehak” in 1925. Nine years later in 1934, Slatau T. Stanley wrote the “Raebaechupkyong.” By researching these worship books written by the missionaries who taught at the Pyongyang Presbyterian Seminary, we can understand the context of the church as well as the historical transition in worship during the early Church mission in Korea. This study, particularly shows that leading of worship and preaching by the laity was highly recommended by the Navius’ policy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Korean Church, and it was gradually changed to the ministry of ordained pastor, especially preaching the sermon, giving the benediction and administrating the Sacraments in Sunday worship service. In addition, an effort by Charles Allen Clark to enforce liturgical elements in a regular worship service such as confession of sin were not settled in Korean worship service, instead, the simple and practical worship style which was influenced by the frontier worship style was used in Korean Church. We can also observe a few special worship terms that were used in the periods like Juil Dae Yaebae and Chanyangdae. In addition, this study indicates an appearance of age limitation rule in infant baptism as well as the difference of the number of church members depending on the popularity of preacher during the period. And this phenomenon made an incorrect perception in worship that focuses on the preacher instead of God. Thus, we see some efforts to recover the nature of worship that focuses and glorify only God. 한국교회 선교 초기 미국의 보수 신학교 출신이던 북 장로교 파송 선교사들은 한국교회 예배의 기틀을 세우는 데 큰 역할을 담당했다. 마포삼열은 1895년 최초의 한국장로교 예배 관련 문서인 『위원입교인규됴(爲願入敎人規條)』를 썼고, 이어서 곽안련의 『목회학(牧會學)』 이 1925년에 출판되었다. 이로부터 9년 뒤 1934년 소열도가 『례배첩경(禮拜捷徑)』을 출판하였다. 약 40여 년에 달하는 기간 동안 발간된 평양장로회 신학교 교수 선교사들의 예배 관련 문서를 살펴보면 각 시대의 교회와 예배현장의 정황과 선교 초기 한국장로교 예배변천에 대해 이해를 할 수 있다. 특히 한국교회 초기 네비어스 정책으로 인한 자립 중시로 평신도의 예배 인도와 설교가 적극적으로 권장되었음을 볼 수 있고 점차 주일 낮 예배는 목사에 한해 설교할 수 있도록 제한이 되면서 축도나 성례도 목사에 의해서만 행해지는 것으로 제한 되어 감을 볼 수 있다. 그리고 곽안련이 제안한 예배순서에 ‘죄의 고백’ 등을 넣는 일련의 예전 강화 노력은 실제 현장에서는 특별한 실현이 되지 못하였고 이른바 변방예배 형태를 계승한 간단하고 실용적인 예배 형식으로 정착됨을 살펴볼 수 있으며 주일 대예배, 찬양대 등의 용어사용을 통해 지금부터 약 100여 년 전 한국교회에서 사용한 예배 용어 등의 면면을 알 수 있다. 또한, 선교 초기 유아세례 자의 나이 제한에 대한 특별한 언급이 없다가 점차 그 기준이 생겨나고 한국교회 초기부터 설교자의 인기도에 따른 예배 참석 인원의 편차가 생겨났고 이로 인해 하나님만 영광을 받으셔야 한다는 예배의 본질이 흐려져서 설교자에 집중하는 흐름이 있었음도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님께만 경배해야 한다는 예배의 본질 회복에 집중하는 당대 선교사들의 노력을 볼 수 있다.

      • KCI등재

        평양 장로회신학교 초기 역사(1901-1922) – 신학교 명칭(校名)의 변경과정을 중심으로

        변창욱(BYUN, Chang Uk)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21 장신논단 Vol.53 No.2

        본 논문은 평양 장로회신학교(이하 신학교)가 설립된 1901년부터 신학교 본관 건물을 헌당하는 1922년까지 신학교 명칭(校名)의 변천과정을 중점적으로 분석한다. 1907년 9월 장로회공의회는 그 이전까지 ‘신학반’(1890-1907)이라 불리던 명칭을 공식적으로 ‘조선 장로회신학교’로 부르기로 결의했다. 또한 1907-1909년 ‘大韓’(대한), ‘大韓國’(대한국) 용어가 신학교 명칭에 사용되다가, 1910년 한일병탄 이후 장로교회의 모든 공식문서에서 ’대한‘(大韓)이 ‘조선’(朝鮮)으로 변경되어 나타난다. 이처럼 4개 장로회선교부의 연합사역으로 시작된 신학교육의 초기 명칭은 ‘신학반’이었으나, 1907년 6월 ‘대한장로회신학교’(1907)로 잠시 불리다가, 1907년 9월 노회 창설과 함께 ‘조선장로회신학교’(1907-1912/1916)라는 공식 명칭으로 불렸으며, 그 후 ‘조선 예수교 장로회신학교’(1912/1916-1940) 등으로 변경되어갔다. ‘대한’에서 ‘조선’으로의 국호 변경은 1910년 한일병탄 이후 일제(日帝)에 의한 대한제국 국호(國號) 말살과 ‘조선’의 강요 등의 정치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평양 장로회신학교의 초기 역사는 우리에게 개(個) 교회 중심 혹은 교파교회 중심의 분파적 선교사역이 아니라 연합과 협력사역의 필연성과 당위성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신학교 발간 문서와 신학교 관련 자료, 즉 노회-총회 회의록, 장로교 선교공의회 회의록, 『신학교 요람』(영어판, 1916, 1923, 1928, 1931; 한글판 1916, 1931), 평양신학교 직인(職印), 『조선총독부 官報』(관보) 등 1차 자료를 중심으로 신학교 명칭 변경과정을 분석한다. 특히 대한제국(大韓帝國)의 국호 ‘대한국’과 ‘한국’이 한일병탄 이후 일제에 의해 ‘조선’으로 변경되는 과정을 추적하여 이러한 변화가 신학교의 공식 명칭 변경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살펴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학교 공식 명칭과 여러 약칭(略稱)의 역사적 형성과정을 밝힘으로써 신학교 명칭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돕는데 있다. This thesis explores the process of changing the names of the Pyongyang Seminary from 1901 to 1922, when the new main building of the Seminary was constructed. In September 1907, the annual meeting of the Council of Presbyterian Missions began to use the name ‘Chosun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instead of calling it the “Theological Class.” In June 1907, the name of the Seminary was the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of the Great Korea’(大韓). But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presbytery in 1907, it was modified to the ‘Chosun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1907-1916). With the annexation of Korea by imperialistic Japan in 1910, all official names of the Presbyterian Church that used ‘Korea’(大韓) or ‘Great Korea’(大韓國) were inevitably altered to ‘Chosun’(朝鮮) because the national name of the Korean Empire(大韓帝國) was forcibly changed to Chosun by colonial Japan. The early history of Pyongyang Presbyterian Seminar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unity and inter-denominational (or ecumenical) cooperation rather than sectarian mission centered on individual or denominational churches. This study is based on documents published by the Seminary, primary sources related to the Seminary left by missionaries, minutes of the General Assembly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the Seminary Catalogue (English version, 1916, 1923, 1928, 1931; Korean version 1916, 1931), the Pyongyang Seminary’s official seal, and the Official Gazette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Chosun. The thesi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demonstrate how Korea’s official country name affected the Seminary’s name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numerous changes of the Seminary’s name by analyzing the historical milieu of the Seminary.

      • KCI등재

        산 순교자, 김윤찬 목사에 대한 ‘ACTS 신학공관(神學共觀)’에 따른 평가

        신종철 ( Shin Jong Cheol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ACTS 신학저널 Vol.50 No.-

        김윤찬 목사는 주기철 목사나 손양원 목사처럼 널리 알려지지는 않은 인물이다.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칼빈신학교와 관련하에 김윤찬을 언급 할 정도이다. 하지만 한국교회의 역사 속에서 김윤찬의 위치는, 특히 한국장로교회 역사에 있어서 한 축이라 말 할 수 있다. 왜냐하면 김윤찬의 위치를 확인하지 않고는 한국 장로교 역사를 명백히 정리하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김윤찬 대한 연구물들은 그다지 많지 않다. 이런 상황속에서 본 고는 ‘ACTS 신학공관(共觀)의 관점’에서 김윤찬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첫째, ‘ACTS 신학공관’의 ‘기독교의 중심 진리 운동’의 모습은 김윤찬 의 ‘신사참배 거부’와 ‘공산주의 사상의 배격’에서 명백하게 찾아볼 수 있다. 둘째, ‘ACTS 신학공관’의 ‘바른 신학운동’에 비추어 볼 때 김윤찬은 1959년 합동과 통합의 분리된 후 한국교회에 보수주의 신앙을 지키고, 보수 교단을 강화하는데 주역을 담당하였다. 셋째, ‘ACTS 신학공관’의 ‘참 신앙인 양육 운동’은 신학교 설립에 관한 김윤찬의 역할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김윤찬은 용산에 신학교 건물을 구입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또한 그의 제안과 총회의 허락으로 인해 칼빈신학교(현재 칼빈대학교)가 세워지게 되었다. 그는 총 33년을 칼빈신학교에 재직하면서 칼빈신학교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넷째, ‘ACTS 신학공관’의 ‘교회 연합운동’에 비추어 볼 때 김윤찬은 분열된 장로교회의 합동을 위해서 그 역할을 잘 감당하였다. 결국 고신과는 합동이 되었으나 통합측과는 합동하지 못하였다. 다섯째, 김윤찬의 ‘ACTS 신학공관’의 ‘교회 회복 운동’은 첫 피난민 교회 인 ‘평양교회’ 설립과 ‘평안교회’의 출발에서 볼 수 있다. 이것은 북한에 있었던 교회들이 남한에서의 회복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김윤찬은 ‘ACTS 신학공관(神學共觀)’에서 주창하고 있는 운동들을 그대로 그의 삶과 사역에서 미리 보여주었던 인물이었다. 결론적으로 ‘ACTS 신학공관’에서의 김윤찬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ACTS 신학공관’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Rev. Kim Yoon-Chan is not as widely known as Rev. Chu Ki-Cheol or Rev. Son Yang -Won. Those who are interested in him mention him only in his relationship to Calvin Theological Seminary. His posi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churches, however, is like an axis, especially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Understanding Kim Yoon-Chan’s position is needed to survey the history of Korea Presbyterian Church. Research on Kim Yoon-Chan is rare. For this reason, this article evaluates him from the viewpoint of the ‘Acts Theological Synoptic Movement.’ First, we can find the viewpoint of ‘Central Truth of Christianity Movement’ in the ‘ACTS Theological Synoptic Movement,’ in Kim Yoon-Chan’s resistance to Shintoism and rejection of communism. Second, from the viewpoint of ‘Sound Theology Movement,’ in the ‘ACTS Theological Synoptic Movement,’ Kim’s made a significant role to protect the conservative faith and to strengthen the conservative denomination in Korean Church during the 1959 divis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Hapdong) and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Tonghap). Third, we can see the viewpoint of ‘True Believer Nurturing Movement,’ in the ‘ACTS Theological Synoptic Movement’ in Kim’s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theological seminaries. He played a leading role in purchasing the seminary building in Yongsan, Seoul. Also, his proposal and the approval of the General Assembly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have led to the establishing of the former Calvin Theological Seminary (now Calvin University). He served Calvin Theological Seminary for 33 years and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 to its growth. Fourth, from the viewpoint of ‘Church Unity Movement,’ in the ‘ACTS Theological Synoptic Movement,’ we can positively evaluate Kim’s outstanding role in unification of the divided Presbyterian Church. Eventually,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and Koryo Presbyterian Church merged, even though their merge with the Tonghap Presbyterian Church has failed. Fifth, we can see the viewpoint of ‘Church Renewal Movement.’ in the ‘ACTS Theological Synoptic Movement’ in his establishment of the Pyongyang Church, the first refugee church and PyoungAn Church in Republic of Korea. The establishment of PyoungAn Church in Seoul was in fact restoration of the north Korean churches in South Korea. In conclusion, with a study of the life of martyr Rev. Kim Yoon-Chan from the viewpoint of the ‘ACTS Theological Synoptic Movement,’ the importance of ACTS Theological Synoptic Movement can be acknowledged.

      • 평양 장로회신학교의 설립과 조직신학 교육 과정

        이상웅(Sangung Lee) 신학지남사 2024 신학지남 Vol.91 No.1

        Pyengyang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was the first theological education institution in the history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Although many research documents have been published so far, in this paper I focused on the systematic theology curriculum from the seminarys establishment to 1938. For this examination, various documents were referred to, but in particular, the four Catalogues (1916, 1923, 1928, 1931) published by the seminary were referred to. In the early period of the seminary, various missionaries taught subjects by dividing them through consultation, so systematic theology subjects were also taught by Samuel A. Moffett, William Baird, William Swallen, James Gale, and William D. As the full-time professorship system was established in 1916, systematic theology was taught exclusively by Reynolds, and the textbooks he published at the time were at the level of doctrinal education textbooks. In 1931, Reynolds translated and published six books of Chinese theologian Jia Yumings Systematic Theology and used them as seminary textbooks. However, these books are also evaluated as not reaching the level of todays professional theological textbooks. However, more specialized systematic theology education began to unfold through the lectures and writings of Park Hyung Nong, who became a full-time professor in 193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