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와 교사의 마주이야기 수첩의 기록의 의미

        사영숙,이대균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cord in ‘maju story-notebook’ transcribed for a year between a mother of one-year-old infant and her teacher. The mother’s maju story-notebook shows that her biggest interests are ‘care for health’, ‘character development’, and ‘social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the teacher’s maju story-notebook shows that her biggest interests are ‘care and teaching’, ‘information for character development of infant’, and ‘the building of trust of the social relationship’. Reconstructed meanings based on the analysis of ‘maju story-notebook’ are as following. First, ‘maju story-notebook’ is a record of struggles from nurturing and educating a child. Second, ‘maju story-notebook’ is a biography of an infant. Third, ‘maju story-notebook’ is a sharing and empathizing an experience of inter-subjectivity. ‘Maju Story-notebook’ provides the mother and teacher an opportunity to develop a reflective thinking on their job, nurturing and caring a chil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possibilities that the daily record between a mother and teacher can be reconstructed in an educational sense. I hope and expect that in other field of education and nurture, the stories of mothers and teachers to be reconstructed by continuously exploring researchers. 본 연구는 만1세 영아의 어머니와 담임교사가 1년간 주고받은 마주이야기 수첩에 기록된 내용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마주이야기 수첩에 나타난 어머니 기록들은 ’건강을 위한 섭생, 영아기 발달특성, 영아기 사회적 관계‘로 나타났다. 교사의 마주이야기 수첩 에는 “보살핌과 가르침, 영아기 발달 특성 안내, 친밀한 협력관계’ 등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어머니와 교사의 마주이야기 수첩이 가지고 있는 내용을 다음 3가지 의미로 재구성하였다. 첫째, 마주이야기 수첩기록은 양육과 돌봄의 분투기이다. 둘째, 마주이야기 수첩 기록은 영아의 생애사이다. 셋째, 마주이야기 수첩 상호주관성의 공감공유기이다. 마주이야기 수첩 기록은 어머니와 교사에게 자녀를 양육하고 보육하는 자신들의 일에 대하여 반성적 사고를 하는 기회를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어머니와 교사가 자녀를 보육하는 일상의 크고 작은 이야기와 대화의 기록이 교육적 의미로 재구성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후 또 다른 보육과 교육의 현장에서 교사와 어머니의 이야기가 연구자의 탐험을 통해 재구성되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한글의 특성을 바탕으로 한 입말을 살리는 유아기 문자 교육의 방향

        유주연(Lyu Joo-yeo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08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2 No.1

          요즘 언론의 기사를 읽어보면 우리말 발음에 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지금 10대 중반에서 20대 후반까지 소위 인터넷 IT세대들은 80년대부터 불붙기 시작한 통문자 교육의 세대이다. 이들의 우리말 발음이 정확하지 않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우리말을 정확하게 쓰는 것도 어려워하고, 발음도 정확하지 않아 심지어 방송에서 일하는 앵커나 아나운서들도 발음이 많이 틀리다는 지적이 있다.<BR>  이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음소인식지도(phonemic awareness)를 제안한다. 음소인식지도라 하여 한 가지 방법만을 이야기 하는 것은 아니다. 음소인식지도와 기존의 통문자 교육을 병행하는 쪽으로 문자교육의 흐름이 바뀌어 가고 있다. 글자를 알기 시작하고 자아인식의 개념이 생기는 6, 7세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으며, 음절과 음소의 순서로 진행해야한다.<BR>  어떤 음소를 먼저 시작할지는 훈민정음의 해례본의 구조로 하는 것을 제안한다. 홀소리 경우는 ‘ㅡ’와 ‘ㅣ’를 한 후 ‘ㅗ, ㅜ’ (‘ㅡ’에서 한 획씩 추가한 글자) 와 ‘ㅏ, ㅓ’ (‘ㅣ’에서 한 획씩 추가한 글자)를 하고 ‘ㅏ’와 ‘ㅑ, ㅓ’와 ‘ㅕ, ㅗ’와 ‘ㅛ, ㅜ’와 ‘ㅠ’를 하면서 ‘ㅛ, ㅠ, ㅑ, ㅕ’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BR>  닿소리는 영유아가 말을 배우는 순서로 진행하도록 한다. 말을 배우는 순서는 아이들의 처한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아기가 태어나서 처음 쿠잉(cooing)이라는 것을 옹알이로, 옹알이에서 말소리로 변해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대체로 순음은 배우기 쉽지만 ‘ㅅ’이나 ‘ㅈ’과 ‘ㄹ’의 첫소리는 가장 늦게 배우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인터넷에서 쓴 마주이야기와 한국마주이야기 교육연구소의 마주이야기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전체 20명 아이의 마주이야기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아직 글자를 이미지로 받아들이는 임상은 빠져 있다. 하지만 한글이라는 소리글자를 소리를 통하여 배우는 방법에 관한 이야기이므로 아이들이 말을 배워가는 순서에 맞게 순음을 먼저 배울 것을 제안한다.<BR>  음운 인식지도는 소리에 대한 감각을 키우는 것이므로 일상생활에서 아이가 가득 들어 있는 마주이야기를 통하여 아이들이 재미있게 생활과 분리 되지 않은 문자 교육을 할 수 있고 입말을 최대한 살려 소리글자의 장점을 살릴 수 있도록 마주이야기를 활용한 문자교육의 예를 들었다.   Nowaday, we can read the article about pronunciation of Korean language in Korea.<BR>  Early 10"s generation and middle of 20"s generation is so-called Internet IT generation. They have been received the education for learning national language by the method Whole Language Approach. But this method is not good guide for learning language, especially pronunciation, structure of a syllables, but also phonemic awareness. To overcome this problem, we suggest phonemic awareness using the story which children pour out at every day in daily life. This is called majuyiyagi. If we using the majuyiyagi, we can keep a colloquial style. Also, we write children"s daily story in a colloquial style.<BR>  Furthermore, in this paper, we suggest the ordering phonemic which is easy to pronunciation for the purpose of teaching Korean alphabet. For this research, we cite 20 children"s note in Internet site www.majoo.com and the Aram institution of children education.

      • KCI우수등재

        마주신 사례를 통해서 본 타이완 민속종교경관의 영적 치유로서의 의미

        박수경(Sookyung Park) 대한지리학회 2018 대한지리학회지 Vol.53 No.4

        비록 마주신앙은 중국의 송나라 때부터 신격화된 여성을 모티브로 한 도교, 불교, 유교, 애니미즘 등을 아우르는 민속종교이지만, 영험함, (피보다 진한) 인간관계, (평화적) 하나됨 등을 통해 타이완인의 삶과 정서를 어루만져주는 영적 치유의 힘을 갖고 있는 타이완의 대표적 종교이기도 하다. 이에 본 연구는 마주신 사례를 통해 타이완 민속종교경관의 영적 치유로서의 의미가 어떻게 구체화되어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으며, 이를 위해 참여관찰법과 심층 및 반구조화인터뷰를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마주신앙의 영적 치유의 의미는 마주신과의 직간접적인 영험한 대화와 체험을 통해 드러난다. 다시 말해, 단순한 기도 수준을 뛰어넘어 일종의 점을 치는 행위, 신비스런 힘이 있다고 믿는 자연물(특히, 물)을 활용한 방법, 특히 지통(乩童: Jitong)이라 불리는 샤먼과 믿는 이들 사이에서의 특별한 대화와 의식 등으로 구체화된다. 둘째, 서로 일면식이 없는 사이라 하더라도 ‘의(義)’를 중시하는 마주신의 뜻을 따라 믿음을 같이 하는 이들은 ‘의자(義子)’와 ‘의녀(義女)’로서 피보다 진한 연결망(혹은 인간관계)을 구축하고 있으며, 서로를 끈끈하게 지지하고, 협력하는 양상을 보인다. 각 마주사원은 마치 농촌의 공동체에서 발견할 수 있는 것과 같은 돌봄과 관심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공동체의식과 연대의식은 마주신 순례 기간에는 더 넓은 범위로 확대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비록 마주신앙의 순수성이 정치, 경제 등의 종교 외적인 것과 영향을 주고받으며, 때로는 변질되기도 하지만, 극도로 민감한 양안관계를 단숨에 녹이는 힘으로 발휘되기도 한다. 마주신을 중심으로 타이완과 중국 본토 신앙인들의 공존과 단합은 정치적 이데올로기를 넘어선 궁극적인 평화에 도달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런 의미에서 마주신이 ‘바다의 여신’이라는 이름 대신 ‘평화의 여신’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Even though the Goddess of Mazu as one of the folk religions, which includes Taoism, Buddhism, Confucianism, and Animism, has been originated from a deified woman since the Song Dynasty, China, it is a representative religion in Taiwan, which has the power of spiritual healing, and encourages a lot of Taiwanese’ life and emotion through supernatural powers, human relationships based on ‘thicker than blood’, and peaceful oneness. With this in mind, the goal of this research examines the matter as to how the meaning of folk religious landscapes as spiritual healing in Taiwan is materialized through a case study of the Goddess of Mazu; furthermore, this research arrives at considerable results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substructured interview. The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meaning of spiritual healing in the belief of Mazu is materialized by direct/indirect supernatural communication and experiences with the Goddess of Mazu beyond general prayers. In other words, it embodies in telling fortunes, utilizing natural objects, which have miracle powers (in particular, water), and communicating and performing a holy ceremony between Jitong as a shaman and believers. Second, even though the believers of Mazu have never met before, they as the ‘sons/daughters of justice’ have strong human networks (or human relationships) based on thicker than blood obeying the will of the Goddess of Mazu who puts emphasis on the justice. Also, they show the supportive and cooperative appearance each other adhesively. Furthermore, each Mazu temple provides caring and interests like the emotion in rural areas to the believers of Mazu; such community spirit and solidarity are expanded to a wider level much more during the pilgrimage seasons. Lastly, even though the purity of the Mazu belief influences on/is influenced by external conditions such as politics and economics and is occasionally faded in its meaning, the Goddess of Mazu exposes the power that melts the Cross-Strait Relations as the strained/uneasy relationships. The coexistence and cooperation of the believers between China and Taiwan are related to the direction, which arrives at the ultimate peace, beyond the political ideology. In this sense, the Goddess of Mazu is regarded as the Goddess of Peace instead of the Goddess of Sea.

      • KCI등재

        공동육아의 언어교육활동으로서 마주이야기에 대한 교육적 탐색

        이부미(Lee, Boo-Mi)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0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1 No.4

        이 연구는 공동육아와 공동체교육의 공식적인 회보〈공동육아〉에 게재된 마주이야기를 분석하여 공동육아의 언어교육의 흐름과 그 안에 내포된 마주이야기의 교육적 가치와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생활중심 언어를 강조하는 교육 철학과 기관·가정의 협력적 관계를 바탕으로, 5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공동육아에서 마주이야기가 중요한 언어교육활동으로 활발하게 실천되었다. 이후 마주이야기의 적극적인 실천이 점점 약해지다가 사라졌고, 회보의 다른 꼭지에 더부살이 단계를 거쳐 ‘마주이야기’ 꼭지라는 집을 만들고 그 안에서 마주이야기는 더부살이가 아닌 독립적 거주를 하게 되었다. 공동육아의 마주이야기는 긴 시간 동안 부침의 역사적 과정을 거쳐 다시 살아났다. 마주이야기가 생명력을 유지하면서 교육적 가치와 의미를 지속적으로 가지려면 기록과 해석을 통한 끊임없는 교육적 활용이 필요하다. 그리고 무엇보다 교사와 부모의 대화적 관계형성이 매우 중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tream of language education in the Cooperative Child-care and the educational value and meaning of the Ma-ju story by analyzing the Ma-ju story published in the official bulletin of the Cooperative Child-care. As a result of the study, since the Ma-ju story began based on the educational philosophy that emphasizes life-oriented language in the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care centers and families, language education has been practiced very actively for a short period of five years. Since then, the active practice of the Ma-ju story gradually weakened and then disappeared, and after going through the stage of the ‘Ma-ju story’ at the other corner of the bulletin, a house called ‘the Ma-ju story’ was built, and that Ma-ju story became an independent residence, not a resident servant. The Ma-ju story has been revived through the historical process of ups and downs for a long time. For the Ma-ju story to maintain its vitality and to have educational value and meaning, it is necessary to use it continuously through documentation and interpretation. And above all, it is very important to establish a conversa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and parents.

      • 제7차 유치원 교육과정 언어생활, 마주이야기 교육으로 풀어보기

        정은경(Jeong Eun-kyeong)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07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 No.-

          유치원 교육은 유아에게 알맞은 교육환경을 제공하여 몸과 마음의 조화로운 발달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유치원 교육과정은 유아들의 전인적인 성장을 돕기 위한 길잡이라 할 수 있다. 유치원 교육과정은 1969년에 처음으로 제정 공포된 뒤 다섯 차례에 걸쳐 개정 고시되었고 이번에 개정안이 마련된 7차 교육과정은 2009년 3월부터 시행 될 예정이다. 새로 마련 된 교육과정은 성격, 목표, 내용, 지도상의 유의점으로 구성되었다.<BR>  이 글에서는 제7차 유치원 교육과정 언어생활영역을 현장교사의 눈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또 교육과정을 살펴볼 때 ‘교육내용을 어떻게 선정하고 조직하는가?’의 문제만큼 ‘무엇을 교육내용으로 하는가?’도 중요하므로 아이들 말을 으뜸으로 하는 마주이야기 교육을 사례로 들어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본보기를 제시하려 했다.<BR>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BR>  첫째, 교육과정 언어생활영역 성격 기술에 있어서 언어생활영역만이 갖는 독특한 개념진술보다는 언어생활의 목표를 달성하기위해 중점을 두는 부분을 기술하는데 그쳐 언어생활영역의 성격을 분명하게 나타내지 못했다.<BR>  둘째, 내용은 내용체계와 수준별 내용으로 나뉘고 수준별 내용은 Ⅰ수준, Ⅱ수준으로 나뉘었는데 Ⅰ,Ⅱ수준으로 나눈 그 기준이 매우 애매모호하다. 따라서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는 가르칠 핵심내용만 간단히 제시하고 교육활동 지도 자료집에 구체적이고 수준별로 나눈 다양한 교육활동 내용을 담았으면 좋겠다.<BR>  셋째, 마주이야기는 아이들 말을 아이들이 보고 듣고 겪어 생각한 일들이 몸에서 거르고 걸러 소리로 나오는 것이라 보며 따라서 아이들 말을 으뜸으로 여기는 교육이다. 7차 교육과정 언어생활영역에서 아이들의 말과 아이들의 지금 여기의 삶을 중요하게 여기는 마주이야기 교육과의 접점을 찾는다면 새 교육과정은 아이들 삶으로 가득 찬 살아있는 교육과정으로 거듭날 것이다.<BR>  넷째, 아이들 말을 으뜸으로 하는 마주이야기 교육은 언어생활영역뿐 아니라 다른 생활영역과의 통합을 시도할 수 있다. 또 마주 이야기로 문집 만들기, 노래 부르기, 상장 만들기, 마주이야기 졸업식 따위의 다양한 교육활동은 유아들이 말과 글로 자기를 세상에 당당하게 드러내면서 자신 있게 삶을 가꾸어 갈 수 있도록 돕는다.   The purpose of kindergarten education is to help its pupils develop their body and mind simultaneously by providing them with a proper educational environment. Thus, a kindergarten curriculum is a guide for the kindergarteners to grow up to be a whole person. The kindergarten curriculum was first established and notified in 1969 and revised and notified five times after then, and the seventh one presently revised is to come into effect from March, 2009. The newly established curriculum consists of its characteristics, objectives, contents, and teacher’s guide.<BR>  This article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language life domain of the seventh kindergarten curriculum with the view of the actual teachers. Examining the curriculum, since the matter of ‘What are the educational contents?’ is as important as the one of ‘How is the curriculum selected and organized?’, this study suggests the examples of ‘What are the educational contents?’ with the case of the Majuiyagi education that values children’s words the most.<BR>  To sum up, it is as below.<BR>  First, the curriculum does not effectively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main due to its focus on describing how to achieve its objectives rather than stating its unique concepts while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main.<BR>  Second, the contents are divided into content system and leveled contents, level Ⅰand Ⅱ, but the criteria for the levels are ambiguous. Thus, it is suggested that the national curriculum briefly introduce the main contents to teach, and the guidance book for the teaching activities should include various contents for concrete teaching activities by levels.<BR>  Third, the Majuiyagi education values children’s words the most, considering that they seem to make sounds after they filter several times in the body the things that they see, hear, experience, and think. If the language life domain of the curriculum could find the point of integrating the Majuiyagi education which considers children’s words and their lives here and now the most important, the new curriculum would be an excellent one full of children’s vital lives.<BR>  Fourth, the Majuiyagi education valuing children’s words can be integrated other life domains as well as the language life one. Moreover, various teaching activities using Majuiyagi, such as making a collection or diploma, singing, and graduation ceremony, would help the pupils to lead their lives by proudly expressing themselves into the world with their own words and writings.

      • KCI등재

        어머니와 유아의 마주이야기 공책에 대한 의미탐색

        문명희(Moon, Myoungh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child s story from the context of mother and child s vis-a vis conversation note. For this research, 18 5-year-old children(11 males, 7 females) from Gyeonggi-do J public kindergarten and their mother became research subjects. The study period lasted for 6 months from April 1, 2013 to December 2, 2013(excluding vacation). As for the data collection method, vis-a-vis conversation notes, observations,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infant portfolios were collected and qualitatively analyzed. As a result, the meanings of the mother and child vis-a-vis conversation appeared to be connectivity to educational activities of family and kindergarten , strong interest in nature , infinite dreams and imagination , caring for family and friends , new experiences through activities. Through the study, the mother and child vis-a-vis conversation was able to obtain such inform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find out different types of thinking and behavior of young children. Therefore, the mother and child vis-a-vis conversation suggests that it is an effective education method for integrated education and the connection of kindergarten and home education. 본 연구는 어머니와 유아의 마주이야기 공책에 나타나는 내용에 대해 유아가 하는 이야기의 맥락을 분석하고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J초등학교 병설유치원 만 5세 유아 18명(남 11명, 여 7명)과 그 어머니가 연구대상이 되었다. 연구자료수집 방법은 마주이야기 공책, 관찰, 교사와의 면담, 유아 결과물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분석하였다. 기간은 2013년 4월 1일부터 2013년 12월 2일까지(방학제외) 6개월 동안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어머니와 유아들의 마주이야기는 ‘가정과 유치원의 교육활동에 대한 연계성’, ‘자연에 대한 강한 흥미’, ‘무한한 꿈과 상상력’, ‘가족과 친구를 배려하는 마음’, ‘체험활동을 통한 새로운 경험’의 의미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 어머니와 유아 마주이야기는 유아교육 현장의 다양한 정보를 얻고 유아들이 유치원 현장에서 어떠한 사고와 행동을 하는지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어머니와 유아 마주이야기는 다양한 통합교육 활동과 가정과의 연계 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 방법임을 시사하고 있다.

      • 제7차 유치원 교육과정 언어생활, 마주이야기 교육으로 풀어보기

        정은경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07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 No.1

        The purpose of kindergarten education is to help its pupils develop their body and mind simultaneously by providing them with a proper educational environment. Thus, a kindergarten curriculum is a guide for the kindergarteners to grow up to be a whole person. The kindergarten curriculum was first established and notified in 1969 and revised and notified five times after then, and the seventh one presently revised is to come into effect from March, 2009. The newly established curriculum consists of its characteristics, objectives, contents, and teacher’s guide.  This article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language life domain of the seventh kindergarten curriculum with the view of the actual teachers. Examining the curriculum, since the matter of ‘What are the educational contents?’ is as important as the one of ‘How is the curriculum selected and organized?’, this study suggests the examples of ‘What are the educational contents?’ with the case of the Majuiyagi education that values children’s words the most.  To sum up, it is as below.  First, the curriculum does not effectively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main due to its focus on describing how to achieve its objectives rather than stating its unique concepts while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main.  Second, the contents are divided into content system and leveled contents, level Ⅰand Ⅱ, but the criteria for the levels are ambiguous. Thus, it is suggested that the national curriculum briefly introduce the main contents to teach, and the guidance book for the teaching activities should include various contents for concrete teaching activities by levels.  Third, the Majuiyagi education values children’s words the most, considering that they seem to make sounds after they filter several times in the body the things that they see, hear, experience, and think. If the language life domain of the curriculum could find the point of integrating the Majuiyagi education which considers children’s words and their lives here and now the most important, the new curriculum would be an excellent one full of children’s vital lives.  Fourth, the Majuiyagi education valuing children’s words can be integrated other life domains as well as the language life one. Moreover, various teaching activities using Majuiyagi, such as making a collection or diploma, singing, and graduation ceremony, would help the pupils to lead their lives by proudly expressing themselves into the world with their own words and writings. 유치원 교육은 유아에게 알맞은 교육환경을 제공하여 몸과 마음의 조화로운 발달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유치원 교육과정은 유아들의 전인적인 성장을 돕기 위한 길잡이라 할 수 있다. 유치원 교육과정은 1969년에 처음으로 제정 공포된 뒤 다섯 차례에 걸쳐 개정 고시되었고 이번에 개정안이 마련된 7차 교육과정은 2009년 3월부터 시행 될 예정이다. 새로 마련 된 교육과정은 성격, 목표, 내용, 지도상의 유의점으로 구성되었다.  이 글에서는 제 7차 유치원 교육과정 언어생활영역을 현장교사의 눈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또 교육과정을 살펴볼 때 ‘교육내용을 어떻게 선정하고 조직하는가?’의 문제만큼 ‘무엇을 교육내용으로 하는가?’도 중요하므로 아이들 말을 으뜸으로 하는 마주이야기 교육을 사례로 들어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본보기를 제시하려 했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언어생활영역 성격 기술에 있어서 언어생활영역만이 갖는 독특한 개념진술보다는 언어생활의 목표를 달성하기위해 중점을 두는 부분을 기술하는데 그쳐 언어생활영역의 성격을 분명하게 나타내지 못했다.  둘째, 내용은 내용체계와 수준별 내용으로 나뉘고 수준별 내용은 Ⅰ수준, Ⅱ수준으로 나뉘었는데 Ⅰ,Ⅱ수준으로 나눈 그 기준이 매우 애매모호하다. 따라서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는 가르칠 핵심내용만 간단히 제시하고 교육활동 지도 자료집에 구체적이고 수준별로 나눈 다양한 교육활동 내용을 담았으면 좋겠다.  셋째, 마주이야기는 아이들 말을 아이들이 보고 듣고 겪어 생각한 일들이 몸에서 거르고 걸러 소리로 나오는 것이라 보며 따라서 아이들 말을 으뜸으로 여기는 교육이다. 7차 교육과정 언어생활영역에서 아이들의 말과 아이들의 지금 여기의 삶을 중요하게 여기는 마주이야기 교육과의 접점을 찾는다면 새 교육과정은 아이들 삶으로 가득 찬 살아있는 교육과정으로 거듭날 것이다.  넷째, 아이들 말을 으뜸으로 하는 마주이야기 교육은 언어생활영역뿐 아니라 다른 생활영역과의 통합을 시도할 수 있다. 또 마주이야기로 문집 만들기, 노래 부르기, 상장 만들기, 마주이야기 졸업식 따위의 다양한 교육활동은 유아들이 말과 글로 자기를 세상에 당당하게 드러내면서 자신 있게 삶을 가꾸어 갈 수 있도록 돕는다.

      • KCI등재

        마주이야기로 하는 균형적 교수법의 실제

        유주연(Lyu, Joo-yeo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09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3 No.2

        균형적 교수법은 읽고 쓰는 문해 단계에서 학습자의 속도에 맞춰 음가 인식지도와 총체적 언어교육법에 균형을 이루는 것이 목적이다. 학습자가 읽고 쓸 수 있게 해주고, 학습자와 함께 읽고 쓸 수 있게 하며, 학습자에 의하여 읽고 쓸 수 있게 하려는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균형적 교수법의 읽기와 쓰기 단계는 말하기와 듣기가 포함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균형적 교수법과 마주이야기 교육이 갖는 공통점을 찾아 마주이야기 교육에서의 문식성 이해를 위한 교육이 왜 균형적 교수법과 적합한지를 소개하였다. 또한 활용의 예를 돕기 위하여 몇 가지 예시를 제시하였다. Prior research suggested that guide line of phonemic awareness with dialog based education, which is called 'majuyiyagi education'. This article explores the application of balanced literacy with 'majuyiyagi'. There are many similarity between balanced literacy and majuyiyagi education, especially the point of view child-centered education. So we suggest majuyiyagi education to the proper method of application balanced literacy with some examples.

      • KCI등재

        마주이야기로 살려내는 글쓰기 교육

        박문희(Pack, Moon-hee)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09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3 No.2

        Writing education in Korea has been collapsing. Since writing is to keep the speaking in the shape of letter, we cannot discuss on this matter without speaking. The speaking education is wrong from the beginning. Our speaking education put the letter before speaking. Oratory, fairy tale narration and poem recitation after memorizing the texts have been called as speaking education. Speaking after memorizing the next is not what children want to speak. And that is why they cannot write what they really want to write. Speaking education is to listen what the children speak. We have to listen to their talk that they really want, without memorizing, which is full of questions. Speaking must be put before the letter. We have to bring the live speaking into the school and home. It is the way to allow the children to write as they talk. Let's practice Majuiyagi which put listening to the children first. Let's give life to speaking and writing of children, to education and to our children. 우리나라 글쓰기 교육이 무너지고 있습니다. 글쓰기는 말을 글자로 담아 놓는 일이니, 말을 떠나서는 이야기를 할 수가 없습니다. 말하기 교육이 처음부터 잘못 되었습니다. 우리의 말하기 교육은, 말이 먼저 있는 게 아니고 글자가 먼저 있습니다. 글자를 보고 외우는 웅변, 동화구연, 동시낭송 이런 교육이 말하기 교육이라고 해 왔습니다. 글자를 외워서 하는 말은, 아이들이 하고 싶은 말이 아닙니다. 따라서 하고 싶은 말을 쓰는 글쓰기로 이어지지가 않습니다. 말하기 교육은, 아이들 말을 들어주는 것입니다. 아이들이 하고 싶은 말, 외우지 않고 하는 말, 문제가 가득 들어 있는 말을 들어 줘야 합니다. 말이 글자보다 앞자리에 있어야 합니다. 살아있는 말을 학교 안으로 집안으로 끌어 들여와야 합니다. 그래야 아이들이 말하듯이 글쓰기를 하게 됩니다. 아이들 말 들어주기를 으뜸으로 하는 마주이야기 교육을 합시다. 마주이야기 교육으로 아이들 말을 살리고, 글을 살리고 교육을 살리고 아이들을 살리도록 합시다.

      • 방과후 보육에서 부모­자녀 의사소통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한경순 한국방과후아동지도학회 2005 아동중심실천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최근 보육서비스에 요구되는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을 촉진시키고, 이를 통해 아동의 심리&#8228;사회적 발달을 가져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해 밝혀 보고자 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마주이야기’ 교육방법을 기초로 구성된 본 프로그램은 부모­자녀 의사소통의(p<.001)의 경우,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부모­자녀 의사소통 프로그램은 먼저 수용성과 사교성으로 구성된 사회성에 있어서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이 수용성 발달에 효과가 있었으며, 사교성 발달에는 유의미한 효과가 없었다. 세째, 부모­자녀 의사소통 프로그램은 또래 정서성과 가족 정서성으로 구분되는데, 또래 정서성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하지만 가족 정서성(p<.001)의 경우, 실험집단의 점수가 통제집단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한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겠다. 1) 부모­자녀 의사소통향상 프로그램이 미진한 현 상황에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경험적 자료를 얻은 것이다.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향상시키고 아동의 사회, 정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이 전무한 상황에서 부모­자녀 의사소통 향상프로그램의 효과성이 검증됨으로써 방과후 보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2)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향상 프로그램의 적용 대상과 적용 범위가 확대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다. 그동안 유아에게만 적용되어 왔던 ‘마주이야기 ’ 교육방법을 보다 다양한 대상과 공간, 특히 방과후 보육에서 아동에게 적용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3) 가정과 기관이 연계한 아동에 대한 공동양육기능의 가능성이다. 기존의 프로그램들은 가정과의 연계성이 미진하였다. 본 연구자가 개발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프로그램은 부모가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으로 가족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의사소통기회를 자연스럽게 증진시킴으로써 자녀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통한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4) 부모­자녀 의사소통 프로그램은 가정, 부모, 아동, 지역사회,기관을 포괄하는 보육프로그램이란 점에서 사회복지적 의의를 찾아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자가 개발한 부모­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