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의명칭의 분포로 본 마을신앙 문화권 설정

        정명철(Jeong, Myeong-cheol),박미정(Park, Mee-jeong),윤순덕(Yoon, Sun-duck),이창환(Lee, Chang-hwan) 한국민속학회 2016 韓國民俗學 Vol.64 No.-

        마을신앙은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민속신앙의 하나로, 마을을 전승단위로 하여 대부분 해마다 정기적으로 거행하는 세시풍속이다. 그 기원은 고구려의 동맹, 동예의 무천, 부여의 영고와 같은 국중대회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한국에 전승되고 있는 민속문화 중에서 가장 보편적인 민속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마을을 전승단위로 하기 때문에 형식과 내용에 있어서 지역적인 특색을 지니고 있으며, 지역 내에서도 마을마다 다른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그런 이유로 보편적이면서 개별적인 민속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마을신앙의례는 1년에 한두 차례 정기적으로 거행되는데 마을주민들 전체가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참여하여 마을의 평안, 풍요, 번영 등을 기원한다. 이 글은 마을신앙 조사보고서, 논문, 시 · 군지 등 문헌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전국 12,196개 마을의 제의명칭을 분석한 것으로, 이 중에서 59%인 7,161개의 마을에서 제의가 전승되고 있다. 제의명칭은 산신제, 동제, 당산제, 당제, 성황제 순으로 많은 분포를 보이고 있는데, 지역별로 다른 양상을 보이고 명칭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제의명칭의 지역적 분포에 따라 문화권역을 추정해 보는 데 있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마을신앙의 보편적이면서 개별적인 특성 때문에 문화권역을 설정하는 데도 많은 어려움이 따랐지만, 동일한 제의명칭이 일정한 지역을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어 어느 정도의 권역 설정은 가능하였다. Village ritual is one of the folk beliefs that is nationally distributed. It is held every year on a regular basis with a village as the unit of transmission. It can be said to be the most common folk phenomenon in Korea. However, because a village is the transmission unit, it ha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each region shows different features. Thus, it is universal, yet it is also an individual folk phenomenon. Village rituals are regularly held once or twice a year, and an entire village participates directly or indirectly to pray for the village’s peace, abundance, and prosperity. This study analyzed the names of the ceremonies and the months the ceremonies were enacted by 12,196 villages, which were confirmed by research reports, dissertations and city/county newsletters. Among them Dong-je has been transmitted in 7,161 villages, which is 59% of the total number of villages. The names of the ceremonies are, Sansin-je, Dong-je, Dangsan-je and Seonghwang-je, in the order of their distribution order. They displays different aspects in different regions, and they also have various names. The times for the ceremonies mostly fall in January and October of the lunar calendar, and the ceremonies exhibit a variety of features according to the reg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possible determination of the culture areas according to the names of the village rituals and the regional distribution by looking at the months of the ceremonies. As mentioned earlier, because of the universal but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Village Rituals, and because of the regional differences in the aspects and passing on, it was difficult to determine the culture areas. However, by focusing on certain areas where the same names are intensively distributed, it was possible to determine the culture areas to some degree.

      • KCI등재후보

        주민 주도형 마을박물관의 현황과 지속적 운영을 위한 제언 - 거창군 임불고품전시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

        성진석 한국박물관학회 2016 博物館學報 Vol.- No.31

        최근 ‘마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마을의 자원을 토대로 한 ‘마을박물관’이 건립?운영되고 있다. 마을박물관은 마을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마을 주민들의 기억과 흔적을 담아내고 있는 시설 이다. 경남 거창군 남상면에 위치한 임불마을의 임불고품전시관 역시 이러한 마을박물관의 한 사례 로 볼 수 있으며, 임불고품전시관은 설립에서 운영까지 마을 주민들이 주도한 마을박물관으로 마을 의 생활사 자료를 전시하고 있다. 이렇게 주민들이 주도한 마을박물관은 공동체 의식을 제고할 뿐 만 아니라 마을문화 보전 시설로서의 기능을 담당하고, 외부 관람객 유입을 통한 마을 활성화와 같은 효과를 가져 온다. 또한 마을박물관의 지속적인 운영과 활성화를 위해서는 먼저 전시자료뿐만 아니라 마을 생활사 를 조사하여 아카이브를 구축해야 하며, 이미 설립되어 운영 중인 타 지역의 마을박물관의 사례를 벤치마킹하는 것도 중요하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마을박물관에 대한 주민들의 관심과 애정의 지속이며, 이와 더불어 중앙 정부 및 지자체, 지역의 국?공립박물관, 문화 기획자, 마을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로컬 거버넌스의 구축이 필요하다.

      • 마을공동체의 의의와 정책 과제

        송오식(Ohsik Song)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22 종교문화학보 Vol.19 No.1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업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주도하에 하향식으로 행해지고 있으나 그 필요성에 비하여 아직 현실적으로 자주적 자율적 자생단계는 아닌 상황에서 종교적, 특히 기독교적 관점에서 마을공동체에서 종교가 어떻게 기능할 수 있는지를 원론적 입장에서 접근하였다. 도시와 촌락의 마을의 형성과 주거형태가 상이한 것에 착안하여 먼저 마을과 마을공동체를 어떻게 정의할 것인지 살펴보았다. 마을공동체란 가치중립적인 개념이 아니라 일정한 지연공동체로서 조직적인 결합은 아니지만 동일한 목적, 이념, 그리고 종교가 결속을 가져오는 중요한 구심점이 될 수 있다. 마을공동체 관련하여 지방자치단체별로 조례가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지만, 국가적 차원에서 통일적이고 효율적인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법률이 제안은 되고 있지만 아직 국회에 계류 중인 상태이다. 마을공동체에서 종교의 역할은 단지 전도나 포교의 목적으로서가 아니라 종교의 본질상 이웃사랑으로 구현되어야 할 중요한 기능이다. 종교가 갖는 ‘사랑’과 ‘자비’라는 최고의 덕목은 마을공동체 구성원들을 하나로 묶는 정신적 가치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초대 예루살렘 교회의 구성원들이 인종의 경계를 넘어 어떻게 종교공동체를 이루어냈는지를 살펴보고 마을에서 기능할 수 있는 종교적 역할 원리를 도출하였다. 본고에서 첫째, 친밀성(intimacy)의 원리, 둘째, 헌신과 섬김(devotion)의 원리, 셋째, 신뢰에 기반 한 도덕성(morality)의 원리, 넷째, 상호소통(mutual communication)의 원리, 다섯째, 상호 부조성(mutual aid)의 원리, 여섯째, 일치(accordence)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On the view of religion, especially Christianity, this paper approaches how religion can function in a village community. First of all, it reviews the definition of village and village community, paying attention to the differences in the formation and housing types of towns and villages between cities and agricultural, fishing, mountain villages. The village community is not the value neutral concept but the value orientation one. It is the community based on region. As a certain community, it is formed of organizational actions in some cases, but in most cases it is not an organizational unit. However, the same purpose, ideology and religion can make an important role to bring the unity of the community. Ordinances of village community have been enacted and implemented for each local communities, and statutes for the revitalization of a unified and efficient village community at the national level have been proposed, but are still pending in the National Assembly. The role of religion in the village community is not just for the purpose of evangelism or propaganda, but is an important function that needs to be realized through love for neighbor as the essence of religion. As the highest virtue of religion, Love and Mercy can serve as a spiritual value that unites the members of the village community. This paper examines how the members of the early Jerusalem church formed a religious community beyond racial boundaries, and derived the principle of a religious role that can function in the village community and suggests six principles. That is, first intimacy, second devotion, third morality based on faith, forth mutual communication, fifth mutual aid, sixth accordence.

      • KCI등재

        마을축제의 영상도식과 은유체계의 이해 - 전남 장성군 삼계면 생촌리를 중심으로

        표인주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연구 Vol.68 No.-

        The ritual sacrifice (dangsanjae), which is continued in the modern society, places more emphasis on the economic value over the realization of religious value. This phenomenon will spread over the nation and will be accelerated. Whereas the dangsanjae in Saengcheon-ri is a ritualistic event for the village god, jisinbapgi is a pungmulgut to appease the house god and the tug-of-war connects the dangsanjae and jisinbapji. The tug-of-war is the event which realizes the sense of community, which is why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dangsanjae, tug-of-war, and jisinbapgias a single village festival. In conclusion, the village festival in Saengchon-ri consists of the dangsanjae, which serves as a means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gods and human beings, the tug-of-war, which connects people to people, and jisinbapgi, which connects families to families. Such events constitute the religious ceremony to pray for abundant crops and the peace in the village, but this village festival could also be interpreted as a cultural ceremony which realizes the sense of community based on the unity between humans and gods (enthusiasm) as well as the integrity among human beings. 현대사회에서 지속되고 있는 당산제가 농사의 풍요나 마을의 안녕이라는 신앙적인 목표, 즉 종교적 가치는 약화되고, 공동체정신을 계승하려는 공동체행사로 진행되거나, 경제적인 도구의 하나인 상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다. 이것은 종교적인 가치 구현보다도 경제적 가치를 우위에 두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나타날 것이며,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생각한다. 생촌리의 당산제가 마을신을 위한 제의적 행사라면, 지신밟기는 가택신을 위무하는 풍물굿이고, 줄다리기는 당산제와 지신밟기를 연결한다. 줄다리기야말로 공동체성을 구현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필자가 당산제, 줄다리기, 지신밟기를 하나의 마을축제로 이해하려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생촌리의 당산제는 시간(제일), 인간(제관), 공간(제당-신)으로 구성된다. 먼저 제사 지내는 시간은 연결 도식과 수직성 도식에 근거하여 마을사람들과 마을신의 만남을 결정하고 가정의 공간적인 통합, 그리고 인간과 신의 일체성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두 번째로 제관은 연결 도식에 근거하여 마을의 대표성을 지닌 존재이며, 항상 정화된 몸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세 번째로 제당은 수직성 도식에 경로 도식과 반복 도식이 덧씌워져 그것에 근거하여 마을신과 마을사람들의 만남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면서 마을신의 영험성과 신성성을 확인할 수 있는 공간이고, 신앙적인 의도와 결과를 확인하는 곳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리고 본질적으로 차단 도식에 근거한 것이지만 그릇 도식이 덧씌워져 행해지는 금줄치기와 황토놓기는 제당을 완벽한 정화의 공간으로 만들려는 의도임을 파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사 내용으로서 제사음식은 과정 도식에 근거하여 지극 정성으로 준비되며, 제사절차에서 핵심적인 것은 독축, 음복, 헌식이다. 독축은 경로 도식에 근거하여 인간이 소망하는 내용을 신에게 전달하는 것이고, 음복은 연결 도식에 근거한 인간과 신의 접촉이며, 헌식은 중심-주변 도식에 근거한 공동체성을 구현하는 제사절차이다. 결론적으로 당산제는 농사의 풍요와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신앙적 행사이지만, 마을의 공동체성을 구현하는 집단적 행사이기도 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생촌리 줄다리기는 연결 도식과 경로 도식을 근거로 줄을 제작하고 줄 메고 돌아다니며, 음양 도식에 근거하여 줄을 결합하고, 힘의 구조인 흡인 도식에 근거하여 줄다리기의 승패를 결정한다. 줄다리기가 끝나면 묶음과 풀다 도식에 근거해 줄감기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보면 생촌리 줄다리기는 마을의 공동체성을 구현하는 민속놀이지만, 농사의 풍요를 기원하는 주술적인 행사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생촌리의 지신밟기는 힘의 구조에 따른 강제 도식/흡인 도식과, 과정 도식/경로 도식/연결 도식에 근거하여 기호적 경험으로 확장된 가정의 안녕과 복을 기원하는 풍물굿이지만, 마을의 공동체성을 구현하는 민속놀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생촌리 마을축제는 신과 인간의 의사소통방식으로서 당산제, 인간과 인간의 연결로서 줄다리기, 가정과 가정의 연결인 지신밟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것은 농사의 풍요와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종교적 행사이지만, 인간과 신의 일체성(신명성), 그리고 인간과 인간의 통합성을 토대로 한 공동체성을 구현하는 문화행사라고 해석할 수 ...

      • KCI등재

        공유지 비극론의 재이해를 토대로 한 마을숲의 지속가능한 관리

        윤순진(Sun Jin Yun),차준희(Jun Hee Cha) 한국농촌사회학회 2009 農村社會 Vol.19 No.2

        마을숲은 자연적으로 생성된 것이 아니라 마을공동체가 그들의 필요에 의해 인공적으로 조성하고 마을 구성원들이 공동의 규칙과 규범을 마련하여 보호하고 유지·관리해 온 것이다. 마을숲은 경관적 기능, 환경·생태적 기능, 문화·휴양적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보전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공유지 비극론에 따르면 마을숲과 같은 공유지는 비극적 상황으로 귀결되거나 비극적 상황을 피하기 위해 사유재산권의 설정이나 국가권력의 강력한 개입이 필요하다. 한국의 마을숲은 오랜 기간 동안 건강하게 유지되어왔으나 갈수록 소유관계의 변화, 마을숲과 지역주민들의 관계 변화, 공동체의 붕괴, 공유지내 자산의 상품화를 자극하는 사회경제구조의 작동 등의 이유로 전국적으로 많은 마을숲들이 훼손되었거나 훼손될 위기에 처해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마을숲의 사유화나 강력한 국가개입에 의해서가 아니라 마을숲의 공유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마을숲 보전이 당위적인 차원이 아니라 예전에 마을숲이 수행했던 기능이 지역에 따라 현재에도 여전히 의미가 있는지, 마을숲과 마을주민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마을숲은 누가 어떤 목적으로 왜 어떻게 보존해야 하는지가 중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마을숲의 지속가능한 관리 방안을 다룬다. 마을숲은 "장소에 기초한 접근"을 통해 마을숲의 필요성에 대한 마을주민들의 공통된 인식을 기초로 마을주민들의 삶과 마을숲의 가치를 엮어내고 마을숲이 주민들에게 편익을 제공하도록 관리하면서 참여를 이끌어 낼 때 공유성이 확보됨으로써 보전의 가능성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공유지의 비극"은 사유화를 통해 해결되기보다 오히려 공유자원이 공유되지 않고 사유화됨으로써 발생하는 것으로 공유지의 공유성을 유지하거나 회복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마을숲의 가치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과 참여가 기초가 되어야 한다. Most village forests have been damaged and are facing the risk of destruction in Korea. Since village forests have performed various functions in terms of Feng-shui, landscape, micro climate control, production, culture, and education, they seem to deserve conservation. According to the theory of the tragedy of the commons, the commons such as village forests cannot help resulting in tragic situation, forest villages in Korea have maintained nature of the commons for a long time. Since village forests are not nature itself but nature intentionally created by local communities to satisfy their needs, they have been conserved, maintained and managed based on communities` rules and norms. Currently, however, large part of village forests are facing the risk of destruction because of ownership change, change of relationship between village forests and local residents, breakdown of communities, operation of socio-economic structure oriented to commodification of common pool resources. Therefore, village forests conservation cannot be achieved justifiably based on the necessity of conservation. It is required to explore whether functions of village forest carried out in the past are still meaningful and who should be the subject of village forests conservation with what purpose. This paper finds that we need "place-based approach," in which the value of village forests are recognized by village residents, lives of village residents` and the value of village forests are interconnected, and the existence of village forests provides benefits to village residents, especially based on village residents` participation in management process. If problems occur when village residents recognized the value of village forests but they do not own them, it is necessary to recover common ownership by engagement of state, local government or citizens` voluntary action. "The tragedy of the commons" occur because of private ownership of the commons. It is very important to maintain or recover common ownership of the commons and local residents` recognition of the value of the commons and their participation in management of the commons.

      • KCI등재

        하회마을 택지(宅地)선정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난아,장석하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6 No.6

        본 연구는 수치지형모델으로 구축된 공간속성데이터를 이용하여 하회마을 택지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고 마을공간구조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하회마을의 공간구조를 규명하기 위하여 건축대지를 길경계와 유형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하회마을과 같이 사계절 일사량이 확보되는 지형에서 표고와 경사도가 대지선정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하회마을은 사계절 일사량의 영향과 홍수피해로부터 안전한 최소높이의 표고에 따라 마을이 구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In this study, there is a purpose of using the GIS DB built in DEM, by analyz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site Hahoe village, to determine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village. In order to understand the targeted spatial structure of Hahoe Village, the building site was analyzed separately by type and boundary of the road. Through analysis it is clear the selection of building site relates to the elevation and slope that acquires the most solar radiation in Hahoe Village. We assume that the building site in hahoe village was formed by considering the slope and elevation to minimize flood damage and solar radiation of the four seasons.

      • KCI등재

        마을목회를 위한 기독교윤리적인 근거와 과제의 모색

        정종훈 한국대학선교학회 2017 대학과 선교 Vol.35 No.-

        The modern Korean society confronts with the perils caused by in- dividualization and neo-liberalism. In the challenges of globalization, church-in-mission needs to focus on taking care of local issues and communities. This practical effort is undisputed to enliven local community ministry. The research seeks for Christian ethical foundations in the re- flection of Jesus’ teaching, discipleship, the essence of a church, the vocation of the members, and several theories of Christian ethics. I propose four precepts for promoting local community ministry; 1. Jesus serves in a local community in the direction of God. The Holy Spirit leads the people of God to serve a local community. 2. God prefers marginalized people in a local community and asks to pursue humanization of every member. 3. Three classical missions of church, Kerygma, Koinonia and Diakonia, are not limited in a church community, but extended to a local community. 4. We as the people of God, savor the proleptic anticipation of the kingdom of God in our local community. Lastly, the research presents three realms of church mission in building up local church ministry, such as localized, nationalized, and globalized mission. Marking 500th anniversary of the Reformation, I suggest that Korean churches repent of their isolation, indifference and negligence of a local community, and participate in proliferation of community well-being. 오늘 우리 사회는 매우 개별화되고 있다. 신자유주의의 양극화는 위험한 사회를 조장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회가 서로 관심을 갖고 서로 돌보 는 마을공동체를 목회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매우 절실하고 자연스럽다. 연구자는 마을목회의 기독교윤리적인 근거를 예수의 가르침과 제자의 사 명, 교회의 본질과 구성원의 사명, 기독교윤리학의 이론들에서 찾는다. 연구자는 마을목회를 적극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 네 가지 윤리적 지침 을 제안한다. 첫째, 마을은 하나님의 방향이자 예수님의 섬김의 대상이며, 성령의 인도하심 가운데 교회와 기독교인들이 살아야 할 자리임을 직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마을의 주변부에 있는 지극히 작은 자들에 대해서 우 선적인 관심을 갖고, 모두의 인간화를 회복하기 위해서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교회의 케리그마와 코이노니아와 디아코니아가 교회 안으로 만 제한될 것이 아니라 마을공동체로 확장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 지금 여기 마을공동체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선취하고 현재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끝으로 연구자는 마을목회의 과제를 지역마을 공동체를 향한 교회의 목 회, 국가마을 공동체를 향한 교회의 목회, 지구마을 공동체를 향한 교회의목회로 구분해서 제시한다. 올해는 교회개혁 500주년을 맞이하는 해이다. 한국교회는 그동안 마을공동체와 격리되었던 것, 마을공동체에 관심을 주지 못했던 것, 마을공동체의 일원으로서 풍성한 삶을 함께 살도록 더불어 노력하지 않았던 것을 회개하 고, 이제라도 우리가 거주하고 속해있는 마을에서 공동체를 함께 만들어가 는 일에 동참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마을만들기 추진단계별 주민자치의 실천에 관한 연구 - 성북구 장수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

        여관현 한국자치행정학회 2015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9 No.2

        본 연구는 성북구 장수마을을 사례로 마을만들기 추진단계별 주민자치의 실천과정을 살펴보고, 마을만들기를 통한 주민자치 실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주민자치의 실천과정을 초기단계, 성숙단계, 발전단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장수마을 마을만들기의 추진단계에 따른 주민자치 실천을 위해 다채로운 주민자치 활동과 마을공동체 활동들이 전개되었다. 또한, 초기단계에서는 대안개발연구회이던 것이 성숙단계에서는 동네목수로, 그리고 발전단계에서는 주민협의회로 주민자치활동이 강화되었다. 마을만들기에서 주민자치의 실천에 대한 시사점은 4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주민자치 활동과 마을공동체 프로그램 등을 통해서 주민자치 역량이 강화된다. 둘째, 주민자치를 위한 공간 확보는 주민자치 역량 강화와 주민자치의 실천을 위해서 중요하다. 셋째, 주민협의회가 주최하는 운영위원회와 주민총회를 개최함으로써 주민자치를 실천할 수 있다. 넷째, 지속가능한 주민자치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마을기금과 주민협정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Jangsu village community planning and then looking for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 of resident autonomy in the community planning.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 of resident autonomy for steps of the community planning. First, resident autonomy empowerment is possible through resident autonomy activities and community residents program. Second, residents autonomous space is important for the practice of residential autonomy and resident autonomy empowerment. Third, the practice of resident autonomy is possible through operations resident committee held and resident meeting. Fourth, village fund and resident appointment are need to for sustainable resident autonomy of the community planning.

      • KCI등재

        마을 만들기 사업의 사회자본 형성 과정

        송호성(Song, Ho-Sung) 지역사회학회 2018 지역사회학 Vol.19 No.1

        본 연구는 사회복지법인이 주도하고 민간기업이 후원하는 협력형 마을 만들기 사업의 사회자본 형성과정을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먼저, 마을 만들기와 사회자본론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선행하여 분석틀을 도출했다. 마을의 역사, 사회·공간적 특성, 마을 만들기 경험, 주민의 사회적 관계망, 외부 행위 주체의 개입을 사회자본 형성의 배경요인으로 설정하고, 이 요인들이 연결망, 신뢰, 규범의 제정으로 특징되는 사회자본 형성을 촉진하는지 혹은 저해하는지를 파악하고자 했다. 다음으로 마을 만들기의 주요행위 주체들을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심층면접을 진행했다. 분석결과, 마을활동가는 주민들과 지속적인 만남을 통해 사회자본을 형성했다. 마을 리더를 발굴하고 적극적인 의지를 지닌 주민들과 주민조직을 이루어, 마을청소 활동과 각종 사업을 전개하면서 사회적 신뢰 관계를 구축하게 되었다. 그러나 주민자치위원회로 대표되는 마을의 폐쇄적 관계망은, 오히려 마을구성원들의 새로운 갈등을 야기하고 주민조직을 이분화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게다가 행정기관의 형식적 참여와 기업에 의존하는 복지법인의 취약한 재정으로 인해, 마을 전체 수준의 사회자본 형성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사회자본 형성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투입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이 같은 갈등의 표출도 사회자본 형성을 위한 하나의 과정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복지법인과 기업협력형 마을 만들기의 새로운 모델을 분석했다는 의의가 있지만, 해당 사례의 뚜렷한 특성을 발견하기는 어렵다. 또한, 사업 시행이 2년에 불과해, 사회자본 형성에 따른마을 만들기의 성공과 실패를 섣불리 판단하기 어렵다. 그러나 최근 주민간담회를 기점으로 사회복지법인과 주민자치위원회의 운영위원회를 재개하려는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마을 구성원들의 공론장이재개되고 있는 점에서, 매축지 마을 만들기 사례는 사회자본 형성과 마을 공동체 회복을 위한 화합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ocial capital formation process of cooperative community building project led by social welfare corporation and supported by private enterprise. For this purpose, we first derive the analytical framework by prioritizing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about community building project and social capital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story of the village, the soci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the experience of community building project, the social network of residents, and the intervention of external actors as background factors of social capital formation. Whether they promote or inhibit the disease. Next, we conducted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main actors of community building project. As a result, village activists formed social capital through continuous encounters with residents. The village leader was excavated and the residents and resident organization with active intentions were formed and the social trust relationship was established by carrying out town cleaning activity and various business. However, the closed network of villages represented by the residents autonomy committee resulted in new conflicts of village members and differentiation of residents organizations. Moreover, due to the formal participation of administrative agencies and the fragile finances of welfare corporations that rely on corporations,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at the village level has not been achieved. However, since much time and effort must be invested i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the emergence of such conflicts can be viewed as a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Therefore,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analyzed a new model of welfare corporation and enterprise cooperative community building project, but it is difficult to find out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e case. Moreover, since the project is only two years in a row, it is hard to judge the success and failure of community building project due to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However, recently, there has been a movement to restart the committee of the social welfare corporation and the resident autonomy committee based on the residents meeting. In this way, the case of reconstruction of the villages shows the possibility of unity for social capital formation and village community restoration.

      • KCI등재

        정보화마을 사업의 성공요인이 실제 정보화마을 사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경기도 세 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현정 ( Hyun Jung Lee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6 地方行政硏究 Vol.30 No.2

        정보화 마을 사업은 지역간 정보격차 해소를 통해 지역발전을 도모하고 모든 국민이 정보통신에 자유롭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으로 2001년부터 현재까지 약 16년간 운영되어져 오고 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관련연구는 양적으로 매우 축적되어져 있고, 특히 요즘에는 사례연구를 통해 다양하고 깊이 있는 연구들이 진행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지정해제 마을은 35곳으로 모든 마을에서 사업이 성공한 것은 아님에도 불구하고 실패사례와 관련한 연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정보화 마을 사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 이러한 요인들이 지정해제가 이루어진 마을에서 실제 사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사례연구를 통해 분석해 보았다. 연구를 통해 첫째, 정보화 마을 사업에서 공공과 민간의 부족한 역량, 지원수준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는 사회자본은 마을의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결과를 야기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정보화 마을 사업의 성공적인 운영에 마을의 보유자원은 필요조건이기는 하지만 충분조건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정보화 마을 사업 이외에 마을에서 진행되고 있는 타 농촌개발사업은 마을에 인적·물적 자원을 풍족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지표공유 불가능, 사업간 경쟁 등 사업이 시행되기 전에는 없었던 새로운 갈등을 야기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지방자치단체는 타지자체와의 실적경쟁에 따라 어느 정도 기반이 있는 마을에 투자 및 우선지원을 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정보화 마을 사업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각 마을마다 각기 다르게 작용하여 사업의 성패에 성공요인과 실패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Information Network Village Project has been managed for about 16 years since 2001 with the purpose to promote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solving regional information gap and to approach freely and us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for all citizens. As time passed, related researches were accumulated a lot quantitatively and in particular, more diverse and in-depth researches are conducted through a case study recently. However, there are 35 Appointment Cancellation Villages currently and there is no research focused on failure cases even though every project in these villages was not successful. Consequently, this study identified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outcomes of Information Network Village and analyzed how these factors were influenced on actual projects in the villages with appointment cancellatio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Capital which raises insufficient capacity of the public and the private and its support level has brought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village. Second, possession of resource in the village is a necessary condition not a sufficient condition on operating successful village projects. Third, existing other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besides this project has an advantage to make human and materiel resources affluent but it has a high possibility to bring unprecedented conflicts such as impossibility of index sharing and competition between projects and so on. Fourth, a local government tends to invest and support preferentially on the village with having a certain level of base depending on performance competition with other local governments. With this study, positive factors for the results of Information Network Village Project have different impacts in every village and it affects as a success factor and a failure factor on every pro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