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정정책 마련을 위한 마약 밀매자의 마약 밀매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남성회복자를 중심으로

        유숙경 한국교정학회 2021 矯正硏究 Vol.31 No.2

        본 연구는 현재 마약중독에서 회복되었고 마약 밀매를 하지 않는 남성으로 과거의 마약 밀매 경험을 탐색하여 밀매의 구조적 변화와 밀매 전략, 밀매조직을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마약 밀매자의 중독회복과 마약 공급차단 정책 수립을 위한 교정차원의 정책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 선정은 마약밀매 경험이 7년 이상, 마약중독에서 최소 3년 이상 회복을 유지하고 있는 5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1대1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 된 자료는 Creswell(2013)의 사례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는 마약 밀매자의 마약밀매 과정을 시간 흐름에 따른 현상의 동태적 과정과 결과를 분석하고, 특히 맥락을 이해하고 자 하였다. 그 결과 4개의 분석영역, 11개의 범주와 39개 개념결집이 도출되었다. 첫째, 진입동기에서는 마이다스의 비즈니스와 사회적 지위의 초고속상승, 가난한 자의 꿈으로 나타났다. 둘째, 마약공급 조직에서는 항구적 상선구축, 불신과 배신구조, 믿음의 근원 현금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시장 확장전략에서는 주변지인 공략, 다단계식 밀매조직, 중독의 무한루프에 가두기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관계에서는 평범의 가면 쓰기, 거짓 봉사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마약밀매자로 부터 마약 예비중독자와 중독재발의 위험이 있는 개인을 보호할 수 있는 공급차단정책과 수요감 소정책을 통해 마약밀매자의 회복을 위한 교정정책차원의 논의 및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ast drug dealing experience of males who were recovered from drug addiction and stopped drug dealing, examine the structural changes, strategies, and organizations of drug dealing, and provide basic data for a correction policy to help drug dealers’ addiction recovery and establish a drug supply reduction polic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ive males who had more than seven-year experience of drug dealing and more than three-year recovery period. An in-depth one-on-one interview was conducted for data collecting.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the case study methodology by Creswell(2013).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dynamic process and results of phenomenon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of drug dealing and in particular understand the context. As a result, four analysis areas, 11 categories, and 39 concept clusters were derived. First, entry motivation included Midas business, a superspeed rise of social status, and poor person’s dream. Second, drug supply groups included building up a permanent supplier, a distrust and betrayal structure, and cash that is the root of trust. Third, strategies to expand a consumer market included targeting friends, a multi-level drug dealing group, and putting one into an infinite loop of addiction. Fourth, social relationship included putting on a mask of the ordinary and false voluntary servic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and suggested a correction policy to help drug dealer’s recovery through a supply reduction policy and a demand decrease policy to protect preliminary drug addicts and individuals who are in danger of drug addiction relapse from drug dealers.

      • KCI등재

        북한의 마약관련 범죄와 국제사회의 대응협력

        이원종,오영달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23 평화학연구 Vol.24 No.4

        북한의 마약 밀매 문제는 한국을 비롯하여 국제사회의 큰 우려 대상이 되고 있다. 본 논문은 북한의 마약 밀매사례를 중심으로 그 특징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국제사회의 대응 방안을 고찰하였다. 북한의 마약 밀매 사례들 중에서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관련 자료들을 바탕으로 그 특징과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북한의 외교관이나 정보기관과 같은 국가기관이 마약밀매에 관여하고, 북한과 중국 접경지역이나 바다에서 은밀하게 거래하는 특징을 보인다. 북한에서 생산된 마약은 또한 일본의 야쿠자, 중국의 삼합회와 같은 조직범죄단체를 통해 밀매되는 특징을 보인다. 이 논문은 북한의 마약밀매와 관련하여 유엔 등 국제사회의 대응협력을 논의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국제사회의 대응협력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유엔 마약 관련 기구를 중심으로 북한의 마약 생산과 밀매에 관한 종합적인 정보를 국제사회가 공유해야 한다. 둘째, 북한이 이미 가입한 ‘마약에 관한 단일 협약’ 등 국제사회의 3대 주요 마약 협약 이행에 대한 감독과 통제를 강화해야 한다. 셋째, 유엔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안 2321호 중 북한의 마약 밀매를 억제할 수 있는 항목의 내용을 국제사회가 충실히 이행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유엔 마약 관련 기구를 중심으로 각 국가의 수사기관 그리고 국제형사경찰기구가 공조하여 북한의 마약 밀매 단속에 적극적으로 임할 필요가 있다. North Korea’s drug trafficking has been causing considerable concern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is article has examined the main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drug trafficking by North Korean authorities and explored countermeasures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article has reviewed data related to North Korea’s drug trafficking cases from the 1970s to the present and drawn their main traits and problems. The state agencies such as North Korean diplomats and intelligence bodies are involved in drug trafficking. They are engaging in clandestine drug transactions in the border areas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or at sea. In addition, drugs produced in North Korea tend to be trafficked through organized crime groups such as Japan’s Yakuza and China’s Triad. Thereafter, the roles of the UN agencies on North Korea’s drug trafficking have been discussed. As a result, this article has proposed the following countermeasures: first,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North Korea’s drug production and trafficking should be shared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centered around the UN drug-related agencies. second, supervision and control over the implementation of the three major drug-related conventions, including the ‘Single Convention on Narcotic Drugs’ to which North Korea has already joined, should be strengthened. thir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hould faithfully implement the provisions of the UN Security Council's Resolution 2321 o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that are pertinent to North Korea’s drug trafficking. Lastly, it is necessary to crack down on drug trafficking by North Korean authorities through cooperations between each country’s investigative agencies, led by the UN Drug Enforcement Agency, and the International Criminal Police Organization.

      • KCI등재

        해상에서의 마약류 밀매 실태 및 대응방안

        이경제,정신교,최자윤,최주연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21 치안정책연구 Vol.35 No.3

        In the case of Korea, despite its nickname as the Clean Drug Administration, drug that can be administered to 1 million people were recently discovered by foreign ships that entered Busan Port. In particular, drug trafficking in the high seas is not subject to universal jurisdiction under maritime lawand international convention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enforcement method suggested in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high seas. However,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find a way to take a preemptive response to criminal acts that actually endanger the security of the State party.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laws that deviate somewhat from the existing international legal relations have been enacted and the contents are continuously arranged under the premise of responding to a major national crisis. Although the framework of international law must be respected, a new type of treaty or customary international law is needed as crime patterns are rapidly changing in modern society. The recent trend of drug offenders at sea is not limited to simple sales and users, but is carried out in various ways, such as drug smuggling with an international distribution networ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investigation system, equipment, and manpower of the investigation agenc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maritime drug trafficking investigations. In addition, continuous expansion of cooperation between drug investigation agencies such as police, maritime police, prosecutors, customs, and other drug investigation agencies and intelligence agencies is required. It will have to cope with intelligent criminal intentions by maintaining it. In addition, cooperation in criminal justice with Korea and neighboring countries should be expanded to deal with drug trafficking at sea. 공해상에서의 마약류 밀매의 경우 해양법과 국제협약 상으로 보편적 관할권의 대상 아니다. 따라서 국제협약에서 제시하고 있는 단속방법을 공해상에서 실시하기는 어려운 점이 있다. 다만 실질적으로 당사국의 안보에 위해가 되는 범죄행위에 대해서 선제적 대응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미국의 경우는 기존의 국제법 관계에서 다소 벗어난 법률을 제정하여 국가의 중대한 위기에 대한 대응이라는 명제하에 계속해서 그내용을 정리하고 있다. 국제법의 틀은 반드시 존중해야 하겠지만 현대사회에서 범죄 형태가 빠르게 변화하는 만큼 새로운 형태의 조약이나 국제관습법이 필요한 시점이며, 이에 미국의 시도를 우리나라에 맞게 적용시킬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최근 해상에서의 마약류사범의 추세는 단순판매, 사용자에 한하지 않고 국제적인 유통망을 갖추고 마약류를 밀매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해상 마약류 밀매수사의 효율화를 위해수사기관의 수사체계 및 장비, 인력 등의 보강이 필요하다. 그리고 마약류 수사기관과 정보기관간 협력의 지속적 확대가 요구되며, 자금원의 위장행위를 단속하기 위해 민간부문의 각급 금융기관을 비롯한 여러 유관기관들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하여 지능적인 범행 기도에 대처해야 할 것이다. 또한 우리나라와 인접한 국가와의 형사사법공조를 확대하여 해상에서의 마약밀매에 대처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마약 밀매에서 탈출한 회복자들의 실존 체험 속에 나타난 내러티브 탐구

        유숙경(Yoo Sukgyeong) 한국교정복지학회 2021 교정복지연구 Vol.- No.75

        본 연구는 마약 사용과 밀매 경험이 있는 회복자 3인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Clandinin과 Connelly(2000)가 제시한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시간성, 장소, 사회적인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하여 연구참여자들의 마약 밀매의 탈출 경험을 분석하였다. 특히 3차원적 내러티브 공간에서 내적 지향, 외적 지향, 과거지향, 미래지향을 여행하면서 탐구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내러티브에서 공통으로 나타난 것은 다음과 같다. 마약은 가난의 극복과 좌절된 꿈을 이루는 대체물이고 교정시설은 마약 사용자들은 물론 밀매자들에게도 새로운 시장을 확보할 수 있는 조건이었다. 하지만 모든 연구참여자는 바닥치기를 경험해 자기 존재의 허무함을 느꼈다. 이러한 허무함은 극한의 회복탄력성을 발휘하여 새로운 삶의 방향을 재설정하였다. 마약 밀매자와 중독자들에게 치료적 접근에 있어서는 패배주의적 허무가 아닌 실존적 허무를 통해서 삶의 의미를 찾는 접근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연구자들은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마약중독자는 물론 밀매자들의 재활과 사회 재적응을 위한 논의와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is a narrative inquiry of three participants recovered from drug use and dealing. Researchers analyzed data by a narrative inquiry methods proposed by Clandinin and Connelly(2000). Participants’ escape experience from drug dealing was analyzed with its focus on temporality, place, and social interaction. In particular, internal, external, past, and future orientation was explored during travel in the 3D narrative space. Common features found in participants’ narrative were as follows. Drug was a substitute to get over poverty and come true their frustrated dream and correctional facilities were a good condition to have new market for drug dealers as well as drug users. However, all participants felt the nihility of their existence through the bottom-up experience. The nihility allowed them to show extreme resilience and reset new life direction. It is necessary to find the meaning of life through existential nihilism rather than defeatist nihilism for therapeutic approach for drug dealers and addicts. Based on the findings, researchers discussed and made suggestions for the rehabilitation and social readjustment of drug dealers as well as drug addicts.

      • KCI등재

        북한 경제난 속에서 심화되는 주민들의 마약 중독 실황과 대책

        이용희 한국통일전략학회 2022 통일전략 Vol.22 No.2

        This paper discusses the increasingly serious situation of drug addiction among North Koreans. North Korea started drug production and trafficking after liberation, as part of strategies for communizing South Korea. However, from the 1970s, when the Kim Il-sung and Kim Jong-il hereditary dictatorships were established, drug production and trafficking in North Korea was used as a major means of earning foreign currency to maintain the regime. As the North Korean economy collapsed after the 1990s, food distribution stopped and the national medical system was paralyzed. North Koreans began to use drugs as alternative drugs because they were unable to obtain medicines as well as food shortages. The prolonged situation has increased the number of habitual drug users, which is causing serious social problem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block incoming North Korean drugs smuggled from the North. In addition, from the standpoint of preparing for a unified Korea,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actively respond in cooperation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solve the drug addiction problem of North Koreans. 본 논문은 갈수록 심각해지는 북한 주민들의 마약 중독 실태를 논의하고 있다. 북한은 해방 이후부터 마약 생산과 밀매를 시작했으며 이것은 남한 공산화 전략의 일환으로서 진행되었다. 그러나 김일성, 김정일 세습 독재 체제가 구축되는 1970년대부터는 북한에서 마약 생산과 밀매는 체제 유지를 위한 주요 외화벌이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1990년대 이후 북한경제가 몰락하면서 식량 배급이 중단되고 국가 의료시스템이 마비되었다. 북한 주민들은 식량 부족은 물론이고 의약품을 구할 수 없어서 마약을 대체의약품처럼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이런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마약 상습 복용자들이 늘어났고, 이것은 심각한 사회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남한 정부는 북한으로부터 밀반입하여 들어오는 북한산 마약을 차단해야 한다. 그리고 통일한국을 준비하는 입장에서 북한 주민들의 마약 중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사회와 협력하여 적극적으로 대처해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만주국'의 아편마약 밀매대책과 재만 한인

        박강 한중인문학회 2006 한중인문학연구 Vol.19 No.-

        만주국 수립이전부터 만주지역의 주요 도시에는 아편마약의 밀거래와 아편 연관업에 종사하는 한인들이 있었다. 이들 한인들은 외국인으로서 일본, 러시아인과 함께 아편마약 밀매로 주목을 받았다. 재만 한인의 아편마약업 종사는 이중국적에 따른 불안정한 법적지위와 생계유지문제, 그리고 일본 영사관의 암묵적인 묵시 내지 지지와 관련이 깊었다. 전체 만주거주 한인의 수와 비교해 보면 수적으로는 소수이지만 그들의 활동이 일본의 주구로 비춰져 만주 지역의 중국인과 중국당국의 비난을 감수해야 했다. 만주국 수립 이전 일본정부의 암묵적인 묵인과 지지 하에 아편과 마약밀매 등에 종사했던 재만 한인들은 만주국 수립 이후 어떤 상황에 처하게 되었을까? 즉 만주국의 건국으로 일본의 한인에 대한 태도나 인식이 그 전과 다른 상황에서 재만 한인 아편마약 밀매업자들에게 어떤 변화가 일어났을까? 만주국 수립 전후 만주의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아편마약업에 종사했던 한인들은 만주국 아편전매제도의 확립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이용되었다가 배제되는 운명을 겪었다. 일본의 만주침략 과정에서 만주침략의 도구로 이용되었던 아편마약 밀매업 종사 한인들은 만주국 수립 이후 전매아편의 조속한 확립과 밀매의 단속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필요에 의해 다시 이용되었다. 그러나 중일전쟁 발발 이후 완전한 전매제 시행에 따라 아편업에 종사한 한인들은 다시 배제될 수밖에 없었다. 결국 일본의 만주침략 과정에서 한인들이 침략의 도구로 이용되었듯이 만주국의 아편전매 과정에서도 역시 비슷한 전철을 겪었다고 하겠다. Since former times before establishment of Manchukuo there were the Koreans engaged in illicit drug trafficking and management of opium den in the main cities of Manchuria. These Koreans as foreigner were recognized as illicit drug trafficking with Japanes and Russians. Before establishment of manchukuo the Korean residents were engaged in illicit sale of opium and narcotics with the convivance of Japanese government. After establishment of Manchukuo. After establishment of Manchuguo what condition were they placed in?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opium monopoly the Koreans engaged in illicite sale of drug in the main cities of Manchuia were utilized temporary. Soon they were faced with being excluded. Japan used them as the tools of invasion in china. And after establishment of Manchuguo for the purpose of easy keeping opium monopoly on stalilty japan used them again. But occurring the Sino-Japanese War(1937-45), carrying out whole opium monopoly, the Koreans engaged in sale of opium completely were excluded. Finally as they were used as the tools of invasion, the Koreans took the same neckless course in the process of opium monopoly in manchuria.

      • KCI등재

        초국가적 범죄로서의 마약밀매와 시민사회의 역할 - 아프간과 미얀마의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조성권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0 국제지역연구 Vol.13 No.4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expanded drug trafficking in the whole world. The drug trafficking is a typical transnational crime. The goal of this paper is briefly to emphasize an importance on the role of civil society in the diffusive process of drug trafficking as a transnational crime. It is not possible any more to control the current drug trafficking in the national level. For this, this paper, first, is to explore the transnationality of drug trafficking in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Second, this is to analyzes the phenomena of drug trafficking in which occurs both afghan and Myanmar. Third, this is to examine some conditions how the rising drug trafficking in these regions has an affect on politically, economically, and socio-culturally in these communities. Finally, this essay emphasizes on the importance of civil society. 세계화의 과정은 전 세계적으로 마약밀매를 확장시켰다. 마약밀매는 전형적인 초국가적 범죄이다. 이 글의 목적은 초국가적 범죄로서의 마약밀매의 확산과정에서 시민사회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원론적으로 강조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현재의 마약밀매는 일국의 법집행기관 만으로 통제를 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섰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우선 세계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마약밀매의 초국가성을 간단히 탐구한다. 둘째, 아프간과 미얀마에서 발생하는 마약밀매의 현황을 간단히 고찰한다. 셋째, 이들 지역에서 등장하는 마약밀매의 현상이 어떻게 이들 지역사회에 정치, 경제, 사회문화적으로 영향을 주는가를 탐구한다. 끝으로 시민사회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KCI등재

        북한의 국가적 불법행위에 대한 고찰 : 북한의 마약밀매를 중심으로

        백남설(Baek, Nam Seol) 한국테러학회 2021 한국테러학회보 Vol.14 No.1

        북한은 경제난으로 인해 외화벌이를 위한 수단으로 국가에서 직접 불법행위를 하고 있으며, 주로 197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북한의 국가적 불법행위 유형을 보면, 무기밀매, 위조지폐, 사이버공격, 요인암살, 마약밀매 등이 있다. 북한의 무기밀매의 경우 주로 중동이나 아프리카 지역의 국가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위조지폐의 경우 스위스 등 선진국으로부터 인쇄기계와 잉크 등을 구입한 후 주로 달러와 위안화를 대상으로 위조지폐를 제작하였다. 북한의 위조지폐는 매우 정교하여 전문가들조차 식별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북한정권은 대한민국 대통령을 살해하기 위해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까지 폭탄 테러를 저질렀다. 또한 북한정권에 장애가 된다고 생각하면 김정은의 이복형조차도 암살하는 등 대상을 불문하고 암살테러를 자행하고 있다. 북한의 국가차원의 범죄행위 중 오히려 최근에 증가하고 있는 것은 사이버범죄와 마약밀매이다. 북한은 해킹, 사이버테러, 사이버금전탈취 등을 통해 연간 10억달러의 사이버 외화벌이를 하고 있다. 특히, 북한은 자국에서 제약회사를 통해 마약을 생산하여 외교관 등 다양한 유통경로를 통해 밀매하고 있고 그 중 일부는 국내로 유입되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 국가보위성 등 북한의 대남공작기관이 개입되어 있다는 사실을 마약사건(판례) 등을 통해 확인하였다. Due to the economic hardship, North Korea has been conducting illegal activities directly in the state as a means of earning foreign currency, mainly starting in the 1970s. The types of illegal activities in North Korea include arms trafficking, counterfeit bills, cyber attacks, factor assassination, and drug trafficking. North Korea s arms trafficking mainly targeted countries in the Middle East and Africa, and counterfeit bills were produced mainly for dollars and renminbi after purchasing printing machines and ink from advanced countries such as Switzerland. Counterfeit money in North Korea is known to be very sophisticated and difficult to identify even by experts. The North Korean regime committed bombings both domestically and abroad to murder the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addition, if he thinks it is an obstacle to the North Korean regime, he is committing assassination terrorism regardless of target, such as assassination of even Kim Jong-un s half-brother. Among the crimes at the national level in North Korea, cybercrime and drug trafficking are increasing in recent years. North Korea earns $1 billion in cyber foreign currency annually through hacking, cyber terrorism, and cyber money theft. In particular, North Korea is producing drugs through pharmaceutical companies in its own country and is trafficking them through various distribution channels such as diplomats, and some of them are being introduced into the country, and North Korea s government agencies such as the National Security Agency are involved in this process. The facts were confirmed through drug cases (judicial precedents).

      • KCI등재

        ‘만주국’의 아편마약 밀매정책과 재만 한인

        박강 한중인문학회 2006 한중인문학연구 Vol.19 No.-

        만주국 수립 이전부터 만주지역의 주요 도시에는 아편마약의 밀거래와 아편 연관업에 종사하는 한인들이 있었다. 이들 한인들은 외국인으로서 일본, 러시아인과 함께 아편마약 밀매로 주목을 받았다. 재만 한인의 아편마약업 종사는 이중국적에 따른 불안정한 법적지위와 생계유지문제, 그리고 일본 영사관의 암묵적인 묵시 내지 지지와 관련이 깊었다. 전체 만주거주 한인의 수와 비교해 보면 수적으로는 소수이지만 그들의 활동이 일본의 주구로 비춰져 만주지역의 중국인과 중국당국의 비난을 감수해야 했다.만주국 수립 이전 일본정부의 암묵적인 묵인과 지지 하에 아편과 마약밀매 등에 종사했던 재만 한인들은 만주국 수립 이후 어떤 상황에 처하게 되었을까? 즉 만주국의 건국으로 일본의 한인에 대한 태도나 인식이 그 전과 다른 상황에서 재만 한인 아편마약 밀매업자들에게 어떤 변화가 일어났을까?만주국 수립 전후 만주의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아편마약업에 종사했던 한인들은 만주국 아편전매제도의 확립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이용되었다가 배제되는 운명을 겪었다. 일본의 만주침략 과정에서 만주침략의 도구로 이용되었던 아편마약 밀매업 종사 한인들은 만주국 수립 이후 전매아편의 조속한 확립과 밀매의 단속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필요에 의해 다시 이용되었다. 그러나 중일전쟁 발발 이후 완전한 전매제 시행에 따라 아편업에 종사한 한인들은 다시 배제될 수밖에 없었다. 결국 일본의 만주침략 과정에서 한인들이 침략의 도구로 이용되었듯이 만주국의 아편전매 과정에서도 역시 비슷한 전철을 겪었다고 하겠다. Manchuguo's dealing with illict sale of drug and the Koreans in Manchuria Since former times before establishment of Manchukuo there were the Koreans engaged in illicit drug trafficking and management of opium den in the main cities of Manchuria. These Koreans as foreigner were recognized as illicit drug trafficking with Japanes and Russians. Before establishment of manchukuo the Korean residents were engaged in illicit sale of opium and narcotics with the convivance of Japanese government. After establishment of Manchukuo. After establishment of Manchuguo what condition were they placed in?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opium monopoly the Koreans engaged in illicite sale of drug in the main cities of Manchuia were utilized temporary. Soon they were faced with being excluded. Japan used them as the tools of invasion in china. And after establishment of Manchuguo for the purpose of easy keeping opium monopoly on stalilty japan used them again. But occurring the Sino-Japanese War(1937-45), carrying out whole opium monopoly, the Koreans engaged in sale of opium completely were excluded. Finally as they were used as the tools of invasion, the Koreans took the same neckless course in the process of opium monopoly in manchuria.

      • KCI등재

        북한 이탈주민의 마약 중독 경험연구

        이근무,유숙경 한국중독범죄학회 2021 한국중독범죄학회보 Vol.11 No.4

        본 연구는 북한 이탈주민 중 남성 8명의 마약 사용과 중독, 밀매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이 다. 연구자들은 연구참여자의 마약 사용과 밀매의 원인 그리고 맥락과 결과를 분석하고자 자 료는 1대1 심층 면담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자들은 Yin(2018)이 제시한 다중사례 다중 분석 단위로 접근하였다. 연구자들은 자료에서 96개 개념 요약과 20개의 주제를 구성하여, 이를 원인과 맥락 결과라는 분석 단위로 재배열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원인은 심리적 위안의 도피처, 쾌락 욕구의 상승이라는 주제가 나타났다. 맥락은 정치·사회적 맥락, 의 료·환경적 맥락, 개인·가족적 맥락으로 구분하였다. 첫째, 정치·사회적 맥락으로는 사회 적 윤리 토대의 붕괴, 극한의 생존 위협, 도덕적 권위가 실추된 국가, 신분 상승의 수단, 황금 만능주의 풍조, 무산자의 사회적 자산, 부패의 고리, 사회적 경각심의 부재로 나타났다. 둘 째, 의료·환경적 맥락으로 대체의약품, 마약의 대중화, 치료 없는 엄벌주의 정책, 높은 의료 서비스 장벽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가족적 맥락은 마약 사용의 세대 이전, 자기 소비를 취한 판매, 절망의 내면화로 나타났다. 결과는 벼랑 끝으로 내몰림, 삶의 기반 붕괴로 나타났 다. 의료시스템의 접근성이 현저하게 저하된 북한에서 마약에 중독된 북한 이탈주민들을 처 벌보다는 치료적 접근과 약물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과학적인 지식의 전달이 필요하다. 연구 자들은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논의하였으며, 또한 북한 이탈주민들의 마약 중독에서의 회복 을 도울 수 있는 실천적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on drug use, addiction, and dealing experience in eight North Korean defectors. Researchers analyzed participants’ reasons for drug use and dealing, contexts, and results. Data were structured by an in-depth one on one interview. Researchers approached in the multiple units of analysis multi-case design proposed by Yin(2018). 96 summarized concepts and 20 subjects were derived from data and rearranged to the analysis unit of causes and context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causes included a shelter of psychological comfort and a rise in pleasure desire. The contexts were classified into a political and social context, a medical and environmental context, and an individual and family context. First, a political and social context included the collapse of ethical foundation in society, a deadly threat of life, a state where moral authority is lost, means to a rise in status, mammonism, proletarian’s social property, corruption chain, and the lack of social alert. Second, a medical and environmental context included alternative medicines, popularization of drug, punitiveness policy without treatment, and high barrier to health care. Third, an individual and family context included generation transfer of drug use, sales taking self-consumption, and internalized desperation. The results were being driven to the edge of a precipice and a collapse of life foundation.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perceive therapeutic approach and medication and provide scientific knowledge rather than punish for North Korean defectors who got addicted to drug in North Korea with remarkably low medical system. Researchers discussed based on study results and made practical suggestions to help North Korean defectors’ recovery of drug addi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