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구중심주의 비판을 위한 대안적 방법론 모색

        방인혁(In-Hyuk Bang)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마르크스주의 연구) 2011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8 No.3

        본 논문은 서구중심주의 극복을 위한 대안적 담론전략으로서 탈식민주의의 가능성과 한계를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마르크스주의에 서구중심주의적 편향성이 내재할 수밖에 없다는 탈식민주의적 주장은 과도한 일반화의 오류를 범하고 있기 때문이다. 탈식민주의가 근거하는 탈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의 인식론적 상대주의는 진정한 탈식민의 방향성을 제시하지 못하며, 특히 해방된 피식민 지역의 경제적 자립이라는 중요한 당면 과제의 해결에 무능하다. 따라서 서구중심주의 극복을 위한 대안적 방법론 구축을 목적으로 하는 본 논문에서는 식민지문제와 동양사회에 관한 마르크스의 원래의 의도를 기준으로, 탈식민주의 등 다양한 입장에서 제기되는 마르크스주의의 서구중심주의적 경향성을 반성적으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즉 마르크스주의 전통 속에서 많은 형태의 경제결정론적 오류나 진화론적 편향들이 존재했음을 반성하고, 구조와 실천의 변증법적 긴장에 기초한 마르크스 사상으로 돌아감으로써 자본의 이데올로기적 장치인 서구중심주에 대한 비판과 극복의 해답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review the potential and limitation of postcolonialism as an alternative discursive strategy for overcoming eurocentrism from a Marxist perspective. The starting point is to acknowledge that the postcolonial assert that eurocentrism is inherent in Marxism commit a fault of excessive generalization. The epistemological relativism of the poststructuralism and postmodernism which the postcolonialism is based on fails in making a correct direction of the postcoloniality. Especially, it is incompetent at settling the task of economical independence that is the most important within the emancipated ex-colonial nations. Thus, this paper tries to re-examine the Eurocentric tendencies of Marxism found in Marx’s original interpretation on the colony and orient societies by postcolonialists. As a result, the paper asserts that it is important to reflect that Marxism has been infected with economic determinism and various evolutionary propensities and to seek for the solution that can criticize and overcome eurocentrism which is nothing more than an ideological apparatus of capital by returning Marx’s ideas based on the dialectic tension between structure and practice.

      • KCI등재

        새로운 마르크스읽기, 오래된 마르크스읽기 『생각하는 마르크스』 서평

        김덕민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8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15 No.1

        This article is a critical reading of Professor Baek Seung-wook’s new book, How Marx? It attempts to generalize Marxian theory to the theory of sociality, suggesting a new interpretation of the former. However, compared to Jacques Bidet’s “Theory of Modernity”, we can find that the Pr. Baek’s new reading contains some deficiencies. There seem to be some problems in the design and organization of concepts. Nevertheless, it should be evaluated as a new attempt to read Marx. 중앙대 백승욱 교수의 『생각하는 마르크스』는 마르크스의 저작들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 마르크스 이론의 사회성 이론과의 통합을 시도한다. 이러한 시도는 완전히새로운 것은 아닌데, 프랑스의 에티엔 발리바르나 자크 비데와 같은 철학자들, 그리고 한국의 윤소영 교수에 의해 소개되고 시도된 바 있다. 이 논문에서는 주로 자크비데의 ‘현대성 이론’과의 비교를 통해 『생각하는 마르크스』의 시도가 갖는 의의와결함을 짚어보았다. 『생각하는 마르크스』가 던지고 있는 마르크스 이론의 사회이론의 일반화 작업은 경제적 구조와 이데올로기적 구조의 결합을 시도하지만, 여전히여러 한계를 노출하고 있으며, 오히려 이런 시도를 통해 마르크스 이론의 자본주의생산양식 분석과 계급이론으로서의 지위를 탈각시키는 효과가 존재한다. 그럼에도불구하고 이러한 새로운 시도는 마르크스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기에 충분한 것으로 보인다.

      • KCI우수등재

        마르크스 사상에서 ‘생산’과 ‘정치’ 개념

        박주원(Joowon Park) 한국정치학회 2001 한국정치학회보 Vol.35 No.3

        이 글은 마르크스의 사상을 정치경제학 이론으로 해석해 오던 기존 논의와 달리 서양정치사상의 흐름 속에서 하나의 정치사상으로 바라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마르크스 사상에서 나타나는 ‘생산’과 ‘정치’ 개념을 근대 자유주의 노동관과 정치관에 대한 마르크스의 비판적 언급 속에서 검토함으로써, 마르크스의 사상이 ‘경제주의적 패러다임’일뿐 규범적 ‘정치이론’이 부재하다는 아렌트와 하버마스의 비판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고 이에 반론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마르크스는 ‘노동’만이 가치를 창출한다고 보았던 자유주의 정치경제학자들과 달리, 자본주의 사회에서 하나의 대상적 행위로 왜곡되고 축소된 ‘노동(Arbeit)’활동을 ‘소외된 노동’이라는 부정적 의미로서 비판의 대상으로 삼고 있었으며, 비록 그 자신이 명시적으로 개념화하지는 않았지만 새로운 사회에서의 인간의 활동을 인간의 ‘자기행위(Selbstta tigkeit)’, ‘실천적 행위’, ‘생산 그 자체를 위한 생산’ 개념으로 표현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마르크스 사상에서 인간의 근본적 활동은 그 사회의 새로운 교류와 가치를 산출해내는 사회적 생산활동과 자기행위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그에게서 ‘정치’란 개인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고안된 외적 권력(Gewalt)이나 통제술이 아니라 자연스런 ‘인간들 간의 교류의 힘(Macht)’으로 제안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인식에 근거해서 마르크스는 진정한 정치를 ‘politics’나 ‘state’라는 개념 대신에 ‘Kommune’ 혹은 ‘Gemeinwesen’으로 제시했던 것이다. 그러므로 마르크스의 정치관은 그것을 도구적인 것으로 비판했던 아렌트와 하버마스의 평가와는 달리, 근대에 와서 분리되어 버린 ‘정치’와 ‘윤리’의 문제를 인간들 스스로의 교류행위 속에서 결합시키려는 하나의 ‘비판적 정치사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criticizes H. Arendt and Habermas's criticisms of Marx's thought since they argued that Marx's political thought could not be established. However, they did not fully analyze Marx's thought. They simply argued that, in Marx's thought, the very notion of 'production' is an anti-thesis of 'political praxis' which constitutes the political. Also, they did not differentiate Marx's critique of Liberalism and the picture of new politics as suggested. One of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criticize their arguments that Marx's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is only an economism, which neglects normative political theory. To prove this argument, this study tries to reveal the relation of 'production' and 'politics' in Marx's texts as a whole. Against Habermas' arguments that the base of justification of politics only could be drawn through independent communications of labor, production and praxis, differentiation of 'system' and 'life world', this thesis tries to mark the mode of Marx's political theory in his efforts to make a relation between 'production' and 'politics'. Moreover, this study tries to reveal what are the basement and concrete principle of Marx's view of righteous politics. Through this study, I conclude that Marx's idea of 'politics' means not the artificially manufactured things or realized power by means of protection for individual interests, but the realization of justified socialness between human beings. The characteristic feature of his political thought is that he defined politics not as an alien power or skills to rule human beings, but as the process of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human beings, the subject of political order. Through this definition, he remade politics as a matter of human beings. He recovered human reason and activity since it had been left as an object of society and politics in modern Liberalism.

      • KCI등재후보

        마르크스와 케인스의 화폐론과 금융위기

        구춘권(Choon-Kweon Koo)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마르크스주의 연구) 2009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6 No.4

        이 논문은 “도덕적 해이”나 국가 또는 시장의 실패라는 설명방식을 넘어 최근의 금융위기를 조명할 수 있는 대안적 시각과 분석틀을 발전시키려는 시도이다. 이 논문이 주목하며 재구성하려는 시각은 마르크스와 케인스의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고 있다. 마르크스와 케인스는 자본주의적 발전이 본질적으로 위기와 불안정을 내포하고 있다는 사실을 강조한 데서, 그리고 또한 자본주의가 이러한 위기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선택을 통해 새롭게 변화하며 적응하고 전환할 수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는 점에서 일정한 유사성이 있다. 특히 마르크스와 케인스의 독창적인 화폐론은 그들의 가장 중요한 이론적 공헌이라 할 수 있다. 마르크스는 화폐적 축적이 실물경제로부터 자립화할 수 있는 가능성에 주목한 최초의 정치경제학자이다. 케인스는 마르크스주의적 전통과는 구별되는 경제학적 범주들을 사용했지만, 화폐적ㆍ금융적 불안정이야말로 현대 자본주의의 근본적인 문제임을 지적했다. 본 논문은 마르크스와 케인스의 화폐론을 현재적 관점에서 재구성함으로써 작금의 금융위기를 조명할 수 있는 대안적 시각을 모색할 것이다. This article attempts to develop an alternative perspective and theoretical framework on the recent financial crisis beyond the explanations such as “moral hazard” and failure of states or markets. For this purpose, the article reinterprets Marx and Keynes’s theory of money. As is wellknown, there is a certain similarity in Marx and Keynes’s economic and political thought. Marx and Keynes both emphasize the inherent instability and crisis of capitalist development. However, they also recognized that capitalism can be changed through political choices. Especially, Marx and Keynes’s theory of money was the most important theoretical contribution to the political economy. Marx was the first theorist who observed the possibility of the monetarization of economy. Keynes saw the monetary and financial instability as the fundamental problem of modern capitalism. This paper reconstructs Marx and Keynes’s theory of money and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an alternative theoretical perspective on the financial crisis.

      • KCI등재

        상이한 마르크스주의 노선에 기반하는 브레히트와 뮐러의 문학 비교분석

        최은녕 ( Choi Eun Nyoung ) 한국독어독문학회 2021 獨逸文學 Vol.62 No.4

        마르크스는 본질적으로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통한 인간해방을 궁극적 목표로 삼고, 평생동안 이것의 실현을 위한 사회주의 이론의 집필과 연구에 전념한다. 20세기 초반의 보수적 경향의 마르크스주의자들은 마르크스의 사상을 정치적 관점으로 해석하고, 동유럽과 아시아 등에서 공산주의 혁명에 근거한 인간해방을 시도한다. 20세기 중반의 급진적 경향의 네오마르크스주의자들은 서구의 자본주의와 동구의 공산주의에서 보이는 비인간화 현상을 비판하고, 순수하게 인간중심적 휴머니즘의 관점으로 재해석된 네오마르 크스주의에 입각한 인간해방을 주장한다. 베르톨트 브레히트와 하이너 뮐러는 마르크스주의 이념에서 출발했다는 점에서는 서로 교차하는 공통점을 가지지만, 동일한 사상을 매우 상이하게 해석하는 문학작품을 썼다는 점에서는 서로 좁혀질 수 없는 간극을 분명히 드러낸다. 브레히트는 평생 전통적인 주류 마르크스주의의 노선에 충실하면서도 유연한 마르크스주의자로서 헤겔의 변증법적 사고와 생소화의 관점을 사용하여 자유로운 사고를 실험한다. 반면에 뮐러는 평생 네오마르크스주의자로서 서구의 아방가르드적인 신좌파 세력과의 연계하에 동독 공산주의의 파시즘적 야만성을 폭로하는 급진적 사회주의 문학에 종사하면서도, 동독에 마르크스가 꿈꾸던 사회주의 이상향이 꼭 도래하기를 바라는 소망을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다. Karl Marx zielte wesentlich auf die Befreiung des Menschen durch die proletarische Revolution als Endziel und konzentrierte sich lebenslang darauf, die für dessen Verwirklichung notwendigen sozialistischen Theorien zu entwickeln und zu formulieren. Die Anhänger des klassischen Marxismus des frühen 20. Jahrhunderts verstanden die Ideen von Marx politisch und kämpften für die Emanzipation der Menschen mit Blick auf die kommunistischen Revolutionen in Osteuropa und Asien. Die radikalen Anhänger des Neomarxismus in der Mitte des 20. Jahrhunderts übten Kritik an den Phänomenen der Entmenschlichung, die sowohl in der westlichen kapitalistischen Welt als auch in der östlichen kommunistischen Welt in Erscheinung getreten waren. Und sie forderten die menschliche Emanzipation auf der gedanklichen Grundlage des Neomarxismus, der Marx aus der Perspektive des rein anthropozentrischen Humanismus interpretiert. Bertolt Brecht und Heiner Müller haben ihren Berührungspunkt mit deren Vorstellungen darin, dass beide ebenfalls von der Lehre des Marxismus ausgehen. Aber es zeigt sich eine unüberbrückbare Kluft zwischen beiden darin, dass sie literarische Werke verfassen, in denen derselbe Marxismus aus unterschiedlicher Perspektive interpretiert wird. Brecht bleibt dem klassischen Marxismus zwar immer treu, aber er experimentiert als flexibler Marxist frei unter Zuhilfenahme der Technik der Verfremdung und auf Grundlage der hegelschen Dialektik. Müller geht seinerseits als Neomarxist von der radikalsozialistischen Literatur aus, die die faschistische Barbarei des Kommunismus der DDR in Verbindung mit den neuen Linken des Westens entlarvt. Trotzdem gibt auch er die Hoffnung nicht auf, dass die von Marx gewünschte sozialistische Utopie dereinst in der DDR verwirklicht sein wird.

      • KCI등재

        구해근의 ‘모색’과 마르크스주의 계급론의 과제

        조돈문(Cho Don-Moon) 비판사회학회 2008 경제와 사회 Vol.- No.77

        이 글은 구해근의 국내 계급연구에 대한 문제 제기를 검토하며 마르크스주의 계급론의 과제를 짚어본다. 구해근은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국내 계급연구가 활발하게 전개되지 않은 원인을 마르크스주의 계급론 분석틀의 부적절성에서 찾고 있다. 구해근이 제안한 계급내적 분절화와 재구성 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에 공감하되, 구해근이 제시하는 대안적 모델에 대해서는 대안적 모델의 차별성과 대안적 모델의 설명력 우위를 보여주지 못했다는 점에서 동의하기 쉽지 않다. 노동계급 계급형성의 부침에 따라 마르크스주의 계급론의 설명력이 부침하기 때문에, 외환위기 이후 노동계급 계급형성 후퇴에 따른 계급론 설명력 약화는 자연스런 현상이다. 하지만 외환위기 이후 경제사회적 불평등이 심화되고 노동자들의 노동조건과 삶의 질이 악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노동계급 계급형성이 후퇴한 것은 물질적 조건과 노동자 경험을 중시하는 마르크스주의 계급론을 반증하는 역설적 현상으로 보인다. 이러한 역설적 현상에 대해 ‘연구 프로그램’으로서 마르크스주의 계급론이 우선적으로 수행해야 할 과제는 계급형성의 부침을 설명하며 역설적 현상의 원인과 인과적 메커니즘들을 규명하는 것이다. 다만, 사회세계는 ‘개방체계’라는 점을 고려하여, 어떤 카운터메커니즘이 어떻게 개입하여 마르크스주의 계급론이 주장하는 물질적 조건과 노동자 경험이라는 메커니즘의 작동을 억압ㆍ왜곡하는지를 밝혀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task of Marxist class theory by going through the questions brought up by Hagen Koo about class analysis in Korea. Hagen Koo refers to the inappropriate analytical framework of Marxist class theory as the reason why class analysis has not been so fruitful since the 1997 financial crisis. Although I agree with Koo on the need of research on fragmentation and regrouping within each class, it is not easy to agree on the alternative model which he presents. I think he still has to prove the superiority of his alternative model in explanatory power. Since the explanatory power of Marxist class theory fluctuates according to the rise and fall of working class formation, it is natural that the explanatory power of class theory has weakened due to the regression of working class formation after the financial crisis. However, the regression of working class formation in spite of intensified economic-social inequality and deteriorated working conditions and quality of life for workers seems to be a paradoxical phenomenon for the Marxist class theory which emphasizes workers' material conditions and experience. The foremost task for Marxist class theory as a 'research program' is to identify the causes and causal mechanisms of this paradoxical phenomenon by explaining the rise and fall of working class formation. Taking the 'open system' of the social world into consideration, however, we must clear out which counter-mechanisms take part and how they suppress or distort the operation of such causal mechanisms as material conditions and worker experience that Marxist class theory emphasizes.

      • KCI등재

        마르크스주의 국제레짐 이론에 관한 연구

        최위정(Choi, Wi Jeong)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4 사회과학연구 Vol.21 No.3

        국본 연구에서는 마르크스주의적 인식론과 방법론에 기하여 기존 국제관계 이론의 전개양상을 검토함과 동시에 그에 내재하는 근원적 한계를 발견하고, 그 지점으로부터 국제관계 이론의 새로운 관점으로서의 이른바 ‘비판이론’을 제시한 로버트 콕스(Robert Cox)의 논의를 중심으로 마르크스주의 국제레짐 이론의 정립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한다. 콕스는 기존 국제관계학의 연구 경향들을 체계적으로 검토한 후, 특히 현실주의와 마르크스주의라는 양대 관점(혹은, 사회과학적 의미의 패러다임)하의 이론들을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그는 역사성의 유무라는 척도를 활용하여 각각의 사조에 내재하는 분파적 양상들을 포착한 후, 그로부터 마르크스주의 국제관계 이론으로서의 ‘비판이론’을 전개함으로써 스테판 길(Stephen Gill), 데이비드 로(David Law) 등과 함께 네오그람시주의 국제관계이론을 구축(構築)한다. 제1장 서론에서는 마르크스주의 국제레짐 이론의 의의를 제시한다. 제2장,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좌표와 국제관계에서는 문제해결이론과 비판이론의 구별을 통해 네오그람시주의 이론의 목적을 설정함과 동시에 사적유물론으로부터 확인되는 네오그람시주의 이론의 좌표를 확인한다. 제3장,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개념과 국제레짐에서는 네오그람시주의 이론의 중심 개념으로서의 역사적 구조를 이해하고 그것의 국제관계에의 적용으로서의 헤게모니와 세계질서를 규명한다. 제4장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분석과 국제레짐에서는 기존 국제레짐 이론과의 호환가능성을 타진함으로써 네오그람시주의 이론의 정합성을 발견하고, 아울러 기존 국제레짐 이론에의 교정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네오그람시주의 이론의 강점을 부각시킨다. 마지막으로 제5장 결론에서는 마르크스주의 국제레짐 이론의 공헌을 제시한다. This essay reviews the literature in political science and specifically, in international relations on regime formation and stability. Traditionally there have been three schools of thought, each of which emphasizes a different variables to account for international regimes: interest-based neoliberalism, power-based realism, and knowledge-based cognitivism. This essay recognizes the need to add class-based Marxism. Essentially, Marxist theory stands apart from the prevailing order of the world and asks how that order came about. However there is a wide range of theoretical frameworks within Marxist theory to choose from. Within the discipline of international relations we can identify Marxist, dependency, world systems, neo-Gramscian, feminist and postmodern approaches. This essay focuses on neo-Gramscian approach to correct several deficiencies identified in the mainstream approaches. First, the neo-Gramscian approach to international regimes corrects the state-centrism of mainstream approach to international regime formation. Second, the neo-Gramscian theoretical framework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non-state actors at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 Third, the neo-Gramscian approach draws attention to the ideological dimension of international regimes. Finally, the neo-Gramscian approach corrects the mainstream account of regime transformation by adding the important dimension of political-economic struggle at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level.

      • KCI등재

        『마르크스로 돌아가다 』의 철학과 경제학

        정성진,서유석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8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15 No.4

        This article reviews the South Korean edition of Zhang Yibing’s Back to Marx (2018). Zhang notes that the book aims to realize the slogan, ‘Return to Marx’, which Chinese Marxists advocated in the 1990s. Zhang describes the transformations of the philosophical discourses latent in Marx’s economic research by applying the method of “textology”. Zhang argues that understanding the evolution of Marx’s philosophical thought, which is characterized by several leaps and breaks, presupposes the understanding of progress in Marx’s economic research. According to Zhang, the “social materialism” of Classical Economics played a crucial role in Marx’s “revolution of philosophy”. Zhang also argues that the most developed version of Marx’s philosophical thought can be found in his “historical phenomenology” of “Versachlichung”. However, when Zhang describes Marx’s philosophical thoughts culminating in “Marxist Philosophy” or “Scientific Socialism” as the “Absolute Truth”, it runs the risk of identifying Marx with Marxism. In fact, far from completing this philosophy, Marx criticized and superseded it around 1847 when he published Poverty of Philosophy. Nevertheless, Zhang’s book wonderfully demonstrates the vitality and relevance of Marx’s philosophy after the bankruptcy of Stalinist Dialectical Materialism. The publication of the Korean edition of Zhang’s book will be a crucial moment for the revival of Marx’s philosophy in South Korea, where it has been equated with Stalinism and become extinct since the latter’s demise in 1991. 이 논문은 장이빙의 <마르크스로 돌아가다: 경제학적 맥락에서 고찰한 철학 담론> 의 한국어판을 검토한다. 장이빙은 이 책의 목적이 “텍스트학의 기초 위에서 마르크스의 경제학 연구에 담겨 있는 잠재적인 철학적 담론의 전환을 묘사함으로써1990년대 중국 마르크스주의 연구가 응당 제기해야 하는 구호, 즉 마르크스로 돌아가다”를 실현하는 데 있다고 말한다. 장이빙에 따르면 마르크스의 철학 사상의 전개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마르크스의 경제학 연구의 발전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예컨대 장이빙은 마르크스의 ‘철학 혁명’에서 고전파 경제학의 ‘사회적 유물론’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고 주장한다. 장이빙은 또 ‘사물화’(물상화)의‘역사현상학’을 마르크스 철학의 핵심으로 제시한다. 하지만 장이빙이 절대 진리로서 마르크스주의 철학을 전제하고, 마르크스의 철학 사상의 전개 과정을 이를 향해계속 발전해 나아가는 진화론적 과정으로 묘사하는 것, 즉 마르크스와 마르크스주의를 동일시하는 것은 문제적이다. 장이빙의 주장과는 반대로, 마르크스는 <철학의빈곤>(1847) 이후 철학 자체를 비판하고 지양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장이빙의책은 스탈린주의 변증법적 유물론의 파산 이후에도 마르크스주의 철학이 마르크스자신의 텍스트의 재독해에 기초해 구성될 수 있음을 보였다는 점에서 획기적 의의를 갖는다. 이 책의 한국어판 출판은 소련 붕괴 후 황폐화된 한국의 마르크스주의철학에 재흥의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마르크스주의와 사회주의 인식 양상 -?광장?, 『회색인』, 『화두』를 중심으로-

        강주현 ( Joo Hyun Kang ),권성우 ( Seong Woo Kwon ) 한민족문화학회 2016 한민족문화연구 Vol.53 No.-

        이 논문은 소설가 최인훈의 대표작 ?광장?, 『회색인』, 『화두』에 나타난 마르크스주의와 사회주의에 대해 살핀다. 최인훈은 한국현대소설사를 수놓은 어느 작가보다도 이데올로기, 역사, 사상 등에 대해 깊이 있는 인식과 폭넓은 이해를 펼쳐 보인 바 있다. 특히 그는 마르크스주의와 사회주의의 장단점, 그 이상과 모순, 이론적 취지와 한계에 대해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다. 이 점은 그가 해방직후 북한사회를 직접 체험했다는 사실과 더불어 동시대의 어떤 작가보다도 이념과 사상에 대해 깊이 인식하고 고뇌한 지적인 작가라는 점과 연관된다. 최인훈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광장?, 『회색인』, 『화두』에는 마르크스주의와 사회주의, 혁명에 대한 심도 깊고 다양한 언급이 등장한다. 이 소설들에는 주인공의이념적 사색과 역사와 사회에 대한 성찰이 중요한 요소로 서술되어 있는바, 그 중에서도 마르크스주의와 사회주의에 대한 대화와 사유가 커다란 비중을 차지한다. 마르크스주의와 사회주의에 대한 최인훈의 비판과 성찰은 그 사회가 억압하거나 은폐하고자 하는 것들을 무의식적으로,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역할을 수행했다. 초기작 ?광장?에는 주인공 이명준을 통해 마르크스주의와의 만남의 풍경과 북한사회주의 현실에 대한 비판적 시선이 드러나 있다. 『회색인』은 북한시절 사회주의 체험과 함께 혁명이 변질된 사회주의사회의 문제점에 대해 묘사한다. 『화두』에서 마르크스주의와 사회주의에 대한 서술과 관심은 한층 확대된다.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다양한 단상, 소련사회주의에 대한 성찰, 스탈린주의에 대한 비판 등이 펼쳐진다. 한 사회가 억압하고 있는 이념과 사상에 대한 성찰을 통해 그 사회의 현실과 모순을 근본적으로 되돌아보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 바로 이 점이 최인훈의 소설이 지닌 미덕이자 특징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on Marxism and Socialism in the novels, <The Square>, 《A Grey Man》, and 《The Topic》 written by Choi, In-Hoon. The novelist, Choi, In-Hoon shows the profound understanding of ideology and history more than any other writers. Especially, he recognizes both merits and faults of Marxism and Socialism, and their ideal and contradictions accurately. In these three novels, there are many statements about Marxism, Socialism, and revolution, and the thoughts on Marxism and Socialism are very important elements of these novels. In <The Square>, the author shows a scene where the protagonist encounters Marxism, and in another scene, he also presents the criticism on Socialism of North of Korea. In 《A Grey Man》, the author describes not only his own experience of Socialism in North of Korea, but also the problems of socialist state where the original revolutionary spirit has been deteriorated. In 《The Topic》, the author develops his thoughts and descriptions of Marxism and Socialism. A variety fragmentary thoughts on Marxism, reflections on the socialism of the Soviet Union, and criticisms on Stalinism are presented in the work. These novels examine various aspects of Ideologies which are suppressed by a society, and lead to the considerations on the reality and contradictions of the society. This featur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virtues and characteristics of Choi, In- Hoon’s nov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