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빙 페어에 있어서 전시 디자인 평가 지표 구축에 관한 연구

        남가림,최익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7

        (Background and Purpose)As consumers’ interest in the living market has increased, Living Fairs have emerged that cater to consumers who are interested in space in their lives' style. Companies participating in Living Fairs display their images through the space in an active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In addition, Living Fairs’participants introduce the current interior design and lifestyle trends to the visitors. Living Fair has a lot of input to boost the market through communication space between consumers and living brands. Starting with "Seoul Living Design Fair," which was first held in 1994, several Living Fairs are now held in various exhibition spaces such as KINTEX, COEX, and SETEC. Living Fairs are held every year in showrooms in various regions to revitalize the living market, but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how the number of visitors who come to the fair may be increased. The fair space is a representative “show design” space, a single site with thousands of booths in which exhibitions are held by many companies. In this study, an exhibition design evaluation index is created for Living Fairs, as well as the functions of the fair. The exhibition design guidelines' study has began. (Method) Since we would like to study the Living Fair and the exhibition design system applied to the space, we will start with a theoretical review of the Living Fair space and conduct a case study on the type of fair stand to which the exhibition design is applied. In this study, after conducting a data survey on the function and role, operation briefing, and guidelines of fair space, the domestic Living Fair cases are distinguished by personality and go through a process of materialization.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drawn earlier, it is found that Living Fairs provide a suitable exhibition design evaluation system for effective communication spaces. (Results) This study analyzes the marketing process and operation guidelines before, during, and after Living Fairs. Cases are selected, divided into the components of operation, marketing, and design, and analyzed, allowing the establishment of an exhibition design evaluation index. The evaluation index classifies elements that occur throughout the course of a fair. Thus, this study supports the necessity of forming an evaluation index for exhibition design in Living Fairs. (Conclusions) This study establishes exhibition design guidelines which suited to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Living Fairs. These guidelines can be used for the Living Fairs which will be held in the future.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리빙 시장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소비자들은 생활 속의 공간에 관심을 가지고 리빙 페어에 참관객으로 방문하기 시작하였다. 리빙 페어에 참여한 기업들은 소비자와 적극적으로 소통하기 위해 기업의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뿐만 아니라 당해의 인테리어 디자인 트렌드를 소개하고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다. 공간에 참여한 ‘리빙 브랜드’와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져 리빙 시장의 활성화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1994년 처음 개최된 ‘서울 리빙 디자인페어’를 시작으로 킨텍스, 코엑스, 세텍 등의 다양한 박람회 공간에서 여러 리빙 페어가 개최되고 있다. 리빙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국내에서 매년 다양한 지역의 전시장에서 리빙 페어가 열리고 있지만, 페어 공간 내에 참가 업체의 참가율과 참관객들의 방문율을 높이기 위한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가 많지 않다. 페어 공간은 많은 기업들이 전시를 개최하여 하나의 현장에서 수천 개의 부스가 들어서므로 가장 대표적인 ‘전시 디자인’의 공간이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 리빙 페어에 있어 전시 디자인 평가 지표 구축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에 따라 리빙 페어의 기능/역할 등 배경, 취지에 적합한 전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설정해보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방법) 리빙 페어와 그 공간에 적용된 전시 디자인 체계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므로 리빙 페어 공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시작으로 전시 디자인이 적용된 페어 스탠드 유형에 관해 사례 조사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페어 공간의 기능 및 역할, 운영 브리핑, 가이드라인에 대한 자료 조사를 한 후, 국내의 리빙 페어 사례들을 성격 별로 구분하고 유형화 과정을 거친다. 앞서 도출했던 이론적 고찰들을 토대로 리빙 페어가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이 되는 적합한 전시 디자인 전시 디자인 평가 체계를 도출한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는 리빙 페어 전·중·후 과정 중에 페어 마케팅 프로세스 및 운영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분석의 방향을 수립하였다. 앞선 이론적 고찰을 통해 사례를 선정하여 운영, 마케팅, 디자인의 구성요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통해 전시 디자인 평가 지표를 구축하였다. 평가 지표는 페어의 모든 과정 속에서 일어나는 요소들을 분류하여 구성된다. 그리하여 리빙 페어에 있어서 전시 디자인의 평가 지표를 형성하는 것에 필요성을 증명한다. (결론) 이는 리빙 페어의 배경과 취지에 맞는 전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설정하여 추후에 개최될 리빙 페어들에 재참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 KCI등재

        리빙디자인페어 전시의 미래 주거 디자인 연구 - 케빈 켈리의 미래 이론을 바탕으로 -

        이희진,윤재은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4

        (연구배경 및 목적) 팬데믹 이후 일과 여가, 외부와 내부, 프라이빗함과 공유 등 다기능의 레이어드 홈 역할이 중요해졌다. 이제는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 현실을 확장해 가상 세계와 결합하는 시대가 왔다. 이에 물리적 환경과 가상 환경이 통합되는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는 주거 공간이 필요하다. 주거 디자인은 새로운 시대의 흐름을 따라 디자인 적용 개념의 변화와 다양한 공간 구현 방법에 의해 주거에 대한 의미를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작품에서는 기술적 발전으로 물리적 환경과 가상 환경이 통합되는 미래 주거의 개념을 제시하기 위한 미래 주거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매년 전국 1만여 명의 리빙라이프스타일 관련 종사자가 직접 참관하고 있는 리빙디자인페어의 디자이너 초이스 코너 전시 부스로 선정한다. 코엑스 전시 컨벤션 3층 홀 C 구역으로 선정하며. 작품 대상의 공간적 범위는 9m X 9m X 3m로 한정한다. 작품 연구 방법은 미래 주거에 관한 이론적 고찰로 미래학자 케빈 켈리의 이론을 분석하고, 미래 주거와 관련된 가상 주거, 전시관의 사례 분석을 진행한다. 미래 주거에 대한 개념을 풀기 위한 홍보전시관의 프로세스 단계로써, 콘텐츠 구성 개요, 영상 시나리오, 집기 및 스타일링 구성 및 부스 디자인 제작 과정을 진행하며 미래 주거 체험관의 개념과 설계 방향성, 기대효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결과) 물리적 공간과 가상의 공간은 더 이상 우리에게 다르게 인식되지 않는다. 공간의 용도, 기능의 경계는 사라졌다. 동시에 집은 우리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며 다양한 용도 및 형태를 수용할 수 있게 해준다. 집을 영상으로 투영하는 하나의 제품으로 재해석하여“집은 주거를 위한 제품”이라는 시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관람객들의 능동적인 전시 관람을 위해 집안의 다섯 가지 라이프스타일 테마를 화이트 큐브 방 안의 벽면에 영상으로 투사하여 누구나 공감할 수 있게 하였으며, 테마가 바뀔 때마다 스토리에 걸맞은 향기, 조명, 음악과 영상이 함께 어우러지며, 몰입도를 강화하였다. (결론) 집을 영상으로 재생하는 아트월로 재해석하여 화이트 공간을 미래 주거의 감성적 가치의 특성을 표현하기 위해 맞춤형 영상 디자인으로 구현함으로써 관람객들의 미래 주거에 대한 메시지 전달력을 증가시켰다. 이는 미래 주거의 IOT 기기를 활용한 감성적 표현을 간략하게 체험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집은 주거를 위한 제품으로 해석하여 다양한 용도 및 형태를 수용할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주거의 특성을 표현하기 위한 공간 연출을 스토리텔링을 통해 관람객의 공감과 소통을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기술적 발전과 디자인적 창의성이 결합되어 영상으로 새로운 미래 주거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지침으로써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작품은 물리적 환경과 가상 환경이 통합되는 미래 주거 공간을 위한 자료로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 국내 공간디자인 관련 전시회의 주제 분석을 통한 디자인 트렌드 변화 연구

        이수민(Lee, Soo-Min),김은빈(Kim, Eun-Bin),박수연(Park, Soo-Yeon),김영주(Kim, Young-Joo)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3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patial design tre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hemes and the contents of the major spatial design exhibition in Korea - Kyung Hyang Housing Fair and Seoul Living Design Fair- based on the periodical issues in political, economic,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from 1986 to 2013. Content analysis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Periodical information about each exhibition was collected through the online search and supplementary materials such as guidebook were added for content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Since t980s, there was an increased need and interest for housing and interior design and the 1st Kyung Hyang Housing Fair was opened in 1986. In 1990s, design quality improvement was emphasized based on the issues of IMF and shoddy and fault construction such as collapse of Sam Poong department store. Due to the broad dissemination of internet, globalization, and emergence of diverse household type, demand for housing and interior design was diversified after 2000s. Additionally, the global concepts associated with sustainability, energy saving, and green growth were influenced to spatial design field. Lately, interaction design is rapidly developing due to proliferation of SNS and smart mobile equipment. Meanwhile, there is a continuing trend for emotional design in recent years.

      • KCI등재

        서울리빙디자인페어에 나타난 생활공간디자인 변화 경향 분석 -1994∼2018년간 데이터를 중심으로-

        박현옥,이종숙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18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6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ends of interior design through the contents and themes of Seoul Living Design Fair from 1994 to 2018. The method of research is analysis of contents based on the review of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trends and the articles of Living Design Fai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rends concept shown in the previous research are the high-tech designs and the modern trends in 1990's, the sustainable design considering the ecological environment in 2000's and the return to traditional & minimal trend in 2010's. Second, the trends of the Living Design Fair in five stages are the introduction period, the settlement period, the reflection period and the prosperity period, and now the new communication period. Finally, It is diversified into modern-natural in the introduction period, hybrid, natural, traditional and eco-zen in the settling period, and it has appeared evenly from the reflection period. In the prosperity period and communication period, the participation of the public is widening, and it can be seen that digilog-self design tendency to perform their own space is prominent.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living space design will show a variety of products that support a design that reflects their individual needs, and furniture and convertible tools that can easily bring about space changes like simple recip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