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빙랩을 활용한 공공연구개발의 사업화 모델 도출

        송위진(Wichin Song),정서화(Seohwa Jeong),한규영(Kyu-young Han),성지은(Jieun Seong),김종선(Jongseon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기술혁신학회지 Vol.20 No.2

        이 글에서는 공공연구개발사업의 기술사업화 모델로 리빙랩 방식을 제안한다. 리빙랩은 최종 사용자가 살고 있는 공간을 실험실로 설정해서 최종 사용자와 기업, 연구기관, 공공기관이 공동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실험・실증하는 모델이다. 기업에 초점을 맞추는 기존 사업화 모델과 달리 리빙랩 모델은 최종 사용자를 중심으로 사업화를 논의한다. 리빙랩 일반 모델을 바탕으로 3가지 유형의 기술사업화 모델을 제시한다. 프로젝트형 리빙랩인 수요탐색형 리빙랩 및 문제해결형 리빙랩, 그리고 리빙랩 플랫폼을 다루었는데 프로젝트형 리빙랩은 연구개발과제를 추진할 때 모듈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리빙랩 플랫폼은 수요지향적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기관, 기업, 지자체에게 리빙랩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부구조이다. This article suggests Living Lab approach as a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model of public research a nd development (R&D) projects. Living Lab is a m odel for end-users, p rivate companies, research institutes, and public organizations to develop technology in a living space which works as a laboratory. Unlike the dominant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model which focuses on private enterprises, a new living lab model discusses end-user centered commercialization. Based on general living lab model, three type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model are suggested. The ‘Demand exploring type living lab’ and the ‘Problem solving type living lab’ are project-based living lab. The other type of living lab is ‘Living lab platform’. The projectbased living lab can be utilized as modules when promoting R&D projects. On the other hand, the living lab platform is infrastructure to provide living labs services to companies, public institutes and municipalities.

      • 지역혁신 활성화를 위한 리빙랩 활용방안

        배영임,신혜리 경기연구원 2019 정책연구 Vol.- No.-

        리빙랩은 ‘지역사회 커뮤니티에서 공공·민간·시민이 협력하여 일상생활의 문제를 해결하는 사용자 참여형 개방형 혁신 플랫폼’으로 사회문제에 대한 과학기술의 선제적 대응과 사회적 역할 강화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중앙정부를 비롯한 각 시도별 지자체들은 지역주민들이 혁신의 주체로서 사회이슈를 직접 발굴하고 적극적인 참여와 기술개발을 통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리빙랩 프로젝트에 주목하여 다양한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리빙랩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지금까지 진행되었거나 진행되고 있는 국내외의 리빙랩 프로젝트에 대한 현황과 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경기도민을 대상으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이슈와 문제점, 과학기술 기반 솔루션에 대해 심층 조사하여 지역별 사회적 이슈와 문제점을 도출하고 기술기반 리빙랩 프로젝트의 추진방향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경기도 지역혁신을 위한 리빙랩 생태계 구축’을 추진전략으로 5개의 추진과제를 도출했다. 첫째, 경기도 시군 리빙랩을 연계 협력하는 컨트롤타워 ‘경기도 리빙랩네트워크(GNoLL)’의 구축이 필요하고, 둘째, 지역별 시급한 현안을 반영한 경기도 지원 ‘10대 리빙랩 프로젝트’를 선정해야 한다. 셋째, 경기도와 지자체, 민간전문가, 시민대표가 참여하는 ‘경기도 민관협력 리빙랩 협의체’를 구성하고, 넷째, 상시적 리빙랩 아이디어 도출과 네트워크 활동을 위한 온라인 ‘개방형 리빙랩 플랫폼’의 구축, 마지막으로 ‘(가칭)경기도 리빙랩 지원센터’의 설립과 리빙랩 전문인력을 육성하여 경기도 리빙랩 프로젝트의 체계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social issues and problems to be solved through the Living Lab by region of Gyeonggi-Do and to present a direction for the promotion of the technology-based Living Lab project. The importance of Living Lab to solve social problems in science and technology is growing.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literature related to Living Lab and examined the cases of domestic and overseas Living Lab projects. In addition, It presented regional issues and conducted a survey to promote the Living Lab project. The results showed that citizens need to participate in Living Lab as the main players of innovation, and that it is necessary to solve local problems based on science and technology.

      • KCI등재

        리빙랩 프로젝트 성과분석을 통한 지역사회 리빙랩 전략방향 연구: 경남지역 리빙랩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김주현,강영은 한국지리학회 2022 한국지리학회지 Vol.11 No.4

        ‘Living Lab’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n effective means to solve urban problems and social issues, and in particular, various Living Lab projects are being carried out at the local community level. Howeve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Living Lab projects that have been promoted is relatively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the Living Lab project was analyzed through the performance analysis of 10 public-based living lab projects promoted in the Gyeongnam region, and the strategic direction of the future community-based living lab project was set through expert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mong the input-process-output-result indicators of the derived Living Lab performance index frame, the ‘Citizen Recruitment’ and ‘Appropriateness of the composition of private industry, academic and research actors’ scores were the highest. In addition, the performance index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value of the ‘process’ index was high overall, and the performance of the ‘output’and ‘outcome’ index was analyzed to be relatively low. The future direction of the community-based living lab strategy was presented in three directions: ‘institutional aspect’, ‘financial aspect’, and ‘content aspect’. Furthermore, governance and collaboration structures linked to local governments and local universities were also proposed to effectively carry out each sector. It is expected this study can be directly used when designing a structural framework for evaluation and monitoring of community-based living lab project performance and similar living lab projects in the future. 리빙랩(Living Lab)은 도시 문제와 사회 이슈 등을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지역사회 단위에서 다양한 리빙랩 프로젝트들이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추진되었던 리빙랩 프로젝트들의 성과 평가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남지역에서 추진한 공공 기반의 10개 리빙랩 프로젝트들의 성과 분석을 통해 현재 리빙랩 프로젝트 추진 실태를 분석하고,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향후 지역사회 기반 리빙랩 프로젝트의 전략 방향을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도출된 리빙랩 성과 지표틀의 투입-과정-산출-결과 지표 중 ‘시민 모집’과 ‘민산학연 주체자들의 구성’부문의 점수가 가장 높게 되었다. 또한 성과 지표 결과는 전반적으로 ‘과정’ 지표에 대한 평균값이 높은 편이었고, ‘산출’ 및 ‘결과’ 지표에 대한 성과가 상대적으로 저조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지역사회 기반 리빙랩 전략 방향은 ‘제도적 측면’, ‘재정적 측면’, ‘콘텐츠적 측면’의 3가지 방향으로 제시되었으며, 각 부문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지자체, 지역대학 연계형 거버넌스 및 협업 구조 또한 제안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지역사회 기반 리빙랩 프로젝트 성과 평가 및 모니터링을 위한 구조적 틀 및 유사 리빙랩 프로젝트 설계 시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리빙랩 방법론 및 프로세스 분석

        최재림,류도현,김광재 한국품질경영학회 2020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

        리빙랩이란 실생활 환경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여 제품, 서비스, 기술 등을 개발, 검증, 평가하는 개방형 혁신 생태계이다. 리빙랩의 이해관계자들이 혁신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활용하는 프로세스와 수단을 리빙랩 방법론이라고 한다. 각 리빙랩의 운영 목적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다양한 리빙랩 방법론이 존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리빙랩 방법론들을 소개하고 각 방법론을 프로세스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94개 문헌과 169개리빙랩 웹사이트를 검토하여 22개 리빙랩 방법론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리빙랩 방법론을 분석하여 각 방법론들의 공통점과 특이점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여러 리빙랩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프로세스(계획, 탐색, 프로토타이핑, 구현, 실험, 평가, 확산, 행동/의사결정)를 제시한다. 본 연구 결과는 리빙랩 방법론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우수등재

        김해 삼방워터 리빙랩 케이스 스터디:리빙랩 플랫폼 구축 및 실증 결과 분석

        최현진,이정훈,남예지 한국전자거래학회 2023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8 No.2

        "The study aims to establish a citizen-participating living lab platform to improve the problem of maintaining the sustainability of the citizen-participating smart city project.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case of Sambang Water Living Lab conducted in Gimhae. In the study, the living lab operation model and requirements derived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case analysis were analyzed, and a living lab platform supported online and offline was implemented. The Living Lab platform is a responsive web, and was developed to collect data with citizen participation. The platform was demonstrated with Sambang Water Living Lab, and civic ideas were accumulated through platform in various urban spaces for applicability and implications. This study derived the functional requirements spaces for applicability and implications. This study derived the functional requirements for the Living Lab platform, with contribution to fu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platform . It is meaningful to establish a unified civic channel through an effective online and offline living lab operation model and to suggest various measures of citizen data colle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시민 참여 스마트시티 사업 추진의 지속성 유지 문제 개선을 위한 시민참여형 리빙랩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며, 김해시에서 수행한 삼방워터 리빙랩 사례를 통해 실증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리빙랩 운영모델 및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된 요구사항 등을 분석하였으며, 온․오프라인을 지원하는 리빙랩 플랫폼을 구현하였다. 리빙랩 플랫폼은 윈도우 운영체제 기반의 모바일 반응형 웹 형태로, 시민 참여를 통한 사용자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게 개발되었다. 삼방워터 리빙랩과 연계하여 리빙랩 플랫폼을 실증하며, 다양한 도시공간에서 플랫폼을 통해 시민 아이디어를 축적하여 플랫폼의 적용 가능성 및 시사점을 도출, 리빙랩 플랫폼의 기능요구사항을 도출하였으며, 실제 리빙랩 적용 및 실증을 통해 향후 리빙랩 플랫폼 연구 및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효과적 온․오프라인 리빙랩 운영모델을 통해 단일화된 시민 채널을 구축하였으며, 시민 수집 데이터의 다양한 활용 방안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온라인 메신저를 활용한 건강 리빙랩 구성과 활용: 미세먼지 피해 예방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중심으로

        오영삼,정혜진,강지영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保健社會硏究 Vol.40 No.2

        This study performed a living lab program in order to enhance health literacy and promote health, and prevent children and their primary caregivers from health risks posed by fine dust. The health living lab program was designed to stimulate children and their parents to respond new health promotion information and conduct health prevention activities regarding to fine dust. Participants are 29 children and 26 primary caregivers of the participant children from Seoul and Busan. Primary caregivers are defined as those who are responsible for child care at home. We provided information regarding fine dust related health policy and health preventive action to participants through card news by utilizing online messenger program. Participants showed different levels of interest and response, and involvement to the program. While unexpected difficulties and limitation on living lab program has also emerged, continuous interaction between participants and researchers, and participants’ experiences have innovated the fine dust health prevention living lab program, finally allowing us to produce a successful final output. This study suggests that a living lab program could be a new strategy to address social problem, and furthermore, operational difficulties and interaction could be a driving force to innovation of the living lab program. 본 연구는 아동과 양육자의 미세먼지 피해 예방과 건강증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건강 리빙랩을 설계하고 운영하였다. 건강 리빙랩의 운영을 통해 아동과 양육참여자의 반응과 활동을 유도했다. 참여자 아이디어와 경험을 기반으로 미세먼지 건강 리빙랩의 혁신을 도모했다. 본 리빙랩은 서울과 부산에 거주하는 아동 29명과 그들의 양육자 26명이 참여했고, 연구자가 리빙랩을 운영을 주도하였다. 리빙랩은 실생활에서 활용하는 온라인 메신저를 활용하여, 건강, 의료, 정책 자료를 카드뉴스 형태로 건강정보를 참여자에게 전달했다. 리빙랩 참여자의 반응과 활동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주제에 따라 반응과 참여 수준이 달랐으며, 연구진에게 정보수정과 의문을 지속해서 제공했다. 또한, 리빙랩 운영과정에서 예상하지 못한 문제점과 한계도 함께 발생했다. 참여자와 연구진 간 지속적인 상호작용과 진행 과정을 통해 도출된 리빙랩 한계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교육프로그램 혁신을 시도했다. 이를 통해 리빙랩이 사회문제 해결에 새로운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제시했다. 또한, 리빙랩 운영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한계와 상호작용이 오히려 혁신 동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리빙랩의 의의와 활용가치를 제시했다.

      • KCI등재후보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국내 리빙랩 사례 분석

        성지은(Seong, Ji Eun),한규영(Han, Kyu Young),정서화(Jeong, Seo Hwa) 한국과학기술학회 2016 과학기술학연구 Vol.16 No.2

        최근 국내에서도 사회 주체(주민, 사용자 등) 주도형 혁신모델이자 지역·현장기반형 혁신의 장으로서 리빙랩이 도입·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실험으로 ‘리빙랩’을 명시하고 추진된 북촌 리빙랩, 성대골 리빙랩, 건너유 프로젝트 3개 사례를 분석하였다. 각 사례의 지역문제, 문제해결 목표, 참여주체 및 주체별 역할, 리빙랩 추진체계, 의의를 분석하고 리빙랩의 유형·특성을 도출했으며, 향후 발전 방안을 모색하였다. 분석 결과 각 사례는 기술 활용 방식과 사용되는 기술의 특성은 차이가 있으나 과학기술·ICT와 지역문제 해결을 연계하고자 했으며 지역주민이 문제 발굴부터 기술 실험 및 확산·적용까지 리빙랩 전반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또한 공통적으로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이 리빙랩 운영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각 사례는 서로 다른 리빙랩 유형을 보이고 있는데, 북촌 IoT 리빙랩은 정부/지자체가 리빙랩 활동기반 조성 또는 행위자 활동을 지원하고 프로젝트 형태로 운영된 반면, 성대골 에너지전환 리빙랩과 건너유 프로젝트는 시민사회 스스로 지역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를 정의하고 기술을 탐색하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Living Lab is being introduced and applied as an innovation model driven by social entities (residents, users, etc.) and as an innovation place based on local and field. This study analyzed three living lab cases of Bukchon IoT living lab, Seong-Daegol energy transition living lab, and Daejeon Geonneoyu project, which were designated as "Living Lab" to solve local problems. We analyzed the local problem, the problem solving goal, the role of each participant and the subject, the living lab promotion system, the significance in each case. In additio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living labs were elucidated and future development plans were discussed. The result is as follow. First, each case has a tendency to link science technology and ICT with local problem solving though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echnologies used. Second, local residents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whole living lab process from problem identification to technical experimentation, diffusion and application. Third, the role of the intermediaries commonl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operation of the living lab. Last but not least, each case has different types of living lab. Bukchon IoT living lab being operated as a project by the government / municipality to create a living lab activity-base or to support actors’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the Seong-Daegol energy transition living lab and Daejeon Geonneoyu project were conducted by the civil society itself to define problems and explore technologies in order to solve local problems.

      • 리빙랩의 운영 체계와 사례

        성지은,송위진,박인용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3 STEPI Insight Vol.- No.127

        리빙랩(Living Lab)은 특정 공간에서 사용자들의 참여하에 문제를 해결하는 개방형 혁신모델로서 유럽 지역에서 널리 시행되고 있으며, 생활세계에서 구현되는 랩이기 때문에 지역사회의 문제 해결력 증대와 동시에 새로운 사회·기술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선구적 모델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또한 리빙랩은 최근 혁신정책의 주요 이슈들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혁신모델로 탈추격 혁신, 수요지향적 혁신, 지역혁신,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 생태계 형성 지원, 사회·기술시스템 전환 등 최근에 등장하고 있는 혁신정책의 경향을 반영한 정책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리빙랩의 운영 체계와 사례에 대해 살펴보고 다음과 같은 7가지의 평가 및 시사점 제시와 한국형 리빙랩의 예시를 들고 있다. [평가 및 시사점] 1. 사용자 참여형, 문제해결형 혁신모델의 구현 2. 지역혁신의 새로운 모델 3. 사회적 혁신활동의 구현 방안 4. ICT 인프라 사업의 새로운 개편 방향 제시 5. 사회적 혁신주체 육성 및 생태계 조성의 계기 마련 6. 사회-기술 기획의 방법론 제시 7. 공공서비스 주체에 대한 재인식과 서비스 디자인 관점 강조 [한국형 리빙랩 예시] 1. 지하 공간 고도화 리빙랩 2. 고가 문화예술 대중화 리빙랩 3. 교통체계 개선 리빙랩 4. 음식쓰레기 선처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리빙랩 5 .햇빛발전 리빙랩 6. 독거노인 돌봄서비스 리빙랩 7. 보건의료 제품 및 서비스 개선 리빙랩 8. 문화·관광 관련 리빙랩

      • KCI등재

        중간지원조직의 리빙랩 현황과 플랫폼으로서의 발전 가능성 탐색

        성지은,한규영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기술혁신학회지 Vol.20 No.4

        This study examines the case of living lab led by intermediary and explores the development possibility as living lab platform. The analyzed cases are ‘The Seoul Innovation Park Living lab’, ‘Korea Senior Living lab’ of Seongnam Senior Experience complex, and ‘Disaster Safety Living lab’.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ll three cases have formed a user panel to form a living lab platform, and provide living lab service to internal and external organizations. A common feature that combines a technology platform with a 4Ps-based governance platform is identified. However, the characteristics, the meaning, and the process are different from case to case. In the future, the living lab platform needs to share learning experiences that are going on individually, since domestic living lab platform is in the early stage. Through this, it is necessary to seek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with related similar projects, and to jointly promote institutional and physical infrastructures related to living labs. 본 연구는 중간지원조직 주도의 리빙랩 사례를 살펴보고 리빙랩 플랫폼으로의 발전가능성을 탐색한다. 분석 사례는 국내에서 중간지원조직 주도로 리빙랩 플랫폼을 구축한 대표 사례인 ‘서울혁신파크 리빙랩’, 성남 고령친화종합체험관의 ‘한국시니어리빙랩’, ‘재난대응분야 리빙랩’을 대상으로 한다. 분석결과 세 가지 사례 모두 사용자 패널을 구축하여 리빙랩 플랫폼을 형성하고 내・외부 조직에 리빙랩 운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이 진행되었다. 또한 기술플랫폼에 4Ps 기반의 거버넌스 플랫폼이 결합된 공통적인 특징을 도출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각 사례가 내포하고 있는 의의와 성격, 추진체계는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인다. 현재 국내의 리빙랩 플랫폼은 확산되어 가는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향후 리빙랩 플랫폼은 개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리빙랩 경험을 공유하여 공동학습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관련 유사 사업과의 연계 및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리빙랩 관련 제도적 기반 및 인프라 정비를 공동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리빙랩 프로젝트와 연계한 대학 전공수업 교육모델 개발 연구 : D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노성여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2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6 No.3

        In the tren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Living Lab, which recognize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upplier-centered R&D and emphasizes user participation and field orientation, is emerging as an important methodology. Living Lab, which means 'laboratory', which means a method of setting up living spaces in a specific area and solving problems through cooperation between the public, the private sector, and citizens, aims to establish a cooperative network and solve local problems by connecting universities and local communities. It is spreading in Korea as a major model that can be used, and it can contribute to nurturing innovative and creative talents by applying the curriculum using the Living Lab at universities.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living lab application cases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the living lab application methodology. In addition, through the living lab case analysis applied to the university curriculum, the university curriculum innovation model through the living lab has been suggested. Through this study, in terms of demonstration, the limitations of the domestic living lab being operated as a project to test the success of the technology without much difference from the existing test bed were examined. In terms of user participation, it is said that users are involved as innovation agents, but it is not leading to actual participation claimed to be required. In terms of nurturing talent, the Living Lab is necessary to nurture talented people who can lead innovative society, and emphasized the need to open a curriculum that can play a role in raising interest in local issues by spreading the Living Lab culture. Various living lab application cases and curriculum innovation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helpful in designing and operating curriculum in domestic universities. 4차산업혁명시대 트렌드에 맞추어 기존 공급자 중심의 R&D의 한계성을 인식하고 사용자 참여 및 현장 지향성을 강조하는 리빙랩이 중요한 방법론으로 대두되고 있다.‘우리 마을 실험실’,‘살아있는 실험실’, ‘일상생활 실험실’이라는 의미로 특정 지역의 생활공간을 설정하고 공공, 민간, 시민 등이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의미하는 리빙랩은 대학과 지역사회가 연계하여 지역문제해결과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할 수 있는 주요한 모델로 국내에서도 확산되고 있으며, 대학에서 리빙랩을 활용한 교육과정 적용을 통해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인재를 키우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리빙랩 적용방법론에 대한 고찰을 기반으로 다양한 국내·외 리빙랩 적용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대학 교육과정에 적용된 리빙랩 사례 분석을 통해 리빙랩을 통한 대학 교육과정 혁신모델(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실증 측면에서 국내 리빙랩은 기존 테스트베드와 큰 차이 없이 기술의 성공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프로젝트로 운영되고 있다는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사용자 참여 측면에서 사용자(주민 등)을 혁신 주체로 참여시킨다고 하고 있으나 실제 참여를 이끌어내고 있지 못하며, 교육 측면에서도 이론 중심의 리빙랩 교육 방식에서 탈피하여 현장 중심/실전 중심의 교육과정 설계로의 변화가 요구된다고 주장하였다. 인재양성 측면에서도 리빙랩은 사회를 혁신적으로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데 필요하며, 리빙랩 문화 확산을 통해 지역 문제에 대한 관심도를 높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개설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다양한 리빙랩 적용사례 및 교육과정 혁신모델(안)은 국내 대학 내 리빙랩을 활용한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