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톨스토이의 아동문학에 나타난 생태주의

        조미경(CHO, Mi-Kyoung),원용숙(WON, Yong-Soo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2 외국문학연구 Vol.- No.47

        본 논문은 러시아의 대문호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1828-1910)의 생태주의적 사고와 생명사상이 아동문학 작품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주의 실재가 하나’이고 ‘생명은 궁극적으로 하나’라는 톨스토이의 생명론을 기반으로 식물들에게도 인간과 같은 생명이 존재하며, 특히 나무는 신체 구조적 측면과 정신적 측면에서 인간과 동일시될 수 있다는 것을 밝힌후, 인간에 의한 생태계 파괴의 문제점과 그 해결책을 그의 작품들에서 찾아본다. 본 논문에서는 톨스토이의 생태주의 사상의 이론적 기반을 생물 평등주의의 관점에서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톨스토이의 아동문학 작품들 중 나무의 생태를 주로 다룬 작품들인 「버드나무」와 「사과나무」, 「나무들이 숨을 쉰다」, 「늙은 미루나무」, 「벚나무」, 「나무는 어떻게 옮겨 다니는가」를 분석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나무의 생명력과 죽음의 모티브 분석’의 장에서는 나무의 생성과 생장, 소멸의 역사를 살펴보고, 나무의 강인한 생명력과 인간과의 공존의 문제, 나무의 죽음의 모티브 등을 다룬다. 둘째, ‘신체 구조적 차원에서의 나무와 인간의 동일화’의 장에서는 나무의 내부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와 기관들의 구조적 특징을 알아보면서, 식물들도 인간과 유사한 호흡기관, 순환기관, 운동기관 등이 있어 생존을 위해 숨을 쉬고 수분과 영양분을 빨아들이며, 움직이고 옮겨 다니기까지 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셋째, ‘정신적 차원에서의 나무와 인간의 동일화’의 장에서는 나무가 정신적인 활동 능력의 일환인 언어표현 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내면의 감정을 밖으로 표출하며, 같은 개체들끼리 서로 소통하면서 에너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유기적 생명체라는 주장을 새롭게 조명한다. 넷째, ‘나무를 심는 자와 나무를 파괴하는 자의 형상’의 장에서는 앞에서 분석한 여섯 편의 아동문학 작품에 나오는 등장인물들 중 인간의 유형을 나무를 심는 사람과 나무의 생태를 파괴하는 사람으로 나누어 분석한 후, 인간에 의한 식물 생태계 파괴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것의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great Russian novelist Lev Nikolaevich Tolstoy(1828-1910)"s ecological thinking and life thought in his works of children"s literature. His theory of life is that ‘the universe is one’, and that ‘life is ultimately one’. Based on his theory, the fact that plants have the same life as man was discussed, and another fact that trees could especially be considered to be identical to man in terms of physical structure and mentality was described as well. And then his view of works were analyzed to look into the problems triggered by the destruction of ecosystems by man and to find a feasible solution. Among Tolstoy"s six works of children"s literature, six works were selected for analysis: "A Willow," "An Apple Tree," "Trees Breath," "An Old Poplar," "A Cherry Tree," and "How Trees Move Around." As it can be inferred from the fact that Tolstoy had a lot of interest in trees as plants that were most similar to man, the six works are organically linked to one another. After the life force of trees and the motif of death were discussed, in which process trees assimilated with man was investiga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olstoy"s ecological view were examined. In the conclusion, it was stressed that Tolstoy intended in the works to convey a message that the life of plants is as estimable and valuable as that of man. This idea is the basis of his ecological thought of life, and makes it possible for man to undergo a change of mind-set through assimilation with nature. 본 논문은 러시아의 대문호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1828-1910)의 생태주의적 사고와 생명사상이 아동문학 작품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주의 실재가 하나’이고 ‘생명은 궁극적으로 하나’라는 톨스토이의 생명론을 기반으로 식물들에게도 인간과 같은 생명이 존재하며, 특히 나무는 신체 구조적 측면과 정신적 측면에서 인간과 동일시될 수 있다는 것을 밝힌후, 인간에 의한 생태계 파괴의 문제점과 그 해결책을 그의 작품들에서 찾아본다. 본 논문에서는 톨스토이의 생태주의 사상의 이론적 기반을 생물 평등주의의 관점에서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톨스토이의 아동문학 작품들 중 나무의 생태를 주로 다룬 작품들인 「버드나무」와 「사과나무」, 「나무들이 숨을 쉰다」, 「늙은 미루나무」, 「벚나무」, 「나무는 어떻게 옮겨 다니는가」를 분석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나무의 생명력과 죽음의 모티브 분석’의 장에서는 나무의 생성과 생장, 소멸의 역사를 살펴보고, 나무의 강인한 생명력과 인간과의 공존의 문제, 나무의 죽음의 모티브 등을 다룬다. 둘째, ‘신체 구조적 차원에서의 나무와 인간의 동일화’의 장에서는 나무의 내부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와 기관들의 구조적 특징을 알아보면서, 식물들도 인간과 유사한 호흡기관, 순환기관, 운동기관 등이 있어 생존을 위해 숨을 쉬고 수분과 영양분을 빨아들이며, 움직이고 옮겨 다니기까지 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셋째, ‘정신적 차원에서의 나무와 인간의 동일화’의 장에서는 나무가 정신적인 활동 능력의 일환인 언어표현 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내면의 감정을 밖으로 표출하며, 같은 개체들끼리 서로 소통하면서 에너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유기적 생명체라는 주장을 새롭게 조명한다. 넷째, ‘나무를 심는 자와 나무를 파괴하는 자의 형상’의 장에서는 앞에서 분석한 여섯 편의 아동문학 작품에 나오는 등장인물들 중 인간의 유형을 나무를 심는 사람과 나무의 생태를 파괴하는 사람으로 나누어 분석한 후, 인간에 의한 식물 생태계 파괴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것의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great Russian novelist Lev Nikolaevich Tolstoy(1828-1910)"s ecological thinking and life thought in his works of children"s literature. His theory of life is that ‘the universe is one’, and that ‘life is ultimately one’. Based on his theory, the fact that plants have the same life as man was discussed, and another fact that trees could especially be considered to be identical to man in terms of physical structure and mentality was described as well. And then his view of works were analyzed to look into the problems triggered by the destruction of ecosystems by man and to find a feasible solution. Among Tolstoy"s six works of children"s literature, six works were selected for analysis: "A Willow," "An Apple Tree," "Trees Breath," "An Old Poplar," "A Cherry Tree," and "How Trees Move Around." As it can be inferred from the fact that Tolstoy had a lot of interest in trees as plants that were most similar to man, the six works are organically linked to one another. After the life force of trees and the motif of death were discussed, in which process trees assimilated with man was investiga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olstoy"s ecological view were examined. In the conclusion, it was stressed that Tolstoy intended in the works to convey a message that the life of plants is as estimable and valuable as that of man. This idea is the basis of his ecological thought of life, and makes it possible for man to undergo a change of mind-set through assimilation with nature.

      • KCI등재

        레프 톨스토이와 니콜라이 게

        오종우 ( Oh Jong Woo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科學 Vol.0 No.70

        레프 톨스토이는 세상의 질서를 운용하는 진리를 찾기 위해 문학작품을 쓴 작가이자 사상가이다. 그의 작품의 예술성은 바로 치열한 진리 탐구로 생겨난 것이다. 그럼에도 톨스토이는 자신의 작품들이 진리를 직접 표현하지 못한다며 항상 불만스러워했다. 그는 예술로 직접 진리를 표현하고 싶었던 것이다. 『안나 카레니나』에서 세상을 움직이는 불멸의 진리를 밝혔음에도 그는 독자들이 진리를 금방 알아챌 수 있도록 후기에는 아예 예술을 부정하고 쉬운 민담 투의 단편이나 단순한 구도의 희곡, 심지어는 짧은 경구 들을 쓰기까지 했다. 톨스토이에게 예술로 하여금 진리작용을 일으키게 하는 점은 해결하기 어려운 난제였던 셈이다. 그런데 톨스토이의 영향을 받은 이동파 화가 니콜라이 게는 『안나 카레니나』의 한 부분을 묘사한 그림 <진리가 무엇이오?>에서 관람자가 직접 진리를 체험할 수 있게 표현했다. 톨스토이가 평생 고민한 문제를 화가 니콜라이 게가 그의 영향을 받아 이룬 것이다. Leo Tolstoy in the history of world literature is a special phenomenon. He sought to uncover the truth through literature. Therefore we can understand him as a philosopher and teacher of truth, and not just as a famous writer. Of course, L. Tolstoy is an outstanding author. His works have formed an original world, which has a rich artistic quality. The fine artistry of his works comes from his quest for truth. Nevertheless, L. Tolstoy was always dissatisfied with the fact that his works did not adequately express the truth directly and immediately. How does art express truth directly and immediately? Is this possible? It’s not that the writer announces the truth through literature. Art as a propaganda of the truth is somewhat different. Nikolai Ge, a peredvizhniki, also thought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truth. At that time he met with L. Tolstoy and made sure that art is close to the truth. The picture he created, What is truth? expresses the truth directly and immediately. N. Ge corrected the question, which Tolstoy himself could not solve. We know that N. Ge painted a picture of What is truth?, being influenced by L. Tolstoy’s novel Anna Karenina. Let’s look at the picture What is truth. At first glance, it seems that Pilate is not very evil. Of course, he knows that Christ does not have any guilt. But he is a bureaucratic person. Pilate asks Christ about what is true. Christ remains silent, realizing that it is pointless to answer Pilate: there is a spiritual boundary between them. Pilate will kill the innocent Christ in order to maintain his position. That is, he changes his truth in order to benefit instantly. But in the picture we see that the light separates Pilate from Christ. So, from the picture, we immediately understand that there is the truth.

      • KCI등재

        레프 톨스토이 초기 창작에 나타난 전쟁

        김성일(Kim, Sung-IL) 한국노어노문학회 2013 노어노문학 Vol.25 No.2

        톨스토이 문학세계에 있어 전쟁의 주제를 다루고 있는 주요 작품(군)으로는 “카프카스 이야기들”과 『세바스토폴 이야기』, 그리고 1812년 조국 전쟁을 다루고 있는 『전쟁과 평화』를 들 수 있다. 이 이야기는 톨스토이가 체험한 생생한 사건의 흔적에 따라 창작되었다. 『세바스토폴 이야기』는 3개의 오체르크로 구성된다 : 『12월의 세바스토폴』, 『5월의 세바스토폴』과 『1855년 8월의 세바스토폴』. 각각의 이야기 속에는 작가의 독특한 예술적 특징과 세계관이 잘 표현되어 있다. 『12월의 세바스토폴』은 러시아 문학의 오래된 전통적인 “전쟁” 산문의 틀을 깼다. 이 이야기 속에서 톨스토이는 당국의 공식적인 선전에 반하여 피와 고통, 죽음으로 점철되는 전쟁의 무서운 진실을 보여주었다. 이와 더불어 도시 방어자들의 겸손하고 말없는 영웅성의 “고귀하고 고무적인 이유”, 즉 “숭고함”을 직접적으로 알렸다. 두 번째 작품인 『5월의 세바스토폴』은 문명화된 인간들, 즉 러시아 귀족, 상류층들의 허위의식을 그들의 허영을 통해 통렬하게 비판함과 동시에 사랑과 자기희생을 설파하는 그리스도인들이 저지른 만행을 보여주면서 전쟁의 모순성을 강조한다. 세 번째 작품인 『1855년 8월의 세바스토폴』은 크림 전쟁에 대한 결론적인 이야기로서 마지막 순간까지 조국에 대한 의무를 다하는 두 장교 형제를 통해 세바스토폴 방어의 비극적이고도 영웅적인 모습을 예술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이 이야기를 통해 톨스토이는 전쟁이 본성에 반하는 부자연스러운 것이며, 인간의 사명은 타인에게 선을 베푸는데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It has usually been said that chronologically those three works ? the Cossacks (1863), Sevastapon Sketches (1855), War and Peace (1869) ? are the cycle devoted to the theme of 1812 Patriotic War, the so-called ‘Otechestvennaia Voina’ in Russian. More importantly, these works are the foundation, on which the writer’s creative artistic spirit are based, and he experienced himself during his life time. The primary object of this paper is to pay a special attention to the second works among the cycle : Sevastapol Sketches. This work consists of three ocherks : ‘Sevastapol in December,’ ‘Sevastapol in May’ and ‘Sevastapol in August of 1855,’ and in each piece we can see several unique and artistic features and the world-view by the writer. The first work, ‘Sevastapol in December’, breaks the convention of what the war time prose had contained. Against the official doctrine and war-time aesthetics, Tolstoy represents the seamy side of the tragic war, suffering caused by the war, and pictures of death. Amazingly, the writer at the same time struggles to depict the image of lofty, which comes from not the upper class of war-leaders or war-heroes, but the common people, narod in Russian. To make this theme more effective and graphic, Tolstoy places the theme of self-sacrifice, sarcastic criticism on false consciousness among the upper nobility class, contradictory Christian ethics shown by the group. Lastly, in ‘Sevastapol in August of 1855’ the writer presents two officers who wholly devoted their lives to the preservation of Russia’s national destiny, heroically defending the fatherland Throughout these three tales, Tolstoy expresses to the extend which the Crimean War was the antipode to human beings, and for this right reason, people’s calling is to exert goodness on the others.

      • 톨스토이의 작품 속 행복한 사람의 형상

        최윤희(Choi, Yun-Hee) 행복한부자학회 2015 행복한부자연구 Vol.4 No.2

        톨스토이의 대표적인 단편 소설 중 『바보 이반』은 즐거운 삶, 진정한 행복,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가는 것이 어떠한 삶인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좋은 작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하여 그의 톨스토이주의 사상을 바탕으로 한 행복한 삶을 사는 사람의 모습과 함께 그러한 사람들이 함께 실현한 행복한 세계를 제시해주고자 하였다. 교육과 계몽을 목적으로 서민들을 대상으로 창작한 그의 단편소설들에는 민중을 향한 톨스토이의 마음이 그의 작품속에 나타나는 등장인물들의 사회적 배경, 생활묘사들에서도 잘 나타나 있으며, 글의 문체와 구조, 어휘, 표현양식 등 언어적 수단들에서도 잘 드러나 있다. 톨스토이는 단편 소설 『바보 이반』을 통해 민화적이고 설화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형식과 표현으로 행복한 사람의 형상과 그러한 사람들이 이룩한 이상적인 국가에 대해 보여주고 있다. 무엇보다도 작가는 이전의 다른 단편 소설들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선행과 관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개인적인 ‘선’을 넘어 공동의 선을 추구하면서 함께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는 길을 제시하고 있다. 모범적인 선한 삶을 사는 것이 신의 의지대로 사는 것이라고 본 작가는 쾌락을 버리고, 자신의 주어진 일을 성실히 수행하며 이웃과 더불어 나눔과 베풂을 통해 함께 살아가는 삶을 영위하는 사람이 행복한 사람의 자질이라는 것을 보여줌과 동시에 그러한 사람들이 함께 더불어 살면서 신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선행, 관용, 인내, 성실한 삶을 실천하면서 공동의 선을 추구한다면 가장 이상적인 국가, 즉, 가장 행복한 국가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Leo Tolstoy was one of the greatest writers of the Russian realist literature. In his latter years he had a great emphasis on Christianity. Looking at his short novels as mere fables would have devalued the purpose of his creations. Tolstoy simply taps into the very soul wedding Christian principle to universal human longing and a deeply-anchored sense of hope. In the short novel 『Ivan the Fool』Tolstoys writing style transformed the folk story genre into the an art style, which in turn led him to devotion. He developed a new method for structurally putting motivation words in his new works. One can contemplate over the ideas seen in his folk stories, rather than just simply reading. His stories were not only for peasants, but for all people who want to establish life’s attitude of love and have the will to act on it. When we think about what we have lived through and how we have lived through it, we also think over the way we should have lived and the values of life. There are many ways to express love and create it. Among them is the one that Tolstoy shows in his short novels.

      • KCI등재

        托爾斯泰經典的重構改編 : 陳春生《五更?》的本土化?述策略硏究

        左維剛,吳淳邦 한국중국소설학회 2014 中國小說論叢 Vol.44 No.-

        《五更鐘》은 중국인 작가의 주도하에 공개적으로 출판된 첫 번째 기독교 중문소설이다. 또한 20세기에 출판된 최초의 기독교 중문소설이자 번역소설이기도 하다. 원작은 러시아 작가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의 중편소설 Ходите в свете пока есть свет. Беседы язычника и христианина이다. 원작의 편폭은 6,70쪽에 불과하며 모두 10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902년부터 미국 감리회 여선교사 라우라 화이트와 중국인 작가 陳春生이 합작하여 《五更鐘》이란 장편의 章回體小說로 번역하였다. 中譯本《五更鐘》은 편폭이 대대적으로 증가하여 상하 두 권 24回으로 구성되었으며 글자 수가 십 만자에 이른다. 이 작품이 중국인에게 전문적으로 기독교를 전도하기 위해 출간했다는 번역취지를 이루기 위해 “작품 전편에 걸쳐 중국인을 위해 개편 서술한” 소설이 될 수 있도록 번역가 陳春生은 대폭적인 각색 작업을 하였다. 이로 인해 中譯本《五更鐘》은 원작에 비해 譯述者의 “創造性勞動”이 충만한 작품이 되었다. 우선, 원작의 구상에 대한 조정이다. 톨스토이의 원작은 한 편의 순수한 종교소설이다. 그러나 《五更?》은 선교의 목적을 이루는 것 이외에, 소설에 새로운 내용을 가미하였으니, 그것은 바로 청말 여성들에 가해진 “纏足”이란 악습과 “男尊女卑” 등의 사회적 폐습에 대해 기독교인의 입을 빌어 이런 불량한 사회기풍을 비판 공격하여 이 작품의 “社會改良小說” 경향을 표현해 내었다. 이런 작품 경향은 원작을 능가한다는 호평을 받았다. 또한 톨스토이의 원작 제목 Ходите в свете пока есть свет 를 번역하면 “주를 따라 光明으로 나아간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中文題目《五更鐘》은 直譯된 영문제목 “FIVE CALLS”에 비해 명확하고 이해하기가 쉬웠으며, 주제를 전달하는데 있어 중국 독자들이 더 쉽게 받아들일 수 있었다. 그 밖에, 《五更鐘》은 章回體소설양식을 서사매체로 삼아 소설의 인물, 이야기의 시공 배경, 이야기의 전개와 구조 측면에 있어 원작과의 일치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대대적인 재구성과 개편 및 改作作業을 진행하여 작품을 완전히 중국화시킨 토착화 번역책략을 구현시켰다. The novel FIVE CALLS 《五更鍾》 was the first Chinese christian novel published in the initiative of a Chinese author. Also it is the first Chinese translated novel published in the 20th century. The original is a short novel Ходите в свете пока есть свет. Беседы язычника и христианина, written by a Russian author, Lev Nikolayevich Tolstoy, Comprising about 70 pages with 10 chapters. Later on Laura White(1867-1937), an American Methodist Missionary collaborated with Chen Chun Sheng(陳春生), a Chinese author, translated it into a long Zhanghui style(章回體) novel FIVE CALLS. The Chinese original novel of FIVE CALLS amplified extensively so it divided into two volumes, comprising 24 chapters. Even the number of letters runs into a hundred thousand. The translator Chen Chun Sheng sharply did an adaption work to advance a theory for all directions of the Chinese and FIVE CALLS fully propagated to the Chinese to be a written novel. Therefore the Chinese original of FIVE CALLS is more full of “creativity of labour” of the translator’s masterpiece than the original. First of all, it is a mediate about the original of plan. Tolstoy’s work is a piece of a pure religious novel. Nevertheless FIVE CALLS imparted a new meaning in novel, besides the purpose of propagation. It then denounced about the poor social environment over the roar of the christians against social vices such as women’s “foot-binding”, “men over women”, etc. Further it is deployment tendency of “social reform fiction”. These things surpassed the original is a such a deserved reputation. In addition to the title of the novel, Tolstoy’s original work was translated literally to “advanced to light depending on God”. The Chinese title FIVE CALLS was easy to understand and concise than the one literally translated, and the Chinese readers also emerged as a theme that was much clearer to accommodate. Besides, FIVE CALLS advances the story of a person, the occurrence of background story, the plot of the story and also one at the same time preserving the consistency of the original mass of the reconstruction for the original and the modified work as a massive epical style in the system of Zhanghui style(章回體) novel and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China Domesticating Transl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레프 톨스토이와 아나키즘

        심성보 한국러시아문학회 2008 러시아어문학 연구논집 Vol.28 No.-

        Данная статья посвящена рассмотрению соотношения Льва Толстого с идеей анархизма. Анархизм ( от греч. anarchia — безначалие, безвластие) - общественно-политические и социально-экономические учение, враждебно относящиеся ко всякому государству. Слово "анархизм", как правило, ещё же вызывает у корейцев примерно одни и те же ассоциации: беспорядок, разрушение, кровавная революция. И Толстой принимался в круг корейских читателей только художественным писателем и гуманистическим, религизно-этическим учителем. И поэтому ассоциация Толстой-анархист принимается в Корее в чём-то странно. Хотя Лев Толстой никогда прямо не называл себя анархистом, однако категорическое его отрицание государства, патриотизма, армии и права утверждает, что взгляд Толстого на государство соответствует полностью анархическим идеям. Анархистская позиция Толстого в процессе своег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 развития испытала влияние со стороны всех тогдашних известных анархистов - Прудона, Бкунина и Кропоткина. Но видя в ненасилии единственный целесообразный путь переустройства общества, Толстой не мог принять идею анархизма, исповедуемую ими. Толстой утверждает, что государство, с его насильственным, основанным на угрозе телесного наказания, казни или лишения свободы подчинением граждан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м законам и распоряжениям, было необходимо лишь в дохристианскую эпоху. По его мнению, закон насилия(государства) противостоит закону любви, и так эту идеею он выразил в своих некоторых художественных проихведениях и статьях. Термином <гипнотизация> Толстой обозначает систему формирования суеверия необходимости государства. И он считал два фактора столпов государства - армию и патриотизм гипнотизацией и суеверием государства. И он так критиковал сущность государства в своих статьях. И в этом процессе его анархизм был всегда непременно самым принциптальным, последовательным и радикальным.

      • KCI등재

        보리스 에이프만의 발레 <안나 카레니나> 읽기 :극대화된 에로스와 타나토스의 문제를 중심으로

        박선영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23 중소연구 Vol.47 No.2

        본고는 2000년대 이후 톨스토이의 장편 소설 <안나 카레니나>의 발레화 작업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한 러시아 현대 발레의 거장 안무가 보리스 에이프만의 <안나 카레니나>(2005/2010)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발레 속에서 구현되고 있는 극대화된 에로스와 타나토스의 문제를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여주인공의 심리적 에로틱 충동 연구”를 안나 카레니나 안무화 작업의 목표라고 밝힌 에이프만의 주장에 근거하여 본고는 에이프만이 다른 안무가들과는 달리 안나-브론스키-카레닌의 삼각 애정 관계에만 집중함으로써 톨스토이의 원작에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에로스와 타나토스의 문제에 얼마나 천착하였는지, 그리고 이를 어떤 방식으로 극적이고도 정교하게 구현해 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톨스토이의 생애와 창작(특히, 안나 카레니나) 속 에로스와 타나토스의 문제를 먼저 살펴본 뒤 에이프만의 발레 속에서 표현되고 있는 에로스와 타나토스의 문제를 살펴본다. 즉, 제1막 군중 속 안나의 에로스적 환각 장면, 제1막 ‘농부’에 대한 안나의 악몽 장면, 제2막 모르핀 투약 후 에로스적 환각에 빠지는 안나의 장면, 발레의 마지막 장면인 제2막 안나의 주검 장면을 통해 에로스와 타나토스가 주인공 안나 속에 지속적으로 공존하였음을 확인한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ballet Anna Karenina (2005/2010), choreographed by Boris Eifman, who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revitalizing of the ballet adaptation of Tolstoy’s novel Anna Karenina after the 2000s. Eifman insists that his choreographic work on Anna Karenina aimed to “explore the heroine’s psycho-erotic impulses”. This study traces how the choreographer, by focusing solely on the love triangle involving Anna, Vronsky, and Karenin from Tolstoy’s novel, addresses the concepts/problems of Eros and Thanatos in the ballet adaptation. Initially, I’ve tried to examine the problems of Eros and Thanatos in the life and works of Tolstoy,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novel Anna Karenina. After the close reading of the original novel text, I’ve also examined how the problems of Eros and Thanatos are portrayed in the ballet adaptation of Anna Karenina. This analysis encompasses scenes such as Anna’s erotic hallucination within a crowd in Act 1, her nightmare about muzhiki in Act 1, her morphine-induced hallucination in Act 2, and the concluding scene of the ballet featuring the carrying of Anna’s corpse in Act 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